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388A - Movable frame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 Google Patents

Movable frame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388A
KR20240059388A KR1020220140590A KR20220140590A KR20240059388A KR 20240059388 A KR20240059388 A KR 20240059388A KR 1020220140590 A KR1020220140590 A KR 1020220140590A KR 20220140590 A KR20220140590 A KR 20220140590A KR 20240059388 A KR20240059388 A KR 20240059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vice
segment
moving frame
cag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희성
이홍성
정광회
서태석
김재왕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22014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388A/en
Publication of KR2024005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3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01B25/305Rails or support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0Tunnel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2Tracks for railways with the vehicle suspended from rigid supporting rails
    • E01B25/24Supporting 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퍼루프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 시공시키기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횡 프레임; 상기 횡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종 연결부재; 및 상기 횡 프레임과 상기 종 연결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프레임 내에 배치된 상기 세그먼트를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hyperloop concrete tube segments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obile frame device for continuously connecting and constructing concrete tube segmen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ransverse frames arranged at specific intervals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he transverse frames to each other; and pressurizing means provided on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longitudinal connection member to move the segment disposed in the moving frame forward or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Movement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comprising a. It's about framing devices.

Description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Movable frame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Movable frame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본 발명은 하이퍼루프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hyperloop concrete tube segments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통상적으로, 초고속 튜브 트레인은 기존의 자기부상열차가 갖는 속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튜브(Tube)라는 밀폐된 공간을 아진공(Partial Vacuum) 상태로 만들어 주행하는 튜브철도 시스템으로서, 철도의 궤도를 튜브로 감싼 후 진공 또는 아진공 상태로 만들어 공기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동일 출력으로 더 큰 속도를 낼수 있다.Typically, a high-speed tube train is a tube railway system that runs in a closed space called a tube in a subvacuum (partial vacuum) state in order to overcome the speed limitations of existing maglev trains. It is a tube railway system that runs on a railway track. By wrapping it in a tube and creating a vacuum or sub-vacuum state to minimize air resistance, greater speed can be achieved with the same output.

예를 들면, 초고속 튜브 트레인은 궤도를 튜브로 감싸고, 예를 들면, 0.05∼0.4기압의 아진공 상태에서 시속 700㎞ 이상으로 주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n ultra-high-speed tube train surrounds a track with a tube and can run at more than 700 km per hour in a subvacuum of, for example, 0.05 to 0.4 atmospheres.

기존의 자기부상열차는 공기저항 및 점착 구동방식의 한계로 인하여 열차의 초고속화에 어려움이 있지만, 초고속 튜브 트레인 시스템은 튜브 구조물을 만들고, 그 내부에서 아진공 상태를 유지하여 공기저항을 줄이며, 선형 전동기를 이용하여 비점착(No-adhesive) 구동함으로써 700㎞/h 이상의 초고속 운행을 가능하게 한다.Existing maglev trains have difficulty increasing train speeds due to limitations in air resistance and adhesive driving, but the ultra-high-speed tube train system creates a tube structure and maintains a subvacuum inside it to reduce air resistance and linear Non-adhesive driving using an electric motor enables high-speed operation of over 700 km/h.

이러한 초고속 튜브 트레인 시스템은 튜브 내부를 진공 또는 아진공 상태로 유지하므로 고도의 공기역학적 설계 및 정밀 제어 기술이 요구되며, 예를 들면, 기존의 초고속 튜브 트레인에서 튜브의 직경은 4.5m~10m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초고속 튜브 트레인 시스템의 차량은 초고속 자기부상열차가 유력하며, 가이드웨이 상에서 자기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차량을 지지하고 선형전동기로 추진하는 구조이다.This ultra-high-speed tube train system maintains the inside of the tube in a vacuum or sub-vacuum state, so it requires advanced aerodynamic design and precise control technology. For example, in existing ultra-high-speed tube trains, the diameter of the tube can be about 4.5m to 10m. there is. The vehicle of this ultra-high-speed tube train system is likely to be an ultra-high-speed magnetic levitation train, which supports the vehicl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using magnetic force on the guideway and propels it with a linear electric motor.

한편, 최근 개발중인 하이퍼루프(Hyperloop)와 같은 초고속 이동체계(High Speed Transportation System)는 진공에 가깝게 조성된 지름 3.2m 터널을 만들고, 28인승 기차 1량이 그 내부를 주행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하이퍼루프 초고속 이동체계는 이론상 최대 시속은 1223㎞로서, 780㎞ 정도인 여객기의 2배에 달한다. 이러한 초고속 이동체계는 도시화로 인한 인구집중, 교통정체, 교통사고, 환경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것으로, 진공 또는 아진공 상태의 아진공 운송관을 개발하여 이동체계에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초고속으로 주행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교통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Meanwhile, the High Speed Transportation System, such as the recently developed Hyperloop, is a system that creates a tunnel with a diameter of 3.2m in a close to vacuum, and a 28-seat train runs inside it. The theoretical maximum speed of this hyperloop ultra-high-speed travel system is 1,223 km/h, which is twice the speed of an airliner of about 780 km. This ultra-high-speed movement system is intended to solve problems such as population concentration, traffic congestion, traffic accidents, and the environment caused by urbanization. By developing a vacuum or sub-vacuum transportation pipe, air resistance in the movement system is minimized, allowing ultra-high speed driving. It can be said to be a sustainable means of transportation for the future.

