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657A -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장치, 제1 단말 및 제2 단말 - Google Patents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장치, 제1 단말 및 제2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657A
KR20240060657A KR1020247012408A KR20247012408A KR20240060657A KR 20240060657 A KR20240060657 A KR 20240060657A KR 1020247012408 A KR1020247012408 A KR 1020247012408A KR 20247012408 A KR20247012408 A KR 20247012408A KR 20240060657 A KR20240060657 A KR 20240060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ath
terminal
information
path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 왕
젼후아 시에
치엔 졍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6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in pre-organi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장치,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공개하고, 통신 기술분야에 속하는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은,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장치, 제1 단말 및 제2 단말
본 출원은 통신 기술분야에 속하는바, 특히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장치,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관한 것이다.
<관련출원의 교차 인용>
본 출원은 2021년 9월 28일에 제출되고, 출원번호가 202111146285.6이며, 발명의 명칭이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장치,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당해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된다.
근거리 통신은 일정 거리에 있는 사용자 장치 간의 직접 통신을 구현하며, 사용자 장치의 직접 통신은 한 사용자 장치의 데이터가 셀룰러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다른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는 네트워크 전체에 분산되어 있으며, 각 사용자 장치는 모두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자동 라우팅(메시지 전달) 기능을 갖는다.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사용자들은 서로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고 가상 또는 실제의 그룹으로 스스로를 조직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직접 PC5 통신을 수행 중인 사용자 장치가 이동성으로 인해 근거리 통신을 지속할 수 없는 경우, 서비스를 직접 범용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Uu) 통신(즉, 셀룰러 네트워크)으로 전환하여 지속적인 통신을 고려해야 하거나,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가 과부하되거나 셀룰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나거나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사용자 장치 간에 근거리 통신이 충족되는 경우, 직접 PC5 통신 경로와 직접 Uu 통신 경로 간의 전환을 구현해야 한다.
그러나 어떻게 PC5 통신 경로와 직접 Uu 통신 경로 간의 전환 트리거 조건과 시기를 결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장치,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제공하여, PC5 통신 경로와 직접 Uu 통신 경로 간의 전환 트리거 조건과 시기를 결정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1 양태로, 제1 단말에 적용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바, 해당 방법은,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제2 양태로, 제2 단말에 적용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바, 해당 방법은,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제3 양태로, 제1 단말에 적용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바,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제1 전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제4 양태로, 제2 단말에 적용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바,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제2 전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제5 양태로, 제1 단말을 제공하는바, 해당 제1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태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양태로, 제1 단말을 제공하는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제7 양태로, 제2 단말을 제공하는바, 해당 제2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양태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8 양태로, 제2 단말을 제공하는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제9 양태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바,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태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2 양태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0 양태로, 칩을 제공하는바,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제1 양태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2 양태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11 양태로,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은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 양태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2 양태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동일한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게 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 간의 전환 트리거 조건 및 시기에 대해 일치한 이해를 갖게 할 수 있고, 직접 통신과 무선 통신 간에 동기화로 경로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응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단말이 개시하는 경로 전환 취소 과정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의 구조도 1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의 구조도 2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1 단말의 구조도 1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1 단말의 구조도 2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2 단말의 구조도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진행하게 되는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취득하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중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되는 용어는 적당한 상황 하에서 호환이 가능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시될 수 있고, 또한 "제1", "제2" 등이 구분하는 객체는 일반적으로 같은 유형이고, 객체의 수량을 한정하지 않는바, 예를 들어 제1 객체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및/또는”은 연결된 객체의 적어도 그 중의 하나를 표시하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짚고 넘어가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은 롱텀에볼루션(Long Time Evolution, LTE)/LTE의 향상된(LTE-Advanced, LTE-A)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기타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과 기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자주 호환 사용될 수 있고, 본문에 기재된 기술은 위에 언급된 시스템과 무선 기술에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기타 시스템과 무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하기 설명에서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을 기술하였고, 또한 아래 대부분 설명에서 비록 이러한 기술이 