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166A -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166A
KR20240067166A KR1020220146978A KR20220146978A KR20240067166A KR 20240067166 A KR20240067166 A KR 20240067166A KR 1020220146978 A KR1020220146978 A KR 1020220146978A KR 20220146978 A KR20220146978 A KR 20220146978A KR 20240067166 A KR20240067166 A KR 20240067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estate
contract
risk
user terminal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구
Original Assignee
김종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구 filed Critical 김종구
Publication of KR2024006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3Real estat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8Electronic negotiation

Abstract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부동산의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를 요청하고,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리스크 헤지(Hedge) 약정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 요청을 수신하는 접수부,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부동산의 사업성 검토 결과를 업로드받는 검토부, 사업성 검토 결과에 따라 부동산의 리스크 헤지의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계약을 위한 전자계약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계약서에 서명을 받고 취급수수료를 납부받는 수납부, 사용자 단말과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에 대한 전자계약서를 보관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는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REAL ESTATE RISK HEDGE AGREEMENT SERVICE}
본 발명은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부동산의 가격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도록 사업성 검토 및 승인 후 취급수수료를 받고 만기일 기준 권리행사여부에 따라 권리행사시 부동산 매수를, 권리행사를 하지 않을 시 계약종료 및 의무소멸을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부동산은 가격 변동이 심하고 대체로 유동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투자대상이 된 이유는 부동산이 인플레이션 헤징(Inflation Hedging) 수단이 될 수 있다는 투자자들의 믿음과 관련된다. 즉, 현금, 예금, 채권 등의 화폐자산을 보유하고 있을 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자산가치가 그 자산의 투자수익보다 더 크게 하락하여 구매력 손실이 발생하지만, 실물자산인 부동산은 인플레이션 시기에 가격이 상승하여 자산가치를 방어할 수 있다는 믿음이 부동산 투자의 중요한 동기가 된다. 만약 부동산이 인플레이션 헤지 기능이 있다면, 특히 통화위기, 스테그플레이션, 고물가 등의 시기에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부동산 비중을 높이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헤지는 인플레이션율과 같은 방향으로 혹은 그것과 평균적으로 무관하게 수익률이 변화하는 자산을 말한다. 인플레이션 시기에 부동산에 투자하여 인플레이션율과 동일한 크기 혹은 그 이상의 명목수익률을 얻는다면, 부동산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완벽한 헤지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금융투자시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는 솔루션이나 부동산 담보대출 및 보상보험을 연동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984010호(2019년09월03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0-0055852호(2010년05월27일 공개)에는, 투자희망기업에 대해 기초심사를 거쳐 투자할 수 있는 기업으로 등록하고, 만기일 이전 지분으로 전환되도록 설정하며, 만기일 기준 투자자의 손실률이 기 설정된 금액 이상인 투자자에게 타 기업의 지분을 할인가로 콜옵션(Call Option) 매수할 수 있도록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지분투자에 대한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담보부동산에 대한 대출상품 판매시 부동산 보장가액 보상보험에 자동가입처리 하고, 경매시 잔존 대출원금 및 경매낙찰액 간 차액을 보상보험을 통하여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도록 하며, 설정정보를 관리할 수있도록 함으로써 금융기관의 리스크를 감소시키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만기일에 콜옵션 매수권을 부여한 구성일 뿐 투자로 인한 실제 손해나 손실을 헤지해주는 구성이 아니고, 후자의 경우에도 보험의 위험인수 및 B2B 재보험의 성격의 구성을 개시한 것일 뿐 부동산의 가격변동에 대응한 확정금 매입 약정상품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국민 대부분의 대표적인 기초자산인 부동산의 경우 미래에 대한 가치변동에 가장 안정적인 자산이기도 하지만 가치 및 가격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가장 크게 타격을 받는 자산이기도 하다. 또, 구매 후 일정시간이 흐른 후 입주하는 청약 또는 신축 분양물의 경우 장래에 발생할 수 있는 일신상의 사유로 인한 계약철회가 발생하는데, 계약철회시 위약금으로 인한 부담이 가중된다. 이에, 부동산의 가격변동 및 변심에 의한 위약에 대하여 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초자산인 부동산의 가격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하여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을 제공할 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동산의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 요청을 받고, 기 설정된 사업성 검토에 따라 요청이 승인되면 전자계약서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취급수수료를 결제받으며, 만료일 기준 권리행사여부에 따라 부동산의 매입 또는 이행의무자동소멸인 권리소멸 후 계약을 종료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부동산의 가치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고 플랫폼은 사용자의 권리행사시 신규주택을 매입할 수 있으며 권리포기시 계약을 종료시킬 수 있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동산의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를 요청하고,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리스크 헤지(Hedge) 약정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 요청을 수신하는 접수부,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부동산의 사업성 검토 결과를 업로드받는 검토부, 사업성 검토 결과에 따라 부동산의 리스크 헤지의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계약을 위한 전자계약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계약서에 서명을 받고 취급수수료를 납부받는 수납부, 사용자 단말과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에 대한 전자계약서를 보관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는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초자산인 부동산의 가격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하여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을 제공할 