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114A - hot rolled steel plate - Google Patents

hot rolled steel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5114A
KR20240065114A KR1020247011518A KR20247011518A KR20240065114A KR 20240065114 A KR20240065114 A KR 20240065114A KR 1020247011518 A KR1020247011518 A KR 1020247011518A KR 20247011518 A KR20247011518 A KR 20247011518A KR 20240065114 A KR20240065114 A KR 2024006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rolled steel
steel sheet
hot rolle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1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야스유키 오기스
다케시 도요다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6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5114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이 열간 압연 강판은, 소정의 화학 조성 및 금속 조직을 갖고, 표층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 {001}<110>, {111}<110> 및 {112}<110> 방위군의 극밀도가 2.0 이상이며, 내부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 {110}<112> 방위의 극밀도가 5.0 이하이며, 인장 강도가 1180MPa 이상이다.This hot-rolled steel sheet has a predetermined chemical composition and metal structure, and in the texture of the surface layer region, the polar density of {001}<110>, {111}<110>, and {112}<110> orientation groups is 2.0. As above, in the texture of the internal region, the pole density in the {110}<112> orientation is 5.0 or less, and the tensile strength is 1180 MPa or more.

Description

열간 압연 강판hot rolled steel plate

본 발명은, 열간 압연 강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ot rolled steel sheets.

본원은, 2021년 10월 14일에, 일본에서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21-16862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Patent Application No. 2021-168623 filed in Japan on October 14, 2021, and uses the content here.

근년, 자동차의 연비의 향상 및 충돌 안전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고강도의 강판을 적용함에 따른 차체 경량화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강판을 고강도화하면, 일반적으로 인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고강도의 강판 개발에 있어서, 인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고강도화를 도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In recent year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and collision safety of automobiles, weight reduction has been made by applying high-strength steel plates. However, when steel sheets are strengthened, toughness generally deteriorates. Therefore, in the development of high-strength steel sheets, it is an important task to achieve high strength without deteriorating toughness.

일반적으로,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저온에서 압연하고,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의 상태에서 높은 누적 변형을 부여함으로써 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의 상태에서의 압하율을 증가시키면,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애스펙트비가 높아져서, 인성의 이방성이 높아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Generally, in order to improve toughness, there is a known method of improving toughness by rolling at low temperature and applying high cumulative strain in the state of unrecrystallized austenit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ing the reduction ratio in the state of unrecrystallized austenite increases the aspect ratio of the old austenite particles and increases the anisotropy of toughness.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강판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3/8 두께 위치와 5/8 두께 위치로 구획된 강판 부분인 판 두께 중심부에 있어서, 판면의 {100}<011> 내지 {223}<110> 방위군의 X선 랜덤 강도비의 평균값이 6.5 이하임과 함께, {332}<113>의 결정 방위의 X선 랜덤 강도비가 5.0 이하인 집합 조직을 갖고,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마르텐사이트 및 하부 베이나이트의 합계 면적률이 85% 초과임과 함께, 평균 결정 입경이 12.0㎛ 이하인 마이크로 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t the center of the plate thickness, which is a portion of the steel plate divided into a 3/8 thickness position and a 5/8 thickness position from the steel plate surface, {100}<011> to {223} of the plate surface. The average value of the A hot-rolled steel sheet is disclosed, which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microstructure in which the total area ratio of nite is more than 85% and the average crystal grain size is 12.0 μm or less.

일본 특허 제5621942호 공보Japanese Patent No. 5621942 Publication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는, 자동차의 연비의 향상 및 충돌 안전성의 향상의 관점에서는, 고강도의 강판에 있어서의 인성의 이방성 저감에 대하여 더욱 개선의 여지가 있다.However, i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re is room for further improvement in reducing the anisotropy of toughness in high-strength steel sheet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fuel efficiency and collision safety of automobiles.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높은 강도 및 우수한 인성을 갖고, 또한 인성의 이방성이 저감된 열간 압연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hot-rolled steel sheet with high strength and excellent toughness, and with reduced anisotropy of toughness.

본 발명자들은, 열간 압연 강판의 집합 조직과 기계 특성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를 행한 결과, 인장 강도가 1180MPa 이상인 열간 압연 강판에 있어서도 인성의 이방성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압연된 강판은, 표면과 내부에 있어서 다른 집합 조직이 발달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인성의 이방성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급랭 후의 마르텐사이트의 집합 조직보다도,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의 집합 조직을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아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원하는 결정 방위를 갖는 집합 조직을 얻기 위해서는, 열간 압연 조건을 바람직하게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아내었다.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ot-rolled steel sheets, the present inventors discovered that the anisotropy of toughness can be further reduced even in hot-rolled steel sheets with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rolled steel sheets develop different textures on the surface and inside.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in order to reduce the anisotropy of toughness, it is more effective to control the texture in the austenite region rather than the texture of martensite after rapid cooling.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it is effective to appropriately control hot rolling conditions in order to obtain a texture having a desired crystal orientation.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based on the above knowledge is as follows.

(1)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은, 화학 조성이, 질량%로,(1)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emical composition in mass%,

C: 0.100 내지 0.500%,C: 0.100 to 0.500%,

Si: 0.100 내지 3.000%,Si: 0.100 to 3.000%,

Mn: 0.50 내지 3.00%,Mn: 0.50 to 3.00%,

P: 0.100% 이하,P: 0.100% or less,

S: 0.0100% 이하,S: 0.0100% or less,

Al: 1.000% 이하,Al: 1.000% or less,

N: 0.0100% 이하,N: 0.0100% or less,

Ti: 0 내지 0.20%,Ti: 0 to 0.20%,

Nb: 0 내지 0.100%,Nb: 0 to 0.100%,

Ca: 0 내지 0.0060%,Ca: 0 to 0.0060%,

Mo: 0 내지 0.50%,Mo: 0 to 0.50%,

Cr: 0 내지 1.00%,Cr: 0 to 1.00%,

V: 0 내지 0.50%,V: 0 to 0.50%,

Cu: 0 내지 0.50%,Cu: 0 to 0.50%,

Ni: 0 내지 0.50%, 및Ni: 0 to 0.50%, and

Sn: 0 내지 0.050%Sn: 0 to 0.050%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며,Contains, the balance consists of Fe and impurities,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3/8 깊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금속 조직이, 면적%로,The metal structure in the area from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3/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is expressed in area%,

90 내지 100%의 마르텐사이트와,90 to 100% martensite,

0 내지 10%의 잔부 조직으로 이루어지며,Consists of 0 to 10% of residual tissue,

상기 표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의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In the texture of the surface or the area at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001}<110>, {111}<110> 및 {112}<110> 방위군의 극밀도가 2.0 이상이며,{001}<110>, {111}<110> and {112}<110> National Guards have a pole density of 2.0 or more;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2 깊이의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In the texture of the area from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1/2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110}<112> 방위의 극밀도가 5.0 이하이며,The polar density of the {110}<112> orientation is 5.0 or less,

인장 강도가 1180MPa 이상이다.Tensile strength is more than 1180MPa.

(2) 상기 (1)에 기재된 열간 압연 강판은, 상기 화학 조성이, 질량%로,(2)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scribed in (1) above has the chemical composition in mass%,

Ti: 0.02 내지 0.20%,Ti: 0.02 to 0.20%,

Nb: 0.010 내지 0.100%,Nb: 0.010 to 0.100%,

Ca: 0.0001 내지 0.0060%,Ca: 0.0001 to 0.0060%,

Mo: 0.01 내지 0.50%,Mo: 0.01 to 0.50%,

Cr: 0.01 내지 1.00%,Cr: 0.01 to 1.00%,

V: 0.01 내지 0.50%,V: 0.01 to 0.50%,

Cu: 0.01 내지 0.50%,Cu: 0.01 to 0.50%,

Ni: 0.01 내지 0.50% 및Ni: 0.01 to 0.50% and

Sn: 0.001 내지 0.050%Sn: 0.001 to 0.050%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It may contain one or two or more ty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양태에 의하면, 높은 강도 및 우수한 인성을 갖고, 또한 인성의 이방성이 저감된 열간 압연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sp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high strength and excellent toughness and reduced anisotropy of toughness can be provided.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의 화학 조성의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내지」를 사이에 두고 기재하는 수치 한정 범위에는, 하한값 및 상한값이 그 범위에 포함된다. 「미만」, 「초과」로 나타내는 수치에는, 그 값이 수치 범위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또한, 화학 조성에 대한 %는 모두 질량%를 의미한다.First, the reason for limit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explained. In addition, the numerical limitation range described between "to" includes the lower limit and the upper limit. Numerical values indicated as “less than” or “exceeding” are not included in the numerical range. In addition, % for chemical composition all means mass %.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은, 화학 조성이, 질량%로, C: 0.100 내지 0.500%, Si: 0.100 내지 3.000%, Mn: 0.50 내지 3.00%, P: 0.100% 이하, S: 0.0100% 이하, Al: 1.000% 이하, N: 0.0100% 이하, 그리고, 잔부: Fe 및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 각 원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hemical composition, in mass%, of C: 0.100 to 0.500%, Si: 0.100 to 3.000%, Mn: 0.50 to 3.00%, P: 0.100% or less, and S: 0.0100% or less. , Al: 1.000% or less, N: 0.0100% or less, and the balance: Fe and impurities. Hereinafter, each ele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C: 0.100 내지 0.500%C: 0.100 to 0.500%

C는,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중요한 원소이다. C 함유량이 0.100% 미만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가 저하된다. 그 때문에, C 함유량은 0.100% 이상으로 한다. C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50% 이상, 0.170% 이상, 0.200% 이상 또는 0.220% 이상이다.C is an important element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hot rolled steel sheets. If the C content is less than 0.100%, the strength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creases. Therefore, the C content is set to 0.100% or more. The C content is preferably 0.150% or more, 0.170% or more, 0.200% or more, or 0.220% or more.

