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455A -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Heat exc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455A
KR20240067455A KR1020220148449A KR20220148449A KR20240067455A KR 20240067455 A KR20240067455 A KR 20240067455A KR 1020220148449 A KR1020220148449 A KR 1020220148449A KR 20220148449 A KR20220148449 A KR 20220148449A KR 20240067455 A KR20240067455 A KR 20240067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luid
core
heat exchanger
refrigeran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4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택
장준일
전우재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67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455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93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4Condense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와 유체가 출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매니폴드를 구비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 공수가 감소되고, 유체 출입구의 자유로운 위치 선정이 가능하며, 냉매 모듈로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pplied to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pplied to a vehicle. By providing a manifold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a fluid flows and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fluid enters and exits,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y man-hours are reduced, and the location of the fluid entrance and exit is freely selected, It relates to a heat exchanger that can improve assembly into a refrigerant module.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Heat exchanger{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와 유체가 출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매니폴드를 구비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 공수가 감소되고, 유체 출입구의 자유로운 위치 선정이 가능하며, 냉매 모듈로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pplied to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pplied to a vehicle. By providing a manifold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a fluid flows and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fluid enters and exits,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y man-hours are reduced, and the location of the fluid entrance and exit is freely selected, It relates to a heat exchanger that can improve assembly into a refrigerant modul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In general,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s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the vehicle interior by introducing air from outside the vehicle into the vehicle interior or heating or cooling the air in the vehicle interior during circulation.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An evaporator, a heater core for heating action, and air cooled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heater core are selectively blown to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using a door for switching the blowing mode.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51758호에는 판형 열교환기가 게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냉식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수냉식 열교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A plate-type heat exchanger has been published in the previously filed Korean Patent No. 10-1151758.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cooled heat exchanger, and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water-cooled heat exchang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수냉식 열교환기(9)는 다수의 플레이트(1)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일 측에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2) 및 냉매가 배출되는 냉매 배출구(3)가 형성됨과 아울러,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4)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구(5)가 형성된다. 다수의 플레이트(1)는 적층되어 내부에 냉매 유로 및 냉각수 유로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 conventional water-cooled heat exchanger (9) is made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 (1), and has a refrigerant inlet (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on one side and a refrigerant outlet (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In addition to the formation of 3), a coolant inlet 4 through which coolant flows in and a coolant outlet 5 through which coolant discharges are formed. A plurality of plates 1 are stacked to form a refrigerant flow path and a coolant flow path therein.

냉매 유입구(2)로 유입된 냉매는 플레이트(1)에 의해 형성되는 냉매 유로를 유동하여 냉매 배출구(3)로 배출됨으로써, 도 2와 같은 냉매 유동 경로(7)를 형성한다. 아울러, 냉각수 유입구(4)로 유입된 냉각수는 플레이트(1)에 의해 형성되는 냉각수 유로를 유동하여 냉각수 배출구(5)로 배출됨으로써, 도 2와 같은 냉각수 유동 경로(8)를 형성한다. 냉매 유동 경로(7)의 냉매와 냉각수 유동 경로(8)의 냉각수는 서로 열교환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2 flows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formed by the plate 1 and is discharged to the refrigerant outlet 3, thereby forming a refrigerant flow path 7 as shown in FIG. 2. In addition,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coolant inlet 4 flows through the coolant flow path formed by the plate 1 and is discharged to the coolant outlet 5, thereby forming the coolant flow path 8 as shown in FIG. 2. The refrigerant in the refrigerant flow path (7) and the coolant in the coolant flow path (8)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한편, 기존에는 판형 열교환기의 냉매/냉각수의 입구/출구가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이 상대 부품(예를 들어, AC 배관, 냉각수 호스 등)과 별도로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종래 판형 열교환기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열교환기(9)에 AC 배관(P1), 냉각수 호스(P2) 등이 각각 조립된다.Meanwhile, conventionally, the inlet/outlet of the refrigerant/coolant of the plate heat exchanger is configured separately and each is assembled separately from the other parts (for example, AC pipes, coolant hoses, etc.).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late heat exchanger. As shown, the AC pipe (P1), the coolant hose (P2), etc. are assembled to the plate heat exchanger (9).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냉매/냉각수 모듈화가 진행되면서, 여러 개의 AC 배관이 하나의 매니폴드로 구성되어 판형 열교환기와 조립되는 통합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통합 냉각 모듈은, 중심부의 냉매 매니폴드에 열교환기를 포함한 각각의 열교환 컴포넌트들, 예를들어, 칠러, 어큐뮬레이터 등이 장착 조립되어 하나의 통합 냉각 모듈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is regard, recently, as refrigerant/coolant modularization has progressed, an integrated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which multiple AC pipes are composed of one manifold and assembled with a plate heat exchanger. The integrated cooling module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heat exchange component, including a heat exchanger, such as a chiller and an accumulator, is mounted and assembled on a refrigerant manifold at the center to form one integrated cooling module.

이때, 종래 각각의 AC 배관을 판형 열교환기에 조립하는 것에는 큰 어려움이 없으나, 최근 매니폴더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부품 가공 공차 및 코어 제조 공차 등에 의해 열교환기를 매니폴더에 조립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At this time, conventionally,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assembling each AC pipe into a plate heat exchanger, but in recent cases where a manifold structure is applied, there is difficulty in assembling the heat exchanger into a manifold due to component processing tolerances, core manufacturing tolerances, etc. am.

한국 등록특허 제10-1151758호(2012.05.24. 등록)Korean Patent No. 10-1151758 (registered on May 24, 20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와 유체가 출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매니폴드를 구비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 공수가 감소되고, 유체 출입구의 자유로운 위치 선정이 가능하며, 냉매 모듈로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manifold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fluid enters and exits,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y man-hours are reduced, and the position of the fluid entrance is freely selec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eat exchanger that is possible and can improve assembling into a refrigerant module.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둘 이상의 유체가 열교환되도록 구성된 코어; 및 상기 둘 이상의 유체 각각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둘 이상의 유체 각각을 배출하는 출구와, 상기 둘 이상의 유체 각각이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 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코어의 플레이트와 면접촉할 수 있다.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configured to heat exchange two or more fluids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 and a manifol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each of the two or more fluids flows, an outlet through which each of the two or more fluids flows,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each of the two or more fluids flows, wherein at least one side of the manifold is formed with the core. You can make face-to-face contact with the plate.

상기 둘 이상의 유체는 제1 냉각유체와 제2 냉각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에는 상기 제1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제1 냉각유체 입구, 상기 제1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제1 냉각유체 출구, 상기 제2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제2 냉각유체 입구, 및 상기 제2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제2 냉각유체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two or more fluids include a first cooling fluid and a second cooling fluid, and the manifold includes a first cooling fluid inlet through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flows, a first cooling fluid outlet through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is discharged, A second cooling fluid inlet through which the second cooling fluid flows in, and a second cooling fluid outlet through which the second cooling fluid discharges may be formed.