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동산의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 요청을 받고, 기 설정된 사업성 검토에 따라 요청이 승인되면 전자계약서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취급수수료를 결제받으며, 만료일 기준 권리행사여부에 따라 부동산의 매입 또는 이행의무자동소멸인 권리소멸 후 계약을 종료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부동산의 가치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고 플랫폼은 사용자의 권리행사시 신규주택을 매입할 수 있으며 권리포기시 약정에 대한 이행의무가 소멸됨으로써 계약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부동산의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을 구매하거나 옵션으로 선택하는 수분양자, 부동산 매도자, 분양권 소지자 등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취급수수료를 지불하고 전자계약서에 서명을 하며 계약을 체결하고, 만기일 기준 옵션으로 부착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 후, 권리를 행사하는 경우 기 설정된 부동산의 소유권을 이전하며 기 설정된 가격으로 매도할 수 있고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경우 기 납부한 취급수수료(프리미엄)만큼의 손해를 보지만 부동산의 소유권은 유지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을 판매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이 접수되면 기 설정된 사업성 검토 결과에 따라 승인 여부를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하고, 승인이 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취급수수료를 결제받거나 이체받고 전자계약서에 본인확인 후 서명을 받아 계약을 체결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계약의 만기일에 사용자 단말(100)의 권리행사 여부에 따라 부동산을 매입하거나 권리를 소멸시킨 후 계약을 종료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업자 단말(400)에서 부동산 개발 사업에 대한 컨설팅을 의뢰하면, 사업성 검토를 수행하고 그 결과 위험인수율을 보고서나 취급의향서에 기입하여 전달하며, 사업자 단말(40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의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가입요청이 수신되면, 위험인수율에 기초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계약서를 전송하고 취급수수료를 이체받는 과정을 거쳐 계약을 완료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만기일에 각 사용자 단말(100)로 권리행사 여부를 질의하고 이에 따라 부동산의 매수 또는 권리소멸 후 계약을 종료시키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400)은,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부동산 개발 사업에 대한 컨설팅을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의뢰하고 사업성 검토 결과를 취급의향서 또는 보고서 형태로 위험인수율을 포함하여 수신하고 이를 분양권 등의 홍보에 이용하는 사업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접수부(310), 전송부(320), 수납부(330), 보관부(340), 매입사업부(350), 수익사업부(360), 계약종료부(370), 컨설팅부(380), 개발관리부(390), 비례설정부(391), 결제관리부(393), 예측부(395) 및 본인확인부(39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400)로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400)은,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도 2의 기본개념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내용은 도 2를 설명하면서 중복하여 기재하지 않는다.
<헤지>
헤지(Hedge)는 투자대상으로 고려하는 두 자산의 가격이 특정한 시장 상황에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즉, 헤지는 다른 자산이나 포트폴리오와 평균적으로 무관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가격이 변하는 자산을 말한다. 헤지는 자산시장이 정상적인 시기에 적용되는 개념이므로, 금융위기나 투기 시기와 같이 해당 자산시장이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경우에는 해당 자산과 헤지 자산의 가격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도 나타날 수 있어 위험회피 기능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헤지는 주로 투자상품들을 대상으로 정의되어 연구되고 있지만, 특별하게 인플레이션과 관련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인플레이션은 화폐자산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인플레이션 헤지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자산의 명목수익률이 인플레이션율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독립적이어야 한다. 어떤 자산의 명목수익률이 인플레이션율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를 강한 헤지(Strong Hedge), 그리고 명목수익률이 인플레이션율과 무관한 경우를 약한 헤지(Weak Hedge)로 부르기도 한다.
<파생상품>
파생상품(Derivative)에는 크게 ① 권리형인 옵션(Option)계약, 약속형인 ② 선도거래, ③ 선물(Futures)거래가 있다. ① 옵션계약은 기본적으로 옵션 매수 포지션(Long Position)인 계약자가 특정한 기간에 특정가격으로 자산을 사고(Call Option) 팔(Put Option)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고, 매수 포지션의 반대 포지션인 매도 포지션(Short Position)인 계약자는 계약을 이행해야 하는 의무를 지닌다. 옵션에는 다양한 종류의 옵션이 있고 그에 따른 Pay Off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알맞은 옵션거래를 통해 거래자는 시장 위험을 헤지할 수 있다.
② 선도거래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 특정 가격과 특정 양의 자산을 인도하기로 약속한 쌍방형 계약으로 선도거래의 매수자가 자산을 특정시점에 특정가격으로 매수하기로 하고 상대방인 매도자는 그 자산을 정해진 시점에 정해진 가격으로 인도해야하는 계약을 말한다. 선도거래는 주로 OTC(Over The Counter)에서 일어나고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비교적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하다. ③ 선물거래는 선도거래에 비해자산의 질(Quality), 양(Quantity), 인도시점(Delivery Time), 인도장소(Delivery Location), 가격공시, 최소호가단위, 일일변동폭등이 각각의 상품에 대해 표준화 되어있고 법적인 영향을받는 계약이다. 선도거래와 내용은 비슷하나 표준화 되어있다는 점과 거래가 거래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이러한 파생상품 거래를 통해서 헤저는 재무적인 위험과 시장위험을 줄이고 헤징,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선물거래의 자산은 농산품부터 주식시장의 지수까지 다양한 자산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선물 포지션은 자산들의 인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결제일 전에 종료되거나 반대포지션을 통해 거래가 끝나게 된다. 이렇게 실제로 결제가 이루어지기 전에 포지션이 청산되는 이유는 대부분의 선물거래가 실제 상품인도를 위해 거래되는 것이 아니라 가격변동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헤징이란 선물시장의 주요한 기능들 중의 하나로써, 우리가 분산투자를 통해 줄일 수 없는 위험인 시장리스크(Market Risk)를 파생상품과 외부금융기법을 통해 관리하는 기법이다. 거래를 하고 있는 현물자산에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투자자는 선물시장에서 반대포지션인 매도 포지션을 취하거나 풋옵션(Put Option)을 매수함으로써 시장위험을 헤징할 수 있고, 반대로 현물자산에 매도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투자자는 현물과 반대 포지션인 매수 포지션을 선물시장에서 취하거나 콜옵션(Call Option)을 매수함으로써 시장위험을 헤징할 수 있다.
