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111A -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111A
KR20240067111A KR1020247013203A KR20247013203A KR20240067111A KR 20240067111 A KR20240067111 A KR 20240067111A KR 1020247013203 A KR1020247013203 A KR 1020247013203A KR 20247013203 A KR20247013203 A KR 20247013203A KR 20240067111 A KR20240067111 A KR 20240067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delivery system
feedback
aerosol delivery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트릭 몰로니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6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1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에 관한 것이며, 시스템(300)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의 사용자(400)에게 피드백(F)을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부분(200)을 포함한다. 피드백 부분(200)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후에 피드백(F)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동안 피드백(F)을 제공하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드백(F)은, 사용자(400)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의 동작을 마친 후 적절한 시간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테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입 안에 없는 경우에, 사용자(400)가 피드백(F)를 더 용이하고 쉽게 볼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이를테면 니코틴 전달 시스템들(예컨대, 전자 시가렛들 등)에 관한 것이지만, 이것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은 종종 전자 시가렛(e-시가렛)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채택한다. 그러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니코틴(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음)을 포함하는 제제를 보유하는 유체 또는 액체의 저장소와 같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또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aerosol-generating material)로 불림) 또는 담배 기반 제품과 같은 고체 재료 ― 그로부터, 예컨대 열 증발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증기/에어로졸이 생성됨 ― 를 보유한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일부를 에어로졸화하여 증기를 생성시키도록 배열된 증발기(에어로졸 생성기로도 불림), 예컨대, 가열 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증기가 생성되면, 증기는 증기에 향미(flavour)를 부가하기 위해 가향 재료(flavouring material)를 통과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그 자체로 가향되지 않았다면), 그 후, (가향된) 증기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마우스피스(mouthpiece)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수의 기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및 관련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들의 잠재적인 단점은,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쉽게 명백해지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안이 아닌 시점에,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피드백 부분의 사용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 중 일부를 해결하거나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려는 다양한 접근방식들이 본원에 설명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부분을 포함하고, 피드백 부분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후에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동안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안이 아닌 시점에서 피드백 부분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특정 조합들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고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리지 및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분리된 것으로 도시됨)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카트리지의 컴포넌트들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카트리지의 하우징 부분의 다양한 단면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카트리지의 분할 벽 요소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카트리지의 탄성 플러그의 2개의 사시도들 및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카트리지의 최하부 캡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함께 사용 가능하고, 그리고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킨 후에 피드백을 제공하고,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안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된 피드백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a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제1 시간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및 피드백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b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이후의 제2 시간 ― 이는 피드백 부분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 ― 에서, 도 8a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c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이후의, 제2 시간 다음 제3 시간 ― 제3 시간은 피드백 부분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 ― 에서, 도 8a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d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이후의 제3 시간 다음 제4 시간 ― 제4 시간은 피드백 부분이 피드백을 더이상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 에서, 도 8a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본원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들은 간결함을 위해 상세하게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본원에서 논의된 장치 및 방법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이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종래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이를테면, e-시가렛)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비가연성(non-combustible)"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또는 그의 구성요소)의 구성성분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사용자로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소되거나 태워지지 않는 시스템이다. 본원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 또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는, 예를 들어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가열, 조사 또는 에너자이징된 경우에,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재료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는 가향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 전체에 걸쳐서, 용어 "e-시가렛" 또는 "전자 시가렛"이 때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자 시가렛은 베이핑 디바이스(vaping device) 또는 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END)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에어로졸 가능 재료에 니코틴이 존재하는 것이 필수 사항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들 ― 이 중 하나 또는 복수가 가열될 수 있음 ― 의 조합을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는 액체 또는 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및 고체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포함한다. 고체 에어로졸 가능 재료는 예를 들어, 담배 또는 비-담배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카트리지/소모성 부품 및 본체/재사용 가능/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소모성 부품과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는 증발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증발될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는 또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증기에 가향하기 위한 가향 재료를 담는 추가 저장소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증발기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들을 방출하여 증기/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에어로졸 가능 재료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가열기/가열 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증발기는 가열 없이 에어로졸 가능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는 예를 들어 진동, 기계적, 가압 또는 정전기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열을 가하지 않고 에어로졸 가능 재료로부터 증기/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달될 물질은 활성 구성 성분, 캐리어 구성 성분,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구성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일 수 있다.