한편, C 함유량이 0.500% 초과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C 함유량은 0.500% 이하로 한다. C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450% 이하, 0.400% 이하 또는 0.370% 이하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C content exceeds 0.500%,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teriorates. Therefore, the C content is set to 0.500% or less. The C content is preferably 0.450% or less, 0.400% or less, or 0.370% or less.

Si: 0.100 내지 3.000%Si: 0.100 to 3.000%

Si는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원소이다. Si 함유량이 0.100% 미만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가 열화된다. 그 때문에, Si 함유량은 0.100% 이상으로 한다. S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00% 이상, 0.300% 이상, 0.400% 이상 또는 0.500% 이상이다. 또한, Si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초과이며,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100% 이상이다.Si is an element tha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hot rolled steel sheets. If the Si content is less than 0.100%, the strength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teriorates. Therefore, the Si content is set to 0.100% or more. The Si content is preferably 0.200% or more, 0.300% or more, 0.400% or more, or 0.500% or more. Moreover, the Si content is more preferably greater than 1.000%, and even more preferably is 1.100% or more.

한편, Si 함유량이 3.000% 초과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Si 함유량은 3.000% 이하로 한다. S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700% 이하, 2.500% 이하 또는 2.300% 이하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Si content exceeds 3.000%,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teriorates. Therefore, the Si content is set to 3.000% or less. The Si content is preferably 2.700% or less, 2.500% or less, or 2.300% or less.

Mn: 0.50 내지 3.00%Mn: 0.50 to 3.00%

Mn은 ??칭성의 향상 및 고용 강화에 의해,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Mn 함유량이 0.50% 미만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가 저하된다. 그 때문에, Mn 함유량은 0.50% 이상으로 한다. M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20% 이상 또는 1.50% 이상이다.Mn is an element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rength of hot rolled steel sheets by improving hardenability and strengthening solid solution. If the Mn content is less than 0.50%, the strength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creases. Therefore, the Mn content is set to 0.50% or more. The Mn content is preferably 1.00% or more, 1.20% or more, or 1.50% or more.

한편, Mn 함유량이 3.00% 초과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의 이방성을 높여버리는 MnS가 생성된다. 그 때문에, Mn 함유량은 3.00% 이하로 한다. M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2.30% 이하 또는 2.00% 이하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n content exceeds 3.00%, MnS is generated which increases the anisotropy of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Therefore, the Mn content is set to 3.00% or less. The Mn content is preferably 2.50% or less, 2.30% or less, or 2.00% or less.

P: 0.100% 이하P: 0.100% or less

P는 불순물 원소이며, P 함유량은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P 함유량이 0.100% 초과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가공성 및 용접성의 열화가 현저해지고, 또한 피로 특성도 열화된다. 그 때문에, P 함유량은 0.100% 이하로 한다. P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70% 이하, 0.050% 이하 또는 0.030% 이하이다.P is an impurity element, and the lower the P content, the more preferable. If the P content exceeds 0.100%, the workability and weldability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teriorate significantly, and fatigue properties also deteriorate. Therefore, the P content is set to 0.100% or less. The P content is preferably 0.070% or less, 0.050% or less, or 0.030% or less.

P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규정하지는 않지만, P 함유량을 과잉으로 저감하면 제조 비용이 증대하기 때문에, P 함유량을 0.001% 이상 또는 0.005% 이상으로 해도 된다.The lower limit of the P content is not specifically specified, but if the P content is excessively reduce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so the P content may be 0.001% or more or 0.005% or more.

S: 0.0100% 이하S: 0.0100% or less

S는 불순물 원소이며, S 함유량은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S 함유량이 0.0100% 초과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의 이방성을 높여버리는 MnS 등의 개재물이 다량으로 생성된다. 그 때문에, S 함유량은 0.0100% 이하로 한다. S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80% 이하, 0.0060% 이하 또는 0.0040% 이하이다.S is an impurity element, and the lower the S content, the more preferable. If the S content exceeds 0.0100%, a large amount of inclusions such as MnS, which increases the anisotropy of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is generated. Therefore, the S content is set to 0.0100% or less. The S content is preferably 0.0080% or less, 0.0060% or less, or 0.0040% or less.

S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규정하지는 않지만, S 함유량을 과잉으로 저감하면 제조 비용이 증대하기 때문에, S 함유량은 0.0005% 이상 또는 0.0010% 이상으로 해도 된다.The lower limit of the S content is not specifically specified, but if the S content is excessively reduce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so the S content may be 0.0005% or more or 0.0010% or more.

Al: 1.000% 이하Al: 1.000% or less

Al은 제강 단계로 탈산제로서 작용하고, 강의 청정도를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그러나, Al 함유량이 1.000% 초과이면, 클러스터형으로 석출한 알루미나가 생성되고,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Al 함유량은 1.000% 이하로 한다. Al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700% 이하, 0.500% 이하 또는 0.400% 이하이다.Al acts as a deoxidizer in the steelmaking stage and is an effective element in improving the cleanliness of steel. However, if the Al content exceeds 1.000%, alumina precipitated in clusters is generated, and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teriorates. Therefore, the Al content is set to 1.000% or less. The Al content is preferably 0.700% or less, 0.500% or less, or 0.400% or less.

Al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규정하지는 않지만, Al 함유량을 과잉으로 저감하면 제조 비용이 증대하기 때문에, Al 함유량은 0.001% 이상 또는 0.005% 이상으로 해도 된다.The lower limit of the Al content is not specifically specified, but if the Al content is excessively reduce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so the Al content may be 0.001% or more or 0.005% or more.

N: 0.0100% 이하N: 0.0100% or less

N은 불순물 원소이다. N 함유량이 0.0100% 초과이면, 고온에서 조대한 Ti 질화물이 형성되고,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N 함유량은 0.0100% 이하로 한다. N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80% 이하, 0.0060% 이하 또는 0.0040% 이하이다.N is an impurity element. If the N content is more than 0.0100%, coarse Ti nitride is formed at high temperature, and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teriorates. Therefore, the N content is set to 0.0100% or less. The N content is preferably 0.0080% or less, 0.0060% or less, or 0.0040% or less.

N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규정하지는 않지만, N 함유량을 과잉으로 저감하면 제조 비용이 증대하기 때문에, N 함유량은 0.0010% 이상으로 해도 된다.The lower limit of the N content is not specifically defined, but if the N content is excessively reduce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so the N content may be 0.0010% or more.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은, 상기 원소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불순물로서는, 강 원료 혹은 스크랩으로부터 및/또는 제강 공정에서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것, 혹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허용되는 원소가 예시된다.The hot-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contain the above elements, and the remainder may consist of Fe and impurities. Examples of impurities include elements that are unavoidably mixed from steel raw materials or scrap and/or during the steelmaking process, or elements that are allowed as long as they do not impai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은, 각종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임의 원소를 Fe의 일부 대신에 함유시켜도 된다. 합금 비용의 저감을 위해서는, 이들의 임의 원소를 의도적으로 강 중에 함유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이들의 임의 원소의 함유량의 하한은, 모두 0%이다.In order to improve various characteristics,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contain any element shown below instead of part of Fe. In order to reduce alloy costs, there is no need to intentionally contain these arbitrary elements in the steel, so the low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se arbitrary elements is all 0%.

Ti: 0.02 내지 0.20%Ti: 0.02 to 0.20%

Ti는 열간 압연의 스탠드간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 및 입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효과적인 원소이다. 스탠드간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을 억제함으로써, 변형을 보다 축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열간 압연 강판의 집합 조직을 바람직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경우, Ti 함유량은 0.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i is an effective element for suppressing austenite recrystallization and grain growth between hot rolling stands. By suppressing recrystallization of austenite between stands, strain can be further accumulated. As a result, the texture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can be preferably controlled. In order to reliably obtain the above eff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Ti content is 0.02% or more.

한편, Ti 함유량이 0.20% 초과이면, TiN을 기인으로 한 개재물이 생성되어,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Ti 함유량은 0.20% 이하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Ti content is more than 0.20%, inclusions originating from TiN are generated, and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teriorates. Therefore, the Ti content is set to 0.20% or less.

Nb: 0.010 내지 0.100%Nb: 0.010 to 0.100%

Nb는 열간 압연의 스탠드간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 및 입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효과적인 원소이다. 스탠드간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을 억제함으로써, 변형을 보다 축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열간 압연 강판의 집합 조직을 바람직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경우, Nb 함유량은 0.0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b is an effective element for suppressing recrystallization and grain growth of austenite between hot rolling stands. By suppressing recrystallization of austenite between stands, strain can be further accumulated. As a result, the texture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can be preferably controlled. In order to reliably obtain the above eff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Nb content is 0.010% or more.

한편, Nb 함유량이 0.100% 초과에서는 그 효과는 포화된다. 그 때문에, Nb 함유량은 0.100% 이하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b content exceeds 0.100%, the effect is saturated. Therefore, the Nb content is set to 0.100% or less.