상기 코어는 제1 코어와 제2 코어로 분리되고,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제1 코어와 제2 코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코어, 매니폴드, 및 제2 코어가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re is divided into a first core and a second core, and the manifold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so that the first core, the manifold, and the second core are stacked in order. It can be done.

상기 매니폴드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2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제2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1 냉각유체가 저장되는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manifold, there is a first cooling fluid channel through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flows, a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through which the second cooling fluid flows, and a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where the first cooling fluid is stored. This can be formed.

상기 제1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1 냉각유체 입구와 상기 제1 코어를 연결하는 제1,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1 냉각유체 출구와 상기 제2 코어를 연결하는 제2,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과 상기 제1 코어를 연결하는 제3,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과 상기 제2 코어를 연결하는 제4, 제1 냉각유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oling fluid channel includes a first cooling fluid channel connecting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and the first core, and a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connecting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and the second core. 1 cooling fluid channel, a third, first cooling fluid channel connecting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and the first core, and a fourth, connecting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core. 1 May include a cooling fluid channel.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은 상기 제1 냉각유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제1 냉각유체 채널들이 각각 갖는 체적보다 더 큰 체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may have a volume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first to fourth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so that the first cooling fluid can be temporarily stored.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내부의 이상(異狀) 상태의 제1 냉각유체에서 액상 제1 냉각유체가 중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이 중력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extend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so that the liquid first cooling fluid can be separated by gravity from the first cooling fluid in an abnormal state inside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It can be formed as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하부의 일 영역과 타 영역에 높이차를 형성하여 해당 일 영역이 타 영역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하부의 일 영역에 상기 제3, 제1 냉각유체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하부의 타 영역에 상기 제4, 제1 냉각유체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A height difference is formed between one area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and another area so that one area is higher than the other area, and in one area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the third, A first cooling fluid channel may be formed, and the fourth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may be formed in another area below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상기 제1,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제2, 제1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4, 제1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and the second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are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and the third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and the fourth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are located above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상기 제2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2 냉각유체 입구와 연결되는 제1, 제2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2 냉각유체 출구와 연결되는 제2, 제2 냉각유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connected to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and second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connected to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상기 제1, 제2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냉각유체 입구로부터 유입된 제2 냉각유체를 상기 제1 코어와 제2 코어로 분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제2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코어와 제2 코어로부터 유동된 제2 냉각유체를 상기 제2 냉각유체 출구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nd are configured to diverge the second cooling fluid flowing in from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to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 the second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nd are configured to flow the second cooling fluid flowing from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to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It can be.

상기 제1 냉각유체 입구와 제1 냉각유체 출구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and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may b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코어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의 탑플레이트에 적층 결합될 수 있다.The manifold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core and laminated and coupled to the top plate of the core.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제1 냉각유체 입구, 제1 냉각유체 출구, 제2 냉각유체 입구, 및 제2 냉각유체 출구가 형성되는 매니폴드 바디와, 평판인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일측에 상기 엔드 플레이트가 적층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nifold includes a manifold body in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are formed, and a flat end plate, and the manifold body The end plate may be laminated and bonded to one side of the structure.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2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제2 냉각유체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2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매니폴드 바디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냉각유체 채널의 관통된 일측과 상기 제2 냉각유체 채널의 관통된 일측은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Inside the manifold body, a cooling fluid channel through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flows and a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through which the second cooling fluid flows are formed, and the first cooling fluid channel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are formed. The channel is formed to penetrate the manifold body, and the penetrating side of the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and the penetrating side of the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may be closed by the end plate.

상기 제1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입구와 상기 코어의 제1 냉각유체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출구와 상기 코어의 제1 냉각유체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 제1 냉각유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oling fluid channel includes a first cooling fluid channel connecting a first cooling fluid inlet of the manifold body and a first cooling fluid inlet of the core, and a first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It may include second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connecting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of the core.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입구와 제1 냉각유체 출구는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제2, 제1 냉각유체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입구와 제1 냉각유체 출구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의 제1 냉각유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입구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이거나, 상기 코어의 제1 냉각유체 배출구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출구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and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and the second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is connected to the first cooling fluid channel of the manifold body. 1 It has a shape that extends long from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of the core to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of the manifold body so that the cooling fluid inlet and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can b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or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of the core It may be configured to extend long from the fluid outlet to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상기 제2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입구와 상기 코어의 제2 냉각유체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 제2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출구와 상기 코어의 제2 냉각유체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 제2 냉각유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includes first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connecting a second cooling fluid inlet of the manifold body and a second cooling fluid inlet of the core, and a second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It may include a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connecting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of the core.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입구와 제2 냉각유체 출구는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 냉각유체 채널과 제2, 제2 냉각유체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입구와 제2 냉각유체 출구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의 제2 냉각유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입구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이거나, 상기 코어의 제2 냉각유체 배출구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출구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and the second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of the manifold body. 2 It has a shape extending long from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of the core to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of the manifold body so that the cooling fluid inlet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can b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or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of the core. It may be configured to extend long from the fluid outlet to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상기 제1 냉각유체 입구, 제1 냉각유체 출구, 제2 냉각유체 입구, 및 제2 냉각유체 출구는 각각 상기 코어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may each be formed to fac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ates of the core are stacked.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와 유체가 출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매니폴드를 구비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 공수가 감소되고, 유체 출입구의 자유로운 위치 선정이 가능하며, 냉매 모듈로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anifold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fluid enters and exits,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y man-hours are reduced, the fluid entrance and exit can be freely selected, and assembly into a refrigerant module is improved. It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수냉식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냉식 열교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판형 열교환기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매니폴드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매니폴드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매니폴드의 타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매니폴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열교환기의 내부의 유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서 매니폴드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열교환기의 내부의 유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cooled heat exchanger.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water-cooled heat exchanger.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late heat exchanger.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nifold in Figure 4 separated.
Figure 7 is a view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ure 6.
Figure 8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manifold.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the manifold.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anifold.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uid flow inside the heat exchanger of FIG. 4.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 12.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nifold in Figure 12 separated.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4.
FIG.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uid flow inside the heat exchanger of FIG. 1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우선,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판형 열교환기에 해당한다. 판형 열교환기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둘 이상의 유체(예를 들어, 냉매와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수냉식 열교환기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응축기(컨덴서)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코어로 이루어지거나, 제1 코어와 제2 코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제1 코어는 응축부의 기능을 담당하고, 제2 코어는 과냉부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판형 열교환기나 응축기에 관한 일반적인 구조나 작동 원리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First, th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plate-type heat exchanger. A plate heat exchanger consists of a plurality of plates stacked together to exchange heat between two or more fluids (for example, refrigerant and cooling water), and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water-cooled heat exchanger. Th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denser, and may be composed of one core, as described later, or may be composed of a first core and a second core, where the first core takes charge of the function of the condenser, and the second core functions as a condenser. The core may function as a subcooling section. The general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s of plate heat exchangers and condensers are the same as previously discus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열교환기(10)는 크게 코어(100)와 매니폴드(200)를 포함한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 4. The heat exchang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core 100 and a manifold 200. Includes.

