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438A -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 Google Patents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438A
KR20240059438A KR1020220140686A KR20220140686A KR20240059438A KR 20240059438 A KR20240059438 A KR 20240059438A KR 1020220140686 A KR1020220140686 A KR 1020220140686A KR 20220140686 A KR20220140686 A KR 20220140686A KR 20240059438 A KR20240059438 A KR 20240059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uid
intake
valve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랑
조종오
신대훈
박영주
엄준용
이재민
신명철
김균태
이상혁
신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438A/en
Publication of KR2024005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438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1/00Accessories, e.g. safety or control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gulators, valves in inlet or overflow du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2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5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rotors, e.g. impeller, ventilator, fan, blower, pump

Landscapes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용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부는, 상기 유체 내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제1 정화부 및 상기 제1 정화부와 연통되며, 상기 유체 내에 포함된 질소 산화물을 포집하는 제2 정화부를 포함하며, 이로써 용융로로부터 발생하는 먼지 및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top of a melting furnace and includes an intake part through which fluid flows, an outlet part through which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is discharged, and a space between the intake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 blower that is disposed and generates a flow of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portion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and a purifier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and purifies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ortion. The purifying unit includes a first purifying unit that collects dust contained in the fluid, and a second purifying unit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urifying unit and collects nitrogen oxides contained in the fluid, thereby forming a melting furnace. Dust and nitrogen oxides generated from the system can be removed.

Description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Air pollutant removal system}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본 발명은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최근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환경 문제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 교통 시설 등과 같이 연료를 사용하는 시설에서는 오염물질이 배출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에는 대기환경을 악화시키는 미세분진이나 비산먼지 및 부유성 유해물질 등이 포함된다. 위와 같은 대기오염물질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체내에 침투하여 여러가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Recently, as the industry develops, environmental problems are also increasing. In general, pollutants are emitted from facilities that use fuel, such as industry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These pollutants include fine dust, flying dust, and floating harmful substances that worse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he above air pollutants can penetrate the body through the human respiratory tract and cause various diseases.

이에 지속가능한 개발 및 친환경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산업 폐기물 배출 규제, 미세먼지 저감 정책 및 탄소 중립 등의 다양한 환경 정책들이 실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철소에서도 미세먼지, 탄소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Accordingly,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co-friendly issues are emerging, and various environmental policies such as industrial waste emission regulations, fine dust reduction policies, and carbon neutrality are being implemented. Accordingly, steel mills are also making efforts to reduce fine dust and carbon emissions.

위와 같은 이유로, 기존 제철 공정의 경우 공정 중 발생한 분진 및 질소산화물과 같은 대기오염물질을 해결하기 위해 처리설비를 구축해왔으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탈황 설비,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탈질 설비 및 분진 처리 설비 등이 구축되어 있다.For the above reasons, in the case of existing steelmaking processes, treatment facilities have been built to resolve air pollutants such as dust and nitrogen oxide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including desulfurization facilities to remove sulfur oxides, denitrification facilities to remove nitrogen oxides, and dust treatment facilities. etc. are built.

그러나 전기로를 사용하는 공정의 경우 공정 중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처리 설비가 미비하며, 특히 질소산화물과 같은 대기오염물질 처리설비는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processes using electric furnaces, facilities for treating air pollutants emitted during the process are insufficient, and in particular, facilities for treating air pollutants such as nitrogen oxides have not been built.

따라서 먼지, 질소산화물 등의 복합적인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remove complex air pollutants such as dust and nitrogen oxide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용융로로부터 발생하는 먼지 및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that can remove dust and nitrogen oxides generated from a melting furna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용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부는, 상기 유체 내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제1 정화부 및 상기 제1 정화부와 연통되며, 상기 유체 내에 포함된 질소 산화물을 포집하는 제2 정화부를 포함한다.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a melting furnace, and includes an intake part into which fluid flows, an outlet part through which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is discharged, and between the intake part and the discharge part. It is disposed in, a blowing part that generates a flow of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part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and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purifies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and a purifying unit, wherein the purifying unit includes a first purifying unit that collects dust contained in the fluid, and a second purifying unit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urifying unit and collects nitrogen oxides contained in the fluid.

또한, 상기 정화부는 상기 흡기부와 상기 송풍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정화부는 상기 제1 정화부와 상기 송풍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urifying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take unit and the blowing unit, and the second purifying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urifying unit and the blowing unit.

