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390A - Check valve - Google Patents

Check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390A
KR20240067390A KR1020220148302A KR20220148302A KR20240067390A KR 20240067390 A KR20240067390 A KR 20240067390A KR 1020220148302 A KR1020220148302 A KR 1020220148302A KR 20220148302 A KR20220148302 A KR 20220148302A KR 20240067390 A KR20240067390 A KR 20240067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heck valve
fluid
plung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순기
여순록
김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원에스티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원에스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원에스티씨
Publication of KR2024006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390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1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16K15/02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Abstract

체크 밸브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는, 하단에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출구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의 하단 내부에 삽입된 채, 상기 코어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유로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고, 상기 코어의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유로로 밀착되어 폐쇄되는 코어 시트; 및 상기 코어의 하단 하부에 배치된 채, 상기 코어 시트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바디와의 틈새를 통해 상기 유체 출구로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eck valve is activated. A check val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body including a fluid outlet at the bottom for discharging fluid; a core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While inserted inside the bottom of the core, whe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of the core, it is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of the core and opens, and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of the core to stop. A core sheet that close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ssage of the core when used; and a plunger dispos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re and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fluid outlet through a gap with the body when the core sheet is opened.

Description

체크 밸브{CHECK VALVE }Check valve{CHECK VALVE}

아래의 실시예들은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examples below relate to check valves.

일반적으로 공기를 포함하는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다른 방향의 흐름을 저지하는 부품을 체크 밸브(Check valve)라 한다.In general, a part that allows fluid containing air to flow in only one direction and blocks flow in the other direction is called a check valve.

이러한 체크 밸브는 기 설정된 압력의 유체를 공급하는 각종 부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se check valv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parts that supply fluid at a preset pressure.

기존의 체크 밸브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 한국 등록특허 제10-2428302호에 따르면, 기존의 체크 밸브는 바디(Body)인 본체, 플런저(Plunger), 플런저와 맞닿는 코어(Core)에 해당되는 개폐단을 포함하는 구조의 체크 밸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2428302, which discloses technology for the existing check valve, the existing check valve consists of a body, a plunger, and a core that contacts the plunger. A check valve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 closed end is disclosed.

그러나 기존의 체크 밸브는, 플런저가 상승 또는 하강 운동하며 유체를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개폐단과 플런저가 직접적으로 맞부딪혀 소음이 발생되는 채터링(Chattering) 현상의 단점을 갖는다.However, the existing check valve has the disadvantage of a chattering phenomenon in which noise is generate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ends directly collide with the plunger while the plunger moves upward or downward and introduces fluid.

이에,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의 체크 밸브가 제안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pose a check valve structured to prevent chattering.

일 실시예들은 코어로 인한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하고자,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코어 시트가 플런저와 맞닿는 코어의 하단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의 체크 밸브를 제안한다.One embodiment proposes a check valve in which a core shee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core in contact with the plunger in order to prevent chattering caused by the core and achieve miniaturization.

이 때, 일 실시예들은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압력을 갖는 유체의 유입 및 유입 중지에 응답하여 개폐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코어 시트를 제안한다.At this time, one embodiment proposes a core sheet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open and close in response to the inflow and cessation of inflow of fluid having a pressure within a preset range.

또한, 일 실시예들은 플런저가 상승 운동하며 바디의 배출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플런저의 상단에 접촉된 탄성체에 의해 코어 시트가 폐쇄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의 체크 밸브를 제안한다.Additionally, one embodiment proposes a check valve structured to prevent the core seat from being closed by an elastic body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plunger while the plunger moves upward and opens the outlet of the body.

또한, 일 실시예들은 플런저로 인한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고자 플런저의 하단을 감싸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플런저 시트를 포함하는 구조의 체크 밸브를 제안한다.Additionally, one embodiment proposes a check valve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 plunger seat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surrounding the bottom of the plunger to prevent chattering caused by the plunger.

