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909A -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909A
KR20240061909A KR1020220143795A KR20220143795A KR20240061909A KR 20240061909 A KR20240061909 A KR 20240061909A KR 1020220143795 A KR1020220143795 A KR 1020220143795A KR 20220143795 A KR20220143795 A KR 20220143795A KR 20240061909 A KR20240061909 A KR 2024006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tate
comparison result
voltage
p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윤정
우경화
차아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4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909A/ko
Priority to PCT/KR2023/017288 priority patent/WO2024096583A1/ko
Publication of KR2024006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는 배터리의 전압과 상기 전압에 대한 미분 용량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미분 프로파일 획득하도록 구성된 프로파일 획득부; 및 상기 미분 프로파일에서 타겟 피크를 결정하며, 상기 배터리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프로파일의 기준 피크와 상기 결정된 타겟 피크 간의 상기 전압을 비교한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미분 용량을 비교한 제2 비교 결과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배터리의 상태를 진단하는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배터리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배터리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배터리는 니켈 계열의 배터리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며, 배터리는 사용됨에 따라 퇴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배터리의 사용 환경, 사용 이력 등 다양한 원인에 따라 양극과 음극의 퇴화 정도가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운용 중인 배터리를 분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분해 과정에서 폭발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다. 즉, 배터리를 분해하여 양극 및 음극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비파괴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관련된 정보들을 토대로 배터리의 상태를 진단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배터리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는 배터리의 전압과 상기 전압에 대한 미분 용량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미분 프로파일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프로파일 획득부; 및 상기 미분 프로파일에서 타겟 피크를 결정하며, 상기 배터리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프로파일의 기준 피크와 상기 결정된 타겟 피크 간의 상기 전압을 비교한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미분 용량을 비교한 제2 비교 결과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피크와 상기 타겟 피크 간의 상기 전압의 대소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비교 결과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피크와 상기 타겟 피크 간의 상기 미분 용량의 대소를 비교하여 상기 제2 비교 결과를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피크의 전압이 상기 기준 피크의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비교 결과를 상기 제1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피크의 전압이 상기 기준 피크의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비교 결과를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피크의 미분 용량이 상기 기준 피크의 미분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비교 결과를 상기 제1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피크의 미분 용량이 상기 기준 피크의 미분 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비교 결과를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비교 결과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제1 퇴화 상태 또는 제2 퇴화 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비교 결과가 상기 제2 상태로 결정되고, 상기 제1 비교 결과가 상기 제2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상기 제1 퇴화 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비교 결과가 상기 제2 상태로 결정되고, 상기 제1 비교 결과가 상기 제1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상기 제2 퇴화 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극의 상태가 상기 제2 퇴화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배터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충방전 C-rate의 상한 및 가용 SOC의 상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배터리를 불용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진단 방법은 배터리의 전압과 상기 전압에 대한 미분 용량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미분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미분 프로파일 획득 단계; 상기 미분 프로파일에서 타겟 피크를 결정하는 타겟 피크 결정 단계; 상기 배터리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프로파일의 기준 피크와 상기 결정된 타겟 피크 간의 상기 전압을 비교한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미분 용량을 비교한 제2 비교 결과를 결정하는 비교 결과 결정 단계; 및 상기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는 배터리 상태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진단 장치는 배터리의 미분 프로파일에서의 피크 거동을 고려하여 배터리의 전극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배터리 진단 장치는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배터리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진단 장치는 배터리의 현재 상태에 적절한 사용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프로파일 및 미분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진단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배터리는 음극 단자와 양극 단자를 구비하며,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하나의 독립된 셀을 의미한다. 일 예로,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가 배터리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복수의 셀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터리가 하나의 독립된 셀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100)는 프로파일 획득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배터리의 전압과 전압에 대한 미분 용량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미분 프로파일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분 용량은 배터리의 용량을 전압으로 미분한 값으로서, dQ/dV로 나타낼 수 있다. 