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831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831A
KR20240061831A KR1020220143649A KR20220143649A KR20240061831A KR 20240061831 A KR20240061831 A KR 20240061831A KR 1020220143649 A KR1020220143649 A KR 1020220143649A KR 20220143649 A KR20220143649 A KR 20220143649A KR 20240061831 A KR20240061831 A KR 20240061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ode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831A/ko
Priority to PCT/KR2023/011413 priority patent/WO2024096268A1/ko
Priority to US18/376,686 priority patent/US20240147327A1/en
Publication of KR2024006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30/00IoT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AP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되면, 제1 AP 정보와 상이한 제2 AP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i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21세기를 정보화 시대라고 한다. 정보화 시대의 강자가 되려면 정보를 최대한 많이, 그리고 빨리 습득할 수 있는 수단이 필수이다. 한때 데스크톱 PC와 같은 거치형 단말기가 대표적인 정보 통신 기기로 쓰이던 때도 있었지만 21세기 들어서면서 노트북이나 PDA,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소형 단말기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휴대용 소형 단말기들을 위한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은 컴퓨터용 유선랜(LAN) 통신을 무선화한 와이파이(Wi-Fi)로 다양한 기기와 호환이 가능하고 통신 속도가 빠른 것이 장점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1 AP(Access Point)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제1 AP 정보와 상이한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AP 모드를 종료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AP 모드로 동작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상기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상기 제2 AP 정보가 전송된 이벤트 또는 상기 AP 모드의 종료 요청이 식별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는,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리스트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제2 AP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식별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Soft AP 기능을 실행하여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AP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거나, 상기 와이파이 통신과 상이한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제2 AP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AP 장치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AP 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중 상기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기기가 식별되면,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된 후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식별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식별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AP 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기기 중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되지 않은 기기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AP(Access Point)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제1 AP 정보와 상이한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AP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AP 모드로 동작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상기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상기 제2 AP 정보가 전송된 이벤트 또는 상기 AP 모드의 종료 요청이 식별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는,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리스트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제2 AP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식별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Soft AP 기능을 실행하여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AP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거나, 상기 와이파이 통신과 상이한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AP 장치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AP 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중 상기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기기가 식별되면,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된 후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식별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식별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AP 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기기 중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되지 않은 기기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제1 AP(Access Point)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제1 AP 정보와 상이한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통신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AP 모드를 종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AP 모드를 종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의 통신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전자 장치(200)가 AP 모드를 종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자 시스템은 복수의 기기(10, 20, 30), 사용자 단말(40), 서버(50) 및 AP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기(10, 20, 30)는 사용자 단말(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가능한 다양한 IoT (Internet of Things)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기(10, 20, 30)는 TV, 공기 청정기, 세탁기, 냉장고, 건조기, 오븐 등 다양한 댁내 가전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복수의 기기(10, 20, 30)는 와이파이(WiFi) 모듈을 지원하는 IoT(Internet of Thing) 장치일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은 Wi-Fi 펌웨어 및 전자 장치(100)의 운영 체제에서 해당 Wi-Fi 펌웨어를 인식할 수 있는 Wi-Fi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Wi-Fi 펌웨어(또는 무선 랜카드)는 하드웨어로서, 복수의 기기(10, 20, 30) 본체 내부에 장착되거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기(10, 20, 3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펌웨어는 PCI, PCI-Express, PCMCIA 또는 USB 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기기(10, 20, 30)를 서버(50)에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IoT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OS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 단말(40)의 화면 상에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에서 어플리케이션(이하 IoT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계정을 입력하여 입력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버(50)에 로그인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은 로그인(log in)된 사용자 계정을 기반으로 서버(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50)는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복수의 기기(10, 20, 30)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50)는 클라우드(cloud)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은 Easy Setup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기(10, 20, 30)를 통신 연결하여 서버(50)에 등록할 수 있다. Easy Setup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기기(10, 20, 30)를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복수의 기기(10, 20, 30)가 전송하는 식별 정보(예를 들어 SSID)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신호를 사용자 단말(40)에서 스캔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40)은 스캔된 비콘 신호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식별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통신 연결을 통해 복수의 기기(10, 20, 30)로 온보딩(onboarding)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여 복수의 기기(10, 20, 30)의 인터넷 연결 및 서버(50) 등록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일 예에 따라 Easy Setup 기술은 사용자 단말(40) 및 복수의 기기(10, 20, 30) 각각이 D2D 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40)에서 복수의 기기(10, 20, 30)로 와이파이 연결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AP 장치(6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D2D 작업 및, 복수의 기기(10, 20, 30)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60) 및 서버(50)에 연결하는 D2S 작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작업을 