Ca: 0.0001 내지 0.0060%Ca: 0.0001 to 0.0060%

Ca는 용강의 탈산 시에 미세한 산화물을 다수 분산시켜, 열간 압연 강판의 조직을 미세화하는 효과를 갖는 원소이다. 또한, Ca는, 강 중의 S를 구상의 CaS로 하여 고정하고, MnS 등의 연신 개재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의 이방성을 저감시키는 원소이기도 하다. 이들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경우, Ca 함유량은 0.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a is an element that has the effect of dispersing many fine oxides during deoxidation of molten steel and refining the structure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In addition, Ca is also an element that fixes S in the steel into spherical CaS,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stretching inclusions such as MnS, and reduces the anisotropy of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In order to reliably obtain these effects, it is preferable that the Ca content is 0.0001% or more.

한편, Ca 함유량이 0.0060% 초과에서는 상기 효과는 포화된다. 그 때문에, Ca 함유량은 0.0060% 이하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 content exceeds 0.0060%, the above effect is saturated. Therefore, the Ca content is set to 0.0060% or less.

Mo: 0.01 내지 0.50%Mo: 0.01 to 0.50%

Mo는 페라이트의 석출 강화에 유효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경우, Mo 함유량은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 is an element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precipitation of ferrite. To reliably obtain this effect, the Mo content is preferably set to 0.01% or more.

한편, Mo 함유량이 0.50% 초과에서는, 슬래브의 균열 감수성이 높아져 슬래브의 취급이 곤란해진다. 그 때문에, Mo 함유량은 0.50% 이하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 content exceeds 0.50%, the cracking susceptibility of the slab increases and handling of the slab becomes difficult. Therefore, the Mo content is set to 0.50% or less.

Cr: 0.01 내지 1.00%Cr: 0.01 to 1.00%

Cr은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경우, Cr 함유량은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r is an element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rength of hot rolled steel sheets. To ensure this effect, the Cr content is preferably set to 0.01% or more.

한편, Cr 함유량이 1.00% 초과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연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Cr 함유량은 1.00% 이하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r content exceeds 1.00%, the ductility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teriorates. Therefore, the Cr content is set to 1.00% or less.

V: 0.01 내지 0.50%V: 0.01 to 0.50%

V는, 석출물에 의한 강화 및 페라이트 입자의 세립화에 의해,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경우, V 함유량은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V improves the strength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by strengthening by precipitates and refining the ferrite particles. To reliably obtain this effect, the V content is preferably set to 0.01% or more.

한편, V 함유량이 0.50% 초과에서는, 탄질화물이 다량으로 석출되어 열간 압연 강판의 성형성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V 함유량은 0.50% 이하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V content exceeds 0.50%, a large amount of carbonitride precipitates and the formability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teriorates. Therefore, the V content is set to 0.50% or less.

Cu: 0.01 내지 0.50%Cu: 0.01 to 0.50%

Cu는, 강 중에 고용되어 강의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Cu는, ??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기도 하다. 이들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경우, Cu 함유량은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u is an element that is dissolved in steel and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strength of steel. Additionally, Cu is also an element that improves compatibility. In order to reliably obtain these effects, it is preferable that the Cu content is 0.01% or more.

한편, Cu 함유량이 0.50% 초과에서는, 열간 압연 강판의 표면 성상이 저하되고, 화성 처리성 및 내식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Cu 함유량은 0.50% 이하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 content exceeds 0.50%,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may deteriorate, and chemical treatment properties and corrosion resistance may deteriorate. Therefore, the Cu content is set to 0.50% or less.

Ni: 0.01 내지 0.50%Ni: 0.01 to 0.50%

Ni는, 강 중에 고용되어 강의 강도 증가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Ni는, ??칭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기도 하다. 이들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경우, Ni 함유량은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i is an element that is dissolved in steel and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strength of steel. Additionally, Ni is also an element that improves compatibility. In order to reliably obtain these effects, it is preferable that the Ni content is 0.01% or more.

한편, Ni는 합금 비용이 높기 때문에, Ni를 많이 함유시키면 비용의 증가를 야기한다. 또한, Ni 함유량이 0.50% 초과에서는, 열간 압연 강판의 용접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Ni 함유량은 0.50% 이하로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Ni has a high alloying cos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Ni causes an increase in cost. Additionally, if the Ni content exceeds 0.50%, the weldability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may deteriorate. Therefore, the Ni content is set to 0.50% or less.

Sn: 0.001 내지 0.050%Sn: 0.001 to 0.050%

Sn은, 내부 산화를 억제하는 효과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경우, Sn 함유량은 0.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n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internal oxidation and improving strength. In order to reliably obtain this eff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Sn content is 0.001% or more.

한편, Sn을 다량으로 함유시키면, 열간 압연 시에 흠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Sn 함유량은 0.050% 이하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Sn is contained in a large amount, flaws may occur during hot rolling. Therefore, the Sn content is set to 0.050% or less.

상술한 화학 조성은, 일반적인 분석 방법에 의해 측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ry)를 사용하여 측정하면 된다. 또한, C 및 S는 연소-적외선 흡수법을 이용하고, N은 불활성 가스 융해-열전도도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면 된다.The above-mentioned chemical composition may be measured by a general analysis method. For example, it can be measured using ICP-AES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ry). Additionally, C and S can be measured using the combustion-infrared absorption method, and N can be measured using the inert gas fusion-thermal conductivity method.

열간 압연 강판이 표면에 도금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기계 연삭에 의해 표면의 도금층을 제거하고 나서, 화학 조성의 분석을 행하면 된다.When the hot rolled steel sheet has a plating layer on the surface, the plating layer on the surface can be removed by mechanical grinding and then the chemical composition can be analyzed.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의 금속 조직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metal structure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은,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3/8 깊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금속 조직이, 면적%로, 90 내지 100%의 마르텐사이트와, 0 내지 10%의 잔부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의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 {001}<110>, {111}<110> 및 {112}<110> 방위군의 극밀도가 2.0 이상이며,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2 깊이의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 {110}<112> 방위의 극밀도가 5.0 이하이다.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metal structure in a region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1/8 of the sheet thickness to a depth of 3/8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of 90 to 100% martensite in area percent. and 0 to 10% of the residual structure, and in the aggregate structure of the surface or the area at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001}<110>, {111}<110>, and {112 }<110> The polar density of the orientation is 2.0 or more, and in the texture of the region from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1/2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the {110}<112> orientation The polar density is less than 5.0.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3/8 깊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마르텐사이트 및 잔부 조직의 면적%를 규정하는 것은, 이 위치에 있어서의 금속 조직이 열간 압연 강판의 대표적인 금속 조직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하, 각 규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rea % of martensite and residual structure in the region from the surface to the depth of 1/8 of the sheet thickness to the depth of 3/8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is defined at this position. This is because the metal structure represents the representative metal structure of hot rolled steel sheets. Below, each regulation is explained in detail.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 90 내지 100%Area ratio of martensite: 90 to 100%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이 90% 미만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가 열화되어,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은 90% 이상으로 한다.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은, 바람직하게는 92% 이상, 95% 이상 또는 97%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이다.If the area ratio of martensite is less than 90%, the strength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teriorates and the desired strength cannot be obtained. Therefore, the area ratio of martensite is set to 90% or more. The area ratio of martensite is preferably 92% or more, 95% or more, or 97%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0%.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마르텐사이트란, 프레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와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를 구별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양자를 마르텐사이트라 총칭한다.In this embodiment, martensite refers to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re is no need to distinguish between fresh martensite and tempered martensite, both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rtensite.

또한,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는 프레시 마르텐사이트가 템퍼링된 것으로서, 프레시 마르텐사이트에 비하여 전위 밀도가 낮다. 후술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의 적합한 제조 방법에서는, 급랭 후에 템퍼링을 목적으로 하는 열처리를 포함하지 않지만, 열간 압연 후의 냉각 시 또는 권취 후의 복열에 의해 템퍼링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tempered martensite is fresh martensite tempered, and has a lower dislocation density than fresh martensite. In the suitabl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escribed later, heat treatment for the purpose of tempering after rapid cooling is not included, but tempered martensite may be generated during cooling after hot rolling or by reheating after coiling.

잔부 조직의 면적률: 0 내지 10%Area ratio of residual tissue: 0 to 10%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의 금속 조직은, 잔부 조직으로서, 베이나이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잔부 조직의 면적률이 10% 초과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가 저하되어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잔부 조직의 면적률은 10% 이하로 한다. 잔부 조직의 면적률은, 바람직하게는 8% 이하, 5% 이하 또는 3%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이다.The metal structure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contain bainite as a residual structure. If the area ratio of the remaining structure is more than 10%, the strength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decreases and the desired strength cannot be obtained. Therefore, the area ratio of the remaining tissue is set to 10% or less. The area ratio of the remaining tissue is preferably 8% or less, 5% or less, or 3%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

각 조직의 면적률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얻는다.The area ratio of each tissue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method.

