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305A -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305A
KR20240066305A KR1020220146664A KR20220146664A KR20240066305A KR 20240066305 A KR20240066305 A KR 20240066305A KR 1020220146664 A KR1020220146664 A KR 1020220146664A KR 20220146664 A KR20220146664 A KR 20220146664A KR 20240066305 A KR20240066305 A KR 20240066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pets
shamp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일권
오경희
Original Assignee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씨앤케이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씨앤케이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4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6305A/ko
Publication of KR2024006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병풀추출물 및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는 부산광역시와 신라대학교 대학혁신연구단지(I-URP) 조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결과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SHAMPOO COMPOSITION FOR PETS AND SHAMPOO FOR PETS MANUFACTURE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병풀추출물 및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에 관한 것이다.
샴푸는 세제의 일종으로 두피 및 모발에 존재하는 땀, 피지 및 먼지와 같은 노폐물을 씻어낼 때 사용한다. 샴푸는 두피와 모발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두피에 생길 수 있는 병의 감염을 예방하며 모발에 윤기를 주는 동시에 두피의 혈행을 도와서 생리기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대부분의 애완동물의 피부는 긴 털로 이루어지고, 땀구멍이 없으며, 표피층이 사람과 달리 4-5층으로 얇게 구성되어 있고, 피부의 pH는 8-9의 약알칼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애완동물의 피부에는 진드기, 모낭충 및 곰팡이 등의 해충과 미생물의 감염에 취약하다.
또한, 애완동물에게서는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분비선으로 배출된 분비물이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악취가 유발되거나, 세균성 피부질환으로 인해 악취가 더욱 심화되기 때문이다.
이에, 애완동물의 피부질환을 방지하고 특유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살균 성분이나 소취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샴푸가 사용되어 왔으나, 종래의 애완동물용 샴푸는 애완동물에게 해로운 독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종래의 애완동물용 샴푸에 사용된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SLES),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및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ALS) 등의 화학계면활성제는 유방암 환자들의 암세포 조직에서 검출된 바, 상기 화학계면활성제는 체내에 지속적으로 쌓여서 부작용을 유발한다. 따라서, 애완동물에게 해로운 화학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천연 유래 성분으로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0994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병풀추출물 및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샴푸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병풀추출물, 노니추출물, 검은귀리추출물, 쇠비름추출물 및 꿀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 및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은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비피다 발효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샴푸 조성물은 샴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병풀추출물 0.5 내지 3 중량부; 노니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 검은귀리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 쇠비름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 및 꿀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은 샴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0.5 내지 2 중량부; 비피다 발효용해물 0.5 내지 2 중량부;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 0.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병풀추출물, 노니추출물, 검은귀리추출물, 쇠비름추출물 및 꿀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 및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샴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풀추출물 및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은 애완동물에 해로운 화학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소취, 피부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가 우수한 애완동물용 샴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병풀추출물, 노니추출물, 검은귀리추출물, 쇠비름추출물 및 꿀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 및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병풀추출물은 샴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니추출물은 샴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은귀리추출물은 샴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쇠비름추출물은 샴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꿀추출물은 샴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은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비피다 발효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은 샴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피다 발효용해물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은 0.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천연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천연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예시로는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Sodium Lauryl Sulfoacetate),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다이소듐라우릴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yl Sulfosuccinate),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데실폴리글루코스(Decyl polyglucose),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Lauramidopropyl Betaine), 코코베타인(Coco betaine)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부제의 예시로는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실시예 1. 병풀추출물, 노니추출물, 검은귀리추출물, 쇠비름추출물, 꿀추출물 및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샴푸의 제조
1-1. 재료 준비
첨가물 1군
첨가물 1군은 정제수에 첨가되는 물질로, 에리스리톨(Erythritol) 2 중량부, 베타인(Betaine) 1 중량부 및 글루콘산나트륨(Sodium gluconate) 0.2 중량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첨가물 1군의 구체적인 함량은 표 1에 기재하였다.
첨가물 2군
첨가물 2군은 편백수 1 중량부,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2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1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4 중량부, 판테놀 0.04 중량부,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1.09 중량부, 비피다 발효용해물 1.09 중량부,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 0.82 중량부, 병풀추출물 1.71 중량부, 노니추출물 0.57 중량부, 검은귀리추출물 0.57 중량부, 쇠비름추출물 0.57 중량부, 꿀추출물 0.57 중량부 및 향료 1.3 중량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첨가물 2군의 구체적인 함량은 표 1에 기재하였다.