완료한 사용자 단말(40)은 복수의 기기(10, 20, 30)의 D2S 작업이 완료되고 서버(50)로부터 등록 완료 알림(notification)을 수신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Easy Setup 기술을 통해 복수의 기기(10, 20, 30)가 사용자 계정에 등록되면, 서버(50)는 복수의 기기(10, 20, 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수의 기기(10, 20, 30)가 등록된 사용자 계정을 기반으로 서버(50)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복수의 기기(10, 20, 30)에 대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복수의 기기(10, 20, 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 핸드폰, 태블릿, 노트북 등으로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40)은 LTE, 5G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50)에 접속하거나 AP 장치(60) 또는 다른 AP 장치를 통해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에 설치된 IoT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50)로 복수의 기기(10, 20, 3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일 예에 따라 복수의 기기(10, 20, 30)들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등의 이유로 AP(60) 장치의 SSID 및/또는 패스워드가 변경된 경우, AP 장치(60)가 다른 AP 장치로 변경된 경우(통신사 수거 등의 이유), 그 외 AP 장치(60)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재설정하여야 하는 경우 등에 변경 전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던 기기들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모두 해제되고 이에 따라 서버(50)와의 통신 연결도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기기(10, 20, 30)들이 자동으로 새로운 AP 정보에 접속하여 서버(50)에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도 1에서는 복수의 기기(10, 20, 30)를 3개로 도시하였으나, 일부 실시 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기기(10, 20)를 2개로 가정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기기(10, 20)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가 복수의 기기(10, 20) 중 제1 기기(10)인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AP 기반의 와이파이(Wi-Fi, Wireless LAN 네트워크)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 European Broadcasting Union),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제1 AP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AP 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및 패스워드(Passwor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AP 정보는 대역(Band) 정보, 채널(Channel)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 AP 정보가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AP 정보는 도 1에 도시된 AP 장치(60)에 대응되는 AP 정보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사용자 단말(40), 서버(50) 또는 AP 장치(6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대상 기기 리스트는 기기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칭, 모델, 디바이스 토큰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기기 리스트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된 대상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대상 기기 리스트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된 대상 기기들(즉, 일정 공간 내 위치한 기기들) 중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IoT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공간 내에 위치되어 제1 AP 정보에 연결된 기기가 다른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경우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된 대상 기기들이라면 사용자 계정과 관계 없이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기기 리스트를 AP 장치(60)로부터 수신하며 AP 장치(60)로부터 수신된 리스트에 계정과 관계없이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된 기기가 모두 포함된 경우 반드시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기기 만이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동작 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일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상이한 타입의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거나, 상이한 단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데이터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의 외부 메모리(120)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100)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현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 및 메모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l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APU (Accelerated Processing Unit), MIC (Many Integrated Cor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NPU (Neural Processing Unit),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머신 러닝 가속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에 관한 동작 또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instruc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동작, 제 2 동작, 제 3 동작이 수행될 때,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 모두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은 제 1 프로세서(예를 들어,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고 제 3 동작은 제 2 프로세서(예를 들어,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single 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예를 들어, 동종 멀티 코어 또는 이종 멀티 코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로 구현되는 경우,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은 캐시 메모리, 온 칩(On-chip) 메모리와 같은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에 의해 공유되는 공통 캐시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또는 복수의 코어 중 일부)은 독립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 전체(또는 일부)가 연계되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중 하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이 수행될 때, 제 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모두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1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1 코어에 의해 수행되고 제 3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2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기타 전자 부품들이 집적된 시스템 온 칩(SoC), 단일 코어 프로세서, 멀티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코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코어는 CPU, GPU, APU, MIC, DSP, NPU,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기계 학습 가속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로세서(130)로 명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제1 AP(Access Point)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S310:Y), 제2 AP 정보를 획득하고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S320).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통해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은 도 1에 도시된 AP 장치(60)를 통한 연결일 수 있으나,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되는 AP 장치(미도시)는 도 1에 도시된 AP 장치(60)와 동일한 AP 장치 또는 상이한 AP 장치일 수 있다. 다만, 제2 AP 정보는 제1 AP 정보와 상이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AP 정보에 포함된 SSID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AP 정보에 포함된 SSID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와 상이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S330). 다만,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2 AP 정보가 획득되면, AP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S320 단계의 일부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S330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미도시)와 통신 연결되면,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2 AP 정보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유효한 AP 정보임을 확인한 후,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50)와 통신 연결되면, 제2 AP 정보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유효한 AP 정보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제2 AP 정보가 유효한 AP 정보인지 확인하는 동작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미도시)와 통신 연결을 시도한 후(또는 제2 AP 정보를 획득한 후) AP 장치(미도시)와 통신 연결되었는지 확인 없이, 바로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후, 프로세서(130)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되면(S340:Y), 제2 AP 정보를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S350).