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186A - Variable armres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Variable armres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186A
KR20240061186A KR1020220142562A KR20220142562A KR20240061186A KR 20240061186 A KR20240061186 A KR 20240061186A KR 1020220142562 A KR1020220142562 A KR 1020220142562A KR 20220142562 A KR20220142562 A KR 20220142562A KR 20240061186 A KR20240061186 A KR 20240061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rmrest
panel
inner panel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현일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2014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186A/en
Publication of KR2024006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1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8Arm-rests post or panel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는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에 마련되는 외측 패널, 외측 패널의 실내 측에 마련되며 상단부가 외측 패널과 연결되는 내측 패널 및 내측 패널의 하단부를 외측 패널의 소정 높이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내측 패널은 하단부가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중단부가 구부러지며 실내 측으로 돌출되어 암레스트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outer panel provided on the interior trim of the vehicle, an inner panel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panel, and a lower part of the inner panel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outer panel.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inner panel may be included, and wh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nel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the middle portion may be bent and protrude toward the interior to form an armrest.

Description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VARIABLE ARMREST FOR VEHICLE}Variable armrest of vehicle {VARIABLE ARM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할 경우에만 암레스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식 구조를 적용하고 구조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편의성 및 공간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armrest that can increase convenience and space utilization by applying a vertically movable structure so that it can serve as an armrest only when necessary and minimizing exposure of the structure. It's about a variable armrest.

일반적으로 차량은 사람과 물건을 운송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차량은 사람을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캐빈룸 내에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탑재되며, 물건은 캐빈룸과는 구분되는 트렁크 등의 러기지룸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승용차량의 경우, 사람의 탑승 및 운송이 주요 목적이므로 시트가 캐빈룸의 특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승객의 승차감과 소음 억제를 위해 캐빈룸과 러기지룸의 공간이 명확하게 구분된다. In general, vehicles are used as a means of transporting people and goods.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seat for seating within the cabin room to safely transport people, and goods are transported in a luggage room such as a trunk that is separate from the cabin room. In the case of passenger vehicles, the main purpose is to board and transport people, so seats are fixedly installed in specific locations in the cabin room, and the spaces between the cabin room and luggage room are clearly separated to ensure passenger comfort and noise suppression.

한편, 오늘날에는 사람들의 다양한 개성과 기호를 만족시켜줄 수 있도록 다목적 차량에 대한 인기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다목적 차량은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운용 상황에 따라 캐빈룸과 러기지룸의 공간 구획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시트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Meanwhile, today, the popularity of multi-purpose vehicles is increasing day by day to satisfy people's diverse personalities and preferences. This multi-purpose vehicle secures a large interior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 seats are movable so that the spatial division of the cabin room and luggage room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operating situation.

나아가 최근에는 차량의 자율주행, 이동공유 서비스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차량의 사용 목적에 초점을 둔 간결한 구조의 이동 수단인 목적 기반 차량(PBV)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율주행 기반의 목적 기반 차량은 엔진, 변속기 등이 탑재되는 공간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사람과 사물을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 기반 차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편의장치들이 요구되며, 그 중에서도 시트의 위치가 자유롭게 변화함에 따라 인테리어 트림에 마련되는 암레스트가 불필요한 경우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Furthermore, recently, as the market for autonomous vehicle driving and mobility sharing services has grown rapidly, the development of Purpose-Based Vehicles (PBVs), a means of transportation with a simple structure that focuses on the purpose of use of the vehicl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self-driving purpose-based vehicles powered by electricity not only do not require space for engines and transmissions, but also do not require a driver's seat, so they are being developed in a way that can transport people and objects efficiently. It is being done. These purpose-based vehicles require convenience devices that can change the interior space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among them, technology that allows space to be utilized when the armrest provided in the interior trim is unnecessary as the position of the seat is freely changed. Research and development is required.

본 실시 예는 필요한 경우 장치를 활용하여 암레스트 역할을 수행하고, 불필요한 경우 암레스트 형상을 숨겨 내부 인테리어로서 활용할 수 있고 거주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provide 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that can use the device to function as an armrest when necessary and hide the shape of the armrest when unnecessary, allowing it to be used as an interior and secure living space.