NR 시스템 응용 외의 응용, 예를 들면 제6 세대(6th Generation, 6G)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고, NR 용어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응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단말(11), 제2 단말(12), 네트워크 측 장치(13) 및 코어 네트워크(14)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단말(11)과 제2 단말(12) 간에는 네트워크 측 장치(13)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제1 단말(11)와 제2 단말(12)는 각각 Uu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측 장치(13)와 무선 연결을 구성하고, 나아가 네트워크 측 장치(13)에 의해 통신을 구현하며; 제1 단말(11)과 제2 단말(12) 간에는 또한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제1 단말(11)과 제2 단말(12)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PC5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직접 PC5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제1 단말(11), 제2 단말(12)은 또한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 칭할 수 있고, 제1 단말(11), 제2 단말(12)은 핸드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또는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팜탑, 넷북, 울트라 모바일 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이동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장치, 로봇,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차량탑재 장치(VUE), 행인 단말(PUE), 스마트 홈(냉장고, TV, 세탁기 또는 가구 등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기기) 등 단말 측 장치일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헤드폰, 스마트 안경, 스마트 장신구(스마트 팔찌, 스마트 손목 사슬, 스마트 반지, 스마트 목걸이, 스마트 발찌, 스마트 발목 사슬 등), 스마트 손목 밴드, 스마트 의류, 게임기 등을 포함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단말(11), 제2 단말(12)의 구체적인 유형을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측 장치(13)는 기지국일 수 있고, 여기에서, 기지국은 노드 B, 향상된 노드 B, 접근점, 베이스 송수신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무선 전신 기지국, 무선 전신 송수신기, 베이직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BSS), 확장 서비스 셋(Extended Service Set, ESS), 가정용 B 노드, 가정용 향상된 B 노드, WLAN 접근점, WiFi 노드, 송신과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또는 상기 분야의 기타 어느 한 적합한 용어로 불릴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기만 하면 특정 기술 용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지 NR 시스템 중의 기지국을 예로 들지만, 기지국의 구체적의 유형을 한정하지 않는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고, 일부 실시예 및 그 응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은 직접 통신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고,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제1 단말은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동일한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게 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 간의 전환 트리거 조건 및 시기에 대해 일치한 이해를 갖게 할 수 있고, 직접 통신과 무선 통신 간에 동기화로 경로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흐름도 1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201 단계: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직접 통신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직접 통신은 근거리 통신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s, ProSe), 차량 사물 통신(Vehicle-to-Everything, V2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직접 PC5 통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직접 Uu 통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 상기 제2 단말은 위에 열거한 제1 단말(11), 제2 단말(12)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위에 열거한 네트워크 측 장치(13)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트리거 조건은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에서, 제1 단말은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동일한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게 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 간의 전환 트리거 조건 및 시기에 대해 일치한 이해를 갖게 할 수 있고, 직접 통신과 무선 통신 간에 동기화로 경로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 또는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2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1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직접 PC5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2 통신 경로가 직접 Uu 통신 경로인 것을 예로 직접 PC5 통신 경로와 직접 Uu 통신 경로 간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현재 통신 경로가 직접 PC5 통신 경로인 경우, 직접 PC5 통신 경로에서 직접 Uu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 또는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직접 Uu 통신 경로인 경우, 직접 Uu 통신 경로에서 직접 PC5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외,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4 경로 전환 지시, 경로 전환 방향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경로 전환 지시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및 모든 서비스 품질(QoS)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2 경로 전환 지시는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선택적으로, 제2 경로 전환 지시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제2 경로 전환 지시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서비스 유형은 우선순위가 높은 유형, 긴급 유형, 공공 안전 유형 중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션 유형은 우선순위가 높은 유형, 긴급 유형, 공공 안전 유형 중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경로 전환 지시는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선택적으로, 제3 경로 전환 지시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제3 경로 전환 지시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ProSe 아이디(ID),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ID, Prose type, V2X 서비스 유형 중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 아이디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session) ID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경로 전환 지시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선택적으로, 제4 경로 전환 지시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QoS 플로우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제4 경로 전환 지시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경로 전환 방향은 통신 경로의 전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경로의 상기 전환 방향은 직접 PC5 통신 경로에서 직접 Uu 통신 경로로 전환되는 것, 직접 Uu 통신 경로에서 직접 PC5 통신 경로로 전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리거 조건은,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 제5 QoS 역치 및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역치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1) 