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735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5735A
KR20240065735A KR1020220146839A KR20220146839A KR20240065735A KR 20240065735 A KR20240065735 A KR 20240065735A KR 1020220146839 A KR1020220146839 A KR 1020220146839A KR 20220146839 A KR20220146839 A KR 20220146839A KR 20240065735 A KR20240065735 A KR 20240065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electrode
bank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강현
임희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5735A/en
Publication of KR2024006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57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기판 상에서,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 형성된 제1 전극,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뱅크 및 발광층, 및 뱅크 및 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은 서로 상이한 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서, 제1 발광층은 제1 및 제2 발광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pixels, a first electrode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a bank and a light-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bank and the light-emitting laye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includes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regions that emit different lights, an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is formed only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regions. to provide.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 발광 표시 장치(ELD, Electroluminescence Display)와 같은 여러 표시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및 퀀텀닷 발광 표시 장치(QLED, Quantum-dot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recently,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LD) have been used. Additionally,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nd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QLED).

표시장치들 중에서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발광형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이 가능하며, 소비전력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특히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Among display devices, electroluminescent displays are self-luminous and have superior viewing angles and contrast ratios compared to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They do not require a separate backlight, so they can be lightweight and thin, and have the advantage of low power consumption. . In addition, electroluminescent display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capable of driving at low direct current voltages, having a fast response speed, and especially low manufacturing costs.

한편, 종래에는 용액 공정을 통해, 서브 화소 각각에 발광 소자의 발광층을 형성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용액 공정 시, 이웃하는 서브 화소 사이에서 서브 화소 각각에 형성된 용액이 서로 혼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웃하는 서브 화소 사이에 형성된 뱅크의 폭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개구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Meanwhile, conventionally, it has been disclosed to form a light emitting layer of a light emitting device in each sub-pixel through a solution process. In this case, during the solution process, in order to prevent the solutions formed in each sub-pixel between neighboring sub-pixels from mixing with each other, the width of the bank formed between neighboring sub-pixels needs to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Accordingly,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aperture ratio decreases.

본 발명은 개구율이 개선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ith an improved aperture ratio.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기판 상에서,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 형성된 제1 전극,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뱅크 및 발광층, 및 뱅크 및 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은 서로 상이한 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서, 제1 발광층은 제1 및 제2 발광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pixels, a first electrode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a bank and a light-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bank and the light-emitting layer. It includes two electrod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includes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regions that emit different lights, an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is locat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regions. Only formed, provided display devices.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발광층을 갖는 복수의 발광 영역이 배치된 서브 화소를 형성함으로써, 개구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by forming a sub-pixel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areas having different light-emitting layers are arran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I-I'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II-II'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line II'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emitting elemen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line II-II'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In cases where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as 'after', 'successfully after', 'after', 'before', etc., 'immediately' or 'directly' Unless used, non-consecutive cases may also be includ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It may be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은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Figure 1 shows that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may emit red, green, and blue 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은 빛을 방출하는 발광 영역(EA) 및 발광 영역(EA)을 둘러싸는 비발광 영역(NEA)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may include an emission area (EA) that emits light and a non-emission area (NEA) surrounding the emission area (EA).

비발광 영역(NEA)은 발광 영역(EA)을 정의하며, 뱅크(300) 및 신호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뱅크(300)는 제1 및 제2 뱅크(310, 320)를 포함하며, 보조 영역(SA)은 보조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The non-emission area (NEA) defines the emission area (EA) and may include the bank 300 and the signal area (SA). The bank 300 includes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and the auxiliary area SA may include an auxiliary electrode.

발광 영역(EA)은 서로 상이한 파장 대의 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발광 영역(EA1, E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에서, 제1 뱅크(310)는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에서, 제2 뱅크(320)는 제1 뱅크(310)로 둘러싸인 영역 내부에 형성되며,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뱅크(320)의 일측 및 타측은 제1 뱅크(310)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뱅크(310, 320)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경우, 제1 및 제2 뱅크(310, 320)은 서로 구분되지 않는, 하나의 구조로 보일 수 있다.The light-emitting area EA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areas EA1 and EA2 that emit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the first bank 31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edge.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the second bank 320 is formed inside the area surrounded by the first bank 310 and may be formed linearly.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ank 320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first bank 310. When the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may be viewed as one structure and are not distinct from each other.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에서, 제1 및 제2 발광 영역(EA1, EA2) 각각은 제1 및 제2 뱅크(310, 320)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발광 영역(EA1, EA2) 각각의 하나의 측면은 제2 뱅크(320)와 접하며, 나머지 측면은 제1 뱅크(310)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에서, 제2 뱅크(320)는 제1 및 제2 발광 영역(EA1, EA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뱅크(320)에 의해, 제1 및 제2 발광 영역(EA1, EA2)이 구분될 수 있다.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the first and second emission areas EA1 and EA2 may be surrounded by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respectively. Specifically,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nk 320 , and the remaining side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bank 310 . Additionally,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the second bank 32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mission areas EA1 and EA2.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may be divided by the second bank 320.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에서, 제1 및 제2 발광 영역(EA1, EA2)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 영역(EA1)의 면적은 제2 발광 영역(EA2)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이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방출할 경우,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의 제1 발광 영역(EA1)은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의 제2 발광 영역(EA2)은 모두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the first and second emission areas EA1 and EA2 may b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dditionally, the area of the first light-emitting area EA1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light-emitting area EA2. Whe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emits red, green, and blue light, the first emission area (EA1)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emits red and green light. and may emit blue light. Additionally,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may emit white ligh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I-I'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line II'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100), 회로 소자층(150), 발광 소자(200), 뱅크(300), 봉지층(400), 컬러 필터(500) 및 블랙 매트릭스(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00, a circuit element layer 150, a light emitting element 200, a bank 300, an encapsulation layer 400, and a color filter 500. ) and a black matrix 600.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발광된 광이 상부 쪽으로 방출되는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0)의 재료로는 투명한 재료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The substrate 100 may be made of glass or plasti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a top emission manner in which emitted light is emitted toward the top. Accordingly, not only transparent materials but also opaque materials can be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substrate 100.