본 실시 예는 암레스트의 용이한 수납 및 전개를 도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provide 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having a structure that allows easy storage and deployment of the armrest.

본 실시 예는 승객의 탑승모드와 물건의 적재모드에 따라 차량의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This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that can vary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passenger riding mode and the loading mode of good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는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에 마련되는 외측 패널; 상기 외측 패널의 실내 측에 마련되며 상단부가 상기 외측 패널과 연결되는 내측 패널; 및 상기 내측 패널의 하단부를 상기 외측 패널의 소정 높이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패널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중단부가 구부러지며 실내 측으로 돌출되어 암레스트를 형성하여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includes an outer panel provided on the interior trim of the vehicle; an inner panel provided on the indoor side of the outer panel and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panel; and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nel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outer panel, wherein wh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nel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the middle part is bent and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to form an armrest. can be provided.

상기 내측 패널은, 중단부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패널 바디; 및 상기 패널 바디의 중단부에서 실외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 형태의 지지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내측 패널의 중단부가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복수의 돌기 형태가 맞닿으며 서로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inner panel includes a panel body whose middle portion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support structure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panel body toward the outdoor side, wherein the support structure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panel is ben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upport each other. You can.

상기 패널 바디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차량의 실내 측 표면을 형성하는 표피재층; 상기 표피재층의 실외 측에 마련되는 가요성부재층; 및 상기 가요성부재층의 실외 측에 마련되는 탄성체층;의 층상 구조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panel body includes, at least in some areas, a skin layer forming a surface on the interior side of the vehicle; A flexible member layer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skin layer; and an elastic layer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flexible member layer.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내측 패널의 하단부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같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부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데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includes a base portion that rises or falls together with the rise or fall of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nel; A stopper for fixing the base por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guide rail that provides a guide for the base unit to rise or fall.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스토퍼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해제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ortion provided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stopper to the base portion.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외측 패널의 실외 측에 마련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may be provided to be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outer panel.

상기 내측 패널의 실내 측 하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그립을 제공하는 레버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It may be provided to further include a lever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panel on the indoor side to provide a grip to the user.

상기 레버부는, 상기 해제부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해제 레버; 및 상기 해제 레버와 상기 해제부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lever unit includes a release lever provided to operate the release unit; and a connection pin connecting the release lever and the release unit.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는 암레스트를 인테리어 트림에 수납시켜 실내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improve interior space utilization by storing the armrest in the interior trim.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는 암레스트의 용이한 수납 및 전개를 도모할 수 있다.The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facilitate easy storage and deployment of the armrest.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는 단순한 구조로 마련되어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simple structure,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improve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가 작동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가 해제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에서 해제 레버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ivated state of the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activated state of the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Figure 5 is a rear view showing the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i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view showing an activated state of the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ing release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4.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lever is operated i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esented to sufficiently conve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may omit illustrations of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nd may exaggerate the sizes of components somewhat to aid understa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10)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10)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10)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10)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armrest 10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and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variable armrest 10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ctivated state.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ed state of the variable armrest 10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view showing the released stat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10)는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1)에 마련되는 외측 패널(200); 외측 패널(200)의 실내 측에 마련되며 상단부(140)가 외측 패널(200)과 연결되는 내측 패널(100);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를 외측 패널(200)의 소정 높이에 고정하는 고정장치(400); 및 내측 패널(100)의 실내 측 하단부(160)에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그립을 제공하는 레버부(300);를 포함한다.1 to 4, the variable armrest 10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panel 200 provided on the interior trim 1 of the vehicle; an inner panel 100 provided on the indoor side of the outer panel 200 and whose upper end 140 is connected to the outer panel 200; A fixing device 400 for fixing the lower end 160 of the inner panel 100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outer panel 200; and a lever unit 300 provided at the indoor lower part 160 of the inner panel 100 to provide a grip to the user.