헤징의 전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① 첫 번째, 매도헤지(Short Hedge)는 현물에 매수포지션을 가지고 있는 헤저가 자산의 가격하락 위험을 없애고자 선물계약에 매도포지션을 취하는 것으로, 가격이 하락하면 현물 포지션에서는 손해를 보게 되지만, 선물 포지션에서는 그만큼의 이익을 보기 때문에 손해와 이익이 상쇄가 되어 가격하락위험을 피할수 있다. 그러므로 매도헤지는 현물에 매수포지션을 취하고 있고 가격이 하락될 것으로 기대되어질 때 적합한 헤지전략인 것이다. ② 두 번째인 매수헤지(Long Hedge)는 현물에 매도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투자자가 가격 상승 위험을 회피하고자 선물시장에 매수포지션을 취함으로써 가격변동위험을 헤지하는 전략이다. 그러므로 이 전략은 현물에 매도 포지션을 취하고 있고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 기대되어 질 때, 적합한 전략이다.
이렇듯 헤징은 가격변동위험과 시장위험을 관리하는 데 유용한 전략이지만 미래의 잠재적 수익을 줄이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가격변동위험을 피하기 위해 헤지를 하였지만 이러한 헤지전략은 헤지전략을 행하지 않았을 때 취할 수 있는 더 큰 이익을 포기하는 것과 같은 결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험관리 관점에서 본다면 아무리 큰 잠재적 이익이라 하더라도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리스크를 적정 한도 내에서 관리하는 것보다 중요하지는 않다. 그러므로, 헤징은 안정성이 요구되는 투자거래에서 꼭 필요한 위험관리 기법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동산의 가격변동을 포함한 각 개인의 리스크를 헤징하기 위한 리스크 헤징 약정상품을 제공하고, 만기일 기준 가격의 하락이나 상승, 그리고 개인의 심경변화에 따라 권리행사여부가 결정되면, 각 사용자는 권리를 행사하여 리스크를 헤징하고, 본 발명의 플랫폼(매입약정사업자)는 신규주택을 매입한 후 임대 또는 매매로 수익을 창출하거나, 권리미행사시 권리를 소멸시키고 계약을 종료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기로 한다.
<B2C>
접수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부동산의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를 요청하고,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리스크 헤지(Hedge) 약정상품을 취급수수료 납부 후 구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양권은 한국의 주택시장에 존재하는 일종의 콜옵션(Call Option)이라 할 수 있는데, 분양권은 아파트 전체를 산 것이 아니고, 그 아파트를 일정 시기에 정해진 가격인 분양가로 살 수 있는 권리만 갖는 것이다. 이 분양권을 사고 팔 수도 있는데, 분양권 가격이 파생상품의 옵션 가격인 셈이고, 그 분양권을 돈을 주고 사고 팔면 프리미엄을 주고 받은 것이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강북에 분양가 5억원짜리 아파트의 분양권을 2000만원을 주고 샀다고 가정하면, 기초자산은 아파트, 정해진 가격인 분양가는 5억원, 옵션 프리미엄은 2000만원이다. 입주시기가 되어 분양가 대로 잔금을 치러야 하는데 주변 아파트 시세가 3억원으로 급락하는 경우, 사용자는 굳이 계약을 지켜서 5억원을 지불하느니 2000만원을 손해보는 것이 더 낫다. 이때, 사용자 A는 2000만원을 손해봤지만 분양권을 판 사람은 2000만원의 이익을 본 셈이다. 반대로, 주변 아파트 시세가 7억원이 됐다면 당연히 분양권, 즉 아파트를 5억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A는 행사할 것이다. 5억원으로 분양을 받자마자 7억원에 팔면 2억원의 차액을 이익으로 바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A는 분양권인 2000만원으로 2억원을 번 셈이다. 이때, 분양권을 판 사람은 2000만원을 벌긴 했지만 2억원의 차액을 벌지 못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래에 부동산의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 또는 전가하기 위한 헤지 수단으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플랫폼은 매입약정사업자, 즉 장래에 부동산의 가격변동이 있더라도 약정한 가격에 매입을 한다는 권리를 매도하는 권리매도자이면서 매입약정사업자이고, 본 발명의 플랫폼을 이용하는 고객인 사용자(User)는, 약정한 가격에 매입을 한다는 권리를 매수하는 권리매수자이다. 이를 정리하면 이하 표 1과 같다.
