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461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4615A
KR20240064615A KR1020240058612A KR20240058612A KR20240064615A KR 20240064615 A KR20240064615 A KR 20240064615A KR 1020240058612 A KR1020240058612 A KR 1020240058612A KR 20240058612 A KR20240058612 A KR 20240058612A KR 20240064615 A KR20240064615 A KR 20240064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aft
fixed
gea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준
황양국
이연주
권오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5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4615A/ko
Publication of KR2024006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4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86Oute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후방커버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된 모터;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링 기어; 일단은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축과 동심축을 형성하는 제2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축의 타단이 고정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바디, 제1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결합된 제1기어,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바디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바디, 및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에 결합된 제2기어가 구비된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를 세탁하는 세탁기, 건조하는 건조기, 및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실행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세탁기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세탁드럼, 상기 세탁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세탁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건조기는 의류가 저장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건조 구동부), 및 상기 건조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세탁 구동부는 터브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터브를 관통하여 세탁드럼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반면, 건조 구동부는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풀리, 상기 풀리의 회전운동을 상기 건조드럼에 연결하는 벨트(동력전달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세탁 구동부는 모터의 회전축이 세탁드럼과 로터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된다. 의류의 세탁이나 탈수를 위해서는, 세탁 구동부가 세탁드럼의 회전수를 높게 제어하거나 세탁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데, 모터의 회전축이 세탁드럼과 로터를 직접 연결하도록 구비되면 세탁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쉽게 제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 건조 구동부는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가 건조드럼과 모터의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건조기는 건조드럼의 회전수를 높게 유지할 필요성이나 건조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에,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를 통해 건조드럼을 회전시켜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건조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면, 건조드럼 내부에서 의류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건조기 역시 건조 시간의 단축 및 건조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종래 세탁기 중에는 로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는 구동부(감속기 및 모터)가 구비된 것이 있다(공개번호 10-2004-0071426). 감속기 및 모터가 구비된 종래 세탁기는 모터의 스테이터 및 감속기가 각각 터브에 고정되는 방식이었다. 즉, 종래 세탁기에 구비된 스테이터는 감속기에 직접 고정된 구조가 아니라 터브에 고정된 구조였다(스테이터의 진동폭과 감속기의 진동폭이 다를 수 있는 구조). 상술한 구조의 구동부는 터브와 드럼의 진동 시 로터에 연결된 입력축과 드럼에 연결된 출력축의 동심도 유지, 및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쉽지 않은 구조였다.
본 출원은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되,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이 동심축을 형성하게 하는 구동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구동부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이 드럼의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건조시간 단축)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스테이터를 냉각하는 냉각유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후방커버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된 모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링 기어; 일단은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축과 동심축을 형성하는 제2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축의 타단이 고정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바디, 제1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결합된 제1기어,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바디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바디, 및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에 결합된 제2기어가 구비된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기어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제2기어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의 지름보다 길고, 상기 제1기어의 지름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제2기어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의 지름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제2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원주면 지름은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며, 상기 링 기어는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원주면 지름은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링 기어는 상기 제2하우징의 원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코어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코어 관통홀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에서 상기 제2하우징을 향해 돌출된 제1축 지지부; 상기 제1축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축이 삽입되는 제1축 관통홀; 및 상기 제1축을 상기 제1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축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에 고정되어 상기 종동기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커버; 및 상기 베이스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베이스 커버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지지부의 자유단은 상기 베이스 커버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 베어링은 상기 제1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축 제1베어링 및 제1축 제2베어링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축을 상기 제2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축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축 베어링은 상기 제2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축 제1베어링 및 제2축 제2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전방패널;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전방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패널 관통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을 상기 드럼 투입구에 연결하는 드럼 연결바디;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을 상기 투입구에 연결하는 패널 연결바디; 상기 패널 연결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배기구;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배기구;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제2배기구를 연결하는 배기덕트; 상기 드럼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 및 상기 공급덕트로 유입된 외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전방패널;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전방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패널 관통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을 상기 드럼 투입구에 연결하는 드럼 연결바디;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을 상기 투입구에 연결하는 패널 연결바디; 상기 패널 연결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배기구;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배기구; 상기 제1배기구와 상기 제2배기구를 연결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열교환부;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공급구; 상기 제2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구로 안내하는 공급덕트; 상기 후방커버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이 링 형상으로 배치된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유입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공급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로 안내하는 유로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 연결바디의 자유단 또는 상기 드럼 투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연결바디의 자유단과 상기 드럼 투입구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링 형상의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펠트(felt)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고정패널이 상기 후방패널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구동부 장착홈; 상기 구동부 장착홈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축이 관통하는 고정패널 관통홀; 및 상기 구동부 장착홈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구동부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 브라켓 또는 상기 고정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을 밀폐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된 모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링 기어; 일단은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드럼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축과 