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714A - 초음파 메스, 수술용 에너지 기구 및 이의 전력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메스, 수술용 에너지 기구 및 이의 전력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714A
KR20240060714A KR1020247013741A KR20247013741A KR20240060714A KR 20240060714 A KR20240060714 A KR 20240060714A KR 1020247013741 A KR1020247013741 A KR 1020247013741A KR 20247013741 A KR20247013741 A KR 20247013741A KR 20240060714 A KR20240060714 A KR 2024006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load
scalpel
power
opera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장
지신 우
Original Assignee
인써지 메디컬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써지 메디컬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써지 메디컬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6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17/32009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8/00Generation of oscillations by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H03B5/00 - H03B27/00, including modification of the waveform to produce sinusoidal oscill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1B2017/2929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with a head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2017/320072Working tips with special features, e.g. extending parts
    • A61B2017/320074Working tips with special features, e.g. extending parts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초음파 메스, 수술용 에너지 기구 및 이의 전력 조절 방법을 제공하며, 초음파 메스는 휴대용 부재, 제어 모듈(16), 초음파 발생기(122) 및 초음파 메스 헤드를 포함하며, 초음파 메스 헤드의 부하 상황을 감지하고, 제어 모듈(16)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부하 감지 모듈; 및 입력측이 제어 모듈(16)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측이 초음파 발생기(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어 모듈(16)은 부하 감지 모듈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제어 모듈(16)은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초음파 발생기(122)의 출력 전력을 조절한다. 초음파 메스는 자체 부하 상황에 따라 초음파 발생기(122)의 출력 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수술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무부하 상태에서 메스 헤드의 불필요한 진폭을 줄이고, 커터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며, 초음파 메스의 일회 사용 비용을 절감한다.

Description

초음파 메스, 수술용 에너지 기구 및 이의 전력 조절 방법
본 발명은 의료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음파 메스, 수술용 에너지 기구 및 이의 전력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메스는 다양한 복강경 수술 및 일반 수술에서 초음파 에너지를 제공하며, 주로 연조직의 지혈 분리 및 조직 응고에 사용된다. 최소 침습 수술의 보급에 따라 초음파 메스는 이미 일반적인 수술 기구가 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초음파 메스 헤드는 초음파 발생기의 작용 하에 작동한다. 초음파 메스 헤드가 수술 부위에 작용하는 경우, 의사는 여기 버튼을 눌러 초음파 메스 헤드가 지속적으로 전력을 출력하도록 하며, 수술 중 초음파 메스 헤드가 수술 부위를 잠시 이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이때 의사의 조작 지속성으로 인해 메스 헤드가 수술 부위를 이탈하더라도 여기 버튼은 여전히 눌린 상태에 있게 된다.
초음파 메스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일회용 기구로 사용되지 않지만, 초음파 메스의 커터는 일정한 사용 수명을 갖고 있어 무한정으로 재활용할 수 없다. 초음파 메스의 사용 비용을 어떻게 절감할 것인가는 현재 시급히 해결해야 할 난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부하 상황에 따라 초음파 메스 헤드의 출력 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불필요한 수명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초음파 메스, 수술용 에너지 기구 및 이의 전력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채택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여기 버튼이 설치된 휴대용 부재, 제어 모듈, 초음파 발생기 및 초음파 메스 헤드를 포함하는 초음파 메스를 제공하며, 상기 초음파 메스는,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의 부하 상황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하 감지 모듈; 및
입력측이 상기 제어 모듈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측이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을 조절한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적어도 제1 작동 상태와 제2 작동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값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값보다 작으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에 부하가 없으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기가 제1 작동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에 부하가 있으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초음파 발생기가 제2 작동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 상태에서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 범위는 0.01W 내지 3W이고; 제2 작동 상태에서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 범위는 3W 내지 40W이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여기 버튼은 상기 제어 모듈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초음파 메스의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기설정된 주파수 또는 지연 간격에 따라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감지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가 유부하 상태에서 무부하 상태로 전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이 작아지도록 조절하고;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가 무부하 상태에서 유부하 상태로 전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이 커지도록 조절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0이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공진 신호 수집 유닛, 임피던스 계산 유닛 및 판정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은 상기 초음파 메스의 회로가 공진 상태일 때의 전압 및 전류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임피던스 계산 유닛은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에 의해 수집된 전압 및 전류 신호에 따라 공진 임피던스를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임피던스 계산 유닛의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단은 상기 계산 결과를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과 비교하여, 계산된 공진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유부하로 판정하는 것; 및 계산된 공진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태를 무부하 상태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공진 신호 수집 유닛 및 판정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은 상기 초음파 메스의 회로가 공진 상태일 때의 공진 주파수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의 전후 2회 신호 수집 결과에 따라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단은 전후 2회 신호 수집 결과의 차이값을 기설정된 주파수 변화 임계값과 비교하여, 전후 2회 수집된 공진 주파수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차이값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주파수 변화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유부하에서 무부하로 전환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 및 전후 2회 수집된 공진 주파수가 하강 추세를 보이고 차이값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주파수 변화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태를 무부하 상태에서 유부하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은 초음파 전력 증폭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DC 변환 유닛이고, 상기 DC/DC 변환 유닛은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상이한 전압값을 출력하며;