또한, 상기 제1 정화부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먼지를 미립자와 조립자로 분리하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에 의해 분리된 조립자를 수용하는 호퍼를 포함하는 제1 집진부, 상기 사이클론에 의해 분리된 미립자가 유입되어, 상기 미립자를 필터링 하는 제2 집진부 및 상기 제1 집진부와 상기 제2 집진부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 쿨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urifying unit includes a cyclone that separates the dust into fine particles and coarse particles by centrifugal force, and a first dust collecting part including a hopper that accommodates the coarse particles separated by the cyclone, and the fine particles separated by the cyclone are introduced. , It may include a second dust collection unit that filters the particulates, and a cooling cool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또한, 상기 정화부 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정화부에서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쳐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정화부에서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in the purific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luid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purification unit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to the discharge unit or from the first purification unit. It can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또한, 상기 정화부는 상기 제1 집진부의 출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내 먼지 입자의 직경 또는 양을 측정하는 먼지 측정 유닛 및 상기 제1 집진부의 출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내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includes a dust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diameter or amount of dust particles in the fluid and is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oxide in the fluid. It may further include a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또한, 상기 정화부는 상기 제1 집진부와 상기 제2 집진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 상기 제1 집진부와 상기 제2 정화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 상기 제1 집진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3 밸브, 상기 제2 집진부와 상기 제2 정화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4 밸브 및 상기 제2 집진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5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unit includes a first valve that opens and closes a flow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a second valve that opens and closes a flow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and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 third valve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discharge unit, a fourth valve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and a fifth valve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discharge unit.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3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에서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쳐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more than the preset value, the control unit closes the first valve and the third valve and closes the second valve. By opening, the fluid can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to the discharge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3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에서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loses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third valve is closed. By opening the valve, the fluid can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to the discharge uni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5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4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에서 상기 제2 집진부를 거치되,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pens the first valve and the fifth valve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fourth valve is opened. By closing the valve, the fluid can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to the discharge unit through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4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5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에서 상기 제2 집진부 및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쳐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pens the first valve and the fourth valve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ing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and the fifth valve is opened. By closing the valve, the fluid can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through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to the discharge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용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는 복수 개의 용융로의 상부에서 이동한다.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melting furnace and includes an intake part through which fluid flows, an outlet part through which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is discharged, and a space between the intake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 blower that is disposed and generates a flow of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portion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and a purifier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and purifies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ortion. and a section, wherein the intake section moves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melting furnac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용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는 복수 개의 용융로의 상부에서 상기 용융로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다.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top of a melting furnace and includes an intake part through which fluid flows, an outlet part through which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is discharged, and an intake part between the intake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a blowing unit that generates a flow of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unit and discharges from the discharge unit, and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unit and the discharge unit to purify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unit. It includes a purification unit, and a plurality of intake units are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melting furnace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melting furna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용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부는, 상기 유체 내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제1 정화부 및 상기 제1 정화부와 연통되며, 상기 유체 내에 포함된 질소 산화물을 포집하는 제2 정화부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용융로로부터 발생하는 먼지 및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a melting furnace, and includes an intake part into which fluid flows, an outlet part through which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is discharged, and between the intake part and the discharge part. It is disposed in, a blowing part that generates a flow of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part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and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purifies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a purifying unit, wherein the purifying unit includes a first purifying unit that collects dust contained in the fluid, and a second purifying unit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urifying unit and collects nitrogen oxides contained in the fluid, Accordingly, dust and nitrogen oxides generated from the melting furnace can be rem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1 밸브 내지 제5 밸브의 선택적 개폐에 따른 유체 흐름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에서 흡기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D are diagrams showing fluid flow paths according to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to fifth valves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intake unit in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또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or region, layer, section, etc.) is said to be “on,”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placed/connected/on th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they can be combined or a third component can be placed between them.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include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or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omitted, and reference signs are added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n this regard, identical or similar reference sign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below,” “on the lower side,” “above,” and “on the upper side” a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above terms are relative concepts and are explained based on the direction indicated in the drawings.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일 실시예One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흡기부(10), 배출부(20), 송풍부(30) 및 정화부(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ake unit 10, an discharge unit 20, a blower 30, and a purification unit 40.

먼저 흡기부(10)는 용융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유체가 유입되며, 배출부(20)는 상기 흡기부(10)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된다. 여기서 용융로란 용융점 이상의 열을 가해 금속을 용융시키는 노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철 스크랩 또는 DRI를 녹여 강을 제조하는 전기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유체는 대기 중의 공기 및 용융로의 가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또는 질소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intake unit 10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melting furnace to allow fluid to flow in, and the discharge unit 20 discharges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unit 10. Here, a melting furnace refers to a furnace that melts metal by applying heat above the melting point. For example, it may refer to an electric furnace that melts iron scrap or DRI to produce steel. Additionally, the fluid may contain air in the atmosphere and dust or nitrogen oxide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elting furnace.

송풍부(30)는 상기 흡기부(10)와 상기 배출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흡기부(10)에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20)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정화부(40)는 상기 흡기부(10)와 상기 배출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10)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한다.The blower 30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art 10 and the discharge part 20, and directs the flow of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part 10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20. The purification unit 40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unit 10 and the discharge unit 20 and purifies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unit 10.

