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275A - 드라이버 및 일회용 프로브를 갖는 자동화 유체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드라이버 및 일회용 프로브를 갖는 자동화 유체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275A
KR20240066275A KR1020247012530A KR20247012530A KR20240066275A KR 20240066275 A KR20240066275 A KR 20240066275A KR 1020247012530 A KR1020247012530 A KR 1020247012530A KR 20247012530 A KR20247012530 A KR 20247012530A KR 20240066275 A KR20240066275 A KR 20240066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unit
driver unit
sealant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즈 엠알 아포르바
Original Assignee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박스터 헬쓰케어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박스터 헬쓰케어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6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8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using electromagnetic means, e.g. transpo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99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 console, e.g. a control panel with a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61B2017/00482Coupling with a c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681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00734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atter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76Material properties magn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지혈제 또는 다른 밀봉제를 생물학적 조직에 도포하기 위한 예시적인 분배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드라이버 및 일회용 프로브를 갖는 자동화 유체 디스펜서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의존되는, 2021년 9월 20일자로 출원된 인도 가출원 제202141042483호를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한다.
분배 디바이스 또는 디스펜서는 제어된 양의 유체를 분배하는 데 사용된다. 의료 환경에서, 분배된 유체는 출혈을 제어하거나 혈전(blood clots)과 연관된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직 접착제로서 생물학적 조직에 도포되는 지혈 매트릭스 또는 다른 밀봉제와 같은 생물학적 밀봉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심장 수술 또는 혈관 절단/복구를 수반하는 다른 수술 중에, 잠재적으로 심부정맥 혈전증 또는 폐색전증을 유발할 수 있는 혈전을 형성할 증가된 위험이 있다. 분배 디바이스가 혈관 또는 다른 생물학적 조직 상에 지혈 매트릭스(또는 다른 밀봉제)를 분배함으로써 이들 유형의 위험을 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는 생물학적 밀봉제를 도포하기 위해 수술 및 다른 의료 절차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불행하게도, 수동 디스펜서는 의료 전문가에게 부담이 된다. 예를 들어, 의료 전문가가 수동 디스펜서로부터 부정확한 양의 밀봉제의 방출을 우발적으로 트리거링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외과 의사는 디스펜서 내의 밀봉제의 잔여량이 상처를 적절하게 밀봉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처에 밀봉제를 도포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특히 수술 절차 중에, 얼마나 많은 밀봉제가 디스펜서 내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용 가능한지를 평가하는 것은 외과 의사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수동 디스펜서는 또한 우발적으로 1명 초과의 환자에게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는 환자에게 위험을 제기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밀봉제를 분배하고 도포하기 위한 분배 디바이스 또는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내의 현재 이용 가능한 밀봉제의 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밀봉제를 분배하기 전에(및/또는 동안에) 충분한 양의 밀봉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게 한다. 디스펜서는 또한 향상된 트리거링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밀봉제의 도포를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예에서, 드라이버 유닛과 프로브 유닛을 포함하는 분배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프로브 유닛은 드라이버 유닛 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로브 유닛은 밀봉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프로브 유닛을 식별하는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근거리 통신(NFC) 태그를 포함한다. 드라이버 유닛은 디스플레이, 모터, 트리거,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NFC 태그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브 유닛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트리거는 촉각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모터는 프로브 유닛이 촉각 입력에 기초하여 하우징 외부로 밀봉제를 분배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분배 디바이스 또는 디스펜서는 지혈제 및/또는 다른 밀봉제를 수동으로 분배해야 할 필요가 있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비교하여 편의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장점은 재사용 가능 드라이버 유닛과 일회용 프로브 유닛을 포함하는 분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장점은 모터-보조 분배 메커니즘을 갖는 밀봉제 도포기(예를 들어, 밀봉제 어플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장점은 프로브 유닛에 의해 분배를 위해 이용 가능한 밀봉제 유체의 양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프로브 유닛이 디스펜서에 부착될 때 프로브 유닛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장점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촉각 입력에 따라 복수의 상이한 모드 중 하나에 따라 디스펜서를 통해 유동하는 밀봉제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밀봉제 도포기(예를 들어, 밀봉제 디스펜서), 시스템 및 방법의 부가의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 및 장점은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다수의 부가의 특징 및 장점이 도면 및 명세서의 관점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임의의 특정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장점을 가질 필요는 없다. 더욱이, 명세서에 사용된 언어는 주로 판독 가능성 및 교육 목적을 위해 선택되었으며 본 발명의 주제의 범주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재사용 가능 드라이버 유닛에 부착된 일회용 프로브 유닛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밀봉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브 유닛이 예시적인 드라이버 유닛으로부터 탈착되어 있는 구성의 예시적인 밀봉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드라이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예시적인 드라이버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예시적인 드라이버 유닛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프로브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예시적인 프로브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밀봉제 디스펜서의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밀봉제 디스펜서의 다른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밀봉제 디스펜서의 다른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밀봉제 분배 시스템(예를 들어, 밀봉제 디스펜서, 지혈제 도포기, 지혈 매트릭스 디스펜서 등)은 개선된 지혈 유체 도포 및 분배 특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유체 분배 시스템 또는 디스펜서(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일회용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으로부터 탈착되어 있는(예를 들어, 장착되지 않음) 구성의 예시적인 디스펜서(100)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펜서(100)는 밀봉제(예를 들어, 지혈 매트릭스 또는 다른 유동성 지혈제)를 수술 표면(예를 들어, 혈관 등)에 도포하도록 구성된다. 분배 시스템(100)은 충전 주사기(102), 재사용 가능 드라이버 유닛(120), 및 일회용 프로브 유닛(160)을 포함한다.