이 때 내측 패널(100)은 하단부(160)가 고정장치(400)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중단부(150)가 구부러지며 실내 측으로 돌출되어 암레스트를 형성한다.At this time, when the lower part 160 of the inner panel 100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400, the middle part 150 is bent and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to form an armrest.

본 발명의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10)는 외측 패널(200)에 연결된 내측 패널(1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가요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패널(100)은 외측 패널(200)과 동일한 면적을 커버하는 패널 형태일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패널(100)의 상단부(140)가 외측 패널(200)과 연결되어 있다. 이 때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가 외측 패널(200)의 소정 높이에 고정장치(400)에 의해 고정되면 내측 패널(100)의 중단부(150)가 실내 측으로 돌출되어 암레스트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가변형 암레스트(10)는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를 소정 높이에 고정하여 작동하고,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의 고정을 해제하여 하강시킴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In the variable armrest 10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panel 100 connected to the outer panel 20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Preferably, as shown in FIG. 1, the inner panel 100 may be in the form of a panel covering the same area as the outer panel 200, and as shown in FIG. 2, the upper portion 140 of the inner panel 100 is connected to the outer panel 200. At this time, when the lower part 160 of the inner panel 10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outer panel 200 by the fixing device 400, the middle part 150 of the inner panel 100 protrudes toward the indoor side and supports the armrest. performs its role. That is, the variable armrest 10 operates by fixing the lower end 160 of the inner panel 10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can be released by unfixing the lower end 160 of the inner panel 100 and lowering i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확대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측 패널(100)은 중단부(150)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패널 바디(110) 및 패널 바디(110)의 중단부(150)에서 실외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 형태의 지지구조(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ner pan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nel body 110 in which the middle portion 15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middle portion 150 of the panel body 110. It includes a support structure 120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the outdoor side.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조(120)는 패널 바디(110)의 중단부(150)에서 실외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복수의 돌기 형태는 패널 바디(110)가 도 1과 같이 펼쳐진 경우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된다.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 the support structure 120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middle portion 150 of the panel body 110 toward the outdoor side. A plurality of such protrusion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panel body 110 is unfolded as shown in FIG. 1 .

한편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패널(100)의 중단부(150)가 구부러지는 경우 패널 바디(110)의 중단부(150)에 마련된 지지구조(120)의 복수의 돌기 형태가 맞닿으며 서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지지구조(120)에 의해 내측 패널(100)의 중단부(150)가 구부러져 실내 측으로 돌출될 때 그 모양을 유지하면서 돌출된 부분 위에 거치될 수 있는 탑승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2, when the middle portion 150 of the inner panel 100 is bent, the support structure 120 provided at the middle portion 150 of the panel body 110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ey touch and support each other. When the middle portion 150 of the inner panel 100 is bent and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the support structure 120 maintains its shape and supports the occupant's arm that can be placed on the protruding portion.

도 1 및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바디(110)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차량의 실내 측 표면을 형성하는 표피재층(111), 표피재층(111)의 실외 측에 마련되는 가요성부재층(112) 및 가요성부재층(112)의 실외 측에 마련되는 탄성체층(113)의 층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널 바디(110)는 내측 패널(100)의 중단부(150)에서 이와 같은 층상 구조를 포함하여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가 고정장치(400)에 의해 고정될 때 중단부(150)가 자연스럽게 구부러져 실내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the enlarged views of FIGS. 1 and 2, the panel body 110 includes a skin material layer 111 that forms the surface of the interior side of the vehicle in at least some areas, and a flexible surface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skin layer 111. It may include a layered structure of the member layer 112 and the elastic layer 113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flexible member layer 112. Preferably, the panel body 110 includes such a layered structure at the middle portion 150 of the inner panel 100 so that the lower portion 160 of the inner panel 100 is stopped when fixed by the fixing device 400. The part 150 is naturally bent so that it protrudes toward the indoor side.

표피재층(111)은 차량의 실내 측 표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표피재층(111)은 차량의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에 적합한 재질, 색상, 표면 질감 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kin layer 111 forms the interior surface of the vehicle. The skin material layer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material, color, surface texture, etc. suitable for the interior design of the vehicle.