상기 제1 QoS 역치 및 상기 제1 통신 중단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와 연관되고, 상기 제1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 QoS 역치에 기반하여, 현재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1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각 서비스 및/또는 각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트리거시키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중단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트리거시키며;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중단과 연관되는 서비스 및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2) 상기 제2 QoS 역치 및 상기 제2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제2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2 QoS 역치에 기반하여,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트리거시키며;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통신 중단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트리거시키며;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3)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3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3 QoS 역치에 기반하여,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트리거시키며;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통신 중단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트리거시키며;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4) 상기 제4 QoS 역치 및 상기 제4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4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4 QoS 역치에 기반하여,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트리거시키며;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4 통신 중단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트리거시키며;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5) 제4 QoS 역치 및 RSRP 역치, 상기 현재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5 QoS 역치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상기 RSRP 역치는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의 역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5 QoS 역치 및 RSRP 역치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5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며,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가 상기 RSRP 역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의 전환 수행을 트리거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구현 방식은,
1)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1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모든 QoS 플로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2)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3)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4)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제4 경로 전환 지시,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5)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제5 QoS 역치 및 RSRP 역치를 포함되는 경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가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5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며,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가 RSRP 역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QoS 파라미터는 시간 지연, 패킷 에러율, 지연 시간, 상시 플로우 비트율, 최대 플로우 비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이 먼저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한 후,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구현 방식은 미리 설정, 프로토콜 미리 규정, 네트워크 측 장치 구성(예를 들어 제1 단말이 네트워크 측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경로 전환 정보 수신),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협상을 통해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는 것, 다른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획득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획득 방법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상기 다른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단말이 직접 PC5 통신 및/또는 직접 Uu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전송하며;
또는, 제2 단말이 발견 메시지에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휴대하며; 제1 단말이 상기 발견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단말이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 전환을 수락하고 트리거 조건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경로 전환의 조건으로 결정하고,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협상을 통해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는 구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 또는 제2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협상 과정은 제1 통신 경로에서 구성하거나, 또는 제1 통신 경로 업데이트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PC5 통신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4 경로 전환 지시, 경로 전환 방향,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 제5 QoS 역치 및/또는 RSRP 역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락한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고, 그 후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할 수 있는 정보이다.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의 부분 집합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일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가 제1 경로 전환 정보보다 더 높은 요구가 있다면, 제1 단말은 제2 단말이 송신하는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할 수 있는 정보를 업데이트된 목표 경로 전환 정보로 결정하고 제2 단말로 알리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은 업데이트된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또는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락하지 않거나,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수락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1 전환 거부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제1 전환 거부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락하지 않거나,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수락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제1 전환 거부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협상 과정에 언급된 각 협상 메시지는 독립적인 PC5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기존 PC5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제2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이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다.