충전 주사기(102)는 프로브 유닛(160) 내부의 밀봉제 저장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충전 및/또는 재충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충전 주사기(102)는 5 밀리리터(ml) 또는 10 ml 주사기일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주사기가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로브 유닛(160)은 충전 주사기(102)를 수용하도록 성형된 밸브(176)(도 1에 도시되어 있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루어 캡(166)(도 2에 도시되어 있음)이 프로브 유닛(160) 상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어 프로브 유닛(160) 내로 밀봉제 유체를 운반하기 위해 충전 주사기가 연결될 수 있는 밸브(176)의 입구 또는 포트를 노출시키거나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프로브 유닛(160)은 제거 가능, 탈착 가능 및/또는 일회용 디바이스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술 절차 전 또는 중에, 새로운 일회용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에 설치/부착될 수 있다. 이어서, 이 예에서, 일회용 프로브 유닛(160)은 수술 절차 후 제거되어 폐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염 또는 감염과 같은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다수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동일한 내시경 도포기(예를 들어, 프로브 유닛(160))를 사용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개시내용은 전체 디스펜서(100)를 교체하지 않고 교체될 수 있는 비교적 저가의 구성요소로서 일회용 프로브 유닛(160)을 제공한다.
도 3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드라이버 유닛(120)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예시적인 드라이버 유닛(120)의 분해도이다.
몇몇 예에서, 드라이버 유닛(120)은 프로브 유닛(160)과 유사한 상이한 일회용 프로브 유닛을 수용, 장착 및/또는 동작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 디바이스로서 구성된다. 도 3a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유닛(120)은 휴대용 디바이스(예를 들어, 총 형상)로서 성형 및 구성된다. 이와 같이, 드라이버 유닛(120)(더 일반적으로는 디스펜서(100))은 수술 중 및/또는 밀봉제의 내시경 도포를 수행하는 동안 한 손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파지되어 조작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드라이버 유닛(120)은 한 손으로 드라이버 유닛(120)(및/또는 디스펜서(100))을 지지/파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핸들을 형성하도록 성형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유닛(120)은 디스플레이(130) 및 트리거(132)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드라이버 유닛(120)의 근위 단부(122)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본 개시내용은 유리하게는 드라이버 유닛(120)을 파지하고, 수술 부위에 밀봉제를 도포하는 동안 및/또는 몇몇 다른 수술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30) 상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게 한다.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프로브 유닛(160) 내부에 현재 배치된(그리고/또는 분배를 위해 현재 이용 가능한) 밀봉제의 현재 레벨 및/또는 양(예를 들어, 밀리리터 단위)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디스펜서(100)는 유리하게는 충분한 양의 밀봉제가 상처를 적절하게 밀봉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할 때 외과 의사를 보조할 수 있다.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트리거(132)가 디스펜서(100)의 자동 모드에 할당된 촉각 입력을 검출할 때 분배될 밀봉제의 고정량의 값과 같은, 디스펜서(100)의 동작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100)의 사용자는, 사용자가 짧은 시간 기간(예를 들어, 100 밀리초) 동안 트리거(132)를 탭핑하거나 누를 때 분배될 고정량으로서 1 밀리리터의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수술 절차 중에 사용자에게 편리한 리마인더로서 선택된 1 밀리미터의 값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어느 특정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 상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자(예를 들어,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주어진 프로브 유닛(160)은 드라이버 유닛(120) 상에 장착될 때 메시지(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식별자(RFID) 코드 등)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0)는 이어서 이 특정 프로브 유닛(160)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나타내는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무엇보다도,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가 드라이버 유닛(120)(및/또는 디스펜서(100))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동작 파라미터를 선택, 조정 및/또는 설정할 수 있게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이다. 예로서, 사용자는 자동 모드에서 동작할 때 디스펜서(100)가 분배해야 하는 밀봉제의 특정 양(예를 들어, 1 ml 등)에 대한 값을 설정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0)를 사용할 수 있다.