활성 구성 성분은 사용자의 생리학적 및/또는 후각적 반응을 달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가능 재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및/또는 후각적 활성 구성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예를 들어, 건강기능식품(nutraceutical)들, 향정신제(nootropic)들, 및 향정신성물질(psychoactive)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합성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예를 들어 니코틴, 카페인(caffeine), 타우린(taurine), 테인(theine), 비타민 B6 또는 B12 또는 C와 같은 비타민, 멜라토닌(melatonin),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 또는 이들의 구성성분, 유도체, 또는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담배 또는 다른 식물생약(botanical)의 구성성분, 유도체 또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구성성분은 생리학적 활성 구성성분이고, 니코틴, 니코틴 염들(예를 들어, 이주석산 니코틴(nicotine ditartrate)/중주석산 니코틴(nicotine bitartrate)), 무-니코틴 담배 대체물들, 카페인과 같은 다른 알칼로이드들(alkaloids),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구성성분은 후각 활성 구성성분이며, 현지 규정들이 허용하는 경우, 성인 소비자들을 위한 제품에서 원하는 맛, 향 또는 다른 체성 감각 느낌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향미" 및/또는 "향미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구성 성분들은, 향미들, 향미제들, 가향 재료, 감열제들, 발열제들, 및/또는 감미제들로 지칭될 수 있다. 이것들은 천연 생성 향미 재료들, 식물들, 식물들의 추출물들, 합성하여 얻어진 재료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예를 들어, 담배, 대마초, 감초(리코리스), 수국, 유제놀(eugenol), 일본 흰 껍질 목련 잎, 카모마일(chamomile), 호로파, 정향, 단풍나무, 말차, 멘톨, 일본 민트, 아니스씨(아니스), 계피, 강황, 인도 향신료들, 아시아 향신료들, 허브, 윈터그린(wintergreen), 체리, 베리, 레드 베리, 크랜베리, 복숭아, 사과, 오렌지, 망고, 클레멘타인(clementine), 레몬, 라임, 열대 과일, 파파야, 대황, 포도, 두리안, 용과, 오이, 블루베리, 뽕나무, 감귤류, 드람뷰이(Drambuie), 버번(bourbon), 스카치, 위스키, 진(gin), 데킬라, 럼(rum), 스피어민트, 박하, 라벤더(lavender), 알로에 베라(aloe vera), 카다멈(cardamom), 셀러리, 카스카릴라(cascarilla), 육두구, 백단유, 베르가못(bergamot), 제라늄(geranium), 캇(khat), 나스와르(naswar), 빈랑, 물담배, 소나무, 꿀 에센스, 장미 기름,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오렌지 꽃, 벚꽃, 계수나무, 캐러웨이(caraway), 코냑, 재스민, 일랑일랑(ylang-ylang), 세이지(sage), 회향, 와사비, 피멘트(piment), 생강, 고수, 커피, 대마, 멘타 속의 임의의 종으로부터의 민트 오일, 유칼립투스(eucalyptus), 스타 아니스(star anise), 코코아, 레몬그라스(lemongrass), 루이보스(rooibos), 아마, 은행나무, 개암, 히비스커스(hibiscus), 월계수, 메이트(mate), 오렌지 스킨(orange skin), 장미, 녹차 또는 홍차와 같은 차, 백리향, 향나무, 엘더플라워(elderflower), 바질(basil), 월계수 잎, 커민(cumin), 오레가노(oregano), 파프리카(paprika), 로즈마리, 사프란(saffron), 레몬필(lemon peel), 민트, 비프스테이크 플랜트(beefsteak plant), 강황, 고수, 머틀(myrtle), 카시스(cassis), 발레리안(valerian), 피멘토(pimento), 메이스(mace), 데미안(damien), 마조람(marjoram), 올리브, 레몬 밤(lemon balm), 레몬 바질(lemon basil), 차이브(chive), 카르비(carvi), 버베나(verbena), 타라곤(tarragon), 리모넨(limonene), 티몰(thymol), 캄펜(camphene)), 향미 증강제들, 쓴맛 수용체 부위 차단제들, 감각 수용체 부위 활성화제들 또는 자극제들, 당류들 및/또는 당 대용품들(예를 들어, 수크랄로스(sucralose), 아세설팜 칼륨(acesulfame potassium), 아스파탐, 사카린, 시클라메이트(cyclamates), 유당, 자당, 포도당, 과당,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및 다른 첨가제들, 이를테면 목탄, 엽록소, 미네랄들, 식물생약들, 또는 입냄새 제거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들은 인조(imitation), 합성 또는 천연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블렌드들일 수 있다. 이들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오일과 같은 액체, 분말과 같은 고체, 또는 가스, 하나 이상의 추출물들(예를 들어, 감초, 수국, 일본 흰 껍질 목련 잎(Japanese white bark magnolia leaf), 카모마일(chamomile), 호로파(fenugreek), 정향(clove), 멘톨(menthol), 일본 민트(Japanese mint), 아니스열매(aniseed), 시나몬(cinnamon), 허브(herb), 노루발풀(wintergreen), 체리(cherry), 베리(berry), 복숭아, 사과, 드람뷔(drambuie), 버번(bourbon), 스카치(scotch), 위스키(whiskey), 스피아민트(spearmint), 페퍼민트(peppermint), 라벤더(lavender), 카다몬(cardamom), 샐러리(celery), 카스카라야(cascarilla), 육두구(nutmeg), 백단유(sandalwood), 베르가못(bergamot), 제라늄(geranium), 허니 에센스(honey essence), 로즈 오일(rose oil), 바닐라(vanilla), 레몬 오일(lemon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계수나무(cassia), 캐러웨이(caraway), 코냑(cognac), 자스민(jasmine), 일랑-일랑(ylang-ylang), 세이지(sage), 회향(fennel), 피망, 생강, 아니스, 고수, 커피, 또는 멘타속(genus Mentha)의 임의의 종들로부터의 민트 오일), 향미 증강제들(flavour enhancers), 쓴맛 수용체 부위 차단제들(bitterness receptor site blockers), 감각 수용체 부위 활성화제(sensorial receptor site activators) 또는 자극제들(stimulators), 당류 및 /또는 당 대물품들(예를 들어, 수크랄로스(sucralose), 아세설팜 칼륨(acesulfame potassium), 아스파탐(aspartame), 사카린(saccharine), 사이클라메이트들(cyclamates), 락토오스(lactose), 자당(sucrose),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소르비톨(sorbitol) 또는 만니톨(mannitol)) 및 차콜(charcoal), 엽록소, 미네랄들, 식물생약들(botanicals) 또는 입냄새 제거제들(breath freshening agents)과 같은 다른 첨가제들일 수 있다. 이것들은 인조(imitation), 합성 또는 천연 구성요소들(ingredients) 또는 이들의 블렌드들일 수 있다. 이것들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오일, 액체, 또는 분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향 재료(향미)는 멘톨, 스피어민트 및/또는 페퍼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오이, 블루베리, 감귤류 및/또는 레드베리의 향미 성분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유제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담배로부터 추출된 향미 성분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향 또는 미각 신경들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제5 뇌신경(삼차 신경)의 자극에 의해 일반적으로 화학적으로 유도되고 인지되는 체성 감각 느낌을 달성하도록 의도되는 감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발열, 냉감, 아린감(tingling), 감각마비(numbing) 효과를 제공하는 작용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발열 효과제는 바닐릴 에틸 에테르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합한 냉감제는 유칼립톨(eucalyptol), WS-3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캐리어 구성성분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구성성분은 글리세린,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에리트리톨(erythritol), 메조-에리트리톨, 에틸 바닐레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디에틸 수베레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아세틴, 디아세틴 혼합물, 벤질 벤조에이트, 벤질 페닐 아세테이트, 트리부티린, 라우릴 아세테이트,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구성성분들은 pH 조절제들, 착색제들, 보존제들, 결합제들, 충전제들, 안정화제들, 및/또는 항산화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e-시가렛들)은 종종 재사용 가능한 부품(본체 -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교체 가능한 소모품(카트리지) 부품 둘 모두를 포함하는 모듈식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2-부품으로 된 모듈식 구성을 따르는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2-부품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시가렛들이 일반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본원에 설명된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소모품 부품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유형의 일반적으로 세장형 2-부품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본 원리들은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보다 박스형(boxy) 형상을 갖는 소위 박스 모드(box-mod) 고성능 디바이스들에 기반하는 다른 전체 형상들에 부합하는 디바이스들로서, 다른 전자 시가렛 구성들, 예를 들어 2 개 초과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모듈식 디바이스들에 대해 동일하게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것으로부터, 도 1을 참조하여,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e-시가렛)(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전자 시가렛의 다양한 양태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용어들(예컨대, 상부, 하부, 위, 아래, 최상부, 최하부 등의 용어들)은 (문맥이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 시가렛의 배향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는 전적으로 설명의 용이함을 위한 것일 뿐이며, 사용시 전자 시가렛에 대해 임의의 요구되는 배향이 있음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e-시가렛(1)(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2개의 주요 구성요소들, 즉 카트리지(2) 및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 및 카트리지(2)는 도 1에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사용할 때 함께 커플링된다.