구체적으로, 이러한 하이퍼루프 초고속 이동체계는 열차 하부에는 자석을 부착하고, 터널 바닥은 자기장이 흐르도록 설계한다. 이때, 마찰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열차가 살짝 뜬 상태로 달려야 하며, 이를 위해 열차 뒤에 설치된 팬과 압축기로 터널 속에 남은 공기를 빨아들여 밑으로 뿜어냄으로써 공중에 뜬 상태를 유지한다.Specifically, this hyperloop ultra-high-speed travel system is designed with magnet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in and a magnetic field flowing through the tunnel floor. At this time, in order to reduce friction as much as possible, the train must run in a slightly floating state. To this end, the remaining air in the tunnel is sucked in by a fan and compressor installed at the back of the train and blown out downward, thereby maintaining the train in a floating state.

이러한 방식을 통해, 예를 들면, 30t 무게의 열차를 시속 1200㎞ 이상으로 움직이게 한다. 또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진공 터널 외벽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주위에 풍력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퍼루프 초고속 이동체계의 건설비는 고속철도 대비 10분의 1밖에 되지 않아 운임도 낮출 수 있다.Through this method, for example, a train weighing 30 tons can be moved at more than 1200 km per hour. Additionally, to supply the electricity needed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solar panels can b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vacuum tunnel, and a wind generator can be installed around it. The construction cost of this hyperloop high-speed transportation system is only one-tenth of that of high-speed rail, so freight rates can also be lowered.

즉 이러한 하이퍼루프 초고속 이동체계는 장거리 이동용 초고속, 친환경, 고효율 교통수단으로서 아진공(1/1000기압) 상태의 튜브 내에서 아음속으로 주행하는 차세대 이동수단이나 밀폐형 튜브 연결부 누기 리스크가 크고, 튜브 내 아진공 수준 유지를 위한 연결부 기밀성 확보가 필요하다. In other words, this hyperloop ultra-high-speed transportation system is an ultra-fast, eco-friendly, and highly efficient means of transportation for long-distance travel. It is a next-generation transportation system that runs at subsonic speeds in a tube in a subvacuum (1/1000 atmosphere) state, but the risk of leakage from sealed tube connections is high, and the risk of leakage from sealed tube connections is high. It is necessary to ensure airtightness of the connection to maintain the vacuum level.

이러한 하이퍼루프 튜브에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튜브 세그먼트 적용시 연결부 접합문제가 중요하며, 하이퍼루프 연장은 통상 짧아도 수십, 길면 수백~수천 킬로미터 단위이므로 세그먼트에 대한 연속적 신속 연결시공을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When applying precast concrete tube segments to such hyperloop tubes, the joint joint problem is important, and hyperloop extensions are usually tens of kilometers at the shortest and hundreds to thousands of kilometers at the longest, so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chnology for continuous and rapid connection construction of the segments.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84998Republic of Korea Public Patent No. 10-2017-008499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68610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236861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66481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226648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3924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8539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서 초고성능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를 높은 품질로 대량 시공(관의 인양/운반/거치/표면처리, 대차의 고정/이동 등)이 가능한,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tube segments can be mass-constructed with high quality in the field (lifting/transporting/mounting/surface treatment of the pip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that can be used (fixing/moving the bogie, etc.)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퍼루프 콘크리트 튜브세그먼트의 연속 시공을 위해 세그먼트를 인양, 운송, 거치 할 수 있도록 장치의 회전/이행 이동이 가능하고, 하이퍼루프 시스템 중 기밀한 튜브 세그먼트를 현장에서 대량으로 연속 시공하기 위해 회전/이행 조정이 가능한 이동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an be rotated/transferred to lift, transport, and place the segment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he hyperloop concrete tube segment, and the airtight tube segment in the hyperloop system can be installed on sit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ving frame device capable of rotation/translation adjustment for continuous construction in large quantit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의 인양, 운반, 거치, 표면 처리 과정에서 인력 최소화가 가능하며, 안전하고 신속하게 튜브 세그먼트를 정밀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튜브의 회전과 이격량을 조정, 제어 및 시공할 수 있고,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결 전 에폭시를 도포하고 압착하여 연결 시공하고 연결 후 튜브 내·외부 표면처리가 가능한,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manpower in the process of lifting, transporting, mounting, and surface treatment of concrete tube segments, and adjusting the rotation and spacing of the tube so that the tube segments can be safely and quickly precisely connected. We provide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be controlled and constructed, and can be connected by applying and compressing epoxy before connecting the concrete tube segments and trea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ube after connection. It has a purpos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량의 원형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를 높은 품질로 신속하게 자동적으로 인양, 운송, 거치, 이동을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고, 정밀, 신속, 안전, 자동 시공으로 인력 절감이 가능한,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 quantities of circular concrete tube segments can be continuously and precisely constructed by repeatedly lifting, transporting, placing, and moving quickly and automatically with high quality, and performing precise, rapid, safe, and automatic constru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manpower.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 시공시키기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횡 프레임; 상기 횡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종 연결부재; 및 상기 횡 프레임과 상기 종 연결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에 배치된 상기 세그먼트를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ly connecting and constructing concrete tube segmen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prising: transverse frames arranged at specific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he transverse frames to each other; and pressurizing means provided on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to move the segment disposed in the moving frame device forward or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comprising a. This can be achieved with a moving frame device.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을 상기 횡 프레임과 종 연결부재에 연결시키는 연결재, 상기 연결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휠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변경수단, 및 상기 회전 휠과 상기 각도변경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pressing means includes the rotating wheel,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otating wheel to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an angle changing means changing the angle of the rotating wheel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rotating It may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a driving part that drives the wheel and the angle changing means.