또한, 일 실시예들은 동작 과정에서 코어 및 바디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의 체크 밸브를 제안한다.Additionally, one embodiment proposes a check valve structured to prevent the core and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during operation.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과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s,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크 밸브는, 하단에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출구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에 하단이 삽입된 채, 상기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의 하단 내부에 삽입된 채, 상기 코어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유로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고, 상기 코어의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유로로 밀착되어 폐쇄되는 코어 시트; 및 상기 코어의 하단 하부에 배치된 채, 상기 코어 시트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바디와의 틈새를 통해 상기 유체 출구로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heck valve includes a body including a fluid outlet for discharging fluid at the bottom; a core having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While inserted inside the bottom of the core, whe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of the core, it is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of the core and opens, and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of the core to stop. A core sheet that close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ssage of the core when used; and a plunger dispos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re and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fluid outlet through a gap with the body when the core sheet is opened.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코어 시트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상기 코어의 유로의 직경보다 큰 오목한 중심부와 돌출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형상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core sheet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n a shape including a concave center and a protruding edge port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assage of the core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코어 시트는, 상기 코어의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하부에 접촉된 코어 시트 탄성체에 의해 상기 코어의 유로로 밀착되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re shee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luid stops flowing through the passage of the core, the passage of the core is closely adhered and closed by the core sheet elastic body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there is.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는, 상기 코어의 하단 하부에 배치된 채, 상승 운동을 통해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단에 접촉된 플런저 탄성체에 의해 하강 운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lunger, whil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ore, opens the outlet included in the body through an upward movement, and closes the outlet through a downward movement by the plunger elastic body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It can be characterized as: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 탄성체는, 상기 코어 시트와 접촉되지 않기 위하여, 상기 코어 시트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코어의 하단 내부 공간보다 큰 직경을 가진 채, 상기 플런저의 상단 외면을 감싸며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lunger elastic body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space at the bottom of the core into which the core sheet is inserted, and is made to surround and contact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so as not to contact the core sheet.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arranged.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의 하단을 감싼 채, 상기 배출구와 맞닿는 플런저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lunger may further include a plunger sheet surrounding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and in contact with the outlet.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코어 시트가 폐쇄되도록 상기 코어의 유로로 밀착하는 것과, 상기 플런저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하강 운동하는 것은, 공통의 탄성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re shee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ssage of the core to close it and the plunger moves downward to close the outlet may be achieved by a common elastic body.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바디의 상단 및 상기 코어의 하단을 감싸며 결합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heck valve may further include a frame that surrounds and couples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the lower end of the core.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바디의 상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바디 상단 이탈 방지 돌기를 통해 상기 바디의 상단을 고정하며 결합하고, 상기 코어의 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코어 하단 이탈 방지 돌기를 통해 상기 코어의 하단을 고정하며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side, the frame is coupled by fixing the top of the body through a body top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that prevents the top of the body from coming off, and prevents the bottom of the core from coming off. It may be characterized by fixing and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core through a protrusion.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코어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되는 펌프 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heck valve may further include a pump body coupled to the top of the frame and surrounding the top of the core.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코어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링 형상의 홈과 상기 펌프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누출 방지용 O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heck valv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ing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ring-shaped groove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core and the pump body. You can.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펌프 바디와 결합된 채, 상기 펌프 바디에 의해 감싸며 결합된 상기 코어의 상단을 상기 펌프 바디의 외면에 형성된 관통 홈을 통해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side, the check valve is coupled to the pump body, and further includes a stopper that secures the upper end of the core surrounded and coupled by the pump body through a through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ump body. It can be characterized as: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코어의 하단을 감싸며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코어의 상단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opper may be characterized by fixing the top of the cor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surrounds the bottom of the core and is coupled.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어의 상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코어 상단 이탈 방지 돌기를 통해 상기 코어의 상단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opper may be characterized by fixing the top of the core through a core top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that prevents the top of the core from coming off.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코어의 하단 외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링 형상의 홈과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 누출 방지용 O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heck valve may further include an O-ring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disposed between the body and at least one ring-shaped groove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cor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크 밸브는, 하단에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출구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에 하단이 삽입된 채, 상기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의 하단 내부에 삽입된 채, 상기 코어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유로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고, 상기 코어의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유로로 밀착되어 폐쇄되는 코어 시트; 및 상기 코어의 하단 하부에 배치된 채, 상기 코어 시트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바디와의 틈새를 통해 상기 유체 출구로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시트는, 상기 코어의 하단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코어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heck valve includes a body including a fluid outlet at the bottom for discharging fluid; a core having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While inserted inside the bottom of the core, whe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of the core, it is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of the core and opens, and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of the core to stop. A core sheet that close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ssage of the core when used; and a plunger disposed below the bottom of the core and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fluid outlet through a gap with the body when the core sheet is opened, wherein the core sheet is located inside the bottom of the core. As it is inserted,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integrated with the core.

일 실시예들은 코어로 인한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하고자,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코어 시트가 플런저와 맞닿는 코어의 하단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의 체크 밸브를 제안할 수 있다.One embodiment may propose a check valve in which a core shee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core in contact with the plunger in order to prevent chattering caused by the core and achieve miniaturization.

이 때, 일 실시예들은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압력을 갖는 유체의 유입 및 유입 중지에 응답하여 개폐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코어 시트를 제안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mbodiment may propose a core sheet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open and close in response to the inflow and cessation of inflow of fluid having a pressure within a preset range.