코어(100)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둘 이상의 유체가 열교환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100)는 복수의 플레이트들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되며, 적층된 플레이트들 사이로 냉매와 냉각수가 교번하여 유동되도록 구성되어 냉매와 냉각수간 열교환이 일어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둘 이상의 유체는 제1 냉각유체와 제2 냉각유체를 포함하며, 제1 냉각유체는 냉매이고, 제2 냉각유체는 냉각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냉각유체가 냉매이고, 제2 냉각유체가 냉각수인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core 1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tes stacked so that two or more fluids exchange heat. More specifically, the core 100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 and is configured to alternately flow refrigerant and coolant between the stacked plates, so that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the refrigerant and coolan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or more fluids include a first cooling fluid and a second cooling fluid, the first cooling fluid may be a refrigerant,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may be a coolan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first cooling fluid is a refrigerant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is a coolant.

코어(100)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와, 냉매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 유로와, 냉매 채널을 유동하면서 열교환된 냉매가 배출되는 냉매 배출구가 형성되고, 이와 함께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와, 냉각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유로와, 냉각수 유로를 유동하면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구가 형성된다.The core 100 is formed with a refrigerant inle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 refrigerant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refrigerant inlet flows, and a refrigerant outle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while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nt channel is discharged, along with the coolant into which the coolant flows. An inlet, a coolan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ing in from the coolant inlet flows, and a coolant outlet through which the coolant that has exchanged heat while flowing through the coolant flow path are discharged are formed.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코어에 냉매/냉각수 입구/출구가 플랜지나 파이프 형태로 별도로 구성되는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는 패키지 및 부품수 증가 등의 문제가 있고, 동시에 이러한 독립형 입구/출구로는 냉매 모듈의 냉매 매니폴드와의 연결에 있어 조립 공차 수준을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매니폴드 구성을 채택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Meanwhile, conventionally, the refrigerant/coolant inlet/outlet of this core is separate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lange or pipe, but as seen above, this ha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ckages and parts, and at the same time, these independent inlets/outlets are used for the refrigerant module. There is a problem in satisfying the assembly tolerance level when connecting to the refrigerant manifol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by adopting a manifold configuration.

도 6은 도 4에서 매니폴드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을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매니폴드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매니폴드의 타 측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니폴드(200)는 전체적으로 판상 형태로 구성되며, 코어(100)에 적층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매니폴드(200)는 코어(100)에 접합되어 코어(10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nifold separated from FIG. 4, FIG. 7 is a view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 6, FIG. 8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manifold, and FIG. 9 is a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the manifol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anifol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tirely composed of a plate shape and has a structure that is laminated and coupled to the core 100. The manifold 200 may be joined to the core 100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re 100.

매니폴드(200)는 대략 사각형 형태의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는 매니폴드 바디(210)와, 매니폴드 바디(210)에 형성되는 냉매 입구(RI), 냉매 출구(RO), 냉각수 입구(CI), 및 냉각수 출구(CO)를 포함한다. 냉매 입구(RI)는 매니폴드(200)로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이고, 냉매 출구(RO)는 매니폴드(200)로부터 외부로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이고, 냉각수 입구(CI)는 매니폴드(200)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이고, 냉각수 출구(CO)는 매니폴드(200)로부터 외부로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에 해당한다. 매니폴드(200)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 채널(RC)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채널(CC)이 형성되며, 냉매 채널(RC)은 냉매 입구(RI) 및 냉매 출구(RO)와 연결되고, 냉각수 채널(CC)은 냉각수 입구(CI) 및 냉각수 출구(CO)와 연결된다.The manifold 200 includes a manifold body 210 formed in an approximately square frame structure, a refrigerant inlet (RI), a refrigerant outlet (RO), and a coolant inlet (CI) formed in the manifold body 210, and a coolant outlet (CO). The refrigerant inlet (RI) is an inlet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into the manifold 200, the refrigerant outlet (RO) is an outlet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manifold 200 to the outside, and the coolant inlet (CI) is an inlet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into the manifold 200. ) is the inlet through which coolant flows, and the coolant outlet (CO) corresponds to the outlet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manifold 200 to the outsid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side the manifold 200, a refrigerant channel (RC)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a coolant channel (CC)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are formed, and the refrigerant channel (RC) has a refrigerant inlet (RI) and a refrigerant outlet (RO). ), and the coolant channel (CC) is connected to the coolant inlet (CI) and the coolant outlet (CO).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되는 냉매/냉각수 채널과 유체가 출입되는 냉매/냉각수 입구/출구가 형성된 매니폴드 구성을 채택함에 따라, 종래 별도로 구성되는 플랜지나 파이프 구성을 삭제하여 패키징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수 및 조립 공수를 감소시키며, 높은 치수 공차 수준을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manifold configuration in which a refrigerant/coolant channel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a refrigerant/coolant inlet/outlet through which fluid enters and exits are formed, thereby improving packaging efficiency by eliminating the conventionally separately configured flange or pipe configuration. , reduces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y man-hours, and can have a high level of dimensional tolera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 대해 살펴본다. 도 4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낸 도면이다.Below, we will look at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11 are diagrams showing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5를 다시 참조하면, 본 예의 코어(100)는 제1 코어(101)와 제2 코어(102)로 분리되고, 매니폴드(200)는 제1 코어(101)와 제2 코어(102) 사이에 개재된다. 즉, 본 예의 열교환기(10)는 제1 코어(101), 매니폴드(200), 제2 코어(102)가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Referring again to FIGS. 4 and 5, the core 100 of this example is divided into a first core 101 and a second core 102, and the manifold 200 is divided into a first core 101 and a second core ( 102). That is, the heat exchanger 10 of this exampl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re 101, the manifold 200, and the second core 102 are stacked in that order.

도 10은 매니폴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매니폴드(200)의 일측에 제1 코어(101)의 적층 방향 단부의 플레이트(101_P)가 적층 결합되고, 매니폴드(200)의 타측에 제2 코어(102)의 적층 방향 단부의 플레이트(102_P)가 적층 결합된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매 채널(RC), 냉각수 채널(CC), 및 냉매 저장공간(RR)은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개방된 일측 또는 양측이 제1 코어(101)와 제2 코어(102)의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어, 그 사이에서 완전한 유로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anifold, in which the plate 101_P at the end of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first core 101 is stack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nifold 200, and the plate 101_P is stacked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nifold 200. The plates 102_P at the ends of the two cores 102 in the stacking direction are stacked and joined. At this tim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efrigerant channel (RC), the coolant channel (CC), and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ar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side is open, and one or both sides of the open side is the first core 101. and the plate of the second core 102, so that a complete flow path and space can be formed between them.

