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908A - 원터치 철근연결구 - Google Patents

원터치 철근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908A
KR20240060908A KR1020220141973A KR20220141973A KR20240060908A KR 20240060908 A KR20240060908 A KR 20240060908A KR 1020220141973 A KR1020220141973 A KR 1020220141973A KR 20220141973 A KR20220141973 A KR 20220141973A KR 20240060908 A KR20240060908 A KR 20240060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leeve
touch
rebar connector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범석
박혜인
Original Assignee
기범석
박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범석, 박혜인 filed Critical 기범석
Priority to KR102022014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908A/ko
Publication of KR20240060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90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는, 서로 마주하여 한 쌍의 철근을 일직선상에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철근의 마디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이 형성된 한 쌍의 편체와, 상기 한 쌍의 편체 내부에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여 한 쌍의 편체 사이를 이격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한 쌍의 편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철근에 구속력을 발생하도록 강제하는 한 쌍의 슬리브와, 상기 편체와 슬리브 외면에 부착되어 이격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가조립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분리제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 철근연결구 {One-touch rebar connector}
본 발명은 원터치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다수 부품이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여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원터치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조립 상태의 원터치 철근연결구 내부에 철근을 삽입한 후 슬리브를 가압하는 과정만으로 철근 연결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 부품이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정보가 인쇄된 분리제한부재를 구비하여 원가 상승은 지양하면서도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편체 내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철근이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체결시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원터치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근 연결 작업을 완료한 후 편체 사이의 틈을 통해 철근 단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오조립 여부확인 및 검사가 용이한 원터치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리제한부재에 체결력확인부를 구비하여 철근 연결작업 완료시 체결력을 육안 확인 가능하도록 한 원터치 철근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의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골조로 사용하는 철근은 콘크리트와의 부착응력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횡 방향으로 돌출된 마디와 종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대칭으로 두 줄의 리브가 있는 이형철근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철근은 운반이나 작업 편의를 위해 한정된 길이로 생산되기 때문에 대부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형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방식은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가장 널리 사용하는 방식은 두 철근의 단부를 겹쳐 결속선으로 묶는 겹침이음 방식인데 이 방식은 이음부가 철근의 부착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취약하고, 두 철근의 단부를 산소 아세틸렌 가스 불꽃으로 가열하여 압접기로 가압해 연결하는 가스압접 방식은 이음부에 열변형이 일어나 이차응력이 발생하여 이음부가 철근 모재 보다 취약해지며, 두 철근의 양단을 업셋팅하거나 단조가공으로 리브와 마디를 원형으로 가공한 다음 절삭 및 전조 방식으로 수나사를 가공하여 암나사형 커플러로 연결하는 나사이음 방식은 철근에 외력이 가해져 이음부가 철근 모재와 다른 변형이 일어나 모재 보다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철근의 생산에 관한 규정에 있어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열이 가해져도 쉽게 붕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철근은 콘크리트와 열팽창 비율이 비슷한 재료적 성질을 유지하여 생산하도록 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철근의 이음에 관한 규정에서 철근의 호칭명이 D32 (직경 32mm) 이상의 철근 이음에는 겹침이음 방식을 허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근을 가스압접이나 기계적인 방식으로 연결하고 있는데 이 방식은 철근에 열이나 외력을 가하는 이차가공을 함으로써 철근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재료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이음 방식인 것으로서 이 연결 방식을 불가피하게 허용하는 것은 철근 본래의 재료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연결할 수 있는 철근연결구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최선의 연결 방법의 필요성에 의해 도 1과 같이, 철근의 외면에 나사산 형태의 나사 마디(11)를 형성한 나사 마디 철근(1, 1a)이 개발되어 내면에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가 체결되는 암나사부(41)가 있는 슬리브(4z)로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의 피치가 길고 나사의 형태가 정밀하지 않아 체결이 원활하도록 슬리브(4z)의 암나사부(41)의 나사골을 철근(1, 1a)의 나사 마디(11)보다 크게 형성하기 때문에 슬리브(4z)로 두 철근(1,1a)을 체결하면 슬리브(4z)와 철근 (1, 1a)사이에 유격이 많아 체결이 쉽게 풀리고 슬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슬리브(4z)의 양단에 로크너트(5z)를 체결하고 슬리브(4z)의 내부에 그라우트재를 충전하여 