상기 DC/DC 변환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제1 전압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초음파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초음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DC/DC 변환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제2 전압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초음파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초음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전력을 출력하되, 제2 전압 임계값은 제1 전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부재는 핸들 하우징, 트랜스듀서 어셈블리 및 전원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듈 및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수용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챔버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원 코드의 일단은 상기 수용 챔버에서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코드의 타단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밖으로 관통된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는 트랜스듀서 쉘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듀서 쉘과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트랜스듀서 쉘은 중공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적어도 후방부가 상기 중공 챔버에 수용되며,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는 상기 트랜스듀서 쉘의 외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도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부재는 적어도 도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상기 도전부는 고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수용 챔버에는 전기 접속 소자가 고정적으로 더 설치되며, 상기 전기 접속 소자는 상기 도전부에 당접되고,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가 상기 핸들 하우징에 대해 자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안, 상기 전기 접속 소자는 항상 상기 도전부와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 전력 증폭 모듈은 도전 부재를 통해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연결되며;
상기 초음파 메스는 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터의 메스 바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의해 수송된 에너지를 변환하고, 변환된 에너지를 커터에 수송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수술용 에너지 기구를 제공하며, 이는,
에너지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발생 장치;
여기 버튼이 설치된 휴대용 부재;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부하 상황은 무부하 상황 또는 유부하 상황인 부하 감지 모듈;
입력단이 상기 부하 감지 모듈, 여기 버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의해 트리거될 때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전력 변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적어도 제1 작동 상태와 제2 작동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보다 작으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현재 부하가 없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가 제1 작동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현재 부하가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가 제2 작동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은 0이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은 전력 증폭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DC 변환 유닛이고, 상기 DC/DC 변환 유닛은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상이한 전압값을 출력하며;
상기 DC/DC 변환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제1 전압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DC/DC 변환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제2 전압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전력을 출력하되, 제2 전압 임계값은 제1 전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공진 신호 수집 유닛, 임피던스 계산 유닛 및 판정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은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회로가 공진 상태일 때의 전압 및 전류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임피던스 계산 유닛은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에 의해 수집된 전압 및 전류 신호에 따라 공진 임피던스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임피던스 계산 유닛의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을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단은 상기 계산 결과를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과 비교하여, 계산된 공진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을 유부하로 판정하며; 계산된 공진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태를 무부하 상태로 판정한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회로가 도통된 경우,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기설정된 주파수 또는 지연 간격에 따라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을 감지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초음파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초음파 발생기이며,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레이저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레이저 발생기이며, 상기 레이저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전기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전기 신호 발생기이며, 상기 전기 신호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조합에 따르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휴대용 부재의 전측에 설치된 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바이오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커터에서 휴대용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오 센서가 물체와 접촉하거나 기설정된 거리 임계값 내에서 물체에 가까워짐을 감지하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가 유부하라는 감지 결과를 출력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가 무부하라는 감지 결과를 출력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여기 버튼 및 에너지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에너지를 출력하며, 상기 여기 버튼이 해제되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에너지 출력을 중지하는 조절이 가능한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전력 조절 방법으로서, 상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은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에 따라 조절되고, 상기 전력 조절 방법은,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이 무부하이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을 제1 작동 상태에 대응되는 출력 전력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이 유부하이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을 제2 작동 상태에 대응되는 출력 전력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력 조절 방법은 하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에 적용되되,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초음파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초음파 발생기이며,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레이저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레이저 발생기이며, 상기 레이저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전기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전기 신호 발생기이며, 상기 전기 신호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초음파 발생기 기능이 내장된 초음파 메스 핸들을 포함하는 초음파 메스를 제공하며, 상기 초음파 메스 핸들은,
핸들 하우징, 기어 버튼,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헤드에는 커터와 연결하기 위한 핸들 연결 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핸들 하우징 내에는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 내에는 변압기, 트랜스듀서, 제1 PCB 보드, 제2 PCB 보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1 PCB 보드는 상기 캐비티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변압기는 상기 캐비티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PCB 보드는 상기 캐비티의 악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PCB 보드, 제2 PCB 보드는 모두 제어 보드 또는 전력 보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 버튼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고전력 기어와 저전력 기어 사이를 전환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커터 클램프의 개폐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a. 수술용 에너지 기구가 무부하 상태일 때 저전력 출력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함으로써, 무부하 상태에서 초음파 메스 커터의 불필요한 진폭을 줄이고, 커터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며, 초음파 메스의 일회 사용 비용을 절감하고;