또한, 일 실시예들은 플런저가 상승 운동하며 바디의 배출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플런저의 상단에 접촉된 탄성체에 의해 코어 시트가 폐쇄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의 체크 밸브를 제안할 수 있다.Additionally, one embodiment may propose a check valve structured to prevent the core seat from being closed by an elastic body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plunger while the plunger moves upward and opens the outlet of the body.

또한, 일 실시예들은 플런저로 인한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고자 플런저의 하단을 감싸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플런저 시트를 포함하는 구조의 체크 밸브를 제안할 수 있다.Additionally, one embodiment may propose a check valve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 plunger seat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surrounding the bottom of the plunger to prevent chattering caused by the plunger.

또한, 일 실시예들은 동작 과정에서 코어 및 바디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의 체크 밸브를 제안할 수 있다.Additionally, one embodiment may propose a check valve structured to prevent the core and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during operation.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바디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코어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코어 시트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코어 시트를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 4a의 400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코어 시트 탄성체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플런저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플런저 탄성체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플런저 시트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프레임을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프레임의 코어 하단 이탈 방지 돌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 9a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프레임의 바디 상단 이탈 방지 돌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 9a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펌프 바디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코어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누출 방지용 O 링을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스토퍼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스토퍼의 코어 상단 이탈 방지 돌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 12a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에서 코어 시트 탄성체가 생략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체크 밸브에서 코어 시트가 포함되는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에서 플런저 탄성체가 배출구를 폐쇄하는 역할에 더해 코어 시트를 폐쇄하는 역할도 담당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체크 밸브에서 코어 시트가 포함되는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구조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구조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구조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eck valve with components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eck valve with its components disassemb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view emphasizing the body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FIG. 3 is a view emphasizing the core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FIG. 4A is a view emphasizing the core sheet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FIG. 4B is an enlarged view of area 400 in FIG. 4A to explain the core sheet shown in FIG. 4A.
FIG. 5 is a view emphasizing the core sheet elastic body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FIG. 6 is a view emphasizing the plunger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FIG. 7 is a view emphasizing the plunger elastic body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FIG. 8 is a view emphasizing the plunger seat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FIG. 9A is a view emphasizing the frame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FIG. 9B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ial area of FIG. 9A to explain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at the bottom of the core of the frame shown in FIG. 9A.
FIG. 9C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ial area of FIG. 9A to explain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at the top of the body of the frame shown in FIG. 9A.
FIG. 10 is a view emphasizing the pump body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FIG. 11 is a view emphasizing at least one O-ring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of the core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FIG. 12A is a view emphasizing the stopper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FIG. 12B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ial area of FIG. 12A to explain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at the top of the core of the stopper shown in FIG. 12A.
Figure 13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including the core sheet in the check valve to expla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re sheet elastic body is omitted in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including the core seat in the check valve to expla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plunger elastic body plays the role of closing the core seat in addition to closing the discharge port in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m.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eck valve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A to 12B.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eck valve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13.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eck valve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 14.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Additional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term used to appropriately expres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viewer, operator, or customs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For example,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dditionally,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a referenc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that includes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시된 각각의 실시예 범주에서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배치, 또는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arrangement, or configuration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presented embodiment category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들에서는 체크 밸브가 설명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check valve is described.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바디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코어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는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코어 시트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코어 시트를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 4a의 400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코어 시트 탄성체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플런저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플런저 탄성체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플런저 시트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9a는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프레임을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프레임의 코어 하단 이탈 방지 돌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 9a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프레임의 바디 상단 이탈 방지 돌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 9a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펌프 바디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코어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누출 방지용 O 링을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a는 도 1a 내지 1b에 도시된 체크 밸브에 포함되는 스토퍼를 강조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스토퍼의 코어 상단 이탈 방지 돌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 12a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에서 코어 시트 탄성체가 생략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체크 밸브에서 코어 시트가 포함되는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에서 플런저 탄성체가 배출구를 폐쇄하는 역할에 더해 코어 시트를 폐쇄하는 역할도 담당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체크 밸브에서 코어 시트가 포함되는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구조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구조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구조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eck valve with components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eck valve with components dis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FIG. 1A to 1B is a diagram emphasizing the body included in the check valve, Figure 3 is a diagram emphasizing the core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ures 1A to 1B, and Figure 4A is a diagram emphasizing the body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ures 1A to 1B. It is a drawing emphasizing the core sheet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1b, and Figure 4b is an enlarged drawing of area 400 in Figure 4a to explain the core sheet shown in Figure 4a, and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400 in Figure 4a. It is a diagram emphasizing the core sheet elastic body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and FIG. 6 is a diagram emphasizing the plunger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and FIG. 7 is a diagram emphasizing It is a drawing emphasizing the plunger elastic body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and FIG. 8 is a drawing emphasizing the plunger seat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and FIG. 9A is a drawing showing the emphasis. It is a view emphasizing the frame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and FIG. 9B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ial area of FIG. 9A to explain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at the bottom of the core of the frame shown in FIG. 9A. 9C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ial area of FIG. 9A to explain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at the top of the body of the frame shown in FIG. 9A, and FIG. 10 is a pump body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is a drawing emphasizing, and FIG. 11 is a drawing emphasizing at least one O-ring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of the core included in the check valve shown in FIGS. 1A to 1B, and FIG. 12A is shown in FIGS. 1A to 1B. It is a drawing emphasizing the stopper included in the check valve, and FIG. 12b is an enlarged drawing of a partial area of FIG. 12a to explain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at the top of the core of the stopper shown in FIG. 12a, and FIG. 13 is a drawing In order to expla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re sheet elastic body is omitted in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containing the core seat in the check valve is shown, and Figure 14 shows the outlet of the plunger elastic body in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order to explain the structure that plays the role of closing the core sheet in addition to the role of closing, it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containing the core sheet in the check valve, and Figure 15 is a diagram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s 1A to 12B.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eck valve.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eck valve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13,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eck valve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14.