가요성부재층(112)은 패널 바디(110)가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마련된다.The flexible member layer 112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panel body 110 can be bent.

탄성체층(113)은 패널 바디(110)가 구부러질 때 탄성력을 부여하여 패널 바디(110)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마련된다.The elastic layer 11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panel body 110 can maintain its shape by providing elastic force when the panel body 110 is bent.

외측 패널(200)은 내측 패널(100)의 실외 측에 마련되어 내측 패널(100)을 고정하여 내측 패널(100)이 암레스트를 형성하도록 하고, 가변형 암레스트(10)가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측 패널(200)은 인테리어 트림(1)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panel 200 is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inner panel 100 and fixes the inner panel 100 so that the inner panel 100 forms an armrest, and the variable armrest 10 is used to form the interior trim (1) of the vehicle. ) can be fixed to. In one embodiment, the outer panel 200 may be formed as part of the interior trim 1.

도 3을 참조하면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에는 사용자가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를 쉽게 상하로 작동시키기 위한 그립을 제공하는 레버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버부(300)는 사용자가 내측 패널(100)을 상승시켜 외측 패널의 소정 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그립을 제공하는 작동 레버(310), 후술할 고정장치(400)의 해제부(420)를 작동시켜 내측 패널(100)의 고정을 해제도록 마련되는 해제 레버(320) 및 해제 레버(320)와 해제부(420)를 연결하는 연결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해제 레버(320)는 해제부(42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이동하여 작동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에는 해제 레버(320)와 해제부(420)를 연결하는 연결핀(33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해제 레버 가이드홀(130)이 마련될 수 있다. 해제 레버 가이드홀(130)은 해제 레버(320)에 의해 해제부(420)를 구동하기 위한 연결핀(3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lever unit 30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160 of the inner panel 100 to provide a grip for the user to easily operate the lower part 160 of the inner panel 100 up and down. This lever unit 300 includes an operating lever 310 that provides a grip for the user to raise the inner panel 100 and fix it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outer panel, and a release portion 420 of the fixing device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include a release lever 320 provided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inner panel 100 by operating and a connection pin 330 connecting the release lever 320 and the release portion 420. At this time, the release lever 320 can be operated by moving up and down to drive the release unit 420, and the release lever 320 and the release unit 420 are located at the lower end 160 of the inner panel 100. A release lever guide hole 13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nnection pin 330 connecting the can pass through. The release lever guide hole 130 may have a vertically long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pin 330 for driving the release unit 420 by the release lever 320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4를 참조하면 고정장치(400)는 외측 패널(200)의 실외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외측 패널(200)에는 내측 패널(100)과 고정장치(400)를 연결하는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고정장치 가이드홀(210)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장치 가이드홀(210)은 내측 패널(100)과 고정장치(400)를 연결하는 부재가 관통할 수 있으며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데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xing device 400 may be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outer panel 200. Accordingly, a fixture guide hole 210 may be provided in the outer panel 200 so that a member connecting the inner panel 100 and the fixture 400 can pass through. The fixture guide hole 210 can be penetrated by a member connecting the inner panel 100 and the fixture 400, and is positioned vertically to provide a guide for the lower end 160 of the inner panel 100 to rise or fall. It can have a long shape.

고정장치(400)는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같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베이스부(410); 베이스부(41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스토퍼(430); 베이스부(410)에 대한 스토퍼(43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해제부(420); 및 베이스부(41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데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4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400 includes a base portion 410 that rises or falls together with the rise or fall of the lower end 160 of the inner panel 100; A stopper 430 that fixes the base portion 410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 release part 420 provided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stopper 430 to the base part 410; and a guide rail 440 that provides a guide for the base portion 410 to rise or fall.

