KR20240067574A -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574A
KR20240067574A KR1020220148750A KR20220148750A KR20240067574A KR 20240067574 A KR20240067574 A KR 20240067574A KR 1020220148750 A KR1020220148750 A KR 1020220148750A KR 20220148750 A KR20220148750 A KR 20220148750A KR 20240067574 A KR20240067574 A KR 20240067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uilding name
location
location coordinate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정
Original Assignee
서은정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은정 filed Critical 서은정
Publication of KR2024006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2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output of POI informati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는 각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도로, 시설물을 표시하기 위해 기설정된 가상공간을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로부터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수신되면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시작된 제1 지점에 대응되는 제1 위치좌표와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완료된 제2 지점에 대응되는 제2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획득부, 각 건물에 대한 건물위치좌표가 매칭된 복수 개의 건물명을 저장하는 건물명 저장부, 건물명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 개의 건물명 중 제1 위치좌표에 따른 제1 건물명과 제2 위치좌표에 따른 제2 건물명을 각각 추출하는 건물명 추출부 및 건물명 추출부에서 추출한 제1 건물명과 제2 건물명을 포함하는 방향안내문자를 생성하는 방향안내문자 생성부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방향안내문자를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 GUIDING USING SURROUNDING BUILDINGS}
본 발명은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안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요구 증가와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가상공간에 현실의 서비스를 적용한 메타버스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사용자 간의 음성 또는 영상으로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물건을 보고 구매하며, 강연을 듣는 등 메타버스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고, 현실감을 높이기 위해 실제 도로와 건물의 형상을 반영한 가상공간 제작도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가상공간이 점차 넓어지고 세분화되면서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길을 잃거나, 자신의 캐릭터가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상공간의 지도상에 사용자의 위치를 점으로 표시해주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전체 지도상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점으로 표시할 뿐이어서 사용자가 현재 위치가 현실에서 어디쯤인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22-0085579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21-01824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상공간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주변 건물명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는 각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도로, 시설물을 표시하기 위해 기설정된 가상공간을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로부터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수신되면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시작된 제1 지점에 대응되는 제1 위치좌표와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완료된 제2 지점에 대응되는 제2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획득부, 각 건물에 대한 건물위치좌표가 매칭된 복수 개의 건물명을 저장하는 건물명 저장부, 건물명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 개의 건물명 중 제1 위치좌표에 따른 제1 건물명과 제2 위치좌표에 따른 제2 건물명을 각각 추출하는 건물명 추출부 및 건물명 추출부에서 추출한 제1 건물명과 제2 건물명을 포함하는 방향안내문자를 생성하는 방향안내문자 생성부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방향안내문자를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방법은 각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도로, 시설물을 표시하기 위해 기설정된 가상공간데이터를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로부터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시작된 제1 지점에 대응되는 제1 위치좌표와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해제된 제2 지점에 대응되는 제2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각 건물에 대한 건물위치좌표와 매칭되어 기저장된 복수 개의 건물명 중 제1 위치좌표에 따른 제1 건물명과 제2 위치좌표에 따른 제2 건물명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건물명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한 제1 건물명과 제2 건물명을 포함하는 방향안내문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방향안내문자를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공간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주변의 건물명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생성된 방향안내문자가 표시되는 단말기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의 구성이 연동하면서 분할하여 분산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과 순서도의 단계는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전자 장치(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명령들(instructions)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 또는 흐름도의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일치시키고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10)는 