여기서, 제1 코어(101)는 응축부에 해당하고, 제2 코어(102)는 과냉부에 해당할 수 있다. 응축부는 코어 중, 기상의 냉매가 코어 내부로 유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되면서 냉각되어 액상 냉매로 전환되는 영역에 해당하며, 과냉부는 코어 중, 응측부를 지난 액상 냉매가 냉각수와 열교환되면서 과냉각되는 영역에 해당한다.Here, the first core 101 may correspond to the condensation section, and the second core 102 may correspond to the supercooling section. The condensation part corresponds to the area in the core where the gaseous refrigerant flows into the core and exchanges heat with the coolant, cooling and converting into liquid refrigerant. The supercooling part is the area in the core where the liquid refrigerant that passed through the condensation part is supercooled as it exchanges heat with the coolant. It applies.

도 6, 7을 다시 참조하면, 본 예의 매니폴드(200)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 채널(RC)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채널(CC)과, 냉매가 저장되는 냉매 저장공간(RR)이 형성된다.Referring again to FIGS. 6 and 7, the inside of the manifold 200 of this example includes a refrigerant channel (RC)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 coolant channel (CC)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and a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where the refrigerant is stored. ) is formed.

냉매 채널(RC)은, 냉매 입구(RI)와 제1 코어(101)를 연결하는 제1 냉매 채널(RC-1)과, 냉매 출구(RO)와 제2 코어(102)를 연결하는 제2 냉매 채널(RC-2)과, 냉매 저장공간(RR)과 제1 코어(101)를 연결하는 제3 냉매 채널(RC)과, 냉매 저장공간(RR)과 제2 코어(102)를 연결하는 제4 냉매 채널(RC-4)을 포함한다.The refrigerant channel (RC) is a first refrigerant channel (RC-1) connecting the refrigerant inlet (RI) and the first core 101, and a second refrigerant channel connecting the refrigerant outlet (RO) and the second core 102. A third refrigerant channel (RC) connecting the refrigerant channel (RC-2),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and the first core 101, and a third refrigerant channel (RC) connecting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and the second core 102. It includes a fourth refrigerant channel (RC-4).

냉매 저장공간(RR)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매니폴드(200)의 중앙 부분에는 커다란 중공 형태의 냉매 저장공간(RR)이 형성되어 해당 공간에 냉매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냉매 저장 공간(RR)은 냉매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 냉매 채널(RC-1, RC-2, RC-3, RC-4)들이 각각 갖는 체적보다 더 큰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냉매 저장공간(RR)의 내부의 이상 상태의 냉매, 즉, 제2 코어(102)인 응측부를 지나 응축된 냉매 중 기상 또는 액상 상태의 냉매에서 액상 냉매를 중력에 의해 분리할 수 있도록, 냉매 저장공간(RR)이 중력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종래 열교환기에 별물로 구비되는 리시버 탱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매니폴드에 해당 기능이 통합됨에 따라 종래의 리시버 탱크를 삭제할 수 있게 되어 부품수와 크기 및 조립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is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vertically. More specifically, a large hollow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manifold 200, so that refrigerant can be stored in the space. That is,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has a volume larger than the volume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refrigerant channels (RC-1, RC-2, RC-3, and RC-4) so that the refrigerant can be temporarily stored. You can have it. At this time, so that the liquid refrigerant can be separated by gravity from the refrigerant in an abnormal state inside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that is, the refrigerant in a gaseous or liquid state among the refrigerant condensed past the condensation portion, which is the second core 102,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is performs the function of a receiver tank that is provided separately in a conventional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unction is integrated into the manifold, the conventional receiver tank can be delet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size, and assembly man-hours. There will be.

보다 구체적으로, 도 6, 7을 참조하면, 냉매 저장공간(RR)의 하부의 일 영역과 타 영역에 높이차를 형성하여 해당 일 영역이 타 영역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해당 일 영역에 제3 냉매 채널(RC)이 형성되고, 해당 타 영역에 제4 냉매 채널(R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냉매 채널(RC-1)과 제2 냉매 채널(RC-2)은 냉매 저장공간(RR)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3 냉매 채널(RC-3)과 제4 냉매 채널(RC-4)은 냉매 저장공간(RR)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6 and 7, a height difference is formed between one region of the lower part of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and another region, so that one region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other region, and a third region is formed in that region. A refrigerant channel (RC) may be formed, and a fourth refrigerant channel (RC) may be formed in the other area. And, the first refrigerant channel (RC-1) and the second refrigerant channel (RC-2) are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and the third refrigerant channel (RC-3) and the fourth refrigerant channel (RC- 4)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그리고, 이러한 구조에 기초하여, 냉매 입구(RI)와 냉매 출구(RO)는 근접하게 배치된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입구(RI)와 냉매 출구(RO)는 모두 매니폴드(200)의 측면의 상부에 위치하여 서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And, based on this structure, the refrigerant inlet (RI) and the refrigerant outlet (RO)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Referring again to FIG. 8 , as shown, the refrigerant inlet (RI) and the refrigerant outlet (RO) are both located at the top of the side of the manifold 200 and may b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어의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에 제약 받지 않고 매니폴드(200)를 이용하여 냉매 입구(RI)와 냉매 출구(RO)의 위치와 방향을 자유로이 설계할 수 있어 유리한 방향 및 위치 선정이 용이하며, 바람직한 예로서 매니폴드(200)에 냉매 입구(RI)와 냉매 출구(RO)를 근접 배치함에 따라, 추후 냉매 매니폴드와 결합하여 냉매 모듈을 구성할 경우, 가공 공정으로 제작된 냉매 매니폴드의 블록 플랜지와의 결합에 있어서 공차 관리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and directions of the refrigerant inlet (RI) and refrigerant outlet (RO) can be freely designed using the manifold 200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refrigerant inlet and refrigerant outlet of the core,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ous direction and position. It is easy to select, and as a preferred example, the refrigerant inlet (RI) and refrigerant outlet (RO) are placed close to the manifold 200, so when forming a refrigerant module by combining it with the refrigerant manifold in the future, the refrigerant module manufactured through the processing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in tolerance management in combination with the block flange of the refrigerant manifold.