동심축을 형성하는 제2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축의 타단이 고정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와 상기 링 기어를 연결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하고,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두 개 이상의 제1바디; 각각의 상기 제1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결합된 제1기어; 각각의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로터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바디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바디; 및 각각의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에 결합된 제2기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기어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링 기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로터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제1기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제2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링 기어가 고정되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제2하우징이 형성하는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하우징이 형성하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의 지름은 상기 제2하우징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코어, 상기 코어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코어 관통홀, 및 상기 코어의 원주면에 구비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코어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에서 상기 제2기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1축 지지부; 상기 제1축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축이 삽입되는 제1축 관통홀; 및 상기 제1축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을 상기 제1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축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 베어링은 상기 제1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축 제1베어링 및 제1축 제2베어링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축 제1베어링과 상기 제1축 제2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바디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방면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코어, 상기 코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코어 관통홀, 상기 코어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코일,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된 모터; 일단은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링 기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베이스;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1축과 동심축을 형성하는 제2축; 및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와 상기 링 기어를 연결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코어 관통홀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고정패널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제1하우징; 및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제2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하우징이 고정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코어 관통홀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가 고정되는 코어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장착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원주면에서 상기 코어 관통홀의 지름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코어에 구비된 코어 브라켓; 및 상기 코어 브라켓,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을 체결하는 코어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에서 상기 제2하우징을 향해 돌출된 제1축 지지부; 상기 제1축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축이 삽입되는 제1축 관통홀; 및 상기 제1축을 상기 제1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축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 베어링은 상기 제1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 제1축 제1베어링 및 제1축 제2베어링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된 제2축 지지부; 상기 제2축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축이 삽입되는 제2축 관통홀; 및 상기 제2축을 상기 제2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축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축 베어링은 상기 제2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 제2축 제1베어링 및 제2축 제2베어링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고정패널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축 지지부는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에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상기 제2하우징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되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이 동심축을 형성하게 하는 구동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구동부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이 드럼의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건조시간 단축)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스테이터를 냉각하는 냉각유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9는 동력전달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냉각유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 상기 드럼(2)으로 고온의 건조공기(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실내 공기의 건조도보다 높은 건조도의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급부(3),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D)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 및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7)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는 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13)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5)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15)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6),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6)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드럼(2)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2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방커버(22)에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에는 리프터(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26)는 상기 전방커버(22)에서 후방커버(23)를 향해 연장된 판(board)이,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드럼의 원주면에서 드럼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2)에는 상기 드럼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 바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드럼(2)은 바디 제1방지지부(12)와 바디 제2지지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후방커버(23)는 상기 구동부(D)를 통해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전방커버(22)는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패널(12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지지패널(121)이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전방패널(11)의 후방면(지지패널을 향하는 면)은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지지패널 관통홀(122),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결하는 드럼 연결바디(123),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투입구(111)를 연결하는 패널 연결바디(12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은 상기 지지패널(1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드럼 투입구를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전방커버(22)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드럼 투입구(221)에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형성하는 전방커버(22)의 자유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이 상기 전방커버(22)의 자유단에 접촉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는 링 형상의 댐퍼(124, 연결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댐퍼(124)는 상기 드럼(2)이 회전하거나 진동할 때 상기 드럼 투입구(221)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되는 위험(드럼 내부의 공기가 캐비닛으로 누출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상기 연결 댐퍼(124)는 압축성 재질(외력에 의해 부피의 증감이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 댐퍼(124)는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과 상기 드럼 투입구(221)의 가장자리(전방커버의 자유단)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후술할 후방지지부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 상기 드럼(2)이 상기 지지패널(121)과 고정패널(151) 사이에서 진동할 경우, 상기 드럼 투입구(221)가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섬유를 압축함으로써 제작되는 펠트(felt)가 상기 연결 댐퍼(124)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6)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전방패널을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6)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패널 연결바디(126)의 타단은 상기 투입구(1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11)로 공급되는 의류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6), 지지패널 관통홀(122), 드럼 연결바디(123), 및 드럼 투입구(22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2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는 상기 후방커버(23)와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는 고정패널(15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후방면(캐비닛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구동부(D)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동부 장착홈(1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드럼의 후방커버(23)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드럼(2)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고정패널 관통홀(155)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5)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이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후방커버(23)로 구비되면, 상기 드럼 바디(21)의 개방된 전방면과 후방면이 상기 지지패널(121)과 고정패널(15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에 비해 드럼의 강성이 높아진다. 