권리매도자(플랫폼) 권리매수자(사용자)
정의 -권리를 발행하는 자
-권리매수자로부터대가(취급수수료, 프리미엄)을받고 권리를 매도
-권리의 계약 내용에 따라 권리매수자에게 권리를부여하고 권리매수자가 이 권리를 행사하려고할 때에는 반드시 이에 응해야 할 의무를 짐
-권리 소유자
-권리매도자에게 일정한 대가(취급수수료,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수령
거래관계 권리의 부여 권리의 수취
대가 취급수수료 및 프리미엄 수취 취급수수료 및 프리미엄 지불
선물(Futures), 파생시장(Derivative Market)의 주요한 기능들은 헤징(Hedging), 투기, 가격발견,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 등이다. 위험을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분산투자를 통해 줄일 수 있는 분산가능위험(Firm Specific Risk), 줄일 수 없는 위험인 시장위험(Market Risk)으로 나눌 수 있다. 분산투자나 내부적인 위험관리기법으로 줄일 수 없는 시장 리스크(Market Risk)는 파생상품이나 선물시장을 이용한 외부금융기법으로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을 제공하고, 이를 구매한 사용자는 일어나는 가격변동의 위험을 헤징할 수 있다.
커버드 콜(Covered Call)의 경우에는, 부동산의 가격이 분양가 보다 오를 것 같지만 많이는 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분양가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옵션을 매도(Short)하면 그에 따른 판매이익(콜 프리미엄)이 생긴다. 대신 기초자산인 아파트가 분양가보다 더 높이 오를 경우 발생할 업사이드 포텐셜(Upside Potential)은 포기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격이 떨어지는 경우 분양가 대로 팔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고, 가격이 오르는 경우에는 대가(취급수수료)를 포기하는 대신 업사이드 포텐셜을 얻어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전송부(320)는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부동산의 사업성 검토 결과를 업로드받고, 사업성 검토 결과에 따라 부동산의 리스크 헤지의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계약을 위한 전자계약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모델을 이용하여 주택가격지수를 예측하여 사업성 검토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참조하여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할 때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업성 검토자는 본 발명의 플랫폼의 직원 등일 수 있다.
<ANN>
의사결정에 대한 문제를 그물 형식으로 구축한 망을 통해서 인간의 뇌와 유사한 동작을 할 수 있게 만든 것이 인공신경망의 시작이다. 초기에는 데이터 학습에 대한 예측 성능이 좋지 않았지만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한 은닉층(Hidden Layer)에서의 데이터 전처리 방법이 발전하면서 정확성이 높아지고 있다. 인공신경망 학습 모델은 사람의 뇌에 대한 정보성 자료에 대한 처리 과정을 수학적 모델로 구현하고 상호적으로 연결을 하여 망(Networks)을 구축한 것이다.
인공신경망 학습 모델은 최적의 함수 근사자(Function Approximator)이며 복잡하고 방대한 자료도 입력층(Input Layer)과 출력층(Output Layer)의 관계를 분석하고 학습 과정에서 새로운 샘플(Sample)도 찾아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모수 회귀분석인 경우에는 선형방정식의 매개변수를 산출하는 방식이지만 인공신경망 모델은 이를 적용하지 않는 회귀분석(Non Parametric Regression)이다. 인공신경망 모델은 병행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입력층, 은닉층 그리고 출력층을 구성하는 노드(Node)로 설계가 되고 각 산출 요소는 가중치의 합(Weighted Sum)으로 계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n 개의 입력 값인 xi는 가중된 wi를 반영하여 신경망을 구축하고 wi가 반영된 xi의 편차인 b를 합해 수학식 1과 같이 A를 구한다. 이때, x는 입력값, b는 w를 반영한 편차이다.
Figure pat00001
그리고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인 f를 통해서 출력값을 수학식 2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wi와 xi는 실수값이다. 이때, 입력 변수가 많은 경우 산출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편차값인 b를 가상 입력 값인 x0=+1로 가정하면 w0로 치환할 수 있다. 또, 은닉층은 각 입력변수에 대응하는 유닛(Unit)들로 구성할 수 있다. 각 은닉유닛은 입력층에서 변수들의 선형결합(Linear Combination)을 비선형함수(Nonlinear Function)로 처리하고 출력층 및 다른 은닉층으로 전달한다. 더불어 출력층은 목표변수(Target)에 대응해서 유닛을 구성하는데 목표변수에 따라서 다수의 출력유닛이 구성될 수 있다.
<학습 데이터셋>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주택 매매 가격의 방향성을 예측하기 위해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주는 ① 거시적 및 ② 미시적 요인을 선정할 수 있다. ① 거시적 요인으로는 통화량, 물가, 이자율, 실업률 그리고 주가지수를 선정할 수 있다. 통화량은 주택매매가격에 인과관계가 있고 시장 금리는 주택 매매를 위한 자금 확보 능력 및 주택 정책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다.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은 대표적인 투자 시장인데 유동성의 흐름이 각 시장에 시차를 두고 인과관계를 보인다. 또한 소비자 물가인 경우에는 실물 자산의 가치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요인으로 물가 지수의 변동은 주택 가격의 모멘텀(Momentum)에 영향을 준다. 실업률은 소비 주체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요인으로 산업 경기 전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더불어 주택 시장의 투자자로서 자금을 지급할 수 있는 여력 및 대출 상환의 우려는 주택매매 가격에 영향을 준다.