베이스부(410)는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같이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승된 위치에서 스토퍼(430)에 의해 고정되어 가변형 암레스트(10)를 작동할 수 있다. 스토퍼(430)는 내측 패널(100)의 중단부(150)가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암레스트를 형성하도록 베이스부(410)를 고정할 수 있는 소정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410 rises or falls as the lower portion 160 of the inner panel 100 rises or falls, and is fixed by the stopper 430 in the raised position to operate the variable armrest 10. there is. The stopper 43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secure the base portion 410 so that the middle portion 150 of the inner panel 100 protrudes toward the indoor side to form an armrest.

해제부(420)는 베이스부(410)에 대한 스토퍼(430)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해제부(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제 레버(320)와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해제부(420)는 베이스부(410)와 같이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같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The release part 420 releases the fixation of the stopper 430 to the base part 410. This release unit 420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release lever 320 as described above. Like the base portion 410, the release portion 420 may rise or fall as the lower end 160 of the inner panel 100 rises or falls.

베이스부(410)와 해제부(420)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가이드 레일(440)의 가이드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When the base part 410 and the release part 420 rise or fall, they may rise or fall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guide rail 440.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고정장치(40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device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때 도 5는 해제 레버(320)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해제 레버(320)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다.Figures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in Figure 4. At this time, Figure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lever 320 is released, and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lever 320 is operated.

도 5 및 도 6을 참조면, 고정장치(400)의 베이스부(410)는 외측 패널(200)의 실외 측에 위치한다. 베이스부(410)에는 해제부(42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오목부(414)가 마련된다. 해제부(420)는 이와 같은 오목부(414)에 삽입 혹은 인출됨으로써 베이스부(410)에 대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base portion 410 of the fixing device 400 is locat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outer panel 200. The base portion 410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414 into which the release portion 420 can be accommodated. The release part 420 can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410 by being inserted into or pulled out of the concave part 414.

해제부(420)는 해제 레버(320)와 연결핀(3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내측 패널(100)의 실내 측에 위치한 해제 레버(320)는 내측 패널(100) 및 외측 패널(200)을 관통하는 연결핀(330)을 통해 해제부(42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핀(330)은 전술한 바와 같은 내측 패널(100)의 해제 레버 가이드홀(130) 및 외측 패널(200)의 고정장치 가이드홀(210)을 관통하여 해제 레버(320)와 해제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The release unit 420 may be connected to the release lever 320 and the connection pin 330. The release lever 320 located on the indoor side of the inner pane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release unit 420 through a connection pin 330 that penetrates the inner panel 100 and the outer panel 200. The connection pin 330 penetrates the release lever guide hole 130 of the inner panel 100 and the fixer guide hole 210 of the outer panel 200 as described above to connect the release lever 320 and the release portion 420. ) can be connected.

연결핀(330)은 수직 방향으로 긴 형태의 해제 레버 가이드홀(130) 및 고정장치 가이드홀(210)을 관통함으로써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해제 레버(320)를 상하로 조작하면 연결핀(330)이 해제 레버 가이드홀(130) 및 고정장치 가이드홀(210)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해제부(420)가 베이스부(410)의 오목부(414)에 삽입 혹은 인출되며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The connection pin 330 can move up and down by penetrating the elongated release lever guide hole 130 and the fixture guide hole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release lever 320 up and down, the connection pin 330 moves up and down in the release lever guide hole 130 and the fixture guide hole 210, and the release part 420 moves up and down in the base part 410. It is inserted or extracted into the concave part 414 and can move up and down.