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저장된 제1 AP 정보를 제2 AP 정보로 업데이트(또는 변경)하거나 제2 AP 정보를 신규 AP 정보로 추가하도록 하는 명령(또는 신호)을 제2 AP 정보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는 제2 AP 정보와 함께 수신된 명령(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제1 AP 정보를 제2 AP 정보로 업데이트(또는 변경)하거나 제2 AP 정보를 신규 AP 정보(예를 들어, 통신 연결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AP 정보)로 추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전자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있는 동안 전자 장치(100)로부터 신규 AP 정보 즉, 제2 AP 정보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제1 AP 정보를 제2 AP 정보로 업데이트(또는 변경)하거나 제2 AP 정보를 신규 AP 정보로 추가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는 제2 AP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별개의 명령이 없더라도 신규 AP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기 저장된 제1 AP 정보를 제2 AP 정보로 업데이트(또는 변경)하거나 제2 AP 정보를 신규 AP 정보로 추가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통신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동작 중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식별 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전자 장치(100)는 도 2에서 상정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기기(10, 20) 중 제1 기기(10)인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기기(10) 외 다른 기기를 제2 기기(20) 만을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제3 기기(30)에서도 제2 기기(20)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 및 다른 기기(2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한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이 불가능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자 장치(100) 및 다른 기기(2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S310, S410). 예를 들어, 보안 등의 이유로 AP 장치의 SSID 및 패스워드가 변경된 경우, AP 장치가 다른 AP 장치로 변경된 경우(통신사 수거 등의 이유), 그 외 AP 장치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재설정하여야 하는 경우 등에 변경 전 AP 정보인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던 기기들의 통신 연결이 모두 해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S310), Soft AP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Soft AP 기능은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수동으로 실행되거나,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 및 다른 기기(20)를 포함한 통신 연결 해제 기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Soft AP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Soft AP 기능 버튼이 누름 조작되거나,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된 메뉴가 조작되어 Soft AP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모콘에 의한 리모콘 신호 또는 원격 제어 기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사용자 단말에서의 리모콘 신호, 사용자 음성 명령, 사용자 제스처 명령, 사용자 시선 인식 등 다양한 방법에 기초하여 Soft AP 기능이 실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도 1의 사용자 단말(40)이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 해제 시 Soft AP 기능을 실행하는 기기(예를 들어, 마스터 기기)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 해제 시 Soft AP 기능을 실행하는 마스터 기기로 기 설정되어 있어 자동으로 Soft AP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와이파이 통신 외의 다른 통신 방식(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통해 Soft AP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Soft AP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40)은 사용자 명령이 아닌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Soft AP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자동으로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40)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전자 장치(10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Soft AP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40)이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된 상태였던 경우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복수의 기기(100, 2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 해제된 것으로 식별하고 Soft AP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40)은 통신 연결이 해제된 복수의 기기(100, 20) 중 특정 기기를 Soft AP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특정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 또는 서버(50)로부터 수신된 신호 등에 기초하여 특정 기기에 대한 정보가 전자 장치(10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통해 특정 기기가 선택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Soft AP 기능을 실행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특정 SSID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사용자 단말(40)은 특정 SSID를 스캔(scan)하고 연결(join)함으로써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40) 간에 D2D(device to device)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되면(S430), 사용자 단말(40)은 전자 장치(10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은 D2D 채널을 통해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40)은 기 저장된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서버(50)로부터 수신된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을 이용하여 제2 AP 정보의 SSID를 스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알고 있는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40)에 제2 AP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2 AP 정보의 SSID 및 패스워드를 모두 사용자 단말(40)에 입력하여 제2 AP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서버(50)가 제2 AP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은 서버(50)로부터 제2 AP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Soft AP 기능을 실행하여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제2 AP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기존의 Easy Setup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제2 A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Easy Setup 기능이 아닌 별개의 기능, 즉, 전자 장치(100)가 Soft AP 기능을 실행하여 사용자 단말(40)로부터 A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이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블루투스, NFC 등과 같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제2 AP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가 AP 모드로 동작하지 않고 블루투스, NFC 등과 같은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제2 AP 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40)로 제2 AP 정보를 요청하거나, 전자 장치(100)의 요청 없이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40)로 제2 AP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이 누름 조작되거나,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된 메뉴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모콘에 의한 리모콘 신호 또는 원격 제어 기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사용자 단말에서의 리모콘 신호, 사용자 음성 명령, 사용자 제스처 명령, 사용자 시선 인식 등 다양한 방법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40)로 제2 AP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도 1의 사용자 단말(40)이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 해제 시 제2 AP 정보를 사용자 단말(40)로 요청하도록 기 셋팅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요청 없이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전자 장치(10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40)이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된 상태였던 경우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복수의 기기(100, 2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 해제된 것으로 식별하고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40)은 통신 연결이 해제된 복수의 기기(100, 20) 중 특정 기기를 제2 AP 정보를 전송할 특정 기기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 또는 서버(50)로부터 수신된 신호 등에 기초하여 특정 기기에 대한 정보가 전자 장치(10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통해 특정 기기가 선택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수신된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미도시)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320). 