또는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락하지 않거나,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수락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제2 전환 거부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제2 전환 거부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락하지 않거나,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수락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제2 전환 거부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협상 과정에 언급된 각 협상 메시지는 독립적인 PC5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기존 PC5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다음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1)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2)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3)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 또는 경로 전환 종료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비활성화 사유 값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비활성화 사유 값은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경로 전환 종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종료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취소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비활성화 사유 값이 상기 혼잡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를 가동시키며; 상기 타이머가 목표 기간에 도달하기 전,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타이머가 목표 기간에 도달한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재차 활성화시키고, 즉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경로 전환 종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삭제하며;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1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는바, 즉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취소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회복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응답 정보를 송신하되, 여기서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이미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켰다는 것을 나타내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단말로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단말로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응답 정보를 송신하되, 여기서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응답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이미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응답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응답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다음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1)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2)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단말이 제2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3)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흐름도 2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301 단계: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직접 통신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직접 통신은 ProSe, V2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직접 PC5 통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직접 Uu 통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 상기 제2 단말은 위에 열거한 제1 단말(11), 제2 단말(12)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는 위에 열거한 네트워크 측 장치(13)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에서, 제2 단말은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동일한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게 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 간의 전환 트리거 조건 및 시기에 대해 일치한 이해를 갖게 할 수 있고, 직접 통신과 무선 통신 간에 동기화로 경로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이 먼저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한 후,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구현 방식은 미리 설정, 프로토콜 미리 규정, 네트워크 측 장치 구성(예를 들어 제2 단말이 네트워크 측 장치가 송신하는 목표 경로 전환 정보 수신),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협상을 통해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는 것, 다른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한 가지 획득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획득 방법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상기 다른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단말이 직접 PC5 통신 및/또는 직접 Uu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전송하며;
또는, 제1 단말이 발견 메시지에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휴대하며; 제2 단말이 상기 발견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2 단말이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 전환을 수락하고 트리거 조건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을 경로 전환의 조건으로 결정하고,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이 협상을 통해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는 구현 방식은, 상기 제1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 또는 제2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협상 과정은 제1 통신 경로에서 구성하거나, 또는 제1 통신 경로 업데이트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PC5 통신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인 단계;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협상 과정에 언급된 각 협상 메시지는 독립적인 PC5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기존 PC5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인 단계를 포함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제1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 및 제2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에 대한 설명 및 해석은 위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협상 과정에 언급된 각 협상 메시지는 독립적인 PC5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기존 PC5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및 모든 서비스 품질(QoS)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1 QoS 플로우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4 경로 전환 지시;
통신 경로의 전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경로 전환 방향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포함된 여러 가지 정보에 대한 설명 및 해석은 위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리거 조건은,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1 QoS 역치 및 상기 제1 통신 중단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와 연관되고, 상기 제1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2 QoS 역치 및 상기 제2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제2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상기 제3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3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4 QoS 역치 및 상기 제4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4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역치 - 상기 현재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5 QoS 역치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상기 RSRP 역치는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의 역치임 -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포함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트리거 조건에 포함된 여러 가지 정보에 대한 설명 및 해석은 위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구현 방식은,
1)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1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모든 QoS 플로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2)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3)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4)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제4 경로 전환 지시,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종료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경로 전환 종료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경로 전환 종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단말이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단말이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2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1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직접 PC5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2 통신 경로가 직접 Uu 통신 경로인 것을 예로 들면,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한 후,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직접 PC5 통신 경로와 직접 Uu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제1 단말의 초기 통신이 직접 PC5 통신과 직접 Uu 통신 중 하나이고, 전환 후 통신이 직접 PC5 통신과 직접 Uu 통신 중 초기 통신과 다른 통신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직접 PC5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2 통신 경로가 직접 Uu 통신 경로인 것을 예로 들면,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단말이 개시하는 협상 과정의 시그널링 흐름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401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수락한 상기 직접 PC5 통신 경로와 상기 직접 Uu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4 경로 전환 지시, 경로 전환 방향,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 제5 QoS 역치 및/또는 RSRP 역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402 단계: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직접 PC5 통신 경로와 상기 직접 Uu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락한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한다.
403 단계: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할 수 있는 정보이다.
404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직접 PC5 통신 경로와 상기 직접 Uu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직접 PC5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2 통신 경로가 직접 Uu 통신 경로인 것을 예로 들면,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단말이 개시하는 경로 전환 취소 과정의 시그널링 흐름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501 단계: 상기 직접 PC5 통신 경로와 상기 직접 Uu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한다.