해제부(420)는 베이스부(410)에 대해 상하로 움직일 때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해제부 가이드핀(422)을 포함하고, 베이스부(410)에는 해제부 가이드핀(422)이 삽입되는 해제부 가이드홀(416)이 마련될 수 있다. 해제부 가이드홀(416)은 상하로 움직이는 해제부 가이드핀(422)을 가이드 하도록 상하로 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부 가이드핀(422)은 해제부(420)의 실내 측 및 실외 측 양쪽에 마련될 수 있고, 해제부 가이드홀(416) 또한 이에 상응하여 베이스부(410)의 실내 측 및 실외 측 양쪽에 마련될 수 있다.The release portion 420 includes a release guide pin 422 to prevent separation when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410, and the release portion guide pin 422 is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410. A secondary guide hole 416 may be provided. The release guide hole 416 may have a vertically long shape to guide the release section guide pin 422 that moves up and down. As shown in Figures 5 and 6, the release part guide pin 422 may be provided on both the indoor and outdoor sides of the release part 420, and the release part guide hole 416 is also provided correspondingly to the base part ( 410) can be provided on both the indoor and outdoor side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10)가 작동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10)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10)가 해제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Figure 7 is a rear view showing the variable armrest 10 of a vehicle i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rear view showing the variable armrest 10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It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armrest 10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ing released.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스토퍼(430)는 베이스부(410)를 고정하는 스토퍼 바디(431), 스토퍼 바디(43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32) 및 스토퍼 바디(431)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가이드핀(433)을 포함할 수 있다.7 to 9, the stopper 430 includes a stopper body 431 that secures the base portion 410, a spring 432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stopper body 431, and a stopper body 431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topper body 431. It may include a stopper guide pin 433 provided.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바디(431)는 가이드 레일(440)에서 돌출되어 베이스부(410)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베이스부(410)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410)의 양 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40)에 한 쌍의 스토퍼 바디(431)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 바디(431)의 돌출된 부분은 하측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마련된다. 스토퍼 바디(431)의 경사면에 베이스부(410)가 접촉되는 경우 한 쌍의 스토퍼 바디(431)를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힘이 가해지게 된다. 반면 스토퍼 바디(431)의 돌출된 부분은 상측이 수평면으로 마련된다. 스토퍼 바디(431)의 수평면에 베이스부(410)가 접촉되는 경우 스토퍼 바디(431)는 수직으로 힘이 가해져 움직이지 않고 베이스부(410)가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the stopper body 431 is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from the guide rail 440 and can fix the base part 410, and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ix or unfasten the base part 410. You can. Preferably, a pair of stopper bodies 431 may be provided on a pair of guide rails 44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410, respectively.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topper body 431 is provid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When the base portion 410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topper body 431, force is applied to spread the pair of stopper bodies 431 to the left and right. 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topper body 431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surface on the upper side. When the base portion 410 contacts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stopper body 431, a force is applied vertically to the stopper body 431 and the base portion 410 may be fixed without moving.

스프링(432)은 스토퍼 바디(43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스프링(432)은 일단이 가이드 레일(440)에 접촉하고 타단이 스토퍼 바디(431)에 접촉하여 한 쌍의 스토퍼 바디(431)가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는 경우 탄성력을 가하여 스토퍼 바디(431)가 다시 내측으로 모이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spring 432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stopper body 431. The spring 432 has one end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440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stopper body 431, so that when the pair of stopper bodies 431 are opened to the left and right,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move the stopper body 431 back to the inside. It can provide resilience to gather together.

스토퍼 가이드핀(433)은 스토퍼 바디(431)의 움직임을 가이드 한다. 스토퍼 가이드핀(433)은 스토퍼 바디(431)에서 돌출된 핀 형태로 마련되어 가이드 레일(440)에 마련되는 스토퍼 가이드홀(450)에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 가이드홀(450)은 좌우로 움직이는 스토퍼 가이드핀(433)을 가이드 하도록 좌우로 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 가이드핀(433)은 스토퍼 바디(431)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고, 스토퍼 가이드홀(450) 또한 이에 상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topper guide pin 433 guides the movement of the stopper body 431. The stopper guide pin 43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in protruding from the stopper body 43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stopper guide hole 450 provided in the guide rail 440. The stopper guide hole 450 may have a long left and right shape to guide the stopper guide pin 433 that moves left and right. A pair of stopper guide pins 433 may be provided on the stopper body 431, and a pair of stopper guide holes 450 may also be provided correspondingly.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고정장치(4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xing device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의 가변 암레스트(10)가 해제된 경우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와 하단부(160)에 연결된 고정장치(400)의 베이스부(410)는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7 to 9, when the variable armrest 10 of the vehicle is released, the lower end 160 of the inner panel 100 and the base part 410 of the fixing device 400 connected to the lower end 160 are lower. It is located in