드럼의 강성이 높아지면, 드럼의 회전 시 드럼 바디(21)의 변형을 최소화 가능하며, 이는 드럼 바디(21)의 변형 시 드럼 바디와 지지패널 사이의 공간, 드럼 바디와 고정패널 사이의 공간에 의류가 끼이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구동부의 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6)를 관통하는 드럼 배기구(제1배기구, 128)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패널 배기구(제2배기구, 157) 및 공급구(15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구(158)는 상기 고정패널(15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들이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다수의 관통홀들은 구동부 장착홈을 감싸는 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3)는 상기 제1배기구(128)와 제2배기구(157)를 연결하는 배기덕트(31), 상기 제2배기구(157)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구(158)로 안내하는 공급덕트(32),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3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구(128)에는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배기덕트(31)로 이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1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31)는 상기 제1배기구(128)에 연결된 제1덕트(311), 상기 제2배기구(157)에 연결된 제2덕트(312), 상기 제1덕트(311)와 제2덕트(312)를 연결하는 제3덕트(3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13)는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열교환부(34)가 히트펌프(heat pump) 및 팬(349)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의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341), 상기 배기덕트(3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343), 및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를 순차적으로 거친 뒤 상기 공급덕트(32)로 이동하게 하는 팬(359)을 포함한다. 도 1은 상기 팬(349)이 상기 발열부(343)와 제2덕트(312) 사이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열부(341)와 상기 발열부(343)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3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냉매는 상기 배기덕트(31)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345)에 의해 상기 냉매관(3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348)에는 상기 발열부(343)에서 상기 흡열부(341)로 이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347)가 구비된다.
상기 흡열부(341)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를 냉각(냉매를 증발)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발열부(343)는 상기 압축기(3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를 가열(냉매를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덕트(32)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상기 제2배기구(157)로 배출된 공기를 상기 공급구(158)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상기 공급구(158)가 링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관통홀로 구비될 경우, 상기 공급덕트(32)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상기 제2배기구(157)와 상기 공급구(158)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바디(321), 및 상기 덕트 바디(3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로터 수용부(3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321) 및 로터 수용부(322)가 구비된 공급덕트(32)는 대략 링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 고정된 구동부(D)는 상기 로터 수용부(322)에 의해 상기 공급덕트(32)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공급구(158)를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드럼(2)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드럼(2)에는 상기 후방커버(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공기 유입구(233)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공급구(158)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233)로 안내하는 유로형성부(1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33)는 상기 후방커버(23)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들이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감싸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159)는 일단(고정패널에 고정된 일단)은 상기 공급구(158)를 감싸고, 타단(드럼에 접촉하는 일단)은 상기 공기 유입구(233)를 감싸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고정패널(151)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유로형성부(159)는 큰 탄성을 가진 재질(고무 등)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33)가 형성하는 링의 반지름은 상기 후방커버(23) 반지름의 1/2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233)를 통해 드럼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기 유입구(233)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3)는 상기 드럼이 1G 이상의 원심력을 유발하는 회전수로 회전할 때(의류가 드럼의 원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할 때)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공급부(3)는 상기 제1배기구(128)와 상기 제2배기구(157)를 연결하는 배기덕트, 외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 또는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 내부에 위치된 의류의 건조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감지부(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3)는 의류가 접촉한 때 측정되는 전기적 저항을 통해 건조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건조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냉매관(348)을 따라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건조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감지부(13)가 의류의 전기적 저항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감지부(13)는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된 제1전극(131) 및 제2전극(1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은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은 상기 지지패널(121)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투입구(11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전극(131, 133)은 의류가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될 경우(의류가 드럼의 최하점에 위치될 경우) 쉽게 의류에 접촉 가능할 것이다.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지면 의류에 잔류하는 수분의 양이 감소할 것이므로,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감지부(13)에서 감지되는 전류의 크기는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부에서 전송되는 전류의 크기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도를 추정 가능할 것이다.
의류의 건조도가 낮으면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낮고,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13)가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13)는 상기 배기덕트(31)에 구비된 온도센서(135, 공기온도 감지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의 건조도에 따라 냉매관을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도 달라지므로, 상기 감지부(13)는 냉매관을 따라 이동하는 냉매의 온도(흡열부에서 압축기로 이동하는 냉매의 온도, 또는 압축기에서 발열부로 이동하는 냉매의 온도 등)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감지부(13)가 상기 압축기(345)에서 상기 발열부(343)로 이동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7, 냉매온도 감지센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감지부(13)는 의류의 전기적 저항을 측정하는 두 전극(131, 133),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35), 및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37)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D)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 위치하는 모터(5),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드럼(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D)의 무게 및 구동부(D)의 작동 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패널(151)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는 상기 모터(5)와 상기 동력전달부(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동부 브라켓(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6)는 상기 구동부 브라켓(4)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5)는 상기 동력전달부(6)와 상기 구동부 브라켓(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브라켓(4)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 고정되는 링 형상의 금속(고정패널보다 강도보다 큰 강도를 가진 금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는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1),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구동부 브라켓(4)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6)에 고정되는 코어(511), 상기 코어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코어 관통홀(512), 및 상기 코어(511)의 원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전자석(513,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52)는 원판형상(disk)의 로터 바디(52a), 상기 로터 바디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로터 원주면(52b), 및 상기 로터 원주면에 고정된 다수의 영구자석(525)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영구자석들(525)는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로터 원주면(52b)에 고정된다.
