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939A -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939A
KR20240060939A KR1020220142028A KR20220142028A KR20240060939A KR 20240060939 A KR20240060939 A KR 20240060939A KR 1020220142028 A KR1020220142028 A KR 1020220142028A KR 20220142028 A KR20220142028 A KR 20220142028A KR 20240060939 A KR20240060939 A KR 20240060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smartphone
data
linked
persona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인
Original Assignee
이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인 filed Critical 이정인
Priority to KR102022014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939A/ko
Publication of KR2024006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제시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가 내장되어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동되는 통신부와 전면에 배치되어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설정하는 누름부, 후면에 배치되고 피부와 접촉되어 온열 치료 또는 저주파 치료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치료부, 양 측면에 밴딩을 연결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밴딩연결부를 포함하는 치료기; 상기 치료기와 무선 연동되어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제어하고, 치료 데이터를 수집하는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에서 치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인별 치료 데이터를 저장한 개인DB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치료 데이터를 저장한 빅데이터DB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 치료 데이터를 연산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THE INDIVIDUAL CUSTOMIZED THERAPEUTIC MACHINE AND REMEDIAL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제시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주파 치료기는 전기자극을 통해서 근육을 마사지하여 뭉친 근육의 이완과 수축을 촉진하여 근육 경련을 완화하고 체액의 순환을 촉진해 근육통 완화에 도움을 주는 치료기이다.
이러한 저주파 치료기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93620호 '저주파 치료기'는 이동이 용이한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546468호 '저주파치료기용 니트밴드'는 니트로 이루어진 원통형 밴드의 내부에 편직된 파일사가 도전섬유로 형성되어 니트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물리치료를 할 수 있는 발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저주파 치료기를 선행문헌에서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저주파 치료기를 사용편의성이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하지만, 전문가의 도움없이 사용하게 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 사용을 해야한다.
이러한 저주파 치료기는 일반적으로 1,000Hz 이하의 약한 전기자극을 흘려보내긴 하지만 뇌나 심장부근에 사용하게 되면 전기자극이 가해져 건강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신경질환, 당뇨병 환자, 치매환자 등도 전기 자극에 의한 화상이나 피부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저주파 치료를 과하게 반복사용하게 되어도 피부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정 치료 세기와 적정 치료 시간 등을 준수할 수 있도록 개인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지는 치료기 개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3620호 '저주파 치료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6468호 '저주파치료기용 니트밴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치료기, 스마트폰과 서버를 연동하여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서, 적정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안내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루투스가 내장되어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동되는 통신부와 전면에 배치되어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설정하는 누름부, 후면에 배치되고 피부와 접촉되어 온열 치료 또는 저주파 치료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치료부, 양 측면에 밴딩을 연결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밴딩연결부를 포함하는 치료기; 상기 치료기와 무선 연동되어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제어하고, 치료 데이터를 수집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에서 치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인별 치료 데이터를 저장한 개인DB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치료 데이터를 저장한 빅데이터DB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 치료 데이터를 연산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밴딩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 치료 위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으로 타이머, 알림 시간, 치료위치, 치료시간, 치료방법, 치료 주기, 치료 횟수, 치료세기를 설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치료 만족도를 조사하여, 만족도에 따라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빅데이터DB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치료기의 치료 데이터(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를 설정하고 치료를 진행한 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치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상기 치료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받은 치료 데이터는 개인DB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서버에서 개인DB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치료 데이터를 저장한 빅데이터DB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 치료 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 e) 상기 최적 치료 데이터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f)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적 치료 데이터에 따른 치료 만족도를 조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에 따르면, 치료기, 스마트폰과 서버를 연동하여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서, 적정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치료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기(100), 스마트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치료기(100)는 통신부(110), 누름부(120), 치료부(130) 및 밴딩연결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통신부(110)는 블루투스가 내장되어 스마트폰(200)과 무선으로 연동되고, 누름부(120)는 치료기(100) 전면에 배치되어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치료부(130)는 치료기(100) 후면에 배치되고 치료하고자 하는 피부와 접촉되어 온열 치료 또는 저주파 치료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고, 밴딩연결부(140)는 치료기(100)의 양 측면에 밴딩을 연결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즉, 치료기(100)는 누름부(120)로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설정하게되면, 치료부(130)에서 설정에 따른 치료방법(온열 치료 또는 저주파 치료 중 하나 이상 수행) 및 치료시간(분 단위) 출력하고, 치료데이터(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를 통신부(110)를 통해서 스마트폰(200)으로 송신한다.
이때, 밴딩연결부(140)에 연결되는 밴딩은 손목, 발목, 목 등과 같은 치료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 형상 변형과 형상 복구에 용이한 이점이 있다.
스마트폰(200)은 치료기(100)와 무선 연동되어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제어하고, 치료기(100)에서 출력되는 치료 데이터(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를 수집한다. 추가로, 스마트폰(200)을 통해서 타이머, 알림 시간, 치료 주기, 치료 횟수, 치료 세기를 설정 제어가 가능하다.
서버(300)는 스마트폰(200)에서 치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인별 치료 데이터를 저장한 개인DB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치료 데이터를 저장한 빅데이터DB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최적 치료 데이터를 연산하도록 한다.
이때, 최적 치료 데이터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여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최적 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치료를 받은 후, 스마트폰(200)을 통해 사용자의 치료 만족도를 조사하여, 만족도에 따라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빅데이터DB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치료부(130)는 저주파 치료를 위해서 50V 이상 110V 이하의 전압 출력이 이루어지는 미세전류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치료기(100) 전면에 표시부를 더 구비하여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더불어 치료기(100)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의 잔량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치료부(130)는 누름부(120)를 통해서 모드 1, 모드 2 및 모드 3으로 선택 설정할 수 있으며, 모드 1은 저주파 치료를 위해서 미세전류를 출력할 수 있어 치료 세기 및 치료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모드 2는 온열 치료를 위해서 원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어 온도 및 치료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모드 3은 저주파 및 온열 치료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치료 세기, 온도, 치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S100 단계는 a) 치료기(100)의 치료 데이터(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를 설정하고 치료를 진행한 후, 스마트폰(200) 어플리케이션으로 치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S101단계는 b) 스마트폰(200)에 저장된 치료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S102단계는 c) 서버(300)는 스마트폰(200)에서 전송받은 치료 데이터는 개인DB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S103단계는 d) 서버(300)에서 개인DB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치료 데이터를 저장한 빅데이터DB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 치료 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
S104단계는 e) 최적 치료 데이터는 스마트폰(200)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제시하는 단계이다.
S105단계는 f) 스마트폰(200)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적 치료 데이터에 따른 치료 만족도를 조사하는 단계이다. 이때, 치료 만족도 점수가 높으면 최적 치료 데이터는 빅데이터DB에 업데이트를 함으로서, 다른 사용자의 최적 치료 데이터를 연산하는데 활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은 치료기(100), 스마트폰(200) 및 서버(300)가 연동되어 최적 치료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적정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안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치료기
110 : 통신부
120 : 누름부
130 : 치료부
140 : 밴딩연결부
200 : 스마트폰
300 : 서버