트리거(132)는 디스펜서(100)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또는 누름 행동과 같은 촉각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예에서, 트리거(132)는 실리콘 커버(또는 다른 커버) 및 실리콘 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촉각 스위치를 포함한다. 드라이버 유닛(120)은 트리거(132)에 의해 검출된 촉각 입력에 기초하여 프로브 유닛(160)(및/또는 드라이버 유닛(12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예에서, 트리거(132)를 동작하는 데 필요한 힘은 비교적 낮을 수 있다(예를 들어, 3 뉴턴(N) 내지 12 N).
예에서, 드라이버 유닛(120)은 트리거(132)가 제1 유형의 촉각 입력(예를 들어, 길게 누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드라이버 유닛(120)(및/또는 디스플레이(130))을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드라이버 유닛(120)은 트리거(132)가 제2 유형의 촉각 입력(예를 들어, 특정 패턴의 누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펜서(100)를 프라이밍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라이밍 모드에서 동작할 때, 드라이버 유닛(120)은 캐뉼러를 프라이밍하기 위해 프로브 유닛(160)의 캐뉼러를 통해 특정 양의 밀봉제를 작동시키도록 프로브 유닛(160)을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에서, 드라이버 유닛(120)은 트리거(132)가 제3 유형의 촉각 입력(예를 들어, 약하게 누름, 짧게 누름 등)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펜서(100)를 자동 모드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자동 모드에서, 드라이버 유닛(120)은 프로브 유닛(160)이 밀봉제의 고정량(예를 들어, 1 밀리리터, 0.5 밀리리터 등)을 분배하게 한다.
예에서, 드라이버 유닛(120)은 트리거(132)가 제4 유형의 촉각 입력(예를 들어, 연속 또는 길게 누름, 세게 누름 등)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펜서(100)를 수동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동 모드에서, 드라이버 유닛(120)은 디스펜서(100)의 사용자가 트리거(132)를 누르는 것을 중지할 때까지 프로브 유닛이 계속해서 밀봉제를 분배하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내용은 유리하게는 디스펜서(100)의 사용자가 전통적인 지혈제 디스펜서에 비교하여 더 적은 노력으로 특정 제어 방식으로 디스펜서(100)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동작시키고 그리고/또는 밀봉제 유체(예를 들어, 지혈 매트릭스)를 분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유닛(120)은 드라이버 유닛(120)의 상부 측면(124)에 배치된 레일(134) 및 푸셔(136)를 또한 포함한다. 레일(134)은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 상에 장착될 때 프로브 유닛(160)을 수용 및/또는 유지하기 위한 트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푸셔 또는 래크(136)는 트리거(132)가 디스펜서(100)의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 프로브 유닛(160) 외부로 밀봉제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주사기 플런저 등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도 3b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유닛(120)은 우측 커버(126), 좌측 커버(127), 복수의 나사(128) 및 복수의 인서트(129)를 포함한다. 조립 중에, 우측 커버(126)와 좌측 커버(127)는 특정 배열로 드라이버 유닛(120)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예를 들어, 나사(128)를 인서트(129)와 정렬함으로써).