도면들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100)는 바디(110), 코어(120), 코어 시트(130) 및 플런저(140)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가운데, 후술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heck valv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ssentially includes a body 110, a core 120, a core seat 130, and a plunger 140, and further includes other components described later. It may have a structure that includes

바디(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공기를 포함하는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출구(111) 및 배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에 코어(120) 및 플런저(140)가 포함되도록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ody 100 may include a fluid outlet 111 and an outlet 112 at the bottom for discharging fluid containing air, and has a core 120 and a plunger 140 therein. It may have an empty structure inside so that it contains .

코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상단에 하단이 삽입된 채,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21) 및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12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core 120 may include an inlet 121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a flow path 122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with the lower end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0 .

코어 시트(13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20)의 하단 내부에 삽입된 채, 코어(120)의 유입구(121)로부터 유로(122)를 통과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코어(120)의 유로(122)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고, 코어(120)의 유로(122)를 통과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코어(120)의 유로(122)로 밀착되어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re sheet 13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core 120 as shown in FIG. 4A, and when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122 from the inlet 121 of the core 120, the core ( It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and open from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and to be cl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when fluid stops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there is.

코어(120)의 유로(122)를 통과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코어 시트(130)가 코어(120)의 유로(122)로 밀착되어 폐쇄되는 것은, 코어 시트(130)의 하부에 접촉된 코어 시트 탄성체(13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fluid stops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the core sheet 130 is tightly closed to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which means that the bottom of the core sheet 130 This may be achieved by contacting the core sheet elastic body 131.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코어(120)의 유로(122)를 통과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코어 시트(130)가 코어(120)의 유로(122)로 밀착되어 폐쇄되는 것은, 코어(120)의 유로(122)의 압력 또는 플런저(140)와 바디(110)와의 틈새 사이의 압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시트 탄성체(131)는 생략될 수 있다.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or limited thereto, when the fluid stops flowing through the passage 122 of the core 120, the core sheet 130 is closely adhered to and closed by the passage 122 of the core 120, This may be achieved by the pressure of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or the pressure between the gap between the plunger 140 and the body 11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3, the core sheet elastic body 131 may be omitted.

또한, 코어(120)의 유로(122)를 통과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코어 시트(130)가 코어(120)의 유로(122)로 밀착되어 폐쇄되는 것은, 플런저(140)가 배출구(112)를 폐쇄하도록 하강 운동시키는 플런저 탄성체(14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어 시트(130)가 폐쇄되도록 코어(120)의 유로(122)로 밀착하는 것과 플런저(140)가 배출구(112)를 폐쇄하도록 하강 운동하는 것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의 탄성체인 플런저 탄성체(141)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uid stops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the core sheet 13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and closes, which means that the plunger 140 is connected to the outlet port. This may be achieved by the plunger elastic body 141 moving downward to close (112).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4, the core sheet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ssage 122 of the core 120 and the plunger 140 moves downward to close the outlet 112, as shown in FIG. 14. It can be achieved by one plunger elastic body 141.