상기 동력전달부(6)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하우징(6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링 기어(62), 일단은 상기 로터 바디(52a)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63, 입력축), 상기 제1축(63)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631), 상기 주동기어(631)와 상기 링 기어(62)를 연결하는 종동기어(677), 상기 종동기어에 의해 상기 하우징(61) 내부에서 회전하는 케이지(67),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지(67)에 고정된 제2축(65, 출력축)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63)에 의한 로터 바디(52a)의 변형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축(63)은 고정판(524)을 통해 상기 로터 바디(52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축(65)은 상기 제1축(63)과 동심축(concentric axis)을 형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2축(65)과 제1축(63)이 동심축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드럼(2)의 회전 시 상기 동력전달부(6)에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하우징(61)은 상기 구동부 브라켓(4)을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상기 코어 관통홀(512)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61)을 상기 코어 관통홀(512)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D)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61)은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제1하우징(61a), 제1하우징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61a)에 결합하여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면을 폐쇄하는 제2하우징(61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61a)에는 제1축 지지부(611) 및 상기 제1축 지지부(611)를 관통하는 제1축 관통홀(6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63)은 상기 제1축 관통홀(61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61a)을 관통하게 되며, 상기 제1축 지지부(611)에는 상기 제1축(63)을 상기 제1하우징(61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축 베어링(61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 지지부(611)는 상기 제1하우징(61a)에서 상기 로터 바디(52a)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하우징(61a)에서 상기 제2하우징(61b)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축 지지부(611)가 상기 제1하우징(61a)에서 상기 제2하우징(61b)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제1하우징에서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로 구비되면, 상기 하우징(61)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구동부의 부피 최소화, 의류처리장치의 부피 최소화 가능한 효과).
상기 제2하우징(61b)에는 제2축 지지부(616) 및 상기 제2축 지지부(616)를 관통하는 제2축 관통홀(6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65)은 상기 제2축 관통홀(617)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61b)을 관통하며, 상기 제2축 지지부(616)에는 상기 제2축(65)을 상기 제2하우징(61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축 베어링(6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 지지부(616)는 상기 제2하우징(61b)에서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5)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드럼의 후방커버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 베어링(613)은 상기 제1축(63)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축 제1베어링(613a) 및 제1축 제2베어링(613b)을 포함하고, 상기 제2축 베어링(618)은 상기 제2축(65)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축 제1베어링(618a) 및 제2축 제2베어링(618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축 베어링 및 제2축 베어링이 각각 두 개 이상의 베어링들(613a, 613b, 618a, 618b)로 구비되면, 상기 로터(52)이 회전 시 상기 제1축(63)과 제2축(65)이 편심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구동부에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 가능).
