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942A - 셀 재선택 - Google Patents

셀 재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942A
KR20240058942A KR1020247012686A KR20247012686A KR20240058942A KR 20240058942 A KR20240058942 A KR 20240058942A KR 1020247012686 A KR1020247012686 A KR 1020247012686A KR 20247012686 A KR20247012686 A KR 20247012686A KR 20240058942 A KR20240058942 A KR 20240058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lice
network
messages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친 천
알렉산더 시롯킨
팡리 수
하이징 후
나빈 쿠마르 알 팔레 벤카타
파반 누게할리
랄프 로스바흐
사르마 브이 반갈라
세수라만 구루무르시
수디프 마니사라 바마난
비제이 벤카타라만
지빈 우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05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 -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복수의 셀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BS)들과 연관되고,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함 -; 및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셀들로부터 캠프 온하기 위한 셀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재선택
본 출원은 대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셀 재선택에 관한 것이다.
무선 모바일 통신 기술은 기지국과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다양한 표준들 및 프로토콜들을 사용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표준들 및 프로토콜들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롱텀 에볼루션(LTE); 5세대(5G) 3GPP 뉴 라디오(new radio, NR) 표준;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적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으로 산업 그룹들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802.16; 및 Wi-Fi로서 산업 그룹들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WLAN)에 대한 IEEE 802.11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LTE 시스템들의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들에서, 기지국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노드 B(또한, 진화된 노드 B, 향상된 노드 B, eNodeB, 또는 eNB로 일반적으로 표기됨) 및/또는 E-UTRAN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와 같은 RAN 노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서 알려져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제5 세대(5G) 무선 RAN들에서, RAN 노드들은 5G 노드, 뉴 라디오(NR) 노드 또는 g 노드 B(gN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사용자 장비(UE)로 또한 알려져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 -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복수의 셀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BS)들과 연관되고,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함 -; 및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셀들로부터 캠프 온(camp on)하기 위한 셀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복수의 셀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BS)들과 연관되고,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하고, 구성 정보는, UE에 의해, 복수의 셀들로부터 캠프 온하기 위한 셀을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따르면,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UE에 의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BS에 의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제공된 따른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을 예로서 함께 예시한다.
도 1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기지국(BS) 및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2개의 주파수들이 중첩하며 상이한 우선순위들을 갖는 동일한 슬라이스들 및 하나의 TA 내부의 동종 배치를 지원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들을 예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UE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구성 정보를 갖는 송신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도 6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셀을 선택하기 위한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셀을 선택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8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주파수 우선순위를 갖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도 9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주파수 우선순위가 없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도 10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UE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11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12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도 13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기저대역 회로부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14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네트워크의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기지국"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노드 B(또한, 진화된 노드 B, 향상된 노드 B, eNodeB, 또는 eNB로 일반적으로 표기됨)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및/또는 5G 노드, 뉴 라디오(NR) 노드 또는 g 노드 B(gNB)와 같은 RAN 노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사용자 장비(UE)로 또한 알려져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일부 예들은 E-UTRAN 노드 B, eNB, RNC 및/또는 gNB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지만,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임의의 유형의 기지국으로 대체될 수 있다.
NR에서의 PLMN 선택의 원리들은 3GPP PLMN 선택 원리들에 기초한다. 셀 선택은 RM-DEREGISTERED로부터 RM-REGISTERED로, CM-IDLE로부터 CM-CONNECTED로, 그리고 CM-CONNECTED로부터 CM-IDLE로의 전환 시 요구된다.
UE는 각각의 캐리어를 차례로 검색하거나("초기 셀 선택"),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단축할 수 있다("저장된 정보 셀 선택").
UE는 적합한 셀을 식별하려고 한다. 적합한 셀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 그것은 허용가능한 셀(acceptable cell)을 식별하려고 한다. 적합한 셀이 발견될 때 또는 단지 허용가능한 셀이 발견되는 경우, 그것은 그 셀에 캠프 온하고 셀 재선택 절차를 시작한다. 적합한 셀은 측정된 셀 속성들이 셀 선택 기준들을 만족하는 셀이고; 셀 PLMN은 선택된 PLMN, 등록된 또는 동등한 PLMN이고; 셀은 차단되거나 예약되어 있지 않고, 셀은 "로밍에 대한 금지된 트래킹 영역들"의 목록에 있는 추적 영역의 일부가 아니다. 허용가능한 셀은, 측정된 셀 속성들이 셀 선택 기준들을 만족하고 셀이 차단되지 않은 셀이다.
RRC IDLE/RRC IN ACTIVE 상태의 UE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다. UE는 재선택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서빙 및 이웃 셀들의 속성들의 측정들을 수행한다. 인터-주파수(inter-frequency) 이웃 셀들의 검색 및 측정을 위해, 캐리어 주파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셀 재선택은 UE가 캠프 온해야 하는 셀을 식별한다. 이는 서빙 및 이웃 셀의 측정들을 수반하는 셀 재선택 기준들에 기초한다. 인트라-주파수(intra-frequency) 재선택은 셀들의 순위결정에 기초한다. 인터-주파수 재선택은 절대 우선순위들에 기초하며, 여기서 UE는 이용가능한 가장 높은 우선순위 주파수에 캠프 온하려고 시도한다. 이웃 셀 목록(Neighbor Cell List, NCL)은 인트라- 및 인터-주파수 이웃 셀들에 대한 특정 경우들을 핸들링하기 위해 서빙 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100)를 예시한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에어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접속된 UE(101) 및 기지국(150)을 포함한다.
시스템 내의 UE(101) 및 임의의 다른 UE는, 예를 들어 랩톱 컴퓨터들, 스마트폰들, 태블릿 컴퓨터들, 프린터들, 건강관리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계량기들 또는 특수화된 디바이스들과 같은 기계-유형 디바이스들, 원격 보안 감시, 지능형 운송 시스템,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거나 갖지 않는 임의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기지국(150)은 기지국(150)에 의해 제공되는 기지국 서비스 영역에서 에어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더 넓은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성을 UE(101)에 제공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그러한 더 넓은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해 운영되는 광역 네트워크일 수 있거나, 인터넷일 수 있다. 기지국(150)과 연관된 각각의 기지국 서비스 영역은 기지국(150)과 통합된 안테나들에 의해 지원된다. 서비스 영역들은 특정 안테나들과 연관된 다수의 섹터들로 분할된다. 그러한 섹터들은 고정된 안테나들과 물리적으로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특정 섹터로 신호를 지향시키는 데 사용되는 빔포밍 프로세스에서 조정가능한 튜닝가능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설정들을 갖는 물리적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기지국(150)의 일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기지국(150) 주위에 360도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 각각의 섹터로 지향되는 안테나들의 어레이를 이용하여 120도 영역을 커버하는 3개의 섹터들을 포함한다.