이하, 도 13에 도시된 구조 및 도 14에 도시된 구조는, 도 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구조와 모두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나, 코어 시트 탄성체(131)가 포함되지 않는 점, 이로 인해 플런저(140)가 상단 내부에 코어 시트 탄성체(131)의 하단이 삽입되기 위한 홈을 생략한 구조를 갖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구조는 도 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구조와 달리 플런저 탄성체(141)가 코어 시트(130)의 하부에 접촉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shown in FIG. 13 and the structure shown in FIG. 14 include all the same components as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A to 12B, but the core sheet elastic body 131 is not included, which causes the plunger (140) is differentiat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that omits the groove for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core sheet elastic body 131 inside the upper end. Additionally, the structure shown in FIG. 14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A to 12B in that the plunger elastic body 141 contacts the lower part of the core sheet 130.

이 때, 코어 시트(130)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압력을 갖는 유체의 유입 및 유입 중지에 응답하여 개폐가 용이하도록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20)의 유로(122)의 직경보다 큰 오목한 중심부와 돌출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형상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코어 시트(130)는 코어(120)의 유로(122)를 통과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압력을 갖는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개방되고, 코어(120)의 유로(122)를 통과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코어 시트 탄성체(131), 내부 압력(코어(120)의 유로(122)의 압력 또는 플런저(140)와 바디(110)와의 틈새 사이의 압력), 또는 플런저(140)가 배출구(112)를 폐쇄하도록 하강 운동시키는 플런저 탄성체(141)에 의해 코어(120)의 유로(122)에 밀착될 수 있도록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20)의 유로(122)의 직경보다 큰 오목한 중심부와 돌출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형상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re sheet 130 has a concave shap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as shown in Figure 4b,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in response to the inflow and cessation of inflow of fluid having a pressure within a preset range. It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n a shape including a center and protruding edges. For example, the core sheet 130 opens when fluid having a pressure within a preset range flows through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and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When the inflow is stopped, the core sheet elastic body 131, the internal pressure (pressure of the passage 122 of the core 120 or the pressure between the gap between the plunger 140 and the body 110), or the plunger 140 As shown in FIG. 4B,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so that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by the plunger elastic body 141 that moves downward to close the outlet 112. It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n a shape including a large concave center and protruding edges.

이처럼 코어 시트(130)가 탄성 재질로 코어(120)의 하단 내부에 삽입되며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체크 밸브(100)는 코어(120)로 인한 채터링 현상(코어(120)와 플런저(140)가 맞닿으며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As the core sheet 13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core 120 and is formed as one piece, the check valve 100 has a chattering phenomenon caused by the core 120 (the core 120 and the plunger 140). ) can be prevented and miniaturization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또한, 코어 시트(130)는 설명된 바와 같이 코어(120)의 유로(122)의 직경보다 큰 오목한 중심부와 돌출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압력을 갖는 유체의 유입 및 유입 중지에 응답하여 개폐가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the core sheet 130 is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concave central part and a protruding edge par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thereby allowing the inflow of fluid with a pressure within a preset range and Opening and closing may be facilitated in response to cessation of inflow.

코어 시트 탄성체(13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플런저(140)의 상단 내부에 형성된 홈에 하단이 삽입된 채, 상단이 코어 시트(130)의 하부와 접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upper end of the core sheet elastic body 131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upper e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core sheet 130. .

플런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20)의 하단 하부에 배치된 채, 코어 시트(130)가 개방되는 경우 바디(110)와의 틈새를 통해 유체 출구(111)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lunger 140 is dispos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re 120, and when the core sheet 130 is opened, the plunger 140 flows fluid to the fluid outlet 111 through the gap with the body 110. can be discharged.

또한, 플런저(140)는 상승 운동을 통해 바디(110)에 포함되는 배출구(112)를 개방하고, 상단에 접촉된 플런저 탄성체(141)에 의해 하강 운동하여 배출구(112)를 폐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lunger 140 may open the outlet 112 included in the body 110 through an upward movement, and may close the outlet 112 through a downward movement by the plunger elastic body 141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플런저 탄성체(141)는 도 4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시트(130)와 접촉되지 않기 위하여 코어 시트(130)가 삽입되어 있는 코어(120)의 하단 내부 공간보다 큰 직경을 가진 채, 플런저(140)의 상단 외면을 감싸며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B and 7, the plunger elastic body 141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space at the bottom of the core 120 where the core sheet 130 is inserted so as not to contact the core sheet 130, It may be arranged to surround and contact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140.

이와 같이 플런저 탄성체(141)는 코어 시트(130)가 삽입되어 있는 코어(120)의 하단 내부 공간보다 큰 직경을 갖게 됨에 따라, 코어 시트(13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140)가 상승 운동하며 바디(110)의 배출구(112)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플런저 탄성체(141)에 의해 코어 시트(130)가 폐쇄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plunger elastic body 141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space at the bottom of the core 120 into which the core sheet 130 is inserted, so it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re sheet 130. Accordingly, while the plunger 140 moves upward and opens the outlet 112 of the body 110, the core sheet 130 may not be closed by the plunger elastic body 141.