여러 개의 베어링들은 회전축을 따라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베어링이 구비된 구동부(D)는 부피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한된 부피의 캐비닛(1)을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에서 다수의 베어링이 회전축을 지지하게 설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하우징(61)이 스테이터의 코어 관통홀에 위치하는 구조, 및 상기 제1축 지지부(611)가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 구조 등을 통해 구동부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하고, 이를 통해 베어링(613, 618)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61a)의 지름과 상기 제2하우징(61b)의 지름은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61a)의 지름은 상기 제2하우징(61b)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제2하우징(61b)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링 기어(62)는 링 기어 바디, 상기 링 기어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링 기어 바디 관통홀, 및 상기 링 기어 바디의 내측 원주면(링 기어 바디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기어 이(gear teeth)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 기어(62)는 상기 제1하우징(61a)과 제2하우징(61b) 중 지름이 작은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61a)의 지름이 상기 제2하우징(61b)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된 경우, 상기 링 기어(62)는 상기 제1하우징(61a)의 원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지(67)는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위치하는 베이스(671), 상기 종동기어(677)를 상기 베이스(6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연결축(675), 및 상기 연결축(675)의 일단에 고정된 링 형상의 베이스 커버(6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65)은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5)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671)와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65)의 회전에 의한 상기 후방커버(23)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상기 제2축(65)의 일단이 고정되는 축 브라켓(65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 브라켓(651)에 의해 드럼의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상기 축 브라켓(651)이 고정되는 축 브라켓 장착홈(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브라켓 장착홈(231)은 상기 후방커버(23)가 상기 고정패널(15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곡됨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브라켓 장착홈(231)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과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축 브라켓 장착홈(231)의 지름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의 지름보다 더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2)의 회전 시 상기 후방커버(23)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 충돌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종동기어(677)는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다수의 기어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종동기어(677) 및 상기 연결축(675)은 120도씩 이격된 3개의 기어 및 축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종동기어(677)들은 상기 연결축(675)을 통해 상기 베이스(6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바디(677a), 제1바디(677a)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631)에 결합된 제1기어(677b), 상기 제1바디(677a)에 고정되며 상기 제1바디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바디(677c), 및 상기 제2바디(677c)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62)에 결합된 제2기어(677d)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63)의 자유단에 고정된 상기 주동기어(631)는 상기 제1기어들(677b) 각각에 연결되도록 상기 종동기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 지지부(611)의 자유단은 상기 베이스 커버(673)의 중앙에 형성된 베이스 커버 관통홀(674)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커버(673)를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제1축 지지부와 베이스 커버의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특징이다(구동부의 부피 최소화).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5)을 밀폐하기 위해(드럼으로 공급된 공기가 캐비닛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 브라켓(4) 또는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실링부(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브라켓(4)이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5)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61)은 상기 코어 관통홀(512)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 브라켓(4)에 고정될 경우, 상기 실링부(41)는 상기 구동부 브라켓(4)과 상기 제2하우징(61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동부(D)는 상기 스테이터(51)가 하우징(61)에 고정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4에 도시된 구동부(D)와 구조가 동일하다. 즉, 도 4의 구동부(D)는 상기 스테이터(51)가 구동부 브라켓(4)을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는 반면, 도 5의 구동부(D)는 상기 스테이터(51)가 동력전달부의 하우징(61)을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51)가 상기 하우징(61)에 고정될 경우, 상기 코어(511)에는 코어 브라켓(515)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61)에는 코어 장착부(6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어(511)는 상기 코어 브라켓(515)을 상기 코어 장착부(619)에 고정하는 코어 체결부(517)를 통해 상기 하우징(6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장착부(619)는 상기 제2하우징(61b)의 지름방향을 따라 상기 제2하우징(61b)의 원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구동부(D)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축(63) 및 주동기어(63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주동기어(6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종동기어들(677)은 제1기어(677b)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기어(677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기어(677d)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링 기어(62)가 고정패널(15)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기어(677d)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베이스(671) 및 제2축(6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드럼(2)과 상기 베이스(671)는 상기 제2축(65)을 통해 연결되므로, 상기 드럼(2)은 상기 로터(5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스테이터(51)가 상기 하우징(1)에 고정되면, 상기 제1축(63)과 제2축(65)의 동심도 및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데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스테이터(51)가 상기 하우징(61)이 아닌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경우, 상기 제2축(65)에는 드럼의 진동 및 고정패널(151)의 진동이 전달되고, 상기 제1축(63)에는 고정패널(151)의 진동이 전달될 것이다. 