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138A -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138A
KR20240060138A KR1020220141414A KR20220141414A KR20240060138A KR 20240060138 A KR20240060138 A KR 20240060138A KR 1020220141414 A KR1020220141414 A KR 1020220141414A KR 20220141414 A KR20220141414 A KR 20220141414A KR 20240060138 A KR20240060138 A KR 20240060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tool
angle machine
body portion
unit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민
Original Assignee
김건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민 filed Critical 김건민
Priority to KR102022014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138A/ko
Publication of KR2024006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13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23B31/1071Retention by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7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 B23B31/1173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88Indication sca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저면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삽입부(11)가 이격 형성되고, 저면의 중앙에 제1 함몰부(12)가 함몰 형성되는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상면에 중앙점을 지나가는 일자형의 홈이 형성되는 둘 이상의 홈부(13),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의 상기 홈부(13)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죠(14),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높이조절부(21)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중앙에 제2 함몰부(31)가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부(30),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구성되어 높이조절부(21)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 및 상기 바디부(10) 및 상기 베이스부(30)의 사이에 구형으로 형성되는 중심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구(20)는 상기 바디부(10)의 상기 제1 함몰부(12) 및 상기 베이스부(30)의 상기 제2 함몰부(31)와 맞닿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30)는 저면의 중심점에 함몰 형성되는 삽입홀(32) 및 상기 삽입홀(32)에 삽입되어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3)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Multi-angle Machine Tool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공작물 고정장치로 공작물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작물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는 선반, 밀링, 연삭기 및 터닝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대표적인 공작기계의 고정장치인 선반척은 다수개의 죠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고정시킨 후, 회전하며 바이트 또는 가공날에 의해 공작물이 절삭가공되도록 사용된다.
종래의 공작기계 고정장치는 공작물의 일측과 수평으로 맞닿아 동일한 각도를 가지고 가공되므로 하나의 바이트 또는 가공날에에 의해 가공가능한 형태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22-0082280 A KR 10-1062911-00-0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공작물 고정장치로 공작물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작물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저면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삽입부(11)가 이격 형성되고, 저면의 중앙에 제1 함몰부(12)가 함몰 형성되는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상면에 중앙점을 지나가는 일자형의 홈이 형성되는 둘 이상의 홈부(13),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의 상기 홈부(13)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죠(14),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높이조절부(21)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중앙에 제2 함몰부(31)가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부(30),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구성되어 높이조절부(21)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 및 상기 바디부(10) 및 상기 베이스부(30)의 사이에 구형으로 형성되는 중심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구(20)는 상기 바디부(10)의 상기 제1 함몰부(12) 및 상기 베이스부(30)의 상기 제2 함몰부(31)와 맞닿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30)는 저면의 중심점에 함몰 형성되는 삽입홀(32) 및 상기 삽입홀(32)에 삽입되어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3)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10)는 상면의 중심점을 중심점으로 원형을 그리는 다수개의 반지름표시부(15)가 상면에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지름표시부(15)는 사전에 설정된 반지름 길이의 배수의 반지름을 가지되, 가장 가까운 상기 반지름표시부(15)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죠(14)는 상기 홈부(13)로부터 분리되고, 돌출부(14a)가 상기 바디부(10)의 내부를 향하거나 상기 바디부(10)의 외부를 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조절부(21)는 상기 바디부(10)의 상기 삽입부(11)에 삽입 고정되고, 스프링(21a), 유압실린더(21b) 및 실린더보호부(21c)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하 운동하며 각각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바디부(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13)는 상기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전체를 3차원으로 보았을 때, z축과 평행하고, 상기 높이조절부(21)의 (x,y)좌표를 지나는 다수개의 직선 중 두 개를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 고정장치의 구조를 변형시켜,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동일하게 수행하며, 회전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공작물을 다각도로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공작기계 고정장치가 가진 가공 형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선반, 밀링, 연삭기, 터닝 등의 다양항 공작기계에 고정장치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종래 기술인 선반척 사진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종래 기술인 선반척의 분해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의 작동으로 기울기가 생긴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종래 기술인 선반척 사진이고, 도 2는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종래 기술인 선반척의 분해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선반척이란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인 선반에 사용되는 고정장치로, 선반의 주축 끝에 붙어 가공시 공작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선반척에는 3~4개의 죠(jaw)가 부착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죠가 공작물을 꽉 붙잡도록 위치를 조절하여 이용한다. 