여기서 구성과 구성 사이에 배치된다는 것은, 구성과 구성 사이의 유체 흐름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흡기부(10)와 배출부(20) 사이에 배치된다는 것은 흡기부(10)와 배출부(20) 사이의 유체 흐름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두 동일한 의미로 해석하기로 한다.Here, being disposed between the configurations may mean being located on a fluid flow path between the configurations, and for example, being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ortion 10 and the discharge portion 20 means the intake portion ( This may mean that it is located on the fluid flow path between 10) and the discharge unit 20. Hereinafter, they will all be interpreted with the same meaning.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부(40)는 상기 유체 내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제1 정화부(410) 및 상기 제1 정화부(410)와 연통되며, 상기 유체 내에 포함된 질소 산화물을 포집하는 제2 정화부(420)를 포함한다. 이로써, 용융로에서 발생하는 먼지 및 질소 산화물이 포함된 복합 대기오염물질을 하나의 처리 설비 또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설비 또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질소 산화물을 포함한 복합적인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설치비 및 운영비를 감소할 수 있고,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Meanwhile, the purifying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urifying unit 410 and a first purifying unit 410 that collects dust contained in the fluid. It includes a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that collects nitrogen oxides. As a result, complex air pollutants including dust and nitrogen oxides generated from the melting furnace can be effectively removed using a single treatment facility or system. Additionally, by removing complex air pollutants, including nitrogen oxides, using a single facility or system, installation and operating costs can be reduced and installation space can be minimiz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흡기부(10)는 용융로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한 유체가 유입되는 구성이다. 흡기부(10)는 하부가 개방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후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기부(10)는 용융로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용융로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한 유체를 개방된 하부에서 흡기할 수 있다.Continuing to refer to FIG. 1 , the intake unit 10 is configured to allow fluid containing air pollutants generated in a melting furnace to flow in. The intake unit 10 may have a hood shape that is open at the bottom and narrow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intake unit 10 may be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or more at the top of the melting furnace, and may intake fluid containing air pollutants generated in the melting furnace from the open lower part.

다음으로 배출부(20)는, 흡기부(10)에서 유입된 유체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단순한 파이프 또는 배출관의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개폐 밸브 또는 배출 노즐 등의 구성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Next, the discharge unit 20 is a configuration through which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unit 10 is finally discharged. For example, it may be in the form of a simple pipe or discharge pi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 opening/closing valve or discharge nozzle. It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송풍부(30)는 흡기부(10) 및 본 발명의 시스템 전체에서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석션 측 부압을 이용하여 가스를 빨아들인 후 배출하는 ID Fan(Induced Draft Fan)일 수 있다.The blower 30 is a device that generates a flow of fluid in the intake unit 10 and the enti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 ID Fan (Induced Draft Fan) that sucks in gas using negative pressure on the suction side and then discharges it. ) can be.

정화부(40)는 유체 내에 포함된 먼지뿐 아니라 질소 산화물까지 정화하는 구성으로, 정화부(40)는 상기 흡기부(10)와 상기 송풍부(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정화부(420)는 상기 제1 정화부(410)와 상기 송풍부(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정화부(410)에서 먼지를 포집한 후, 제2 정화부(420)에서 질소 산화물을 순차적으로 포집할 수 있으며, 각 오염물질 별로 분리 포집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purifying unit 40 is configured to purify not only dust contained in the fluid but also nitrogen oxides, and the purifying unit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take unit 10 and the blowing unit 30. Additionally,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urification unit 410 and the blowing unit 30. Accordingly, after collecting dust in the first purification unit 410, nitrogen oxides can be sequentially collected in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and purific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separately collecting each pollutant.

즉, 경로 순서대로 살펴보면, 흡기부(10)에서 유입된 유체는 제1 정화부(410)에서 먼지가 포집되고, 제2 정화부(420)에서 질소 산화물이 포집된 다음 및 송풍부(30) 통해 최종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송풍부(30)는 경로상 말단에 위치하나, 상기 흡기부(10)에서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looking at the path order,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unit 10 collects dust in the first purifier 410, collects nitrogen oxides in the second purifier 42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blower 30. It can be finally discharged through However, here, the blower 30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path, but of course, it can generate a fluid flow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portion 10.

제1 정화부(41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1 정화부(410)는 제1 집진부(411), 제2 집진부(412) 및 냉각 쿨러(413)를 포함할 수 있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purifier 410 in more detail, the first purifier 410 may include a first dust collector 411, a second dust collector 412, and a cooling cooler 413.