이는 상기 드럼(2)의 진동폭과 고정패널(151)의 진동폭이 달라질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축과 제2축의 간격 및 동심도(concentricity), 및 스테이터의 코일(513)과 로터의 영구자석(525) 사이의 간격을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테이터(51)가 하우징(61)에 고정된다면, 외부에서 제1축과 제2축에 전달되는 진동이 동일해지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677b)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631)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제2기어(677d)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631)의 지름보다는 길고 상기 제1기어(677b)의 지름보다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기어(677d)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631)의 지름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어, 제2기어, 및 주동기어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되면, 상기 구동부(D)는 상기 로터(52)의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로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D)는 감속기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는 링 형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관통홀들(158a, 158b)이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제2배기구(157)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관통홀들에 골고루 공급하는 유로가이드(3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공기는 유로 저항이 작은 쪽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유로가이드(324)가 구비되지 않은 의류처리장치(100)의 경우, 상기 제2배기구(157)를 통해 상기 덕트 바디(321)로 유입된 공기는 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덕트 바디(321) 내부를 이동하는 양과 반시계방향을 따라 덕트 바디(321) 내부를 이동하는 양이 서로 다른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시계방향을 따라 덕트 바디(321)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양이 반시계방향을 따라 덕트 바디(321)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양보다 많으면, 기준선(L)의 좌측에 위치된 관통홀들(158a)에는 많은 양의 공기가 공급되지만 상기 기준선(L)의 우측에 위치된 관통홀들(158b)에는 적은 양의 공기가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술한 공기 공급량의 불균형은 드럼(2) 내부에 있는 의류가 공급받는 공기량의 불균형을 야기할 수 있다. 즉, 의류의 위치에 따라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달라지는 현상은 건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 일부 의류는 과건조 상태가 되고 일부 의류는 미건조 상태가 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도 7의 유로가이드(324)는 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덕트 바디(321)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양과 반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덕트 바디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양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유지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유로가이드(324)는 상기 제2배기구(157)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기준선(L) 좌측으로 안내하는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배기구(157)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나머지는 기준선(L)의 우측으로 안내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가이드(324)에 의해 상기 덕트 바디(321)로 유입된 공기는 일부는 상기 기준선(L)의 좌측에 위치된 관통홀들(158a)로 이동하고, 나머지는 상기 기준선(L)의 우측에 위치한 관통홀들(158b)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기준선(L)은 상기 로터 수용부(322)의 중심과 상기 제2배기구(157)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기준선(L)은 상기 로터 수용부(322) 내부의 한 점과 상기 제2배기구(157) 내부의 한 점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급덕트(32)에는 상기 덕트 바디(321)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돌출벽(3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벽(323)은 상기 덕트 바디(321)에서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해 돌출되거나, 상기 고정패널(151)에서 상기 덕트 바디(321)를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돌출벽(323)이 상기 덕트 바디(321)에서 고정패널(151)을 향해 돌출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돌출벽(323)의 자유단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패널(151)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은 상기 돌출벽(323)의 자유단과 상기 고정패널(151)이 접촉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돌출벽(323)은 상기 기준선(L)의 좌측에 위치하는 관통홀들(158a)의 개수와 상기 기준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관통홀들(158b)의 개수를 동일하게 하는 만드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선(L)이 관통홀들의 개수를 양분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돌출벽(323)은 상기 기준선(L)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덕트 바디(321)가 상기 모터(5)를 감싸는 구조이기 때문에(모터가 로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모터(5)가 과열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모터(5)의 효과적 냉각을 위해(스테이터의 냉각을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냉각유로(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유로(35)는 상기 덕트 바디(321)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 수용부(322)를 폐쇄하는 덕트 커버(355), 상기 덕트 바디(321)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 수용부(322)로 외기를 공급하는 공급유로(351), 및 상기 덕트 바디(321)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 수용부(322) 내부의 공기를 상기 로터 수용부(322)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유로(3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351) 및 상기 배기유로(353)는 상기 덕트 바디(321)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353)가 상기 덕트 바디(321)의 상부면이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돌출벽(323)은 상기 배기유로(35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고정패널(151)로 돌출된 상기 덕트 바디(321)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52)의 회전 시 외기는 상기 공급유로(351)를 통해 상기 로터 수용부(322)로 유입되고, 상기 로터 수용부(322) 내부의 공기는 배기유로(353)를 통해 상기 로터 수용부(322)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상기 공급유로(35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유로(35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모터의 효과적 냉각을 위해), 상기 로터(52)에는 베인(523, vane)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인(523)은 상기 로터 바디(52a)에서 상기 덕트 커버(355)를 향해 돌출된 판(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인(523)은 하나의 판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수의 판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베인(523)은 상기 로터 바디(52a)의 지름방향에 평행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인(523)이 로터 바디의 지름방향에 평행한 판으로 구비되면,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키는 임펠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스테이터(51)에서 발생하는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로터 수용부(322)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로터(52)는 상기 로터 바디(52a)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로터 관통홀(5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 관통홀(521)은 다수의 홀들이 상기 제1축(63)을 감싸는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 관통홀(521)은 상기 로터 바디(52a)의 지름방향에 대한 길이가 상기 로터 바디(52a)의 원주방향에 대한 길이보다 길게 설정된 슬릿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인(523)은 