기판(100) 상에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P1)는 적색(R) 광을 방출하고, 제2 서브 화소(P2)는 녹색(G) 광을 방출하고, 제3 서브 화소(P3)는 청색(B) 광을 방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의 배열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The first sub-pixel (P1) emits red (R) light, the second sub-pixel (P2) emits green (G) light, and the third sub-pixel (P3) emits blue (B) light. It may be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rrangement order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회로 소자층(150)은 기판(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회로 소자층(150)은 박막 트랜지스터부(T) 및 회로부(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ircuit element layer 15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The circuit element layer 150 may include a thin film transistor portion (T) and a circuit portion (C).

박막 트랜지스터부(T)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부(T)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및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n film transistor unit (T)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Additionally, the thin film transistor unit T may include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sensing thin film transistor.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배선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할 수 있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어 전원 배선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데이터 전류를 생성하여 제1 전극(210)에 공급할 수 있다.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편차를 센싱할 수 있으며, 게이트 배선 또는 별도의 센싱 배선에서 공급되는 센싱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를 기준 배선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a gate signal supplied to the gate wire and supply the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data wire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can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o generate a data current from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wiring and supply it to the first electrode 210. The sensing thin film transistor can sense the threshold voltage deviation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which causes image quality degradation, and can supply the current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o the reference wiring in response to a sensing control signal supplied from the gate wiring or a separate sensing wiring. there is.

회로부(C)는 박막 트랜지스터부(T)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 및 커패시터 등을 포함하는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ircuit unit C may include circuit elements including signal wires and a capacitor for driving the thin film transistor unit T.

신호 배선들은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전원 배선, 및 기준 배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패시터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한 프레임 동안 유지시킬 수 있으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Signal wires may include gate wires, data wires, power wires, and reference wires. The capacitor can maintain the data voltage suppli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for one fram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and source terminal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respectively.

발광 소자(200)는 회로 소자층(1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200)는 제1 전극(210), 발광층(220) 및 제2 전극(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00 may be formed on the circuit device layer 150.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210, a light emitting layer 220, and a second electrode 230.

제1 전극(210)는 회로 소자층(1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 장치의 양극(Anode)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회로 소자층(150)에 형성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210 may be formed on the circuit element layer 150. The first electrode 210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and may function as an anode of the display device. The first electrode 2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formed in the circuit element layer 150.

제1 전극(210)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10)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210)은 알루미늄(Al),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또는 크롬(Cr) 등의 금속 물질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10)은 단일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10)은 투명 전도성 물질, 금속 물질 및 투명 전도성 물질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삼중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electrode 210 may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2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Alternatively, the first electrode 2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silver (Ag), copper (Cu), molybdenum (Mo), titanium (Ti), tungsten (W), or chromium (Cr). It may be comprised of an alloy. Additionally, the first electrode 210 is shown as a single layer, but may be formed as a multiple layer.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210 may be formed as a triple layer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 metal material,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equentially stacked.

뱅크(300)는 제1 전극(210) 상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뱅크(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뱅크(310)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사이의 경계에 형성되어, 제1 전극(210)의 끝단을 덮을 수 있다. 제2 뱅크(320)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1 뱅크(310)로 둘러싸인 영역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bank 30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The first bank 310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and cover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210. The second bank 320 is formed inside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and may be formed inside the area surrounded by the first bank 310.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뱅크(300)는 제1 및 제2 뱅크(310, 320)를 포함하며, 발광 영역(EA)을 정의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FIG. 1 , the bank 300 includes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and may define an emission area EA.

