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440A -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440A
KR20240061440A KR1020220143102A KR20220143102A KR20240061440A KR 20240061440 A KR20240061440 A KR 20240061440A KR 1020220143102 A KR1020220143102 A KR 1020220143102A KR 20220143102 A KR20220143102 A KR 20220143102A KR 20240061440 A KR20240061440 A KR 20240061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storage devices
battery
distribution rati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익
김상현
안준범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filed Critical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440A/ko
Publication of KR2024006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5Sequential battery discharge in systems with a plurality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ESS)에 대해 개별적으로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여 가용 배터리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의 출력 배분 비율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며, 배터리의 출력 배분 비율에 따라 충전 및 방전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MULTIPLE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배터리의 종류에는 상용화가 상당 부분 이루어진 리튬이온(NCM 계) 배터리와 납축전지(납산 배터리)가 있고, 이외에도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안정성과 출력 부분을 개선한 리튬황 배터리, 리튬인산철 배터리, 리튬티탄산화 배터리 등과 니켈수소 배터리,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 등 새로운 방식과 새로운 구성 재료를 사용한 배터리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배터리 종류가 개발됨에 따라 다종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때 각각의 배터리의 특성을 극대화한 제어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선박에서의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서는 계통에서 공급 가능한 발전용량을 기준으로 필수부하들을 제외한 전력 중 가용전력을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하고, 부족할 경우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방전하여 부족한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 육상에서의 에너지 저장 장치 설치에 비해 선박에 에너지 저장 장치 설치 시 공간적 또는 중량적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급격한 부하 변동을 가지는 선박에 적합한 배터리 종류 선정이 중요하다. 에너지 밀도, 출력, 가격 등을 고려한 배터리 선정이 필요하며 이때 다수 종류의 배터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배터리의 수명 및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시스템이 요구된다.
육상 에너지 저장 시스템 또는 전기차와 같은 배터리 활용하는 전반적인 분야에서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활용을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로 구성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제어를 통해 전력계통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한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은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해 개별적으로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여, 가용 배터리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의 출력 배분 비율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배터리의 출력 배분 비율에 따라 충전 및 방전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배분 비율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기대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기대 수명이 더 높은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설치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최대 출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최대 출력이 더 큰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충전에 필요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충전에 필요한 시간이 더 짧은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방전에 필요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방전에 필요한 시간이 더 긴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방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방전량이 더 적은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출력 배분 비율에 따라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되도록 충전 및 방전 스케줄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부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배터리의 종류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 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계통 구성이 가능하고, 다양한 가격의 배터리를 혼합 구성해 경제성과 제어 안정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의 출력 특성을 고려한 출력 분배로 인해 최대한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수명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격한 부하 변동에도 대응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 운용이 가능하며, 선박 내 전력관리시스템(PMS)과 연동 혹은 통합되어 과부하 및 블랙아웃(blackout)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연계된 전력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다중 에너지 저장 장치가 연계된 출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다중 에너지 저장 장치 연계 시 부하 변동에 따른 출력 분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연계된 전력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저장 장치가 연계된 전력계통은 각각의 배터리 종류 별(100) 전력 변환 장치(Power Conversion System; PCS)(110)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120)은 배터리 제어부 및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고, 배터리 유닛을 관리한다. 배터리 제어부는 배터리 유닛의 정보를 입력받아 연산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정보를 직접 입력받거나 측정부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정보는 턴-오프 명령이 수신된 시간 및 개방 회로 전압(Open Circuit Voltage, OCV)을 포함하고, 출력 전류의 레벨, 각각의 배터리(B1 내지 Bn 중 하나)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제어부는 입력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 유닛의 충전 가능 여부, 방전 가능 여부, 이상 여부 등을 알리는 신호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다. 배터리 제어부는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턴-온 전류(Ito)에 의해 소정의 기간 동안 턴-온되고 턴-온된 기간 동안 제1 트랜지스터를 턴-온시켜 제어 전류(Ict)를 공급받는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턴-오프 명령을 수신한 후,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스위칭 유닛을 턴-오프시켜 제어 전류(Ict)를 차단할 수 있다. 턴-오프 명령은 외부로부터 인터페이스부를 거쳐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수신될 수도 있고,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경로를 거쳐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수신될 수도 있다. 다만, 배터리 제어부는 수신된 배터리 유닛의 정보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스위칭 유닛이 턴-오프된다. 기설정된 조건은 턴-오프 명령을 수신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났는지 여부, 일정 시간 동안의 개방 회로 전압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크기보다 작은지 여부 등일 수 있다.