사용자가 차량의 가변 암레스트(10)를 작동하기 위하여 레버부(300)를 잡고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를 상승시키면 고정장치(400)의 베이스부(410) 및 해제부(420)가 같이 상승한다. 베이스부(410)가 소정 높이까지 상승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410)의 상단부가 스토퍼(430)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베이스부(410)의 상단부는 스토퍼 바디(431)의 경사면에 접촉하게 되고, 베이스부(410)의 상단부에 의해 경사면에 힘이 가해지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바디(431)가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When the user holds the lever part 300 and raises the lower part 160 of the inner panel 100 to operate the variable armrest 10 of the vehicle, the base part 410 and the release part 420 of the fixing device 400 ) rises together. When the base part 410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upper end of the base part 4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430, as shown in FIG. 7.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base part 4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topper body 431, and as a force is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by the upper end of the base part 410, the stopper body 431 moves as shown in FIG. 7. It spreads out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이 후 베이스부(410)가 더욱 상승하여 베이스부(410)에 마련된 걸림부(411)가 스토퍼 바디(431)보다 높아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바디(431)가 스프링(432)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내측으로 모이게 된다. 이 때 걸림부(411)가 스토퍼 바디(431)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베이스부(410)가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다.Afterwards, when the base part 410 rises further and the locking part 411 provided on the base part 410 becomes higher than the stopper body 431, the stopper body 431 of the spring 432, as shown in FIG. It gathers inward again due to elastic force. At this time, the locking portion 411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431, so that the base portion 410 cannot move downward and is fixed.

베이스부(410)의 고정을 해제할 때에는 해제 레버(320)를 상측으로 작동시키면 해제 레버(320)에 연결된 연결핀(330)을 통해 해제부(420)가 상승하게 된다. 해제부(420)가 상승하게 되면 스토퍼 바디(431)의 경사면에 접촉하게 되고, 해제부(420)에 의해 경사면에 힘이 가해지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바디(431)가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해제부(420)를 통해 스토퍼 바디(431)를 좌우 양측으로 벌리고, 그 사이로 베이스부(410)를 하강시킴으로써 내측 패널(100)의 하단부(16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When releasing the fixation of the base portion 410, the release lever 320 is operated upward, and the release portion 420 rises through the connection pin 330 connected to the release lever 320. When the release unit 420 rise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topper body 431, and as a force is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by the release unit 420, the stopper body 431 moves to both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9. It happens. In this way, the lower part 160 of the inner panel 100 can be released by spreading the stopper body 431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through the release part 420 and lowering the base part 410 between them.

1: 인테리어 트림 10: 가변형 암레스트
100: 내측 패널 110: 패널 바디
111: 표피재층 112: 가요성부재층
113: 탄성체층 120: 지지구조
130: 해제 레버 가이드홀 140: 상단부
150: 중단부 160: 하단부
200: 외측 패널 210: 고정장치 가이드홀
300: 레버부 310: 작동 레버
320: 해제 레버 330: 연결핀
400: 고정장치 410: 베이스부
411: 걸림부 414: 오목부
415: 해제 레버 가이드홀 416: 해제부 가이드홀
420: 해제부 421: 해제 레버 결합홀
422: 해제부 가이드핀 430: 스토퍼
431: 스토퍼 바디 432: 스프링
433: 스토퍼 가이드핀 440: 가이드 레일
450: 스토퍼 가이드홀
1: Interior trim 10: Adjustable armrest
100: inner panel 110: panel body
111: skin layer 112: flexible member layer
113: Elastic layer 120: Support structure
130: Release lever guide hole 140: Upper part
150: middle part 160: lower part
200: Outer panel 210: Fixture guide hole
300: lever portion 310: operating lever
320: Release lever 330: Connection pin
400: Fixing device 410: Base part
411: catching portion 414: concave portion
415: Release lever guide hole 416: Release part guide hole
420: Release portion 421: Release lever coupling hole
422: Release guide pin 430: Stopper
431: Stopper body 432: Spring
433: Stopper guide pin 440: Guide rail
450: Stopper guide hole