먼저 제1 집진부(411)는 원심력 및 중력에 의해 상기 먼지를 미립자와 조립자로 분리하는 사이클론(411a)과, 상기 사이클론(411a)에 의해 분리된 조립자를 수용하는 호퍼(41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집진부(411)는 비교적 간이한 장치를 이용하여 크기가 큰 먼지를 물리적으로 포집할 수 있으며, 제2 집진부(412) 이전에 1차적으로 큰 먼지를 포집함으로써 후술할 제2 집진부(412)의 미립자 포집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may include a cyclone 411a that separates the dust into fine particles and particles by centrifugal force and gravity, and a hopper 411b that accommodates the particles separated by the cyclone 411a. . That is,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can physically collect large-sized dust using a relatively simple device, and primarily collects large dust before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2, thereby forming a second dust collect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412) can greatly improve the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다음으로 제2 집진부(412)에는 상기 사이클론(411a)에 의해 분리된 미립자가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미립자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제2 집진부(412)는 예를 들어 전기/화학적으로 미세먼지 또는 미립자들을 포집하는 필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세먼지들을 포집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다.Next, particulates separated by the cyclone 411a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2, and the particulates may be filtered.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2 may be, for example, a filter that collects fine dust or particulates electrically/chemically,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ny device that can collect fine dust is sufficient.

냉각 쿨러(413)는 상기 제1 집진부(411)와 상기 제2 집진부(41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부(10)에서 유입된 유체들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고온의 유체가 시스템 내에서 각 장치 또는 구성에 열 피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각 구성 및 시스템 전체의 수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cooling cooler 41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part 41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part 412 and may serve to cool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10, thereby allowing the high temperature fluid to cool. It prevents heat damage to each device or component within the system and ensures long life of each component and the entire system.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의 제1 정화부(410)는 제1 집진부(411)와 제2 집진부(412)를 포함하고, 두 개의 단계를 거쳐 분리 포집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such, the first purification unit 410 of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and a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2, and separates and collects the air pollutants through two stages to maximize purification efficiency. You can.

제2 정화부(420)는 예를 들어 선택적 촉매 환원을 수행하여 질소 산화물을 질소와 이산화탄소로 분리시키는 SCR Catalyst(Selective Catalyst Reduction)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체 내 질소 산화물(NOx)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may be, for example, an SCR Catalyst (Selective Catalyst Reduction) that performs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to separate nitrogen oxides into nitrogen and carbon dioxid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not limited to nitrogen oxides (NOx) in the fluid. Any configuration that can remove is sufficien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유체가 제1 정화부(410)의 제1 집진부(411), 제2 집진부(412) 또는 제2 정화부 (420)를 선택적으로 거치게 하여 정화 효율을 높이고, 장치의 수명을 오래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luid to be transferred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2, or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of the first purification unit 410, as needed. By selectively performing the process, purific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lifespan of the devic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below.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정화부(40) 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정화부(410)에서 상기 제2 정화부(420)를 거쳐 상기 배출부(20)로 배출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정화부(410)에서 상기 제2 정화부(42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부(20)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irst,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flow in the purification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allows the fluid to flow in the first purification unit 410. It is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20 through the second purifier 420, or discharged from the first purifier 410 to the discharge unit 2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urifier 420. It can be controlled as much as possible.

먼저 정화부(40)는 제1 집진부(411)의 출구 측에 구비되며, 유체 내 먼지 입자의 직경 또는 양을 측정하는 먼지 측정 유닛(도면 미도시)과, 제1 집진부(411)의 출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내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정화부(40)는 먼지 측정 유닛 및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을 통해 유체 내 먼지와 질소 산화물을 측정하고, 측정 값을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전달된 값을 기초로 정화부(40) 내의 유체 흐름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다.First, the purification unit 40 is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and includes a dust measuring unit (not shown) that measures the diameter or amount of dust particles in the fluid, and a dust measurement unit (not shown) that measures the diameter or amount of dust particles in the fluid. It is provided in and may further include a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not shown)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oxide in the fluid. That is, the purification unit 40 measures dust and nitrogen oxides in the fluid through the dust measurement unit and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s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purifies the purification unit 40 based on the transmitted values. The fluid flow path within can be changed.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정화부(40)는 제1 밸브(431) 내지 제5 밸브(43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밸브(431)는 상기 제1 집진부(411)와 상기 제2 집진부(412)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고, 제2 밸브(432)는 상기 제1 집진부(411)와 상기 제2 정화부(420)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고, 제3 밸브(433)는 상기 제1 집진부(411)와 상기 배출부(20)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고, 제4 밸브(434)는 상기 제2 집진부(412)와 상기 제2 정화부(420)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며, 제5 밸브(435)는 상기 제2 집진부(412)와 상기 배출부(20)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5 밸브(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유로 사이에 제1 밸브(431) 내지 제5 밸브(435)가 위치하여 각 유로가 개폐됨으로써 유체 흐름 경로가 변화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detail, the purification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valve 431 to a fifth valve 435, and the first valve 431 includes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 412), the second valve 432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and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and the third valve 433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and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1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dust collection part 411 and the discharge part 20, and the fourth valve 434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dust coll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purification part 420. , The fifth valve 435 may further include a fifth valve 435 that opens and closes a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2 and the discharge unit 20. That is, the first to fifth valves 431 to 435 are located between each flow path, so that each flow path is opened and closed, thereby changing the fluid flow path.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제어부에 의한 제1 밸브 내지 제5 밸브 개폐에 따른 유체의 흐름 및 정화 경로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D, the fluid flow and purification path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to fifth valves by the control unit will be examined in detail.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밸브(431) 및 상기 제3 밸브(433)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밸브(432)를 개방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411)에서 상기 제2 정화부(420)를 거쳐 상기 배출부(20)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A,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more than the preset value, the first valve 431 and the third valve By closing (433) and opening the second valve (432), the fluid can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to the discharge unit (20). there is.