다수개의 죠가 한번에 움직이는 연동척 및 다수개의 죠가 각각 따로 움직는 단동척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반척의 구조를 변형시켜, 공작물이 다각도로 기울기를 가지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선반척이 가지는 가공 형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선반척과 동일하게 다수개의 죠가 단동 또는 연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는 선반뿐만 아니라 밀링, 연삭기, 터닝 등의 다양한 공작기계에 고정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저면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삽입부(11)가 이격 형성되고, 저면의 중앙에 제1 함몰부(12)가 함몰 형성되는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상면에 중앙점을 지나가는 일자형의 홈이 형성되는 둘 이상의 홈부(13),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의 상기 홈부(13)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죠(14),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높이조절부(21)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중앙에 제2 함몰부(31)가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부(30),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구성되어 높이조절부(21)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와 상기 바디부(10) 및 상기 베이스부(30)의 사이에 구형으로 형성되는 중심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구(20)는 상기 바디부(10)의 상기 제1 함몰부(12) 및 상기 베이스부(30)의 상기 제2 함몰부(31)와 맞닿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와 상기 베이스부(30)를 연결 구속시켜주어 상기 높이조절부(21)의 움직임을 받쳐줄 수 있다. 상기 중심구(20)는 구의 형상을 가져 모든 각도에서 접촉이 가능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0)는 저면의 중심점에 함몰 형성되는 삽입홀(32, 미도시)과 상기 삽입홀(32, 미도시)에 삽입되어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3,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10)는 상면의 중심점을 중심점으로 원형을 그리는 다수개의 반지름표시부(15)가 상면에 음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지름표시부(15)는 사전에 설정된 반지름 길이의 배수의 반지름을 가지되, 가장 가까운 상기 반지름표시부(15)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죠(14)는 상기 홈부(13)로부터 분리되고, 돌출부(14a)가 상기 바디부(10)의 내부를 향하거나 상기 바디부(10)의 외부를 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하고자하는 공작물의 형태에 따라, 상기 죠(14)의 방향을 달리 사용하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죠(14)는 공작물의 외경을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외경용 또는 공작물의 내경을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내경용으로 별도의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a)가 상기 바디부(10)의 내부를 향하도록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10)의 상면과 상기 돌출부(14a)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죠(14)의 사이 간격보다 작은 공간이 발생하여 공작물을 끼운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공작물의 지름이 짧은 경우 사용하기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4a)가 상기 바디부(10)의 외부를 향하도록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10)의 상면과 상기 돌출부(14a)의 사이에 다수개의 상기 죠(14)로 형성되는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공작물을 끼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죠(14)는 일반적으로 산업에서 사용되는 죠 위치 조절장치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며, 다수개의 상기 죠(14)의 위치가 한번에 상기 바디부(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되는 연동방식 또는 다수개의 상기 죠(14)의 위치가 각각 따로 이동되는 단동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죠(14)가 단동방식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반지름표시부(15)를 확인하여 각각의 상기 죠(14)가 올바른 위치에 고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13)는 상기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전체를 3차원으로 보았을 때, z축과 평행하고, 상기 높이조절부(21)의 (x,y)좌표를 지나는 다수개의 직선 중 두 개를 지나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홈부(13), 상기 죠(14), 상기 삽입부(11) 및 상기 높이조절부(21)의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홈부(13)의 일측과 상기 죠(14), 상기 삽입부(11) 및 상기 높이조절부(21)가 동일한 Z축에 일렬로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의 작동으로 기울기가 생긴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부(21)는 상기 바디부(10)의 상기 삽입부(11)에 삽입 고정되고, 스프링(21a), 유압실린더(21b) 및 실린더보호부(21c)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하 운동하며 각각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바디부(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21)는 제어부(16)로부터 수신된 전자신호에 의해 각각의 상기 유압실린더(21b)가 작동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실린더보호부(21c)는 상기 유압실린더(21b)를 고정 및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보호부(21c)는 상기 유압실린더(21b)의 이동거리에 맞추어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공작기계에서 가공이 이루어질 때, 주분력, 배분력 등의 상당한 저항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부하가 상기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에도 이루어지기에 상기 스프링(21a)은 이를 버텨주는 역할을 한다.
3개 이상의 상기 높이조절부(21)가 장착된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유압실린더(21b)의 이동거리를 전자신호로 움직이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상기 유압실린더(21b)의 이동거리는 공작기계에서 5축(x축, -x축, y축, z축 및 -z축)으로 변환되어 다각도로 적용될 수 있다.