Claims (6)

  1. 블루투스가 내장되어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동되는 통신부와 전면에 배치되어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설정하는 누름부, 후면에 배치되고 피부와 접촉되어 온열 치료 또는 저주파 치료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치료부, 양 측면에 밴딩을 연결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밴딩연결부를 포함하는 치료기;
    상기 치료기와 무선 연동되어 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을 제어하고, 치료 데이터를 수집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에서 치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개인별 치료 데이터를 저장한 개인DB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치료 데이터를 저장한 빅데이터DB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 치료 데이터를 연산하는 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 치료 위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으로
    타이머, 알림 시간, 치료위치, 치료시간, 치료방법, 치료 주기, 치료 횟수, 치료세기를 설정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치료 만족도를 조사하여,
    만족도에 따라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빅데이터DB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5. a) 치료기의 치료 데이터(치료방법, 치료위치 및 치료시간)를 설정하고 치료를 진행한 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치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상기 치료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받은 치료 데이터는 개인DB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서버에서 개인DB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치료 데이터를 저장한 빅데이터DB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 치료 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
    e) 상기 최적 치료 데이터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개인별 최적 치료 데이터를 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f)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적 치료 데이터에 따른 치료 만족도를 조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방법.
KR1020220142028A 2022-10-31 2022-10-31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 KR20240060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028A KR20240060939A (ko) 2022-10-31 2022-10-31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028A KR20240060939A (ko) 2022-10-31 2022-10-31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939A true KR20240060939A (ko) 2024-05-08

Family

ID=9107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028A KR20240060939A (ko) 2022-10-31 2022-10-31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093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620B1 (ko) 2012-07-05 2012-10-23 트라이캠테크놀로지주식회사 저주파 치료기
KR101546468B1 (ko) 2014-12-12 2015-08-21 우대기 저주파치료기용 니트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620B1 (ko) 2012-07-05 2012-10-23 트라이캠테크놀로지주식회사 저주파 치료기
KR101546468B1 (ko) 2014-12-12 2015-08-21 우대기 저주파치료기용 니트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6315B2 (ja) 末梢神経機能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072891B1 (en) Wearable medical device
US201701654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treatment of head pain
US20200345970A1 (en) Multimodal, modular, magnetically coupled transcutaneous auricular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optimization of stimul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JP5794750B2 (ja) 組織治療用包帯
KR20200035053A (ko) 귀 자극 디바이스, 시스템 및 사용 방법
KR20090040342A (ko) 인감 몸의 신경의 경피성 자극 시스템
EP2863983B1 (en) Medical therapy arrangement
CN108814570A (zh) 一种理疗仪及参数确定方法
US20170246464A1 (en) Medical device with personalized therapy protocols
KR20180086827A (ko) 손목 터널 증후군 치료용 손목보호대 타입의 저주파 자극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9475732A (zh) 用于自动化补偿针对诸如昼夜节律之类的时间波动的经皮电神经刺激的装置和方法
KR102591072B1 (ko) 미주 신경 자극을 이용한 자극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40060939A (ko) 스마트폰 연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치료기 및 치료방법
US20220379135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heat and infrared energy, with dynamic temperature control and uniform heat distribution
KR102520514B1 (ko)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온열 무릎광조사장치, 온열 무릎광조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11801138A (zh) 射精控制
KR100393885B1 (ko) 저주파 치료 장치
KR102219497B1 (ko) 복합자극을 통한 뇌 운동 장치
CN209771106U (zh) 一种医学治疗装置
US20190125983A1 (en) Preemptive pain avoidance and/or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101341389B1 (ko) 복합 자극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자극시스템
KR101568108B1 (ko) 멀티 전신 파동 자극 시스템
US20240131334A1 (en) Ocular devices and controller interfaces for ocular therapy
US9579504B2 (en) Personalized patient controlled neurostimul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