카트리지(2) 및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는, 이들 사이에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커플링된다.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이 설정되는 특정 방식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대해 일차적으로 중요하지 않으며, 그리고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예컨대, 나사산, 베요넷, 래치 결합 또는 마찰-끼워맞춤식 기계적 고정구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적절하게, 2개의 부분들 사이의 전기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전기 접촉부들/전극들을 적절하게 배열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에서, 카트리지는 마우스피스(33), 마우스피스 단부(52) 및 계면 단부(54)를 포함하고,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의 계면 단부 부분(6)을 대응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리셉터클(8)/수용 섹션에 삽입함으로써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커플링된다.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 부분(6)은 리셉터클(8)에 있도록 밀착(close fit)되고, 그리고 돌출부들(56)을 포함하며, 돌출부들(56)은 리셉터클(8)을 규정하는 리셉터클 벽(12)의 내부 표면 내의 대응하는 멈춤쇠들(detents)과 맞물림하여 카트리지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사이에 해제 가능한 기계적 맞물림을 제공한다. 카트리지의 최하부 상의 한 쌍의 전기 접촉부들(도 1에 도시되지 않음) 및 리셉터클(8)의 베이스에 있는 대응하는 스프링 접촉 핀들(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카트리지 사이에 전기 연결이 설정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전기 연결이 설정되는 특정 방식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으며, 실제로 일부 구현들은 카트리지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사이에 전기 연결을 전혀 갖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재사용 가능 부품으로부터 카트리지로의 전력 전달이 무선일 수 있기(예컨대, 전자기 유도 기술들에 기반함) 때문이다.
전자 시가렛(1)(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종축(L)을 따라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카트리지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커플링될 때, 이 예에서 (종축을 따라) 전자 시가렛의 전체 길이는 약 12.5 cm이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전체 길이는 약 9 cm이고, 카트리지의 전체 길이는 약 5 cm이다(즉,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 부분(6)과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리셉터클(8) 사이에는 이들이 함께 커플링될 때 약 1.5 cm의 중첩이 존재함). 전자 시가렛은, 단면이 일반적으로 타원형이고 전자 시가렛의 중간 주위에서 가장 크고 단부들을 향해 만곡된 방식으로 테이퍼링되는 단면을 갖는다. 전자 시가렛의 중간 주위의 단면은 약 2.5 cm의 폭 및 약 1.7 cm의 두께를 갖는다. 카트리지의 단부는 약 2 cm의 폭 및 약 0.6 mm의 두께를 갖는 반면, 전자 시가렛의 다른 단부는 약 2 cm의 폭 및 약 1.2 cm의 두께를 갖는다. 이 예에서 전자 시가렛의 외부 하우징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전자 시가렛 및 전자 시가렛으로 제조되는 재료의 특정 크기 및 형상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대해 일차적으로 중요하지 않으며, 상이한 구현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은 상이한 크기들, 형상들 및/또는 재료들을 갖는 전자 시가렛들에 대해 동일하게 채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는 그 기능성 및 일반적인 구성 기술들의 관점에서 광범위하게 통상적일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8)을 규정하는 리셉터클 벽(12)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외부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의 외부 하우징(10)은, 2개의 부품들 사이의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의 계면에서 카트리지(2)의 형상 및 크기에 일치하는 일반적으로 타원형 단면을 갖는다. 카트리지(2)의 단부 부분(6) 및 리셉터클(8)은 180° 회전될 때 대칭적이어서, 카트리지는 2개의 상이한 배향들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리셉터클 벽(12)은, 2개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공기 입구 개구들(14)(즉, 벽의 홀들)을 포함한다. 이들 개구들(14)은, 카트리지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커플링될 때,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50)와 정렬되도록 위치결정된다. 개구들(14) 중 상이한 하나는 상이한 배향들로 카트리지의 공기 입구(50)와 정렬된다. 일부 구현들은, 카트리지가 단지 하나의 배향으로만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임의의 정도의 회전 대칭을 갖지 않을 수 있는 한편, 다른 구현들은 카트리지가 더 많은 배향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더 높은 정도의 회전 대칭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전자 시가렛을 위한 동작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16), 전자 시가렛의 동작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18), 사용자 입력 버튼(20), 표시 등(22), 및 충전 포트(24)를 더 포함한다.
본 예에서 배터리(16)는 재충전가능하고, 통상적인 유형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교적 짧은 기간들 동안 비교적 높은 전류들의 제공을 필요로 하는 전자 시가렛들 및 다른 적용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일 수 있다. 배터리(16)는, 예컨대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는 충전 포트(24)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입력 버튼(20)은 종래의 기계적 버튼이며, 예를 들어, 하측 회로부에서 전기 접촉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스프링 장착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 버튼은, 예컨대 에어로졸 생성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로 고려될 수 있고, 그리고 버튼이 구현되는 특정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 예컨대, (예컨대, 용량성 또는 광학 감지 기술들에 기반한) 기계식 버튼 또는 터치-감응 버튼의 다른 형태들이 다른 구현들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버튼이 없을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퍼프 검출기(puff detector)에 의존할 수 있다.
표시 등(22)은, 전자 시가렛과 연관된 다양한 특성들의 시각적 표시, 예컨대 동작 상태(예컨대, 온/오프/대기), 및 다른 특성들, 이를테면 배터리 수명 또는 결함 상태들의 표시를 사용자에게 부여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이한 특성들은, 예컨대,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상이한 컬러들 및/또는 상이한 플래시 시퀀스들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8)는 전자 시가렛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된 기술들에 따라 종래의 동작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전자 시가렛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적절하게 구성/프로그래밍된다. 제어 회로부(프로세서 회로부)(18)는 전자 시가렛의 동작의 상이한 양상들과 연관된 다양한 서브-유닛들/회로부 요소들을 논리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상이한 구현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성에 따라, 제어 회로부(18)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배터리/전원으로부터 카트리지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공급 제어 회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구성 설정들(예컨대, 사용자-규정된 전력 설정들)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뿐만 아니라, 본원에서 설명된 원리들 및 전자 시가렛들의 종래의 동작 양상들에 따른 다른 기능 유닛들/회로부 관련 기능들, 이를테면 표시 등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 및 사용자 입력 검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8)의 기능성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 - 예를 들어,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칩(들)/칩셋(들)을 사용함 - 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길이 방향 축(L)을 따라 분해된) 카트리지(2)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카트리지(2)는 하우징 부분(32), 공기 채널 밀봉부(34), 분할 벽 요소(36), 출구 튜브(38), 증발기/가열 요소(40),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42), 플러그(44), 및 접촉 전극들(46)을 갖는 단부 캡(48)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이들 컴포넌트들 중 일부를 더 상세히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는 하우징 부분(32)이 가장 얇은 길이 방향 축(L)을 통한 하우징 부분(32)의 개략적인 절취도이다. 도 3b는 하우징 부분(32)이 가장 넓은 길이 방향 축(L)을 통한 하우징 부분(32)의 개략적인 절취도이다. 도 3c는 계면 단부(54)로부터의 길이 방향 축(L)을 따른 (즉, 도 3a 및 도 3b의 배향으로 아래에서부터 본) 하우징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아래에서부터 본 분할 벽 요소(36)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b는 아래에서부터 본 분할 벽 요소(36)의 상부 부분을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위로부터의 플러그(44)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아래로부터의 플러그(44)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c는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52)로부터 본 (즉, 도 1 및 도 2에서의 배향에 대해 위에서부터 본) 길이 방향 축(L)을 따른 플러그(44)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위로부터의 단부 캡(48)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b는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52)로부터 본(즉, 위로부터 본) 길이 방향 축(L)을 따른 단부 캡(48)의 개략도이다.