② 미시적 요인으로는 부동산 수요를 결정하는 거래량, 가구 수 그리고 대출 이자율 변수와 부동산 공급을 결정하는 지가, 준공량 그리고 미분양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거래량은 부동산 시장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요인인데, 거래량이 상승할 경우 재고 주택이 줄어들며 주택 가격을 상승하는 관계를 가진다. 주택은 가구 단위로 결정되며 가구 구조의 변화는 주택의 공급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서울의 인구수는 하락하고 있지만 가구의 분파는 세분화되고 주택의 수 또한 가구의 수에 집중되게 된다. 주택의 가격은 대출을 통한 레버리지를 발생시키는 실물자산이므로 대출 이자율은 주택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비탄력적인 성격을 갖는 주택 공급량은 인허가, 착공 그리고 준공에 도달하기까지 주택 공급의 과정을 지표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택 시장에 공급되는 준공 자료는 부동산 공급의 예측 변수로 적용가능하다. 더불어 주택의 미분양 정보는 초과 공급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수요와 공급의 원리로 결정되는 가격의 구조에서 주택의 초과 공급에 따른 주택 가격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요인은 나열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주택 경기의 방향성을 예측하고 주택 가격에 영향을 주는 변수 요인을 선정할 수 있고, 인공신경망 입력층에 입력되는 학습 데이터셋으로 거시적 요인과 미시적 요인을 조합한 변수를 선정하고, 기 설정된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예측력을 측정하고 검증할 수 있다. 이렇게 예측된 주택지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부동산의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에 대한 승인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수납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자계약서에 서명을 받고 취급수수료를 납부받을 수 있다. 취급수수료는 부동산의 시장가격, 권리행사가격, 만기까지 잔존기간, 가격변동성 및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이하 리스크 프리미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인인증의 과정은 본인확인부(397)에서 각종 신분증 교차검증 및 얼굴인식 등을 더 수행하겠지만, 서명을 받을 때 서명이 사용자가 직접한 것인지 위조된 서명인지의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각 개인은 고유한 필적이 존재하고 각 획을 긋는 힘과 가속도, 형태 등의 스트로크(Stroke)를 분석함으로써 전자서명의 진위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에 내장된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측정되는 값은 서명하는 동안의 각 축에 대한 가속도 및 각속도이고, 이를 적분하여 속도 및 변위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또한, 센서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물체의 추적이나 노이즈 제거 등에 사용되는 칼만필터를 적용하여 전처리(Pre-Processing) 과정을 거치며 결과 값을 서명에 대한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생성된 서명 정보를 이미지로 바꾸고 서명에 사용한 펜의 정보(디바이스 ID, 위치정보 등)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합성곱 신경망 기반 서명 인식>
서명 이미지 인식을 위해 이미지 분류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모델인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할 수 있다. 수신한 데이터들은 본 발명의 플랫폼에 저장되고 그 중 서명 데이터는 합성곱 신경망을 통해 분류된다.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서명 이미지와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수집한 이미지화된 데이터를 합성곱 신경망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한다. 해당 입력 데이터에 대해 필터가 이미지를 순회하며 특징을 추출하여 학습하며, 이미지를 분류해낸다. 이때, 분류되는 클래스명은 전자계약서에 서명한 사용자의 식별자이며, 이용한 입력 데이터는 저장된 후 다음 전자계약서를 사용할 때에도 이용될 수 있다. 서명의 유효 여부는 서명에 사용된 스타일러스 펜의 디바이스 ID와 사전에 등록된 스타일러스 펜의 디바이스 ID와 비교하며, 분류된 두 데이터도 동일한 사용자의 서명으로 인식되는 경우 가능하다. 이때, 서명의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는 경우는 기 등록된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서명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이 존재하나 서명 이미지가 다른 경우, 스타일러스 펜도 존재하고 서명 이미지도 유사 또는 동일하나 획, 순서, 가속도 등 스트로크를 포함한 서명에 대한 특징값이 다른 경우이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인증 방법을 이용하여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도 있다.
보관부(340)는, 사용자 단말(100)과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에 대한 전자계약서를 보관할 수 있다. 보관된 전자계약서는 만료일까지 저장되고 관리된다. 이때 보관을 위해 블록체인을 구성하여 분산저장할 수도 있고, 이에 접근가능한 노드(Node)는 본 발명의 전자계약을 한 사람들로 구성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중 하이퍼레저 블록체인으로 구성함으로써 위조가능성을 제거하고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때, 각 전자계약서의 이미지 자체를 업로드하는 경우 가스피(GasFee)가 많이들기 때문에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에 이미지 등 콘텐츠를 저장하고 데이터값만 블록을 생성하여 트랜잭션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매입사업부(350)는,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만기일에 부동산 가격의 하락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권리행사에 대응하는 리스크 헤지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부동산을 기 설정된 가격에 매수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수익사업부(360)는, 매수한 부동산을 임대 또는 매매를 진행할 수 있다.
계약종료부(370)는,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만기일에 부동산 가격의 상승 및 사용자의 변심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권리행사를 하지 않는 경우, 권리를 소멸시키고 전자계약서의 계약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변심은, 이사, 이직, 급전 필요 등일 수 있으나 나열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B2B>
컨설팅부(380)는, 사업자 단말(400)로부터 부동산 개발 사업에 대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이용 여부가 컨설팅으로 의뢰되면, 컨설팅 수수료를 수납받은 후 부동산 개발 사업에 대한 사업성 검토 결과를 업로드받고, 사업자 단말(400)로 사업성 검토 보고서를 제공할 때 부동산 개발 사업에 대한 위험인수율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부동산 개발 사업의 절차는 사업 유형, 규모, 금융구조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크게 ① 사업의 구상 및 기획 단계, ② 실행 단계(토지 확보, 금융구조 설정, 분양, 시공), ③ 정산 및 관리 단계 등 크게 3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② 실행 단계 내 분양을 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분양권을 얻고자 하는 사람(개인, 사용자)들은 미래에 분양권의 가치가 떨어질지 또는 오를지 예측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의사결정이 어려워지는데, 이 분양권에 대하여 본 발명의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분양을 촉진시킬 수 있다.