유격을 제거하고 있으나, 별도로 그라우트재를 준비하여 충전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그라우트재의 강도가 철근의 10% 내외에 불과해 안전한 결속이 되지 못하며, 철근(1, 1a)의 피치가 길어 나사산의 경사각이 크므로 로크너트(5z)의 체결에 많은 힘이 소요되고 외부의 진동에 로크너트(5z)가 쉽게 풀릴 수 있는 안전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로크너트(5z)가 슬리브(4z)와 일체로 결합 되어 있지 않고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부품의 관리가 어렵고 로크너트(5z)는 비교적 크기가 작아 연결작업 시에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작업의 안전성과 시공성 그리고 작업 속도에 의한 원가절감이 요구되는 건설 현장의 특성상 가결합이 가능한 철근 연결구의 필요성이 절감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9526호에는 도 2와 같이 나사마디(11)를 감싸도록 안착되는 반원형슬리브(2)를 구비하고, 상기 반원형슬리브(2)의 좌우측에는 로크너트(5)를 죄어 반원형슬리브(2)의 경사진 양측을 가압함으로써 나선철근(1a)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 역시 많은 수의 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시공성이 저하된다. 즉 한 쌍의 철근(1a) 각각에 로크너트(5)를 삽입한 상태에서 한 쌍의 철근(1a) 단부를 맞대고, 그 단부를 감싸도록 반원형슬리브(2)를 안착해야 하는 과정을 거쳐 결합이 진행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부품 분실 등 유지 및 관리가 분편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31540호는 도 3과 같이 외주가 테이퍼지고 한 쌍의 철근 외주를 둘러싸는 커버캡(104)과, 상기 커버캡(104)외주에 테이퍼 결합되어 커버캡(104)을 철근(102) 외주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링(106,108)을 포함하는 철근 커플러 체결장치(100)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3의 종래 기술은 부품수는 적으나 각 부품이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9879호는 도 4와 같이 철근(10)을 삽입한 후 하우징유닛(100)의 조임 동작으로 철근 고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 철근 유동방지형 원터치 커플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4의 종래기술은 하우징유닛(100)을 회전하여 철근(10)을 고정하는 구조로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설치 편의성이 저하되며, 다수의 편체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철근(10)을 바로 삽입할 수 있도록 가조립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부품이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여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원터치 철근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조립 상태의 원터치 철근연결구 내부에 철근을 삽입한 후 슬리브를 가압하는 과정만으로 철근 연결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철근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 부품이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정보가 인쇄된 분리제한부재를 구비하여 원가 상승은 지양하면서도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철근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쌍의 편체 내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철근이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체결시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철근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근 연결 작업을 완료한 후 편체 사이의 틈을 통해 철근 단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오조립 여부 확인 및 검사가 용이한 원터치 철근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제한부재에 체결력확인부를 구비하여 철근 연결작업 완료시 체결력을 육안 확인 가능하도록 한 원터치 철근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는, 서로 마주하여 한 쌍의 철근을 일직선상에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철근의 마디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이 형성된 한 쌍의 편체와, 상기 한 쌍의 편체 내부에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여 한 쌍의 편체 사이를 이격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한 쌍의 편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철근에 구속력을 발생하도록 강제하는 한 쌍의 슬리브와, 상기 편체와 슬리브 외면에 부착되어 이격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가조립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분리제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제한부재는, 한 쌍의 편체가 이격된 틈은 제외하여 부착됨으로써 편체 내부에 삽입된 철근의 단부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체와 슬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슬리브가 편체 외면을 슬라이딩 후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하도록 걸림돌기와 걸림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제한부재는, 상기 슬리브에 부착된 외측부착부와, 상기 편체 외면에 부착된 내측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측부착부와 내측부착부는 일체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제한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분리제한부재의 양측은 슬리브와 부착하고, 내측은 상이한 편체에 각각 부착되어 한 쌍의 편체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한 쌍의 편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체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에 탄성부재가 안착시 한 쌍의 편체 내부의 수용공간은 철근이 걸림없이 수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부착부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제된 노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연결구는 다수 부품이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며, 가조립 상태의 원터치 철근연결구 내부에 철근을 삽입한 후 슬리브를 가압하는 과정만으로 철근 연결이 완료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있다.