냉각수 채널(CC)은, 냉각수 입구(CI)와 연결되는 제1 냉각수 채널(CC-1)과, 냉각수 출구(CO)와 연결되는 제2 냉각수 채널(CC-2)을 포함하며, 제1 냉각수 채널(CC-1)은 제1 코어(101) 및 제2 코어(102)와 연결되어 냉각수 입구(CI)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제1 코어(101)와 제2 코어(102)로 분기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 냉각수 채널(CC-2)은 제1 코어(101) 및 제2 코어(102)와 연결되어 제1 코어(101)와 제2 코어(102)로부터 유동된 냉각수를 냉각수 출구(CO)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된다.The coolant channel (CC) includes a first coolant channel (CC-1) connected to the coolant inlet (CI) and a second coolant channel (CC-2) connected to the coolant outlet (CO). The channel (CC-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re 101 and the second core 102 to divert the coolant flowing in from the coolant inlet (CI) to the first core 101 and the second core 102. It is configured, and the second coolant channel (CC-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re 101 and the second core 102 to direct the coolant flowing from the first core 101 and the second core 102 to the coolant outlet ( It is configured to flow with CO).

도 11은 도 4의 열교환기의 내부의 유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예의 열교환기(10)의 냉매 채널(RC), 냉각수 채널(CC), 및 냉매 저장공간(RR)이 상술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열교환기(10) 내에서 냉매 회로와 냉각수 회로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uid flow inside the heat exchanger of FIG. 4, and the refrigerant channel (RC), coolant channel (CC), and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of the heat exchanger 10 of this example are 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structure, the refrigerant circuit and coolant circuit within the heat exchanger 10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냉매의 경우, 냉매 입구(RI)를 통해 외부에서 냉매가 유입되고, 냉매 입구(RI)로 유입된 냉매는 제1 냉매 채널(RC-1)을 통해 제2 코어(102)인 응축부로 유동되고, 제2 코어(102)의 냉매 유로를 통해 응축부를 유동하며 응축된 냉매는 제3 냉매 채널(RC-3)을 통해 냉매 저장공간(RR)으로 유동되고, 냉매 저장공간(RR)으로 유동된 냉매는 중력에 의해 냉매 저장공간(RR)의 하부로 이동되되, 냉매 저장공간(RR)의 하부에 형성된 높이차 구조에 의해 기액이 분리되어 액상 냉매만이 분리되게 되고, 분리된 액상 냉매는 제4 냉매 채널(RC-4)을 통해 제1 코어(101)인 과냉부로 유동되고, 제1 코어(101)의 냉매 유로를 통해 과냉부를 유동하며 과냉된 냉매는 제2 냉매 채널(RC-2)을 통해 냉매 출구(RO)로 유동되며, 냉매 출구(RO)로 유동된 냉매는 냉매 출구(RO)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flows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RI),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RI) flows into the condensation portion, which is the second core 102,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channel (RC-1). , the condensed portion flows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of the second core 102, and the condensed refrigerant flows into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through the third refrigerant channel (RC-3), and flows into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The refrigerant is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by gravity, but the gas and liquid are separated by the height difference structu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frigerant storage space (RR), so that only the liquid refrigerant is separated, and the separated liquid refrigerant is 4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subcooled part of the first core 101 through the refrigerant channel (RC-4), flows into the subcooled part through the refrigerant passage of the first core 101, and the supercooled refrigerant flows into the second refrigerant channel (RC-2). flows to the refrigerant outlet (RO), and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RO)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RO).

냉각수의 경우, 냉각수 입구(CI)를 통해 외부에서 냉각수가 유입되고, 냉각수 입구(CI)로 유입된 냉각수는 제1 냉각수 채널(CC)을 통해 제1 코어(101)와 제2 코어(102)로 분기되고, 제1 코어(101)와 제2 코어(102)로 분기되어 유입된 냉각수는 각각 제1 코어(101)의 냉각수 유로와 제2 코어(102)의 냉각수 유로를 유동한 뒤 제2 냉각수 채널(CC)을 통해 냉각수 출구(CO)로 유동되며, 냉각수 출구(CO)로 유동된 냉매는 냉각수 출구(CO)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In the case of coolant, coolant flows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olant inlet (CI), and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coolant inlet (CI) flows into the first core 101 and the second core 102 through the first coolant channel (CC). and the coolant branched and introduced into the first core 101 and the second core 102 flows through the coolant flow path of the first core 101 and the coolant flow path of the second core 102, respectively, and then flows through the coolant flow path of the first core 101 and the second core 102, respectively. It flows through the coolant channel (CC) to the coolant outlet (CO), and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olant outlet (CO)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olant outlet (CO).

이와 같이, 본 예의 열교환기(10)는 냉매 및 냉각수 순환 경로를 제공하는 매니폴드(200)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종래 열교환기에 필요한 플랜지나 파이프 등의 냉매/냉각수 입출구, 호스나 파이프와 같은 별도의 연결 부품, 및 리시버 탱크 등을 삭제할 수 있어 패키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냉매/냉각수 입출구의 위치와 방향을 자유로이 선정할 수 있게 되어 냉매 모듈의 냉매 매니폴드와의 연결성을 향상하고 높은 조립 공차 수준을 만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heat exchanger 10 of this example adopts a manifold 200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 refrigerant and coolant circulation path, so that the refrigerant/coolant inlet and outlet, such as flanges and pipes, and separate hoses and pipes, are required for conventional heat exchangers. Packaging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connection parts and receiver tanks, and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refrigerant/coolant inlet/outlet can be freely selected, improving connectivity with the refrigerant manifold of the refrigerant module and maintaining a high level of assembly tolerance. can be satisf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 대해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로서, 본 예는, 매니폴드(200)가 코어(100)의 플레이트들의 적층방향 단부에 배치되어 코어(100)의 탑플레이트(100_T)에 적층 결합되도록 구성된다.Below, we will look at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view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 12. In this example, the manifold 20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lates of the core 100 in the stacking direction. It is arranged and configured to be stacked and coupled to the top plate 100_T of the core 100.

즉, 앞의 예는 코어(100)에 응축부와 과냉부가 분리 형성되는 경우 그 사이에 매니폴드(200)가 개재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예는 코어(100)에 과냉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매니폴드(200)가 코어(10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코어(100)의 탑플레이트(100_T)는 코어(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들 중 최상부에 위치한 플레이트이거나, 또는 코어(10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들과는 다른 별도의 플레이트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매니폴드(200)는 이와 같은 코어(100)의 탑플레이트(100_T)에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예의 코어(100)는 응축부로 기능하며, 과냉부는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열교환기에서 담당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vious example, when the condensing part and the subcooling part are formed separately in the core 100, the manifold 200 is interposed between them. However, in this example, the subcooling part may not be formed in the core 100, Accordingly, the manifold 200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core 100. The top plate 100_T of the core 100 may be a plate located at the top of a plurality of plates constituting the core 100, or may correspond to a separate plate different from the plates constituting the core 100. And the manifold 200 can be connected to the top plate 100_T of the core 100. Meanwhile, the core 100 in this example functions as a condensing unit, and the subcooling unit can be handled by a heat exchanger separately provided outside.

도 14는 도 12에서 매니폴드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으로서, 본 예의 매니폴드(200)는 매니폴드 바디(210)와 엔드 플레이트(220)를 포함한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nifold in FIG. 12 separated, and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4. The manifold 200 of this example includes a manifold body 210 and an end plate 220.