b. 자체 부하 상황에 따라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하고, 부하 상황에서 표준 전력을 정상적으로 출력하며, 수술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아래 설명의 도면은 본 발명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일 뿐, 당업자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초음파 메스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초음파 메스 핸들의 전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초음파 메스 핸들의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초음파 메스 핸들의 내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초음파 메스 핸들에서 트랜스듀서 어셈블리와 전기 접속 소자의 연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트랜스듀서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의 트랜스듀서 어셈블리의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6의 트랜스듀서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1-A1 방향을 따른 단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 위치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초음파 메스 핸들의 전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초음파 메스 핸들의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트랜스듀서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트랜스듀서 어셈블리의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트랜스듀서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2-A2 방향을 따라 절개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트랜스듀서 어셈블리의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트랜스듀서 어셈블리와 전기 접속 소자의 연결 구조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초음파 메스 핸들의 내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회로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출력 전력 조절 로직 모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구 부하 상황 판별 흐름 모식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하다. 당업자가 발명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및 상기 도면 중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절한 상태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여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 이외의 순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용어 “포함”, “구비”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장치, 제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되지 않고,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메스의 수술 조작 과정에서, 초음파 발생기는 일정한 출력 전력에 도달해야만 연조직의 지혈 분리 및 조직 응고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초음파 메스에는 모두 하나 이상의 정격 출력 전력이 구비되고, 많은 초음파 메스의 핸들에는 고전력 버튼과 저전력 버튼이 설치되며, 고전력 버튼을 누르면, 초음파 메스가 고전력 모드에서 작동하고, 이 모드에서 무부하 상태의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6W 내지 9W 범위로 일반적으로 연조직 절단 및 분리에 적용되며; 저전력 버튼을 누르면, 초음파 메스가 저전력 모드에서 작동하고, 이 모드에서 무부하 상태의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3W 내지 7.6W 범위로 일반적으로 응고에 적용된다. 저전력 모드에서의 출력 전력보다 낮으면, 조직에 수술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 기술로는 초음파 메스의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을 저전력 모드(3W 이하)에서의 출력 전력보다 낮게 조절하는 것을 생각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부재, 초음파 발생기, 초음파 메스 헤드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초음파 메스를 제공하며, 상기 휴대용 부재에는 여기 버튼이 설치되고, 상기 여기 버튼은 상기 제어 모듈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초음파 메스는,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의 부하 상황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하 감지 모듈; 및
입력측이 상기 제어 모듈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측이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초음파 발생기를 조절하여 상이한 음향 전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력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작동 상태는 적어도 제1 작동 상태와 제2 작동 상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작동 상태는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의 무부하 상황에 대응되며; 제2 작동 상태는 초음파 메스 헤드의 유부하 상황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값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보다 작으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기 초음파 메스의 전원이 온된 경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상기 초음파 메스가 무부하인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작동 상태를 제1 작동 상태로 조절하고;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상기 초음파 메스가 유부하인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작동 상태를 제2 작동 상태로 조절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0이다.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이 클수록 초음파 메스의 커터의 진폭이 커지므로, 커터의 사용 수명이 단축되고, 커터와 핸들이 일체화 구조를 이루는 초음파 메스의 경우, 커터의 사용 수명은 초음파 메스의 사용 수명과 동일하다. 초음파 메스의 실제 사용 중에 수술 의사는 일반적으로 여기 버튼을 먼저 누른 다음 조직을 클램핑하거나, 조직 절단이 완료된 후 여기 버튼의 해제가 지연되는데, 조직에 접촉하면서 여기 버튼이 눌려졌는지, 조직을 떠나면서 여기 버튼이 해제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초음파 메스는 사용 중 일부 시간 내에 부하가 없지만 여전히 유부하 표준에 따라 전력을 출력하게 되며, 연구 결과, 동일한 출력 전력에서 무부하 상태 조건에서 초음파 메스의 커터 진폭이 유부하 상태의 초음파 메스의 커터 진폭보다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채택하면, 무부하 상황을 감지하여 저전력의 제1 작동 상태를 조절하는 시간은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에 의해 연장된 초음파 메스의 사용 수명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조직에 대한 초음파 메스의 매회 실제 조작 시간이 10s이고, 미리 여기 버튼을 누른 후부터 조직을 찾아 조작하기까지의 시간이 2s이며, 조작 완료 후 여기 버튼을 해제할 때까지의 시간이 1s라고 가정하면,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이 초음파 메스의 사용 수명을 약 30% 연장하는 것에 해당된다.
본 발명은 여기 버튼의 수를 한정하지 않는데, 그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여기 버튼은 2개의 버튼, 각각 고전력 여기 버튼 및 저전력 여기 버튼을 포함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전력 여기 버튼은 절단용으로 설정된 고전력(예를 들어, 6W 내지 9W)에 대응되며, 저전력 여기 버튼은 응고용으로 설정된 저전력(예를 들어, 3W 내지 7.6W)에 대응되고; 물론, 고전력 여기 버튼이 눌렸는지 저전력 여기 버튼이 눌렸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초음파 메스가 무부하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1 작동 상태로 출력되도록 상기 초음파 발생기를 조절함은 물론이며, 대응되는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0.01W 또는 0.01W보다 크고 3W보다 크지 않은 범위 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는 바, 즉 무부하 상태의 전력 출력은 응고용 저전력 설정값보다 낮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작동 상태 상황에 대응되는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3W보다 작지 않고 45W보다 크지 않은 범위 내의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무부하 시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0.01W이며, 유부하 감지 시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3W로 점프하거나, 무부하 시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0.1W이며, 유부하 감지 시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4.5W로 점프하거나, 무부하 시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0.2W이고, 유부하 감지 시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3.6W로 점프하며, 구체적으로, 고전력 여기 버튼 및/또는 저전력 여기 버튼은 여러 레벨로 나누어 조절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저전력 여기 버튼은 레벨 1 내지 4로 선택될 수 있고, 레벨 4의 전력은 약 5W 내지 7.6W이며, 레벨 3의 전력은 약 4.3W 내지 6.5W이고, 레벨 2의 전력은 약 3.6W 내지 5.4W이며, 레벨 1의 전력은 약 3W 내지 4.5W이고, 상기 여러 레벨의 설정값은 초음파 메스 헤드가 유부하인 것으로 감지될 때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 점프의 시작점으로 정의된다. 초음파 메스의 초음파 메스 헤드에 걸린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초음파 발생기의 실제 출력 전력도 증가하며, 초음파 메스의 초음파 발생기가 실제로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은 45W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메스에 대해 무부하 보호를 수행하는데, 즉 현재 무부하라고 판정되면 출력 전력을 충분히 낮은 수준으로 줄일 수 있으나, 상이한 메스 헤드 간의 차이성으로 인해 각각의 메스 헤드의 임피던스는 약간씩 다르다. 시스템의 신뢰성과 임계 상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로딩 후 전력이 손실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제1 작동 상태의 출력 전력 설정값 범위는 0.01 내지 3W이고, 추가로 0.1 내지 3W 또는 0.5 내지 3W로 선택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에서, 상이한 전력값을 갖는 제1 작동 상태 및 상이한 전력 구간 범위를 갖는 제2 작동 상태가 설정될 수 있다.