제1 뱅크(310)는 이웃한 서브 화소의 경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제1 뱅크(310)는 제1 및 제2 서브 화소(P1, P2) 사이의 경계 영역과 제2 및 제3 서브 화소(P2, P3) 사이의 경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뱅크(310)는 서브 화소의 외곽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뱅크(310)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에 배치된 제1 전극(210)의 끝단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ank 310 may be formed in the boundary area of neighboring sub-pixels.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bank 310 is located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pixels (P1, P2) an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ub-pixels (P2, P3). can be formed. Additionally, the first bank 310 may be formed in the outer area of the sub-pixel. Additionally, the first bank 310 may be formed to cover an end of the first electrode 210 disposed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제2 뱅크(320)는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뱅크(320)는 제1 전극(2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뱅크(320)는 제1 전극(210)의 양 끝단과의 거리가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2 뱅크(320)는 제1 전극(210)의 좌측 끝단보다 우측 끝단에 더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cond bank 320 may be formed inside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The second bank 320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210. Additionally, the second bank 320 may be formed at a different location from both ends of the first electrode 210. Referring to FIG. 2, the second bank 320 may be formed closer to the right end of the first electrode 210 than the left end, but is not limited to this.

제2 뱅크(320)는 제1 및 제2 발광 영역(EA1, EA2)을 구분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발광 영역(EA1, EA2)의 사이에는 제2 뱅크(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EA1)의 폭은 제2 뱅크(320)에서 제1 전극(210)의 일측 끝단을 덮는 제1 뱅크(310)까지의 거리이고, 제2 발광 영역(EA2)의 폭은 제2 뱅크(320)에서 제1 전극(210)의 타측 끝단을 덮는 제1 뱅크(310)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이 때, 제1 발광 영역(EA1)의 면적은 제2 발광 영역(EA2)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발광 영역(EA1)은 제2 뱅크(320)에서 좌측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뱅크(310)까지의 영역이고, 제2 발광 영역(EA2)은 제2 뱅크(320)에서 우측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뱅크(310)까지의 영역일 수 있다. The second bank 320 can distinguish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That is, the second bank 32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The width of the first emission area EA1 is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bank 320 to the first bank 310 covering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width of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is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bank 320 to the first bank 310 covering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210. 2 It may be the distance from the bank 320 to the first bank 310 cover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ectrode 210.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first emission area EA1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emission area EA1 is an area from the second bank 320 to the first bank 310 disposed adjacent to the left, and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is an area from the second bank 310. It may be an area from 320 to the first bank 310 disposed adjacent to the right.

제1 및 제2 뱅크(310, 320)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뱅크(310, 320)는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뱅크(310, 320)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해, 블랙 염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are made of acrylic resin, epoxy resin, phenolic resin, polyamide resin, polyimide resin, etc. It may include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nitride, aluminum nitride, zirconium nitride, titanium nitride, hafnium nitride, tantalum nitride, silicon oxide, aluminum oxide, or titanium oxide. You can. Addi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may be formed including black dye to absorb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제1 및 제2 뱅크(310, 320)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뱅크(310)의 상면과 제2 뱅크(320)의 상면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dditionally,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bank 310 and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bank 320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발광층(220)은 제1 전극(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층(220)은 뱅크(300) 상에도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및 그들 사이의 경계 영역에도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layer 220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210. Additionally, the light emitting layer 220 may be formed on the bank 300 and continuously formed on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an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m.

발광층(220)은 제1 발광층(221) 및 제2 발광층(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발광층(221, 222) 각각은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210)과 제2 전극(230)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220)으로 이동하게 되며, 발광층(220)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할 수 있다.The light-emitting layer 220 may include a first light-emitting layer 221 and a second light-emitting layer 22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layers 221 and 222 may include a hole transport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In this case,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holes and electrons move to the light-emitting layer 220 through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electron transport layer, respectively, and combine with each other in the light-emitting layer 220. It can emit light.

제1 발광층(221)은 용액 공정을 통해 제1 전극(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에서, 제1 발광층(221)은 제1 발광 영역(EA1)에 형성되고, 제2 발광 영역(EA2)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이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방출할 경우,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의 제1 발광 영역(EA1)은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층(221)은 용액 공정을 통해 형성되므로, 끝단이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뱅크(310, 320)과 인접하는 제1 발광층(221)의 측면은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21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210 through a solution process.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the first emission layer 221 may be formed in the first emission area (EA1) and may not be formed in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Whe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emits red, green, and blue light, the first emission area (EA1)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emits red and green light. and may emit blue light. Additionally, since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21 is formed through a solution process, the end may have a rounded shape. That is,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21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may have a round shape.

제2 발광층(222)은 증착 공정을 통해 제1 발광층(22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에서, 제2 발광층(222)은 제1 및 제2 발광 영역(EA1, EA2)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발광 영역(EA1)에서, 제2 발광층(222)은 제1 발광층(221) 상에 형성되고, 제2 발광 영역(EA2)에서, 제2 발광층(222)은 제1 전극(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층(222)은 뱅크(300) 상에도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의 경계 영역에도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의 제2 발광 영역(EA2)은 모두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층(222)은 증착 공정을 통해서 형성되므로, 상면이 평평할 수 있다.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may be form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21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the second emission layer 222 may be formed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emission areas EA1 and EA2. That is, in the first emission area EA1, the second emission layer 222 is formed on the first emission layer 221, and in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the second emission layer 222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210. ) can be formed on Additionally,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may be formed on the bank 300 and continuously formed on the boundary areas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Additionally,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may emit white light. Additionally, since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is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the top surface may be flat.