스위칭 유닛은 배터리 유닛과 배터리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트랜지스터와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는 배터리 유닛과 레귤레이터사이레귤레이터사이에 배치되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배터리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터리 제어부는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되는 전압 레벨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제어 전류의 레벨을 제어한다. 외부로부터의 턴-오프 명령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스위칭 유닛이 턴-오프 되고, 스위칭 유닛 중 제1 트랜지스터의 턴-오프로 인해 제어 전류(Ict)가 차단된다. 레귤레이터는 배터리 유닛으로부터의 전류의 리플(ripple)을 제거한다.
배터리의 종류는 리튬이온 배터리, 납축전지(납산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리튬인산철 배터리, 리튬티탄산화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다중 에너지 저장 장치가 연계된 출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류가 다른 각각의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210)에는 각각의 출력 제어 시스템(Local EMS)(220)이 존재할 수 있고, 그 상위단에는 각각의 출력 제어 시스템(220)을 제어하는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Master EMS)(230)이 구성될 수 있다.
종류가 다른 각각의 에너지 저장 장치(ESS)(210)의 배터리 상태라 함은 에너지 밀도, 가격, 수명, 열폭주 온도, 방전심도, 효율, 충전 및 방전 속도, 화재 및 폭발 위험성, 동작 온도, 발열, 수명 및 설치 용량과 최대 출력 등 배터리가 가질 수 있는 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230)은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210)의 출력 제제어 시스템(220)과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외부 제어 시스템으로, 계통 내 부하 소모량과 발전량과의 차이를 통해 전력 시스템을 운영하는 선박 내 전력관리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PMS)과 연동 혹은 통합되어 발전용량, 충전량, 부하량, 기대 수명 및 충방전에 필요한 시간 등 배터리의 특성 및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박 내 전력관리시스템(PMS)과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210)의 출력 제어 시스템(220) 상호간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230)은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해 개별적으로 배터리 상태 및 특성을 확인하는 단계, 사용 배터리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상태 및 특성에 따라 배터리의 출력 배분 비율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출력 배분 비율에 따라 충전 및 방전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230)에서 출력 배분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기대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산출된 기대 수명이 더 높은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230)에서 출력 배분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설치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산출된 설치 용량이 더 큰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230)에서 출력 배분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최대 출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산출된 최대 출력이 더 큰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230)에서 출력 배분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충전에 필요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산출된 충전에 필요한 시간이 더 짧은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230)에서 출력 배분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방전에 필요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산출된 방전에 필요한 시간이 더 높은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230)에서 출력 배분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산출된 부하량이 더 많은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230)에서 출력 배분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방전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산출된 방전량이 더 적은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230)은 출력 배분 비율이 더 높게 설정된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충전 및 방전이 먼저 수행되도록 충전 및 방전 스케줄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의 출력 배분 비율은 배터리의 상태 및 특성 각각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복수의 상태 및 특성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남은 기대 수명이 가장 긴 에너지 저장 장치를 우선적으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여 기 설치된 배터리들의 균일한 수명을 위한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및 방전 속도와 배터리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를 모두 고려하여, 충전량이 많이 남아 있고 충전 속도가 더 빠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배분 비율을 더 높게 하여 더 많은 부하를 담당하게 할 수 있다. 또한, C-rate와 최대 출력을 모두 고려하여, C-rate가 더 높고 최대 출력이 더 높은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배분 비율을 더 높게 하여 더 많은 부하를 담당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용량과 배터리 방전 상태(Depth of Discharge; DOD), 남은 기대 수명을 모두 고려하여, 설치 용량이 크고 방전량이 적으며 남은 기대 수명이 긴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출력 배분 비율을 더 높게 하여 더 많은 부하를 담당하게 할 수 있다.
즉, 배터리의 상태 및 특성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고려할 수도 있고, 배터리의 상태 및 특성 중 복수를 선택하여 다양하게 조합하여 고려할 수도 있다.