초음파 메스 중 각각의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전후 방향에 대한 상기 및 하기 설명은 모두 조작자가 상기 초음파 메스를 잡고 조작할 때 관찰된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여기서 초음파 메스가 수술 부위에 작용하는 위치가 전방이고, 초음파 메스가 조작자(의사)의 신체에 근접하는 위치가 후방이다.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메스 시스템을 참조하면, 이는 초음파 메스 및 초음파 메스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 어뎁터(3)를 포함하고; 여기서, 초음파 메스는 초음파 메스 핸들(1) 및 초음파 메스 핸들(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커터(2)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초음파 메스 핸들(1)은 핸들 하우징(11)과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를 포함하고, 핸들 하우징(11)은 고정 연결되어 매칭되는 하우징-좌측(11a)과 하우징-우측(11b), 및 최상부에 위치하는 꼭대기 덮개(11c)를 포함하며, 수용 챔버를 구비하고,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는 상기 수용 챔버에 전체적으로 수용되어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어 모듈(16)은 도 4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수용 챔버에 설치된다.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는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트랜스듀서 쉘(121)과 초음파 발생기(122)를 포함하고, 트랜스듀서 쉘(121)은 중공 챔버를 구비하며, 초음파 발생기(122)는 적어도 후방부가 상기 중공 챔버에 수용되어 트랜스듀서 쉘(121)에 대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초음파 발생기(122)는 일체형 소자로서, 축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 혼 축(1221) 및 혼 코어(1222)를 포함하고, 혼 축(1221)과 혼 코어(1222)가 접하는 위치에는 리테이너 링(1223)이 더 형성되며, 혼 코어(1222) 및 리테이너 링(1223)은 모두 트랜스듀서 쉘(121)의 중공 챔버에 수용되고, 혼 축(1221)의 전방부는 중공 챔버 밖으로 연장되고 전방부의 연결 나사(124)를 통해 커터(2)에 연결된다.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는 트랜스듀서 쉘(121)의 외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도전 부재(1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부재(123)는 적어도 도전부를 구비하며, 초음파 발생기(122)와 상기 도전부는 고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핸들 하우징(11)의 수용 챔버에는 전기 접속 소자(13)가 고정적으로 더 설치되며, 상기 전기 접속 소자(13)는 도전부에 당접되고, 초음파 발생기(122)가 핸들 하우징(11)에 대해 자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안, 전기 접속 소자(13)는 항상 도전부와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초음파 메스의 구조적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부재(123)는 트랜스듀서 쉘(121)의 외주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도전부는 원형 링 형상이며, 도전부의 축선과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의 축선은 동일 선상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도전부는 서로 절연 설치되고 모두 원형 링 형상인 제1 도전부 및 제2 도전부를 포함하고, 초음파 발생기(122)는 2개의 전기 접속 와이어(1224), 즉 제1 전기 접속 와이어 및 제2 전기 접속 와이어를 구비하며, 2개의 전기 접속 와이어는 각각 2개의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2개의 도전부는 트랜스듀서 쉘(121)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도전 부재(123)는 모두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2개의 도전 링, 즉 제1 도전 링(1231)과 제2 도전 링(1232), 및 제1 도전 링(1231)과 제2 도전 링(1232) 사이에 설치되고 절연 재료로 제조된 스페이서 링(1233)을 포함하고, 제1 도전 링(1231)은 제1 도전부를 구성하며, 제2 도전 링(1232)은 제2 도전 링을 구성한다. 제1 전기 접속 와이어(1224)의 단부는 제1 도전 링(1231)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고, 제2 전기 접속 와이어(1224)의 단부는 제2 도전 링(1232)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구현한다.
제1 도전 링(1231), 제2 도전 링(1232) 및 스페이서 링(1233)은 상대적으로 고정되게 트랜스듀서 쉘(121)의 외주부에 씌움 설치되고, 구체적으로, 각각의 도전 링과 스페이서 링(1233) 사이에는 모두 양자의 상대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원주 방향 위치 제한 구조가 설치되며, 도전 부재(123) 전체와 트랜스듀서 쉘(121) 사이에는 도전 부재(123)의 회전과 도전 부재(123)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결정 구조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듀서 쉘(121)은 전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 전방 쉘(1211), 중간 쉘(1213) 및 후방 쉘(1212)을 포함하고, 전방 쉘(1211)과 중간 쉘(1213) 사이에는 고무 패드(125)와 고무 링(126)이 설치되어 밀봉을 구현하며, 중간 쉘(1213)과 후방 쉘(1212) 사이에는 고무 링(126)이 설치되어 밀봉을 구현하고, 동시에 트랜스듀서 쉘(121)에 수용된 초음파 발생기(122)를 상기 트랜스듀서 쉘(121)에 밀봉한다. 도전 부재(123)는 중간 쉘(1213)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후방 쉘(1212)의 전방부에 위치한다.
도전 부재(123)는 절연 슬리브(1234)를 더 포함하고, 절연 슬리브(1234)는 중간 쉘(1213)의 외주부에 고정적으로 씌움 설치되며, 제1 도전 링(1231), 스페이서 링(1233) 및 제2 도전 링(1232)은 절연 슬리브(1234)의 후방부 튜브 섹션의 외주부에 공동으로 씌움 설치되고, 제1 도전 링(1231)의 전방부와 절연 슬리브(1234) 사이, 제1 도전 링(1231)의 후방부와 스페이서 링(1233)의 전방부 사이, 스페이서 링(1233)의 후방부와 제2 도전 링(1232)의 전방부 사이, 제2 도전 링(1232)의 후방부와 후방 쉘(1212)의 전방부 사이는 모두 위치결정 보스(1235)와 오목홈 방식을 통해 서로 매칭되어 위치 결정되며, 이에 따라, 도전 부재(123)는 트랜스듀서 쉘(121)에 고정된다.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하우징(11)에는 전기 접속 소자(13)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전기 접속 소자(13)는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의 원주 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전기 접속 소자(13)는 트랜스듀서 쉘(121)의 외주부에 당접되어 도전부와 서로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접속 소자(13)는 서로 독립적인 제1 전기 접속 소자(131) 및 제2 전기 접속 소자(132)를 포함하고, 제1 전기 접속 소자(131)와 제2 전기 접속 소자(132)는 모두 금속 재질로 제조되고 자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탄성을 구비하며, 양자는 핸들 하우징(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제1 전기 접속 소자(131)는 트랜스듀서 쉘(121)의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제1 도전 링(1231)의 외주부에 탄성적으로 당접되며, 제2 전기 접속 소자(132)는 트랜스듀서 쉘(121)의 반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제2 도전 링(1232)의 외주부에 탄성적으로 당접된다.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 전체가 핸들 하우징(11)에 대해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1 전기 접속 소자(131)와 제1 도전 링(1231) 사이, 제2 전기 접속 소자(132)와 제2 도전 링(1232) 사이는 항상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전기 접속 소자(13)는 핸들 하우징(11)에 설치되어 상부 위치에 위치하고, 이는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의 상방에 위치하여 전기 접속 소자(13)가 아래로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의 외주부에 당접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원 코드를 핸들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전기 접속 소자(13)에 연결하기만 하면 전원 코드를 핸들 하우징(11)의 하부로부터 인출하여 전원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가 핸들 하우징(11)에서 자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안, 전원 코드가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되면서, 전원 코드가 핸들 하우징(11)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어, 팔에 큰 힘이 가해져 쉽게 피로해지고, 전원 코드가 엉키는 것과 같은 일련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의 초음파 메스의 다른 구조적 실시예에서, 도 1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도전 부재(123)는 트랜스듀서 쉘(121)의 후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트랜스듀서 쉘(121) 자체의 후방부는 개방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전 부재(123)는 후단에서 상기 트랜스듀서 쉘(121)을 폐쇄한다. 도전부는 도전 부재(123)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전기 접속 소자(13)는 핸들 하우징(11)에 설치되고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기 접속 소자(13)는 도전부에 탄성적으로 당접된다.