UE(101)는 송신 회로부(110) 및 수신 회로부(115)와 커플링된 제어 회로부(105)를 포함한다. 송신 회로부(110) 및 수신 회로부(115)는 각각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과 커플링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05)는 MTC와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UE(101)의 제어 회로부(105)는 계산들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150)에 대한 이용가능한 접속의 채널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190)와 연관된 측정들을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계산들은 기지국(150)의 제어 회로부(155)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송신 회로부(110) 및 수신 회로부(115)는 각각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05)는 UE에 관련된 본 개시내용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것들과 같은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적응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송신 회로부(110)는 복수의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을 송신할 수 있다. 복수의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은 시분할 멀티플렉싱(TDM) 또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에 따라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송신 회로부(110)는 에어 인터페이스(190)를 가로지르는 송신을 위해 제어 회로부(105)로부터 블록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수신 회로부(115)는 에어 인터페이스(190)로부터 복수의 멀티플렉싱된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을 수신하고, 물리적 채널들을 제어 회로부(105)에 중계할 수 있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은 TDM 또는 FDM에 따라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송신 회로부(110) 및 수신 회로부(115)는 물리적 채널들에 의해 반송되는 데이터 블록들 내에 구조화된 제어 데이터 및 콘텐츠 데이터(예컨대 메시지, 이미지, 비디오 등) 둘 모두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른 기지국(150)을 또한 예시한다. 기지국(150) 회로부는 송신 회로부(160) 및 수신 회로부(165)와 커플링된 제어 회로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회로부(160) 및 수신 회로부(165)는 각각, 에어 인터페이스(190)를 통한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과 커플링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55)는 MTC와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송신 회로부(160) 및 수신 회로부(165)는 개인간 통신을 위해 구조화된 표준 대역폭보다 더 좁은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데이터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예를 들어 송신 대역폭은 1.4 ㎒ 또는 그 근처에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다른 대역폭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55)는 기지국에 관련된 본 개시내용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것들과 같은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좁은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송신 회로부(160)는 복수의 멀티플렉싱된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을 송신할 수 있다. 복수의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은 TDM 또는 FDM에 따라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송신 회로부(160)는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된 다운링크 슈퍼-프레임에서 복수의 멀티플렉싱된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을 송신할 수 있다.
좁은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수신 회로부(165)는 복수의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을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은 TDM 또는 FDM에 따라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수신 회로부(165)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된 업링크 슈퍼-프레임에서 복수의 멀티플렉싱된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을 수신할 수 있다.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부(105, 155)는 에어 인터페이스(190)에 대한 채널 품질의 측정과 관련될 수 있다. 채널 품질은, 예를 들어 UE(101)와 기지국(150) 사이의 물리적 장애물들, 다른 소스들로부터의 전자기 신호 간섭, UE(101)와 기지국(150) 사이의 반사들 또는 간접 경로들, 또는 신호 잡음의 다른 그러한 소스들에 기초할 수 있다.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블록은 다수회 재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어서, 송신 회로부(110)는 동일한 데이터의 사본들을 다수회 송신할 수 있고, 수신 회로부(115)는 동일한 데이터의 다수의 사본들을 다수회 수신할 수 있다.
셀 선택을 통해, UE는 선택된 PLMN의 적합한 셀을 검색하고, 이용가능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그 셀을 선택하고, 그의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이 절차는 "셀에 캠프 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슬라이스 기반 셀 선택의 경우, UE는 또한, 이용가능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어느 셀을 선택할지를 결정할 때, 셀 내의 이용가능한 슬라이스들, 및 슬라이스-관련 정보를 고려한다.
RAN 슬라이싱에 대한 현재 설계에서, UE에 대한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에서 동종 슬라이스 배치가 가정된다. 솔루션 방향에 대한 RAN2#115에서의 RAN2 현재 합의는 다음과 같다:
단계 0: UE에서의 NAS 계층은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포함하는 슬라이스 정보를 UE에서의 AS 계층에 제공한다.
단계 1: AS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로 시작하는 우선순위 순서로 슬라이스들을 분류한다.
단계 2: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로 시작하는 우선순위 순서로 슬라이스들을 선택한다.
단계 3: 선택된 슬라이스에 대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주파수들에 우선순위를 할당한다.
단계 4: 가장 높은 우선순위 주파수로 시작하여, 측정들을 수행한다(레거시와 동일함).
단계 5: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며(TS 38.304에 정의된 바와 같이) 단계 2에서의 선택된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경우, 셀에서 캠프 온하고 이 동작 시퀀스를 종료한다; FFS: UE가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선택된 슬라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단계 6: 그렇지 않고, 남은 주파수들이 있는 경우, 단계 4로 돌아간다.
단계 7: FFS: 슬라이스 목록의 끝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단계 2로 돌아간다.
단계 8: 레거시 셀 재선택을 수행한다.
도 2는 2개의 주파수들이 중첩하며 상이한 우선순위들을 갖는 동일한 슬라이스들, 및 하나의 TA 내부의 균질한 배치를 지원하는 시나리오(200)를 도시한다. 현재 합의는, UE가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통해 셀에서 캠프 온하기 위한 시나리오(200)에서 문제가 없다.
도 3a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300A)를 예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NW)는 UE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하는 다수의 주파수들을 구성한다. 상이한 주파수들이 상이한 TA들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주파수 1(F1)은 TA1에 배치되고 주파수 2(F2)는 TA2에 배치된다.
시나리오(300A)의 경우, UE가 처음에, 슬라이스 1 및 슬라이스 2의 허용된(allowed)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를 이용해, TA2에서 등록된다고 가정한다.
슬라이스 1에 대해 F1이 F2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기 때문에, UE는 TA1에 대한 셀 재선택(및 등록 업데이트)을 수행한다.
UE가 F1(TA1)에서 등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때, 슬라이스 2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거부될 것이다.
그 후, UE가 다른 슬라이스(슬라이스 2)에 대한 트래픽을 개시하는 경우, UE는 NW에 의해 재지향되어야 하며, 이는 AS(RRCConnection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및 NAS 계층들(트래킹 영역 업데이트(Tracking Area Update, TAU)를 수행하기 위한) 둘 모두에 대한 높은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긴 지연시간으로 이어진다.
결과적으로, UE는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슬라이스 1)만 지원하는 셀에 갇히게 된다.
도 3b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다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300B)를 예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W는 UE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하는 다수의 주파수들을 구성한다. 상이한 주파수들이 상이한 TA들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주파수 1(F1)은 TA1에 배치되고 주파수 2(F2)는 TA2에 배치된다.
시나리오(300A)와 달리, 시나리오(300B)에서는, NW가 주파수 우선순위를 구성하지 않는다. 그 결과, UE는 F1과 F2 사이의 우선순위를 비교할 수 없다.
현재 설계는 시나리오(300A, 300B)에 적용가능하지 않다. 새로운 솔루션이 필요한다.
도 4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400)에 대한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400)은 단계들(410 내지 420)을 포함한다.
단계(410)에서, UE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복수의 셀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BS)들과 연관된다.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구성 정보는, 각각의 주파수에 대해, 주파수에 의한 지원된 슬라이스들의 수 및 지원된 슬라이스들 각각에 대한 S-NSSAI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구성 정보는 슬라이스 우선순위 또는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한 주파수 우선순위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UE는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셀들로부터 캠프 온하기 위한 셀을 선택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를 추가로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의 제1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및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등록 수락(Registration Accept)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제1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포함한다.