즉, 미분 용량은 전압에 대한 용량의 순간 변화율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외부로부터 미분 프로파일을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미리 생성된 미분 프로파일을 수신함으로써, 미분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외부로부터 배터리의 전압 및 용량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배터리 프로파일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배터리 프로파일로부터 미분 프로파일을 직접 생성함으로써, 미분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배터리의 전압 및 용량을 포함하는 배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배터리 정보에 기반하여 전압과 용량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배터리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의 전압 및 용량은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측정된 배터리 정보를 프로파일 획득부(110)가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배터리 정보로부터 배터리 프로파일을 직접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프로파일 획득부(110)가 미분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제한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상술한 제한될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배터리에 대한 미분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프로파일은 배터리의 용량과 전압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프로파일이다. 배터리 프로파일은 X를 전압으로 설정하고, Y를 미분 용량으로 설정한 경우의 X-Y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양극 프로파일은 배터리의 양극에 대한 프로파일이고, 음극 프로파일은 배터리의 음극에 대한 프로파일이다. 바람직하게,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도 2의 실시예에 도시된 배터리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양극 프로파일 및 음극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 프로파일(DP)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미분 프로파일(DP)은 X를 전압(V)으로 설정하고, Y를 미분 용량(dQ/dV)으로 설정한 경우의 X-Y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미분 프로파일(DP)에서 타겟 피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분 프로파일(DP)에는 복수의 피크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피크란 미분 프로파일(DP)에서 기울기가 0이고, 위로 볼록한 개형을 띠는 포인트일 수 있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피크는 전압에 대한 미분 용량의 순간 변화율이 0이고, 미분 프로파일(DP)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경되는 포인트일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미분 프로파일(DP)에는 제1 피크(p1), 제2 피크(p2), 제3 피크(p3), 제4 피크(p4) 및 제5 피크(p5)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미분 프로파일(DP)에 포함된 복수의 피크 중에서 미리 설정된 타겟 전압 구간(VR)에 속한 피크를 타겟 피크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타겟 전압 구간(VR)이란 배터리의 전제 전압 구간 중에서 최상단 전압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4.2V 배터리의 경우, 약 4V 내지 4.2V가 타겟 전압 구간(VR)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겟 전압 구간(VR)은 제5 피크(p5)에 해당하는 피크가 나타나는 전압 구간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5 피크(p5)는 니켈이 포함된 배터리의 미분 프로파일(DP)에서 나타나는 피크이다. 예컨대, 제5 피크(p5)는 니켈 함량이 70% 이상인 하이 니켈계 배터리의 미분 프로파일(DP)에서 나타나는 피크이다. 일반적으로, 하이 니켈계 배터리의 미분 프로파일(DP)에서 제5 피크(p5)가 나타나는 타겟 전압 구간(VR)은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80% 내지 100% 구간에 대응되는 전압 구간으로 알려져있다. 즉, SOC 80% 내지 100%에 대응되는 전압 구간이 타겟 전압 구간(VR)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미분 프로파일(DP)에 포함된 복수의 피크 중에서 미리 설정된 타겟 전압 구간(VR)에 속한 피크를 타겟 피크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복수의 피크(p1 내지 p5) 중에서 제5 피크(p5)를 타겟 피크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프로파일의 기준 피크와 결정된 타겟 피크 간의 전압을 비교한 제1 비교 결과 및 미분 용량을 비교한 제2 비교 결과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프로파일은 기준 배터리에 대한 전압과 미분 용량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프로파일이다. 여기서, 기준 배터리는 BOL(Beginning of life) 상태의 배터리거나 BOL 상태의 배터리에 대응되는 실험용 배터리일 수 있다. 즉, 기준 프로파일은 기준 배터리의 전압 및 용량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프로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피크 중에서 타겟 전압 구간(VR)에 속한 피크는 기준 피크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120)는 기준 피크와 타겟 피크 간의 전압의 대소를 비교하여 제1 비교 결과를 결정하고, 기준 피크와 타겟 피크 간의 미분 용량의 대소를 비교하여 제2 비교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프로파일(RP) 및 미분 프로파일(DP)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도 4의 실시예에서, 기준 프로파일(RP)에는 기준 피크(rp)가 포함되고, 미분 프로파일(DP)에는 타겟 피크(tp)가 포함되었다고 가정한다. 기준 피크(rp)는 전압이 Vr이고, 미분 용량이 Dr이다. 타겟 피크(tp)는 전압이 Vt이고, 미분 용량이 Dt이다. 제어부(120)는 기준 피크(rp)의 전압(Vr)과 타겟 피크(tp)의 전압(Vt)을 비교하여 제1 비교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Dr)과 타겟 피크(tp)의 미분 용량(Dt)을 비교하여 제2 비교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타겟 피크(tp)의 전압(Vt)이 기준 피크(rp)의 전압(Vr)보다 작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1 비교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타겟 피크(tp)의 미분 용량(Dt)이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Dr)보다 작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2 비교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의 조합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100)는 배터리의 미분 프로파일(DP)에서의 피크 거동을 고려하여 배터리의 전극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배터리 진단 장치(100)는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진단함으로써, 배터리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배터리 진단 장치(100)에 구비된 제어부(120)는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제어 로직들을 실행하기 위해 당업계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제어부(120)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제어부(12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제어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진단 장치(100)는 저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배터리 진단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가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또는 동작 및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데이터를 기록, 소거, 갱신 및 독출할 수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정보 저장 수단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 예시로서, 정보 저장 수단에는 RAM, 플래쉬 메모리, ROM, EEPROM, 레지스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들이 정의된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20)가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20)는 기준 피크(rp)와 타겟 피크(tp) 간의 전압의 대소를 비교하여 제1 비교 결과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겟 피크(tp)의 전압이 기준 피크(rp)의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비교 결과를 