상기 로터 바디(52a)의 지름방향에 평행한 상기 로터 관통홀(521)의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51)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로터 수용부(322)로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에는 안내유로(3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유로(357)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3)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유로(353)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상기 모터(5)의 냉각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상기 공급유로(351), 상기 로터(52)의 회전중심, 및 상기 배기유로(353)는 하나의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공급유로(351), 상기 로터(52)의 회전중심, 상기 안내유로(357), 및 상기 배기유로(353)가 상기 기준선(L) 상에 배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동력전달부(6)는 상기 로터(52)의 운동에너지가 상기 로터(52)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드럼(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구조(운동에너지가 순방향으로 전달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로터(52)의 운동에너지가 상기 로터(52)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드럼(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순행, 역행, 및 순행하는 구조(운동에너지가 역방향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 (a)는 로터의 운동에너지가 순방향으로 전달되는 구조의 동력전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로터의 운동에너지가 순방향, 역방향, 및 순방향을 따라 전달되는 동력전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a)의 종동기어(677)는 상기 베이스(6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바디(677a), 상기 제1바디(677a)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631)에 결합된 제1기어(677b), 상기 제1바디(677a)에서 상기 드럼(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2바디(677c), 및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62)에 결합된 제2기어(677c)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기어(677b)는 상기 제1하우징(61a)과 상기 링 기어(6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어(677d)는 상기 제1기어(677b)와 상기 제2하우징(61b)의 일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제1기어(677b)는 상기 제1하우징(61a)이 제공하는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어(677d)는 상기 제2하우징(61b)이 제공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9 (a)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로터(52)의 운동에너지가 상기 제1축(63)에 의해 상기 주동기어(631)의 운동에너지로 전달되고, 상기 주동기어(631)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제1기어(677b) 및 제2기어(677d)로 전달되며, 상기 제2기어(677d)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베이스(671) 및 제2축(65)으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운동에너지의 이동은 상기 로터(52)에서 상기 드럼(2)을 향해 순차적이므로, 도 9 (a)는 순방향 동력전달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 (b)의 종동기어(677)는 상기 베이스(6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바디(677a), 상기 제1바디(677a)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631)에 결합된 제1기어(677b), 상기 제1바디(677a)에서 상기 로터(5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2바디(677c), 및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62)에 결합된 제2기어(677c)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기어(677b)는 상기 베이스(671)와 상기 링 기어(6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어(677d)는 상기 제1기어(677b)와 상기 제1하우징(61a)의 일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제1기어(677b)는 제2하우징(61b)이 제공하는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기어(677d)는 상기 제1하우징(61a)이 제공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9 (b)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로터(52)의 운동에너지가 상기 제1축(63)에 의해 상기 주동기어(631)의 운동에너지로 전달되고, 상기 주동기어(631)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제1기어(677b)로 전달된다(운동에너지의 순방향 전달). 상기 제1기어(677b)의 운동에너지는 제2기어(677d)에 전달되는데, 상기 제2기어(677d)는 상기 드럼이 위치된 방향이 아니라 로터가 위치된 방향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기어(677b)의 운동에너지는 역방향으로 전달된다. 이후, 상기 제2기어(677d)의 운동에너지는 상기 베이스(671)를 통해 상기 제2축(65)에 전달되는데, 상기 베이스(671)는 상기 제1기어(677b)와 제2하우징(61b)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2기어(677d)의 운동에너지는 순방향을 따라 상기 제2축(65)에 전달된다.
도 9 (a)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바디(677c)가 제1바디(677a)에서 상기 제2하우징(61b)을 향해 돌출된 원기둥으로 구비되는 반면, 도 9 (b)의 동력전달부는 제2바디(677c)가 제1바디에서 제1하우징(61a)을 향해 돌출된 원기둥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 9 (b)의 종동기어들(677)은 제2기어들(677d) 사이에 상기 제1축 지지부(611)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 가능하므로, 도 9 (b)의 동력전달부(6)의 부피는 도 9 (a)의 동력전달부의 부피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도 9 (b)의 경우, 상기 제1축 베어링(613)을 구성하는 다수의 베어링(613a, 61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2기어들(677d)이 형성하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축 관통홀(612)에 구비된다면, 상기 동력전달부(6)의 부피를 더욱 더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부(D)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 9 (a) 및 도 9 (b)에 구비된 동력전달부(6)는 상기 제1하우징(61a)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코어 관통홀(512)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는 상기 구동부(D)를 통해 상기 고정패널(15)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드럼의 전방커버(22)는 상기 연결 댐퍼(124)를 통해 상기 지지패널의 드럼 연결바디(12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진동에 의해 상기 드럼(2)이 의류처리장치의 후방(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방커버(22)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전방커버(22)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되면 상기 드럼 투입구(221)는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에서 분리(드럼으로 공급된 공기가 드럼의 외부로 누출)될 것이고, 이는 에너지의 낭비, 건조시간 증가, 및 건조효율의 감소와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상기 전방커버(22)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되면, 의류는 전방커버와 드럼 연결바디 사이의 공간에 끼일 수 있고, 이로 인해 모터에 큰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전방커버(22)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7, 8), 및 상기 후방커버(23)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부(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전방지지부(7, 8) 및 후방지지부(9)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방지지부(7, 8)는 상기 전방커버(22)가 상기 지지패널(121)의 높이방향(Z축 방향) 및 지지패널의 너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후방지지부(9)는 상기 전방커버(22)가 상기 지지패널(121)에서 멀어지는 방향(X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지지부는 상기 전방커버(22)의 원주면 중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지지하는 전방 제1지지부(7), 상기 전방커버(22)의 원주면 중 상기 수평선(H)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지지하는 전방 제2지지부(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제1지지부(7)는 상기 지지패널(1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롤러(71) 및 제2롤러(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9)는 상기 후방커버(23)의 원주면 중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패널(12)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베이스패널 및 고정패널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순환식 건조 시스템을 구비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지만,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배기식 건조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순환식 건조 시스템은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한 뒤 상기 드럼으로 고온건조한 공기를 재공급하는 건조방식을 말한다. 