여기서 기 설정 값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설정하는 값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정한 오염물질의 배출 한계 값일 수 있다. 오염물질의 배출 한계 값이란, 예를 들어 정부 정책, 규제에 따라 제철소에서 배출할 수 있는 최대 값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판단에 따라 더 낮은 값일 수 있다.Here, the preset value is a value set by the user as neede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 pollutant emission limit value set by the user. The emission limit value of pollutants may, for example, be the maximum value that can be emitted from a steel mill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ies and regulation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lower value depending on the user's judgment.

한편,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이라는 의미는 제1 집진부(411)에서 분리 포집되고 남은 유체에서 미립자 또는 미세 먼지의 양이 사용자가 설정한 값보다 미만으로, 미세 먼지의 존재 양이 적어 먼지 포집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이라는 의미는 용융로에서 발생되어 흡기부(10)를 통해 유입된 유체 내 질소 산화물의 측정치가 다소 높아 질소 산화물의 포집이 필요하다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 밸브(431) 내지 제3 밸브(433)의 개폐를 통해, 제1 집진부(411)를 통과한 유체가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제2 집진부(412)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제2 정화부(420)에서 질소 산화물만 제거한 다음 배출부(20)로 배출되게 제어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fact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means that the amount of particulates or fine dust in the fluid remaining after being separated and collected in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is less than the value set by the user, and the amount of fine dust present is less than the value set by the user. This means that dust collection is unnecessary because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higher than the preset value, which means that the measured value of nitrogen oxide in the fluid generated from the melting furnace and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unit 10 is somewhat high, and thus nitrogen oxide It may be necessary to capture . Therefore, the control unit opens and closes the first valve 431 to the third valve 433,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is directly purifi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2, which collects fine dust. Only nitrogen oxides are removed from the unit 420 and then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20.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불필요한 정화를 최소화하고 제2 집진부(412)의 수명 및 성능을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시스템 전체의 정화 속도 및 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unnecessary purification, maintain the lifespan and performance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2 for a long time,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purification speed and efficiency of the entire system.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밸브(431) 및 상기 제2 밸브(432)를 폐쇄하고, 상기 제3 밸브(433)를 개방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411)에서 상기 제2 정화부(42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부(20)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2b,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the first valve 431 and the second 2 Close the valve 432 and open the third valve 433, so that th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to the discharge unit 2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It can be controlled as much as possible.

여기서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이라는 의미는 제1 집진부(411)에서 분리 포집되고 남은 유체에서 미립자 또는 미세 먼지의 양이 사용자가 설정한 값보다 미만으로, 미세 먼지의 존재양이 적어 먼지 포집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이라는 의미는 질소 산화물의 측정치가 다소 낮아 질소 산화물 역시 포집이 불필요하다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 밸브(431) 내지 제3 밸브(433)의 개폐를 통해, 제1 집진부(411)를 통과한 유체가 제2 집진부(412) 및 제2 정화부(420)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배출부(20)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Here, the fact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means that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or fine dust in the remaining fluid after being separated and collected in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is less than the value set by the user, and the amount of fine dust is lower than the value set by the user. This means that dust collection is unnecessary, and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it may mean that the measured value of nitrogen oxide is somewhat low and collection of nitrogen oxide is unnecessary. Therefore, the control unit opens and closes the first valve 431 to the third valve 433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does not pass through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2 and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It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discharge part (20).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불필요한 정화를 최소화하고 제2 집진부(412) 및 제2 정화부(420)의 수명 및 성능을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시스템 전체의 정화 속도 및 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unnecessary purification, maintain the lifespan and performance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2 and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for a long time, and significantly increase the purification speed and efficiency of the entire system. It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밸브(431) 및 상기 제5 밸브(435)를 개방하고, 상기 제4 밸브(434)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411)에서 상기 제2 집진부(412)를 거치되, 상기 제2 정화부(42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부(20)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밸브(432) 및 제3 밸브(433) 또한 폐쇄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2C,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ing unit is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ing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the first valve 431 and the fifth The valve 435 is opened and the fourth valve 434 is closed, so that the fluid passes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part 411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purification part 420. It can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20 without passing through. At this time, the second valve 432 and the third valve 433 may also be closed.