제2 발광 영역(EA2)에 형성된 제2 발광층(222)은 상부가 평평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발광 영역(EA1)에서 용액 공정으로 형성된 제1 발광층(221)은 제1 및 제2 뱅크(310, 320)과 인접하는 측면이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광 영역(EA1)에서 제1 발광층(221) 상에 증착 공정으로 형성된 제2 발광층(222)은 제1 발광층(221)의 상부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발광 영역(EA1)에서 제2 발광층(222)은 제1 및 제2 뱅크(310, 320)과 인접하는 측면이 둥근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formed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may have a flat top. At this time,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21 formed through a solution process in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may have a rounded side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Accordingly,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22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on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221 in the first light-emitting area EA1 may be form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221. That is, in the first emission area EA1, the second emission layer 222 may have a rounded side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banks 310 and 320.

이에 따라, 본원발명은 용액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제1 발광층(221) 및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제2 발광층(222)을 포함하는 발광층(220)을 개시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EA1)에는 제1 및 제2 발광층(221, 222)이 모두 형성되므로, 제1 발광 영역(EA1)은 각 서브 화소에 대응되는 색상의 광과 함께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 영역(EA2)에는 제2 발광층(222)만이 형성되므로, 제2 발광 영역(EA2)은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close a light-emitting layer 220 including a first light-emitting layer 221 formed through a solution process and a second light-emitting layer 222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Since both the first and second emission layers 221 and 222 are formed in the first emission area EA1, the first emission area EA1 can emit white light along with light of the color corresponding to each sub-pixel. . Additionally, since only the second emission layer 222 is formed in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can emit white light.

본 발명은 각 서브 화소의 내부에 제2 뱅크(320)를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백색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 영역(EA2)을 추가적으로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이 뱅크에 의해 둘러싸인 하나의 발광 영역만을 포함하는 구조에 비하여, 백색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 영역(EA2)을 추가적으로 개시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발광 영역만을 개시하는 구조에서, 뱅크가 형성되는 영역에 제2 발광 영역(EA2)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발광 영역만을 개시하는 구조에 비하여, 발광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발광 영역(EA2)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은 개구율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발광 영역만을 개시하는 구조와 비교하더라도, 본원 발명은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 형성된 제1 발광 영역(EA1)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서로 인접한 서브 화소에서 방출되는 광의 혼색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tionally forming the second bank 320 inside each sub-pixel, a second emission area EA2 that emits white light can be additionally formed. Specifically, compared to a structure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includes only one light-emitting area surrounded by a bank, a second light-emitting area EA2 that emits white light may be additionally disclosed. That is, in a structure that starts only one light-emitting area, the second light-emitting area EA2 can be additionally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bank is formed. Accordingly, compared to a structure that discloses only one light emitting area,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area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by forming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with an improved aperture ratio. In addition, even when compared to a structure that discloses only one light-emitting area,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light-emitting area EA1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so the color mixing of light emitted from adjacent sub-pixels is also possible. It can be easily prevented.

제2 전극(230)은 발광층(2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30)은 표시 장치의 음극(Cathode)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전극(230)은 발광층(220)과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및 그들 사이의 경계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230)은 제1 전극(210) 및 뱅크(300)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be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220.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function as a cathode of the display device. Like the light emitting layer 220,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be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an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m.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also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210 and the bank 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 전극(230)은 발광층(220)에서 발광된 광을 상부 쪽으로 투과시키기 위해서,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230)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op emission type, the second electrode 230 is made of ITO (Indium Tin Oxide) or IZO (ITO) in order to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220 toward the top. It may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Zinc Oxide.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be made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봉지층(400)은 제2 전극(230) 상에 형성되어, 발광층(220)으로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층(400)은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봉지층(400)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ncapsulation layer 400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230 to prevent external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220. The encapsulation layer 400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Alternatively, the encapsulation layer 400 is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cryl resin, epoxy resin, phenolic resin, polyamide resin, or polyimide resin. It can be done including.

블랙 매트릭스(500)는 봉지층(4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500)는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P1-P3) 사이의 경계에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되어 제1 내지 제4 서브 화소(P1-P3) 사이의 경계에서 빛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ack matrix 500 may be form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400. The black matrix 500 is formed in a matrix structur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to fourth sub-pixels (P1-P3) to prevent light leakage from occurring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to fourth sub-pixels (P1-P3). You can.