열간 압연 강판의 판 두께의 1/4 위치(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3/8 깊이의 영역) 또한 판 폭 중앙 위치로부터, 압연 방향에 평행한 판 두께 단면이 관찰면이 되도록, 조직 관찰용 시험편을 채취한다. 관찰면을 경면 연마한 후에, 3체적% 나이탈액으로 부식된다. 광학 현미경 및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부식 후의 관찰면에 대하여, 2000배의 배율로 3시야를 촬영한다. 각 촬영 시야는 500㎛×500㎛로 한다. 촬영 사진에 대하여 화상 해석을 행하고, 각 조직의 면적률을 산출한다. 또한, 3시야에 대하여 얻어진 면적률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각 조직의 면적률을 얻는다.A position of 1/4 of the sheet thickness of a hot rolled steel sheet (an area from a depth of 1/8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3/8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and a cross section of the sheet thickness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from the central position of the sheet width. A test piece for tissue observation is collected so that this observation surface is used. After mirror polishing the observation surface, it is corroded with 3% by volume Nital solution.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ree views of the observed surface after corrosion are photographed at a magnification of 2000 times. Each shooting field of view is 500㎛×500㎛. Image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captured photographs, and the area ratio of each tissue is calculated. Additionally, the area ratio of each tissue i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area ratios obtained for the three fields of view.

마르텐사이트는, 입자 내에 블록 및 패킷과 같은 하부 조직을 갖는 조직이므로,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한 전자 채널링 콘트라스트 상에 의하면, 다른 금속 조직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Since martensite is a structure that has substructures such as blocks and packets within the grai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metal structures according to an electron channeling contrast image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라스형의 결정립 집합이며, 조직의 내부에 긴 직경 20㎚ 이상의 Fe계 탄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조직 중 마르텐사이트가 아닌 조직, 및 조직의 내부에 긴 직경 20㎚ 이상의 Fe계 탄화물을 포함하고, 그 Fe계 탄화물이 단일의 배리언트를 갖는, 즉 동일한 방향으로 신장한 Fe계 탄화물인 조직을 베이나이트로 간주한다. 여기서, 동일 방향으로 신장한 Fe계 탄화물은, Fe계 탄화물의 신장 방향의 차이가 5° 이내인 것을 말한다.It is a lath-type crystal grain set, a non-martensite structure that does not contain Fe-based carbides with a long diameter of 20 nm or more inside the structure, and a Fe-based carbide with a long diameter of 20 nm or more inside the structure, and the Fe The structure in which the carbide-based carbide has a single variant, that is, the Fe-based carbide extended in the same direction, is regarded as bainite. Here, Fe-based carbide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refer to those in which the difference in the stretching directions of the Fe-based carbides is within 5°.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 5.0㎛ 초과, 30.0㎛ 이하Average particle size of old austenite particles: greater than 5.0㎛, less than 30.0㎛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에서는, 판 두께의 1/4 위치(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3/8 깊이의 영역)에 있어서,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이 5.0㎛ 초과, 30.0㎛ 이하여도 된다.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을 5.0㎛ 초과로 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해지는 소정의 집합 조직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어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의 이방성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또는 9.0㎛ 이상이다.In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a position of 1/4 of the sheet thickness (an area from a depth of 1/8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3/8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the average of the old austenite grains The particle size may be greater than 5.0 μm or less than 30.0 μm. By setting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old austenite particles to more than 5.0 μm, the predetermined texture obtained in this embodiment can be stably obtained, and the anisotropy of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can be further reduce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rior austenite particles is preferably 6.0 μm or more, 7.0 μm or more, 8.0 μm or more, or 9.0 μm or more.

한편,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이 30.0㎛ 초과이면, 원하는 강도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은 3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old austenite particles is more than 30.0 μm, the desired strength may not be obtain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old austenite particles is 30.0 μm or less.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얻는다.The average particle size of prior austenite particles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method.

열간 압연 강판의 판 두께 1/4 위치(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3/8 깊이의 영역) 또한 판 폭 중앙 위치로부터, 압연 방향에 평행한 판 두께 단면이 관찰면이 되도록, 조직 관찰용 시험편을 채취한다. 관찰면을 경면 연마한 후에, 3체적% 나이탈액으로 부식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금속 조직을 관찰한다. 1시야에 결정립이 약 10000개 관찰되는 범위를 SEM 관찰에 의해 3시야 촬영한다. 얻어진 촬영 사진에 대하여,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WinROOF)를 사용하여 화상 해석을 행하고,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을 산출한다. 관찰 시야에 포함되는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하나에 대하여, 가장 짧은 직경과 가장 긴 직경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그 평균값을 당해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경으로 한다. 촬영 시야의 단부 등, 결정립의 전체가 촬영 시야에 포함되지 않는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를 제외하고, 모든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에 대하여 상기 조작을 행하고, 당해 촬영 시야에 있어서의 모든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경을 구한다. 촬영 시야에 있어서의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은, 얻어진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경의 총합을, 입경을 측정한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총 수로 나눈 값을 산출함으로써 얻는다. 이 조작을 촬영한 모든 시야마다 실시하고, 전 촬영 시야의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을 산출함으로써, 구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평균 입경을 얻는다.At the position of 1/4 of the sheet thickness of a hot rolled steel sheet (an area from a depth of 1/8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3/8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there is also a cross section of the sheet thickness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from the central position of the sheet width. A test piece for tissue observation is collected to serve as an observation surface. After mirror polishing the observation surface, it is corroded with 3% by volume Nital solution, and the metal structure i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area where approximately 10,000 crystal grains are observed in one field of view is photographed in three fields of view using SEM observation. The obtained photograph is subjected to image analysis using image analysis software (WinROOF), and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old austenite grains is calculated. For one of the old austenite grains included in the observation field, the average value of the shortest diameter and the longest diameter is calculated, and the average value is taken as the grain size of the old austenite gra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performed on all prior austenite particles, excluding the former austenite grains in which the entire crystal grain, such as the edge of the imaging field of view, is not included in the imaging field of view, and the grain size of all prior austenite grains in the imaging field of view is determined. Save.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prior austenite grains in the imaging field of view i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sum of the grain sizes of the obtained prior austenite grains divided by the total number of prior austenite grains whose particle diameters were measured. This operation is performed for every photographed field of view, and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prior austenite grains in all photographed fields is calculated to obtain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prior austenite grains.

표면 내지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의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의 {001}<110>, {111}<110> 및 {112}<110> 방위군의 극밀도: 2.0 이상Polar density of {001}<110>, {111}<110>, and {112}<110> defense groups in the texture of the surface or the area at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2.0 or more

표면 내지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의 영역(이하, 표층 영역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의 {001}<110>, {111}<110> 및 {112}<110> 방위군의 극밀도가 2.0 미만이면, 표층 영역에 있어서의 미소한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다. 그 결과,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의 이방성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표층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의 {001}<110>, {111}<110> 및 {112}<110> 방위군의 극밀도는 2.0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2.2 이상, 2.5 이상 또는 2.7 이상이다.{001}<110>, {111}<110>, and {112}<110 in the texture of the surface or a region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surface layer region) > If the polar density of the defense force is less than 2.0, the occurrence of microcracks in the surface layer region cannot be suppressed. As a result, the anisotropy of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increases. Therefore, the polar density of the {001}<110>, {111}<110>, and {112}<110> defense groups in the aggregate structure of the surface region is set to 2.0 or more. Preferably it is 2.2 or more, 2.5 or more, or 2.7 or more.

표층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의 {001}<110>, {111}<110> 및 {112}<110> 방위군의 극밀도의 상한은 특별히 규정하지는 않지만, 연성의 열화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9.0 이하, 8.0 이하, 7.0 이하 또는 5.0 이하로 해도 된다.The upper limit of the polar density of the {001}<110>, {111}<110>, and {112}<110> defense groups in the aggregate structure of the surface region is not specifically specified, but is 9.0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deterioration of ductility. , may be 8.0 or less, 7.0 or less, or 5.0 or less.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2 깊이의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의 {110}<112> 방위의 극밀도: 5.0 이하Polar density in the {110}<112> orientation in the texture of the region from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1/2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5.0 or less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2 깊이의 영역(이하, 내부 영역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의 {110}<112> 방위의 극밀도가 5.0 초과이면,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의 이방성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내부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의 {110}<112> 방위의 극밀도는 5.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4.6 이하, 4.2 이하 또는 4.0 이하이다.The polar density of the {110}<112> orientation in the texture of the region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1/8 of the sheet thickness to the depth of 1/2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internal region) is If it exceeds 5.0, the anisotropy of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increases. Therefore, the pole density of the {110}<112> orientation in the texture of the internal region is set to 5.0 or less. Preferably it is 4.6 or less, 4.2 or less, or 4.0 or less.

내부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의 {110}<112> 방위의 극밀도의 하한은 특별히 규정하지는 않지만, 강도 열화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2.0 이상 또는 2.5 이상으로 해도 된다.The lower limit of the polar density of the {110}<112> orientation in the texture of the internal region is not specifically specified, but may be 2.0 or more or 2.5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strength deterioration.

극밀도는, 주사 전자 현미경과 EBSD 해석 장치를 조합한 장치 및 AMETEK사 제조의 OIM Analysis(등록상표)를 사용한다. EBSD(Electron Back Scattering Diffraction)법으로 측정한 방위 데이터와 구면 조화 함수를 사용해서 계산하여 산출한, 3차원 집합 조직을 표시하는 결정 방위 분포 함수(ODF: Orientation Distribution Function)로부터, 표층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의 {001}<110>, {111}<110> 및 {112}<110> 방위군의 극밀도, 그리고, 내부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의 {110}<112>의 극밀도를 구한다.The extreme density uses a device combin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an EBSD analysis device and OIM Analysis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AMETEK. The aggregate texture of the surface region is determined from the orientation data measured by the EBSD (Electron Back Scattering Diffraction) method and the crystal orientation distribution function (ODF: Orientation Distribution Function), which represents the three-dimensional texture, calculated using a spherical harmonic function. The pole densities of the {001}<110>, {111}<110>, and {112}<110> defense forces in , and the pole densities of {110}<112> in the collective organization of the internal region are obtained.