502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단말이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 또는 경로 전환 종료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비활성화 사유 값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비활성화 사유 값은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경로 전환 종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종료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취소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비활성화 사유 값이 상기 혼잡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타이머를 가동시키며; 상기 타이머가 목표 기간에 도달하기 전,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타이머가 목표 기간에 도달한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재차 활성화시키고, 즉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503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경로 전환 종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삭제하며;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1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는바, 즉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취소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실행 주체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또는 해당 통신 경로 전환 장치 중의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경로 전환 장치가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의 구조도 1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경로 전환 장치(600)는 제1 단말에 적용되고,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제1 전환 모듈(60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는,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동일한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게 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 간의 전환 트리거 조건 및 시기에 대해 일치한 이해를 갖게 할 수 있고, 직접 통신과 무선 통신 간에 동기화로 경로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이며;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및 모든 서비스 품질(QoS)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1 QoS 플로우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4 경로 전환 지시;
통신 경로의 전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경로 전환 방향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리거 조건은,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1 QoS 역치 및 상기 제1 통신 중단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와 연관되고, 상기 제1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2 QoS 역치 및 상기 제2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제2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상기 제3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3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4 QoS 역치 및 상기 제4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4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역치 - 상기 현재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5 QoS 역치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상기 RSRP 역치는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의 역치임 -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1 송신 모듈;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종료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경로 전환 종료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경로 전환 종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삭제하는 삭제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회복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로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로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2 수신 모듈;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제1 수행 취소 모듈;
상기 제2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전환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 전환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2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1 통신 경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제1 전환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1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1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모든 QoS 플로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2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3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4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5 QoS 역치 및 RSRP 역치를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5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며,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가 RSRP 역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통신 경로 전환 장치는 운영체제를 구비한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일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 중의 부품, 집적 회로 또는 칩일 수도 있다. 해당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이동 단말일 수 있고, 또한 비이동 단말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 단말은 상기 열거한 제1 단말(11)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비이동 단말은 서버, 네트워크 부속 저장 장치(Network Attached Storage, NAS),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셀프서비스 장치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의 구조도 2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경로 전환 장치(700)는 제2 단말에 적용되고,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제2 전환 모듈(70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는,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동일한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게 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 간의 전환 트리거 조건 및 시기에 대해 일치한 이해를 갖게 할 수 있고, 직접 통신과 무선 통신 간에 동기화로 경로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이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및 모든 서비스 품질(QoS)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1 QoS 플로우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4 경로 전환 지시;
통신 경로의 전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경로 전환 방향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리거 조건은,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1 QoS 역치 및 상기 제1 통신 중단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와 연관되고, 상기 제1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2 QoS 역치 및 상기 제2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제2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상기 제3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3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4 QoS 역치 및 상기 제4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4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역치 - 상기 현재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5 QoS 역치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상기 RSRP 역치는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의 역치임 -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3 수신 모듈;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제2 수행 취소 모듈;
상기 제1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5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종료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경로 전환 종료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수행 취소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경로 전환 종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삭제한다.