컬러 필터(600)는 봉지층(400) 및 블랙 매트릭스(5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러 필터(800)는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610-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810)는 적색(R) 광만을 투과시키고, 제2 컬러 필터(820)는 녹색(G) 광만을 투과시키고, 제3 컬러 필터(830)는 청색(B)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The color filter 600 may be form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400 and the black matrix 500. The color filter 800 may include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610-630. The first color filter 810 transmits only red (R) light, the second color filter 820 transmits only green (G) light, and the third color filter 830 transmits only blue (B) light. You can.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컬러 필터(800) 상에 흡수 필름이 형성되어, 외부의 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휘도 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n absorption film is formed on the color filter 800 to prevent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and minimize reduction in luminan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발광 소자(200)의 단면도이다. 어느 하나의 서브 화소(P)에서, 제1 및 제2 발광 영역(EA1, EA2)의 제1 전극(210), 발광층(220) 및 제2 전극(230)을 도시하고 있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sub-pixel P, the first electrode 210, the light-emitting layer 220,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areas EA1 and EA2 are shown.

제1 발광 영역(EA1)에는 제1 전극(210), 제1 발광층(221), 제2 발광층(222) 및 제2 전극(230)이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electrode 210, a first emission layer 221, a second emission layer 222, and a second electrode 230 may be formed in the first emission area EA1.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210)은 표시 장치의 양극(Anode)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10)은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first electrode 210 may function as an anode of the display device. Additionally, the first electrode 210 may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제1 발광층(221)은 용액 공정에 의해 제1 전극(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층(221)은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제1 발광 물질층(EML1), 전자 수송층(ETL), 및 N형 전하 생성층(N-CGL)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221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210 through a solution process. In addition,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221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 first light-emitting material layer (EML1),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N-CGL). can do.

정공 주입층(HIL)은 정공을 주입하고, 정공 수송층(HTL)은 정공을 수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 물질층(EML1)은 각 서브 화소에 대응하는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이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방출할 경우,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P1-P3) 각각의 제1 발광층(221)은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층(ETL)은 전자를 수송하고, N형 전하 생성층(N-CGL)은 전자를 생성할 수 있다. The hole injection layer (HIL) can inject holes,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can transport holes. Additionally, the first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EML1 may emit light of a color corresponding to each sub-pixel. For example, when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emits red, green, and blue light,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21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P1-P3) It can emit red, green and blue light. Additionally,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can transport electrons, and the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N-CGL) can generate electrons.

제2 발광층(222)은 증착 공정을 통해 제1 발광층(22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층(222)은 P형 전하 생성층(P-CGL), 정공 수송층(HTL), 제2 발광 물질층(EML2),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may be form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21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In additio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includes a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P-CG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 second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EML2),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can do.

P형 전하 생성층(P-CGL)은 정공을 생성하고, 정공 수송층(HTL)은 정공을 수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 물질층(EML2)은 백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층(ETL)은 전자를 수송하고, 전자 주입층(EIL)은 전자를 주입할 수 있다.The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P-CGL) generates holes,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can transport holes. Additionally, the second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EML2 may emit white light. Additionally,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can transport electrons,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can inject electrons.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전극(230)은 표시 장치의 음극(Cathode)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 제2 전극(230)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FIG. 2,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function as a cathode of the display device. Additionally,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즉, 제1 발광 영역(EA1)에서, 발광 소자(200)는 용액 공정으로 형성되는 제1 발광층(221) 및 증착 공정으로 형성되는 제2 발광층(222)을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first light-emitting area EA1, the light-emit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first light-emitting layer 221 formed through a solution process and a second light-emitting layer 222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제2 발광 영역(EA2)에는 제1 전극(210), 제2 발광층(222) 및 제2 전극(2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발광 영역(EA1)과 비교하여, 제2 발광 영역(EA2)에는 제1 발광층(22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A first electrode 210, a second emission layer 222, and a second electrode 23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That is, compared to the first emission area EA1, the first emission layer 221 may not be formed in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제2 발광 영역(EA2)에 형성된 제2 발광층(222)은 제1 발광 영역(EA1)에 형성된 제2 발광층(222)과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발광 영역(EA2)에 형성된 제2 발광층(222)은 증착 공정으로 형성되며, P형 전하 생성층(P-CGL), 정공 수송층(HTL), 제2 발광 물질층(EML2),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22 formed in the second light-emitting area EA2 may be form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22 formed in the first light-emitting area EA1 an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That is,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22 formed in the second light-emitting area EA2 is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and includes a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P-CG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 second light-emitting material layer (EML2),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may be sequentially stacked.

즉, 제2 발광 영역(EA2)에 형성된 발광 소자(200)는 증착 공정으로 형성되는 제2 발광층(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번의 증착 공정으로 제1 및 제2 발광 영역(EA1, EA2)에 모두 제2 발광층(222)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광 영역(EA1)에는 제1 발광층(221)이 용액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발광층(221) 상에 제2 발광층(222)이 증착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 formed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may include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Additionally, since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can be formed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through a single deposition process,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ccordingly, the first emission layer 221 may be formed in the first emission area EA1 through a solution process, and the second emission layer 222 may be formed on the first emission layer 221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II-II'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가 배치된 제1 발광 영역(EA1) 및 복수의 보조 전극(SE)이 배치된 보조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line II-II'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mission area EA1 where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is disposed and an auxiliary area SA where a plurality of auxiliary electrodes SE are disposed. .