또한, 측정 범위는, 표층 영역에 대해서는, 표면 내지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의 영역으로 하고, 내부 영역에 대해서는,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2 깊이의 영역으로 한다. 측정 피치는 5㎛/step로 한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range is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1/8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for the surface area, and for the internal area, from a depth of 1/8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to 1/2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urface. This is the area of depth. The measurement pitch is 5㎛/step.

{hkl}은 압연면에 평행한 결정면, <uvw>는 압연 방향에 평행한 결정 방향을 나타낸다. 즉, {hkl}<uvw>는 판면 법선 방향으로 {hkl}, 압연 방향으로 <uvw>가 향하고 있는 결정을 나타낸다.{hkl} represents a crystal plane parallel to the rolling surface, and <uvw> represents a crys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In other words, {hkl}<uvw> represents a crystal with {hkl} oriented in the plate surface normal direction and <uvw> oriented in the rolling direction.

또한, 열간 압연 강판의 압연 방향은 이하의 방법으로 판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can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method.

우선, 열간 압연 강판의 판 두께 단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시험편을 채취한다. 채취한 시험편의 판 두께 단면을 경면 연마로 마무리한 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한다. 관찰 범위는 판 두께의 전체 두께로 하고, 휘도가 어두운 영역을 개재물로 판정한다. 개재물 중 장축의 길이가 40㎛ 이상인 개재물에 있어서, 개재물이 신전하고 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압연 방향으로 판별한다.First, a test piece is collected so that the thickness cross section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can be observed. After finishing the plate thickness cross section of the collected test piece by mirror polishing, it is observ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The observation range is the entire plate thickness, and areas with dark luminance are determined to be inclusions. For inclusions with a major axis length of 40 μm or more,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clusion is extending is determined as the rolling direction.

인장 강도: 1180MPa 이상Tensile strength: more than 1180MPa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은, 자동차 등의 충돌 안전성의 향상 또는 차체 경량화의 관점에서, 인장 강도는 1180MPa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250MPa 이상, 1300MPa 이상, 1350MPa 이상 또는 1400MPa 이상이다.The hot-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crash safety of automobiles or other vehicles or reducing the weight of vehicle bodies. Preferably, it is 1250 MPa or more, 1300 MPa or more, 1350 MPa or more, or 1400 MPa or more.

인장 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규정하지는 않지만, 2000MPa 이하, 1600MPa 이하, 1500MPa 이하 또는 14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limit of the tensile strength is not particularly specified, but is preferably 2000 MPa or less, 1600 MPa or less, 1500 MPa or less, or 1400 MPa or less.

인장 강도는, JIS Z 2241:2011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시험편은 JIS Z 2241:2011에 5호 시험편으로 하고, 시험 방향은 압연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한다.Tensile strength is measured based on JIS Z 2241:2011. The test piece is No. 5 in JIS Z 2241:2011, and the test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의 판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2 내지 8.0㎜로 해도 된다. 열연 강판의 판 두께가 1.2㎜ 미만이면, 압연 완료 온도의 확보가 곤란해짐과 함께 압연 하중이 과대해져서, 열간 압연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The plate thick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1.2 to 8.0 mm. If the thick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is less than 1.2 mm, it becomes difficult to secure the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and the rolling load may become excessive, making hot rolling difficult.

또한, 판 두께가 8.0㎜ 초과에서는, 집합 조직의 제어가 곤란해져서, 상술한 집합 조직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판 두께는 8.0㎜ 이하로 해도 된다.Additionally, when the plate thickness exceeds 8.0 mm, control of the texture becomes difficult, and it may become difficult to obtain the texture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plate thickness may be 8.0 mm or less.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은, 표면에 도금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금층으로서는, 알루미늄 도금층, 알루미늄-아연 도금층, 알루미늄-규소 도금층, 용융 아연 도금층, 전기 아연 도금층,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층 등이 예시된다.Additionally,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have a plating layer on the surface. Examples of the plating layer include an aluminum plating layer, an aluminum-zinc plating layer, an aluminum-silicon plating layer, a hot-dip galvanizing layer, an electric galvanizing layer, and an alloyed hot-dip galvanizing layer.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의 적합한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이 적합한 제조 방법은, 하기 (a) 내지 (d)의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 있어서의 온도는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강판의 표면 온도임을 말한다.Next, a suitable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 manufacturing method suitable for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a) to (d). In addition, the temperatu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teel sheet unless otherwise specified.

(a) 상술한 화학 조성을 갖는 슬래브를 1100℃ 이상, 1350℃ 미만의 온도역으로 가열하는, 가열 공정.(a) A heating process in which a slab having the above-mentioned chemical composition is heated to a temperature range of 1100°C or more and less than 1350°C.

(b) 가열 후의 슬래브를, 복수의 스탠드를 갖는 압연기를 사용해서 마무리 압연하는 마무리 압연 공정이며, 하기 조건 (Ⅰ) 내지 (Ⅴ)를 만족시킨다.(b) This is a finish rolling process in which the heated slab is finish rolled using a rolling mill having a plurality of stands, and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I) to (V).

(Ⅰ)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를 800℃ 이상으로 한다.(Ⅰ) The finish rolling start temperature is 800°C or higher.

(Ⅱ) 복수의 스탠드 중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에 있어서, 하기 식 (1)에 의해 표시되는 σ가 40 내지 80이 되도록 압연한다.(II) In each of the last four stands among the plurality of stands, rolling is performed so that σ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s 40 to 80.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여기서, T는 각 스탠드에 들어가기 직전의 온도(℃)이며, ε는 상당 소성 변형이며, ε'는 변형 속도이다.Here, T is the temperature (°C) just before entering each stand, ε is the equivalent plastic strain, and ε' is the strain rate.

(Ⅲ)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간의 패스간 시간을 0.2 내지 10.0초로 한다.(Ⅲ) The time between passes between each of the last four stands shall be 0.2 to 10.0 seconds.

(Ⅳ) 마지막 4개의 스탠드의 누적 압하율을 60% 이상으로 한다.(Ⅳ) The cumulative reduction ratio of the last four stands shall be 60% or more.

(Ⅴ)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를 800 내지 950℃로 한다.(Ⅴ) The finish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is 800 to 950°C.

(c) 마무리 압연 완료 후 1.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고,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 내지 300℃의 온도역의 평균 냉각 속도가 100℃/s 이상이 되도록, 300℃ 이하의 온도역까지 냉각하는, 냉각 공정.(c) A cooling process that starts cooling within 1.0 seconds after completion of finish rolling and cools to a temperature range of 300°C or lower so that the average cooling rate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the finish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to 300°C is 100°C/s or more. .

(d) 냉각 후, 권취를 행하는, 권취 공정.(d) A winding process in which winding is performed after cooling.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process will be described.

(a) 가열 공정(a) Heating process

가열 공정에서는, 상술한 화학 조성을 갖는 슬래브를 1100℃ 이상, 1350℃ 미만의 온도역으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래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한 화학 조성을 갖는 용강을, 전로 등에서 용제하고, 연속 주조 등의 주조 방법으로 슬래브로 하는, 상용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조괴-분괴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In the heat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heat the slab having the above-mentioned chemical composition to a temperature range of 1100°C or more and less than 1350°C.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lab does not need to be particularly limited, and a common method can be applied in which molten steel having the above-mentioned chemical composition is melted in a converter or the like and used to form a slab by a casting method such as continuous casting. Additionally, the incorporation-disintegration method may be used.

슬래브에서는, Ti 등의 탄질화물 형성 원소의 대부분이 슬래브 중에 불균일한 분포이고, 조대한 탄질화물로서 존재하고 있다. 불균일한 분포로 존재하는 조대한 석출물(탄질화물)은, 열간 압연 강판의 여러 특성(예를 들어, 인장 강도, 인성, 구멍 확장성 등)을 열화시킨다. 그 때문에, 열간 압연 전의 슬래브를 가열하여, 조대한 석출물을 고용시킨다. 이 조대한 석출물을 열간 압연 전에 충분히 고용시키기 위해서는, 슬래브의 가열 온도를 11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슬래브의 가열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표면 흠의 발생이나, 스케일 오프에 의한 수율 저하를 야기한다. 그 때문에, 강 소재의 가열 온도는 135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slab, most of the carbonitride forming elements such as Ti are distributed unevenly in the slab and exist as coarse carbonitrides. Coarse precipitates (carbonitrides) present in a non-uniform distribution deteriorate various properties (e.g., tensile strength, toughness, hole expandability, etc.)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Therefore, the slab before hot rolling is heated to dissolve the coarse precipitates into solid solution. In order to sufficiently dissolve these coarse precipitates before hot 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lab is preferably set to 1100°C or higher. However, if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lab becomes too high, surface flaws may occur or yield decreases due to scale-off.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teel material is lower than 1350°C.