구체적으로, 도전부는 서로 절연 설치된 제1 도전부 및 제2 도전부를 포함하고, 초음파 발생기(122)는 2개의 전기 접속 와이어, 즉 제1 전기 접속 와이어 및 제2 전기 접속 와이어(미도시)를 구비하며, 제1 전기 접속 와이어와 제1 도전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기 접속 와이어와 제2 도전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접속 소자(13)는 또한 서로 독립적이고 서로 절연 설치된 제1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a) 및 제2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b)를 포함하고, 제1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a)는 제1 도전부에 당접되며, 제2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b)는 제2 도전부에 당접된다. 상기 제1 도전부, 제2 도전부는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의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원판 형상 또는 원형 링 형상이므로,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가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1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a), 제2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b)는 각각 제1 도전부, 제2 도전부와의 당접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전 부재(123)는 플레이트 본체(1230), 및 플레이트 본체(123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금속 재질로 제조된 제1 도전 시트(123a)와 제2 도전 시트(123b)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도전 시트(123a)는 원판 형상이며, 제2 도전 시트(123b)는 원형 링 형상이고 제1 도전 시트(123a)의 원주 방향 외측에 라운드지게 설치되며, 제1 도전 시트(123a)와 제2 도전 시트(123b)는 도전 부재(123)의 반경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바, 즉 제1 도전 시트(123a)의 외측 원주벽과 제2 도전 시트(123b)의 내측 원주벽은 도전 부재(123)의 반경 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상기 제1 도전 시트(123a)는 제1 도전부를 구성하고, 제2 도전 시트(123b)는 제2 도전부를 구성한다.
플레이트 본체(1230)에는 자체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제1 관통 홀(123c)과 제2 관통 홀(123d)이 설치되고, 제1 전기 접속 와이어는 제1 관통 홀(123c)에 관통 설치되고 용접 방식으로 제1 도전 시트(123a)에 고정되어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며, 제2 전기 접속 와이어는 제2 관통 홀(123d)에 관통 설치되고 용접 방식으로 제2 도전 시트(123b)에 고정되어 전기적 연결을 구현한다.
도 12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a) 및 제2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b)는 모두 금속 재질로 제조된 탄성편이고, 제1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a)의 하단부, 제2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b)의 하단부는 각각 핸들 하우징(11)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제1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a)의 상단부는 전방으로 제1 도전 시트(123a)의 후측면에 가압되고, 제2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b)의 상단부는 전방으로 제2 도전 시트(123b)의 후측면에 가압된다.
이에 따라, 전원 코드의 2개의 도전 와이어를 제1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a)와 제2 탄성 전기 접속 부재(13b)에 각각 연결하기만 하면 전원 코드를 핸들 하우징(11)의 하부로부터 인출하여 전원에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트랜스듀서 어셈블리(12)가 핸들 하우징(11)에서 자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안, 전원 코드가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되면서, 전원 코드가 핸들 하우징(11)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어, 팔에 큰 힘이 가해져 쉽게 피로해지고, 전원 코드가 엉키는 것과 같은 일련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다음은 부하 감지 모듈이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다.
공진 임피던스에 따라 초음파 메스의 유부하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 1: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공진 신호 수집 유닛, 임피던스 계산 유닛 및 판정 유닛을 포함하고, 공진 신호 수집 유닛은 도 20에 도시된 전류 및 전압 샘플링 처리 유닛을 참조하며, 시스템이 공진하도록 작동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초음파 메스 회로의 고유 기능을 전제로, 전류 및 전압 샘플링 처리 유닛은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압 및 전류를 샘플링하도록 구성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임피던스 계산 유닛은 공진 임피던스를 계산하며, 나아가 판정 유닛은 공진 임피던스의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판단하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산 결과를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과 비교하여, 계산된 공진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유부하로 판정하고; 계산된 공진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무부하로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하 감지 모듈의 각 유닛은 기능에 따라 구획된 유닛일 뿐 이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 바, 예를 들어 임피던스 계산 유닛은 도 20의 전류 및 전압 샘플링 처리 유닛으로 구획될 수 있고, 제어 모듈(MCU or FPGA 디지털 제어 센터)로 구획될 수도 있으며; 판정 유닛 역시 다양하게 구획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공진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초음파 메스의 유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 2: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공진 신호 수집 유닛 및 판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은 상기 초음파 메스의 회로가 공진 상태일 때의 공진 주파수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이 공진하도록 작동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초음파 메스 회로의 고유 기능을 전제로, 전류 및 전압 샘플링 처리 유닛은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압 및 전류를 샘플링한 후, 전압 및 전류의 샘플링 결과를 제어 모듈(MCU or FPGA 디지털 제어 센터)로 전송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샘플링 결과로 상응한 공진 주파수를 얻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의 전후 2회 신호 수집 결과에 따라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단은 전후 2회 샘플링된 공진 주파수의 차이값을 기설정된 주파수 변화 임계값과 비교하여, 전후 2회 수집된 공진 주파수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차이값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주파수 변화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유부하에서 무부하로 전환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 및 전후 2회 수집된 공진 주파수가 하강 추세를 보이고 차이값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주파수 변화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무부하에서 유부하로 전환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식 3: 초음파 메스는 휴대용 부재의 전측에 설치된 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바이오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커터에서 휴대용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오 센서가 물체와 접촉하거나 기설정된 거리 임계값 내에서 물체에 가까워짐을 감지하면, 상기 초음파 메스가 유부하라는 감지 결과를 출력하며, 그렇지 않으면 출력 상기 초음파 메스가 무부하라는 감지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초음파 메스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경우,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기설정된 주파수 또는 지연 간격(100us 내지 10ms와 같은 밀리초 또는 마이크로초 수준)에 따라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감지한다. 초음파 메스가 무부하 상태인 것이 감지되면,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을 제1 작동 상태에 대응되는 출력 전력, 즉 대기 상태로 조절하고; 초음파 메스가 무부하 상태에서 유부하 상태로 전환된 것이 감지되면,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신속하게 정상 수준, 즉 제2 작동 상태의 전력 구간 범위의 최소값으로 복귀하며,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을 튜닝하여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초음파 메스가 무부하 상태에서 유부하 상태로 전환된 것이 감지된 경우, 의사가 무부하 상태 동안 출력 전력을 조절하지 않으면,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전회 전력 수준으로 신속하게 복귀하고, 의사가 무부하 상태 동안 출력 전력을 조절하면,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새로 설정된 전력 수준으로 신속하게 상승한다.