개발관리부(390)는, 사업자 단말(400)의 부동산 개발 사업에 대한 사업성 검토 보고서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에 가입하면, 사업성 검토 보고서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계약을 위한 전자계약서를 전달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자계약서에 서명을 받아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 B사에서 본 발명의 플랫폼에 리스크 헤지 약정 여부를 질의하면서 컨설팅을 의뢰했고,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사업성 검토 결과 30%의 위험인수율이 가능하다고 보고서 또는 취급의향서에 기재한 경우, 사업자 B사는 1000 세대 규모의 부동산 개발 사업을 진행한다고 가정하면, 30%, 즉 300 세대의 분양권에 대해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옵션을 제공한다고 홍보할 수 있다.
<사업성 평가 방법>
부동산 개발 사업의 리스크 영향요인을 바탕으로 이들에 대한 요인 분석을 통하여 부동산 개발 사업의 핵심 영향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부동산 개발 사업의 성공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리스크 요인 평가방법론을 기반으로, 요인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핵심 성공영향요인에 대한 Fuzzy-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수행하여 부동산 개발 사업의 리스크 요인을 정량화한 후 성공 예측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영향요인>
평가분야는 예를 들어, 사업 참여자, 개발계획, 대상부지, 사업프로세스, 재무성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평가항목은 시행사의 역량, 시공사의 역량, 금융기관의 역량, 입지분석, 개발컨셉 및 대상부지, 개발 후의 가치평가 및 운용, 시공 리스크 관리 계획, 마케팅 계획, 부지확보 및 계약사항, 부지 평가 진행사항, 시공, 인허가, 계약, 사업수지분석, 손익 및 배당계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향요인 정량화>
부동산 개발 사업의 영향요인 간 상호 중첩되거나 상호간에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요인분석을 실시할 수 있고, 유사한 영향인자를 그룹화 함으로써 다수의 영향요소를 소수의 의미 있는 그룹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요인분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은 다수 또는 대량의 자료를 처리하여 이론적으로 또는 내용적으로 의미 있는 소수의 변수를 추출하는 통계방법이다. 이러한 요인분석은 분석의 대상이 되는 변수가 많은 경우 이들 사이의 상호 관련성을 이용하여 변수 속에 내재되어 있는 공통변수를 추출하여 전체 자료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설명하는 통계적 분석방법이다. 부동산 개발 사업의 영향요소를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이용할 수 있고, 요인의 회전은 베리맥스(Varimax)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요인계수(요인부하 값)가 N 이상으로 나타나는 항목을 그룹화 할 수 있는데, 요인계수란, 요인과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값으로 변수들이 요인과 어느 정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0에서 1까지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요인과 변수 간에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고 정의할 수 있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각 평가분야별로 영향요인을 도출할 수 있다.
<영향요인 정량화>
요인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영향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Fuzzy-AHP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Fuzzy-AHP 기법은 다양한 상황의 의사결정에서 많은 대안을 평가할 경우 정확성이 떨어지는 AHP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이다. 삼각퍼지함수를 이용하여 설문 데이터를 정리하여 각 항목의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위험인수율을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위험인수율을 결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비례설정부(391)는, 위험인수율에 기초하여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가입인원, 약정비율, 취급수수료율, 적정약정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델로 리스크 프리미엄(Risk Premium), 제 2 모델에서 제 1 모델의 잔차(Residual)를, 제 3 모델에서 제 2 모델의 잔차(Residual)를 각 분석 모델의 종속변수로 이용하여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할 수 있다. 잔차는 실제 리스크 프리미엄 가치와 예측된 프리미엄 가치의 차이를 말한다. 제 1 모델에서 잔차를 제 2 모델의 종속변수로, 제 2 모델에서의 잔차를 제 3 모델의 종속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리스크 프리미엄이라는 종속변수는 각 참여자별 입장에서 다른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나 리스크 부담에 대한 대가, 보상이라는 관점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사업시행자 입장에서 자본(Equity) 투하에 따른 내부 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IRR), 프로젝트 시행에 따른 기대수익률(Expected Rate of Return), 금융기관 입장에서 원리금 상환가능성의 완충(Buffer 또는 Cushion) 역할을 수행할 사업수익률, 보증기관 입장에서 보증 제공에 따른 위험의 대가인 보증료율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리스크 프리미엄은 리스크가 있는 투자자산에 대한 요구수익률에서 무위험자산(Risk Free Asset)에 대한 요구수익률의 차이로 정의된다. 리스크가 클수록 투자자산의 요구수익률은 더 높아지는데, 이는 수익률과 위험은 상충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정리하면, 리스크 프리미엄은 투자자의 위험부담에 따른 보상이라고 볼 수 있다.