그리고 다수 부품이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정보가 인쇄된 분리제한부재를 구비하여 원가 상승은 지양하면서도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편체 내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철근이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체결시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철근 연결 작업을 완료한 후 편체 사이의 틈을 통해 철근 단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오조립 여부 확인 및 검사가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분리제한부재에 체결력확인부를 구비하여 철근 연결작업 완료시 체결력을 육안 확인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9526호에 개시된 의한 나사형 슬리브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31540호에 개시된 철근 커플러 체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9879호에 개시된 철근 유동방지형 원터치 커플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가 가조립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6의 "A"부 확대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에서 일 구성인 탄성부재가 편체 내부에 안착된 모습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에서 일 구성인 탄성부재의 세부 구성을 보인 단품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 내부에 철근이 삽입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로 철근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에서 일구성인 편체와 슬리브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 12의 "B"부 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가 가조립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는 한 쌍의 철근(F)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함으로써, 겹이음 철근 이음방식보다 재료 손실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는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철근(F)을 회전시키지 않고 결합 가능하며, 가조립 상태의 원터치 철근연결구(100) 내부 양측으로 철근(F)을 간섭없이 삽입시킨 후 양측에 위치한 슬리브(160)를 중앙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는 도 6과 같이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하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이런 가조립 상태에서 수용공간(122) 내부로 철근(F)을 양측에서 간섭없이 삽입 가능하며, 한 쌍의 슬리브(160)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한 쌍의 철근(F)은 마디돌기(F')가 간섭되어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제한된다.
또한 상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는 한 쌍의 철근(F)을 연결한 후 외측에서 철근(F)의 단부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육안으로 들여다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중앙부를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들여다보면 철근(F) 단부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 내부에 삽입된 철근(F)의 단부 위치를 확인하는 이유는, 요구되는 체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용되어야하는 마디돌기(F')의 갯수를 확보하기 위함이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내부 중앙에 철근(F)의 단부가 위치하지 않는다면 철근(F)이 충분히 삽입되지 못한 상태일 뿐만 아니라, 구속되는 마디돌기(F')의 갯수도 작아지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는 철근(F)에 대한 결합력 및 오조립 여부도 육안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외면에는 체결력확인부(18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력확인부(182)는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외면에 인쇄된 것으로서,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분리제한부재(180)에 구비된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력확인부(182)에 슬리브(160)의 단부가 위치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체결력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고, 오조립이나 미체결 여부도 확인 가능하다.
이러한 작용을 갖는 원터치 철근연결구(100)는, 서로 마주하여 한 쌍의 철근(F)을 일직선상에 수용하는 수용공간(122)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철근(F)의 마디돌기(F')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124)이 형성된 한 쌍의 편체(120)와, 상기 한 쌍의 편체(120) 내부에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여 한 쌍의 편체(120) 사이를 이격하는 탄성부재(140)와, 상기 한 쌍의 편체(120)를 내부에 수용하여 철근(F)에 구속력을 발생하도록 강제하는 한 쌍의 슬리브(160)와, 상기 편체(120)와 슬리브(160) 외면에 부착되어 이격거리를 제한함으로써 가조립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분리제한부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6의 "A"부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에서 일 구성인 탄성부재(140)가 편체(120) 내부에 안착된 모습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에서 일 구성인 탄성부재(140)의 세부 구성을 보인 단품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편체(12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편체(1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을 반으로 잘라놓은 형태를 가지며, 서로 근접하여 원통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체(120) 내부는 수용공간(122)을 형성하여 철근(F)의 수용이 가능하며, 내주면에는 마디돌기(F')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돌기수용홈(124)이 다수 함몰 형성된다. 상기 돌기수용홈(124)은 마디돌기(F')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으로 함몰된 것으로, 철근(F)의 외면 상/하부에 상이하게 배열된 마디돌기(F')들이 이격되어 있는 거리에 대응하여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돌기수용홈(124)은 마디돌기(F')의 이격거리 안에 다수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미세한 삽입 깊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마디돌기(F')의 수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편체(120)의 외주면에는 외부경사면(126)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경사면(126)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슬리브(160) 내주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내부경사면(162)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160)와 결합시 슬리브(160)에 의하 중심방향 압력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편체(120)의 외주면에는 걸림홈(도 8의 도면부호 127 참조)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27)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걸림돌기(도 8의 도면부호 164 참조)와 걸림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슬리브(160)가 내부경사면(162)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걸림돌기(164)가 걸림홈(127)과 만나게 되었을 때 원터치 방식으로 걸림 결합하여 한 쌍의 철근(F)에 구속력을 발생하는 구성이다.