사용자 인증부(11), 가상공간 데이터베이스(12), 인터페이스 제어부(13), 위치획득부(14), 건물명 저장부(15), 건물명 추출부(16), 방향안내문자 생성부(17)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1)는 화면표시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로부터 아이디,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기등록된 회원정보와 일치하면 사용자 권한을 부여함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트탑,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1)는 복수의 회원 각각에 대한 아이디,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회원정보를 저장하고 화면표시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정보가 기저장된 회원정보와 대응되면 화면표시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에 상기 회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권한을 부여하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가상공간 데이터베이스(12)는 각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도로, 시설물을 표시하기 위해 기설정된 가상공간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위치좌표는 위도 및 경도 각각에 따른 좌표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상공간 데이터베이스(12)는 위도 및 경도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픽셀로 이루어져 각 위도 및 경도에 대응하는 위치의 도로 또는 시설물을 표시하기 위한 픽셀값이 기설정된 가상공간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부(13)는 각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도로, 시설물을 표시하기 위해 기설정된 가상공간을 사용자 인증부(11)에서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로부터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부(13)는 위도 및 경도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픽셀로 이루어져 각 위도 및 경도에 대응하는 도로 또는 시설물을 표시하기 위한 픽셀값으로 구성된 가상공간데이터를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 상에 표시되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제1 입력과 제1 입력 이후 드래그하는 제2 입력을 감지하여 제1 입력이 발생한 지점과 제2 입력이 해제된 지점을 내용으로 포함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상에 표시되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은 터치스크린의 터치 입력 또는 다른 입력수단(예를 들어, 마우스)를 이용한 화면상의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제어부(13)는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로 가상공간치 표시되는 화면(20)을 출력하고, 화면(20)에 포함된 어느 한 지점인 제1 지점(201)을 터치하고 이를 드래그하여 제2 지점(202)에서 해제하는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부(13)는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가상공간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공간데이터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부(13)는 기설정된 초기축척을 기준으로 가상공간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입력에 따른 변경축척과 초기축척의 비에 따라 가상공간데이터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제어부(13)는 사용자로부터 화면축소명령 및 화면확대명령을 각각 입력받기 위한 축소아이콘과 확대아이콘을 가상공간데이터가 표시되는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하여 화면축소명령 및 확대명령 각각이 입력된 횟수에 기설정된 비율을 곱함에 따른 변경축척을 산출하여 기설정된 초기축척과 변경축척의 비에 따라 가상공간데이터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인터페이스 제어부(13)는 가상공간데이터가 표시되는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터치하고 터치한 두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줌인 동작, 화면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터치하고 터치한 두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줌아웃 동작을 입력받아 줌인 또는 줌아웃 입력이 시작된 서로 다른 두 지점 사이의 거리와 입력이 해제된 두 지점 사이의 거리의 비에 기설정된 비율을 곱함에 따른 변경축척을 산출하여 기설정된 초기축척과 변경축척의 비에 따라 가상공간데이터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변경축척을 기준으로 가상공간데이터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표시한 이후 사용자의 드래그앤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감지되면 드래그 앤 드롭 입력과 변경축척을 매칭시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위치획득부(14)는 인터페이스 제어부(13)에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수신하면,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시작된 제1 지점에 대응되는 제1 위치좌표와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완료된 제2 지점에 대응되는 제2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S15).
위치획득부(14)는 인터페이스 제어부(13)로부터 제1 입력이 발생한 지점과 제2 입력이 해제된 지점을 내용으로 포함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입력받아, 가상공간데이터에서 제1 입력이 발생한 지점의 픽셀에 대응되는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좌표값으로 이루어진 제1 위치좌표와, 제2 입력이 해제된 지점의 픽셀에 대응되는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좌표값으로 이루어진 제2 위치좌표를 각각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S15).
위치획득부(14)는 인터페이스 제어부(13)로부터 변경축척이 매칭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초기축척에 대한 가상공간데이터의 위도 및 경도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픽셀을 변경축척과 초기축척의 비에 따라 픽셀을 분리 또는 합하며 따라 각 픽셀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변경하여, 제1 입력이 발생한 지점의 픽셀에 대응되는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좌표값으로 이루어진 제1 위치좌표와, 제2 입력이 해제된 지점의 픽셀에 대응되는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좌표값으로 이루어진 제2 위치좌표를 각각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S15).