종속변수로 이용될 각 개념별 리스크 프리미엄은 Equity IRR, Project Expected Return, 보증료율 등에서 무위험수익률, 기준보증료율 등을 차감한 값이다. 특히 자본 내부수익률(Equity IRR)은 사업시행자가 초기에 투하한 자기자본과 사업종료 시 얻게 되는 사업이익을 인식하여 산출한 값을 말한다. 자본 내부수익률(Equity IRR)은 개별 프로젝트별로 자기자본 투자액과 사업기간 종료 후 자기자본 회수액과 사업이익(매출액-사업비)을 산정하여 도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스크 프리미엄은 위험 부담을 감수하는데 따라 기대하게 되는 수익의 한 형태이다. 다시 말해 리스크를 가진 투자자산의 기대수익률에서 무위험자산 수익률을 차감한 값이 리스크 프리미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리스크가 클수록 리스크 프리미엄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투자자산에 대한 기대수익률이 높아지며 이하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이때, KLo은 가중평균자본비용, kLe은 자기자본조달비용, Rf는 무위험수익률, S는 자본, B는 부채, V는 자산가치, E(Rm)은 시장수익률, kd는 부채조달비용, BLs는 리스크이다. 이때, 부채를 가진 자산 또는 기업의 위험이 클수록 리스크 프리미엄이 커지고 이로 인해 자기자본조달비용은 커진다. 그리고 자기자본조달비용의 증가는 가중평균자본비용을 증가시킨다. 리스크 프리미엄에 미치는 요인들은 영업위험, 재무위험 등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위험들이 리스크 프리미엄과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취급수수료를 산정할 수 있다.
결제관리부(393)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입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취급수수료를 사업자 단말(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납부받을 수 있다. 이때, 각 사용자 단말(100)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전자계약서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서명을 각각 입력받고 본인인증 및 동일인 인증을 수행한 후 전자계약을 완료 및 전자계약서를 만료일까지 보관하게 된다.
<B2C 및 B2B>
예측부(395)는, 부동산에 대한 사업성 검토를 시행할 때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만기일을 기준으로 예측된 가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B2C의 경우 상술한 주택지수예측을 통하여, B2B의 경우 상술한 부동산 개발 사업의 사업성 평가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인확인부(397)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자계약서를 전송한 후 본인확인을 위하여 신분증 진위여부를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 전달하여 검증하거나, 기 구축된 본인확인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얼굴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에 기반하여 본인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 구축된 본인확인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네이버 본인인증, 카카오톡 본인인증, 휴대폰 본인인증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최근 부동산 전매사기에 매수자 및 공인중개사까지 포함된 뉴스가 보도되었는데, 비대면거래를 악용하여 가계약금을 가로챈 혐의였다. 최근 비대면계좌개설도 활발해지면서 본인인증과정으로 신분증만 준비하면 되는데, 신분증을 촬영하는 당사자가 신분증의 본인이 아닐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다. 이에 따라, 실시간 촬영으로 얼굴 이미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얼굴 이미지 내 특징점(Feature Points)이 신분증 내 얼굴 이미지 내 특징점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B2C 서비스의 경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를 요청받고, 사업성을 검토한 결과에 따라 승인이 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전자계약서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서명을 받고 대가(취급수수료)를 수납한 후 전자계약을 완료할 수 있다. (b) B2B 서비스의 경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업자 단말(400)로부터 부동산 개발 사업의 리스크 헤지에 대한 컨설팅을 의뢰받고, 사업성 검토 결과 위험인수율과 함께 리스크 헤지 취급의향서 또는 보고서가 발행되면, 사업자 단말(400)은 수분양자를 모집하는데 이 취급의향서 또는 보고서를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옵션이 붙은 분양권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이 구매하면서 옵션으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에 가입할 수 있다. 이 이후에는 B2C와 마찬가지로 개별적으로 전자계약을 진행하게 되고, 만기일에 권리를 행사할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분양권의 매입 또는 계약종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c)의 경우 사용자가 권리를 행사한 경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플랫폼사는 신규주택을 매입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다. (d)의 경우 사용자가 권리를 행사하지 않은 경우인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권리를 소멸시키고 계약을 종료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플랫폼과 사용자 간 관계를 도시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래의 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에 따른 리스크를 헤지하기 위한 권리를 매수하는 자가 사용자(권리매수자)이고, 이러한 권리를 매도하면서 위험인수를 하는 자가 본 발명의 플랫폼(권리매도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각 주체 및 용어정의는 도 3c 내지 도 3e와 같고, 본 발명에서 산정하는 취급수수료는 도 4a와 같은 요인으로 결정될 수 있다.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만기손익은 권리매수자인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좌측과 같고, 권리매도자인 플랫폼 입장에서 보면 우측 그래프와 같아진다. 상품의 종류는 도 4c와 같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실시예에 따라 변경, 추가 및 삭제될 수 있다. 이에 따른 기간, 조건, 위험요인은 도 4d와 같이 정의될 수 있으나 이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변경, 추가, 삭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도 4e의 ⓒ의 신규사업지 사용자는 상술한 B2C에서 사용자와 플랫폼 간의 플로우의 사용자를 나타내고, ⓑ의 기업 사용자는 B2B에서 사업자(기업)와 플랫폼 간의 플로우의 사업자를 나타내며, ⓟ의 승인사업지 사용자는, 상술한 B2C의 사용자와 동일하나 이미 검토된 사업지(승인사업지)에 대하여 약정을 체결하려는 사용자인 것이 차이점이다. 이때, 승인사업지란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미리 검토한 현장으로 바로 매입약정계약체결이 가능한 사업지이다. 이때, ⓟ의 플로우는 본 발명의 권리매도자(매입약정사업자)가 기 승인한 사업지를,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바로 선택하여 계약하는 플로우로, 검토과정을 진행하지 않고 바로 전자계약을 맺을 수 있다. ⓑ의 경우 1차 검토 수수료 결제는 검토를 의뢰하고 신청서를 접수한 결과인 컨설팅 비용일 수 있다. 이후, 사업자 단말(400)의 사업자는 3 가지 옵션에 따라 검토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400)은 ① 취급의향서를 요청하거나, ② 컨설팅된 결과를 확인하고 이 단계에서 종료하거나, ③ 취급수수료를 일괄결제할 수 있다. ①의 경우 사업자 단말(400)의 사업자가 검토를 요청한 사업지에서 X%를 약정한다는 취급의향서로, 사업자 단말(400)은 이를 홍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③의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계약을 맺지만 그 취급수수료는 사업자 단말(400)의 사업자가 납부하는 제3자를 위한 계약의 형태로 진행된다. 이때, 제3자를 위한 계약에서 요약자는 제3자에 대한 이행을 약속받은 자로 채권자인 사업자 단말(400)의 사업자이고, 낙약자는, 제3자에게 급부를 행할 의무를 부담하는 본 발명의 플랫폼이며, 수익자는 직접 급부를 받을 권리를 취득한 자인 제3자, 즉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된다. ③의 경우 사업자 단말(400)의 사업자가 취급수수료를 일괄납부했으므로 코드번호를 미리 발급하고, 이후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사업자의 사업에 분양을 신청하는 경우 전자계약을 한 후 미리 발급된 코드번호만 넣어 결제를 대신할 수 있다. 