또한 상기 세그먼트 내부 수용시, 개폐되도록 상기 횡프레임 상연 또는 하연에 구비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전휠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edge of the transverse frame to be opened and closed when accommodated inside the segment, and a position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그리고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를 궤도상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지지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upport wheel provided at the bottom to move the moving frame device on the track.

또한 내부에 상기 세그먼트가 수용되며,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종 연결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휠을 갖는 케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gment is accommodated therein,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moving frame device, a frame disposed at a specific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vertical connecting ends connecting the frame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connection ends installed at the bottom.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age having a moving wheel.

그리고 상단측 상기 종연결부재 상면에 이송궤도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는 이동휠을 통해 상기 이송궤도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transfer track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connection member at the upper end, and the cage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ransfer track through a moving wheel.

또한 상기 케이지는,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부로 수용시, 개폐되도록 상기 프레임 하연에 구비되는 개폐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ge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end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frame to open and close the segment when receiving the segment into the moving frame device.

그리고 상기 케이지 내로 상기 세그먼트를 인양시키고, 내부에 수용된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로 거치,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인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lifting means configured to lift the segment into the cage, and to place and move the segment accommodated therein into the moving frame device.

또한 상기 세그먼트는 하이퍼루프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gment may be characterized as a hyperloop concrete tube segment.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시공방법으로서, 지지휠을 통해 전방 이동프레임 장치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단계;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 상에, 세그먼트가 장착된 케이지를 안착시키고, 상기 케이지가 안착된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단계;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을 전방 이동프레임 장치에 연결 고정시키고, 이동휠을 통해 상기 케이지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 상기 케이지 내부의 세그먼트를 전방 이동프레임 장치 내부로 거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의 회전휠을 구동하여 세그먼트 연결부를 압착하여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제5단계; 상기 케이지를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케이지와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을 후방측으로 회수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를 반복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ly connecting concrete tube segments using a movable fram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object mentioned above, comprising: a first step of moving the front movable frame device to the front side through a support wheel; A second step of seating a cage on which a segment is mounted on a rear movable frame device and moving the rear movable frame on which the cage is seated to the front side; A third step of connecting and fixing the rear moving frame to the front moving frame device and moving the cage to the front side through a moving wheel; A fourth step of mounting the segment inside the cage into the front moving frame device; A fifth step of connecting the segments by driving the rotating wheel of the moving frame device to compress the segment connection portions; A sixth step of moving the cage to the rear movable frame device and recovering the cage and the rear movable frame to the rear side; And a seventh step of repeating the first to sixth steps; It can be achieved as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tube segments using a moving fram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그리고 상기 제5단계에서, 에폭시가 도포된 상기 세그먼트 접촉면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전방측 세그먼트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후방측 세그먼트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연결부를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in the fifth step, based on the segment contact surface on which the epoxy is applied, the rotating wheel located on the front side moves the front segment to the rear side, and the rotating wheel located on the rear side moves the rear segment forwar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art is compressed by moving it to the side.

또한 상기 전방 세그먼트가 특정 길이이하인 경우, 임시가설재를 상기 전방 세그먼트 전방에 위치시켜 임시가설재를 후방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방 세그먼트와 후방 세그먼트 연결부를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ront segment is less than a certain length, a temporary temporary material is placed in front of the front segment and the temporary temporary material is moved to the rear side to compress the front segment and rear segment connection parts.

그리고 별도의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를 후방측에 배치하여, 세그먼트간 연결부를 압착, 연결시키도록 시공하고, 상기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의 길이방향 중심을 세그먼트 접촉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접촉면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전방측 세그먼트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후방측 세그먼트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연결부를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n, a separate mobile frame device for connection construction is placed on the rear side to compress and connect the connection between segments, and after positioning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obile frame device for connection construction on the segment contact surface, the contact surface is As a standard, the rotating wheel located on the front side moves the front segment to the rear side, and the rotating wheel located on the rear side moves the rear segment toward the front side to compress the connection. .

또한 상기 제3단계 및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상단측 종연결부재 상면에 이송궤도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는 이동휠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third step and the sixth step, a transfer track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connection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frame device, and the cage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ving frame device through a moving wheel. It can be characterized as:

그리고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케이지의 개폐단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의 개폐부재가 개방되고, 인양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지 내의 세그먼트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로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in the fourth step, the opening and closing end of the cag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the mobile frame device are opened, and the segment in the cage is placed into the mobile frame device by a lifting mea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현장에서 초고성능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를 높은 품질로 대량 시공(관의 인양/운반/거치/표면처리, 대차의 고정/이동 등)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mobile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tube segments can be mass-constructed with high quality in the field (lifting/transporting/mounting/surface treatment of pipes,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fixing/moving the cart, etc.).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하이퍼루프 콘크리트 튜브세그먼트의 연속 시공을 위해 세그먼트를 인양, 운송, 거치 할 수 있도록 장치의 회전/이행 이동이 가능하고, 하이퍼루프 시스템 중 기밀한 튜브 세그먼트를 현장에서 대량으로 연속 시공하기 위해 회전/이행 조정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And according to the mobile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device is rotated/mounted to lift, transport, and mount the segments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hyperloop concrete tube segments. Transition movement is possible, and rotation/transition adjustment is possibl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airtight tube segments in the field in large quantities in the hyperloop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의 인양, 운반, 거치, 표면 처리 과정에서 인력 최소화가 가능하며, 안전하고 신속하게 튜브 세그먼트를 정밀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튜브의 회전과 이격량을 조정, 제어 및 시공할 수 있고,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결 전 에폭시를 도포하고 압착하여 연결 시공하고 연결 후 튜브 내·외부 표면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minimize manpower in the process of lifting, transporting, mounting, and surface treatment of concrete tube segments, and safely and quickly. The advantage is that the rotation and spacing of the tube can be adjusted, controlled, and constructed so that the tube segments can be precisely connected. The connection can be done by applying and compressing epoxy before connecting the concrete tube segment, and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ube can be treated after connection. there i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대량의 원형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를 높은 품질로 신속하게 자동적으로 인양, 운송, 거치, 이동을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고, 정밀, 신속, 안전, 자동 시공으로 인력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nd according to the mobile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 large quantity of circular concrete tube segments are quickly and automatically lifted, transported, placed, and moved repeatedly with high qualit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continuous, precise construction and saving manpower through precise, fast, safe, and automatic construc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루프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의 횡 단면도,
도 3a는 도 2a에서 세그먼트가 거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세그먼트 이동모드에서의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연이 개방된 이동프레임 골조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연이 개방된 이동프레임 골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휠이 설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 연결부재에 설치된 회전휠의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 케이지가 설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 케이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케이지가 설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의 인양쉬브에 연결된 세그먼트의 모식도,
도 9b는 도 9a에서 인양 평형지그가 설치된 모식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 케이지의 인양쉬브에 연결된 세그먼트의 모식도,
도 10b는 도 10a에서 인양 평형지그가 설치된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그먼트 거치시 회전휠의 위치가 변경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모식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로 세그먼트 수용시 회전휠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로 세그먼트 수용시 회전휠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의 흐름도,
도 14a 내지 도 14l은 시공 단계 각각에 대한 시공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시가설재를 적용하여 연결부를 연결하는 상황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를 적용하는 상황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such.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perloop concrete tube seg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segment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of a mov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frame device on which the segment in Figure 2a is mounted;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frame device in the segment moving mode in Figure 3a;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frame structure with an open lower 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frame structure with an open upper 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frame device equipped with a support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 rotating wheel installed on a longitudinal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frame device with a square cag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quare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frame device equipped with a circula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gment connected to the lifting sheave of a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lifting balance jig installed in Figure 9a;
Figure 10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gment connected to the lifting sheave of a square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b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lifting balance jig installed in Figure 10a;
Figure 1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ving frame devic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is changed when mounting a seg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when receiving the segment at the 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when receiving the segment in the low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lowchart of a concrete tube segment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to 14L are construction front views for each construction stage,
Figure 15 is a front view of a situation in which a connection is connected by applying a temporary temporary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shows a front view of a situation in which a separate mobile frame device for connection constructio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tha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Also,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Therefore,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 may be chang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form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an area shown as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have a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of the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written to explain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o aid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with sufficient knowledge in the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when describing the invention,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but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without any reas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의 구성, 기능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루프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1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yperloop concrete tube seg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g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의 횡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And Figure 2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also shows a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of a mov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a는 도 2a에서 세그먼트가 거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세그먼트 이동모드에서의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And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frame device in which the segment is mounted in FIG. 2A, and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frame device in the segment movement mode in FIG. 3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100)는, 하이퍼루프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1)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 시공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100)는, 전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형의 횡 프레임(10)과, 이러한 횡 프레임(10)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종 연결부재(20)를 갖는 골조로 구성된다. The moving fram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ntinuously connecting and constructing hyperloop concrete tube segments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ving fram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ircular transverse frames 10 arranged at specific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connections connecting these transverse frames 10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a frame having members (20).

그리고 횡 프레임(10)과 종 연결부재(20)에 구비되어 이동프레임 장치(100) 내에 배치된 세그먼트(!)를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it is provided on the transverse frame 10 and the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20 and includes a pressing means for moving the segment (!) disposed in the moving frame device 100 forward or backward based on the longitudinal ax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은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휠(30)과, 이러한 회전휠(30)을 횡 프레임(10)과, 종 연결부재(20)에 연결시키는 연결재(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2A to 3B, the press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otating wheels 30, the rotating wheels 30 with a horizontal frame 10, and a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material 31 that connects to.