일 예에 따라 제1 AP 정보가 도 1에 도시된 AP 장치(60)에 대응되는 정보인 경우, AP 장치(미도시)는 도 1에 도시된 AP 장치(60)와 동일한 AP 장치 또는 상이한 AP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AP 정보가 도 1에 도시된 AP 장치(60)의 변경된 AP 정보인 경우 AP 장치(미도시)는 도 1에 도시된 AP 장치(60)와 동일한 AP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제2 AP 정보가 신규 AP 장치의 AP 정보인 경우 AP 장치(미도시)는 도 1에 도시된 AP 장치(60)와 상이한 AP 장치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다음의 이벤트에 따라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하면서 전자 장치(100)가 다른 기기(20)로 제2 AP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AP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이 서버(50)에 다른 기기(20)의 와이파이 업데이트가 필요함을 요청하고, 서버(50)가 전자 장치(100)로 다른 기기(20)로 제2 AP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AP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되었으므로 서버(50)와 통신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전자 장치(100)는 서버(50)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서버(50)가 전자 장치(100)로 다른 기기(20)로 제2 AP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AP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서버(50)는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고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므로, 전자 장치(100)가 다른 기기(20)로 제2 AP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AP 모드로 동작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다른 기기(20)가 전자 장치(1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다른 기기(20)는 기존에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자신이 알고 있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한 스캔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1 AP 정보에 포함된 제1 SSID를 브로드캐스팅하고, 다른 기기(20)는 제1 SSID를 스캔하고 제1 AP 정보에 포함된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함으로써 전자 장치(100) 및 다른 기기(20) 간에 D2D(device to device)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및 다른 기기(20)가 통신 연결되면(S340),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를 다른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350).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460).
기 설정된 이벤트는, 전자 장치(100)가 AP 모드로 동작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제2 AP 정보를 다른 기기(20)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제2 AP 정보가 전송된 이벤트 또는 AP 모드의 종료 요청이 식별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AP 모드로 동작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식별되면,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전자 장치(100)의 제조시 셋팅(setting)된 시간이거나, 사용자 단말(40) 또는 서버(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시간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40) 또는 서버(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AP 모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다른 기기(2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식별되면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전자 장치(100)의 제조시 셋팅된 시간이거나, 사용자 단말(40) 또는 서버(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시간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40) 또는 서버(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AP 모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제2 AP 정보가 전송된 것으로 식별되면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기기 리스트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20)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 단말(40) 또는 서버(5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대상 기기 리스트가 전자 장치(100)에 기 저장된 경우는 전자 장치(10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한 서버(50)와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되기 전에 대상 기기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한 경우이거나,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된 AP 장치(예를 들어, 도 1, 60)로부터 대상 기기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한 경우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AP 모드의 종료 요청이 식별되면,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이 누름 조작되거나,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된 메뉴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모콘에 의한 리모콘 신호 또는 원격 제어 기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사용자 단말에서의 리모콘 신호, 사용자 음성 명령, 사용자 제스처 명령, 사용자 시선 인식 등 다양한 방법에 기초하여 AP 모드 종료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도 1의 사용자 단말(40)이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가 와이파이 통신 외의 다른 통신 방식(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통해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은
한편, 다른 기기(2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미도시)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S450). 예를 들어, 다른 기기(20)는 S410 단계에서 서버(5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 서버(50)와 통신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일 예에 따라 다른 기기(20)는 지 저장된 제1 AP 정보를 제2 AP 정보로 업데이트(또는 변경)하거나 제2 AP 정보를 신규 AP 정보로 추가하도록 하는 명령(또는 신호)을 제2 AP 정보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기기(20)는 제2 AP 정보와 함께 수신된 명령(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제1 AP 정보를 제2 AP 정보로 업데이트(또는 변경)하거나 제2 AP 정보를 신규 AP 정보(예를 들어, 통신 연결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AP 정보)로 추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다른 기기(20)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전자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있는 동안 전자 장치(100)로부터 신규 AP 정보 즉, 제2 AP 정보가 수신되면 기 저장된 제1 AP 정보를 제2 AP 정보로 업데이트(또는 변경)하거나 제2 AP 정보를 신규 AP 정보로 추가할 수도 있다. 즉, 다른 기기(20)는 제2 AP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별개의 명령이 없더라도 신규 AP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기 저장된 제1 AP 정보를 제2 AP 정보로 업데이트(또는 변경)하거나 제2 AP 정보를 신규 AP 정보로 추가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동작 중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식별 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Soft AP 기능을 실행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S420).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되면(S430), 사용자 단말(40)은 전자 장치(100)로 제2 AP 정보 뿐 아니라 대상 기기 리스트도 전송할 수 있다(S440'). 사용자 단말(40)은 도 1에서 설명한 IoT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거나, 서버(50)로부터 대상 기기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되면(S430), 자동으로 제2 AP 정보 및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된 후 전자 장치(100)로부터 별도의 요청이 없더라도 사용자 단말(40)은 전자 장치(100)로 제2 AP 정보 및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은 상술한 다양한 예시에 따라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에서 대상 기기 리스트도 필요한 상황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대상 기기 리스트 또한 전송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제조시 셋팅 또는 사용자 명령). 또는,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시 IoT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UI(예를 들어, 팝업 UI)를 통해 대상 기기 리스트까지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시 대상 기기 리스트까지 함께 전송하도록 하는 신호를 서버(50)로부터 수신하여 제2 AP 정보 및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40)이 제2 AP 정보 및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전자 장치(100)로 동시에(예를 들어, 하나의 신호 또는 중간 개입 신호 또는 다른 신호가 없는 순차적 신호)로 전송하는 예시를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은 전자 장치(10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한 후 다른 기기(20)의 와이파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신호 및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기기(20)의 와이파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신호 및 대상 기기 리스트는 동시에(즉, 하나의 신호를 통해) 전송되거나, 다른 기기(20)의 와이파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신호가 먼저 전송된 후 대상 기기 리스트가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된 후,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부터 새로운 AP 정보 및 대상 기기 리스트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후,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S320).