10: 바디부 11: 삽입부
12: 제1 함몰부 13: 홈부
14: 죠 14a: 돌출부
15: 반지름표시부 16: 제어부
20: 중심구 21: 높이조절부
21a: 스프링 21b: 유압실린더
21c: 실린더보호부
30: 베이스부 31: 제2 함몰부
32: 삽입홀 33: 회전축

Claims (5)

  1.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저면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삽입부(11)가 이격 형성되고, 저면의 중앙에 제1 함몰부(12)가 함몰 형성되는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상면에 중앙점을 지나가는 일자형의 홈이 형성되는 둘 이상의 홈부(13);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의 상기 홈부(13)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죠(14);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높이조절부(21)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중앙에 제2 함몰부(31)가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부(30);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구성되어 높이조절부(21)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 및
    상기 바디부(10) 및 상기 베이스부(30)의 사이에 구형으로 형성되는 중심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구(20)는
    상기 바디부(10)의 상기 제1 함몰부(12) 및 상기 베이스부(30)의 상기 제2 함몰부(31)와 맞닿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30)는
    저면의 중심점에 함몰 형성되는 삽입홀(32); 및
    상기 삽입홀(32)에 삽입되어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3);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는
    상면의 중심점을 중심점으로 원형을 그리는 다수개의 반지름표시부(15)가 상면에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지름표시부(15)는
    사전에 설정된 반지름 길이의 배수의 반지름을 가지되,
    가장 가까운 상기 반지름표시부(15)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죠(14)는
    상기 홈부(13)로부터 분리되고,
    돌출부(14a)가 상기 바디부(10)의 내부를 향하거나 상기 바디부(10)의 외부를 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21)는
    상기 바디부(10)의 상기 삽입부(11)에 삽입 고정되고,
    스프링(21a), 유압실린더(21b) 및 실린더보호부(21c)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하 운동하며 각각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바디부(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13)는
    상기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전체를 3차원으로 보았을 때,
    z축과 평행하고, 상기 높이조절부(21)의 (x,y)좌표를 지나는 다수개의 직선 중 두 개를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KR1020220141414A 2022-10-28 2022-10-28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KR20240060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414A KR20240060138A (ko) 2022-10-28 2022-10-28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414A KR20240060138A (ko) 2022-10-28 2022-10-28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138A true KR20240060138A (ko) 2024-05-08

Family

ID=9107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414A KR20240060138A (ko) 2022-10-28 2022-10-28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013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911B1 (ko) 2009-11-06 2011-09-06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공작기계의 척
KR20220082280A (ko) 2020-12-10 2022-06-17 김재현 선반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911B1 (ko) 2009-11-06 2011-09-06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공작기계의 척
KR20220082280A (ko) 2020-12-10 2022-06-17 김재현 선반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250B1 (ko) 작업편 클램핑용 장치
US10875155B2 (en) Universal fixture based machine tool
US4832326A (en) Method for the precise geometrical positioning of work pieces
US8382085B2 (en) Computer-controlled machining center with a clamping device for dental workpiece milling
RU2697118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углом в плане режущей пластины
US5419540A (en) Workpiece support for use in a machine tool vise
CN105563173A (zh) 加工装置
TWI607823B (zh) 浮動式加工平台、浮動式加工系統及浮動式加工方法
JP5380963B2 (ja) レスト装置を備える工作機械およびレスト装置を用いる加工方法
JP4902396B2 (ja) 芯出し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芯出し位置決め方法
KR20240060138A (ko) 다각도 공작기계 고정장치
KR101488256B1 (ko) 보철물 가공기의 자동 툴 교환을 위한 툴 보관대
US11077501B2 (en) Method of machining a rotationally symmetric surface of a workpiece and turning apparatus
CN109108695B (zh) 一种三轴加工中心加工斜面孔的夹具
CN213998637U (zh) 一种圆形工件自定心工装
CN212886261U (zh) 一种液压阀加工夹具
KR200483070Y1 (ko) 고속 문형 머시닝 센터
US7334313B2 (en) Numeric control bore for boring an eyeglass lens and corresponding method
JP5611691B2 (ja) 工作機械およびワーク加工方法
CN213053760U (zh) 轴类工件加工用固定夹具
CN107538249A (zh) 一种加工空间多孔位零件的随行夹具
CN209754583U (zh) 一种调整立车夹具定位中心的结构
US10293412B2 (en) Chuck arrangement
CN209754570U (zh) 一种组合式定位夹具
CN105458762A (zh) 一种钳式夹具工作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