매니폴드 바디(210)에는 냉매 입구(RI), 냉매 출구(RO), 냉각수 입구(CI), 및 냉각수 출구(CO)가 형성되며, 엔드 플레이트(220)는 일면과 타면이 편평한 평판으로서, 매니폴드(200)의 일측에 적층 결합된다. 매니폴드 바디(210)와 엔드 플레이트(220)는 서로 접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A refrigerant inlet (RI), a refrigerant outlet (RO), a coolant inlet (CI), and a coolant outlet (CO) are formed in the manifold body 210, and the end plate 220 is a flat plate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is formed on the manifold body 210. It is laminat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ld (200). The manifold body 210 and the end plate 220 may be joined together to form an integrated body.

매니폴드 바디(210)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 채널(RC)과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채널(CC)이 형성된다. 이때 냉매 채널(RC)과 냉각수 채널(CC)은 각각 매니폴드 바디(210)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냉매 채널(RC)의 관통된 일측과 냉각수 채널(CC)의 관통된 일측은 엔드 플레이트(220)에 의해 폐쇄되고, 냉매 채널(RC)의 관통된 타측과 냉각수 채널(CC)의 관통된 타측은 코어(100)의 탑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어, 완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manifold body 210, a refrigerant channel (RC)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and a coolant channel (CC) through which coolant flows are formed.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channel (RC) and the coolant channel (CC) are each formed in a structure that vertically penetrates the manifold body 210, and one pierced side of the refrigerant channel (RC) and one pierced side of the coolant channel (CC) are It is closed by the end plate 220, and the other penetrated side of the refrigerant channel (RC) and the other penetrated side of the coolant channel (CC) are closed by the top plate of the core 100, so that a complete flow path can be formed.

본 예에서 매니폴드 바디(210)의 냉매 입구(RI)와 냉매 출구(RO)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2, 13을 다시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 바디(210)의 냉매 입구(RI)와 냉매 출구(RO)는 모두 매니폴드(200)의 측면의 상부에 위치하여 서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냉매 입구(RI)와 냉매 출구(RO)가 근접하게 배치됨에 따른 이점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In this example, the refrigerant inlet (RI) and the refrigerant outlet (RO) of the manifold body 210 may b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Referring again to FIGS. 12 and 13, as shown, the refrigerant inlet (RI) and refrigerant outlet (RO) of the manifold body 210 are both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ide of the manifold 200 and ar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You can. The advantages of having the refrigerant inlet (RI) and refrigerant outlet (RO) placed close to each other are as discussed above.

도 14, 15를 다시 참조하면, 제1 냉매 채널(RC)과 제2 냉매 채널(RC) 중 적어도 하나는 매니폴드 바디(210)의 냉매 입구(RI)와 냉매 출구(RO)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코어(100)의 냉매 유입구로부터 매니폴드 바디(210)의 냉매 입구(RI)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거나, 코어(100)의 냉매 배출구로부터 매니폴드 바디(210)의 냉매 출구(RO)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은 제2 냉매 채널(RC)이 길게 연장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Referring again to FIGS. 14 and 15,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efrigerant channel (RC) and the second refrigerant channel (RC), the refrigerant inlet (RI) and refrigerant outlet (RO) of the manifold body 210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extend long from the refrigerant inlet of the core 100 to the refrigerant inlet (RI) of the manifold body 210, or from the refrigerant outlet of the core 100 to the refrigerant outlet of the manifold body 210. It may be configured as a long extension to (RO). The drawing shows a case where the second refrigerant channel RC is formed to extend long.

냉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냉각수 또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4, 15를 다시 참조하면, 냉각수 채널(CC)은, 매니폴드 바디(210)의 냉각수 입구(CI)와 코어(100)의 냉각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 냉각수 채널(CC)과, 매니폴드 바디(210)의 냉각수 출구(CO)와 코어(100)의 냉각수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 냉각수 채널(CC)을 포함하며, 매니폴드 바디(210)의 냉각수 입구(CI)와 냉각수 출구(CO)는 근접하게 배치되고, 제1 냉각수 채널(CC)과 제2 냉각수 채널(CC) 중 적어도 하나는 매니폴드 바디(210)의 냉각수 입구(CI)와 냉각수 출구(CO)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코어(100)의 냉각수 유입구로부터 매니폴드 바디(210)의 냉각수 입구(CI)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거나, 코어(100)의 냉각수 배출구로부터 매니폴드 바디(210)의 냉각수 출구(CO)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은 제2 냉각수 채널(CC)이 길게 연장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As in the case of refrigerant, coolant may also have the same structure. That is, referring again to FIGS. 14 and 15, the coolant channel (CC) includes a first coolant channel (CC) connecting the coolant inlet (CI) of the manifold body 210 and the coolant inlet of the core 100, It includes a second coolant channel (CC) connecting the coolant outlet (CO) of the manifold body 210 and the coolant outlet of the core 100, and the coolant inlet (CI) and the coolant outlet ( CO) is disposed in close proximity,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oolant channel (CC) and the second coolant channel (CC) is disposed close to the coolant inlet (CI) and coolant outlet (CO) of the manifold body 210. It is configured to extend long from the coolant inlet of the core 100 to the coolant inlet (CI) of the manifold body 210, or from the coolant outlet of the core 100 to the coolant outlet of the manifold body 210 ( CO) may be configured to extend long. The drawing shows a case where the second coolant channel (CC) is formed to extend long.

도 16은 도 12의 열교환기의 내부의 유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예의 열교환기(10)의 냉매 채널(RC), 및 냉각수 채널(CC)이 상술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열교환기(10) 내에서 냉매 회로와 냉각수 회로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FIG. 1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uid flow inside the heat exchanger of FIG. 12. As the refrigerant channel (RC) and coolant channel (CC) of the heat exchanger 10 of this example hav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eat exchange The refrigerant circuit and the coolant circuit within the machine 10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냉매의 경우, 냉매 입구(RI)를 통해 외부에서 냉매가 유입되고, 냉매 입구(RI)로 유입된 냉매는 매니폴드(200)의 제1 냉매 채널(RC-1)을 통해 코어(100)의 냉매 유입구로 유동되고, 코어(100)의 냉매 유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코어(100)의 냉매 유입구를 통해 코어(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코어(100)의 냉매 유로를 순한한 뒤 코어(100)의 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매니폴드(200)의 제2 냉매 채널(RC-2)로 유동되고, 제2 냉매 채널(RC-2)로 유동된 냉매는 제2 냉매 채널(RC-2)을 통해 냉매 출구(RO)로 유동되며, 냉매 출구(RO)로 유동된 냉매는 냉매 출구(RO)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flows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RI),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RI) enters the core 100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channel (RC-1) of the manifold 200.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and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of the core 100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core 100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of the core 100, purifies the refrigerant flow path of the core 100, and then flows into the refrigerant inlet of the core 100. )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and flows into the second refrigerant channel (RC-2) of the manifold 200,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econd refrigerant channel (RC-2)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refrigerant channel (RC-2). flows to the refrigerant outlet (RO), and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RO)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RO).