도 5b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Soft AP 기능을 실행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S420),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S430).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되면(S430), 사용자 단말(40)은 전자 장치(10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40). 일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되면, 제2 AP 정보 만을 전송하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된 후 전자 장치(100)로부터 별도의 요청이 없더라도 사용자 단말(40)은 전자 장치(10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이 전자 장치(100)로 통신 연결되면,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2 AP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40)로 대상 기기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S510). 즉,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AP 정보를 전달할 대상 기기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40)로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전자 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520). 다른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40)로 다른 기기들의 와이파이 업데이트 필요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40)은 다른 기기들의 와이파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응답 신호에 대상 기기 리스트를 포함시켜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40)로부터 대상 기기 리스트를 수신하기 위한 요청 신호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이 후,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S320).
도 5c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미도시)와 정상적으로 통신이 연결되면(S320), 전자 장치(100)는 서버(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서버(50)로 대상 기기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S530). 이 경우, 서버(50)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540).
이 후, 전자 장치(100)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기기들로 제2 AP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330).
다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가 서버(50)로 대상 기기 리스트를 요청하지 않더라도 서버(50)가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이 서버(50)로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고 서버(40)는 해당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50)는 IoT 어플리케이션과 통신 가능하므로 다른 기기(20)의 와이파이 업데이트가 필요한 상황임을 식별하고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가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50)와 통신 연결된 경우 다른 기기(20)의 와이파이 업데이트가 필요한 상황임을 식별하고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AP 모드를 종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동작 중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식별 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도 6a는 전자 장치(100)가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AP 모드를 종료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전자 장치(100)가 AP 모드로 동작하는 이벤트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다른 기기(20)가 전자 장치(1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전자 장치(100) 및 다른 기기(20)가 통신 연결되면(S340), 전자 장치(100)는 다른 기기(2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50).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460). 기 설정된 이벤트는, 전자 장치(100)가 AP 모드로 동작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제2 AP 정보를 다른 기기(20)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제2 AP 정보가 전송된 이벤트 또는 AP 모드의 종료 요청이 식별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들에 대한 자세한 예시는 도 3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 후,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미도시)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S470).
한편, 전자 장치(100)는 AP 모드가 종료된 후 대상 기기 리스트 중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기기가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S620). 전자 장치(100)가 AP 모드로 동작한 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AP 모드를 종료하였기 때문에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중 일부 기기가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못 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기의 와이파이 모듈에 에러가 있었던 경우, 전원이 턴 오프되어 있었던 경우, 통신 채널에 에러가 있었던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일부 기기가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못 했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특정 기기와의 통신 채널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해당 통신 채널에 에러를 식별한 경우, 특정 기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등을 기초로 특정 기기가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만 S620 단계는 S47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100)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중 특정 기기(예를 들어, 기기(30))가 AP 정보를 수신하지 못 한 것으로 식별되면(S620:Y), 식별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S630).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되었으므로 서버(50)와 통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버(5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40)은 서버(50)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S65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기기 중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기기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기기에 대한 후속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해당 기기에서 Soft AP 기능을 실행하여 해당 기기가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제2 AP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하거나, 해당 기기에 제2 AP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도 6b는 전자 장치가 대상 기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AP 모드를 종료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미도시)와 통신 연결되면,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330). 전자 장치(10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다른 기기(20)가 전자 장치(1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게 된다(S340).
전자 장치(100) 및 다른 기기(20)가 통신 연결되면(S340), 전자 장치(100)는 다른 기기(2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50).
전자 장치(100)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제2 AP 정보가 전송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S66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를 다른 기기(20)로 전송한 후 해당 기기(20)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제2 AP 정보가 전송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기기 리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 단말(40) 또는 서버(5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제2 AP 정보가 전송된 것으로 식별되면(S660),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460).