제1 발광 영역(EA1)에는 기판(100), 차단층(LS), 버퍼층(BUF),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 패시베이션층(PAS), 평탄화층(OC), 제1 뱅크(310) 및 발광 소자(200)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includes a substrate 100, a blocking layer (LS), a buffer layer (BUF),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a passivation layer (PAS), a planarization layer (OC), a first bank 310, and A light emitting device 200 may be formed.

차단층(LS)은 기판(100) 상에 형성되며, 광을 차단할 수 있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층(LS)은 알루미늄(Al),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또는 크롬(Cr) 등의 금속 물질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단층(LS)은 단일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층(LS)은 이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중층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하부층 및 상부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하부층은 몰리브덴-티타늄 합금(MoTi)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층은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blocking layer LS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0 and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light. For example, the blocking layer (LS)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silver (Ag), copper (Cu), molybdenum (Mo), titanium (Ti), tungsten (W), or chromium (Cr). It may include alloys thereof. Additionally, the blocking layer LS is shown as a single layer, but may be formed as a multiple layer. For example, the blocking layer LS may be formed as a double layer, and the double layer may be composed of a lower layer and an upper layer containing different materials. At this time, the lower layer may be made of molybdenum-titanium alloy (MoTi), and the upper layer may be made of copper (Cu), but are not limited to this.

버퍼층(BUF)은 기판(100) 상에서, 차단층(LS)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UF)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버퍼층(BUF)은 단일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UF)은 차단층(LS)을 절연시키며, 버퍼층(BUF) 상에 형성되는 층들과 기판(10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buffer layer BUF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to cover the blocking layer LS. The buffer layer (BUF) may include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ide (SiOx). Additionally, the buffer layer (BUF) is shown as a single layer. It can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The buffer layer BUF insulates the blocking layer LS and can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layers formed on the buffer layer BUF and the substrate 100.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부(T)는 기판(10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및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를 도시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FIG. 2, the thin film transistor unit T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and may include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sensing thin film transistor. Figure 4 shows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는 버퍼층(BUF)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는 차단층(LS)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 하부에 차단층(LS)이 배치됨으로써, 외부 광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may be formed on the buffer layer (BUF). Additionally,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blocking layer LS. Accordingly, the blocking layer (LS) is disposed below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thereby preventing external light from affecting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는 반도체층(ACT), 게이트 절연층(GI), 게이트 전극(G),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may include a semiconductor layer (ACT), a gate insulating layer (GI), a gate electrode (G), a source electrode (S), and a drain electrode (D).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반도체층(ACT)은 버퍼층(BUF)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폴리 실리콘(Poly-Silicon) 반도체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층(410)이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IGZO(indium- gallium-zinc-oxide), IZO(indium-zinc-oxide), IGTO(indium-gallium-tin-oxide), 및 IGO(indium-gallium-oxide)중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layer (ACT)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may be formed on the buffer layer (BUF). The semiconductor layer (ACT) may include a poly-silicon semiconductor or an oxide semiconductor. And, when the semiconductor layer 410 includes an oxide semiconductor, indium-galium-zinc-oxide (IGZO), indium-zinc-oxide (IZO), indium-gallium-tin-oxide (IGTO), and indium-gallium-tin-oxide (IGO) -gallium-oxide) and may contain at least one oxide.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절연층(GI)은 반도체층(ACT) 상에 형성되어, 게이트 전극(G)을 반도체층(ACT)으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절연층(GI)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GI)은 단일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gate insulating layer GI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may b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ACT to insulate the gate electrode G from the semiconductor layer ACT. The gate insulating layer (GI)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may include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ide (SiOx). Additionally, the gate insulating layer (GI) is shown as a single layer. It can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G)은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은 반도체층(ACT)의 채널 영역과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gate electrode (G)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may be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GI). The gate electrode G may be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GI so as to overlap the channel region of the semiconductor layer ACT.

층간 절연층(INS)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절연층(GI) 및 게이트 전극(4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600)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NS) may be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GI) and the gate electrode 430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00 is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cryl resin, epoxy resin, phenolic resin, polyamide resin, or polyimide resin. It can be done including.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절연층(GI) 및 층간 절연층(INS)에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반도체층(ACT)을 노출시키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contact hole may be formed in the gate insulating layer (GI)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NS)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to expose the semiconductor layer (ACT)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은 서로 마주하면서 층간 절연층(INS)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 각각은 게이트 절연층(GI) 및 층간 절연층(INS)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반도체층(ACT)과 연결될 수 있다. The source electrode (S) and the drain electrode (D)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may be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NS) while facing each other. In addition, each of the source electrode (S) and drain electrode (D)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may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layer (ACT) through contact holes formed in the gate insulating layer (GI)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NS). .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드레인 전극(D)은 차단층(LS)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차단층(LS)을 전기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고, 차단층(LS)이 반도체층(ACT)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drain electrode (D)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locking layer (LS). Accordingly, the blocking layer L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an be electrically stabilized and the blocking layer LS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emiconductor layer ACT.