방식 1과 방식 2의 경우, 공진 신호(전압 및/또는 전류)를 샘플링해야 하므로, 제1 작동 상태 상황에 대응되는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0이 될 수 없다.
이하, 전력 변환 모듈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은 DC/DC 변환 유닛으로서, 도 20을 참조하면, 이는 초음파 전력 증폭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DC/DC 변환 유닛은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상이한 전압값을 출력하며;
상기 DC/DC 변환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제1 전압이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초음파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초음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DC/DC 변환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제2 전압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초음파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초음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전력을 출력하며, 여기서 제2 전압 임계값은 제1 전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전력 증폭 모듈은 도전 부재를 통해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 부재는 도전 탄성편 및 슬립 링일 수 있으며; 커터의 메스 바는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전기 에너지에 대해 에너지 변환을 수행하고, 변환된 에너지를 커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를 제공하며, 이는
에너지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발생 장치;
여기 버튼이 설치된 휴대용 부재;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부하 상황은 무부하 상황 또는 유부하 상황인 부하 감지 모듈;
입력단이 상기 부하 감지 모듈, 여기 버튼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여기 버튼의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전력 변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는 적어도 제1 작동 상태와 제2 작동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보다 작으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에 부하가 없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를 제1 작동 상태로 조절하고;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에 부하가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를 제2 작동 상태로 조절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은 0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와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초음파 메스는 동일한 발명 구상에 속하는 바, 즉 수술용 에너지 기구/초음파 메스에는 무부하 보호가 제공되고, 본 실시예에서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감지 모듈, 전력 변환 모듈은 상기 실시예의 초음파 메스의 부하 감지 모듈, 전력 변환 모듈과 일치하여 본 실시예에 참조로 포함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초음파 메스이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초음파 발생기일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레이저 메스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레이저 발생기이며, 상기 레이저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전기 메스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전기 신호 발생기이며, 상기 전기 신호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전력 조절 방법을 제공하며, 조절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여기 버튼 및 에너지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여기 버튼에 의해 출력되는 에너지의 제어 모드는 상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가 에너지를 출력하며, 상기 여기 버튼이 해제되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가 에너지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태에 따라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력 조절 방법은,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이 무부하이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을 제1 작동 상태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이 유부하이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을 제2 작동 상태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보다 작다. 상기 전력 조절 방법은 하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에 적용되되,
(1)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초음파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초음파 발생기이며,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고;
(2)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레이저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레이저 발생기이며, 상기 레이저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3)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전기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전기 신호 발생기이며, 상기 전기 신호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과 같은 관계 용어는 단지 하나의 실체 또는 조작을 다른 하나의 실체 또는 조작과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체 또는 조작 사이에 어떠한 실제적인 관계 또는 순서가 존재함을 요구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용어 “포함”, “포괄” 또는 기타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가리키므로,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는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기타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요소를 더 포함한다. 더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를 포함한다”라는 어구로 한정된 요소는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이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약간의 개선 및 수정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개선 및 수정 역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 간주되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1, 초음파 메스 핸들; 11, 핸들 하우징; 11a, 하우징-좌측; 11b, 하우징-우측; 11c, 꼭대기 덮개; 11d, 투시창;
12, 트랜스듀서 어셈블리; 121, 트랜스듀서 쉘; 1211, 전방 쉘; 1212, 후방 쉘; 1213, 중간 쉘; 121a, 평기어 링;
122, 초음파 발생기; 1221, 혼 축; 1222, 혼 코어; 1223, 리테이너 링; 1224, 제1 전기 접속 와이어/제2 전기 접속 와이어;
123, 도전 부재; 1231, 제1 도전 링(제1 도전부); 1232, 제2 도전 링(제2 도전부); 1233, 스페이서 링; 1234, 절연 슬리브; 1235, 위치결정 보스; 123O, 플레이트 본체; 123a, 제1 도전 시트; 123b, 제2 도전 시트; 123c, 제1 관통 홀; 123d, 제2 관통 홀;
124, 연결 나사; 125, 고무 패드; 126, 고무 링; 127, 전방 커버; 128, 후방 밀봉 링; 129, 나사;
13, 전기 접속 소자; 131, 제1 전기 접속 소자; 132, 제2 전기 접속 소자; 13a, 제1 탄성 전기 접속 부재; 13b, 제2 탄성 전기 접속 부재.