드라이버 유닛(120)은 강철 또는 다른 고체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섀시(138)를 또한 포함한다. 레일(134)과 푸셔(136)는 섀시(138)의 제1 측면에 배치된다. 드라이버 유닛(120)은 모터(140)를 또한 포함하고, 레일(134)과 푸셔(136)가 배치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섀시(138)의 다른 측면에는 웜 샤프트(142)가 배치된다. 모터(140)는 푸셔(136)를 작동시켜(웜 샤프트(142)를 통해) 푸셔(136)를 레일 또는 트랙(134)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모터(140)는 푸셔(136)를 작동시켜 프로브 유닛(160)이 밀봉제를 분배하게 한다. 프로브 유닛(160)에 의해 분배된 밀봉제의 양(뿐만 아니라 밀봉제의 잔여량)은 모터(140)에 의한 작동량을 측정하는 인코더(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설명에 따라, 드라이버 유닛(120)은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프로브 유닛(160) 내의 밀봉제의 잔여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드라이버 유닛(120)은 리튬 폴리머(LIPO) 배터리 또는 임의의 다른 배터리일 수 있는 배터리(144)를 또한 포함한다. 배터리(144)는 드라이버 유닛(120)의 다양한 구성요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 트리거(132), 모터(140) 등)에 전력을 제공한다.
드라이버 유닛(120)은 드라이버 유닛(120)의 근위 단부(122)에서 디스플레이(130)에 인접하게 배치된 홀 센서(146)를 또한 포함한다. 홀 센서(146)는 프로브 유닛(160) 내부의 자석(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드라이버 유닛(120)은 홀 센서(14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에 장착/부착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드라이버 유닛(12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 유닛(120)의 다양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도록 배선된 회로(148)(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인쇄 회로 기판(PCB))을 또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유닛(120)은 드라이버 유닛(120)의 다양한 구성요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 트리거(132), 모터(140), 홀 센서(146), 배터리(144) 등)을 제어하고 따라서 드라이버 유닛(120)(및/또는 그 각각의 구성요소)이 상기 설명에 따라 동작하게 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제어기(150)를 포함한다.
예에서, 제어기(150)는 프로브 유닛(146)이 드라이버 유닛(120) 상에 장착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홀 센서(146)로부터 수신한다. 이에 응답하여, 제어기(150)는 프로브 유닛(160)으로부터 식별 정보(예를 들어, NFC 태그 식별자 등)를 검색하기 위해 프로브 유닛(160)의 NFC 태그(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통신하도록 근거리 통신(NFC) 리더(예를 들어, 회로(148)의 구성요소 등)를 동작시킨다. 제어기(150)는 이어서 디스플레이(130)를 동작시켜 NFC 태그로부터 수신된 프로브 유닛(160)의 식별자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한다.
예에서, 제어기(150)는 상기 트리거(132)의 설명에 따라, 트리거(132)를 동작시키고, 트리거(132)에 의한 촉각 입력의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 검출된 촉각 입력에 따라, 제어기(150)는 이어서 상기 설명에 따라, 모터(140)를 동작시켜 푸셔(136)를 작동시켜 이에 의해 프로브 유닛(160)이 복수의 동작 모드 중 하나에 따라 밀봉제를 분배하게 한다. 제어기(150)는 또한 모터(140)에 의해 야기된 작동의 측정(예를 들어, 인코더 등을 통해)에 기초하여 프로브 유닛(160)에 분배되고 그리고/또는 남아 있는 밀봉제의 양을 계속 추적할 수도 있다. 제어기(150)는 이어서 디스플레이(130)를 동작시켜 프로브 유닛(160) 내부의 밀봉제의 현재 잔여량을 업데이트 및/또는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더 일반적으로, 제어기(150)는 드라이버 유닛(120)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동작시켜 드라이버 유닛(120)이 전술된 다양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제어기(15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드라이버 유닛(120)(및/또는 그 구성요소)이 전술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어기(150)는 드라이버 유닛(120)(및/또는 그 구성요소)이 전술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배선된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회로를 포함한다.
드라이버 유닛(120)은 회로(148)에 결합된 범용 직렬 버스(USB) 커넥터(152)를 또한 포함한다. USB 커넥터(152)는 드라이버 유닛(120)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배터리 충전기 등) 사이의 전기적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된다. 예에서, USB 커넥터(152)는 배터리(144)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배터리 충전기와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에서, USB 커넥터(152)는 다른 USB-지원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터 등)와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그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는 제어기(150)와 통신하여(USB 커넥터(152)를 통해) 드라이버 유닛(120)(및/또는 그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을 동작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3c는 드라이버 유닛(120)의 부분(예를 들어, 하부 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3c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USB 커넥터(152)는 드라이버 유닛(120)이 조립될 때(즉, 우측 커버(126)와 좌측 커버(127)가 연결될 때) 드라이버(120)의 외부 환경에 노출된다.