제1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타겟 피크(tp)의 전압이 기준 피크(rp)의 전압 미만인 경우, 제어부(120)는 제1 비교 결과를 제2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타겟 피크(tp)의 전압(Vt)은 기준 피크(rp)의 전압(Vr)보다 작기 때문에, 제어부(120)는 제1 비교 결과를 제2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기준 피크(rp)와 타겟 피크(tp) 간의 미분 용량의 대소를 비교하여 제2 비교 결과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겟 피크(tp)의 미분 용량이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2 비교 결과를 제1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타겟 피크(tp)의 미분 용량이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 미만인 경우, 제어부(120)는 제2 비교 결과를 제2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타겟 피크(tp)의 미분 용량(Dt)은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Dr)보다 작기 때문에, 제어부(120)는 제2 비교 결과를 제2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에서, 제1 상태는 현재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제2 상태는 현재값이 기준값 미만인 상태를 의미한다.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타겟 피크(tp)의 전압 및 미분 용량이 기준 피크(rp)의 전압 및 미분 용량을 초과하면,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는 모두 제1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100)는 타겟 피크(tp)와 기준 피크(rp)의 전압 비교 결과(제1 비교 결과) 및 미분 용량 비교 결과(제2 비교 결과)를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된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상태가 진단되기 때문에, 상태 진단 결과에 대한 신뢰도 및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20)가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진단하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진단 테이블은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진단하는데 이용되는 테이블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제2 비교 결과가 제2 상태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20)는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타겟 피크(tp)의 미분 용량(Dt)이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Dr) 미만인 경우, 제어부(120)는 제1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비교 결과가 제2 상태인 경우, 제어부(120)는 제1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제1 퇴화 상태 또는 제2 퇴화 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타겟 피크(tp)의 전압(Vt)이 기준 피크(rp)의 전압(Vr)보다 작은 경우(제1 비교 결과가 제2 상태인 경우), 제어부(120)는 양극의 상태를 제1 퇴화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퇴화 상태는 배터리 내부의 활물질 입자 간 크랙이 발생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배터리의 퇴화(예컨대, 선형 퇴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타겟 피크(tp)의 전압(Vt)이 기준 피크(rp)의 전압(Vr)을 초과하는 경우(제1 비교 결과가 제1 상태인 경우), 제어부(120)는 양극의 상태를 제2 퇴화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퇴화 상태는 활물질 입자 내부에 크랙이 발생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배터리의 퇴화가 가속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내부의 가스 발생이 급증하거나 용량 드랍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 진단 장치(100)는 타겟 피크(tp)와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 비교 결과(제2 비교 결과)및 전압 비교 결과(제1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비파괴적으로 신속히 진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판단된 배터리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어부(120)가 배터리의 사용 조건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에 기반하여 배터리에 대한 사용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에 대한 초기 사용 조건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판단된 양극의 상태에 따라 사용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양극의 상태가 제2 퇴화 상태로 결정된 경우, 제어부(120)는 배터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충방전 C-rate의 상한 및 가용 SOC의 상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20)는 배터리를 불용 청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가 제2 퇴화 상태인 경우, 제어부(120)는 양극의 추가 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 C-rate의 상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배터리에 대한 급속 충전의 조건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에 대한 급속 충전이 방지되거나, 급속 충전 레벨(예컨대, 급속 충전의 세기)이 하향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가 제2 퇴화 상태인 경우, 제어부(120)는 양극의 추가 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용 SOC의 상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양극의 상태가 퇴화 상태인 경우, 고SOC 측(즉, 고전위 측)에서의 양극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가 제2 퇴화 상태인 경우, 제어부(120)는 배터리를 불용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가 제2 퇴화 상태로 진단된 경우, 활물질 입자 내부의 크랙으로 인해 배터리 내부 가스 발생 및/또는 용량 드랍이 발생될 문제가 있다. 내부 가스 발생은 배터리의 벤팅(Venting)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화재 및/또는 폭발와 같은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불용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제1 퇴화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배터리에 대해 미리 설정된 사용 조건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100)는 양극의 상태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사용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터리의 현재 상태에 적절한 사용 조건을 설정되기 때문에, 배터리에 대한 추가 퇴화가 방지 또는 지연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진단 장치(100)에 따르면, 배터리의 기대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100)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BMS는, 상술한 배터리 진단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배터리 진단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종래 BMS에 포함된 구성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추가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진단 장치(100)의 프로파일 획득부(110), 제어부(120) 및 저장부(130)는 BMS의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100)는, 배터리 팩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술한 배터리 진단 장치(100) 및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은, 전장품(릴레이, 퓨즈 등) 및 케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배터리(10)의 양극 단자는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와 연결되고, 배터리(10)의 음극 단자는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와 연결될 수 있다.