여기서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이라는 의미는 제1 집진부(411)에서 분리 포집되고 남은 유체에서 미립자 또는 미세 먼지의 양이 사용자가 설정한 값보다 이상으로, 미세 먼지의 존재양이 다소 많아 포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이라는 의미는 질소 산화물의 측정치가 다소 낮아 질소 산화물의 포집이 불필요하다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 밸브(431), 제4 밸브(434) 및 제5 밸브(435)의 개폐를 통해, 제1 집진부(411)를 통과한 유체가 제2 집진부(412)를 거치되 제2 정화부(420)를 거치지 않고 배출부(20)로 바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fact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means that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or fine dust in the fluid remaining after being separated and collected in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is greater than the value set by the user, and the amount of fine dust is higher than the value set by the user. This means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meaning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is somewhat low and that collection of the nitrogen oxide is unnecessary. Therefore, the control unit opens and closes the first valve 431, the fourth valve 434, and the fifth valve 435,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passes through the second dust coll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part 412. It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discharge unit 20 without going through the purification unit 420.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불필요한 정화를 최소화하고, 제2 정화부(420)의 수명 및 성능을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시스템 전체의 정화 속도 및 에너지 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unnecessary purification, maintain the lifespan and performance of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for a long time,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purification speed and energy efficiency of the entire system.

마지막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밸브(431) 및 상기 제4 밸브(434)를 개방하고, 상기 제5 밸브(435)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411)에서 상기 제2 집진부(412) 및 상기 제2 정화부(420)를 거쳐 상기 배출부(20)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밸브(432) 및 제3 밸브(433) 또한 폐쇄될 수 있다.Lastly, referring to FIG. 2D,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ing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the first valve 431 and the fourth valve are operated. (434) is opened and the fifth valve 435 is closed to allow the fluid to flow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through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2 and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420 to the discharge unit. It can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o (20). At this time, the second valve 432 and the third valve 433 may also be closed.

여기서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이라는 의미는 제1 집진부(411)에서 분리 포집되고 남은 유체에서 미립자 또는 미세 먼지의 양이 사용자가 설정한 값보다 이상으로, 미세 먼지의 존재양이 다소 많아 포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이라는 의미는 질소 산화물의 측정치도 다소 높아 질소 산화물의 포집이 필요하다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 밸브(431), 제4 밸브(434) 및 제5 밸브(435)의 개폐를 통해, 제1 집진부(411)를 통과한 유체가 제2 집진부(412) 및 제2 정화부(420)를 거쳐 배출부(2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fact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means that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or fine dust in the fluid remaining after being separated and collected in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is greater than the value set by the user, and the amount of fine dust is higher than the value set by the user. This means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more than the preset value, meaning that the measured value of nitrogen oxides is also somewhat high and that collection of nitrogen oxides is necessary. Therefore, the control unit opens and closes the first valve 431, the fourth valve 434, and the fifth valve 435,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411 flows in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purification par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20 through (420).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미립자 또는 미세 먼지와 질소 산화물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으며, 하나의 시스템으로 먼지 및 질소 산화물이 포함된 유체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ollect particulates or fine dust and nitrogen oxides, and can effectively purify fluid containing dust and nitrogen oxides with one system.

다른 실시예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흡기부(10)가 복수 개의 용융로 상부에서 이동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일 실시예와 공통된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고 차이점 중심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이 필요한 경우 일 실시예의 내용으로 간주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one embodiment in that the intake unit 10 moves at the top of a plurality of melting furnaces. Contents in common with one embodiment will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In other words, it is obvious that if content that is not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is needed, it can be regarded as content of one embodiment.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용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부(10), 상기 흡기부(10)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20), 상기 흡기부(10)와 상기 배출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흡기부(10)에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20)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30) 및 상기 흡기부(10)와 상기 배출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10)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10)는 복수 개의 용융로의 상부에서 이동한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melting furnace, and includes an intake portion 10 into which fluid flows, and fluid flowing from the intake portion 10. A discharge part 20 through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art 10 and the discharge part 20, and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part 10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20. A blowing unit 30 that generates a flow, and a purifying unit 40 disposed between the intake unit 10 and the discharge unit 20 and purifying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unit 10; , the intake unit 10 moves at the top of a plurality of melting furnaces.

이로써, 하나의 대기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또는 설비를 활용하여 2개 이상의 용융로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As a result, air pollutants generated from two or more melting furnaces can be treated using one air pollutant treatment system or facility.