냉각수의 경우, 냉각수 입구(CI)를 통해 외부에서 냉각수가 유입되고, 냉각수 입구(RI)로 유입된 냉각수는 매니폴드(200)의 제1 냉각수 채널(CC-1)을 통해 코어(100)의 냉각수 유입구로 유동되고, 코어(100)의 냉각수 유입구로 유입된 냉각수는 코어(100)의 냉각수 유입구를 통해 코어(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코어(100)의 냉각수 유로를 순한한 뒤 코어(100)의 냉각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매니폴드(200)의 제2 냉각수 채널(CC-2)로 유동되고, 제2 냉각수 채널(RC-2)로 유동된 냉각수는 제2 냉각수 채널(CC-2)을 통해 냉각수 출구(CO)로 유동되며, 냉각수 출구(CO)로 유동된 냉매는 냉각수 출구(CO)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In the case of coolant, coolant flows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olant inlet (CI), and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coolant inlet (RI) flows into the core 100 through the first coolant channel (CC-1) of the manifold 200. The coolant flows into the coolant inlet and flows into the coolant inlet of the core 100,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core 100 through the coolant inlet of the core 100, purifies the coolant flow path of the core 100, and then flows into the coolant inlet of the core 100. ) is discharged through the coolant outlet and flows into the second coolant channel (CC-2) of the manifold 200, and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second coolant channel (RC-2) flows into the second coolant channel (CC-2) flows to the coolant outlet (CO), and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olant outlet (CO)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olant outlet (CO).

본 예의 열교환기(10)는 코어(100)에 과냉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적용 가능한 실시예로서, 매니폴드(200)가 코어(100)의 탑플레이트(100_T)에 구비되는 경우의 최적화된 매니폴드(200) 구조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패키징성 및 연결성 향상 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The heat exchanger 10 of this example is an embodiment applicable when no supercoo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ore 100, and is an optimized manifold when the manifold 200 is provided on the top plate 100_T of the core 100. As seen above, it provides a fold 200 structure, which can provide advantages such as improved packaging and connectivity.

또한, 제1, 제2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매니폴드 바디(210)에 형성되는 냉매 입구(RI), 냉매 출구(RO), 냉각수 입구(CI), 및 냉각수 출구(CO)는 각각 코어(100)보다 외측으로 소정 돌출된 형태의 플랜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 구조는 냉매 모듈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연결성 향상 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 입구(RI), 냉매 출구(RO), 냉각수 입구(RI), 및 냉각수 출구(RO)는 각각 코어(100)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 열교환기의 경우 냉매/냉각수 출입구가 코어의 탑플레이트에 적층방향으로 형성되는 것과 비교하여 출입구의 방향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commo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refrigerant inlet (RI), refrigerant outlet (RO), coolant inlet (CI), and coolant outlet (CO) formed in the manifold body 210 are each core ( 100) It may be made of a flange structure that protrudes outward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is protruding structure can provide advantages such as improved connectivity when constructing a refrigerant module. In addition, the coolant inlet (RI), coolant outlet (RO), coolant inlet (RI), and coolant outlet (RO) may each be formed to fac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ates of the core 100 are stacked,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reely select the direction of the inlet/outle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eat exchanger where the refrigerant/coolant inlet/outlet is form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n the top plate of the core.

나아가,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서, 상술한 열교환기(10)와 냉매 매니폴드(200)를 포함하는 냉매 모듈을 더 제공한다.Furthermore,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refrigerant module including the heat exchanger 10 and the refrigerant manifold 200 described above.

냉매 매니폴드(200)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며 각종 열교환 컴포넌트가 장착 결합되는 구조물로서, 이러한 냉매 매니폴드(200)에 상술한 열교환기(10) 및 다른 각종 열교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팽창 밸브, 칠러 등)이 장착 결합되어 냉매 모듈이 통합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열교환기(10)는 이와 같은 냉매 모듈을 구성하는 것에 있어 최적화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열교환기(10)를 이용하여 냉매 모듈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refrigerant manifold 200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various heat exchange components are mounted and coupled. The heat exchanger 10 and other various heat exchange components (e.g., expansion, valves, chillers, etc.) can be installed and combined to form an integrated refrigerant module. That is, the heat exchang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optimized structure for constructing such a refrigerant module, and a refrigerant module can be easily constructed using the heat exchang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exis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열교환기
100: 코어
101: 제1 코어
102: 제2 코어
200: 매니폴드
210: 매니폴드 바디
220: 엔드 플레이트
RI: 매니폴드의 냉매 입구
RO: 매니폴드의 냉매 출구
CI: 매니폴드의 냉각수 입구
CO: 매니폴드의 냉각수 출구
RC: 냉매 채널
CC: 냉각수 채널
RR: 냉매 저장공간
10: heat exchanger
100: Core
101: first core
102: second core
200: Manifold
210: Manifold body
220: End plate
RI: Refrigerant inlet to manifold
RO: Refrigerant outlet of manifold
CI: Coolant inlet to manifold
CO: Coolant outlet of manifold
RC: Refrigerant channel
CC: Coolant channel
RR: Refrigerant storage space