이 예에서 하우징 부분(32)은 하우징 외부 벽(64) 및 하우징 내부 튜브(62)를 포함하며, 이 예에서, 하우징 외부 벽(64) 및 하우징 내부 튜브(62)는 폴리프로필렌의 단일 몰딩으로 형성된다. 하우징 외부 벽(64)은 카트리지(2)의 외관을 규정하고, 하우징 내부 튜브(62)는 카트리지를 통하는 공기 채널의 일부를 규정한다. 하우징 부분은, 마우스피스(33)로부터, 하우징 내부 튜브(62)와 유체 연통하는 마우스피스 개구/에어로졸 출구(60)를 제외하고,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54)에서 개방되고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52)에서 폐쇄된다. 하우징 부분(32)은,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50)를 제공하는 개구를 측벽에 포함한다. 이 예에서 공기 입구(50)는 약 2 ㎟의 면적을 갖는다. 하우징 부품(32)의 외부 벽(64)의 외부 표면은, 카트리지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사이에 해제 가능한 기계적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리셉터클(8)을 규정하는 리셉터클 벽(12)의 내부 표면 내의 대응하는 멈춤쇠들과 맞물리는 위에서 논의된 돌출부들(56)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분의 외부 벽(64)의 내부 표면은,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길이 방향 축(L)을 따라 분할 벽 요소(36)를 위치시키기 위한 맞닿음 정지부(abutment stop)를 제공하도록 작용하는 추가의 돌출부들(66)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분(32)의 외부 벽(64)은,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단부 캡이 하우징 부분이 되도록 고정하기 위해 단부 캡에 대응하는 래치 돌출부들(70)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래치 오목부들(68)을 제공하는 홀들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 부분(32)의 외부 벽(64)은 공기 입구(50)와 유체 연통하는 갭(76)을 규정하는 이중-벽식 섹션(74)을 포함한다. 갭(76)은 카트리지를 통하는 공기 채널의 일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예에서, 하우징 부분(32)의 이중-벽식 섹션(74)은, 갭이 대략 3 ㎟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단면을 갖는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하우징의 외부 벽(64) 내에서 이어진 공기 채널을 규정하도록 배열된다. 하우징 부분의 이중-벽식 섹션에 의해 규정된 공기 채널(76)의 갭/부분은 하우징 부분(32)의 개방 단부까지 아래로 연장된다.
공기 채널 밀봉부(34)는 일반적으로 관통 홀(80)을 갖는 튜브의 형태인 실리콘 몰딩이다.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외부 벽은 원주 방향 리지들(84) 및 상부 칼라(82)를 포함한다.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내부 벽은 또한 원주 방향 리지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도 2에서 보이지 않는다.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공기 채널 밀봉부(34)는 하우징 내부 튜브(62)에 장착되며, 하우징 내부 튜브(62)의 단부는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관통 홀(80)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공기 채널 밀봉부 내의 관통 홀(80)은 이완된 상태에서 약 5.8 mm의 직경을 갖는 반면, 하우징 내부 튜브(62)의 단부는 약 6.2 mm의 직경을 가져서, 공기 채널 밀봉부(34)가 하우징 내부 튜브(62)를 수용하기 위해 신장될 때 밀봉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밀봉부는,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내부 표면 상의 리지들(ridges)에 의해 가능해진다.
출구 튜브(38)는 예를 들어, 약 8.6 mm의 내부 직경 및 약 0.2 mm의 벽 두께를 갖는, ANSI 304 스테인리스 강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튜브형 섹션을 포함한다. 출구 튜브(38)의 최하부 단부는 각각의 슬롯의 단부가 반원형 오목부(90)를 갖는 한 쌍의 정반대의 슬롯들(88)을 포함한다.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출구 튜브(38)는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외부 표면에 장착된다. 공기 채널 밀봉부의 외부 직경은 그의 이완된 상태에서 약 9.0 mm이고, 그에 따라, 공기 채널 밀봉부(34)가 출구 튜브(38) 내부에 끼워맞춤되도록 압축될 때 밀봉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밀봉부는,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외부 표면 상의 리지들(84)에 의해 가능해진다. 공기 채널 밀봉부(34) 상의 칼라(80)는 출구 튜브(38)를 위한 정지부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42)는, 모세관 심지를 포함하고, 증발기(에어로졸 생성기)(40)는 모세관 심지 주위에 권선된 저항 와이어 가열기를 포함한다. 모세관 심지 주위에 권선된 저항 와이어의 부분에 부가하여, 증발기는 전기 리드들(41)을 포함하며, 전기 리드들(41)은 플러그(44)의 홀들을 통해 단부 캡(54)에 장착된 접촉 전극들(46)로 전달되어 카트리지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될 때 설정되는 전기 계면을 통해 증발기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증발기 리드들(41)은 모세관 심지 주위에 권선된 저항 와이어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모세관 심지 주위에 권선된 저항 와이어에 연결된 상이한 재료(예컨대, 더 낮은-저항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가열기 코일(40)은 니켈 철 합금 와이어를 포함하고, 심지(42)는 유리 섬유 다발을 포함한다. 증발기 및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는 임의의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제공될 수 있고, 상이한 형태들 및/또는 상이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현들에서, 심지는 섬유성 또는 고체 세라믹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 기는 상이한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가열기 및 심지는, 예컨대 다공성 및 저항성 재료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특정 성질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 및 증발기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대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심지(42)가 출구 튜브(38)의 반원형 오목부들(90)에 수용되어, 가열 코일이 권선되는 심지의 중앙 부분이 출구 튜브 내부측에 있는 한편, 심지의 단부 부분들은 출구 튜브(38) 외부측에 있다.
이 예에서 플러그(44)는 실리콘의 단일 몰딩을 포함하며, 탄성적일 수 있다. 플러그는 베이스 부분(100)을 포함하며, 베이스 부분(100)으로부터 상방으로 (즉,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를 향해) 외부 벽(102)이 연장된다. 플러그는, 베이스 부분(10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베이스 부분(100)을 관통하는 관통 홀(106)을 둘러싸는 내부 벽(104)을 더 포함한다.