선택적으로, 제2 수행 취소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4 수신 모듈;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는 제1 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5 수신 모듈;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는 제2 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6 송신 모듈;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6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전환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 전환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2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1 통신 경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제2 전환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1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1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모든 QoS 플로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2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3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4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5 QoS 역치 및 RSRP 역치를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5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며,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가 RSRP 역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통신 경로 전환 장치는 운영체제를 구비한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일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 중의 부품, 집적 회로 또는 칩일 수도 있다. 해당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이동 단말일 수 있고, 또한 비이동 단말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 단말은 상기 열거한 제2 단말(12)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비이동 단말은 서버, 네트워크 부속 저장 장치(Network Attached Storage, NAS),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셀프서비스 장치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1 단말의 구조도 1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800)은 프로세서(801), 메모리(802), 메모리(802)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801)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8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제1 단말을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해당 제1 단말 실시예는 상기 제1 단말 측 방법 실시예와 대응되고,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실시과정과 구현방식은 모두 해당 제1 단말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1 단말의 구조도 2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900)은 무선 주파수 유닛(901), 네트워크 모듈(902), 오디오 출력 유닛(903), 입력 유닛(904), 센서(905), 디스플레이 유닛(906), 사용자 입력 유닛(907), 인터페이스 유닛(908), 메모리(909) 및 프로세서(910) 등 중의 적어도 일부 부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제1 단말(900)은 또한 각 부품을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를 들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제1 단말의 구조가 제1 단말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제1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서로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9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9041)와 마이크(90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처리장치(9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가 취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906)은 디스플레이 패널(9061)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형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9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907)은 터치 패널(9071) 및 기타 입력 장치(9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9071)은 또한 터치 스크린이라 칭할 수 있다. 터치 패널(9071)은 터치 검출 장치와 터치 제어기 두 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9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스틱 등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네트워크 측 장치로부터 온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910)로 전송하여 처리를 진행하며;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측 장치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소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9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명령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09)는 주요하게 프로그램 또는 명령 저장 구역과 데이터 저장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프로그램 또는 명령 저장 구역에는 운영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명령(예를 들어 사운드 플레이 기능, 이미지 플레이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909)는 고속 무작위 접속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기억 소자, 플래시 소자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기억 소자이다.
프로세서(91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변조/복조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고, 여기에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운영 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명령 등을 처리하고,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바, 예를 들면 기저대역 프로세서이다. 상기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910)에 집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서, 프로세서(910)는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1 단말은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동일한 경로 전환 지시 정보에 기반하게 하여, 아울러 직접 통신과 무선 통신 간에 동기화로 경로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하여, 제1 단말과 제2 단말 간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이며;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및 모든 서비스 품질(QoS)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1 QoS 플로우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4 경로 전환 지시;
통신 경로의 전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경로 전환 방향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리거 조건은,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1 QoS 역치 및 상기 제1 통신 중단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와 연관되고, 상기 제1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2 QoS 역치 및 상기 제2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제2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상기 제3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3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4 QoS 역치 및 상기 제4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4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역치 - 상기 현재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5 QoS 역치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상기 RSRP 역치는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의 역치임 -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종료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경로 전환 종료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경로 전환 종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삭제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킨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회복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로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또한 상기 제2 단말로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또한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또한 상기 제2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 전환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2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1 통신 경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또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1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1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모든 QoS 플로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2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3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4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5 QoS 역치 및 RSRP 역치를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5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며,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가 RSRP 역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2 단말의 구조도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1000)은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1001)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제2 단말을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한다. 해당 제2 단말 실시예는 상기 제2 단말 측 방법 실시예와 대응되고,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실시과정과 구현방식은 모두 해당 제2 단말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일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휘발성일 수 있고, 또한 비휘발성일 수 있으며,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 중 상기 단말 중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예를 들어 컴퓨터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칩을 제공하는 바,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이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일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은 비휘발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문에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 배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뜻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 아니라, 또한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은 기타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을(를)을 포함하다”는 구절로 한정되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또한 기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짚고 넘어가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방식 중의 방법과 장치의 범위는 예시되거나 토론한 순서에 따라 실행된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언급된 기능에 의하여 기본상 동시적인 방식에 따라 또는 반대되는 순서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설명된 순서와 다르게 상기 설명한 방법을 실행하고, 또한 여러 가지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예시에서 기술한 특징을 참조하여 기타 예시에서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기재를 통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여러 경우 중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면을 결부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의 힌트 하에서 본 출원의 사상과 청구항이 보호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얼마든지 더욱 많은 형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73)

  1. 통신 경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인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인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및 모든 서비스 품질(QoS)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1 QoS 플로우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4 경로 전환 지시;
    통신 경로의 전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경로 전환 방향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은,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1 QoS 역치 및 상기 제1 통신 중단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와 연관되고, 상기 제1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2 QoS 역치 및 상기 제2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제2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상기 제3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3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4 QoS 역치 및 상기 제4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4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역치 - 상기 현재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5 QoS 역치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상기 RSRP 역치는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의 역치임 -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종료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경로 전환 종료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경로 전환 종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회복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2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1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1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1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모든 QoS 플로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2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3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4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5 QoS 역치 및 RSRP 역치를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5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며,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가 RSRP 역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18. 통신 경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인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인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및 모든 서비스 품질(QoS)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1 QoS 플로우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4 경로 전환 지시;
    통신 경로의 전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경로 전환 방향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은,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1 QoS 역치 및 상기 제1 통신 중단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와 연관되고, 상기 제1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2 QoS 역치 및 상기 제2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제2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상기 제3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3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4 QoS 역치 및 상기 제4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4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역치 - 상기 현재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5 QoS 역치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상기 RSRP 역치는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의 역치임 -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종료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경로 전환 종료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경로 전환 종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3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3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2 통신 경로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1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1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1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모든 QoS 플로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2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3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4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5 QoS 역치 및 RSRP 역치를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5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며,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가 RSRP 역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방법.