슬래브를 1100℃ 이상, 1350℃ 미만의 온도역으로 가열하여 소정 시간 유지하지만, 유지 시간이 4800초를 초과하면, 스케일 발생량이 증대한다. 그 결과, 계속되는 마무리 압연 공정에 있어서 스케일 말려들어감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 열간 압연 강판의 표면 품질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1100℃ 이상, 1350℃ 미만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은, 4800초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ab is heated to a temperature range of 1100°C or higher and below 1350°C and hel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owever, if the holding time exceeds 4800 seconds, the amount of scale generated increases. As a result, scale entrapment and the like are likely to occur during the subsequent finish rolling process, and the surface quality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may deteriorat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tim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100°C or more and less than 1350°C is 4800 seconds or less.

조압연 공정Rough rolling process

가열 공정과 마무리 압연 공정의 사이에서, 슬래브에 대하여 조압연을 행해도 된다. 조압연은, 원하는 시트 바 치수를 얻을 수 있으면 되며, 그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Between the heating process and the finish rolling process, rough rolling may be performed on the slab. Rough rolling is sufficient as long as the desired sheet bar size can be obtained, and the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 마무리 압연 공정(b) Finish rolling process

마무리 압연 공정에서는, 가열 후의 슬래브를, 복수의 스탠드를 갖는 압연기를 사용하여 마무리 압연한다. 이때, 이하에 설명하는 조건 (Ⅰ) 내지 (Ⅴ)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nish rolling process, the heated slab is finish rolled using a rolling mill having a plurality of stands.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satisfy conditions (I) to (V) described below.

또한, 마무리 압연 전, 혹은 마무리 압연의 압연 스탠드간의 압연 도중에, 디스케일링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o perform descaling before finish rolling or during rolling between the rolling stands of finish rolling.

(Ⅰ)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 800℃ 이상(Ⅰ) Finish rolling start temperature: 800℃ or higher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마무리 압연의 처음 패스의 입측 온도)는 8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가 800℃ 미만이면, 복수의 압연 스탠드의 일부(특히 전반의 스탠드)에 있어서의 압연이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의 2상역 온도에서 행해지게 된다. 그 결과, 마무리 압연 후에 가공 조직이 잔존하고,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 및 인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는 8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nish rolling start temperature (entrance temperature of the first pass of finish rolling) is preferably 800°C or higher. If the finish rolling start temperature is less than 800°C, rolling in some of the plurality of rolling stands (particularly the entire stand) is performed at the two-phase temperature of ferrite + austenite. As a result, the processed structure may remain after finish rolling, and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may deteriorat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ish rolling start temperature is 800°C or higher.

또한, 마무리 압연 개시 온도는, 오스테나이트의 조대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또한 표층 영역 및 내부 영역의 집합 조직을 바람직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11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nish rolling start temperature is preferably set to 1100°C or lower in order to suppress coarsening of austenite and to preferably control the texture of the surface region and internal region.

(Ⅱ)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에 있어서, 하기 식 (1)에 의해 표시되는 σ: 40 내지 80(II) In each of the last four stands, σ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40 to 80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여기서, T는 각 스탠드에 들어가기 직전의 온도(℃)(즉 입측 온도)이며, ε는 상당 소성 변형이며, ε'는 변형 속도이다.Here, T is the temperature (°C) immediately before entering each stand (i.e., entrance temperature), ε is the equivalent plastic strain, and ε' is the strain rate.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에 있어서 σ가 40 내지 80인 것은, 마지막에서 4번째의 스탠드의 σ와, 마지막에서 3번째 스탠드의 σ와, 마지막에서 2번째 스탠드의 σ와, 최종 스탠드의 σ가 모두 40 내지 80이라고 환언할 수 있다.The fact that σ is 40 to 80 in each of the last four stands means that σ of the fourth-to-last stand, σ of the third-to-last stand, σ of the second-to-last stand, and σ of the final stand are all 40. It can be rephrased as 80.

σ가 40 미만인 스탠드가 1개라도 있으면,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에 있어서 표층 영역의 집합 조직의 발달에 필요한 변형이 적합하게 부여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표면 내지 표면에서 판 두께의 1/8 깊이의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 {001}<110>, {111}<110> 및 {112}<110> 방위군의 극밀도를 바람직하게 제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에 있어서의 σ는 4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re is even one stand with σ less than 40, the strai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xture of the surface layer may not be appropriately provided to each of the last four stands. As a result, the pole density of the {001}<110>, {111}<110> and {112}<110> defense groups is preferably controlled in the aggregate structure of the surface or the area at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There are cases where it cannot be done.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σ in each of the last four stands is 40 or more.

또한, σ가 80 초과인 스탠드가 1개라도 있으면, 내부 영역의 집합 조직을 바람직하게 제어할 수 없어,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의 이방성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에 있어서의 σ는 8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re is even one stand with σ exceeding 80, the texture of the internal region cannot be preferably controlled, and the anisotropy of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may increase.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σ in each of the last four stands is 80 or less.

또한, 상당 소성 변형인 ε는, 입측 판 두께를 h로 하고, 출측 판 두께를 H로 했을 때, ε=(2/√3)×(h/H)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변형 속도인 ε'는 압연 시간을 t(s)로 했을 때, ε'=ε/t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압연 시간 t는, 강판과 압연롤이 접촉하여, 강판에 변형이 가해지는 시간을 말한다.In addition, ε, which is the equivalent plastic strain, can be obtained by ε = (2/√3) × (h/H) when the entry plate thickness is h and the exit plate thickness is H. Additionally, ε', which is the strain rate, can be obtained by ε'=ε/t when the rolling time is t(s). In addition, the rolling time t refers to the time during which the steel sheet and the rolling roll come into contact and strain is applied to the steel sheet.

(Ⅲ)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간의 패스간 시간: 0.2 내지 10.0초(III) Inter-pass time between each of the last four stands: 0.2 to 10.0 seconds.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간에 있어서, 패스간 시간이 10.0초를 초과하는 패스간이 1개라도 있으면, 패스간에서의 회복 및 재결정이 진행되어 버린다. 그 결과, 변형의 누적이 곤란해져서, 열간 압연 강판에 있어서 원하는 조직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간의 패스간 시간은 10.0초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 last four stands, if there is at least one pass with an inter-pass time exceeding 10.0 seconds, recovery and re-determination between passes proceeds. As a result, accumulation of strain becomes difficult, and the desired structure may not be obtained in the hot rolled steel sheet.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inter-pass time between each of the last four stands is 10.0 seconds or less.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간의 패스간 시간은 짧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패스간 시간의 단축에는, 각 스탠드의 설치 공간이나 압연 속도의 점에서 제약이 있다. 또한,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간에 있어서, 패스간 시간이 0.2초 미만이 되면, 미 재결정립이 현저하게 증대함으로써, 원하는 집합 조직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0.2초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hat the inter-pass time between each of the last four stands is shorter, but there are restrictions on shortening the inter-pass time in terms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rolling speed of each stand. Additionally, if the inter-pass time between the last four stands is less than 0.2 seconds, unrecrystallized grains increase significantly, and the desired texture may not be obtain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set it to 0.2 seconds or more.

또한, 마지막 4개의 각 스탠드간의 패스간 시간이 0.2 내지 10.0초인 것은, 마지막에서 4번째의 스탠드와 마지막에서 3번째 스탠드 사이의 패스간 시간, 마지막에서 3번째 스탠드와 마지막에서 2번째 스탠드 사이의 패스간 시간, 마지막에서 2번째 스탠드와 최종 스탠드 사이의 패스간 시간이 전부 0.2 내지 10.0초라고 환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s-to-pass time between each of the last four stands is 0.2 to 10.0 seconds, which means the pass-to-pass time between the fourth-to-last stand and the third-to-last stand, and the pass-to-pass time between the third-to-last stand and the second-to-last stand. It can be said that the pass time, the pass time between the second-to-last stand and the final stand, is all 0.2 to 10.0 seconds.

(Ⅳ) 마지막 4개의 스탠드의 누적 압하율: 60% 이상(Ⅳ) Cumulative reduction ratio of the last four stands: 60% or more

마지막 4개의 스탠드의 누적 압하율이 60% 미만이면,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내에 도입되는 전위 밀도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내에 도입되는 전위 밀도가 작아지면, 원하는 조직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고,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 및 인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마지막 4개의 스탠드의 누적 압하율은 6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cumulative reduction ratio of the last four stands is less than 60%, the dislocation density introduced into the unrecrystallized austenite may be small. If the dislocation density introduced into unrecrystallized austenite becomes small, it becomes difficult to obtain the desired structure, and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may deteriorate.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cumulative reduction ratio of the last four stands is 60% or more.

또한, 마지막 4개의 스탠드의 누적 압하율이 97%를 초과하면, 열간 압연 강판의 형상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마지막 4개의 스탠드의 누적 압하율은 97% 이하로 해도 된다.Additionally, if the cumulative reduction ratio of the last four stands exceeds 97%, the shape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may deteriorate. Therefore, the cumulative reduction ratio of the last four stands may be 97% or less.

또한, 마지막 4개의 스탠드의 누적 압하율은, 마지막에서 4번째의 스탠드의 입구 판 두께를 t0으로 하고, 최종 스탠드의 출구 판 두께를 t1로 했을 때, {1-(t1/t0)}×100(%)로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umulative reduction ratio of the last four stands is {1-(t1/t0)}×100 when the entrance plate thickness of the fourth-to-last stand is t0 and the outlet plate thickness of the final stand is t1. It can be expressed as (%).