배기식 건조 시스템은 외기를 가열하여 상기 드럼(2)으로 공급하고, 열교환을 마친 후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기하는 건조방식을 말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상기 배기식 건조 시스템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공급부(3)는 상기 제1배기구(128)와 상기 제2배기구(157)를 연결하는 배기덕트, 외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 또는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11: 투입구 113: 도어 115: 컨트롤패널
121: 지지패널 122: 지지패널 관통홀 123: 드럼 연결바디
124: 연결댐퍼 125: 지지부 장착홈 126: 패널 연결바디
128: 제1배기구 129: 필터 151: 고정패널
153: 구동부 장착홈 155: 고정패널 관통홀 157: 제2배기구
158: 공급구 158a, 158b:: 관통홀 159: 유로형성부
17: 베이스패널 2: 드럼 21: 드럼 바디
22: 전방커버 221: 드럼 투입구 23: 후방커버
231: 축 브라켓 장착홈 233: 공기 유입구 3: 공급부
31: 배기덕트 32: 공급덕트 321: 덕트 바디
322: 로터 수용부 323: 돌출벽 324: 유로가이드
34: 열교환부 341: 흡열부 343: 발열부
345: 압축기 347: 압력조절기 348: 냉매관
349: 팬 35: 냉각유로 351: 공급유로
353: 배기유로 355: 덕트 커버 357: 안내유로
5: 모터 51: 스테이터 511: 코어
512: 코어 관통홀 513: 전자석 52: 로터
52a: 로터 바디 521: 로터 관통홀 523: 베인
524: 고정판 52b: 로터 원주면 525: 영구자석
6: 동력전달부 61: 하우징 61a: 제1하우징
61b: 제2하우징 611: 제1축 지지부 612: 제1축 관통홀
613: 제1축 베어링 616: 제2축 지지부 617: 제2축 관통홀
618: 제2축 베어링 62: 링 기어 63: 제1축
631: 주동기어 65: 제2축 651: 축 브라켓
67: 케이지 671: 베이스 675: 연결축
673: 베이스 커버 677: 종동기어 677a: 제1바디
677b: 제1기어 677c: 제2바디 677d: 제2기어
7: 전방 제1지지부 71: 제1롤러 73: 제2롤러
8: 전방 제2지지부 9: 후방지지부

Claims (15)

  1.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 하게 수용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방에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된 모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링 기어;
    일단은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드럼의 배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축의 타단이 고정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원주면에 제1기어가 구비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서 연장되어 원주면에 제2기어가 구비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축은 상기 제1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링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기어 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2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링 기어는 제1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직경은 상기 제2하우징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1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하는 제1축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축베어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2기어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1축을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축베어링은 상기 제1축지지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 베어링은
    상기 제1축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축제1베어링과, 상기 제1축제1베어링에서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축제2베어링을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제1베어링과 상기 제1축제2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축제1베어링과 상기 제1축제2베어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제1베어링과 상기 제1축제2베어링은 모두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제2기어의 지름은 상기 주동기어의 지름보다 길고, 상기 제1기어의 지름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40058612A 2020-09-04 2024-05-02 의류처리장치 KR20240064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8612A KR20240064615A (ko) 2020-09-04 2024-05-02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077A KR102664421B1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KR1020240058612A KR20240064615A (ko) 2020-09-04 2024-05-02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077A Division KR102664421B1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615A true KR20240064615A (ko) 2024-05-13

Family

ID=808149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077A KR102664421B1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KR1020240058612A KR20240064615A (ko) 2020-09-04 2024-05-02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077A KR102664421B1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644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349B1 (ko) * 2000-11-17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가능한 배플을 갖는 드럼세탁기
KR20150118859A (ko) * 2014-04-15 2015-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KR20200066169A (ko) * 2018-11-30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421B1 (ko) 2024-05-08
KR20220031307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442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0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3182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05A (ko) 의류처리장치
US11549208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KR20220031822A (ko) 의류처리장치
US11920287B2 (en) Clothes dryer configured for motor cooling
KR2023006384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34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4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2609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3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4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1440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31331A (ko) 건조기
KR20220031329A (ko) 건조기
KR202201141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05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031330A (ko) 건조기
CN115298385A (zh) 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