그리고 각도변경수단(32)은, 연결재(3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휠(30)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며, 구동부는 이러한 회전휠(30)과 각도변경수단(32)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And the angle changing means 32 is configured to change the angle of the rotating wheel 3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1, and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drive the rotating wheel 30 and the angle changing means 32. It is composed.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휠(30)의 평면방향이 길이방향 수직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휠(30)이 구동되면 세그먼트(1)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구동하게 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 이동모드에서는 각도변경수단(32)을 통해 회전휠(30)의 평면방향을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시켜 구동하게 되는 경우 세그먼트(1)는 길이방향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게 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3A, when the rotary wheel 30 is driven while the plane direction of the rotary wheel 30 is arrang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vertical plane, the segment 1 is rotated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As shown in Figure 3b, in the segment movement mode, when the plane direction of the rotating wheel 30 is arrang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angle changing means 32 and driven, the segment 1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ou can see that it moves forward or backward.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연이 개방된 이동프레임 골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연이 개방된 이동프레임 골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4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frame structure with an open lower 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frame structure with an open upper 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100)는 세그먼트(1) 내부 수용, 거치시, 개폐되도록 횡프레임(10)의 상연(도 4b) 또는 하연(도 4a) 일측에 구비되는 개폐부재(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11)는 힌지결합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moving fram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side the segment 1, and is installed at the upper edge (FIG. 4B) or lower edge (FIG. 4B) or lower edge (FIG. 4B) of the transverse frame 10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Figure 4a) can be seen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 provided on one side. This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or sliding metho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휠이 설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 연결부재에 설치된 회전휠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5 show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frame device equipped with a support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front view of a rotating wheel installed on a vertical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100)는 하단에 복수의 지지휠(12)이 설치되어 대차 형태로 지면의 궤도(5)상에서 이동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mobile fram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support wheels 12 installed at the bottom so that it can be moved on a track 5 on the ground in the form of a bogi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연결부재(20)에 연결재(31)를 통해 설치되는 회전휠(30)은 종연결부재(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위치를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rotating wheel 30 installed on the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2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1 is configured to change and set it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20. You can see that it is possible.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 케이지가 설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 케이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케이지가 설치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7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frame device with a square cag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quare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also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frame device equipped with a circula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프레임 장치(100) 상으로 세그먼트(1)를 이송시키는 케이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frame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ge 40 for transporting the segment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40)는 도 7a , 도 7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세그먼트(1)가 수용되며, 이동프레임 장치(100)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지(40)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사각(도 7a 및 도 7b) 또는 원형(도 8) 프레임(41)과, 이러한 프레임(41)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종 연결단(42)과, 하단에 복수의 이동휠(44)이 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7A, 7B, and 8, the cage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a segment 1 therein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moving frame device 100. The cage 40 includes square (FIGS. 7A and 7B) or circular (FIG. 8) frames 41 arranged at specific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connection ends connecting these frames 41 to each other ( 42) and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44 are installed at the bottom.

따라서 이동프레임 장치(100)의 상단측 종연결부재(20) 상면에 이송궤도가 설치되어, 케이지(40)는 이동휠(44)을 통해 이동프레임 장치(100)의 이송궤도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refore, a transfer track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ongitudinal connection member 20 of the mobile frame device 100, and the cage 40 moves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ransfer track of the mobile frame device 100 through the mobile wheel 44. Or,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backwards.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40)는 세그먼트(1)를 이동프레임 장치(100) 내부로 수용시, 개폐되도록 프레임(41) 하연에 구비되는 개폐단(4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b, the cage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ing and closing end ( It can be seen that it is composed including 43).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의 인양쉬브에 연결된 세그먼트의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b는 도 9a에서 인양 평형지그가 설치된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각 케이지의 인양쉬브에 연결된 세그먼트의 모식도, 도 10b는 도 10a에서 인양 평형지그가 설치된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그먼트 거치시 회전휠의 위치가 변경된 이동프레임 장치의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로 세그먼트 수용시 회전휠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로 세그먼트 수용시 회전휠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9a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segment connected to the lifting sheave of a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b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lifting balance jig installed in Figure 9a. In addition, Figure 10a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segment connected to the lifting sheave of a square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b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lifting balance jig installed in Figure 10a. And Figure 1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moving frame devic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is changed when mounting a seg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when the segment is received at the 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2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when receiving the segment in the low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 장치(100) 내부로 세그먼트(1) 수용시, 개폐되도록 횡 프레임(10) 상연 또는 하연에 구비되는 개폐부재(11)와, 세그먼트(1) 거치시 간섭을 피하기 위해 회전휠(3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수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케이지(40) 하단에도 개폐단(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mentioned above, when receiving the segment (1) inside the moving frame device (100), it is necessary to avoid interference when mounting the segment (1)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 provided at the upper or lower edge of the transverse frame (10) to open and close 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sition changing means 33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30,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end 43 at the bottom of the cage 40.

그리고 인양수단(45)은 케이지(40) 내로 세그먼트(1)를 인양시키거나, 내부 수용된 세그먼트(1)를 이동프레임 장치(100) 내로 거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And the lifting means 45 is configured to lift the segment 1 into the cage 40 or to place and move the segment 1 accommodated inside into the moving frame device 100.

따라서 인양수단(45)을 통해 세그먼트(1)를 케이지(40) 내로 안착시키고, 케이지(40)를 이동프레임 장치(100) 상에서 이동시킨 후, 세그먼트(1) 거치시, 케이지(40)의 개폐단(43)을 개방시키고, 이동프레임 장치(100)의 개폐부재(11)를 개방시킨 후, 세그먼트(1) 이동에 간섭되는 회전휠(30)의 위치를 변경한 후, 인양수단(45)을 통해 세그먼트(1)를 이동프레임 장치(100)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Therefore, after seating the segment (1) into the cage (40) through the lifting means (45) and moving the cage (40) on the moving frame device (100), when mounting the segment (1), the cage (40) is opened. After opening the closed end 43 and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 of the moving frame device 100,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30 that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of the segment 1, the lifting means 45 The segment 1 is moved inside the moving frame device 100 through .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4a 내지 도 14l은 시공 단계 각각에 대한 시공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Below, we will explain the method of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using the previously mentioned moving frame device. Figure 13 shows a flow chart of a concrete tube segment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14A to 14L show construction front views for each construction stage.