계속해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현장 내 제1 용융로(A)와 제2 용융로(B)가 있는 경우, 흡기부(10)가 제1 용융로(A)와 제2 용융로(B)의 상부를 이동하며 유체를 흡기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융로(A)가 가동되어 대기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경우, 흡기부(10)는 제1 용융로(A)의 상부에서 유체를 흡기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용융로(B)가 가동되어 대기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경우, 흡기부(10)는 제1 용융로(A)에서 제2 용융로(B)의 상부로 이동하여 제2 용융로(B)의 상부에서 유체를 흡기함으로써 유체를 정화할 수 있다.Continuing to explai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when there is a first melting furnace (A) and a second melting furnace (B) in the field, the intake unit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melting furnace (A) and the second melting furnace ( Fluid can be sucked in by moving to the upper part of B). That is, as shown in Figure 3a, when the first melting furnace (A) is operated and air pollutants are generated, the intake unit 10 intakes fluid from the top of the first melting furnace (A), as shown in Figure 3b.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melting furnace (B) is operated and air pollutants are generated, the intake unit 10 moves from the first melting furnace (A)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elting furnace (B) and flows into the second melting furnace (B). The fluid can be purified by sucking the fluid from the top of the .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기부(10)의 이동만으로 2 이상의 용융로에서 대기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 운영비를 감소할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pollutants can be purified in two or more melting furnaces just by moving the intake unit 10, so installation and operating costs can be reduced and installation space can be minimized.

이때, 흡기부(10)는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용융로의 상부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동 장치는 로봇암 또는 현장에 설치된 호이스트 등의 구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흡기부(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At this time, the intake unit 10 may be mov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melting furnace by a separate driving device. For example, the driving device may be a structure such as a robot arm or a hoist installed on sit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intake unit 10 Any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unit 10 to be moved is suffici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은 흡기부(10)의 다른 구성 및 배출부(20), 송풍부(30) 및 정화부(40)의 상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하게 적용 및 이해될 수 있으며, 제어부의 구성 또한 동일하게 적용 및 이해될 수 있다.Other configurations of the intake unit 10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discharge unit 20, blower 30, and purifier 40 that are not mentioned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can be applied and understood equally,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can also be applied and understood in the same way.

또 다른 실시예Another Examp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나의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내에 흡기부(10)가 복수개의 용융로 상부에서 상기 용융로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점에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공통된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고 차이점 중심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이 필요한 경우 일 실시예의 내용으로 간주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one embodiment and other embodiments in that a plurality of intake units 10 are provided at the top of a plurality of melting furnace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melting furnaces in on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there is. Contents in comm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other embodiments will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In other words, it is obvious that if content that is not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is needed, it can be regarded as content of on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은, 용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부(10), 상기 흡기부(10)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20), 상기 흡기부(10)와 상기 배출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흡기부(10)에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20)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30) 및 상기 흡기부(10)와 상기 배출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10)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10)는 복수 개의 용융로의 상부에서 상기 용융로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4,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melting furnace, has an intake part 10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10 is discharged. The discharge part 20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art 10 and the discharge part 20, and the fluid flows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part 10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20. It includes a blowing unit 30 that generates and a purifying unit 40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unit 10 and the discharge unit 20 and purifies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unit 10, A plurality of intake units 10 are provided at the top of a plurality of melting furnace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melting furnaces.

이로써, 하나의 대기오염물질 시스템을 이용하여 2 이상의 용융로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을 동시에 제거 또는 정화할 수 있으며,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설치비, 운영비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설치 공간이 최소화된다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air pollutants generated from two or more melting furnaces can be removed or purified simultaneously using one air pollutant system. By using one system, installation and operating costs can be reduced, and installation space is minimized. There is an advantag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y of the patent claims.

10: 흡기부
20: 배출부
30: 송풍부
40: 정화부
410: 제1 정화부
411: 제1 집진부
411a: 사이클론
411b: 호퍼
412: 제2 집진부
413: 냉각 쿨러
420: 제2 정화부
431: 제1 밸브
432: 제2 밸브
433: 제3 밸브
434: 제4 밸브
435: 제5 밸브
A: 제1 용융로
B: 제2 용융로
10: intake part
20: discharge part
30: blowing unit
40: Purification Department
410: First Purification Department
411: 1st dust collection unit
411a: Cyclone
411b: Hopper
412: Second dust collection unit
413: cooling cooler
420: Second purification unit
431: first valve
432: second valve
433: third valve
434: fourth valve
435: fifth valve
A: First melting furnace
B: Second melting furnace

Claims (12)