도 5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UE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구성 정보를 갖는 송신 시나리오(500)를 예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RAN 및 CN을 포함한다. UE는 초기 접속(attach)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CN)에 메시지(510), 예컨대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을 전송한다. CN은 UE에 메시지(520), 예컨대 등록 수락을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RAN은 메시지(530), 예컨대 SIB를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고, UE는 그것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메시지(520) 및 메시지(530)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셀을 선택하기 위한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선택 단계(단계(420))는 단계들(610 내지 640)을 포함한다.
단계(6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단계(6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한다.
단계(630)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한다.
단계(640)에서, 순위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에 기초하여 셀을 선택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는 것(단계(610))은, UE에 의해,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할당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각각의 슬라이스에 대한 우선순위는 NW로부터의 메시지들을 참조하지 않고 UE 자체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는 것(단계(610))은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로부터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NW는 UE로 전송된 메시지들에서 슬라이스들의 우선순위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N은 등록 응답 또는 등록 허용 메시지에서 우선순위화된 허용된 S-NSSAI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단계(620))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 슬라이스들의 대응하는 수를 카운팅하는 것; 및 가장 많은 수의 지원된 슬라이스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로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의 그룹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단계(620))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의 대응하는 수를 카운팅하는 것; 및 가장 많은 수의 지원된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로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NW 구성은 주파수 우선순위를 제공한다. UE는 슬라이스들(또는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의 수의 순서로 주파수들을 순위결정할 수 있다. 다수의 주파수들이 동일한 수의 슬라이스들(또는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경우, UE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와 연관된 주파수 우선순위에 따라 다수의 주파수들을 순위결정한다. 순위결정은 또한 UE 구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UE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 주파수로 시작하고,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지 않거나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UE는 제2 우선순위 주파수를 시도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NW 구성은 주파수 우선순위를 제공하지 않는다. UE는 슬라이스들(또는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의 수의 순서로 주파수들을 순위결정할 수 있다. 다수의 주파수들이 동일한 수의 슬라이스들(또는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경우, UE가 이들을 순위결정하는 방법은 구현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것(단계(630))은, UE 자체에 의해, 주파수 우선순위에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UE는 후보 주파수를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각각의 주파수에 대해, 제1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주파수에 의해 지원되는 슬라이스들에 대한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들을 표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것(단계)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들로부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에 대한 제1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 및 제1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높음부터 낮음까지로 순위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셀을 선택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700)를 예시한다. 도 7에서, 도 6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내며, 이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을 선택하는 것(단계(640))은 단계(710 내지 740)를 추가로 포함한다.
단계(710)에서, 순위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에서 체크되지 않은 가장 높은 순위의 후보 주파수에서의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일부 예들에서, UE는 가장 높은 순위의 후보 주파수에서 셀들에 대해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을 수행한다. UE는 측정에 기초하여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을 캠프 온하기 위한 셀로서 선택한다.
단계(730)에서,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지 않거나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내의 다른 후보들이 선택되어 단계(710)를 다시 수행할 것이다.
단계(740)에서, 모든 후보 주파수들이 체크되었고 적합한 셀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UE는 슬라이스들을 고려하지 않고 레거시 재선택으로 폴백(fallback)할 것이다.
실시 형태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의 애플리케이션은 도 8과 조합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주파수 우선순위를 갖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800)를 예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1(F1), 주파수 2(F2) 및 주파수 3(F3)은 각각 TA1, TA2 및 TA3에 배치된다. UE 허용된 S-NSSAI는 슬라이스 1, 슬라이스 2 및 슬라이스 3으로 구성된다. 슬라이스 1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슬라이스 1에 대한 F1의 주파수 우선순위는 8이다. 슬라이스 1에 대한 F2의 주파수 우선순위는 6이고, 슬라이스 2에 대한 F2의 주파수 우선순위는 8이다. 슬라이스 1에 대한 F3의 주파수 우선순위는 8이고, 슬라이스 3에 대한 F3의 주파수 우선순위는 6이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UE는 가장 많은 수의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주파수들을 후보 주파수들로서 고려할 수 있다. 시나리오(800)에서, F1은 하나의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하고, F2는 2개의 슬라이스들(슬라이스 1 및 슬라이스 2)을 지원하고, F3은 2개의 슬라이스들(슬라이스 1 및 슬라이스 3)을 지원한다. 따라서, UE는 F2 및 F3을 후보 주파수들로서 결정한다. 이 두 후보 주파수들 사이에서, UE는 자체적으로 또는 가장 높은 슬라이스(슬라이스 1)에 대한 주파수 우선순위에 의해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시나리오(800)에서, 슬라이스 1에 대한 F2의 주파수 우선순위는 6일 것이고, 슬라이스 1에 대한 F3의 주파수 우선순위는 8이다. UE는 F3을 F2보다 더 높은 순위의 후보 주파수로서 순위결정할 것이다.
UE는, F3에서의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것이다. F3에서의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지 않거나 슬라이스 1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UE는 제2 우선순위 주파수, 즉 F2를 계속 체크할 것이다. F2에서의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지 않거나 슬라이스 1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UE는 레거시 셀 재선택 절차로 폴백할 것이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UE는 가장 많은 수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주파수들을 후보 주파수들로서 고려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허용된 S-NSSAI는 슬라이스 1, 2 및 3으로 구성된다. 슬라이스 1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슬라이스 2가 또한 우선순위화된다.
시나리오(800)에서, F1은 하나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하고, F2는 2개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슬라이스 1 및 슬라이스 2)을 지원하고, F3은 하나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한다. F2가 가장 많은 수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므로, UE는 F2를 후보 주파수로서 결정한다.
UE는, F2에서의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것이다.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지 않거나 슬라이스 1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UE는 레거시 셀 재선택 절차로 폴백한다.
도 9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주파수 우선순위가 없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900)를 예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1(F1), 주파수 2(F2) 및 주파수 3(F3)은 각각 TA1, TA2 및 TA3에 배치된다. UE 허용된 S-NSSAI는 슬라이스 1, 슬라이스 2 및 슬라이스 3으로 구성된다. 슬라이스 1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UE는 가장 많은 수의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주파수들을 후보 주파수들로서 고려할 수 있다. 시나리오(900)에서, F1은 하나의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하고, F2는 2개의 슬라이스들(슬라이스 1 및 슬라이스 2)을 지원하고, F3은 2개의 슬라이스들(슬라이스 1 및 슬라이스 3)을 지원한다. 따라서, UE는 F2 및 F3을 후보 주파수들로서 결정한다. 이 두 후보 주파수들 사이에서, UE는, 시나리오(900)에서 주파수 우선순위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자체적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일 예에서, UE는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UE는, 가장 높은 순위의 주파수에서의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것이다. 가장 높은 순위의 주파수에서의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지 않거나 슬라이스 1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UE는 제2 우선순위 주파수를 계속 체크할 것이다. 다른 주파수들에서의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지 않거나 슬라이스 1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UE는 레거시 셀 재선택 절차로 폴백할 것이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UE는 가장 많은 수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주파수들을 후보 주파수들로서 고려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허용된 S-NSSAI는 슬라이스 1, 2 및 3으로 구성된다. 슬라이스 1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슬라이스 2가 또한 우선순위화된다.