플러그(44)의 외부 벽(102)은,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플러그인(44)이 하우징 부분(32)과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하우징 부분(32)의 내부 표면과 일치한다. 플러그(44)의 내부 벽(104)은, 출구 튜브(38)의 내부 표면과 일치하고, 그에 따라,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플러그(44)가 또한 출구 튜브(38)와 밀봉부를 형성한다. 내부 벽(104)은, 각각의 슬롯의 단부가 반원형 오목부(110)를 갖는, 정반대 슬롯들(108)의 쌍을 포함한다. 내부 벽(104)의 각각의 슬롯의 최하부로부터 외측방으로(즉,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은,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42)의 섹션을 수용하도록 형상이 정해진 크래들 섹션(cradle section)(112)이다. 플러그(44)의 내부 벽에 의해 제공되는 슬롯들(108) 및 반원형 오목부들(110), 그리고 출구 튜브(38)의 슬롯들(88) 및 반원형 오목부들(90)은, 출구 튜브(38)의 슬롯들(88)이 홀들 - 이 홀들을 통해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가 통과함 -을 규정하도록 협력하는 출구 튜브 및 플러그의 개개의 반원형 오목부들과 함께 크래들들(112) 중 개개의 크래들을 수용하도록 정렬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가 통과하는 반원형 오목부들에 의해 제공되는 홀들의 크기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의 크기 및 형상에 밀접하게 대응하지만, 약간 더 작으므로, 플러그(44)의 탄성에 의해 어느 정도의 압축이 제공된다. 이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이송되지 않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개구들을 통과할 수 있는 정도를 제한하면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모세관 작용에 의해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를 따라 운송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플러그(44)는 베이스 부분(100)에 추가의 개구들(114)을 포함하며,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증발기를 위한 접촉 리드들(41)이 그 개구들(114)을 통해 통과한다. 플러그의 베이스 부분의 최하부는, 베이스 부분의 최하부의 나머지 표면과 단부 캡(48) 사이의 오프셋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들(116)을 포함한다. 이들 스페이서들(116)은 개구들(114)을 포함하며, 개구들(114)을 통해 증발기를 위한 전기 접촉 리드들(41)이 통과한다.
단부 캡(48)은 내부에 장착된 한 쌍의 금-도금된 구리 전극 포스트들(46)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몰딩을 포함한다.
단부 캡의 최하부 측 상의 전극 포스트들(44)의 단부들은, 단부 캡(48)에 의해 제공되는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54)와 동일 평면에 가깝다. 이들은, 카트리지(2)가 조립되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 내에서 대응하게 정렬된 스프링식 접촉부들이 연결되는 전극들의 부분들이다. 카트리지의 내부측 상의 전극 포스트들의 단부들은 단부 캡(48)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플러그(44)의 홀들(114) 내로 연장되며, 이를 통해 접촉 리드들(41)이 통과한다. 전극 포스트들은 홀들(114)에 비해 약간 오버사이즈되고, 플러그에 의해 증발기를 위한 접촉 리드들과 가압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플러그의 홀들(114) 내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들의 상부 단부들에 챔퍼를 포함한다.
단부 캡은, 베이스 섹션(124) 및 하우징 부분(32)의 내부 표면에 일치하는 직립 벽(120)을 갖는다. 단부 캡(48)의 직립 벽(120)은 하우징 부분(32) 내로 삽입되어, 래치 돌출부들(70)이,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하우징 부분에 단부 캡(48)을 스냅-끼워맞춤(snap-fit)하기 위해, 하우징 부분(32)의 래치 오목부들(68)과 맞물린다. 단부 캡(48)의 직립 벽(120)의 최상부는 플러그(44)의 주변 부분과 접하고, 플러그 상의 스페이서들(116)의 하부면은 또한, 플러그의 베이스 섹션(124)과 접하며, 그에 따라 단부 캡(48)이 하우징 부분에 부착될 때, 단부 캡은 탄성 부분(44)에 대해 가압되어 단부 캡을 약간의 압축 상태로 유지한다.
단부 캡(48)의 베이스 부분(124)은,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에서 하우징 부분의 외부 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직립 벽(112)의 베이스를 넘어 주변 립(peripheral lip)(126)을 포함한다. 또한, 단부 캡은, 플러그의 대응하는 로케이팅 홀(128)과 정렬되는 직립 로케이팅 핀(122)을 포함하여, 조립 동안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돕는다.
분할 벽 요소(36)는 폴리프로필렌의 단일 몰딩을 포함하고, 분할 벽(130), 및 분할 벽(130)으로부터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된 칼라(132)를 포함한다. 분할 벽 요소(36)는 출구 튜브(38)가 통과하는 중앙 개구(134)를 갖는다(즉, 분할 벽이 출구 튜브(38) 주위에 배열됨). 일부 실시예들에서, 분할 벽 요소(36)는 출구 튜브(3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플러그(44)의 외부 벽(102)의 상부 표면은 분할 벽(130)의 하부 표면과 맞물리고, 분할 벽(130)의 상부 표면은 차례대로, 하우징 부분(32)의 외부 벽(64)의 내부 표면 상의 돌출부들(66)과 맞물린다. 따라서, 분할 벽(130)은 플러그가 하우징 부분(32) 내로 너무 멀리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즉, 분할 벽(130)은 하우징 부분의 돌출부들(66)에 의해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고정적으로 위치되고, 그에 따라 밀어내기 위한 고정된 표면을 갖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분할 벽으로부터의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된 칼라(132)는, 플러그(44)의 외부 벽(102)의 내부 표면 상의 대응하는 오목부들과 맞물리는 제1 쌍의 대향 돌출부들/설형부들(tongues)(134)을 포함한다. 분할 벽(130)으로부터의 돌출부들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가 통과하는 개구를 추가로 규정하기 위해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플러그(44) 내의 크래들 섹션들(112) 중 대응하는 것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한 쌍의 크래들 섹션들(136)을 더 제공한다.
카트리지(2)가 조립될 때, 공기 입구(50)로부터 카트리지를 통해 에어로졸 출구(60)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이 형성된다. 하우징 부분(32)의 측벽의 공기 입구(50)로부터 시작하여, 하우징 부분(32)의 외부 벽(64)에 이중 벽식 섹션(74)에 의해 형성된 갭(76)에 의해 공기 채널의 제1 섹션이 제공되고, 그리고 공기 입구(50)로부터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54)를 향해 플러그(44)를 지나 연장된다. 공기 채널의 제2 부분은 플러그(44)의 베이스와 단부 캡(48) 사이의 갭에 의해 제공된다. 공기 채널의 제3 부분은 플러그(44)를 통해 홀(106)에 의해 제공된다. 공기 채널의 제4 부분은, 증발기(40) 주위의 출구 튜브 및 플러그의 내부 벽(104) 내의 구역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공기 채널의 이러한 제4 부분은 에어로졸/에어로졸 생성 구역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 동안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1차 구역이다. 공기 입구(5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으로의 공기 채널은, 공기 채널의 공기 입구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공기 채널의 제5 부분은 출구 튜브(38)의 나머지에 의해 제공된다. 공기 채널의 제6 부분은 마우스피스(33)의 단부에 위치되는, 공기 채널을 에어로졸 출구(60)에 연결하는 외부 하우징 내부 튜브(62)에 의해 제공된다. 에어로졸 출구가 될 에어로졸 생성 구역으로부터의 공기 채널은, 공기 채널의 에어로졸 출구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위한 저장소(31)가 공기 채널 외부측 그리고 하우징 부분(32) 내부측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제조 동안, 예컨대 충전 홀(filling hole) - 이는 그런 다음 밀봉됨 -을 통해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특정 성질은, 예컨대 그 조성의 관점에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대해 일차적으로 중요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전자 시가렛들에서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의 임의의 종래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로서 액체를 언급할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e-액체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은 유동 능력이 있고 액체, 겔 또는 고체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에 적용되며, 여기서, 고체의 경우 복수의 고체 입자들은 벌크(bulk)로서 고려될 때 유동 능력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저장소는 플러그(44)에 의해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에서 폐쇄된다. 저장소는, 플러그의 외부 벽과 공기 채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분할 벽(130) 위의 제1 구역 및 분할 벽(130) 아래의 제2 구역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모세관 심지)(42)는 플러그(44) 및 출구 튜브(38)의 반원형 오목부들(108, 90) 및 플러그(44) 및 분할 벽 요소(36)의 크래들 섹션들(112, 136) - 이들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림 - 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 채널의 벽의 개구들을 통과한다. 따라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의 단부들은 저장소의 제2 구역 내로 연장되고, 그 저장소의 제2 구역으로부터, 이들은 후속적인 기화를 위해 공기 채널의 개구들을 통해 증발기(40)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흡인한다.