용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부는,
상기 유체 내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제1 정화부; 및
상기 제1 정화부와 연통되며, 상기 유체 내에 포함된 질소 산화물을 포집하는 제2 정화부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n intake portion disposed at the top of the melting furnace and into which fluid flows;
a discharge portion through which fluid introduced from the intake portion is discharged;
a blow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intake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nd generating a flow of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unit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includes a purifying part that purifies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The purification department,
a first purifying unit that collects dust contained in the fluid; and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comprising a second purif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urification unit and collects nitrogen oxides contained in the flu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상기 흡기부와 상기 송풍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정화부는,
상기 제1 정화부와 상기 송풍부 사이에 배치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urification department,
disposed between the intake unit and the blowing unit,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disposed between the first purification unit and the blow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화부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먼지를 미립자와 조립자로 분리하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에 의해 분리된 조립자를 수용하는 호퍼를 포함하는 제1 집진부; 및
상기 사이클론에 의해 분리된 미립자가 유입되어, 상기 미립자를 필터링 하는 제2 집진부; 및
상기 제1 집진부와 상기 제2 집진부 사이에 배치되는 냉각 쿨러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purification unit,
a first dust collection unit including a cyclone that separates the dust into fine particles and coarse particles by centrifugal force, and a hopper that accommodates the coarse particles separated by the cyclone; and
a second dust collector into which the particulates separated by the cyclone are introduced and filtered out; and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including a cooling cool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 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정화부에서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쳐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정화부에서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low in the purif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that controls the fluid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purification unit to the discharge unit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or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purification unit to the discharge uni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상기 제1 집진부의 출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내 먼지 입자의 직경 또는 양을 측정하는 먼지 측정 유닛; 및
상기 제1 집진부의 출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 내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4,
The purification department,
a dust measuring unit provided at the outlet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measuring the diameter or amount of dust particles in the fluid; and
The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is provided at the outlet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further includes a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oxide in the flui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상기 제1 집진부와 상기 제2 집진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
상기 제1 집진부와 상기 제2 정화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
상기 제1 집진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3 밸브;
상기 제2 집진부와 상기 제2 정화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4 밸브; 및
상기 제2 집진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5 밸브를 더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purification department,
a first valve that opens and closes a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a second valve that opens and closes a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a third valve that opens and closes a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 fourth valve that opens and closes a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and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further comprising a fifth valve that opens and closes a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discharge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3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에서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쳐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unit,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more than the preset value,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that controls the fluid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and into the discharge unit by closing the first valve and the third valve and opening the second val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3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에서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unit,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that closes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and opens the third valve so that th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to the discharge uni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5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4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에서 상기 제2 집진부를 거치되,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unit,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ement unit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Opening the first valve and the fifth valve, and closing the fourth valve, so that the fluid passes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but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이고, 상기 질소 산화물 측정 유닛의 측정 값이 기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4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5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집진부에서 상기 제2 집진부 및 상기 제2 정화부를 거쳐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unit,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nitrogen oxide measuring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ir pollutants are controlled to open the first valve and the fourth valve and close the fifth valve so that th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through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second purification unit to the discharge unit. Elimination system.
용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는,
복수 개의 용융로의 상부에서 이동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n intake portion disposed at the top of the melting furnace and into which fluid flows;
a discharge portion through which fluid introduced from the intake portion is discharged;
a blow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intake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nd generating a flow of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unit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includes a purifying part that purifies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The intake unit,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that moves from the top of a plurality of melting furnaces.
용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정화하는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는,
복수 개의 용융로의 상부에서 상기 용융로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대기오염물질 제거 시스템.
An intake portion disposed at the top of the melting furnace and into which fluid flows;
a discharge portion through which fluid introduced from the intake portion is discharged;
a blow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intake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nd generating a flow of the fluid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intake unit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includes a purifying part that purifies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intake part,
The intake unit,
A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provided in plural pieces at the top of a plurality of melting furnace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melting furnaces.
KR1020220140686A 2022-10-27 2022-10-27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KR202400594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686A KR20240059438A (en) 2022-10-27 2022-10-27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686A KR20240059438A (en) 2022-10-27 2022-10-27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438A true KR20240059438A (en) 2024-05-07

Family

ID=9107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686A KR20240059438A (en) 2022-10-27 2022-10-27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43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9881B (en) Dedusting system of whole factory building
CN102172468B (en) Three-pass dedusting devulcanizer
CN110152485B (en) High-temperature denitration dust removal device for flue gas of cement kiln
CN106824964A (en) Blowing and drawing type dust pelletizing system
CN112815728B (en) Flue gas purifying device of on-board cooling sintering machine
CN104801165A (en) Three-stage dust removal and desulphurization device
CN109763879B (en) Automobile exhaust treatment device
KR20240059438A (en) Air pollutant removal system
CN101559305B (en) Blast furnace flue gas shunting trapping parallel dust-removing technology
CN106621598A (en) Synergistic control system for high-temperature flue gas dust and nitrogen oxide
CN105013272A (en) Dust removal equipment for melting furnace
CN206276179U (en) A kind of safely and efficiently intermediate frequency furnace dust pelletizing system
CN205887174U (en) Portable digestion instrument
CN211133431U (en) Copper pouring workshop waste gas treatment project
US6030585A (en) Apparatus for oxidizing and removing matter from a hazardous gas flow
CN107308758A (en) Cavity unit for handling nano-particle or gaseous material
CN207085584U (en) A kind of movable welding fume purifier
JPS6319400A (en) Tunnel ventilator
KR0178256B1 (en) Flue gas treatment apparatus
CN218853733U (en) Dust chamber system
CN218266068U (en) Smoke-discharging nitrogen-oxygen-reducing and particle-removing device for engine laboratory
JPS59130554A (e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KR100663087B1 (en) A noxious collector
CN216223463U (en) Filtering and dust removing equipment for flue gas treatment
CN109724064A (en) A kind of biomass combustion emission-control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