Claims (17)

  1. 여기 버튼이 설치된 휴대용 부재, 제어 모듈, 초음파 발생기 및 초음파 메스 헤드를 포함하는 초음파 메스로서,
    상기 초음파 메스는,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의 부하 상황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하 감지 모듈; 및
    입력측이 상기 제어 모듈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측이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메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적어도 제1 작동 상태와 제2 작동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값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값보다 작으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에 부하가 없으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기가 제1 작동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에 부하가 있으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기가 제2 작동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메스.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 범위는 0.01W 내지 3W이고;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 범위는 3W 내지 45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메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기 버튼은 상기 제어 모듈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초음파 메스의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기설정된 주파수 또는 지연 간격에 따라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감지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가 유부하 상태에서 무부하 상태로 전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이 작아지도록 조절하고;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상기 초음파 메스 헤드가 무부하 상태에서 유부하 상태로 전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이 커지도록 조절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초음파 발생기의 출력 전력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메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공진 신호 수집 유닛, 임피던스 계산 유닛 및 판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은 상기 초음파 메스의 회로가 공진 상태일 때의 전압 및 전류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임피던스 계산 유닛은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에 의해 수집된 전압 및 전류 신호에 따라 공진 임피던스를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임피던스 계산 유닛의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단은 상기 계산 결과를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과 비교하여, 계산된 공진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유부하로 판정하는 것; 및 계산된 공진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무부하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메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공진 신호 수집 유닛 및 판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은 상기 초음파 메스의 회로가 공진 상태일 때의 공진 주파수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의 전후 2회 신호 수집 결과에 따라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단은 전후 2회 신호 수집 결과의 차이값을 기설정된 주파수 변화 임계값과 비교하여, 전후 2회 수집된 공진 주파수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차이값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주파수 변화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유부하에서 무부하로 전환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 및 전후 2회 수집된 공진 주파수가 하강 추세를 보이고 차이값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주파수 변화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초음파 메스의 부하 상황을 무부하에서 유부하로 전환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메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은 초음파 전력 증폭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DC 변환 유닛이고, 상기 DC/DC 변환 유닛은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상이한 전압값을 출력하며;
    상기 DC/DC 변환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제1 전압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초음파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초음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DC/DC 변환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제2 전압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초음파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초음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전력을 출력하고, 제2 전압 임계값은 제1 전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메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부재는 핸들 하우징, 트랜스듀서 어셈블리 및 전원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 및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수용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챔버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원 코드의 일단은 상기 수용 챔버에서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코드의 타단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밖으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메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는 트랜스듀서 쉘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듀서 쉘과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트랜스듀서 쉘은 중공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적어도 후방부가 상기 중공 챔버에 수용되며,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는 상기 트랜스듀서 쉘의 외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도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부재는 적어도 도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상기 도전부는 고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수용 챔버에는 전기 접속 소자가 고정적으로 더 설치되며, 상기 전기 접속 소자는 상기 도전부에 당접되고, 상기 트랜스듀서 어셈블리가 상기 핸들 하우징에 대해 자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안, 상기 전기 접속 소자는 항상 상기 도전부와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메스.
  10. 수술용 에너지 기구로서,
    에너지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발생 장치;
    여기 버튼이 설치된 휴대용 부재;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하 상황은 무부하 상황 또는 유부하 상황인 부하 감지 모듈;
    입력단이 상기 부하 감지 모듈, 여기 버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의해 트리거될 때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전력 변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적어도 제1 작동 상태와 제2 작동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보다 작으며;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현재 부하가 없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가 제1 작동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이 현재 부하가 있음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가 제2 작동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 모듈은 전력 증폭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DC 변환 유닛이고, 상기 DC/DC 변환 유닛은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상이한 전압값을 출력하며;
    상기 DC/DC 변환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제1 전압 임계값보다 낮으면, 상기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DC/DC 변환 유닛에 의해 출력된 전압이 기설정된 제2 전압 임계값보다 높으면, 상기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전력을 출력하고, 제2 전압 임계값은 제1 전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공진 신호 수집 유닛, 임피던스 계산 유닛 및 판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은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회로가 공진 상태일 때의 전압 및 전류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임피던스 계산 유닛은 상기 공진 신호 수집 유닛에 의해 수집된 전압 및 전류 신호에 따라 공진 임피던스를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임피던스 계산 유닛의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을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단은 상기 계산 결과를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과 비교하여, 계산된 공진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을 유부하로 판정하는 것; 및 계산된 공진 임피던스가 기설정된 임피던스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을 무부하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회로가 도통된 경우,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기설정된 주파수 또는 지연 간격에 따라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초음파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초음파 발생기이며,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레이저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레이저 발생기이며, 상기 레이저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전기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전기 신호 발생기이며, 상기 전기 신호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휴대용 부재의 전측에 설치된 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 감지 모듈은 바이오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커터에서 휴대용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오 센서가 물체와 접촉하거나 기설정된 거리 임계값 내에서 물체에 가까워짐을 감지하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가 유부하라는 감지 결과를 출력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가 무부하라는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
  16. 조절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여기 버튼 및 에너지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에너지를 출력하며, 상기 여기 버튼이 해제되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에너지 출력을 중지하는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전력 조절 방법으로서,
    상기 여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은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에 따라 조절되고, 상기 전력 조절 방법은,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이 무부하이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을 제1 작동 상태에 대응되는 출력 전력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여기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의 부하 상황이 유부하이면,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을 제2 작동 상태에 대응되는 출력 전력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은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출력 전력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조절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에 적용되고,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초음파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초음파 발생기이며, 상기 초음파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레이저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레이저 발생기이며, 상기 레이저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수술용 에너지 기구는 전기 메스이고,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는 전기 신호 발생기이며, 상기 전기 신호 발생기는 휴대용 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조절 방법.