도 14a는 초기상태로서 기 거치된 세그먼트(1)가 배치되고, 이동프레임 장치(100)가 고정장치(2)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장치(2)의 고정을 해제하고 지지휠(12)을 통해 이동프레임 장치(100)를 궤도(5)를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시킨다(S1). Figure 14a shows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previously mounted segment 1 is disposed and the moving frame device 100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2. And as shown in Figure 14b, the fixing device 2 is released and the moving frame device 100 is moved forward along the track 5 through the support wheel 12 (S1).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프레임 장치(100)가 이동되면,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이동프레임 장치(100)를 고정장치(2)를 통해 고정시키고, 이동프레임 장치(100) 상단에 이송궤도를 준비한다. When the moving frame device 100 is moved by the set distance, as shown in FIG. 14c, the moving frame device 100 is fixed again through the fixing device 2, and a transfer trajectory is set on the top of the moving frame device 100. Get ready.

그리고 인양수단(45)을 통해 케이지(40) 내로 세그먼트(1)를 장착하고, 세그먼트(1)가 장착된 케이지(40)가 상단에 안착된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100)를 진입시키게 된다. Then, the segment (1) is mounted into the cage (40) through the lifting means (45), and the rear moving frame device (100) mounted on the top of the cage (40) with the segment (1) mounted thereon is entered.

즉,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100) 상에 내부에 세그먼트(1)가 장착된 케이지(40)를 안착시키고, 케이지(40)가 안착된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100)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14D, the cage 40 with the segment 1 mounted therein is seated on the rear mobile frame device 100, and the rear mobile frame device 100 on which the cage 40 is seated is seated. is moved to the front side.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와 전방 이동프레임 장치가 접촉하게 되면, 도 14e, 도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100)를 고정하고(S3) 케이지(40)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S4). 즉,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100)를 연결 고정시키고, 이동휠(44)을 통해 케이지(40)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프레임 장치 상단측 종연결부재(20) 상면에 이송궤도가 설치되고, 케이지(40)는 이동휠(44)을 통해 이동프레임 장치 이송궤도 상에서 전방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When the rear mobile frame device and the front mobile frame device come into contact, the rear mobile frame device 100 is fixed (S3) and the cage 40 is moved to the front side (S4), as shown in FIGS. 14E and 14F. ). That is, the rear moving frame device 100 is connected and fixed, and the cage 40 is moved to the front side through the moving wheel 44. At this time, a transfer track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connection member 20 on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frame device, and the cage 40 is moved forward on the transfer track of the mobile frame device through the transfer wheel 44.

그리고 도 1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40)가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세그먼트(1) 거치준비를 하게 된다. And as shown in Figure 14g, when the cage 40 arrives at the set position, preparations are made to mount the segment 1.

그리고 도 1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40) 내부의 세그먼트(1)를 전방 이동프레임 장치 내부로 거치시키게 된다(S5). 이때 케이지(40)의 개폐단(43)을 개방시키고, 이동프레임 장치(100)의 개폐부재(11)를 개방시킨 후, 세그먼트(1) 이동에 간섭되는 회전휠(30)의 위치를 변경한 후, 인양수단(45)을 통해 세그먼트(1)를 이동프레임 장치(100)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And as shown in FIG. 14h, the segment 1 inside the cage 40 is mounted inside the front moving frame device (S5).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end 43 of the cage 40 is open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1 of the moving frame device 100 is opened, and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30 that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of the segment 1 is changed. Afterwards, the segment (1) is moved into the moving frame device (100) through the lifting means (45).

그리고 이동프레임 장치(100)의 회전휠(30)을 구동하여 세그먼트 연결부를 압착하여 세그먼트(1) 간을 연결하게 된다(S6). 즉, 도 1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폭시가 도포된 세그먼트 접촉면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30)은 전방측 세그먼트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30)은 후방측 세그먼트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연결부를 압착시키게 된다. Then, the rotating wheel 30 of the moving frame device 100 is driven to compress the segment connections to connect the segments 1 (S6). That is, as shown in Figure 14i, based on the segment contact surface on which epoxy is applied, the rotating wheel 30 located on the front side moves the front segment to the rear side, and the rotating wheel located on the rear side ( 30) moves the rear segment to the front side to compress the connection.

그리고 도 14j 및 도 14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케이지(40)를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까지 이동시킨다(S7). 이동프레임 장치 상단측 종연결부재(20) 상면에 이송궤도가 설치되므로 케이지(40)는 이동휠(44)을 통해 이동프레임 장치(100) 상에서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100)의 고정을 해제하고 케이지(40)와 후방 이동프레임(100)을 함께 후방측으로 회수하게 된다(S8).And as shown in FIGS. 14J and 14K, the empty cage 40 is moved to the rear moving frame device (S7). Since a transfer track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connection member 20 on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frame device, the cage 40 is moved rearward on the mobile frame device 100 through the mobile wheel 44. Then, the rear movable frame device 100 is unfastened and the cage 40 and the rear movable frame 100 are recovered together to the rear side (S8).

이러한 S1 ~ S8 단계는 시공이 완료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된다(S9). These steps S1 to S8 are repeated continuously until construction is completed (S9).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시가설재를 적용하여 연결부를 연결하는 상황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5 shows a front view of a situation in which a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by applying a temporary temporary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연속시공과정에서 연결되어지는 전방 세그먼트가 특정 길이이하인 경우에는 회전휠(30)에 의해 전방 세그먼트(1)를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임시가설재(4)를 전방 세그먼트(1) 전방에 위치시켜 임시가설재(4)를 후방측으로 이동시켜 후방 세그먼트와 전방 세그먼트 연결부를 압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ontinuous construction process, if the connected front segment is less than a certain length, the front segment (1) cannot be moved by the rotating wheel (30), so the temporary temporary material (4) is placed in front of the front segment (1) to temporarily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temporary member 4 to the rear side to compress the rear segment and front segment connections.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를 적용하는 상황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이동프레임 장치(100)는 압착 연결 단계를 진행하지 않고, 연결 거치만으로 신속하게 반복 시공하고, 별도의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110)를 후방측에 배치하여, 세그먼트(1)간 연결부를 압착, 연결시키도록 시공할 수 있다. Figure 16 shows a front view of a situation in which a separate mobile frame device for connection constructio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mobile frame device 100 is quickly and repeatedly constructed only with a connection holder without performing a pressing connection step, and a separate mobile frame device 110 for connection construction is placed on the rear side. , it can be constructed to compress and connect the connections between segments (1).