(Ⅴ)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 800 내지 950℃(V) Finish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800 to 950°C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최종 스탠드의 출측 온도)가 800℃ 미만이면, 압연이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의 2상 영역 온도에서 행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압연 후에 가공 조직이 잔존하여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 및 인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는 8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finish rolling finish temperature (exit temperature of the final stand) is less than 800°C, rolling is performed at the temperature of the two-phase region of ferrite + austenite. Therefore,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may decrease because the processed structure remains after roll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ish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is 800°C or higher.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학 조성을 갖는 슬래브에 있어서는,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 영역은 대체로 950℃ 이하의 온도역이다. 따라서,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가 950℃를 초과하면,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성장하고, 냉각 후에 얻어지는 열간 압연 강판의 마르텐사이트 입자 길이가 커진다. 그 결과, 원하는 집합 조직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고,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 및 인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는 9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n the slab having the chem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recrystallized austenite region is generally in a temperature range of 950°C or lower. Therefore, when the finish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exceeds 950°C, austenite grains grow and the martensite grain length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obtained after cooling increases. As a result, it becomes difficult to obtain the desired texture, and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may decreas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ish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is 950°C or lower.

(c) 냉각 공정(c) Cooling process

냉각 공정에서는, 마무리 압연 완료 후 1.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여,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 내지 300℃의 온도역의 평균 냉각 속도가 100℃/s 이상이 되도록, 300℃ 이하의 온도역까지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ol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start cooling within 1.0 seconds after completion of finish rolling and cool to a temperature range of 300°C or lower so that the average cooling rate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the finish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to 300°C is 100°C/s or more. do.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무리 압연 설비의 후단에 냉각 설비를 설치하고, 이 냉각 설비에 대해서 마무리 압연 후의 강판을 통과시키면서 냉각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설비는, 100℃/s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에서 강판을 냉각할 수 있는 설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냉각 설비로서 예를 들어, 냉각 매체로서 물을 사용한 수랭 설비를 예시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cooling facility at the rear of the finish rolling facility and cool the steel sheet after finish rolling by passing it through this cooling facility. It is desirable that the cooling equipment be equipment that can cool the steel sheet at an average cooling rate of 100°C/s or more. Examples of such cooling equipment include water cooling equipment using water as a cooling medium.

냉각 공정에서의 평균 냉각 속도는, 냉각 개시 시부터 냉각 종료 시까지의 강판의 온도 강하 폭을, 냉각 개시 시부터 냉각 종료 시까지의 소요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한다. 냉각 개시 시는, 냉각 설비에 대한 강판의 도입 시로 하고, 냉각 종료 시는, 냉각 설비로부터의 강판의 도출 시로 한다.The average cooling rate in the cooling process is the temperature drop of the steel sheet from the start of cooling to the end of cooling divided by the time required from the start of cooling to the end of cooling. The start of cooling is taken as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steel sheet into the cooling facility, and the time of completion of cooling is taken as the time of delivery of the steel sheet from the cooling facility.

또한, 냉각 설비에는, 도중에 공랭 구간이 없는 설비나, 도중에 1 이상의 공랭 구간을 갖는 설비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느 냉각 설비를 사용해도 된다. 공랭 구간을 갖는 냉각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냉각 개시부터 냉각 종료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가 100℃/s 이상이면 된다.Additionally, cooling facilities include facilities that do not have an air-cooling section in the middle or facilities that have one or more air-cooling sections in the middle. In this embodiment, any cooling equipment may be used. Even when cooling equipment with an air cooling section is used,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start of cooling to the end of cooling is sufficient as long as 100°C/s or more.

이하, 냉각 조건의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또한, 냉각 정지 온도는 300℃ 이하이고, 이 조건에 대해서는 권취 공정에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ason for the limitation of cooling conditions will be explained. In addition, the cooling stop temperature is 300°C or lower, and this condition is explained in the winding process.

냉각 개시 시간: 마무리 압연 완료 후 1.0초 이내Cooling start time: Within 1.0 seconds after completion of finish rolling

마무리 압연 완료 후, 즉시 냉각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개시 시간이 1.0초 초과가 되면, 재결정이 진행되어 변형이 해방된 상태에서 냉각이 행해지고, 열간 압연 강판에 있어서 원하는 집합 조직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마무리 압연 완료 후 1.0초 이내에 냉각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finish rolling is completed, it is desirable to start cooling immediately. If the cooling start time exceeds 1.0 seconds, recrystallization proceeds and cool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strain is released, and the desired texture may not be obtained in the hot rolled steel shee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start cooling within 1.0 seconds after completion of finish rolling.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 내지 300℃의 온도역의 평균 냉각 속도: 100℃/s 이상Average cooling rate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the finish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to 300℃: 100℃/s or more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 내지 300℃의 온도역의 평균 냉각 속도가 100℃/s 미만이면, 베이나이트나 페라이트가 형성되기 쉬워져 소망량의 마르텐사이트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마무리 압연 완료 온도 내지 300℃의 온도역의 평균 냉각 속도는 100℃/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average cooling rate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the finish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to 300°C is less than 100°C/s, bainite and ferrite tend to form, and the desired amount of martensite may not be obtain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average cooling rate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the finish rolling completion temperature to 300°C is 100°C/s or more.

(d) 권취 공정(d) Winding process

권취 공정에서는, 300℃ 이하의 온도역까지 냉각된 강판을 코일상으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후에 즉시 강판의 권취가 행해지기 때문에, 권취 온도는 냉각 정지 온도와 거의 동등하다. 권취 온도가 300℃ 초과이면, 폴리고날 페라이트 또는 베이나이트가 생성되기 때문에, 열간 압연 강판의 강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권취 온도는 300℃ 이하의 온도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wind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wind the steel sheet cooled to a temperature range of 300°C or lower into a coil. Since coiling of the steel sheet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cooling, the coiling temperature is almost equal to the cooling stop temperature. If the coiling temperature exceeds 300°C, polygonal ferrite or bainite is generated, so the strength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may decreas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iling temperature is set to a temperature range of 300°C or lower.

또한, 권취 후, 통상법에 따라 열간 압연 강판에는 조질 압연을 실시해도 되며, 또한 산세를 실시하여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해도 된다. 혹은 추가로, 알루미늄 도금, 알루미늄-아연 도금, 알루미늄-규소 도금, 용융 아연 도금, 전기 아연 도금,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등의 도금 처리나, 화성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In addition, after coiling, the hot rolled steel sheet may be temper roll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r may be pickled to remov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Alternatively, plating treatment such as aluminum plating, aluminum-zinc plating, aluminum-silicon plating, hot-dip galvanizing, electro-galvanizing, alloyed hot-dip galvanizing, etc., or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이상 설명한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By using the preferred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stably manufactured.

실시예Examp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실시예에서의 조건은,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채용한 일 조건예이며, 본 발명은, 이 일 조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 다양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Next,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conditions in the examples are examples of conditions adopted to confirm the feasibility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of conditions. n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opt various conditions as long a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조성의 용강을 전로에서 용제하고, 연속 주조법에 의해 슬래브를 얻었다. 이어서, 이들 슬래브를, 표 2A 및 표 2B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가열하고, 조압연을 행한 후, 표 2A 및 표 2B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마무리 압연을 행하였다. 마무리 압연 시 완료 후, 표 3A 및 표 3B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냉각하고, 권취함으로써, 표 3A 및 표 3B에 나타내는 판 두께의 열간 압연 강판을 얻었다.Molten steel with the chemical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was melted in a converter, and a slab was obtained by continuous casting. Next, these slabs were heat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s 2A and 2B, rough rolling was performed, and then finish rolling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s 2A and 2B. After finishing the finish rolling, it was cooled and coil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s 3A and 3B to obtain hot-rolled steel sheets with the thicknesses shown in Tables 3A and 3B.

또한, 가열 공정에 있어서, 표 2A 및 표 2B에 기재된 가열 온도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은 4800초 이하로 하였다.In addition, in the heating process, the holding time at the heating temperature shown in Tables 2A and 2B was 4800 seconds or less.

또한, 마무리 압연 후의 냉각은 수랭에 의한 것으로 하고, 도중에 공랭 구간을 갖지 않는 수랭 설비에 강판을 통과시킴으로써 행하였다. 표 3A 및 표 3B 중의 평균 냉각 속도는, 수랭 설비 도입 시로부터 수랭 설비 도출 시에 이르기까지의 강판의 온도 강하 폭을, 수랭 설비에 대한 강판의 소요 통과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In addition, cooling after finish rolling was performed by water cooling, and was performed by passing the steel sheet through water cooling equipment without an air cooling section in the middle. The average cooling rate in Tables 3A and 3B is the temperature drop of the steel sheet from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water cooling equipment to the time of extraction of the water cooling equipment divided by the time required for the steel sheet to pass through the water cooling equipment.

얻어진 열간 압연 강판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상술한 방법에 의해, 각 조직의 면적률 및 집합 조직의 극밀도의 측정, 그리고, 인장 시험을 실시하였다.A test piece was taken from the obtained hot-rolled steel sheet, and the area ratio of each structure and the ultimate density of the aggregate structure were measured and a tensile test was perform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얻어진 결과를 표 4A 및 표 4B에 나타낸다.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s 4A and 4B.