이 후,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S470).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AP 모드를 종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미도시)와 통신 연결되면,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330). 전자 장치(10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다른 기기(20)가 전자 장치(1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전자 장치(100) 및 다른 기기(20)가 통신 연결되면(S340), 전자 장치(100)는 다른 기기(2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50).
다른 기기(2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할 수 있다(S710). 즉, 다른 기기(2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미도시)와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서버(50)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다른 기기(20)는 자신이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S720).
서버(50)는 다른 기기(2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다른 기기(20)의 통신 연결을 알리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S730). 예를 들어, 서버(50)는 LTE, 5G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이 서버(50)와 와이파이 통신 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서버(5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다른 기기(20)의 통신 연결을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740). 이 경우, 사용자 단말(40)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다른 기기(20)의 통신 연결을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지만,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다른 기기(20)의 통신 연결을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단일 와이파이 통신 채널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다른 기기(20)의 통신 연결을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 및 전자 장치(100) 간 AP 모드는 종료된 상태이므로 와이파이 통신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40)이 블루투스 통신 또는 NFC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은 해당 통신을 통해 다른 기기(20)의 통신 연결을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은 전자 장치(100)가 복수의 와이파이 통신 채널을 지원하는 경우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다른 기기(20)의 통신 연결을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은 복수의 와이파이 통신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의 통신을 유지하고(예를 들어, 도 4에서 설명한 S430 단계의 통신 연결 유지), 복수의 와이파이 통신 채널 중 다른 하나를 통해 다른 기기(20)와의 통신 연결(예를 들어, S340)을 진행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가 복수의 와이파이 통신 채널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와이파이 통신이 아닌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다른 기기(20)의 통신 연결을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다른 기기(20)의 통신 연결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460).
이 후, 전자 장치(100)는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S470).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2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30)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4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로 구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2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200)는 IoT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IoT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및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IoT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기기(10, 20)를 서버(50)에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에서 IoT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계정을 입력하여, 입력된 사용자 계정을 통해 서버(50)에 로그인 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는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을 기반으로 서버(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LTE, 5G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50)에 접속하거나 AP 장치(60)를 통해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2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30)의 구현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30)의 구현 형태와 동일/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예에 따라 메모리(220)는 도 1에서 설명한 IoT 어플리케이션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제1 AP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제2 AP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AP 정보는 제1 AP 정보와 상이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AP 정보에 포함된 SSID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AP 정보에 포함된 SSID 또는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대상 기기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대상 기기 리스트는 Iot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된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명칭, 모델, 디바이스 토큰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대상 기기 리스트는 도 1에서 설명한 Easy Setup 기술을 통해 Iot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대상 기기 리스트는 제1 AP 정보에 통신 연결된 기기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대상 기기 리스트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된 대상 기기들(즉, 일정 공간 내 위치한 기기들) 중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IoT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대상 기기 리스트는 Easy Setup 기술을 통해 전자 장치(200)가 직접 획득하거나, 서버(5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제1 AP 정보에 대응되는 AP 장치(예를 들어, 도 1, 60)로부터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기기(10, 2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한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제1 AP 정보가 제2 AP 정보로 업데이트되면 복수의 기기(10, 2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등의 이유로 AP 장치의 SSID 및 패스워드가 변경된 경우, AP 장치가 다른 AP 장치로 변경된 경우(통신사 수거 등의 이유), 그 외 AP 장치의 SSID 및 패스워드를 재설정하여야 하는 경우 등에 변경 전 AP 정보인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던 기기들의 통신 연결이 모두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기기(10, 20)에 제2 AP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30)(이하, 프로세서)는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제1 AP(Access Point) 정보 및 제2 AP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910).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1 AP 정보를 획득하거나, 서버(50)로부터 제1 A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한 Easy Setup 기술을 통해 복수의 기기(10, 20)를 서버(50)에 등록하는 절차는 진행하였으므로 해당 과정에서 제1 AP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기(10, 20)와 통신 연결된 서버(50)로부터 제1 A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2 AP 정보를 획득하거나, 서버(50)로부터 제2 A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제2 AP 정보의 SSID를 스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알고 있는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40)에 제2 AP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2 AP 정보의 SSID 및 패스워드를 모두 전자 장치(200)에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서버(50)가 제2 AP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는 서버(50)로부터 제2 A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된 제2 AP 정보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23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식별되면(S920:Y),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S930).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는 이벤트 또는 사용자 명령이 식별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은 전자 장치(20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은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을 수행 중인 외부 기기들이 제1 AP 정보를 제2 AP 정보로 변경하여 통신 연결하도록 하기 위해 제2 AP 정보를 외부 기기들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제2 AP 정보를 외부 기기들로 전송하기 위해,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제2 AP 정보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유효한 AP 정보 임을 확인한 후,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으나, 반드시 해당 동작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어서, 프로세서(230)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통신 연결되면(S940:Y), 제2 AP 정보를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S950).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의 통신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동작 중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식별 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전자 장치(200)는 제1 AP(Access Point) 정보 및 제2 AP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910).