정상적인 사용시에, 카트리지(2)는 단부 캡(48) 내의 접촉 전극들(46)을 통해 카트리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활성화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에 커플링된다. 그런 다음, 전력은 연결 리드들(41)을 통해 증발기(40)로 전달된다. 따라서, 증발기는 전기적으로 가열되어 증발기 부근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로부터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일부를 증발시킨다. 이는 공기 경로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로부터 증발되는 에어러졸 가능 재료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저장소로부터 흡인된 더 많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로 대체된다. 증발기가 활성화되는 동안, 사용자는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52)를 흡입한다. 이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공기 입구(14)가 카트리지의 공기 입구(50)와 정렬되는 어느 쪽이든 공기가 흡인되게 한다(이는 카트리지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리셉터클(8) 내에 삽입된 배향에 의존할 것임). 그런 다음, 공기는 공기 입구(50)를 통해 카트리지에 진입하고, 하우징 부분(32)의 이중 벽식 섹션(74)에서 갭(76)을 따라 통과하고, 플러그(44)의 베이스 부분(100)에 있는 홀(106)을 통해 증발기(40)를 둘러싸는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 진입하기 전에 플러그(44)와 단부 캡(48) 사이를 통과한다. 유입 공기는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되어 응축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이는 그런 다음, 사용자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출구/에어로졸 출구(60)를 통해 빠져 나가기 전에 출구 튜브(38) 및 하우징 부분 내부(62)를 따라 흡인된다.
상기 도 1 내지 도 6b로부터, (잠재적으로 다른 형태들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가능한 실시예 구성을 알 수 있다.
이제 도 7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은 또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이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기반으로 할 수 있지만,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한 다른 형태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도 사용할 수 있음)을 제공하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의 사용자(400)에게 피드백(F)을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부분(200)을 더 포함한다. 일반적인 수준에서, 피드백 부분(200)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후에 피드백(F)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동안 피드백(F)을 제공하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 모드에 대한 피드백(F)은 사용자가 시스템 동작을 완료한 후 적절한 시간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테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및/또는 그러한 카트리지 유형 배열체가 채택되는 임의의 관련 카트리지(2))가 사용자의 입 안에 있을 가능성이 적을 때, 이를 통해 사용자(400)가 피드백(F)을 더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피드백(F)이 사용자(400)에 의해 눈에 띄지 않거나 보이지 않을 가능성을 줄이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피드백 부분(200)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또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 일부 시간(즉, 도 8a에서의 상황/포지션 이후의 일부 시간)에 피드백(F)을 제공하고, 주어진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이 생성된 후의 시간 창에 피드백(F)이 제공되는 것(도 8b 및 도 8c에 따름)을 허용하며,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가방(401)이나 주머니와 같이 사용자(400)의 시야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되는 것(도 8d에 따름)과 대조적으로, 사용자(400)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손에 들고 있는 동안 피드백(F)이 계속 제공될 수 있도록 충분히 빠르게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내용을 인식하면, 사용자(400)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자신의 입에서 꺼내는 데 최소한 일정 시간 기간을 허용하여 임의의 제공된 피드백(F)이 사용자(400)에게 훨씬 더 분명하게 만들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부분(200)은 늦어도 10초 이내(no later than); 늦어도 8초 이내; 늦어도 5초 이내; 늦어도 4초 이내; 늦어도 3초 이내; 늦어도 2초 이내; 늦어도 1초 이내; 늦어도 0.8초 이내; 늦어도 0.5초 이내에 및/또는 늦어도 0.3초 이내에 피드백(F)을 제공(즉, 제공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또는 더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은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을 완료한다. 여기에서 용어 "종료된"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임의의 제공된 에어로졸 생성기(40)에 전력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 경우의 시간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 피드백(F)을 너무 일찍 제공하지 않도록, 이를테면 임의의 대응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또는 그러한 카트리지가 또한 채택되는 경우에는 그로부터의 카트리지(2))가 여전히 사용자의 입 안에 있는 동안 피드백(F)이 제공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것이며(여기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00)는 더욱 주의가 산만해져서 피드백 부분(200)으로부터의 피드백(F)을 덜 잘 인식할 수 있게 됨),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드백 부분(200)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을 완료한 후에, 5초 이후(no earlier than); 3초 이후; 2초 이후; 1초 이후; 0.8초 이후 및/또는 0.5초 이후에 피드백을 제공(즉, 제공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제공된 피드백(F)의 지속기간 'd'과 관련하여, 이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을 완료한 후에, 예컨대 도 8b 및 도 8c의 포지션에 따라, 사용자(400)가 충분히 상세하게 가장 잘 인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에 따라, 일부 실시예들에서, 피드백 부분(200)은 적어도(at least) 2초; 적어도 3초; 적어도 4초; 적어도 5초; 적어도 7초; 및/또는 적어도 10초의 지속기간 'd' 동안 피드백(F)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 및/또는 피드백 부분(200)은, 미리 정해진 상황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의 제어기(18)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될 때까지 피드백(F)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일부 매우 특정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상황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또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로부터의) 입력 버튼(20)의 동작일 수 있다(예컨대, 사용자(400)가 피드백(F)을 확인하기 위해 입력 버튼(20)을 동작시킴).