도 4a는 프로브 유닛(16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프로브 유닛의 분해도이다. 프로브 유닛(160)은 근위 단부(162)로부터 원위 단부(164)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프로브 유닛(160)은 하우징(170)과 캐뉼러(164)를 포함한다. 하우징(170)은 루어 캡(166)에 의해 커버된 포트(예를 들어, 밸브(176))를 통해 수용된 밀봉제(예를 들어, 지혈 매트릭스)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브 유닛(160)은 하우징(170)/프로브 유닛(160)의 근위 단부(162)에 배치된 식별 태그(168)를 또한 포함한다. 식별 태그(168)는 식별 정보(예를 들어, 번호 또는 다른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이고,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에 장착/부착될 때 드라이버 유닛(120)에 식별 정보 또는 식별자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트랜스폰더, 트랜시버 등)를 포함한다. 예에서, 태그(168)는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에 장착/부착될 때 드라이버 유닛(120)으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의해 전력 공급되는(예를 들어, 유도 등을 통해) 수동 디바이스(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 근거리 통신(NFC) 태그)이다.
프로브 유닛(160)은 하우징(170)의 원위 단부(163)로부터 프로브 유닛(160)의 원위 단부(164)까지 이격하여 연장되는 캐뉼러를 또한 포함한다. 캐뉼러는 하우징(170)으로부터 캐뉼러(172) 외부로(원위 단부(164)에서) 밀봉제(예를 들어, 지혈제)를 운반하기 위한 유체 채널을 형성하여, 밀봉제가 생물학적 조직에 분배 및/또는 도포될 수 있게 된다.
도 4b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70)은 상부 커버(170a)와 하부 커버(170b)로부터 형성된다.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에 장착/부착될 때, 하부 커버(170b)는 프로브 유닛(160)의 하부 측면(드라이버 유닛(120)에 인접함)에 있고, 상부 커버(170a)는 프로브 유닛(160)의 상부 측면(하부 측면에 대향함)에 있다.
프로브 유닛(160)은 하우징(170)의 상부 측면(즉, 상부 커버(170a))에 배치된 윈도우(174)를 또한 포함한다. 예에서, 윈도우(174)는 사용자가 하우징(170)의 내부의 일부를 볼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투명 기판(예를 들어, 투명 유리)을 포함한다.
프로브 유닛(160)은 밸브(176), 저장조(178), 및 하우징(170)의 내부(즉, 상부 커버(170a)와 하부 커버(170b) 사이)에 배치된 플런저(180)를 또한 포함한다. 예에서, 밸브(176)는 충전 주사기(102)(도 1에 도시되어 있음)로부터 하우징의 상부 측면을 통해(예를 들어, 도 4a의 예시에서 루어 캡(166)에 의해 커버되어 있는 밸브(176)의 포트를 통해) 저장조(178) 내로의 밀봉제의 유동을 제어하는 이중 체크 밸브이다. 따라서, 프로브 유닛(160)을 밀봉제 유체로 충전 또는 재충전할 때, 주사기(102)와 저장조(178)는 밸브(176)를 통해 유체 연통한다. 밀봉제 분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중 체크 밸브(176)는 저장조(178)로부터 캐뉼러(172)로의 밀봉제의 유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캐뉼러(172)는 밸브(176)를 통해 저장조(178)와 유체 연통한다. 조립될 때, 캐뉼러(172)와 저장조(178)는 밸브(176)에 연결된다.
플런저(180)는 플런저(180)가 드라이버 유닛(120)에 의해 작동되는 것에 응답하여 저장조(178) 외부로(및/또는 저장조(178) 내로) 밀봉제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런저(180)는 드라이버 유닛(120)의 푸셔(136)(도 3b에 도시되어 있음)와 플런저(180)를 연결하는 스냅 특징부 또는 커넥터(180a)를 포함한다.