다만, 도 14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 플런저 탄성체(141)는 코어 시트(130)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코어 시트(130)가 폐쇄되도록 코어(120)의 유로(122)로 밀착하는 것과 플런저(140)가 배출구(112)를 폐쇄하도록 하강 운동하는 것이 공통의 탄성체인 플런저 탄성체(141)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14, the plunger elastic body 141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lower part of the core sheet 130. This means that the plunger elastic body 141, which is a common elastic body, adheres closely to the passage 122 of the core 120 so that the core sheet 130 is closed and moves downward so that the plunger 140 closes the outlet 112. This is to make it happen.

플런저(140)는 플런저(140)로 인한 채터링 현상(플런저(140)와 바디(110)가 맞닿으며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40)의 하단을 감싼 채 배출구(112)와 맞닿는 플런저 시트(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런저(140)는 하강 운동 시 플런저 시트(142)를 통해 배출구(112)를 폐쇄할 수 있으며, 상승 운동 시 플런저 시트(142)를 배출구(112)로부터 분리하여 배출구(112)를 개방할 수 있다.The plunger 14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nger 140 as shown in FIG. 8 in order to prevent chattering phenomenon (a phenomenon in which noise is generated when the plunger 140 and the body 110 come into contact) caused by the plunger 140. It may further include a plunger sheet 142 in contact with the outlet 112 while surrounding the . That is, the plunger 140 can close the outlet 112 through the plunger sheet 142 when it moves downward, and when it moves upward, the outlet 112 can be opened by separating the plunger sheet 142 from the outlet 112. You can.

설명된 코어(120) 및 바디(110)는 프레임(15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일례로, 프레임(150)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상단 및 코어(120)의 하단을 감싸며 결합될 수 있다.The described core 120 and body 110 may be surrounded by a frame 150. For example, the frame 15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core 120, as shown in FIG. 9A.

여기서, 프레임(150)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20)의 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코어 하단 이탈 방지 돌기(151)를 통해 코어(120)의 하단을 고정하며 결합하고,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의 상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바디 상단 이탈 방지 돌기(152)를 통해 바디(110)의 상단을 고정하며 결합할 수 있다.Here, the frame 15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ore 120 by fixing it through the core bottom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51 that prevents the bottom of the core 120 from coming off, as shown in FIG. 9B, and as shown in FIG. 9C. As shown, the top of the body 110 can be fixed and coupled through the body top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52, which prevents the top of the body 110 from coming off.

또한, 체크 밸브(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50)의 상부에서 코어(120)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되는 펌프 바디(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eck valve 100 may further include a pump body 160 coupled to the top of the frame 150 by surrounding the top of the core 120, as shown in FIG. 10.

이 때, 펌프 바디(160)와 코어(120)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링 형상의 홈 사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체 누출 방지용 O 링(123)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어(120)의 하단 외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링 형상의 홈과 바디(110) 사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누출 방지용 O 링(124)이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1, at least one O-ring 123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mp body 160 and at least one ring-shaped groove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core 120. . Additionally, an O-ring 124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110 and at least one ring-shaped groove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core 120, as shown in FIG. 11.

또한, 체크 밸브(100)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바디(160)와 결합된 채, 펌프 바디(160)에 의해 감싸며 결합된 코어(120)의 상단을 펌프 바디(160)의 외면에 형성된 관통 홈을 통해 고정하는 스토퍼(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eck valve 100 is coupled to the pump body 160, as shown in FIG. 12A, and the upper end of the core 120 coupled to the pump body 16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ump body 160. 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70 fixed through a through groove formed in .

여기서, 스토퍼(170)는, 프레임(150)이 코어(120)의 하단을 감싸며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코어(120)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스토퍼(170) 역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20)의 상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코어 상단 이탈 방지 돌기(171)를 통해 코어(120)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다.Here, the stopper 170 may secure the top of the core 1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15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ore 120. Like the frame, the stopper 170 can also fix the top of the core 120 through the core top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71 that prevents the top of the core 120 from coming off, as shown in FIG. 12B.

이상 설명된 코어 시트 탄성체(131)가 포함되는 구조의 체크 밸브(100)의 단면은 도 15와 같으며, 코어 시트 탄성체(131)가 생략된 구조의 체크 밸브(100)의 단면은 도 16과 같다. 또한, 플런저 탄성체(141)가 배출구(121)를 폐쇄하는 역할에 더해 코어 시트(130)를 폐쇄하는 역할도 담당하는 구조의 체크 밸브(100)의 단면은 도 17과 같다.The cross section of the check valve 100 with the structure including the core sheet elastic body 131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ure 15,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check valve 100 with the structure omitted from the core sheet elastic body 131 is shown in Figure 16. same. In addition, the cross-section of the check valve 100 in which the plunger elastic body 141 plays a role of closing the core seat 130 in addition to closing the outlet 121 is shown in FIG. 17.