시나리오(900)에서, F1은 하나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하고, F2는 2개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슬라이스 1 및 슬라이스 2)을 지원하고, F3은 하나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한다. F2가 가장 많은 수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므로, UE는 F2를 후보 주파수로서 결정한다.
UE는, F2에서의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것이다.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지 않거나 슬라이스 1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UE는 레거시 셀 재선택 절차로 폴백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것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결정하는 것,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 슬라이스들에 대한 가중 인자들의 대응하는 합을 계산하는 것; 및 대응하는 합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높음부터 낮음까지로 순위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가중 인자들은 구현에 기초하여 CN에 의해 프로비저닝될 수 있거나 UE 자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결정하는 것은 UE에 의해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표시하고,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결정하는 것은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로부터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CN은 각각의 허용된 또는 구성된 슬라이스에 대한 가중 인자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N은, 가장 높게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를 제외하고, 우선순위 및 가중 인자를 갖는 허용된 또는 구성된 S-NNAI를 표시하는 등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UE는 주파수에서의 지원된 슬라이스들에 대한 가중 인자들의 합을 계산하고, 이어서 합산된 값에 기초하여 주파수들에 대해 순위를 결정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여 가중 인자들의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다. 시나리오(800)에서, UE는 허용된 S-NSSAI 슬라이스 1, 2, 3으로 구성된다. 슬라이스 1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이다. 슬라이스 2는 가중 인자 0.8을 갖고, 슬라이스 3은 가중 인자 0.3을 갖는다.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슬라이스 1)를 지원하는 모든 주파수들(F1, F2, F3)은 후보 주파수들로서 간주된다. 일부 예들에서, F2의 경우, 지원된 슬라이스들에 대한 가중 인자들의 합은 0.8이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F2의 경우, 지원된 슬라이스들에 대한 가중 인자들의 합은 8×0.8 = 6.4이다. 내림차순으로 후보 주파수들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F2, F3, F1.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는 UE가 현재 캠프 온하고 있는 서빙 주파수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UE는 서빙 주파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법(예컨대, 방법(400))을 따른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UE가 현재 캠프 온하고 있는 서빙 주파수는 후보 주파수들에 포함되고, 서빙 주파수가 가장 높게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는 경우, 가장 높게 우선순위화된/가장 높은 순위의 주파수인 것으로 간주된다. 서빙 주파수를 가장 높게 우선순위화된/가장 높은 순위의 주파수로서 설정함으로써, UE는, 현재 서빙 주파수가 가장 높게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을 지원할 때, 불필요한 주파수 재선택을 피할 수 있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는 UE가 현재 캠프 온하고 있는 서빙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것(단계(630))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을 서빙 주파수와 비교하여 더 높은 순위의 후보 주파수로서 순위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현재 설계에서, 기존의 RRM 측정 요건은 서빙 주파수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주파수들에 대한 측정들과, 서빙 주파수와 동일한/그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주파수들에 대한 측정들을 구별한다.
측정 트리거 조건들은 상이한 주파수들에 대해 상이하다: 서빙 주파수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주파수는 항상 측정을 필요로 하고; 서빙 주파수보다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주파수는 서빙 셀 채널 품질이 임계치보다 더 낮을 때에만 측정을 필요로 한다(Srxlev는 SnonIntraSearchP와 동일하고 그보다 작거나, Squal는 SnonIntraSearchQ와 동일하고 그보다 작다). 현재 설계에서, UE는 단순히 SIB에 구성된 대로 주파수 우선순위를 이해한다.
UE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라 주파수 우선순위(또는 순위결정 주파수)를 수정할 때, RRM 측정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후보 주파수들을 결정하거나 순위결정을 할 때, 후보로서 열거된 주파수들만이 고려된다. 일부 예들에서, 후보 주파수들이 서빙 주파수를 포함하는 경우, UE는 서빙 주파수를 가장 높은 우선순위 주파수로 간주함으로써 서빙 주파수 및 인터-주파수들 둘 모두에 대해 순위결정을 한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UE는 다른 후보 주파수들과 동일한 방법을 따름으로써 서빙 주파수 및 인터-주파수들 둘 모두에 대해 순위결정을 하고, 요건에 따라 인터-주파수들에 대한 RRM 측정을 수행한다. 일부 예들에서, 후보 주파수들이 서빙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UE는 모든 후보 주파수들이 더 높은 우선순위(또는 더 높은 순위)를 갖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서빙 셀의 순위결정 또는 우선순위를 고려함으로써, UE는 불필요한 RRM 측정을 피할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UE를 위한 장치(1000)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10에 예시된 장치(1000)는 도 10과 조합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방법(400)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0)는 수신 유닛(1010) 및 선택 유닛(1020)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1010)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복수의 셀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BS)들과 연관되고,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한다.
선택 유닛(1020)은,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셀들로부터 캠프 온하기 위한 셀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1100)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11에 예시된 장치(1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일부 실시 형태들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방법들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100)는 송신 유닛(1110)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1110)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복수의 셀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BS)들과 연관되고,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하고, 구성 정보는, UE에 의해, 복수의 셀들로부터 캠프 온하기 위한 셀을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도 12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디바이스(1200)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디바이스(1200)는 적어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커플링되는,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 기저대역 회로부(1204), 무선 주파수(RF) 회로부(RF 회로부(1220)로서 도시됨), 프론트 엔드 모듈(FEM) 회로부(FEM 회로부(1230)로서 도시됨),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232), 및 전력 관리 회로부(power management circuitry, PMC)(PMC(1234)로서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디바이스(1200)의 컴포넌트들은 UE 또는 RAN 노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디바이스(1200)는 더 적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RAN 노드는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대신에 EPC로부터 수신되는 IP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프로세서/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디바이스(1200)는, 예를 들어, 메모리/저장소, 디스플레이, 카메라, 센서, 또는 입/출력(I/O) 인터페이스와 같은 추가적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컴포넌트들은 하나 초과의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예컨대, 상기 회로부들은 C-RAN(Cloud-RAN) 구현들을 위해 하나 초과의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는 하나 이상의 단일-코어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는 범용 프로세서들 및 전용 프로세서들(예컨대, 그래픽 프로세서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들 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은 메모리/저장소와 커플링될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운영 체제들이 디바이스(12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의 프로세서들은 EPC로부터 수신되는 IP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204)는 하나 이상의 단일-코어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과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204)는 RF 회로부(1220)의 수신 신호 경로로부터 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그리고 RF 회로부(1220)의 송신 신호 경로에 대한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또는 제어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204)는 기저대역 신호들의 생성 및 프로세싱을 위해 그리고 RF 회로부(1220)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204)는 3G(third generation) 기저대역 프로세서(3G 기저대역 프로세서(1206)), 4G(fourth generation) 기저대역 프로세서(4G 기저대역 프로세서(1208)), 5G(fifth generation) 기저대역 프로세서(5G 기저대역 프로세서(1210)), 또는 다른 기존의 세대들, 개발 중인 또는 향후 개발될 세대들(예를 들어, 2G(second generation), 6G(sixth generation) 등)에 대한 다른 기저대역 프로세서(들)(12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204)(예컨대,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중 하나 이상)는 RF 회로부(122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라디오 제어 기능들을 핸들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예시된 기저대역 프로세서들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메모리(1218)에 저장되고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1214)를 통해 실행되는 모듈들에 포함될 수 있다. 라디오 제어 기능들은 신호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무선 주파수 시프팅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204)의 변조/복조 회로부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Fourier Transform, FFT), 프리코딩, 또는 성상도(constellation) 맵핑/디맵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204)의 인코딩/디코딩 회로부는 콘볼루션, 테일바이팅 콘볼루션, 터보, 비터비(Viterbi), 또는 저밀도 패리티 검사(LDPC) 인코더/디코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변조/복조 및 인코더/디코더 기능의 실시 형태들은 이러한 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는, 다른 적합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204)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예컨대 하나 이상의 오디오 DSP(들)(121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디오 DSP(들)(1216)는 압축/압축해제 및 에코 제거를 위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다른 적합한 프로세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의 컴포넌트들은 단일 칩, 단일 칩셋에서 적합하게 조합되거나, 또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동일한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204) 및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의 구성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SOC(system on a chip) 상에서와 같이,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204)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기술과 호환가능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204)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다른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s),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204)가 하나 초과의 무선 프로토콜의 라디오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실시 형태들은 다중 모드 기저대역 회로부라고 지칭될 수 있다.