배터리의 상태 및 특성은 같은 비율로 고려될 수도 있지만, 배터리의 상태 및 특성들 간에 우선 순위를 지정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상태 및 특성을 더 높은 비율로 고려하여 유동적인 출력 배분 비율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출력 배분 비율이 동일할 경우 우선 순위가 더 높은 배터리의 상태 및 특성의 출력 배분 비율이 더 높은 에너지 저장 장치가 우선적으로 부하를 담당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격을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설정하였을 경우, 출력 배분 비율이 동일할 때 가격이 가장 저렴한 에너지 저장 장치가 우선적으로 부하를 담당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출력 배분 비율은 그 성질이 유사한 상태 및 특성끼리 그룹화하여 카테고리 별로 유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충전 상태와 충전량 및 방전량은 한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열폭주 온도와 동작 온도,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은 한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출력 배분 비율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데 함께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카테고리를 모두 고려한 유동적인 출력 배분 비율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그룹화된 카테고리 별로 우선 순위를 지정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카테고리를 더 높은 비율로 고려하여 출력 배분 비율을 유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출력 배분 비율이 동일할 경우 우선 순위가 더 높은 카테고리의 출력 배분 비율이 더 높은 에너지 저장 장치가 우선적으로 부하를 담당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항목들은 충전 시 및 방전 시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다중 에너지 저장 장치 연계 시 부하 변동에 따른 출력 분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력이 낮고 충전 및 방전 주기에 따른 수명 저하가 큰 배터리 타입의 경우에는 충전 및 방전량의 변화가 크지 않은 출력을 담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310).
고출력이 가능하고 충전 및 방전 주기가 긴 배터리 타입의 경우에는 급격한 부하 변동에 대응하는 출력을 담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3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다수를 선택하여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인 에너지 저장 장치에 연료전지를 추가하여 기존의 발전 시스템(회전기 기반의 발전원)과 다른 발전원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발전원의 특성이 달라졌음에도 마스터 에너지 관리 시스템(Master EMS)에서 발전원의 발전량을 분석하여 각각의 에너지 저장 장치(ESS)를 최적의 상태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배터리 종류
110 : 전력 변환 장치
120 : 배터리 관리 시스템
210 : 에너지 저장 장치
220 : 출력 제어 시스템
230 : 마스터 출력 제어 시스템

Claims (8)

  1.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특성을 반영한 ESS 출력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해 개별적으로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여, 가용 배터리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출력 배분 비율을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출력 배분 비율에 따라 충전 및 방전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기대 수명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기대 수명이 더 높은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설치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최대 출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최대 출력이 더 큰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충전에 필요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충전에 필요한 시간이 더 짧은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방전에 필요한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방전에 필요한 시간이 더 긴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 각각의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부하량이 더 많은 에너지 저장 장치 순으로 출력 배분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설정된 출력 배분 비율에 따라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되도록 충전 및 방전 스케줄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KR1020220143102A 2022-10-31 2022-10-31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KR20240061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02A KR20240061440A (ko) 2022-10-31 2022-10-31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02A KR20240061440A (ko) 2022-10-31 2022-10-31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440A true KR20240061440A (ko) 2024-05-08

Family

ID=9107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102A KR20240061440A (ko) 2022-10-31 2022-10-31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4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3359B2 (en) Battery pack system
EP26609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battery system
KR101921641B1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방법
US9859751B2 (en) Switchabl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battery charging method thereof
KR102052241B1 (ko) 밸런싱 배터리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205756B2 (en) Battery system
US20110304298A1 (en) Battery charging using multiple chargers
JP2013009557A (ja) 蓄電池
KR20200021368A (ko) 셀 충전 전류 기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CN105150874A (zh) 动力电池管理系统及其供电控制方法
US20220126726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Management Method,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KR20160144795A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및 배터리 제어 방법
EP3096431B1 (en) Battery management unit and method for setting identifier by using frequency modulation
KR101549172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20220101322A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배터리 시스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배터리 제어 방법
KR20120036490A (ko)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6388324A (zh) 电压均衡模块、方法和储能装置、可读存储介质
CN115800418B (zh) 电池控制方法、储能系统、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WO2023015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balancing power from distributed power sources in a battery pack
KR101540425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20240061440A (ko) 다중 ess 출력 제어 방법
CN113954773B (zh) 一种商用车低压电源装置
US20210082480A1 (en) Cell module equalization and precharge device and method
CN114844172A (zh) 用于无人车的电池切换系统
KR101463883B1 (ko) 배터리 뱅크의 온라인 수명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