이상 설명된 구조의 체크 밸브(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우선, 코어(120)의 유로(122)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기 시작하면 코어 시트(130)가 코어(120)의 유로(122)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될 수 있다. 플런저(140)는 코어 시트(130)가 개방됨에 따라 바디(110)와의 틈새를 통해 유체 출구(111)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유체의 배출이 완료되어 코어(120)의 유로(122)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면, 코어 시트(130)는 코어 시트 탄성체(131), 내부 압력(코어(120)의 유로(122)의 압력 또는 플런저(140)와 바디(110)와의 틈새 사이의 압력), 또는 플런저(140)가 배출구(112)를 폐쇄하도록 하강 운동시키는 플런저 탄성체(141)에 의해 코어(120)의 유로(122)로 밀착되어 폐쇄될 수 있다.The check valve 100 of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may operate as follows. First, when fluid begins to flow through the passage 122 of the core 120, the core sheet 130 may be separated from the passage 122 of the core 120 and opened. As the core sheet 130 is opened, the plunger 140 may discharge fluid to the fluid outlet 111 through a gap with the body 110. When the discharge of the fluid is completed and the fluid stops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the core sheet 130 is exposed to the core sheet elastic body 131 and the internal pressure (flow path 122 of the core 120). pressure or the pressure between the gap between the plunger 140 and the body 110), or the plunger elastic body 141 that causes the plunger 140 to move downward to close the outlet 112. ) can be tightly closed.

이상 설명된 체크 밸브(100)는, 유체 출구(111)가 팽창 및 수축하는 주머니의 일 측에 연결됨으로써(주머니는 유체 출구(111)와 연결된 채 밀폐된 구조를 가짐), 해당 주머니가 삽입되는 자동차 시트에 사용될 수 있다.The check valve 100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g where the fluid outlet 111 expands and contracts (the bag has a sealed structure connected to the fluid outlet 111), so that the bag is inserted. Can be used in car seats.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0: 체크 밸브 110: 바디
111: 유체 출구 112: 배출구
120: 코어 121: 코어의 유입구
122: 코어의 유로 123, 124: 적어도 하나의 유체 누출 방지용 O 링
130: 코어 시트 131: 코어 시트 탄성체
140: 플런저 141: 플런저 탄성체
142: 플런저 시트 150: 프레임
151: 코어 하단 이탈 방지 돌기 152: 바디 상단 이탈 방지 돌기
160: 펌프 바디 170: 스토퍼
171: 코어 상단 이탈 방지 돌기
100: check valve 110: body
111: fluid outlet 112: outlet
120: core 121: inlet of core
122: Passage 123 of the core, 124: At least one O-ring to prevent fluid leakage
130: core sheet 131: core sheet elastomer
140: plunger 141: plunger elastic body
142: plunger seat 150: frame
151: Core bottom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52: Body upper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0: Pump body 170: Stopper
171: Core top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Claims (16)