RF 회로부(1220)는 비고체 매체(non-solid medium)를 통한 변조된 전자기 방사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1220)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위치들, 필터들, 증폭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부(1220)는 FEM 회로부(123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down-convert)하고 기저대역 신호들을 기저대역 회로부(1204)에 제공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수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부(1220)는 또한, 기저대역 회로부(1204)에 의해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상향 변환(up-convert)하고 RF 출력 신호들을 송신을 위해 FEM 회로부(1230)에 제공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송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1220)의 수신 신호 경로는 믹서 회로부(mixer circuitry)(1222), 증폭기 회로부(1224) 및 필터 회로부(12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1220)의 송신 신호 경로는 필터 회로부(1226) 및 믹서 회로부(1222)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부(1220)는 또한, 수신 신호 경로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222)에 의한 사용을 위해 주파수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기 회로부(1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222)는 합성기 회로부(1228)에 의해 제공되는 합성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FEM 회로부(123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폭기 회로부(1224)는 하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필터 회로부(1226)는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하향 변환된 신호들로부터 원하지 않는 신호들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LPF(low-pass filter) 또는 BPF(band-pass filter)일 수 있다.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기저대역 회로부(1204)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제로-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지만, 이것은 요건이 아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222)는 수동 믹서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실시 형태들의 범주가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222)는 FEM 회로부(1230)에 대한 RF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합성기 회로부(1228)에 의해 제공되는 합성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을 상향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들은 기저대역 회로부(1204)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필터 회로부(1226)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222)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222)는 2개 이상의 믹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 직교 하향변환 및 상향변환을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222)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222)는 2개 이상의 믹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제거(image rejection)(예컨대, 하틀리(Hartley) 이미지 제거)를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222) 및 믹서 회로부(1222)는, 각각, 직접 하향변환 및 직접 상향변환을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222)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222)는 슈퍼-헤테로다인(super-heterodyne) 동작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 및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지만, 실시 형태들의 범주는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 및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122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고, 기저대역 회로부(1204)는 RF 회로부(1220)와 통신하기 위한 디지털 기저대역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이중 모드 실시 형태들에서, 각각의 스펙트럼에 대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개별 라디오 IC 회로부가 제공될 수 있지만, 실시 형태들의 범주는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합성기 회로부(1228)는 프랙셔널-N 합성기(fractional-N synthesizer) 또는 프랙셔널 N/N+1 합성기일 수 있지만, 다른 유형들의 주파수 합성기들이 적합할 수 있으므로 실시 형태들의 범주가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합성기 회로부(1228)는 델타-시그마 합성기, 주파수 체배기, 또는 주파수 분주기를 갖는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 합성기일 수 있다.
합성기 회로부(1228)는 주파수 입력 및 분주기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RF 회로부(1220)의 믹서 회로부(1222)에 의한 사용을 위해 출력 주파수를 합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합성기 회로부(1228)는 프랙셔널 N/N+1 합성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주파수 입력은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에 의해 제공될 수 있지만, 그것은 요건이 아니다. 분주기 제어 입력은 원하는 출력 주파수에 따라 기저대역 회로부(1204) 또는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분주기 제어 입력(예컨대, N)은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에 의해 표시되는 채널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RF 회로부(1220)의 합성기 회로부(1228)는 분주기, DLL(delay-locked loop), 멀티플렉서 및 위상 누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분주기는 DMD(dual modulus divider)일 수 있고, 위상 누산기는 DPA(digital phase accumulator)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DMD는 프랙셔널 분주 비(fractional division ratio)를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캐리아웃(carry out)에 기초하여) N 또는 N+1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입력 신호를 분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에서, DLL은 캐스케이딩되고(cascaded) 튜닝가능한 지연 요소들의 세트, 위상 검출기, 전하 펌프, 및 D형 플립 플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들에서, 지연 요소들은 VCO 주기를 Nd개의 동등한 위상 패킷들로 나누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Nd는 지연 라인에 있는 지연 요소들의 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DLL은 지연 라인을 통한 총 지연이 하나의 VCO 사이클이라는 점을 보장하는 것을 돕기 위해 네거티브 피드백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합성기 회로부(1228)는 출력 주파수로서 캐리어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주파수는 캐리어 주파수의 배수(예를 들어, 캐리어 주파수의 2배, 캐리어 주파수의 4배)일 수 있고, 서로에 대해 다수의 상이한 위상들을 갖는 캐리어 주파수에서 다수의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직교 생성기 및 분주기 회로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주파수는 LO 주파수(fLO)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1220)는 IQ/폴라 변환기(IQ/polar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12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232)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들에 대해 동작하고, 수신된 신호들을 증폭시키며, 수신된 신호들의 증폭된 버전들을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RF 회로부(12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수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123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232)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송신을 위해 RF 회로부(1220)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을 위한 신호들을 증폭시키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송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송신 또는 수신 신호 경로들을 통한 증폭은 RF 회로부(1220)에서만, FEM 회로부(1230)에서만, 또는 RF 회로부(1220) 및 FEM 회로부(1230) 둘 모두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FEM 회로부(1230)는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동작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TX/RX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1230)는 수신 신호 경로 및 송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1230)의 수신 신호 경로는 수신된 RF 신호들을 증폭시키고 증폭된 수신된 RF 신호들을 출력으로서 (예컨대, RF 회로부(1220)에) 제공하기 위한 LNA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1230)의 송신 신호 경로는 (예컨대, RF 회로부(1220)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RF 신호들을 증폭시키기 위한 PA(power amplifier), 및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232) 중 하나 이상에 의한) 후속 송신을 위해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PMC(1234)는 기저대역 회로부(1204)에 제공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PMC(1234)는 전원 선택, 전압 스케일링, 배터리 충전, 또는 DC-DC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PMC(1234)는, 디바이스(1200)가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때, 예를 들어 디바이스(1200)가 EGE에 포함될 때 종종 포함될 수 있다. PMC(1234)는 바람직한 구현 크기 및 열 발산 특성들을 제공하면서 전력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는 PMC(1234)가 기저대역 회로부(1204)에만 커플링된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PMC(1234)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 RF 회로부(1220), 또는 FEM 회로부(1230)와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른 컴포넌트들과 커플링되고 이들에 대한 유사한 전력 관리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PMC(1234)는 디바이스(1200)의 다양한 전력 절약(power saving) 메커니즘들을 제어할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들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200)가, 디바이스가 트래픽을 곧 수신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RAN 노드에 여전히 접속되어 있는 RRC Connected 상태에 있다면, 디바이스는 일정 기간의 비활동 이후에 DRX(Discontinuous Reception Mode)라고 알려진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동안, 디바이스(1200)는 짧은 시간 간격들 동안 전원 차단(power down)될 수 있고 따라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연장된 시간 기간 동안 데이터 트래픽 활동이 없다면, 디바이스(1200)는,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로부터 접속해제되고 채널 품질 피드백, 핸드오버 등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하지 않는 RRC Idle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디바이스(1200)는 초저전력 상태로 되고, 디바이스는 그것이 다시 네트워크를 리스닝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고 이어서 다시 전원 차단되는 페이징을 수행한다. 디바이스(1200)는 이러한 상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그것은 다시 RRC Connected 상태로 전환된다.