계면활성제 1군
계면활성제 1군으로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0.5 중량부,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0.8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Hydrolyzed keratin) 0.4 중량부,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1 중량부,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Sodium Lauryl Sulfoacetate) 1 중량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계면활성제 1군의 구체적인 함량은 표 1에 기재하였다.
계면활성제 2군
계면활성제 2군으로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8 중량부,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10 중량부,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Lauramidopropyl Betaine) 10 중량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계면활성제 3군의 구체적인 함량은 표 1에 기재하였다.
1-2. 실시예 1-1에 따른 애완동물용 샴푸의 제조
정제수 49.37 중량부를 준비한 뒤, 상기 실시예 1-1에서 준비한 첨가물 1군을 상기 정제수에 넣고 녹였다. 상기 첨가물 1군을 넣은 정제수를 5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한 혼합물에 상기 실시예 1-1에서 준비한 계면활성제 1군을 조금씩 나누어서 넣으면서 섞어준 뒤, 온도가 40℃가 될 때까지 식혔다. 상기 실시예 1-1에서 준비한 계면활성제 2군과 첨가물 2군을 섞어서 준비하였다. 상기 계면활성제 1군을 넣은 혼합물의 온도가 40℃가 되면 상기 계면활성제 2군과 첨가물 2군을 넣고 섞었다. 상기 재료를 모두 섞은 혼합물을 소독된 용기에 충진하였다.
비교예 1. 병풀추출물, 노니추출물, 검은귀리추출물, 쇠비름추출물, 꿀추출물 및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애완동물용 샴푸의 제조
1-1. 재료 준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첨가물 1군, 계면활성제 1 내지 2군을 준비하였다. 첨가물 2군은 편백수 1 중량부,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2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1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4 중량부, 판테놀 0.04 중량부 및 향료 1.3 중량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비교예 1에 포함되는 재료의 구체적인 함량은 표 1에 기재하였다.
1-2. 비교예 1-1에 따른 애완동물용 샴푸의 제조
정제수 56.36 중량부를 준비한 뒤, 상기 비교예 1-1에서 준비한 첨가물 1군을 상기 정제수에 넣고 녹였다. 상기 첨가물 1군을 넣은 정제수를 5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한 혼합물에 상기 비교예 1-1에서 준비한 계면활성제 1군을 조금씩 나누어서 넣으면서 섞어준 뒤, 온도가 40℃가 될 때까지 식혔다. 상기 비교예 1-1에서 준비한 계면활성제 2군과 첨가물 2군을 섞어서 준비하였다. 상기 계면활성제 1군을 넣은 혼합물의 온도가 40℃가 되면 상기 계면활성제 2군과 첨가물 2군을 넣고 섞었다. 상기 재료를 모두 섞은 혼합물을 소독된 용기에 충진하였다.
비교예 2. 병풀추출물, 노니추출물, 검은귀리추출물, 쇠비름추출물 및 꿀추출물을 포함하고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애완동물용 샴푸의 제조
2-1. 재료 준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첨가물 1군, 계면활성제 1 내지 2군을 준비하였다. 첨가물 2군은 편백수 1 중량부,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2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1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4 중량부, 판테놀 0.04 중량부, 병풀추출물 1.71 중량부, 노니추출물 0.57 중량부, 검은귀리추출물 0.57 중량부, 쇠비름추출물 0.57 중량부, 꿀추출물 0.57 중량부 및 향료 1.3 중량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비교예 2에 포함되는 재료의 구체적인 함량은 표 1에 기재하였다.
2-2. 비교예 2-1에 따른 애완동물용 샴푸의 제조
정제수 52.37 중량부를 준비한 뒤, 상기 비교예 2-1에서 준비한 첨가물 1군을 상기 정제수에 넣고 녹였다. 상기 첨가물 1군을 넣은 정제수를 5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한 혼합물에 상기 비교예 2-1에서 준비한 계면활성제 1군을 조금씩 나누어서 넣으면서 섞어준 뒤, 온도가 40℃가 될 때까지 식혔다. 상기 비교예 2-1에서 준비한 계면활성제 2군과 첨가물 2군을 섞어서 준비하였다. 상기 계면활성제 1군을 넣은 혼합물의 온도가 40℃가 되면 상기 계면활성제 2군과 첨가물 2군을 넣고 섞었다. 상기 재료를 모두 섞은 혼합물을 소독된 용기에 충진하였다.