  35. 제1 단말에 적용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에 있어서,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제1 전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인 통신 경로 전환 장치.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이며;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및 모든 서비스 품질(QoS)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1 QoS 플로우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4 경로 전환 지시;
    통신 경로의 전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경로 전환 방향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은,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1 QoS 역치 및 상기 제1 통신 중단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와 연관되고, 상기 제1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2 QoS 역치 및 상기 제2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제2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상기 제3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3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4 QoS 역치 및 상기 제4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4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역치 - 상기 현재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5 QoS 역치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상기 RSRP 역치는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의 역치임 -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1 송신 모듈;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종료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경로 전환 종료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경로 전환 종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삭제하는 삭제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회복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로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4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로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4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2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2 수신 모듈;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제1 수행 취소 모듈;
    상기 제2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5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인 경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 전환하며;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2 통신 경로인 경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1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51.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1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1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모든 QoS 플로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2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3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4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5 QoS 역치 및 RSRP 역치를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5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며,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가 RSRP 역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52. 제2 단말에 적용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에 있어서,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통신 경로와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제2 전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제2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네트워크 측 장치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경로이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결정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이며;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한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경로 전환 정보에서 수락한 정보인 통신 경로 전환 장치.
  57.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는,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및 모든 서비스 품질(QoS) 플로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경로 전환 지시;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3 경로 전환 지시;
    제1 QoS 플로우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4 경로 전환 지시;
    통신 경로의 전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경로 전환 방향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은,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1 QoS 역치 및 상기 제1 통신 중단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와 연관되고, 상기 제1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2 QoS 역치 및 상기 제2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유형 및/또는 제1 세션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제2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상기 제3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서비스 아이디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3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 - 상기 제4 QoS 역치 및 상기 제4 통신 중단 정보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와 연관되고, 상기 제4 QoS 역치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임 -;
    제4 QoS 역치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역치 - 상기 현재 통신 경로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5 QoS 역치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의 QoS 파라미터의 역치이며, 상기 RSRP 역치는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의 역치임 -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59.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3 수신 모듈;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제2 수행 취소 모듈;
    상기 제1 단말로 제1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5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혼잡 제어 정보, 이동성 제한 정보, 셀룰러 신호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 중 적어도 한 가지 사유 값을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 수행을 종료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경로 전환 종료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행 취소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경로 전환 종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를 삭제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63. 제61항에 있어서,
    제2 수행 취소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경로 전환 취소 정보에 상기 트리거 조건 비활성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을 비활성화시키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4 수신 모듈;
    제1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는 제1 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6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5 수신 모듈;