상기 걸림홈(127)에 걸림돌기(164)가 삽입되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편체(120)의 내주면 중앙부에는 안착부(128)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28)는 탄성부재(140)가 직립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중앙부는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안착돌기(129)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돌기(129)는 탄성부재(140)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40)가 안착부(128)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편체(120) 양측에는 슬리브(160)가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160)는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내주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경사면(1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경사면(162)은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부경사면(126)과 대응하는 경사각도를 갖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슬리브(160)가 마주보는 방향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16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64)는 외부경사면(126)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한 후 상기 걸림홈(127)을 만났을 때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16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은 좌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선재를 라운드지게 권취하여 대략 스프링형태를 갖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안착돌기(129)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배치된 수용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142)는 한 쌍의 수용부(142)를 이어주는 연결부(144)에 의해 일정 형상을 유지하면서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40)는 안착부(128)에 안착되었을 때 한 쌍의 편체(120)를 탄성복원력으로 이격하게 되는데, 이격하여 형성된 수용공간(122)의 크기는 철근(F)의 외경보다 커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가 가조립상태(도 6과 같은 상태)에서 한 쌍의 편체(120)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수용공간(122) 내부로 한 쌍의 철근(F)은 간섭없이 삽입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40)는 수용공간(122)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F)의 단부와 접촉하면서 삽입 반대방향의 탄성복원력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가장 외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분리제한부재(180)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제한부재(180)는 도 7과 같이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상면에 부착되어 슬리브(160)와 편체(12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의 간소화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일의 분리제한부재(180)를 도시하였으나,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하면에도 분리제한부재(1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구성된 분리제한부재(180)는 편체(12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분리제한부재(180)가 각각 편체(12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분리제한부재(180)의 양측이 슬리브(16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편체(120)는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써 이격되어 형성된 전/후의 틈 크기가 상이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틈에는 철근(F)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가 위치하게 되며, 리브는 돌기수용홈(124)이 형성된 곳에 위치하는 경우 원터치 철근연결구(100)를 이용한 결합이 불가하므로 반드시 한 쌍의 편체(120)가 이격되어 형성된 틈 사이에 리브가 위치하도록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제한부재(180)는 스티커 형태로 적용되며, 탄성부재(140)가 안착된 한 쌍의 편체(120) 외측에 슬리브(160)가 위치하여 가조립된 상태에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외면에 부착됨으로써 슬리브(160)와 편체(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편체(120) 내부에 안착된 탄성부재(140)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편체(120) 외부경사면(126)은 슬리브(160)의 내부경사면(162)과 접촉한 상태가 되며, 상기 한 쌍의 슬리브(160)는 분리제한부재(180)에 의해 서로 멀어지지 않도록 구속되어 있으므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는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제한부재(180)는 한 쌍의 편체(120)가 이격된 틈은 막지 않도록 부착된다. 이것은 한 쌍의 편체(120)가 이격된 틈을 통해 철근(F)의 단부를 확인해야만 하는데, 상기 분리제한부재(180)가 틈을 막게 되면 철근(F) 단부 확인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틈을 막지 않도록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제한부재(180)는 도 7과 가팅 부착위치에 따라 슬리브(160)에 부착된 외측부착부(184)와, 편체(120) 외면에 부착된 내측부착부(18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측부착부(184)와 내측착부는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 외측부착부(184)는 슬리브(160) 외면에 부착되며 철근(F) 결합시 슬리브(160)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표식이 인쇄되어 있다.
상기 내측부착부(186)는 다양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QR코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QR코드를 통해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의 설치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생산지, 제조일, 규격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연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부착부(184)와 내측부착부(186) 사이에는 체결력확인부(182)가 인쇄되어 있다. 상기 체결력확인부(182)는 전술한 걸림돌기(164)와 걸림홈(127)이 결합된 상태에서 슬리브(160)의 단부가 위치하는 곳을 가늠하여 오조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64)가 슬리브(160)의 내주면에서 외측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체결력확인부(182)는 걸림홈(127)보다 약간 내측으로 이동한 곳에 인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결력확인부(182)의 단부에는 노출부(188)가 구비된다.
상기 노출부(188)는 분리제한부재(180)가 편체(120) 외면에 부착되었을 때 걸림홈(127)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반원형상으로 절제(切除)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노출부(188) 하측에는 걸림홈(127)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분리제한부재(180)의 두께는 걸림돌기(164)와 걸림홈(127)의 걸림 구속력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얇으므로 걸림홈(127) 내부에 걸림돌기(164)가 삽입될 때 분리제한부재(180)의 일부가 같이 찍혀 삽입되더라도 무방하며, 사용자는 상기 노출부(188)를 통해 걸림홈(127)의 위치를 육안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원터치 철근연결구(100)를 이용하여 한 쌍의 철근(F)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 내부에 철근(F)이 삽입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로 철근(F)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에서 일구성인 편체(120)와 슬리브(160)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 12의 "B"부 확대도이다.
우선 도 11과 같이 가조립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와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F)을 준비하게 된다.