예를 들어, 기설정된 초기축척에서 가상공간데이터가 위도 및 경도에 따른 100*100 픽셀로 이루어지고 각 픽셀에 대한 위치좌표의 좌표값단위가 0.1일때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입력되면 위치획득부(14)는 (#.#, #.#) 형태의 위치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초기축적보다 100배 작은 변경축척이 매칭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입력되면 위치획득부(14)는 100*100 픽셀을 합하여 각 픽셀에 대한 위치좌표의 좌표값단위가 1인 10*10픽셀을 생성하여 (#,#)형태의 위치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초기축적보다 100배 큰 변경축척이 매칭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입력되면 위치획득부(14)는 100*100 픽셀을 분할하여 각 픽셀에 대한 위치좌표의 좌표값단위가 0.01인 1000*1000픽셀을 생성하여 (#.##, #.##) 형태의 위치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위치획득부(14)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가상공간의 축척에 따라 더 세분화된 또는 더 대분화된 위치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건물명 저장부(15)는 각 건물에 대한 건물위치좌표가 매칭된 복수 개의 건물명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명 저장부(15)는 창원시청이 위치한 지점의 위치의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좌표값으로 구성된 건물위치좌표가 매칭된 건물명 "창원시청", 창원상공회의소가 위치한 지점의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좌표값으로 구성된 건물위치좌표가 매칭된 건물명 "창원상공회의소"등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건물명 저장부(15)는 각 건물의 규모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 개의 등급 중 어느 하나가 부여되어 각 건물의 위치에 대응되는 건물위치좌표가 매칭된 복수 개의 건물명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건물명 저장부(15)는 각 건물의 규모(면적, 높이)에 따라 규모가 클수록 기설정된 복수 개의 등급 중 높은 등급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건물명 추출부(16)는 건물명 저장부(15)에 저장된 복수 개의 건물명 중 위치획득부(14)에서 획득한 제1 위치좌표에 따른 제1 건물명과 제2 위치좌표에 따른 제2 건물명을 각각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S15).
건물명 추출부(16)는 건물명 저장부(15)에 저장된 각 건물명에 매칭된 건물위치좌표와 제1 위치좌표간의 거리 및 제2 위치좌표간의 거리를 각각 산출하며, 산출한 상기 제1 위치좌표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건물위치좌표와 매칭된 제1 건물명, 제2 위치좌표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건물위치좌표와 매칭된 제2 건물명을 각각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S15).
건물명 추출부(16)는 위치획득부(14)에서 획득한 제1 위치좌표와 제2 위치좌표의 좌표값단위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 개의 건물등급 중 어느 하나를 기준등급으로 설정하고 건물명 저장부(15)에 저장된 건물명 중 기준등급과 동일하거나 기준등급보다 높은 건물등급이 부여된 건물명을 추출하여 추출한 건물명에 매칭된 건물위치좌표와 제1 위치좌표 및 제2 위치좌표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건물명 추출부(16)는 위치좌표의 좌표값단위가 작을수록 기설정된 복수 개의 건물등급 중 높은 건물등급을 기준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건물등급은 등급이 높은 순으로 3, 2, 1로 미리 설정되어 있고, 위치좌표의 좌표값단위가 0.1, 0.01, 0.001 중 어느 하나일 경우 건물명 추출부(16)는 위치좌표의 좌표값단위가 0.1일 때 3을 기준등급으로 설정하고, 위치좌표의 좌표값단위가 0.01일 때 2을 기준등급으로 설정하며, 위치좌표의 좌표값단위가 0.001일 때 1을 기준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건물명 추출부(16)는 가상공간이 확대되어 표시될 때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건물명을 추출하고, 가상공간이 축소되어 표시될 때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큰 규모의 건물명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명 추출부(16)는 제1 위치좌표에 대해 추출한 제1 건물명에 기설정된 제1 식별자를 부여하고, 제2 위치좌표에 대해 추출한 제2 건물명에 기설정된 제2 식별자를 부여하여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S15).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는 각각 시점 및 종점에 대응하여 시점과 종점의 구분을 위해 미리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방향안내문자 생성부(17)는 건물명 추출부(16)에서 추출한 제1 건물명과 제2 건물명을 포함하는 방향안내문자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S19).
방향안내문자 생성부(17)는 제1 식별자 및 제2 식별자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영역을 포함하는 템플릿을 저장하고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입력영역에 제1 식별자가 부여된 제1 건물명을 입력하고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입력영역에 제2 식별자가 부여된 제2 건물명을 입력함에 따라 방향안내문자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S19).
즉, 방향안내문자 생성부(17)는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한 지점과 인접한 두 개의 건물명을 입력 방향에 따라 배치하여 표시하는 방향안내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어부(10)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수신한 시점 이후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대해 방향안내문자 생성부(17)에서 생성한 방향안내문자를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S21).
인터페이스 제어부(10)는 방향안내문자 생성부(17)에서 생성한 방향안내문자를 입력받아, 제1 식별자가 부여된 제1 건물명(211), 제2 식별자가 부여된 제2 건물명(213)을 포함하여 표시하는 방항안내문자(210)를 가상공간이 출력되는 화면(20)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S21).