이러한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110)는 앞서 언급한 이동프레임 장치(100)와 구성이 동일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110)를 세그먼트 접촉면이 장치의 길이방향 중심에 오도록 위치시킨 후, 접촉면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30)은 전방측 세그먼트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30)은 후방측 세그먼트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연결부를 압착시키도록 구성된다. This mobile frame device 110 for connection construc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viously mentioned mobile frame device 100, and as shown in FIG. 16, the segment contact surface of the mobile frame device 110 for connection construction is the length of the device. After being positioned in the direction center, based on the contact surface, the rotating wheel 30 located on the front side moves the front segment to the rear side, and the rotating wheel 30 located on the rear side moves the rear segment. It is configured to compress the connection portion by moving it to the front side.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can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composed.

1: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2:고정장치
3:교각
4:임시가설재
5:궤도
10:횡프레임
11:개폐부재
12:지지휠
20:종연결부재
30:회전휠
31:연결재
32:각도변경수단
33:위치변경수단
40:케이지
41:프레임
42:종연결단
43:개폐단
44:이동휠
45:인양수단
100: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110: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
1:Concrete tube segment
2: Fixing device
3:Pier
4: Temporary construction material
5:Orbit
10: Horizontal frame
11: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 Support wheel
20: Vertical connection member
30: Rotating wheel
31: Connecting material
32: Angle change means
33: Position change means
40:Cage
41:Frame
42:Long connection group
43: Opening and closing end
44:Movement wheel
45: Salvage means
100: Mobile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concrete tube segments
110: Mobile frame device for connection construction

Claims (15)

튜브 세그먼트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 시공시키기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횡 프레임;
상기 횡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종 연결부재; 및
상기 횡 프레임과 상기 종 연결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에 배치된 상기 세그먼트를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ly connecting tube segmen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ransverse frames arranged at specific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he transverse frames to each other; and
A moving fram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comprising: pressurizing means provided on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to move the segment disposed in the moving frame device forward or backward based on the longitudinal axis;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을 상기 횡 프레임과 종 연결부재에 연결시키는 연결재, 상기 연결재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휠의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변경수단, 및 상기 회전 휠과 상기 각도변경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pressurizing means is,
The rotating wheel,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otating wheel to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an angle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angle of the rotating wheel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rotating wheel and the angle changing means.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comprising a driving part that driv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콘크리트 튜브 또는 강재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세그먼트 내부 수용시, 개폐되도록 상기 횡프레임 상연 또는 하연에 구비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전휠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tube is composed of a concrete tube or a steel tube,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edge of the transverse frame to be opened and closed when accommodated inside the segment, and a position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wheel.
제 3항에 있어서,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를 궤도상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지지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According to clause 3,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comprising a support wheel provided at the bottom to move the moving frame device on a track.
제 4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세그먼트가 수용되며,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종 연결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휠을 갖는 케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segment is accommodated therein,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moving frame device, a frame arranged at a specific interval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vertical connection ends connecting the frame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connection ends installed at the bottom.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further comprising a cage having a moving wheel.
제 5항에 있어서,
상단측 상기 종연결부재 상면에 이송궤도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는 이동휠을 통해 상기 이송궤도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fer track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connection member at the upper end, and the cage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ransfer track through a moving whee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부로 수용시, 개폐되도록 상기 프레임 하연에 구비되는 개폐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cage is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end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frame to open and close when receiving the segment into the moving frame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내로 상기 세그먼트를 인양시키고, 내부에 수용된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로 거치,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인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further comprising: lifting means configured to lift the segment into the cage, and to place and move the segment accommodated therein into the moving frame devi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하이퍼루프 콘크리트 튜브 세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을 위한 이동프레임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moving frame devic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gment is a hyperloop concrete tube segment.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시공방법으로서,
지지휠을 통해 전방 이동프레임 장치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단계;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 상에, 세그먼트가 장착된 케이지를 안착시키고, 상기 케이지가 안착된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단계;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을 전방 이동프레임 장치에 연결 고정시키고, 이동휠을 통해 상기 케이지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
상기 케이지 내부의 세그먼트를 전방 이동프레임 장치 내부로 거치시키는 제4단계;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의 회전휠을 구동하여 세그먼트 연결부를 압착하여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제5단계;
상기 케이지를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 장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케이지와 상기 후방 이동프레임을 후방측으로 회수하는 제6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를 반복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A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ly connecting tube segments using the moving fram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first step of moving the front moving frame device to the front side through the support wheel;
A second step of seating a cage on which a segment is mounted on a rear movable frame device and moving the rear movable frame on which the cage is seated to the front side;
A third step of connecting and fixing the rear moving frame to the front moving frame device and moving the cage to the front side through a moving wheel;
A fourth step of mounting the segment inside the cage into the front moving frame device;
A fifth step of connecting the segments by driving the rotating wheel of the moving frame device to compress the segment connection portions;
A sixth step of moving the cage to the rear movable frame device and recovering the cage and the rear movable frame to the rear side;
A seventh step of repeating the first to sixth steps. A tube segment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ing frame device, comprising: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에폭시가 도포된 상기 세그먼트 접촉면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전방측 세그먼트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후방측 세그먼트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연결부를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In the fifth step,
Based on the segment contact surface on which the epoxy is applied, the rotating wheel located on the front side moves the front segment to the rear side, and the rotating wheel located on the rear side moves the rear segment toward the front side to form the connection. A continuous tube segment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ing frame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ess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세그먼트가 특정 길이이하인 경우, 임시가설재를 상기 전방 세그먼트 전방에 위치시켜 임시가설재를 후방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방 세그먼트와 후방 세그먼트 연결부를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If the front segment is less than a certain length, a temporary temporary material is placed in front of the front segment and the temporary temporary material is moved to the rear side to compres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ont segment and the rear segment. A tube segment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ing frame device. .
제 12항에 있어서,
별도의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를 후방측에 배치하여, 세그먼트간 연결부를 압착, 연결시키도록 시공하고,
상기 연결 시공용 이동프레임 장치의 길이방향 중심을 세그먼트 접촉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접촉면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전방측 세그먼트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후방측에 위치된 회전휠은 후방측 세그먼트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연결부를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A separate mobile frame device for connection construction is placed at the rear to compress and connect the connections between segments,
After positioning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moving frame device for connection construction on the segment contact surface, the rotating wheel located on the front side moves the front segment to the rear side, based on the contact surface, and the rotating wheel located on the rear side A tube segment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ing fram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moves the rear segment to the front side and compresses the connection par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및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상단측 종연결부재 상면에 이송궤도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는 이동휠을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In the third step and the sixth step,
A conveying track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connection member at the top of the moving frame device, and the cage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ving frame device through a moving wheel. Continuous tube segment using a moving frame device. Construction metho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케이지의 개폐단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의 개폐부재가 개방되고, 인양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지 내의 세그먼트를 상기 이동프레임 장치 내로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프레임 장치를 이용한 튜브 세그먼트 연속시공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In the fourth step,
A tube segment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ing fram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end of the cag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the moving frame device are opened, and the segments in the cage are placed into the moving frame device by a lifting means.
KR1020220140590A 2022-10-27 2022-10-27 Movable frame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KR202400593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590A KR20240059388A (en) 2022-10-27 2022-10-27 Movable frame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590A KR20240059388A (en) 2022-10-27 2022-10-27 Movable frame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388A true KR20240059388A (en) 2024-05-07