평탄화층(OC)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 상에 형성되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 및 컨택홀들에 의한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평탄화층(OC)은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평탄화층(700)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lanarization layer (OC) is formed o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and can compensate for steps caused by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and contact holes. The planarization layer (OC)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Alternatively, the planarization layer 700 is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cryl resin, epoxy resin, phenolic resin, polyamide resin, or polyimide resin. It can be done including.

발광 소자(200)는 평탄화층(OC)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200)는 제1 전극(210), 발광층(220) 및 제2 전극(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뱅크(310)는 평탄화층(OC) 및 제1 전극(210)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 may be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OC). As described above in FIGS. 2 and 3 ,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210, a light emitting layer 220, and a second electrode 230. Additionally, the first bank 310 may be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OC and the first electrode 210.

보조 영역(SA)에는 복수의 보조 전극(SE)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전극(SE)은 제1 내지 제3 보조 전극(SE1-SE3)을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auxiliary electrodes SE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area SA. The plurality of auxiliary electrodes SE may include first to third auxiliary electrodes SE1-SE3.

제1 보조 전극(SE1)은 기판(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신호 배선(VL)은 차단층(LS)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되어,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uxiliary electrode SE1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 The signal line VL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blocking layer LS and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버퍼층(BUF), 게이트 절연층(GI) 및 층간 절연층(INS)은 제1 발광 영역(EA1)에서 연장되어, 보조 영역(SA)까지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UF), 게이트 절연층(GI) 및 층간 절연층(INS)은 기판(100) 상에서 제1 보조 전극(SE1)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보조 전극(SE1)의 상면 일부는 버퍼층(BUF), 게이트 절연층(GI) 및 층간 절연층(INS)의 컨택홀(H)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The buffer layer (BUF), the gate insulating layer (GI),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NS) may extend from the first emission area (EA1) to the auxiliary area (SA). The buffer layer (BUF), the gate insulating layer (GI),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NS)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to cover the first auxiliary electrode (SE1).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uxiliary electrode SE1 may be exposed by the contact hole H of the buffer layer BUF, the gate insulating layer GI,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NS.

제2 보조 전극(SE2)은 층간 절연층(INS)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조 전극(SE2)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의 드레인 전극(D)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되어,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보조 전극(SE2)은 컨택홀(H)을 통해 제1 보조 전극(S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auxiliary electrode SE2 may be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NS. The second auxiliary electrode SE2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drain electrode D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 and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The second auxiliary electrode SE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electrode SE1 through the contact hole H.

평탄화층(OC)은 제1 발광 영역(EA1)에서 연장되어, 보조 영역(SA)까지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층(OC)은 제2 보조 전극(SE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보조 전극(SE2)의 상면 일부는 평탄화층(OC)의 컨택홀(H)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The planarization layer OC may extend from the first emission area EA1 to the auxiliary area SA. The planarization layer OC may be formed to cover the second auxiliary electrode SE2.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uxiliary electrode SE2 may be exposed through the contact hole H of the planarization layer OC.

제3 보조 전극(SE3)은 평탄화층(OC)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보조 전극(SE3)은 제1 전극(210)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되어,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보조 전극(SE3)은 컨택홀(H)을 통해 제2 보조 전극(S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third auxiliary electrode SE3 may be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OC. The third auxiliary electrode SE3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first electrode 210 and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The third auxiliary electrode SE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electrode SE2 through the contact hole H.

또한, 제2 전극(230)은 기판(100) 전면에 형성되어, 컨택홀(H)을 통해 제3 보조 전극(SE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보조 전극(SE1-SE3) 및 제2 전극(230)은 모두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제2 전극(230)은 컨택홀(H)을 통해 제1 내지 제3 보조 전극(SE1-SE3)과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auxiliary electrode SE3 through the contact hole H. That is, since the first to third auxiliary electrodes (SE1-SE3) and the second electrode 230 are both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second electrode 230 connects to the first to third auxiliary electrodes through the contact hole (H). (SE1-SE3) can all be electrically connected.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 전극(230)은 발광층(220)에서 발광된 광을 상부 쪽으로 투과시키기 위해서,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의 투과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 전극(230)의 두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전극(230)의 두께가 감소할 경우, 제2 전극(230)의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은 제1 내지 제3 보조 전극(SE1-SE3)을 제2 전극(230)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제2 전극(230)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Sinc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op emission type, the second electrode 230 is made of ITO (Indium Tin Oxide) or IZO (ITO) in order to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220 toward the top. It may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Zinc Oxide. Additionally, in order to increase light transmittanc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230. In this way,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230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decreases, the resistance of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increas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reducing the resistance of the second electrode 230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o third auxiliary electrodes (SE1-SE3) with the second electrode 230.