또 다른 매우 특정한 실시예는, 인식 가능하게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의 온도(이를테면, 에어로졸 생성기(40)의 온도)가 더 이상 미리 정해진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미리 정해진 상황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드백(F)이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 또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이 과열된 것으로 결정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형태의 결함과 같은 결함을 경험했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는 한,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에서 피드백(F)은 온도가 더 이상 미리 정해진 온도를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드백(F)의 지속기간 'd'를 유지하면, 피드백(F)은 전원 공급장치(16)를 과도하게 소모할 만큼 길지 않고 그리고/또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400)를 짜증나게 하거나 좌절시킬 정도로 길지 않은 지속기간 'd' 동안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피드백 부분(200)은 30초 이하(no more than); 25초 이하; 20초 이하; 15초 이하; 10초 이하; 8초 이하; 및/또는 5초 이하의 지속기간 동안 피드백(F)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식 가능하게는, 또한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드백(F)은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에 따라, i) 위 지속기간들 중 어느 하나; 및 ii)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의 제어기(18)에 의해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될 때(예컨대, 사용자(400)가 피드백(F)을 확인하기 위해 입력 버튼(20)을 동작시킴)까지 중 더 짧은 지속기간 'd' 동안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후자의 하이브리드 지속기간 'd'은, 사용자(400)에 의해 가장 잘 인식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렇지만 전원 공급장치(16)로부터 전력을 과도하게 소비하고 그리고/또는 사용자(400)를 짜증나게 하거나 좌절시키는 것으로 간주될 정도로 길지는 않을 수 있는 방식으로, 피드백(F)을 보다 양호하게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F)의 기간 'd'이 아무리 길더라도, 일단 피드백(F)이 제공되면, 사용자(400)는 도 8d의 개시내용에 따라, 필요에 따라 나중에 재사용하기 위해, 자신의 가방(401)이나 주머니에 있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임의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교체하려고 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인식하면, 피드백(F)은 필요한 수의 (상이한) 동작 모드들에 대해 공급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그리고 이 점에서도, 각각의 동작 모드 후에 제공되는 피드백(F)은 각각의 서로 다른 동작 모드에 대해 반드시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임의의 주어진 동작 모드에 대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피드백(F)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또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의 미리 정해진 특성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러한 미리 정해진 특성은 물리적 매개변수(이를테면,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안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에어로졸 생성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특성은 화학적 매개변수(이를테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증발되었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조성)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추가/대체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특성은 전기적 매개변수(예컨대,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안 에어로졸 생성기(40)에 전달되는 전력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피드백 부분(200)으로부터의 임의의 제공 피드백의 형태에 관해, 이는 다양한 상이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제공된 피드백(F)은 시각적 피드백; 음향 피드백; 및/또는 촉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시각 손상을 갖는 자들을 위해, 음향 또는 촉각 피드백의 사용은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위의 피드백(F)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피드백 부분(200)은 광학 피드백 요소 또는 시각적 피드백 요소(이를테면, LED, 광원, 또는 디스플레이); 음향 요소(이를테면, 스피커); 및/또는 촉각 피드백 요소(이를테면, 진동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각적 피드백은, 일단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그런 다음 사용자가 자신의 입술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4)의 임의의 부분을 제거하고 그런 다음, 피드백 부분(200)(이를테면, 임의의 광학적 피드백 요소 또는 그로부터의 시각적 피드백 요소)을 관찰하여 (예컨대, 도 8c와 관련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드백 부분(200)에 의해 제공되는 피드백을 편리하게 관찰하는 한,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위 사항을 염두에 두고, 인식 가능하게, 상기에 제시된 것들에 대한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로부터 임의의 잠재적인 시각/음향/촉각 피드백 요소(들)를 포함하는 임의의 그러한 피드백 부분(200)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이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카트리지(2)/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 유형 배열체를 포함할 수 있음) 상에 가장 편리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그리고 일부 잠재적인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드백 부분(200)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 상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즉, 상이하게 말하자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는 피드백 부분(20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 그래서 대신에 다른 곳에, 예컨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와 연통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는 전기 디바이스(250)의 일부로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디바이스(250)는 이러한 방식으로, 피드백 부분(2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전기 디바이스(250)가 어떠한 것일 수 있는지에 관해, 이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 또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와 동작 가능하게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전기 디바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4)의 사용자(400)가 휴대할 수 있거나 착용할 수 있는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이를테면, 전기 손목 스트랩 또는 발목 스트랩)와 같은 임의의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물론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요구되는 바와 같이, 전기 디바이스(250)는 이를테면 무선 연결 프로토콜(270)을 통해 무선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와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인식 가능하게는, 전기 디바이스(250)는 또한 적절하게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와의 임의의 그러한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선 송신기/수신기/트랜시버(252)를 포함할 수 있다(이는, 그 후, 동일하게 또한 제어기(18)와 통신하는 무선 송신기/수신기/트랜시버(97)를 포함할 수 있음).
피드백(F)에 대한 위의 잠재적인 형태들에 주목하면, 일반적인 수준에서, 본원에 설명된 피드백(F)은 다수의 다른 것들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주목된 바와 같이, 피드백(F)은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이 표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i)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또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의 미리 정해진 특성의 표시;
ii) 매우 특정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 및/또는 그로부터의 임의의 에어로졸 생성기(40)가 과열된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결함과 같은 결함을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또는 장치가 경험했다는 표시;
iii) 전력 공급장치(16)가 미리 정해진 남은 전력량 미만(예컨대, 매우 특정한 실시예에서는 5% 또는 10% 미만이 남음)을 포함한다는 표시;
iv) 카트리지(2)/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4) 배열체가 채택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트리지(2)를 교체하거나 재충전하라는 제안을 포함하는 표시;
v)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그리고 또는 특히 이러한 카트리지(2)가 채택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2))의 적어도 일부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 미만을 포함한다는 표시.
따라서, 일반적인 수준에서, 임의의 제공된 표시는 사용자(400)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되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인식 가능하게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일부를 보다 양호하게 수행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제어 회로부(18)와 같은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8)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을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을 완료했다고 제어기(18)가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그런 다음, 제어기(18)는 피드백 부분(200)이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임의의 제공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 또는 디바이스(4)는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91)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기(18)는 센서(91)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피드백(F)에 대한 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8)가 피드백(F)에 대한 표시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그런 다음, 제어기(18)는 피드백 부분(200)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에 표시를 포함하는 피드백(F)을 제공하기 위해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센서(91)가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인식 가능하게는, 이는 피드백(F)의 일부로서 제공되도록 의도된 표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91)는 온도 센서(9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데이터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일부의 온도와 같은 온도, 이를테면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40)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값을 포함하며 ― 도 7의 실시예에 따른다.