KR1020247013741A 2020-11-04 2022-10-11 초음파 메스, 수술용 에너지 기구 및 이의 전력 조절 방법 KR202400607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212999.8A CN112237465A (zh) 2020-11-04 2020-11-04 自带超声发生器功能的超声手术刀手柄、超声手术刀系统及其使用方法
CN202111209462.0 2021-10-18
CN202111209462.0A CN113712633A (zh) 2020-11-04 2021-10-18 一种超声手术刀、手术用能量器械及其功率调节方法
PCT/CN2022/124534 WO2023066077A1 (zh) 2020-11-04 2022-10-11 一种超声手术刀、手术用能量器械及其功率调节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714A true KR20240060714A (ko) 2024-05-08

Family

ID=7416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741A KR20240060714A (ko) 2020-11-04 2022-10-11 초음파 메스, 수술용 에너지 기구 및 이의 전력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40060714A (ko)
CN (8) CN112237465A (ko)
AU (1) AU2022371213A1 (ko)
CA (1) CA3234799A1 (ko)
WO (2) WO20220957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7465A (zh) * 2020-11-04 2021-01-19 安速康医疗(苏州)有限公司 自带超声发生器功能的超声手术刀手柄、超声手术刀系统及其使用方法
CN217447937U (zh) * 2020-11-04 2022-09-20 安速康医疗(苏州)有限公司 超声手术刀
CN215273148U (zh) * 2021-03-03 2021-12-24 安速康医疗(苏州)有限公司 超声手术刀手柄与超声手术刀
CN114271902B (zh) * 2022-01-19 2023-08-01 深圳臣诺医疗器械有限公司 提高手术刀控制精度的方法、装置、手术刀及介质
CN114073554B (zh) * 2022-01-19 2022-04-15 江苏泰科博曼医疗器械有限公司 微创手术缝合线端部锁结装置、方法及操作枪体
CN114424965B (zh) * 2022-01-27 2023-10-10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分体式便携式超声手术刀
CN115024768B (zh) * 2022-08-09 2022-11-04 生一科技(北京)有限公司 微创手术器械组件及微创手术器械
CN219198113U (zh) * 2022-09-26 2023-06-16 桐惠(杭州)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超声刀驱动柄的连接密封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6387A (en) * 1990-03-12 1991-06-25 Ultraci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nic surgical cutting and hemostatis
US5733281A (en) * 1996-03-19 1998-03-31 American Ablation Co., Inc. Ultrasound and impedance feedback system for use with electrosurgical instruments
US6679899B2 (en) * 2000-10-20 2004-01-20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 for detecting transverse vibrations in an ultrasonic hand piece
WO2004110558A1 (en) * 2003-06-13 2004-12-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Ultrasound applying skin care device
CN2776452Y (zh) * 2004-12-28 2006-05-03 天津天使科技发展有限公司 微电脑全程接触式保护超声波治疗仪
US7335997B2 (en) * 2005-03-31 2008-02-26 Ethicon Endo-Surgery, Inc. System for controlling ultrasonic clamping and cutting instruments
US8058771B2 (en) * 2008-08-06 2011-11-15 Ethicon Endo-Surgery, Inc. Ultrasonic device for cutting and coagulating with stepped output
US20100125292A1 (en) * 2008-11-20 2010-05-20 Wiener Eitan T Ultrasonic surgical system
US8303579B2 (en) * 2008-12-31 2012-11-0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urgical operation system and surgical operation method
CN203328803U (zh) * 2013-06-14 2013-12-11 重庆金山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高频电刀
CN104224279B (zh) * 2013-06-18 2017-04-05 瑞奇外科器械(中国)有限公司 超声刀刀头的夹持驱动机构及超声刀刀头
CN203915795U (zh) * 2014-06-11 2014-11-05 北京儒奥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进行超声探头接触状态监测的超声治疗设备
CN105726071B (zh) * 2014-12-10 2018-07-06 乐普(北京)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介入治疗超声发射装置用操控手柄
US11051873B2 (en) * 2015-06-30 2021-07-06 Cilag Gmbh International Surgical system with user adaptable techniques employing multiple energy modalities based on tissue parameters
CN106901805A (zh) * 2015-12-22 2017-06-30 无锡祥生医学影像有限责任公司 超声刀换能器模组的力限结构
US10368898B2 (en) * 2016-05-05 2019-08-06 Covidien Lp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US10603129B2 (en) * 2016-12-14 2020-03-31 Ethicon Llc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with integral torque wrench and longitudinal engagement
US11033316B2 (en) * 2017-05-22 2021-06-15 Cilag Gmbh International Combination ultrasonic and electrosurgical instrument having curved ultrasonic blade
CN109745099A (zh) * 2017-11-01 2019-05-14 锐泰安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超声外科手术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009331B (zh) * 2018-08-08 2024-02-06 北京安和加利尔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手术一体刀
CN209404883U (zh) * 2018-08-08 2019-09-20 北京安和加利尔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手术一体刀
CN109044491B (zh) * 2018-09-03 2020-12-18 上海题屏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手术刀
CN209996428U (zh) * 2018-12-27 2020-01-31 重庆西山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超声手术刀系统中的手柄装置
CN210095855U (zh) * 2019-04-17 2020-02-21 上海圣哲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手术刀
CN110537958B (zh) * 2019-07-29 2022-03-29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频率及功率跟踪的超声手术刀系统及其控制方法
CN217447937U (zh) * 2020-11-04 2022-09-20 安速康医疗(苏州)有限公司 超声手术刀
CN112237465A (zh) * 2020-11-04 2021-01-19 安速康医疗(苏州)有限公司 自带超声发生器功能的超声手术刀手柄、超声手术刀系统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31917A (zh) 2021-09-03
CN112237465A (zh) 2021-01-19
CN215688268U (zh) 2022-02-01
CN113712633A (zh) 2021-11-30
CN215688269U (zh) 2022-02-01
CN215688267U (zh) 2022-02-01
CN215688266U (zh) 2022-02-01
CN216317859U (zh) 2022-04-19
WO2023066077A1 (zh) 2023-04-27
CA3234799A1 (en) 2023-04-27
CN113331917B (zh) 2022-12-09
AU2022371213A1 (en) 2024-04-18
WO2022095726A1 (zh)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60714A (ko) 초음파 메스, 수술용 에너지 기구 및 이의 전력 조절 방법
US11717706B2 (en)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s
US10966777B2 (en) Treatment device
EP3524189B1 (en)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having clamp with electrodes
CA2591637C (en) Ultrasonic probe deflection sensor
US8773001B2 (en) Rotating transducer mount for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s
EP3260065B1 (en) Apparatus for driving ultrasonic device for cutting and coagulating with stepped output
US20110015627A1 (en) Impedance monitor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s
JPH03131245A (ja) 超音波処置装置
JPH0938098A (ja) 超音波処置装置
US20220202470A1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system with parasitic energy loss monitor
CN219271102U (zh) 外科器械、外套管、套管组件及超电混合能量平台
JP5238006B2 (ja) 超音波処置装置
CN117715600A (zh) 能量处置系统
CN115243628A (zh) 用于操作外科手术装置的系统和方法
JP2001017445A (ja) 超音波処置装置
JPH05123332A (ja) 手術器
AU2015227493A1 (en) Ultrasonic device for cutting and coagulating with stepped out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