부가적인 전력 절약 모드는, 디바이스가 페이징 간격(몇 초 내지 수 시간의 범위에 있음)보다 긴 기간들 동안 네트워크에 이용불가능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 디바이스는 전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불가(unreachable)하고 완전히 전원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 전송되는 임의의 데이터는 큰 지연을 초래하며, 지연이 용인가능하다고 가정된다.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의 프로세서들 및 기저대역 회로부(1204)의 프로세서들은 프로토콜 스택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들의 요소들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회로부(1204)의 프로세서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계층 3, 계층 2, 또는 계층 1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의 프로세서들은 이러한 계층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예컨대, 패킷 데이터)를 이용하고 계층 4 기능(예컨대, TCP(transmission communication protocol) 및 UDP(user datagram protocol) 계층들)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계층 3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계층 2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계층 1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UE/RAN 노드의 물리적(PHY)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기저대역 회로부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들(1300)을 예시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2의 기저대역 회로부(1204)는 3G 기저대역 프로세서(1206), 4G 기저대역 프로세서(1208), 5G 기저대역 프로세서(1210), 다른 기저대역 프로세서(들)(1212), CPU(1214), 및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이용되는 메모리(131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들 각각은 메모리(1318)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개개의 메모리 인터페이스(130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204)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304)(예컨대, 기저대역 회로부(1304) 외부의 메모리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회로부 인터페이스(1306)(예컨대, 도 12의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202)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RF 회로부 인터페이스(1308)(예컨대, 도 12의 RF 회로부(1220)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무선 하드웨어 접속성 인터페이스(1310)(예컨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컴포넌트들, Bluetooth® 컴포넌트들(예컨대, Bluetooth® Low Energy), Wi-Fi® 컴포넌트들, 및 다른 통신 컴포넌트들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전력 관리 인터페이스(1312)(예컨대, PMC(1234)로/로부터 전력 또는 제어 신호들을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회로부들/디바이스들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기계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에 따른, 컴포넌트들(14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412)(또는 프로세서 코어들), 하나 이상의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1418), 및 하나 이상의 통신 리소스들(1420)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리소스들(1402)의 도식적 표현을 도시하며, 이들 각각은 버스(1422)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노드 가상화(예컨대, NFV)가 이용되는 실시 형태들의 경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서브슬라이스들이 하드웨어 리소스들(1402)을 이용하기 위한 실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하이퍼바이저(1404)가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412)(예컨대,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같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RFIC(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다른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1414) 및 프로세서(1416)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1418)은 메인 메모리, 디스크 저장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1418)은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access memory, SRA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리소스들(1420)은 네트워크(14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들(1406) 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들(1408)과 통신하기 위한 상호접속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리소스들(1420)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커플링하기 위한) 유선 통신 컴포넌트들, 셀룰러 통신 컴포넌트들, NFC 컴포넌트들, Bluetooth®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Bluetooth® Low Energy), Wi-Fi® 컴포넌트들, 및 다른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1424)은 프로세서들(1412) 중 적어도 임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앱, 또는 다른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1424)은 프로세서들(1412)(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캐시 메모리 내의 것),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1418),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명령어들(1424)의 임의의 부분은 주변 디바이스들(1406) 또는 데이터베이스들(1408)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하드웨어 리소스들(1402)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들(1412)의 메모리,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1418), 주변기기 디바이스들(1406), 및 데이터베이스들(1408)은 컴퓨터 판독가능 및 기계 판독가능 매체들의 예들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들에 대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기재된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의 실시예 섹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들, 기법들, 프로세스들,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저대역 회로부는 아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 기지국, 네트워크 요소 등과 연관된 회로부는 하기의 실시예 섹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네트워크의 시스템(1500)의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시스템(1500)은, 이러한 예에서 UE(1502) 및 UE(1504)로 도시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한다. UE(1502) 및 UE(1504)는 스마트폰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들에 접속가능한 핸드헬드 터치스크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로 예시되지만, PDA(Personal Data Assistant)들, 페이저들, 랩톱 컴퓨터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무선 핸드셋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UE(1502) 및 UE(1504) 중 임의의 것은, 짧은 수명의 UE 접속들을 이용하는 저전력 사물 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설계된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을 포함할 수 있는 IoT UE를 포함할 수 있다. IoT UE는 공용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 ProSe(Proximity-Based Service) 또는 D2D(device-to-device) 통신, 센서 네트워크들, 또는 IoT 네트워크들을 통해 MTC(machine-type communications)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MTC 또는 M2M(machine-to-machine)과 같은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의 M2M 또는 MTC 교환은 데이터의 기계-개시 교환일 수 있다. IoT 네트워크는 짧은 수명의 접속들을 이용하여, (인터넷 기반구조 내의) 고유하게 식별가능한 임베디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IoT UE들을 상호접속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IoT UE들은 IoT 네트워크의 접속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들(예컨대, 킵 얼라이브(keep-alive) 메시지들, 상태 업데이트들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UE(1502) 및 UE(1504)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506)로 도시된 RAN과 접속하도록, 예를 들어 그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AN(1506)은, 예를 들어, E-UTRAN(ETMTS(Evolved ET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G RAN(NextGen RAN), 또는 일부 다른 유형의 RAN일 수 있다. UE(1502) 및 UE(1504)는, 각각, 접속(1508) 및 접속(1510)을 이용하며, 이러한 접속들 각각은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계층(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됨)을 포함하고; 이러한 예에서, 접속(1508) 및 접속(1510)은 통신가능한 커플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로 예시되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프로토콜,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프로토콜, PTT(Push-to-Talk) 프로토콜, POC(PTT over Cellular) 프로토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프로토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프로토콜, 5G(fifth generation) 프로토콜, NR(New Radio) 프로토콜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들과 부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UE(1502) 및 UE(1504)는 추가로, ProSe 인터페이스(1512)를 통해 통신 데이터를 직접 교환할 수 있다. ProSe 인터페이스(1512)는 대안적으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및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UE(1504)는 접속(1516)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AP)(1514)로 도시된 AP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접속(1516)은, 임의의 IEEE 802.15 프로토콜과 부합하는 접속과 같은 로컬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AP(1514)는 WiFi®(wireless fidelity) 라우터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AP(1514)는 무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으면서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됨).