비교예 3.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포함하고 병풀추출물, 노니추출물, 검은귀리추출물, 쇠비름추출물 및 꿀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애완동물용 샴푸의 제조
3-1. 재료 준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첨가물 1군, 계면활성제 1 내지 2군을 준비하였다. 첨가물 2군은 편백수 1 중량부,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2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1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4 중량부, 판테놀 0.04 중량부,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1.09 중량부, 비피다 발효용해물 1.09 중량부,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 0.82 중량부 및 향료 1.3 중량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비교예 3에 포함되는 재료의 구체적인 함량은 표 1에 기재하였다.
3-2. 비교예 3-1에 따른 애완동물용 샴푸의 제조
정제수 53.36 중량부를 준비한 뒤, 상기 비교예 3-1에서 준비한 첨가물 1군을 상기 정제수에 넣고 녹였다. 상기 첨가물 1군을 넣은 정제수를 5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한 혼합물에 상기 비교예 3-1에서 준비한 계면활성제 1군을 조금씩 나누어서 넣으면서 섞어준 뒤, 온도가 40℃가 될 때까지 식혔다. 상기 비교예 3-1에서 준비한 계면활성제 2군과 첨가물 2군을 섞어서 준비하였다. 상기 계면활성제 1군을 넣은 혼합물의 온도가 40℃가 되면 상기 계면활성제 2군과 첨가물 2군을 넣고 섞었다. 상기 재료를 모두 섞은 혼합물을 소독된 용기에 충진하였다.
실험예 1. 애완동물용 샴푸의 만족도 평가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를 사용하여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의 세정력, 보습력, 피부진정 및 피부트러블을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의 점수는 표 2의 기준으로 점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샴푸의 세정력, 보습력, 피부진정 및 피부트러블을 각각 평가하여 점수를 측정한 뒤, 상기 점수를 평균값으로 표 3에 기재하였다.
본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병풀, 노니, 검은귀리, 쇠비름, 꿀추출물과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샴푸는 상기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샴푸에 비해 세정력, 보습력, 피부진정 및 피부트러블 완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Claims (5)

  1. 병풀추출물, 노니추출물, 검은귀리추출물, 쇠비름추출물 및 꿀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 및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은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비피다 발효용해물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샴푸 조성물은
    샴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병풀추출물 0.5 내지 3 중량부;
    노니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
    검은귀리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
    쇠비름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 및
    꿀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바이옴 혼합물은
    샴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0.5 내지 2 중량부;
    비피다 발효용해물 0.5 내지 2 중량부;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 0.3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샴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샴푸.
KR1020220146664A 2022-11-07 2022-11-07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 KR20240066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664A KR20240066305A (ko) 2022-11-07 2022-11-07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664A KR20240066305A (ko) 2022-11-07 2022-11-07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305A true KR20240066305A (ko) 2024-05-14

Family

ID=9107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664A KR20240066305A (ko) 2022-11-07 2022-11-07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63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7170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Sarkar et al. Skin care for the newborn
RU2465891C2 (ru)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ые композиции, продукт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JP4280341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1011191B1 (ko) 샴푸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183849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CN111773164A (zh) 具有杀菌功能的宠物沐浴露及其制备方法
RU2529811C1 (ru) Детский шампунь для купания
JP4179971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4101106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浄剤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JP4551053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保湿外用剤、化粧料、浴用剤および洗剤組成物
HU196553B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regeneration containing extract of green beans
KR102348162B1 (ko)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80063800A (ko) 탈모방지를 위한 샴푸바
KR20240066305A (ko)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애완동물용 샴푸
CN108531319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JP2005089402A (ja) 外用抗掻痒剤
KR102209331B1 (ko)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한 항균제로서의 아연 코세스 황산염 용도
JPH06157291A (ja) 米胚芽油含有皮膚洗浄剤
JP2006137702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CN104510643A (zh) 一种睡莲根草本提取物保湿洗手液
KR100194523B1 (ko) 천연 활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물티슈 제품
RU2799443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очищения и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и кожей волосистой части головы
JP2001302495A (ja) 皮膚洗浄剤および皮膚洗浄用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