프로브 유닛(160)은 자석(182)을 또한 포함한다. 예에서, 자석(182)은 프로브 유닛(160)의 근위 단부(162)(예를 들어,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 상에 장착될 때 드라이버 유닛(120)의 홀 센서(146)에 인접하고 대향함)에 배치된 임의의 유형의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자석(182)은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에 장착되거나 부착될 때 홀 센서(146)에 의해 검출되는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3b를 다시 참조하면, 자석(182)과 홀 센서(146)의 상호 작용은 드라이버 유닛(120)의 제어기(150)가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60)에 부착 및/또는 장착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에 장착 및/또는 부착된 구성의 예시적인 디스펜서(100)의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그리고 도 5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몇몇 예에서,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에 장착될 때, 프로브 유닛(160)의 자석(182)은 드라이버 유닛(120)의 홀 센서(146)에 인접하여, 그로부터 임계 거리 내에서, 그리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홀 센서(146)는 이어서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에 장착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예를 들어, 드라이버 유닛(120)의 제어기(150)에). 제어기(150)는 이어서 프로브 유닛(160)을 식별하는 식별자 또는 다른 식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태그(168)와 통신할 수도 있다. 예에서, 제어기(150)는 이어서 디스플레이(130)가 태그(168)로부터 수신된 식별자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드라이버 유닛(120)의 설명에서 전술된 다른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은 예시적인 디스펜서(100)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디스펜서(100)의 몇몇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의 예시로부터 생략되어 있다는 것이 언급된다.
도 6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런저(180)(프로브 유닛(160)의)는 스냅 특징부 또는 커넥터(180a)를 통해 푸셔(136)(드라이버 유닛(120)의)에 연결된다.
도 6의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드라이버 유닛(120)은 샤프트(141), 기어(143), 및 베어링(145)을 또한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어(143)는 샤프트(141)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웜 샤프트(142)의 작동 운동(모터(140)에 의해 야기됨)을 푸셔(136)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어(143)는 베어링(145)을 통해 섀시(138)(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섀시)에 부착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몇몇 예에서, 드라이버 유닛(120)은 인코더를 또한 포함한다. 인코더는 모터(140)에 결합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기(150)에 의해 실행됨)로서, 또는 인코더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선된 임의의 다른 회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에서, 인코더는 모터(140) 및/또는 웜 샤프트(142)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인코더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저장조(178)(프로브 유닛(16)의) 내부에 남아 있는 밀봉제의 양 및/또는 저장조(178) 외부로 유동하는 밀봉제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기(150)(도 3b에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50)는 인코더로부터의 인코더 측정치에 기초하여, 모터(140)에 의한 플런저(180)의 작동(웜 샤프트(142), 기어(143), 푸셔(136) 등을 통한)에 기인하여 프로브 유닛(160)에 의해 분배된 밀봉제의 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도 7은 프로브 유닛(160)이 드라이버 유닛(120)에 장착/부착된 구성의 예시적인 디스펜서(100)의 부분의 단면도이다. 디스펜서(100)의 몇몇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의 예시로부터 생략되어 있다는 것이 언급된다.
도 7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섀시(138)는 특정 배열로 작동 조립체(예를 들어, 모터(140), 모터 샤프트(139), 기어 샤프트(141), 및 기어(143))를 지지하도록 성형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유닛(120)은, 모터(140)/모터 샤프트(139)가 웜 샤프트(142)를 회전시키는 동안 섀시(138)가 웜 샤프트(142)를 유지하고 지지하도록 웜 샤프트(142)의 단부를 섀시(138)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플랜지 베어링(137)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웜 샤프트(142)의 회전은 기어(143)가 회전되게 하고, 이는 이어서 푸셔 또는 래크(136)가 플런저(180)를 저장조(178) 내로(또는 외로) 밀어내게(또는 당기게) 한다. 예를 들어, 푸셔/래크(136)가 플런저(180)를 저장조(178) 내로 밀어 넣을 때, 저장조 내의 밀봉제(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저장조(178)로부터 밸브(176)를 통해 캐뉼러(172)로 유동할 수도 있다.