RAN(1506)은 접속(1508) 및 접속(1510)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노드(AN)들은 기지국(BS)들, NodeB들, eNB(evolved NodeB)들, gNB(next Generation NodeBs), RAN 노드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셀) 내의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지상 스테이션들(예를 들어, 지상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위성 스테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RAN(1506)은 매크로셀들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RAN 노드들, 예를 들어, 매크로 RAN 노드(1518), 및 펨토셀들 또는 피코셀들(예를 들어, 매크로셀들에 비해 더 작은 커버리지 영역들, 더 작은 사용자 용량, 또는 더 높은 대역폭을 갖는 셀들)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RAN 노드들, 예를 들어, LP(low power) RAN 노드(1520)와 같은 LP RAN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매크로 RAN 노드(1518) 및 LP RAN 노드(1520) 중 임의의 것은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고, UE(1502) 및 UE(1504)에 대한 제1 접촉 포인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매크로 RAN 노드(1518) 및 LP RAN 노드(1520) 중 임의의 것은 무선 베어러 관리, 업링크 및 다운링크 동적 무선 리소스 관리 및 데이터 패킷 스케줄링, 및 이동성 관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기능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RAN(1506)에 대한 다양한 논리적 기능들을 이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EGE(1502) 및 EGE(1504)는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기법(예를 들어, 다운링크 통신들의 경우) 또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기법(예를 들어, 업링크 및 ProSe 또는 사이드링크 통신들의 경우)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통신 기법들에 따라 멀티캐리어 통신 채널을 통해 서로 또는 매크로 RAN 노드(1518) 및 LP RAN 노드(1520) 중 임의의 것과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통신 신호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실시 형태들의 범위가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OFDM 신호들은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다운링크 리소스 그리드는 매크로 RAN 노드(1518) 및 LP RAN 노드(1520)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UE(1502) 및 UE(1504)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업링크 송신들은 유사한 기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드는, 리소스 그리드 또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그리드로 지칭되는 시간 주파수 그리드일 수 있고, 이는 각각의 슬롯 내의 다운링크에서의 물리적 리소스이다. 그러한 시간-주파수 평면 표현은 OFDM 시스템들에 대해 통상적인 관행이며, 이는 라디오 리소스 할당에 대해 그것을 직관적으로 만든다. 리소스 그리드의 각각의 열(column) 및 각각의 행(row)은 하나의 OFDM 심볼 및 하나의 OFDM 서브캐리어에 각각 대응한다. 시간 도메인에서의 리소스 그리드의 지속기간은 라디오 프레임 내의 하나의 슬롯에 대응한다. 리소스 그리드에서의 최소 시간-주파수 유닛은 리소스 요소(resource element, RE)로 표기된다. 각각의 리소스 그리드는 다수의 리소스 블록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리소스 요소들에 대한 특정 물리적 채널들의 맵핑을 설명한다. 각각의 리소스 블록은 리소스 요소들의 집합체를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이것은 현재 할당될 수 있는 최소량의 리소스들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러한 리소스 블록들을 사용하여 전달되는 여러 개의 상이한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들이 있다.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는 사용자 데이터 및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UE(1502) 및 UE(1504)에게 반송할 수 있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무엇보다도, PDSCH 채널에 관련된 전송 포맷 및 리소스 할당들에 관한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업링크 공유 채널에 관련된 전송 포맷, 리소스 할당, 및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에 관해 UE(1502) 및 UE(1504)에 통보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다운링크 스케줄링(셀 내의 UE(1504)에 제어 및 공유 채널 리소스 블록들을 할당하는 것)은 UE(1502) 및 UE(1504)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매크로 RAN 노드(1518) 및 LP RAN 노드(1520) 중 임의의 것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정보는 UE(1502) 및 UE(1504) 각각에 대해 사용되는(예를 들어, 그에 할당되는) PDCCH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PDCCH는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들을 사용하여 제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리소스 요소들에 맵핑되기 전에, PDCCH 복소값 심볼들은 먼저 쿼드러플릿(quadruplet)들로 조직화될 수 있는데, 이들은 이어서 레이트 매칭을 위해 서브 블록 인터리버를 사용하여 치환될 수 있다. 각각의 PDCCH는 이러한 CCE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CCE는 리소스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들로 알려진 4개의 물리적 리소스 요소들의 9개의 세트들에 대응할 수 있다. 4개의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심볼들이 각각의 REG에 맵핑될 수 있다. PDCCH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크기 및 채널 상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CCE들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상이한 수들의 CCE들(예를 들어, 어그리게이션 레벨, L = 1, 2, 4, 또는 8)로 LTE에서 정의된 4개 이상의 상이한 PDCCH 포맷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은 전술된 개념들의 확장인, 제어 채널 정보를 위한 리소스 할당에 대한 개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형태들은 제어 정보 송신을 위해 PDSCH 리소스들을 사용하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이용할 수 있다. EPDCCH는 하나 이상의 향상된 제어 채널 요소(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 ECCE)들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위와 유사하게, 각각의 ECCE는 향상된 리소스 요소 그룹(EREG)들로 알려져 있는 4개의 물리적 리소스 요소들의 9개의 세트들에 대응할 수 있다. ECCE는 일부 상황들에서 다른 수들의 EREG들을 가질 수 있다.