본 발명에 따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10)는 위도 및 경도에 대응하는 실제 도로, 시설물이 표시되는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대응하는 건물의 건물명을 드래그 방향에 따라 배치한 방항안내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상공간 및 현실에서 이동시 접하게 되는 건물의 건물명을 이용해 사용자의 입력과 대응되는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시청, 백화점, 아트홀과 같이 사용자가 인식도가 높은 건물명을 이용해 가상공간의 위치를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의 공간 이해도를 높이고 가상공간 내의 길 찾기를 돕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11 : 사용자 인증부
12 : 가상공간 데이터베이스
13 : 인터페이스 제어부
14 : 위치획득부
15 : 건물명 저장부
16 : 건물명 추출부
17 : 방향안내문자 생성부

Claims (3)

  1. 각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도로, 시설물을 표시하기 위해 기설정된 가상공간을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로부터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수신되면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시작된 제1 지점에 대응되는 제1 위치좌표와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완료된 제2 지점에 대응되는 제2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획득부;
    각 건물에 대한 건물위치좌표가 매칭된 복수 개의 건물명을 저장하는 건물명 저장부;
    상기 건물명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 개의 건물명 중 상기 제1 위치좌표에 따른 제1 건물명과 상기 제2 위치좌표에 따른 제2 건물명을 각각 추출하는 건물명 추출부; 및
    상기 건물명 추출부에서 추출한 제1 건물명과 제2 건물명을 포함하는 방향안내문자를 생성하는 방향안내문자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방향안내문자를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
    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명 추출부는
    상기 건물명 저장부에 저장된 각 건물명에 매칭된 건물위치좌표와 상기 제1 위치좌표간의 거리 및 상기 제2 위치좌표간의 거리를 각각 산출하며, 산출한 상기 제1 위치좌표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건물위치좌표와 매칭된 제1 건물명, 상기 제2 위치좌표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건물위치좌표와 매칭된 제2 건물명을 각각 추출하는 것
    인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3. 각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도로, 시설물을 표시하기 위해 기설정된 가상공간데이터를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로부터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시작된 제1 지점에 대응되는 제1 위치좌표와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해제된 제2 지점에 대응되는 제2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각 건물에 대한 건물위치좌표와 매칭되어 기저장된 복수 개의 건물명 중 상기 제1 위치좌표에 따른 제1 건물명과 상기 제2 위치좌표에 따른 제2 건물명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건물명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한 제1 건물명과 제2 건물명을 포함하는 방향안내문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안내문자를 사용자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방법.
KR1020220148750A 2022-11-09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40067574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574A true KR20240067574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4376B (zh) 绘图接口中的上下文墨迹标注
EP3096207B1 (en) Display control method, data process apparatus, and program
US20070257903A1 (e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for displaying 3d geospatial images with reference markers and related methods
WO2015043620A1 (en)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s of interest in a view of a real environment on a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KR101732839B1 (ko) 컨텐츠 전달의 세그먼테이션
EP3090424A1 (en) Assigning virtual user interface to physical object
CN105637559A (zh) 使用深度传感器的结构建模
JP2012212345A (ja) 端末装置、オブジェクト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721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totyping too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40325418A1 (en) Automatically manipulating visualized data based on interactivity
US2014026738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892129B (zh) 创建三维外观的虚拟视差
KR20150067096A (ko) 애니메이션의 모션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2088801A (ja) 電子ブック装置、および電子ブックプログラム
RU2768526C2 (ru) Реальное присутствие рукописного ввода для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JP4589159B2 (ja) ラスタ地図検索装置
JP2022507502A (ja) 拡張現実(ar)のインプリント方法とシステム
CN110390703B (zh) 场馆座位图的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10271380A1 (en) Display device
KR20240067574A (ko) 주변 건물을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
JP5767371B1 (ja) 仮想空間平面上に配置したオブジェクトを表示制御するゲーム・プログラム
JP201908292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H08255221A (ja) 文字図形入力編集装置
Linares-Garcia et al. Framework and case studies for context-aware ar system (caars) for ubiquitous applications in the aec industry
KR20240067572A (ko) 이정표를 이용한 가상공간 내의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