측정부(20)는 제1 센싱 라인(SL1), 제2 센싱 라인(SL2) 및 제3 센싱 라인(SL3)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부(20)는 제1 센싱 라인(SL1)을 통해 배터리(10)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센싱 라인(SL2)을 통해 배터리(10)의 음극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측정부(20)는 제1 센싱 라인(SL1)과 제2 센싱 라인(SL2) 각각에서 측정된 전압에 기반하여, 배터리(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20)는 제3 센싱 라인(SL3)을 통해 전류 측정 유닛(A)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전류 측정 유닛(A)은 배터리(10)의 충전 전류 및 방전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전류계 또는 션트 저항일 수 있다. 측정부(20)는 제3 센싱 라인(SL3)을 통해서 배터리(10)의 충전 전류를 측정하여 충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20)는 제3 센싱 라인(SL3)을 통해서 배터리(10)의 방전 전류를 측정하여 방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 및 음극 단자(P-)에는 충방전 장치 또는 부하가 연결될 수 있다. 부하는 일단이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와 연결되고, 타단이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0)의 양극 단자,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 부하,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 및 배터리(10)의 음극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측정부(20)로부터 배터리(10)에 대한 전압 및 용량을 수신하여 배터리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획득된 배터리 프로파일로부터 미분 프로파일(DP)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부(20)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10)의 전압 및 용량을 포함하는 배터리 정보는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프로파일 및 미분 프로파일(DP)도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진단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바람직하게, 배터리 진단 방법의 각 단계는 배터리 진단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진단 방법은 미분 프로파일 획득 단계(S100), 타겟 피크 결정 단계(S200), 비교 결과 결정 단계(S300) 및 배터리 상태 판단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분 프로파일 획득 단계(S100)는 배터리의 전압과 상기 전압에 대한 미분 용량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미분 프로파일(DP)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프로파일 획득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파일 획득부(110)는 배터리에 대한 미분 프로파일(DP)을 직접 수신하거나, 배터리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생성할 수 있다.
타겟 피크 결정 단계(S200)는 상기 미분 프로파일(DP)에서 타겟 피크(tp)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제어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미분 프로파일(DP)에 포함된 복수의 피크 중 타겟 전압 구간(VR)에 속한 피크를 타겟 피크(tp)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미분 프로파일(DP)에 포함된 복수의 피크(p1 내지 p5) 중에서 제5 피크(p5)를 타겟 피크(tp)로 결정할 수 있다.
비교 결과 결정 단계(S300)는 상기 배터리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프로파일(RP)의 기준 피크(rp)와 상기 결정된 타겟 피크(tp) 간의 상기 전압을 비교한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미분 용량을 비교한 제2 비교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제어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타겟 피크(tp)의 전압과 기준 피크(rp)의 전압 간의 대소를 비교하여 제1 비교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타겟 피크(tp)의 미분 용량과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 간의 대소를 비교하여 제2 비교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타겟 피크(tp)의 전압이 기준 피크(rp)의 전압을 초과하면, 제1 비교 결과는 제1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타겟 피크(tp)의 전압이 기준 피크(rp)의 전압 미만이면, 제1 비교 결과는 제2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타겟 피크(tp)의 미분 용량이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을 초과하면, 제2 비교 결과는 제1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타겟 피크(tp)의 미분 용량이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 미만이면 제2 비교 결과는 제2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태는 현재값(예컨대, 타겟 피크(tp)의 값)이 기준값(예컨대, 기준 피크(rp)의 값)을 초과하는 상태이고, 제2 상태는 현재값이 기준값 미만인 상태를 의미한다.