Family

ID=9107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590A KR20240059388A (en) 2022-10-27 2022-10-27 Movable frame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388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998A (en) 2016-01-13 2017-07-21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이 Concrete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53924B1 (en) 2017-11-21 2018-05-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abular structure of slab-canopy composite modular type having longitudinal expansion joint for hyper-speed tube railwa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266481B1 (en) 2020-12-10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concrete transport tube segments for hyper speed transportation system using elastic sealing block, and connecting method for the same
KR102368610B1 (en) 2020-11-23 2022-03-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vacuum tube segment for hyper speed transport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998A (en) 2016-01-13 2017-07-21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이 Concrete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53924B1 (en) 2017-11-21 2018-05-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abular structure of slab-canopy composite modular type having longitudinal expansion joint for hyper-speed tube railwa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368610B1 (en) 2020-11-23 2022-03-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vacuum tube segment for hyper speed transportation system
KR102266481B1 (en) 2020-12-10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concrete transport tube segments for hyper speed transportation system using elastic sealing block, and connecting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23049B (en) A kind of Evacuated tube transportation Station System
US5146853A (en) Compact magnetic levitation transportation system
US3954064A (en) Rapid transit system
CN1111123C (en) Vacuum and permanent magnet compensated pipeline-type hovertrain-overhead railway-station system
US7204192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levitating and moving objects
US3631806A (en) Conveyor system for the individual transport of various objects
JPH088726B2 (en) Magnetic devices for low-friction transport of loads
KR20080007228A (en) A traffic transport system and its vehicle, channel network,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WO20160108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wind turbine blades
EP1368218B1 (en) Vehicular linear pneumatic propulsion system
CN109532850A (en) Vehicle passage above and below a kind of passenger for vacuum line magnetic suspension vehicle
EP0468099B1 (en) A transport system with a minimum of two supporting points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inter-connected ring frames
CN101705839B (en) Vertical mobile isolating door for vacuum pipeline transport
KR20240059388A (en) Movable frame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tube segments
US11492018B2 (en) Door system for a vacuum train
CN209617127U (en) Vehicle passage above and below a kind of passenger for vacuum line magnetic suspension vehicle
CN105599775B (en) A kind of Evacuated tube transportation hot-short platform ferry device
RU2252881C2 (en) High-speed ground transport system
CN112590827A (en) Low-vacuum pipeline taking-in and taking-off system, running vehicle and transportation system
JPH0390467A (en) Vertical carrying device
AU200725464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levitating and moving objects
CN109775616A (en) A kind of vertical handl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check-in of empty rail city
CN205737545U (en) Longitudinal micromatic setting and comprise its transhipment railcar that can longitudinally finely tune
EP4103441B1 (en)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and isolating very large evacuated volumes
Kapur et al. Industry 4.0: Hyperloop transportation system in In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