Claims (20)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둘 이상의 유체가 열교환되도록 구성된 코어; 및
상기 둘 이상의 유체 각각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둘 이상의 유체 각각을 배출하는 출구와, 상기 둘 이상의 유체 각각이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 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코어의 플레이트와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A co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tes stacked to exchange heat between two or more fluids; and
It includes a manifol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each of the two or more fluids flows, an outlet through which each of the two or more fluids flows,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each of the two or more fluids flow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anifold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late of the core,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유체는 제1 냉각유체와 제2 냉각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에는
상기 제1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제1 냉각유체 입구, 상기 제1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제1 냉각유체 출구, 상기 제2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제2 냉각유체 입구, 및 상기 제2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제2 냉각유체 출구가 형성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wo or more fluids include a first cooling fluid and a second cooling fluid,
In the manifold,
A first cooling fluid inlet through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flows, a first cooling fluid outlet through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flows out, a second cooling fluid inlet through which the second cooling fluid flows in, and a second cooling fluid through which the second cooling fluid flows out. A second cooling fluid outlet is formed,
heat exchang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제1 코어와 제2 코어로 분리되고,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제1 코어와 제2 코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코어, 매니폴드, 및 제2 코어가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re is separated into a first core and a second core,
The manifold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re, the manifold, and the second core are stacked in order,
heat exchang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2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제2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1 냉각유체가 저장되는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paragraph 3,
Inside the manifold,
A first cooling fluid channel through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flows,
a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through which the second cooling fluid flows;
A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in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is stored is formed,
heat exchang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1 냉각유체 입구와 상기 제1 코어를 연결하는 제1,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1 냉각유체 출구와 상기 제2 코어를 연결하는 제2,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과 상기 제1 코어를 연결하는 제3,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과 상기 제2 코어를 연결하는 제4, 제1 냉각유체 채널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irst cooling fluid channel includes a first cooling fluid channel connecting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and the first core, and a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connecting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and the second core. 1 cooling fluid channel, a third, first cooling fluid channel connecting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and the first core, and a fourth, connecting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core. 1 comprising a cooling fluid channel,
heat exchang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은 상기 제1 냉각유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제1 냉각유체 채널들이 각각 갖는 체적보다 더 큰 체적을 갖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has a volume larger than the volume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so that the first cooling fluid can be temporarily stored,
heat exchang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내부의 이상(異狀) 상태의 제1 냉각유체에서 액상 제1 냉각유체가 중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이 중력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clause 5,
So that the liquid first cooling fluid can be separated by gravity from the first cooling fluid in an abnormal state inside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is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heat exchang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하부의 일 영역과 타 영역에 높이차를 형성하여 해당 일 영역이 타 영역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하부의 일 영역에 상기 제3, 제1 냉각유체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하부의 타 영역에 상기 제4, 제1 냉각유체 채널이 형성되는
열교환기.
In clause 7,
A height difference is formed between one area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and another area, so that one area is higher than the other area,
The third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are formed in a lower area of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The fourth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are formed in another area below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heat exchang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제2, 제1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4, 제1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1 냉각유체 저장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열교환기.
In clause 7,
The first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and the second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are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The third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and the fourth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s are located below the first cooling fluid storage space,
heat exchang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2 냉각유체 입구와 연결되는 제1, 제2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2 냉각유체 출구와 연결되는 제2, 제2 냉각유체 채널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includes first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connected to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and second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connected to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heat exchang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냉각유체 입구로부터 유입된 제2 냉각유체를 상기 제1 코어와 제2 코어로 분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제2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코어와 제2 코어로부터 유동된 제2 냉각유체를 상기 제2 냉각유체 출구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clause 10,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nd are configured to diverge the second cooling fluid flowing in from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to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
The second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nd are configured to flow the second cooling fluid flowing from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to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
heat exchang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유체 입구와 제1 냉각유체 출구는 근접하게 배치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and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heat exchang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코어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어의 탑플레이트에 적층 결합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manifold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core and laminated and coupled to the top plate of the core.
heat exchang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제1 냉각유체 입구, 제1 냉각유체 출구, 제2 냉각유체 입구, 및 제2 냉각유체 출구가 형성되는 매니폴드 바디와, 평판인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일측에 상기 엔드 플레이트가 적층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clause 13,
The manifold includes a manifold body in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a first cooling fluid outlet, a second cooling fluid inlet, and a second cooling fluid outlet are formed, and a flat end plate,
Consisting of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plate is laminat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nifold body,
heat exchang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2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제2 냉각유체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제2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매니폴드 바디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냉각유체 채널의 관통된 일측과 상기 제2 냉각유체 채널의 관통된 일측은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clause 14,
Inside the manifold body, a cooling fluid channel through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flows and a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through which the second cooling fluid flows are formed,
The first cooling fluid channel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are formed in a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manifold body,
One pierced side of the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and the pierced one side of the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are closed by the end plate,
heat exchang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입구와 상기 코어의 제1 냉각유체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출구와 상기 코어의 제1 냉각유체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 제1 냉각유체 채널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clause 15,
The first cooling fluid channel includes a first cooling fluid channel connecting a first cooling fluid inlet of the manifold body and a first cooling fluid inlet of the core, and a first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And a second a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 connecting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of the core,
heat exchang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입구와 제1 냉각유체 출구는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제1 냉각유체 채널과 제2, 제1 냉각유체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입구와 제1 냉각유체 출구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의 제1 냉각유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입구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이거나,
상기 코어의 제1 냉각유체 배출구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1 냉각유체 출구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clause 16,
A first cooling fluid inlet and a first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first cooling fluid channel and the second, first cooling fluid channel is such that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and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It has a shape that extends long from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of the core to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of the manifold body,
Configured to extend long from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of the core to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heat exchang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유체 채널은,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입구와 상기 코어의 제2 냉각유체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 제2 냉각유체 채널과,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출구와 상기 코어의 제2 냉각유체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 제2 냉각유체 채널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clause 15,
The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includes first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connecting a second cooling fluid inlet of the manifold body and a second cooling fluid inlet of the core, and a second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And a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connecting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of the core,
heat exchang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입구와 제2 냉각유체 출구는 근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 냉각유체 채널과 제2, 제2 냉각유체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입구와 제2 냉각유체 출구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의 제2 냉각유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입구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이거나,
상기 코어의 제2 냉각유체 배출구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바디의 제2 냉각유체 출구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clause 18,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fluid channels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channel is such that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It is in a long form extending from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of the core to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of the manifold body, or
It is configured to extend long from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of the core to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of the manifold body,
heat exchang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유체 입구, 제1 냉각유체 출구, 제2 냉각유체 입구, 및 제2 냉각유체 출구는 각각 상기 코어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열교환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cooling fluid inlet, the first cooling fluid outlet, the second cooling fluid inlet,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outlet are each formed to fac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ates of the core are stacked,
heat exchanger.
KR1020220148449A 2022-11-09 Heat exchanger KR20240067455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455A true KR20240067455A (en)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7262B2 (en) Laminate heat exchanger
KR101830169B1 (en) Refrigerant evaporator
WO2015178005A1 (en) Stacked heat exchanger
KR20170079223A (en) Water cooled condenser of integrated type
JP6722242B2 (en) Condenser
JP2018025389A (en) Condenser with refrigerant supply for air-conditioning circuit
JP4254015B2 (en) Heat exchanger
WO2008072730A1 (en) Compound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JP2006329511A (en) Heat exchanger
JP2014055736A (en) Heat exchanger
JP2008170140A (en) Heat exchanger for vehicle
KR102653244B1 (en) Condenser
WO2021010421A1 (en) Heat exchanger
KR102439432B1 (en) Cooling module for hybrid vehicle
KR102653343B1 (en) Condenser
KR20240067455A (en) Heat exchanger
KR101353394B1 (en) Integrated heat exchanger, front end module, and heat exchange system
KR102653331B1 (en) Condenser
JP4328425B2 (en) Stacked heat exchanger
CN111981876A (en) Plate type heat exchanger
KR20180085458A (en) Water cooled condenser
WO2016067551A1 (en) Stacked heat exchanger
KR102131158B1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101144262B1 (en) Condenser
CN210741194U (en) Plate type heat excha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