예컨대, 도 4의 실시예에서, 타겟 피크(tp)의 전압(Vt)은 기준 피크(rp)의 전압(Vr) 미만이므로, 제1 비교 결과는 제2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피크(tp)의 미분 용량(Dt)은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Dr) 미만이므로, 제2 비교 결과는 제2 상태로 결정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판단 단계(S400)는 상기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제어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1 비교 결과 및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120)는 제2 비교 결과가 제2 상태로 판단되면, 제1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제1 퇴화 상태 또는 제2 퇴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타겟 피크(tp)의 미분 용량(Dt)이 기준 피크(rp)의 미분 용량(Dr) 미만인 경우, 타겟 피크(tp)의 전압(Vt)과 기준 피크(rp)의 전압(Vr)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양극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비교 결과가 제2 상태이고, 제1 비교 결과가 제2 상태인 경우, 제어부(120)는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제1 퇴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비교 결과가 제2 상태이고, 제1 비교 결과가 제1 상태인 경우, 제어부(120)는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제2 퇴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 비교 결과는 제2 상태이고, 제2 비교 결과는 제2 상태이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제1 퇴화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진단된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에 대한 사용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배터리가 더 퇴화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배터리 팩
10: 배터리
100: 배터리 진단 장치
110: 프로파일 획득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Claims (10)

  1. 배터리의 전압과 상기 전압에 대한 미분 용량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미분 프로파일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프로파일 획득부; 및
    상기 미분 프로파일에서 타겟 피크를 결정하며, 상기 배터리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프로파일의 기준 피크와 상기 결정된 타겟 피크 간의 상기 전압을 비교한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미분 용량을 비교한 제2 비교 결과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피크와 상기 타겟 피크 간의 상기 전압의 대소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비교 결과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기준 피크와 상기 타겟 피크 간의 상기 미분 용량의 대소를 비교하여 상기 제2 비교 결과를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진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피크의 전압이 상기 기준 피크의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비교 결과를 상기 제1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피크의 전압이 상기 기준 피크의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비교 결과를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진단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피크의 미분 용량이 상기 기준 피크의 미분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비교 결과를 상기 제1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피크의 미분 용량이 상기 기준 피크의 미분 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비교 결과를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진단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진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비교 결과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제1 퇴화 상태 또는 제2 퇴화 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진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비교 결과가 상기 제2 상태로 결정되고, 상기 제1 비교 결과가 상기 제2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상기 제1 퇴화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2 비교 결과가 상기 제2 상태로 결정되고, 상기 제1 비교 결과가 상기 제1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양극의 상태를 상기 제2 퇴화 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진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극의 상태가 상기 제2 퇴화 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배터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충방전 C-rate의 상한 및 가용 SOC의 상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배터리를 불용 처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진단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0. 배터리의 전압과 상기 전압에 대한 미분 용량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미분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미분 프로파일 획득 단계;
    상기 미분 프로파일에서 타겟 피크를 결정하는 타겟 피크 결정 단계;
    상기 배터리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 프로파일의 기준 피크와 상기 결정된 타겟 피크 간의 상기 전압을 비교한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미분 용량을 비교한 제2 비교 결과를 결정하는 비교 결과 결정 단계; 및
    상기 제1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는 배터리 상태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진단 방법.
KR1020220143795A 2022-11-01 2022-11-01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40061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795A KR20240061909A (ko) 2022-11-01 2022-11-01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PCT/KR2023/017288 WO2024096583A1 (ko) 2022-11-01 2023-11-01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795A KR20240061909A (ko) 2022-11-01 2022-11-01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909A true KR20240061909A (ko) 2024-05-08

Family

ID=9093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795A KR20240061909A (ko) 2022-11-01 2022-11-01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1909A (ko)
WO (1) WO202409658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2955B2 (ja) * 2010-08-04 2015-03-11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の状態検出方法
KR20210150217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652327B1 (ko) * 2020-09-09 2024-03-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65604A (ko) *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20080620A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6583A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821B1 (ko) 이차 전지 테스트 장치 및 방법
US11150301B2 (en) Battery pack
US20230160971A1 (en) Battery Diagno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3524645A (ja) バッテリー管理装置及び方法
KR102657496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048371A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10150217A (ko)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US20240036116A1 (en) Batter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JP7452780B2 (ja) バッテリー診断装置及び方法
US20230141623A1 (en) Battery Diagno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40061909A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672284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630209B1 (ko)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674286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30266400A1 (en) Battery Diagno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30174640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30393214A1 (en) Battery Class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40061910A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40062037A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40040909A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US20240044995A1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230258735A1 (en) Battery Diagno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40002211A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20054105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40058466A (ko)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