다수의 또는 대안 실시예를 갖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각각의 또는 임의의 실시예는 전술되거나 이후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양태는 단독으로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다른 양태와 조합하여 유용할 수도 있다. 임의의 이들 양태가 상호 배타적인 한, 이러한 상호 배타성은 이러한 양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임의의 다른 양태와 이러한 양태의 조합을 임의의 방식으로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임의의 이들 양태는 비한정적으로 시스템, 방법, 장치, 디바이스, 매체 등으로서 청구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수의 특징 및 장점은 기입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고,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개시내용의 모든 이러한 특징 및 장점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수많은 수정 및 변경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즉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내용은 예시되고 설명된 정확한 구성 및 동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상세에 한정되어서는 안되고, 현재 또는 미래에 예측 가능하든 또는 예측 가능하지 않든간에, 이하의 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의 전체 범주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5)

  1. 분배 디바이스이며,
    프로브 유닛으로서,
    유체 상태의 밀봉제를 수용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캐뉼러로서, 캐뉼러는 하우징 내부에 저장된 밀봉제와 유체 연통하는, 캐뉼러,
    프로브 유닛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식별 태그, 및
    자기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자석을 포함하는, 프로브 유닛; 및
    드라이버 유닛으로서, 프로브 유닛이 드라이버 유닛 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드라이버 유닛은:
    프로브 유닛이 드라이버 유닛 상에 장착되는 것에 응답하여 자석을 검출하도록 배열되는 홀 센서,
    홀 센서가 자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브 유닛의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및
    프로브 유닛의 식별자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유닛을 포함하는, 분배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브 유닛은:
    밸브;
    밀봉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조로서, 저장조는 밸브를 통해 캐뉼러와 유체 연통하는, 저장조; 및
    밸브를 통해 저장조로부터 캐뉼러까지 밀봉제의 유동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플런저를 또한 포함하는, 분배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유닛은:
    프로브 유닛이 드라이버 유닛 상에 장착될 때 플런저를 수용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된 푸셔;
    푸셔에 결합되고 푸셔를 작동시켜 플런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모터를 또한 포함하고,
    제어기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저장조 내부의 밀봉제의 양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가 저장조 내부의 밀봉제의 결정된 양을 디스플레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식별 태그는 근거리 통신(NFC) 태그인, 분배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드라이버 유닛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분배 디바이스.
KR1020247012530A 2021-09-20 2022-09-15 드라이버 및 일회용 프로브를 갖는 자동화 유체 디스펜서 KR202400662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2141042483 2021-09-20
IN202141042483 2021-09-20
PCT/US2022/043675 WO2023043934A1 (en) 2021-09-20 2022-09-15 Automated fluid dispenser with driver and disposable pro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275A true KR20240066275A (ko) 2024-05-14

Family

ID=8368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2530A KR20240066275A (ko) 2021-09-20 2022-09-15 드라이버 및 일회용 프로브를 갖는 자동화 유체 디스펜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40066275A (ko)
CN (1) CN117956949A (ko)
AU (1) AU2022345805A1 (ko)
CA (1) CA3231682A1 (ko)
WO (1) WO20230439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8446B2 (en) * 2010-05-13 2013-10-29 Ethicon Endo-Surgery, Inc. Multi-chamber therapeutic cell applicator instrument
CA2977652C (en) * 2015-02-24 2023-10-24 410 Medical, Inc. Apparatus and kits for fluid infusion
WO2016145094A2 (en) * 2015-03-09 2016-09-15 Unitract Syringe Pty Ltd Drive mechanisms for drug delivery pumps
JP7299313B2 (ja) * 2018-11-07 2023-06-27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式逆止弁の片手操作式アプリケ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345805A1 (en) 2024-03-07
CA3231682A1 (en) 2023-03-23
WO2023043934A1 (en) 2023-03-23
CN117956949A (zh) 202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736B2 (en) Injection systems for delivery of fluids to joints
JP7069023B2 (ja) 携行用注入ポンプおよびそれとの使用のためのアセンブリ
RU2638449C2 (ru) Введение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с измерением давления и прерывистым потоком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наполненных текучей средой анатомических пространств и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в них инъекции
CA2766378C (en) Injection system for delivering multiple fluids within the anatomy
CA2663524A1 (en) Battery operated ophthalmic hand piece with disposable end
KR20090076984A (ko) 의료용 소형 자동 주입 및 샘플 채취 장치
WO2014201358A2 (en) Portable fluid delivery system
JP2014513601A (ja) 携帯型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サービス及びメンテナンスステーション
EP2063829B1 (en) Universal rechargeable limited reuse assembly for ophthalmic hand piece
US20220409809A1 (en) Drug delivery device with an improved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delivery rate
CA2664160A1 (en) Method of operating ophthalmic hand piece with disposable end
KR20240066275A (ko) 드라이버 및 일회용 프로브를 갖는 자동화 유체 디스펜서
US9669167B2 (en) Multifunctional glucos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3124022U (ja) 輸液装置
CN103200923B (zh) 用于在医院容器之间传递和计量生物医学流体的装置
JP6800951B2 (ja) 医療装置
KR20190009494A (ko) 센서 교체형 다회용 혈당 측정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