물론 각 실시예 및 플로우도 도 4e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 요청을 수신하고(S5100),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부동산의 사업성 검토 결과를 업로드받고, 사업성 검토 결과에 따라 부동산의 리스크 헤지의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계약을 위한 전자계약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200). 그리고,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계약서에 서명을 받고 취급수수료를 납부받고(S5300), 사용자 단말과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에 대한 전자계약서를 보관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부동산의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리스크 헤지(Hedge) 약정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동산에 대한 리스크 헤지 요청을 수신하는 접수부,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부동산의 사업성 검토 결과를 업로드받고, 상기 사업성 검토 결과에 따라 상기 부동산의 리스크 헤지의 요청이 승인되는 경우, 상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계약을 위한 전자계약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계약서에 서명을 받고 취급수수료를 납부받는 수납부, 상기 사용자 단말과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에 대한 전자계약서를 보관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는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부동산에 대한 상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만기일에 상기 부동산 가격의 하락 또는 사용자의 변심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권리행사에 대응하는 리스크 헤지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동산을 기 설정된 가격에 매수하는 절차를 진행하는 매입사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매수한 상기 부동산을 임대 또는 매매를 진행하는 수익사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부동산에 대한 상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만기일에 상기 부동산 가격의 상승 또는 사용자의 변심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권리행사를 하지 않는 경우, 권리소멸로 상기 전자계약서의 계약을 종료시키는 계약종료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급수수료는 상기 부동산의 시장가격, 권리행사가격, 만기까지 잔존기간, 가격변동성 및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업자 단말로부터 부동산 개발 사업에 대한 상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이용 여부가 컨설팅으로 의뢰되면, 컨설팅 수수료를 수납받은 후 상기 부동산 개발 사업에 대한 사업성 검토 결과를 업로드받고, 상기 사업자 단말로 사업성 검토 보고서를 제공할 때 상기 부동산 개발 사업에 대한 위험인수율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컨설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업자 단말의 상기 부동산 개발 사업에 대한 사업성 검토 보고서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에 가입하면, 상기 사업성 검토 보고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계약을 위한 전자계약서를 전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계약서에 서명을 받아 보관하는 개발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위험인수율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가입인원 또는 약정비율을 설정하는 비례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한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취급수수료를 상기 사업자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납부받는 결제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부동산에 대한 사업성 검토를 시행할 때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리스크 헤지 약정상품의 만기일을 기준으로 예측된 가격을 제공하는 예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자계약서를 전송한 후 본인확인을 위하여 신분증 진위여부를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 전달하여 검증하거나 기 구축된 본인확인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얼굴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에 기반하여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본인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46978A 2022-11-07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67166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166A true KR20240067166A (ko) 2024-05-1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5215A1 (en) Method for managing a home equity sales program
US7792722B2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feedback
US20090327158A1 (en) Synthetic Funds Having Structured Notes
US20110178906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valuation method toggle
EP1647933A1 (en) A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feedback
US8417605B2 (en) Compound redemption processor
US20180082376A1 (en) Data Access in a Computer Based Virtual Fund Management System
US20190130506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utilization of a real-time value of collateralized property in a centralized database
US2015020620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ectual property based financial offering
Cousaert et al. Token-based insurance solutions on blockchain
US20050108029A1 (en) Method for conducting a home equity sales program
US20050108122A1 (en) System for conducting a home equity sales program
US8326719B2 (en) Compound redemption device
KR20240067166A (ko)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16126B1 (ko) 부동산 리스크 헤지 약정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AU2008100980B4 (en) A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with Investment Construction and Criteria Setting Evaluation
US20140297497A1 (en) Compound redemption processor
US20220414773A1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nd Trade Securities from Equity
AU2005100868B4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with Commission Calculation
Jones et al. Real Estat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U2015207822A1 (en) A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with Mitigates for Collateral Valuation Risk and Consumer Gaming
Gross et al. Financing Needs and Solutions for an Agribusiness Supply Chain
KR20240067624A (ko) 차량 통합형 비교견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haing Effect of Bank Expansion on Performance of Shwe Bank
Nicoletti et al. New Solutions for Procurement Fi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