Claims (8)

차량의 인테리어 트림에 마련되는 외측 패널;
상기 외측 패널의 실내 측에 마련되며 상단부가 상기 외측 패널과 연결되는 내측 패널; 및
상기 내측 패널의 하단부를 상기 외측 패널의 소정 높이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패널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중단부가 구부러지며 실내 측으로 돌출되어 암레스트를 형성하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
An outer panel provided on the interior trim of a vehicle;
an inner panel provided on the indoor side of the outer panel and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panel; and
It includes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nel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outer panel,
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wherein wh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nel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the middle part is bent and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to form an armr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패널은,
중단부가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패널 바디; 및
상기 패널 바디의 중단부에서 실외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 형태의 지지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내측 패널의 중단부가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복수의 돌기 형태가 맞닿으며 서로 지지되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ner panel is,
A panel body whose middle portion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It includes a support structure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panel body toward the outdoor side,
The support structure is 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in whic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upport each other whe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panel is b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바디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차량의 실내 측 표면을 형성하는 표피재층;
상기 표피재층의 실외 측에 마련되는 가요성부재층; 및
상기 가요성부재층의 실외 측에 마련되는 탄성체층;의 층상 구조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anel body has at least some areas,
A skin layer forming the interior surface of the vehicle;
A flexible member layer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skin layer; and
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comprising a layered structure of an elastic layer provided on an outdoor side of the flexible member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내측 패널의 하단부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같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부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데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xture is,
a base portion that rises or falls as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nel rises or falls;
A stopper for fixing the base por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including a guide rail that provides a guide for raising or lowering the bas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스토퍼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
According to clause 4,
The fixture is,
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release unit provided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stopper to the base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외측 패널의 실외 측에 마련되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
According to clause 4,
The fixing device is a variable armrest of a vehicle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outer pane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패널의 실내 측 하단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그립을 제공하는 레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
According to clause 5,
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lever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terior panel to provide a grip to the us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해제부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해제 레버; 및
상기 해제 레버와 상기 해제부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차량의 가변형 암레스트.
In paragraph 7
The lever part,
a release lever provided to operate the release unit; and
A variable armrest for a vehicle including a connecting pin connecting the release lever and the release unit.
KR1020220142562A 2022-10-31 2022-10-31 Variable armrest for vehicle KR202400611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562A KR20240061186A (en) 2022-10-31 2022-10-31 Variable armres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562A KR20240061186A (en) 2022-10-31 2022-10-31 Variable armrest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186A true KR20240061186A (en) 2024-05-08

Family

ID=9107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562A KR20240061186A (en) 2022-10-31 2022-10-31 Variable armres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18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0898B2 (en) Deployable center console
JP4770835B2 (en) Vehicle seat moving device
US10046683B2 (en)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US9199564B2 (en) Seat assembly having a trim cover assembly
US5911465A (en) Rear seat attachment apparatus for vehicle
CN204452140U (en) Seat for vehicle
WO2015098042A1 (en) Vehicle seat
US20070210601A1 (en) Vehicle panel and seat assembly
US7938471B2 (en) Deck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of deck board
AU2007345867B2 (en) Structure for storing vehicular seat
US20080303302A1 (en) Vehicle Console Assembly
US20150021958A1 (en) Vehicle seat
US10300860B2 (en) Vehicle rear assembly
US20170297458A1 (en) Vehicle seat adjustment system
US11059425B2 (en) Vehicle floor assembly
CN110281851B (en) Sliding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KR102621617B1 (en) Fold and dive seat for vehicle
KR20240061186A (en) Variable armrest for vehicle
CN100364807C (en) Automotive seats and vehicle
KR102492999B1 (en) Moving console box for van
US10793039B2 (en) Headrest assembly with flexible support structure and stretched fabric cover
US10155454B2 (en) Reconfigurable seat
JP2008230288A (en) Intra-cabin structure of vehicle
JP2008284950A (en) Seat device for vehicle
KR20110004604A (en) Moving device of table for automob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