    제2 트리거 조건 활성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조건을 활성화시키는 제2 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6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단말로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경로 전환 취소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6 송신 모듈;
    상기 제1 단말이 송신하는 제2 경로 전환 취소 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6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67. 제52항에 있어서,
    제2 전환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인 경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 전환하며;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2 통신 경로인 경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1 통신 경로로 전환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68.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환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1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1 QoS 역치 및/또는 제1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현재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1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모든 세션, 모든 QoS 플로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2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2 QoS 역치 및/또는 제2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유형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2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3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3 QoS 역치 및/또는 제3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상기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상기 제1 서비스 아이디에 대응하는 서비스 및/또는 제1 세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세션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3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4 경로 전환 지시, 상기 제4 QoS 역치 및/또는 제4 통신 중단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상기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에서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QoS 플로우 아이디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4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기 현재 통신 경로 상의 모든 서비스 및/또는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경로와 상기 제2 통신 경로의 전환을 수행하며;
    상기 목표 경로 전환 정보에 상기 제5 QoS 역치 및 RSRP 역치를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현재 통신 경로에서 중단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현재 통신 경로가 상기 제1 통신 경로이고, 상기 제1 통신 경로가 도달하거나 만족시킬 수 있는 QoS 파라미터가 상기 제5 QoS 역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며, 상기 제2 통신 경로 상의 RSRP가 RSRP 역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1 통신 경로에서 상기 제2 통신 경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통신 경로 전환 장치.
  69. 제1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제1 단말.
  70. 제2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8항 내지 제3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제2 단말.
  71.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제1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제2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8항 내지 제3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72. 칩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프로세서가 커플링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시켜, 제1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제18항 내지 제3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칩.
  73.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비휘발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제품이 제1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제2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8항 내지 제34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통신 경로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47012408A 2021-09-28 2022-09-26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장치, 제1 단말 및 제2 단말 KR202400606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146285.6 2021-09-28
CN202111146285.6A CN115884284A (zh) 2021-09-28 2021-09-28 通信路径切换方法、装置、第一终端及第二终端
PCT/CN2022/121323 WO2023051457A1 (zh) 2021-09-28 2022-09-26 通信路径切换方法、装置、第一终端及第二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657A true KR20240060657A (ko) 2024-05-08

Family

ID=8575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2408A KR20240060657A (ko) 2021-09-28 2022-09-26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장치, 제1 단말 및 제2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60657A (ko)
CN (1) CN115884284A (ko)
WO (1) WO20230514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50906B1 (en) * 2012-05-18 2018-01-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communication paths
CN104244294B (zh) * 2013-06-07 2018-03-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直接通信路径倒换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84284A (zh) 2023-03-31
WO2023051457A1 (zh)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88855A1 (zh) 路径切换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40118990A (ko) 통신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단말
WO2022227872A1 (zh) 优化异系统变换的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23016195A1 (zh) 呼叫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3825163A (zh) 通信异常时的重建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18120032A1 (zh) 小区切换方法和终端设备
WO2022257926A1 (zh) 基于旁链路的中继服务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2252716A1 (zh) 获取定时器参数的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60657A (ko) 통신 경로 전환 방법, 장치, 제1 단말 및 제2 단말
US10531510B2 (en) Method for service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device
KR20230138009A (ko) 통신 경로의 전환 방법, 장치 및 단말
JP2023554356A (ja) 中継通信方法及び装置
WO2024001952A1 (zh) 参数确定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045851A1 (zh) 双连接通信方法和设备
WO2023179599A1 (zh) 多路径建立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040895A1 (zh) 成功切换报告shr的生成方法、装置、ue及介质
CN113676853B (zh) 通话方法和终端设备
WO2023066355A1 (zh) 目标信息上报方法、终端及接入网设备
WO2024001985A1 (zh) 通信方法及终端
WO2024114598A1 (zh) 路径控制方法、装置、终端、网络侧设备及存储介质
WO2023004691A1 (zh) 去激活小区的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24093777A1 (zh) 终端聚合建立方法、配置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22237619A1 (zh) Rrc消息的传输方法及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WO2024017128A1 (zh) 业务处理方法及装置
CN116847478A (zh) 路径建立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