하지만, 제2 발광층(222)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제2 발광층(222)이 제1 뱅크(310) 상에도 형성되며, 컨택홀(H)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발광층(222)이 제3 보조 전극(SE3)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극(230)이 제3 보조 전극(SE3) 상에 안정적으로 증착되지 않을 수 있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is also formed on the first bank 310 and may extend to the inside of the contact hole (H). That is,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may also be formed on the third auxiliary electrode SE3. Accordingly, the second electrode 230 may not be deposited stably on the third auxiliary electrode SE3.

이 경우, 본원 발명은 웰딩 영역(W)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제2 전극(230)과 제3 보조 전극(SE3)의 안정적인 연결 구조를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100)의 하면 외부에 배치된 레이저 장비를 통해 웰딩 영역(W)으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레이저는 제3 보조 전극(SE3)에 조사되어, 제3 보조 전극(SE3)의 일부가 용융될 수 있다. 용융된 제3 보조 전극(SE3)은 제2 발광층(222)을 관통하고, 제2 전극(230)과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극(230)과 제3 보조 전극(SE3)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itiate a stabl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230 and the third auxiliary electrode SE3 by irradiating a laser to the welding area W. Specifically, a laser may be irradiated to the welding area (W) through laser equipmen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The laser may be irradiated to the third auxiliary electrode SE3, thereby partially melting the third auxiliary electrode SE3. The melted third auxiliary electrode SE3 may penetrate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22 and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230. Accordingly, the second electrode 230 and the third auxiliary electrode SE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기판 150: 회로 소자층
200: 발광소자 210: 제1 전극
220: 발광층 221: 제1 스택
222: 제2 스택 230: 제2 전극
300: 뱅크 310: 제1 뱅크
320: 제2 뱅크 400: 봉지층
500: 블랙 매트릭스 600: 컬러 필터
P: 서브 화소 EA: 발광 영역
100: substrate 150: circuit element layer
200: light emitting element 210: first electrode
220: light emitting layer 221: first stack
222: second stack 230: second electrode
300: bank 310: first bank
320: second bank 400: encapsulation layer
500: Black Matrix 600: Color Filter
P: Sub-pixel EA: Emitting area

Claims (13)

복수의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뱅크 및 발광층; 및
상기 뱅크 및 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은 서로 상이한 광을 방출하는 제1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서, 상기 제1 발광층은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된, 표시 장치.
A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pixels;
On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a bank and a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bank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includes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areas that emit different light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is formed only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regio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에서, 서로 이웃한 서브 화소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는 제1 뱅크;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뱅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nk is,
In the plurality of sub-pixels, a first bank formed in a boundary area of adjacent sub-pixels;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bank formed within the plurality of sub-pixel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뱅크는 상기 제1 전극의 양 끝단과의 거리가 상이한 위치에 형성된,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bank is formed at a position at a different distance from both ends of the first electrod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영역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뱅크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is surrounded by the first and second bank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뱅크는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영역 사이에 형성된,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second bank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뱅크에서 상기 제1 전극의 일측 끝단을 덮는 상기 제1 뱅크까지의 거리이고,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뱅크에서 상기 제1 전극의 타측 끝단을 덮는 상기 제1 뱅크까지의 거리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width of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is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bank to the first bank covering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The width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is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bank to the first bank cover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ectrod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면적보다 큰,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An area of the first light-emitting area is larger than an area of the second light-emitting area.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영역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발광층 및 상기 제1 발광층 상에 형성된 상기 제2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 영역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상기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first light-emitting area includes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includes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층은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층은 용액 공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발광층은 증착 공정으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is formed through a solution process,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층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하며,
상기 제2 발광층은 백색 광을 방출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emits red, green or blue light,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emits white ligh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층은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제1 발광 물질층, 제1 전자 수송층, 및 N형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층은 P형 전하 생성층, 제2 정공 수송층, 제2 발광 물질층, 제2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a first light-emitting material layer, a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includes a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a second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화소는 적색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는 녹색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3 서브 화소는 청색 광을 방출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b-pixel emits red light,
The second sub-pixel emits green light,
The third sub-pixel emits blue light.
KR1020220146839A 2022-11-07 2022-11-07 Display device KR202400657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839A KR20240065735A (en) 2022-11-07 2022-11-0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839A KR20240065735A (en) 2022-11-07 2022-11-07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5735A true KR20240065735A (en) 2024-05-14

Family

ID=9107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839A KR20240065735A (en) 2022-11-07 2022-11-07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573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8869B2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functional layer with light-emitting layer and hole injection layer
US2023025505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8866706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007927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2015002457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High Aperture Rati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13573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06291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06820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0009371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247825B1 (en)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ssion Diode Display Having Color Filte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1569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50034462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High Aperture Rati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010939B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51563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2010244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296153B2 (en) OLED pixel structure and OLED display panel
KR20230101147A (en) Display apparatus
KR20220149163A (en) Display apparatus
KR20240065735A (en) Display device
US20220005896A1 (en) Display device
KR20160039092A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450828B2 (en) Display device
US10903443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KR102503745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30170435A (en) Displa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