이어서, 전자 장치(20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식별되면(S920:Y),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930). 즉, 전자 장치(200)는 업데이트된 AP 정보 즉, 제2 AP 정보를 복수의 기기(10, 20)로 전송하기 위해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다음의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기기(10, 2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기기(10, 2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인식하고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0)는 서버(50)로부터 복수의 기기(10, 2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Soft AP 기능을 실행시켜 통신 인터페이스(21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21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된 상태였던 경우 전자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한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복수의 기기(10, 20)의 와이파이 통신 연결 해제된 것으로 식별하고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제2 AP 정보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유효한 AP 정보 임을 확인한 후,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나, 반드시 해당 동작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20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복수의 기기(10, 20)가 전자 장치(200)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S1010). 복수의 기기(10, 20)는 기존에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자신이 알고 있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을 위한 스캔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제1 AP 정보에 포함된 제1 SSID를 브로드캐스팅하고 복수의 기기(10, 20)는 제1 SSID를 스캔하고 제1 AP 정보에 포함된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와 연결함으로써, 전자 장치(200) 및 복수의 기기(10, 20) 간에 D2D(device to device)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기기(10, 20)가 전자 장치(200)로 통신 연결되면(S1010),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기기(10, 20)로 업데이트된 AP 정보, 즉 제2 AP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50).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D2D 채널을 통해 제2 AP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1030).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다음의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AP 모드로 동작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식별되면,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전자 장치(200)의 제조시 셋팅된 시간이거나, 서버(50)로부터 수신된 시간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가 서버(50)로부터 AP 모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기기(10, 2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식별되면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전자 장치(200)의 제조시 셋팅된 시간이거나, 서버(50)로부터 수신된 시간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가 서버(50)로부터 AP 모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제2 AP 정보가 전송된 것으로 식별되면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기기 리스트는 전자 장치(200)의 메모리(220)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서버(5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기기 리스트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기(10, 2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미도시)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S1020). 예를 들어, 복수의 기기(10, 20)는 AP 정보의 변경으로 서버(5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새로 획득된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 서버(50)와 통신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전자 장치(200)가 AP 모드를 종료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동작 중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식별 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도 11a는 전자 장치(200)가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AP 모드를 종료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에 따르면,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930). 전자 장치(20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복수의 기기(10, 20)가 전자 장치(1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게 된다(S1010).
전자 장치(200) 및 복수의 기기(10, 20)가 통신 연결되면(S1010),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기기(10, 2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50).
전자 장치(200)는 AP 모드로 동작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식별되면(S1110:Y),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1030). 또는 전자 장치(200)는 제2 AP 정보를 복수의 기기(10, 20)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식별되면,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1030).
한편, 전자 장치(200)는 AP 모드가 종료된 후 대상 기기 리스트 중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기기가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S1120). 전자 장치(200)가 AP 모드로 동작한 후 또는 제2 AP 정보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AP 모드를 종료하였기 때문에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중 일부 기기가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못 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기의 와이파이 모듈에 에러가 있었던 경우, 전원이 턴 오프되어 있었던 경우, 통신 채널에 에러가 있었던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일부 기기가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못 했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특정 기기와의 통신 채널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해당 통신 채널에 에러를 식별한 경우, 특정 기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등을 기초로 특정 기기가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못 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만 S1120 단계는 S111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200)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중 특정 기기가 AP 정보를 수신하지 못 한 것으로 식별되면(S1120:Y), 식별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S113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기기 중 업데이트된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기기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기기에 대한 후속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b는 전자 장치(200)가 대상 기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AP 모드를 종료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b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930). 전자 장치(200)가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복수의 기기(10, 20)가 전자 장치(200)에 통신 연결될 수 있게 된다(S1010).
전자 장치(200) 및 복수의 기기(10, 20)가 통신 연결되면(S1010),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기기(10, 20)로 제2 AP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50).
전자 장치(200)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제2 AP 정보가 전송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S1140).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제2 AP 정보를 복수의 기기(10, 20)로 전송한 후 해당 기기(10, 20)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제2 AP 정보가 전송된 것 또는 해당 기기(10, 20)가 제2 AP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제2 AP 정보가 전송된 것으로 식별되면(S1140), AP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1030).