그러므로 그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어기(18)는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온도 값이 미리 정해진 온도를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온도 값이 미리 정해진 온도를 초과한 것으로 제어기(18)가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기(18)는 피드백 부분(200)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에 표시를 포함하는 피드백(F)을 제공하기 위해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인식 가능하게, 이러한 표시는 일부 경우들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또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결함 및/또는 과열을 경험했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F)의 또 다른 잠재적 응용은,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증발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조성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400)가 증발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조성(또는 향미)에 익숙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에 제공되는 피드백(F)은 사용자(400)가 어느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증발되었는지를 보다 양호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 대해, 일부 경우들에서는 조성 정보가 제어기(18)에, 예컨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에 대한 카트리지(2)의 임의의 연결의 일부로서 직접 제공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성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조성을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센서(91; 99)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센서(91; 99)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와 유체 연통하고, 그리고/또는 이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임의의 제공된 카트리지(2) 및/또는 저장소(31)는 도 7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그러한 제공된 센서(91; 99)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F)의 또 다른 잠재적인 응용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및/또는 카트리지(2)가 채택되는 경우 특히 카트리지(2))의 적어도 일부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 미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어기(18)가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남은 양이 적다는 표시 및/또는 카트리지(2)에 교체가 필요하다는 표시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재충전이 필요하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피드백(F)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실시예들에 대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은, 센서(91)로부터의 센서 데이터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또는 일부 더 좁은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2))의 적어도 일부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기(18)는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 미만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 미만으로 포함되어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그런 다음, 제어기(18)는 피드백 부분(200)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에 표시를 포함하는 피드백(F)을 제공하기 위해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드백(F)의 결과로, 일단 사용자(400)가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완료하면, 사용자(400)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나머지 양이 적다는 것을 알기 위한 피드백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것을 이해하는 동안,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설명되어 있으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부분을 포함하고, 피드백 부분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후에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동안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이 또한 설명되어 있으며, 이 방법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안이 아닌 시점에서 피드백 부분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이 또한 설명되어 있으며, 시스템(300)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의 사용자(400)에게 피드백(F)을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부분(200)을 포함한다. 피드백 부분(200)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후에 피드백(F)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동안 피드백(F)을 제공하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드백(F)은, 사용자(400)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의 동작을 완료한 후 적절한 시간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테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입 안에 없는 경우에, 사용자(400)가 피드백(F)를 더 용이하고 쉽게 볼 수 있게 한다.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당해 기술을 진전시키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청구된 발명(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로서 보여준다. 본 개시내용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이고, 여기에만 국한되고 그리고/또는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청구된 발명(들)을 이해하고 교시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단지 제시된다. 본 개시의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에 대한 제한들로서, 또는 청구범위의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서 고려되지 않아야 하고, 청구범위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분들, 단계들, 수단들 등,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과 다른 것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될 수 있고, 따라서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 이외의 다른 조합들로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추후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제공된 피드백 부분(들)(200)에 어떻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지(이들이 전혀 존재한다면)에 대해, 각각의 피드백 부분(200)은 전력 공급장치(16)를 사용하여 전력공급되거나, 또는 자체 전원으로 각각 전력 공급된다(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음)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그러한 피드백 부분(들)(200) 및/또는 센서(들)(91)의 위치결정과 관련하여, 이들의 위치들은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도록 요구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300) 내의 어느 곳이나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예컨대, (필요한 경우 예컨대, 접착 패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제 가능하게)) 스트랩 또는 일부 다른 패치 또는 사용자(400)에게 고정될 수 있는 디바이스와 같이 사용자(400)에게 부착할 수 있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 상에(예컨대, 별도의 전기 디바이스(250)에서) 피드백 부분(200) 및/또는 센서(들)(91)가 실제로 위치되지 않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카트리지(2) 및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를 포함하는 경우, 임의의 제공된 피드백 부분(들)(200) 및/또는 센서(들)(91)는 피드백 부분(200) 또는 센서(들)(91)의 요구되는 기능을 허용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카트리지(2) 또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완벽성을 위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에 임의의 피드백 부분(들)(200) 또는 센서(들)(91)와 관련하여, 제어 회로부(18)와 개개의 피드백 부분(200)/센서(91)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사용하여 거기에 송신된 임의의 전력 또는 신호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유선 연결은 대응하는 피드백 부분(200) 및/또는 센서(91)와 제어 회로부(18) 사이에 제공되고, 그리고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4) 및 카트리지(2) 각각에 위치되는 접촉 전극들(46)을 통해, 구성요소가 인터페이스 단부(54)를 가로질러 카트리지(2)에 위치하는 경우 연장된다.
마지막으로, 또한, 본 개시내용이 반드시 특정 개수의 동작 모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교시는 동작 모드들의 임의의 정수(예컨대, 예를 들어 1 내지 100의 수)에 인식가능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드백 부분(200)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n 번째)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후에 (n 번째)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n 번째)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동안 (n 번째)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다수의 작동 모드들이 채택되는 경우, 그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각각의 동작 모드에 대한 피드백(F)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에 반드시 동시에 그리고/또는 동일한 지속기간 동안 제공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에따라, 예를 들어 일부 매우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동작 모드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을 완료한 후 1초 이후(no earlier than)에 제공되고 그리고 5초 이하(no more than)의 지속시간 동안 제공되는 피드백(F)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그러한 실시예들 및 잠재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에서의 또 다른 동작 모드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을 완료한 후 0.5초 이후에 제공되고 그리고 10초 이하의 지속기간 동안 제공되는 피드백(F)을 가질 수 있다(예컨대, 이 후자의 동작 모드에 관한 피드백(F)이 초기 동작 모드에 관한 피드백(F)과 비교하여 사용자(400)가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경우임).
다중 동작 모드가 채택되는 경우, 각각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피드백 레벨이 다를 수 있다는 것도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다르게 말하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동작 모드에 관한 피드백(F)은 다른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피드백 레벨보다 더 큰 피드백(F)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F)의 '레벨'에 의해, 이는 피드백의 양(예컨대, 시각적 피드백의 경우 피드백의 밝기, 음향 피드백의 경우 피드백의 크기), 피드백의 크기(예컨대, 시각적 피드백의 경우 피드백의 밝기, 촉각 피드백의 경우 피드백(F)의 강도) 또는 심지어 피드백의 중요성(예컨대, 시각적 피드백의 경우 피드백의 밝기, 촉각 피드백의 경우 피드백(F)의 강도, 또는 음향 피드백의 경우 피드백의 크기)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 가능하게도, 이러한 레벨이 채택되는 경우, 이것은 또한 일부 좁은 실시예들에 따라, 평균 레벨 또는 최대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8)

  1.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후에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동안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상기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을 완료한 후 늦어도 5초 이내(no later than)에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상기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을 완료한 후 1초 이후(no earlier than)에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부분은 적어도 5초의 지속기간 동안 상기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부분은 10초 이하(no more than)의 지속기간 동안 상기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시각적 피드백(visual feedback)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음향 피드백(acoustic feedback)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특성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특성은 상기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안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에어로졸 생성 속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2.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특성은 상기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안 상기 에어로졸 생성기로 전달되는 전력량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결함을 겪는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과열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5.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전력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은 상기 전력 공급장치가 미리 정해진 양보다 적은 양의 잔여 전력을 포함한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 및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을 위한 표시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상기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후에 피드백 부분이 표시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7. 제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상기 피드백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8.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전기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상기 피드백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0.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상기 피드백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2. 제20 항 또는 제21 항에 있어서,
    제16 항에 더 종속될 때, 상기 센서 데이터는 상기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부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어기는,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 미만을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 미만을 포함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피드백 부분이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상기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에 표시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피드백 부분이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카트리지를 교체하거나 재충전하는 제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4.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안이 아닌 시점에서 피드백 부분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센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에 대한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상기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 후에 피드백 부분이 표시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26. 제24 항 또는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동작 모드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 후, 사용자의 입에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일부가 사용자의 입에서 제거된 후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28. 제24 항 내지 제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적 피드백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인,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247013203A 2021-10-22 2022-10-12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400671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115194.9 2021-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111A true KR20240067111A (ko) 2024-05-1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657B1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20230155606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20240053608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JP7336533B2 (ja) 蒸気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対応する方法
KR20240067111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40073070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40067098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UA128025C2 (uk) Система надання пари та відповідний спосіб
KR20240067105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CA3234624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KR20240067110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WO2023067302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CA3234221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US20230101573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KR20240067104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40069777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US20230146798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US20240074511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KR20240067109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WO2023118786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CA3231294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CA3230763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