하단에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출구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에 하단이 삽입된 채, 상기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의 하단 내부에 삽입된 채, 상기 코어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유로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고, 상기 코어의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유로로 밀착되어 폐쇄되는 코어 시트; 및
상기 코어의 하단 하부에 배치된 채, 상기 코어 시트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바디와의 틈새를 통해 상기 유체 출구로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플런저
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
A body including a fluid outlet at the bottom for discharging fluid;
a core having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While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core, whe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of the core, it is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of the core and opens, and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of the core to stop. A core sheet that close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ssage of the core when used; and
A plunger disposed below the bottom of the core and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fluid outlet through a gap with the body when the core sheet is opened.
A check valve contain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시트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상기 코어의 유로의 직경보다 큰 오목한 중심부와 돌출된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형상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re sheet is,
A check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n a shape including a concave center and a protruding edge port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assage of the core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시트는,
상기 코어의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하부에 접촉된 코어 시트 탄성체에 의해 상기 코어의 유로로 밀착되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re sheet is,
A check valv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luid stops flowing through the passage of the core, it is closed by being closely adhered to the passage of the core by the core sheet elastic body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코어의 하단 하부에 배치된 채, 상승 운동을 통해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단에 접촉된 플런저 탄성체에 의해 하강 운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lunger,
A check valv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ore, opening an outlet included in the body through an upward movement, and closing the outlet through a downward movement by a plunger elastic body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탄성체는,
상기 코어 시트와 접촉되지 않기 위하여, 상기 코어 시트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코어의 하단 내부 공간보다 큰 직경을 가진 채, 상기 플런저의 상단 외면을 감싸며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plunger elastic body,
A check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surround and contact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space at the bottom of the core into which the core sheet is inserted, so as not to contact the core she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의 하단을 감싼 채, 상기 배출구와 맞닿는 플런저 시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clause 5,
The plunger,
A plunger sheet that surrounds the bottom of the plunger and abuts the outlet.
A check valve further comprising: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시트가 폐쇄되도록 상기 코어의 유로로 밀착하는 것과, 상기 플런저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하강 운동하는 것은,
공통의 탄성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4,
The core shee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ssage of the core to close it, and the plunger moves downward to close the outlet,
A check valve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a common elastic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단 및 상기 코어의 하단을 감싸며 결합하는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A frame that surrounds and combines the top of the body and the bottom of the core
A check valve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바디의 상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바디 상단 이탈 방지 돌기를 통해 상기 바디의 상단을 고정하며 결합하고, 상기 코어의 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코어 하단 이탈 방지 돌기를 통해 상기 코어의 하단을 고정하며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clause 8,
The frame is,
The top of the body is fixed and coupled through a body top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that prevents the top of the body from coming off, and the bottom of the core is fixed and coupled through a core bottom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that prevents the bottom of the core from coming off. A check valv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코어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되는 펌프 바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clause 8,
A pump body coupled to the top of the frame and surrounding the top of the core.
A check valve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링 형상의 홈과 상기 펌프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누출 방지용 O 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clause 10,
At least one O-ring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ring-shaped groove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core and the pump body
A check valve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바디와 결합된 채, 상기 펌프 바디에 의해 감싸며 결합된 상기 코어의 상단을 상기 펌프 바디의 외면에 형성된 관통 홈을 통해 고정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clause 10,
A stopper that is coupled to the pump body and secures the upper end of the core surrounded and coupled by the pump body through a through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ump body.
A check valve further compris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코어의 하단을 감싸며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코어의 상단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clause 12,
The stopper is,
A check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surrounds the bottom of the core and fixes the top of the cor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coupl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어의 상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코어 상단 이탈 방지 돌기를 통해 상기 코어의 상단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clause 12,
The stopper is,
A check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of the core is fixed through a core top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that prevents the top of the core from coming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하단 외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링 형상의 홈과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 누출 방지용 O 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An O-ring for preventing fluid leakage disposed between the body and at least one ring-shaped groove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core
A check valve further comprising:
하단에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출구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에 하단이 삽입된 채, 상기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의 하단 내부에 삽입된 채, 상기 코어의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유로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되고, 상기 코어의 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코어의 유로로 밀착되어 폐쇄되는 코어 시트; 및
상기 코어의 하단 하부에 배치된 채, 상기 코어 시트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바디와의 틈새를 통해 상기 유체 출구로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플런저
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시트는,
상기 코어의 하단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코어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A body including a fluid outlet at the bottom for discharging fluid;
a core having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While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core, whe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of the core, it is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of the core and opens, and the fluid flows through the flow path of the core to stop. A core sheet that close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ssage of the core when used; and
A plunger disposed below the bottom of the core and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fluid outlet through a gap with the body when the core sheet is opened.
Including,
The core sheet is,
A check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ted with the core as it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core.
KR1020220148302A 2022-11-09 Check valve KR20240067390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390A true KR20240067390A (en)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239B1 (en) Diaphram type water inlet valve
CN208268500U (en) Balanced valve and control valve group
KR20090031867A (en) Supplementary air valve
US20180023715A1 (en) One way valve assembly
JPH09303600A (en) Valve
KR20240067390A (en) Check valve
US20170314374A1 (en) Variable aperture flow control mechanism for gas lift valves
JP2002115613A (en) Fuel cut-off system
US20110315231A1 (en) Flow control device using a diaphragm
JPH0432272B2 (en)
KR20100083779A (en) Back pressure receiving valve
KR102357776B1 (en) Valve
US11300223B2 (en) Self-cleaning water passageways on diaphragm insert
JPH06323448A (en) Water feed valve
CN218895038U (en) Electromagnetic valve
KR102043967B1 (en) Solenoid valve
JP2000205424A (en) Plate valve
JP2003227571A (en) Poppet valve
JP2022124547A (en) water supply solenoid valve
JP6554053B2 (en) Differential pressure valve
JPS6210504Y2 (en)
JPH0447503Y2 (en)
KR200392432Y1 (en) Gas reducing vacve
KR20200000959U (en) Check Valve Working in High and Low Pressure
JPS61290281A (en) Shut-off val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