도 12a 및 도 1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에 따르면, 복수의 기기(10, 20)에는 기 연결된 적이 있는 AP 장치의 식별 정보 및 AP 장치에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기기 식별 정보(예를 들어, MAC 어드레스, 디바이스 토큰 등)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SSID 1 및 패스워드는 제1 AP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2b에 따르면, 복수의 기기(10, 20)가 제2 AP 정보를 수신하여 AP 장치(미도시)에 연결되면, 복수의 기기(10, 20)에는 제2 AP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기(10, 20)에 저장된 SSID 2 및 패스워드는 제2 AP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스피커(160), 카메라(170) 및 마이크(180)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리모콘 송수신부로 구현되어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리모콘 송수신부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거나, 리모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비자발광 소자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s), 마이크로 LED(micro LED), Mini LED, PDP(Plasma Display Panel),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16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16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에서 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60)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 D/A 컨버터, 오디오 앰프(audio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스피커(160)는 다양한 멀티 채널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동작과 관련된 피드백 신호를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oft AP 기능이 실행되는 동작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가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카메라(17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턴 온 되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70)는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는 반도체 광학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를 통해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변환된 영상 신호는 증폭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 처리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카메라(17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Soft AP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마이크(18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마이크(180)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Soft AP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4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2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30),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디스플레이(250), 스피커(260), 카메라(270) 및 마이크(280)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구성 중 도 8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인 통신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2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30)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나머지 구성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디스플레이(250), 스피커(260), 카메라(270) 및 마이크(280)은 도 13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스피커(160), 카메라(170) 및 마이크(180)와 동일/유사하게 구현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UI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복수의 기기(10, 20, 30) 및 서버(5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UI 화면은 IoT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IoT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UI 화면은 복수의 기기(10, 20, 3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기기(10, 20, 30)의 컨트롤을 위해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한 컨트롤 패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UI 화면은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정보(예를 들어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도 11a에서 설명된 UI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2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30)는 서버(50)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기기 중 업데이트된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는 IoT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UI는 IoT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알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AP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복수의 기기들의 와이파이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복수의 기기들의 AP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와이파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딥 러닝 기반의 인공 신경망(또는 심층 인공 신경망) 즉,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
120: 메모리 13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200: 전자 장치 210: 통신 인터페이스
220: 메모리 23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1 AP(Access Point)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제1 AP 정보와 상이한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AP 모드를 종료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AP 모드로 동작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상기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상기 제2 AP 정보가 전송된 이벤트 또는 상기 AP 모드의 종료 요청이 식별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는,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리스트인,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제2 AP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식별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Soft AP 기능을 실행하여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AP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거나,
    상기 와이파이 통신과 상이한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제2 AP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AP 장치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AP 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중 상기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기기가 식별되면,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된 후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식별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식별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AP 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기기 중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되지 않은 기기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AP(Access Point)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제1 AP 정보와 상이한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AP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AP 모드로 동작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상기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벤트,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전부로 상기 제2 AP 정보가 전송된 이벤트 또는 상기 AP 모드의 종료 요청이 식별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는,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리스트인,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제2 AP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식별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Soft AP 기능을 실행하여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AP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거나,
    상기 와이파이 통신과 상이한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AP 장치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를 수신하는,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AP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AP 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기 중 상기 제2 AP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기기가 식별되면,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장치와 통신 연결된 후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식별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P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한 통신 연결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는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AP 정보에 기초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식별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P 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기기 중 상기 제2 AP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파이 통신 연결되지 않은 기기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20143649A 2022-11-01 2022-11-01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61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649A KR20240061831A (ko) 2022-11-01 2022-11-01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3/011413 WO2024096268A1 (ko) 2022-11-01 2023-08-03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8/376,686 US20240147327A1 (en) 2022-11-01 2023-10-04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649A KR20240061831A (ko) 2022-11-01 2022-11-01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831A true KR20240061831A (ko) 2024-05-08

Family

ID=9093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649A KR20240061831A (ko) 2022-11-01 2022-11-01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1831A (ko)
WO (1) WO202409626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9036B2 (ja) * 2014-04-30 2016-02-24 株式会社Pfu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2331808B1 (ko) * 2017-03-28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367445B1 (ko) * 2017-06-30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51084A (ko) * 2019-10-29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암호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와 그 동작 방법
CN113438102B (zh) * 2021-06-04 2022-07-26 荣耀终端有限公司 网络配置系统、网络配置方法、电子设备及路由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6268A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8249B2 (en) Downloading and launching an app on a second device from a first device
US2020036651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smart home device in smart home system
US1020052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77830A1 (zh) 蓝牙通信方法和具有蓝牙通信功能的装置及设备
US97880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data
US10225791B2 (en) Device sear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971697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s with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 system
KR10220635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작업 연계 방법
US11032862B2 (e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multiple devices
US201701644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point (ap)
CN110073650B (zh) 确定搜索对象设备的位置的终端设备、电子设备和控制方法
US10862698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for and controlling controllees in smart home system
KR202100618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U20143158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US201301720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sharing and playing device thereof
EP3748492B1 (en) Downloading and launching an app on a second device from a first device
US1014932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61831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122515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US2024014732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2616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2264B1 (ko) e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200521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159754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of
US2024016175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