가조립된 원터치 철근연결구(100)는 한 쌍의 편체(120) 내부에 탄성부재(140)가 위치하여 탄성복원력으로 편체(120)를 벌리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편체(120)의 양측은 슬리브(160)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160)와 편체(120) 외면은 분리제한부재(180)가 부착되어 분리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122) 내부에 철근(F)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철근(F)의 단부는 탄성부재(140)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후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리브(160)를 가압하게 되면, 도 12와 같이 상기 내부경사면(162)과 외부경사면(126)이 슬라이딩하면서 걸림돌기(164)가 걸림홈(127)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마디돌기(F')는 돌기수용홈(124) 내부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40)는 한 쌍의 편체(120)가 서로 근접함에 따라 오므라든 상태이다.
그리고 도 13과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160)를 조금 더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편체(120)는 하측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마디돌기(F')를 완전히 구속하게 되며, 다수로 형성된 걸림홈(127) 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한 걸림홈(127) 내부에 걸림돌기(164)가 삽입됨으로써 철근(F) 연결은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철근(F)은 마디돌기(F')가 형성된 이형철근을 예로 들었으나, X형 돌기가 형성된 철근이나 나선형 철근 등 다양한 형태의 철근에도 적용가능하다.
100. 원터치 철근연결구 120. 편체
122. 수용공간 124. 돌기수용홈
126. 외부경사면 127. 걸림홈
128. 안착부 129. 안착돌기
140. 탄성부재 142. 수용부
144. 연결부 160. 슬리브
162. 내부경사면 164. 걸림돌기
180. 분리제한부재 182. 체결력확인부
184. 외측부착부 186. 내측부착부
188. 노출부 F . 철근
F' . 마디돌기

Claims (7)

  1. 서로 마주하여 한 쌍의 철근을 일직선상에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철근의 마디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이 형성된 한 쌍의 편체와,
    상기 한 쌍의 편체 내부에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여 한 쌍의 편체 사이를 이격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한 쌍의 편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철근에 구속력을 발생하도록 강제하는 한 쌍의 슬리브와,
    상기 편체와 슬리브 외면에 부착되어 이격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가조립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분리제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철근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제한부재는,
    한 쌍의 편체가 이격된 틈은 제외하여 부착됨으로써 편체 내부에 삽입된 철근의 단부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철근연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와 슬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슬리브가 편체 외면을 슬라이딩 후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하도록 걸림돌기와 걸림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철근연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제한부재는,
    상기 슬리브에 부착된 외측부착부와,
    상기 편체 외면에 부착된 내측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측부착부와 내측부착부는 일체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철근연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제한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분리제한부재의 양측은 슬리브와 부착하고,
    내측은 상이한 편체에 각각 부착되어 한 쌍의 편체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한 쌍의 편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철근연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직립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에 탄성부재가 안착시 한 쌍의 편체 내부의 수용공간은 철근이 걸림없이 수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철근연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착부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제된 노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철근연결구.
KR1020220141973A 2022-10-31 2022-10-31 원터치 철근연결구 KR20240060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973A KR20240060908A (ko) 2022-10-31 2022-10-31 원터치 철근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973A KR20240060908A (ko) 2022-10-31 2022-10-31 원터치 철근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908A true KR20240060908A (ko) 2024-05-08

Family

ID=9107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973A KR20240060908A (ko) 2022-10-31 2022-10-31 원터치 철근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09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6809B2 (ja) 補強棒
KR101121948B1 (ko) 철근연결구
JP5661165B1 (ja) 杭の接続構造
KR101036594B1 (ko) 철근 커플러
KR20140056009A (ko) 링 고정 타입 철근 커플러
WO2013037944A1 (en)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reinforcing bars
KR20190067964A (ko) 구조용 커플러
JP4580355B2 (ja) 合成セグメント
KR100584014B1 (ko) 철근 연결구
KR102341669B1 (ko) 소성변형 유도형 철근연결구
KR20190033370A (ko) 반자동 철근 커플러
KR20240060908A (ko) 원터치 철근연결구
KR101285704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101123347B1 (ko) 철근 결속장치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100725527B1 (ko) 철근연결장치
JP3302925B2 (ja) ボルトレスセグメント
KR102547662B1 (ko) 링 가압식 철근연결구
KR101160532B1 (ko) 철근 연결구
KR102547670B1 (ko) 철근연결구
KR102550297B1 (ko) 철근연결구
KR102550300B1 (ko) 철근연결구
KR20220152663A (ko) 철근연결구
KR20190091913A (ko) 철근이음장치
KR20190004575A (ko) 매직 철근 커플링 및 매직 철근 커플링 결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