얻어진 인장 강도가 1180MPa 이상인 경우, 높은 강도를 갖는다고 하여 합격으로 판정하였다. 한편, 얻어진 인장 강도가 1180MPa 미만인 경우, 높은 강도를 갖지 않는다고 하여 불합격으로 판정하였다.When the obtained tensile strength was 1180 MPa or more, it was judged to have high strength and was judged as pass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obtained tensile strength was less than 1180 MPa, it was judged to be disqualified as it did not have high strength.

열간 압연 강판의 인성 평가로서, 샤르피 충격 시험을 행함으로써, 연성 취성 천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연성 취성 천이 온도의 측정은, JIS Z 2242:2018에 준거하여, 2.5㎜ 서브사이즈의 V 노치 시험편을 사용하여, C 방향 노치의 샤르피 충격 시험을 행하였다. 취성 파면율이 50%가 되는 온도를 연성 취성 천이 온도로 하였다. 또한, 열간 압연 강판의 최종 판 두께가 2.5㎜ 미만인 것에 대해서는 전체 두께로 측정하였다.As an evaluation of the toughnes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the 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was measured by performing a Charpy impact test. The 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was measured using a C-direction notch Charpy impact test using a V-notch test piece of 2.5 mm subsize in accordance with JIS Z 2242:2018.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brittle fracture ratio was 50% was designated as the 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In addition, for hot rolled steel sheets with a final plate thickness of less than 2.5 mm, the total thickness was measured.

얻어진 연성 취성 천이 온도가 -50℃ 이하인 경우, 인성이 우수하다고 하여 합격으로 판정하였다. 한편, 얻어진 연성 취성 천이 온도가 -50℃ 초과인 경우, 인성이 떨어진다고 하여 불합격으로 판정하였다.When the obtained 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was -50°C or lower, the test was judged to have excellent toughness and pas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obtained 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exceeded -50°C, it was judged to be disqualified due to poor toughness.

또한, 이하의 방법에 의해 인성의 이방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JIS Z 2242:2018에 준거하여, 2.5㎜ 서브사이즈의 V 노치 시험편을 사용하여, C 방향 노치의 흡수 에너지 및 L 방향 노치의 흡수 에너지를 샤르피 충격 시험에 의해 측정하였다. 샤르피 충격 시험은 -60℃에서 실시하였다. L 방향 노치의 흡수 에너지와 C 방향 노치의 흡수 에너지의 차를 산출하고, 그 차가 ±15J 이하인 경우, 인성의 이방성이 저감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합격으로 판정하였다. 한편, L 방향 노치의 흡수 에너지와 C 방향 노치의 흡수 에너지의 차가 ±15J 초과인 경우, 인성의 이방성이 저감되지 않았다고 하여 불합격으로 판정하였다.Additionally, the anisotropy of toughness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JIS Z 2242:2018, the absorbed energy of the C-direction notch and the absorbed energy of the L-direction notch were measured by a Charpy impact test using a V-notch test piece of 2.5 mm subsize. The Charpy impact test was conducted at -60°C.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sorbed energy of the L-direction notch and the absorbed energy of the C-direction notch was calculated, and when the difference was ±15 J or less, the anisotropy of toughness was determined to be reduced and the test was judged as pass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sorbed energy of the L-direction notch and the absorbed energy of the C-direction notch exceeded ±15J, the anisotropy of toughness was not reduced and was judged to be rejected.

[표 1][Table 1]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표 2A][Table 2A]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표 2B][Table 2B]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표 3A][Table 3A]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표 3B][Table 3B]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표 4A][Table 4A]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표 4B][Table 4B]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09

표 4A 및 표 4B를 보면, 본발명 예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은, 높은 강도 및 우수한 인성을 갖고, 또한 인성의 이방성이 저감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은, 어느 것의 특성이 열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Looking at Tables 4A and 4B, it was found that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high strength and excellent toughness, and that the anisotropy of toughness was reduce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properties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were deteriorated.

Claims (2)

화학 조성이, 질량%로,
C: 0.100 내지 0.500%,
Si: 0.100 내지 3.000%,
Mn: 0.50 내지 3.00%,
P: 0.100% 이하,
S: 0.0100% 이하,
Al: 1.000% 이하,
N: 0.0100% 이하,
Ti: 0 내지 0.20%,
Nb: 0 내지 0.100%,
Ca: 0 내지 0.0060%,
Mo: 0 내지 0.50%,
Cr: 0 내지 1.00%,
V: 0 내지 0.50%,
Cu: 0 내지 0.50%,
Ni: 0 내지 0.50%, 및
Sn: 0 내지 0.050%
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3/8 깊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금속 조직이, 면적%로,
90 내지 100%의 마르텐사이트와,
0 내지 10%의 잔부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의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
{001}<110>, {111}<110> 및 {112}<110> 방위군의 극밀도가 2.0 이상이며,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8 깊이 내지 상기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2 깊이의 영역의 집합 조직에 있어서,
{110}<112> 방위의 극밀도가 5.0 이하이며,
인장 강도가 118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강판.
Chemical composition, in mass%,
C: 0.100 to 0.500%,
Si: 0.100 to 3.000%,
Mn: 0.50 to 3.00%,
P: 0.100% or less,
S: 0.0100% or less,
Al: 1.000% or less,
N: 0.0100% or less,
Ti: 0 to 0.20%,
Nb: 0 to 0.100%,
Ca: 0 to 0.0060%,
Mo: 0 to 0.50%,
Cr: 0 to 1.00%,
V: 0 to 0.50%,
Cu: 0 to 0.50%,
Ni: 0 to 0.50%, and
Sn: 0 to 0.050%
Contains, the balance consists of Fe and impurities,
The metal structure in the area from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3/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is expressed in area%,
90 to 100% martensite,
Consists of 0 to 10% of residual tissue,
In the texture of the surface or the area at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001}<110>, {111}<110> and {112}<110> defense forces have a polar density of 2.0 or more;
In the texture of the area from a depth of 1/8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1/2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The polar density of the {110}<112> orientation is 5.0 or less,
A hot-rolled steel sheet characterized by a tensile strength of 1180 MPa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이, 질량%로,
Ti: 0.02 내지 0.20%,
Nb: 0.010 내지 0.100%,
Ca: 0.0001 내지 0.0060%,
Mo: 0.01 내지 0.50%,
Cr: 0.01 내지 1.00%,
V: 0.01 내지 0.50%,
Cu: 0.01 내지 0.50%,
Ni: 0.01 내지 0.50% 및
Sn: 0.001 내지 0.050%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강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hemical composition is expressed in mass%,
Ti: 0.02 to 0.20%,
Nb: 0.010 to 0.100%,
Ca: 0.0001 to 0.0060%,
Mo: 0.01 to 0.50%,
Cr: 0.01 to 1.00%,
V: 0.01 to 0.50%,
Cu: 0.01 to 0.50%,
Ni: 0.01 to 0.50% and
Sn: 0.001 to 0.050%
A hot rolled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one or two or more ty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R1020247011518A 2021-10-14 2022-10-12 hot rolled steel plate KR2024006511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68623 2021-10-14
JPJP-P-2021-168623 2021-10-14
PCT/JP2022/038035 WO2023063347A1 (en) 2021-10-14 2022-10-12 Hot-rolled steel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5114A true KR20240065114A (en) 2024-05-14

Family

ID=8598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518A KR20240065114A (en) 2021-10-14 2022-10-12 hot rolled steel plat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65114A (en)
CN (1) CN118056028A (en)
WO (1) WO2023063347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1942U (en) 1979-07-30 1981-02-26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1503A1 (en) * 2004-07-27 2006-02-02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 young’s modulus steel plate, zinc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alloyed zinc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high young’s modulus steel pip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CN104040009B (en) 2012-01-05 2016-05-18 新日铁住金株式会社 Hot rolled steel plat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MX2021006059A (en) * 2018-11-28 2021-07-06 Nippon Steel Corp Hot-rolled steel sheet.
US20230107809A1 (en) * 2020-02-20 2023-04-06 Nippon Steel Corporation Hot-rolled steel sheet
JP2021168623A (en) 2020-04-16 2021-10-28 株式会社丸山製作所 Boom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1942U (en) 1979-07-30 1981-02-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3347A1 (en) 2023-04-20
CN118056028A (en) 202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1936B2 (en)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36845B1 (en) Hot-roll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14502759B (en) Hot rolled steel plate
JP6760407B2 (en) Hot-rolled steel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14188966A1 (en) Hot-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1448328B (en) Hot-stamped molded body
KR102375340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433938B1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igh-strength pl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655884B (en) Hot stamp-molded body
WO2021090642A1 (en) Hot roll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378147B1 (en) Hot rolled steel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40991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ot-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ld-rolled full hard steel sheet
KR20200047625A (en) Hot rolled steel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30085173A (en) hot rolled steel
CN116635543A (en) Steel sheet,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5244203B (en) Hot rolled steel sheet
KR20230158061A (en) hot rolled steel plate
KR20240065114A (en) hot rolled steel plate
KR20240065116A (en) hot rolled steel plate
WO2023068369A1 (en) Steel sheet
CN116670308A (en) Steel sheet,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22070840A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WO2023095866A1 (en) Hot-rolled steel sheet
CN117677725A (en) Steel sheet,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7651786A (en) Steel sheet,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