RAN(1506)은 - S1 인터페이스(1522)를 통해 - 코어 네트워크(CN)(1528)로 도시된 CN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실시 형태들에서, CN(1528)은 EPC(evolved packet core) 네트워크, NPC(NextGen Packet Core) 네트워크, 또는 일부 다른 유형의 CN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S1 인터페이스(1522)는 2개의 부분들, 즉 매크로 RAN 노드(1518) 및 LP RAN 노드(1520)와 서빙 게이트웨이(S-GW)(1532)로 도시된 S-GW 사이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반송하는 S1-U 인터페이스(1524), 및 매크로 RAN 노드(1518) 및 LP RAN 노드(1520)와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들)(1530) 사이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인 S1-MME 인터페이스(S1-MME 인터페이스(1526)로 도시됨)로 분할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CN(1528)은 MME(들)(1530), S-GW(1532),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게이트웨이(P-GW)(P-GW(1534)로 도시됨), 및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HSS(1536)로 도시됨)를 포함한다. MME(들)(1530)는 레거시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들의 제어 평면과 기능이 유사할 수 있다. MME(들)(1530)는 게이트웨이 선택 및 트래킹 영역 목록 관리와 같은 액세스에서의 이동성 양태들을 관리할 수 있다. HSS(1536)는 통신 세션들에 대한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핸들링을 지원하기 위해 가입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사용자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CN(1528)은, 모바일 가입자들의 수, 장비의 용량, 네트워크의 조직화 등에 의존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HSS(153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SS(1536)는 라우팅/로밍, 인증, 인가, 네이밍/어드레싱 분석(naming/addressing resolution), 위치 의존성 등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S-GW(1532)는 RAN(1506)을 향한 S1 인터페이스(322)를 종단하고, RAN(1506)과 CN(1528)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GW(1532)는 RAN간 노드 핸드오버들을 위한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일 수 있고, 또한 3GPP간 이동성을 위한 앵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임무들은 합법적 감청, 과금, 및 일부 정책 시행을 포함할 수 있다.
P-GW(1534)는 PDN을 향해 SGi 인터페이스를 종단할 수 있다. P-GW(1534)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인터페이스(IP 통신 인터페이스(1538)로 도시됨)를 통해 CN(1528)(예를 들어, EPC 네트워크)과, 애플리케이션 서버(1542)(대안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기능(AF)으로 지칭됨)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1542)는 코어 네트워크와의 IP 베어러 리소스들(예를 들어, ETMTS 패킷 서비스(PS) 도메인, LTE PS 데이터 서비스들 등)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는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P-GW(1534)는 IP 통신 인터페이스(1538)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542)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542)는 또한 CN(1528)을 통해 UE(1502) 및 UE(1504)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들(예를 들어, VoIP(Voice-over-Internet Protocol) 세션들, PTT 세션들, 그룹 통신 세션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들 등)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GW(1534)는 추가로 정책 시행 및 과금 데이터 수집을 위한 노드일 수 있다. PCR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PCRF(1540)로 도시됨)는 CN(1528)의 정책 및 과금 제어 요소이다. 비-로밍 시나리오에서, ETE의 IP-CAN(Internet Protocol Connectivity Access Network) 세션과 연관된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단일 PCRF가 있을 수 있다. 트래픽의 로컬 브레이크아웃(local breakout)을 갖는 로밍 시나리오에서, UE의 IP-CAN 세션과 연관된 2개의 PCRF들, 즉 HPLMN 내의 H-PCRF(Home PCRF) 및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의 V-PCRF(Visited PCRF)가 있을 수 있다. PCRF(1540)는 P-GW(1534)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542)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542)는 새로운 서비스 흐름을 표시하고 적절한 QoS(Quality of Service) 및 과금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도록 PCRF(1540)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PCRF(1540)는 이러한 규칙을 적절한 TFT(traffic flow template) 및 QCI(QoS class of identifier)와 함께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도시되지 않음)에 프로비저닝할 수 있으며, PCEF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542)에 의해 특정된 바와 같이 QoS 및 과금을 시작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들에 대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기재된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의 실시예 섹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들, 기법들, 프로세스들,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저대역 회로부는 아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 기지국, 네트워크 요소 등과 연관된 회로부는 하기의 실시예 섹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실시예들은 추가적인 실시 형태들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은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 -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복수의 셀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BS)들과 연관되고,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함 -; 및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셀들로부터 캠프 온하기 위한 셀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서, 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의 제1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및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3은 실시예 2의 방법으로서, 셀을 선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포함함 -;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함 -;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단계; 및
순위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에 기초하여 셀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4는 실시예 3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UE에 의해,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5는 실시예 3의 방법으로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로부터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6은 실시예 3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 슬라이스들의 대응하는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가장 많은 수의 지원된 슬라이스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7은 실시예 3의 방법으로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의 그룹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의 대응하는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가장 많은 수의 지원된,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8은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단계는, UE 자체에 의해, 주파수 우선순위에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9는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각각의 주파수에 대해, 제1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주파수에 의해 지원되는 슬라이스들에 대한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들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들로부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에 대한 제1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높음부터 낮음까지로 순위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0은 실시예 3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단계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 슬라이스들에 대한 가중 인자들의 대응하는 합을 계산하는 단계; 및
대응하는 합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높음부터 낮음까지로 순위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1은 실시예 10의 방법으로서,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UE에 의해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2는 실시예 10의 방법으로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표시하고,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로부터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3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 중 어느 한 실시예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는 UE가 현재 캠프 온하고 있는 서빙 주파수를 포함한다.
실시예 14는 실시예 3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는 UE가 현재 캠프 온하고 있는 서빙 주파수를 포함하고, 서빙 주파수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한다.
실시예 15는 실시예 14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단계는 서빙 주파수를 가장 높은 순위의 주파수로서 순위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6은 실시예 3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는 UE가 현재 캠프 온하고 있는 서빙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을 서빙 주파수와 비교하여 더 높은 순위의 후보 주파수로서 순위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7은 실시예 3의 방법으로서, 셀을 선택하는 단계는:
셀이 선택되거나 순위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모두가 체크될 때까지, 다음 동작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음 동작들은:
가장 높은 순위의 후보 주파수에서 셀들에 대해 무선 리소스 관리(RRM) 측정을 수행하는 것;
순위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에서 체크되지 않은 가장 높은 순위의 후보 주파수에서의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을 캠프 온하기 위한 셀로서 선택하는 것; 및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지 않거나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RRM 측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실시예 18은 실시예 17의 방법으로서, 셀을 선택하는 단계는:
순위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모두가 체크되고 셀이 선택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고려하지 않고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19는 실시예 2의 방법으로서, 제1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포함한다.
실시예 20은 실시예 2의 방법으로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등록 수락을 포함한다.
실시예 21은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복수의 셀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BS)들과 연관되고, 구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하고, 구성 정보는, UE에 의해, 복수의 셀들로부터 캠프 온하기 위한 셀을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실시예 22는 실시예 21의 방법으로서, 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및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23은 실시예 22의 방법으로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표시한다.
실시예 24는 실시예 22의 방법으로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의 그룹을 표시한다.
실시예 25는 실시예 22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각각의 주파수에 대해, 제1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주파수에 의해 지원되는 슬라이스들에 대한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들을 표시한다.
실시예 26은 실시예 23의 방법으로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표시한다.
실시예 27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6 중 어느 한 실시예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는 서빙 주파수를 포함하고, UE는 현재 서빙 주파수에서 캠프 온하고 있다.
실시예 28은 실시예 22의 방법으로서, 제1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포함한다.
실시예 29는 실시예 22의 방법으로서,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등록 수락을 포함한다.
실시예 30은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장치로서, 본 장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0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31은 기지국을 위한 장치이며, 본 장치는,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32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한다.
실시예 33은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로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 34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9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한다.
전술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은 달리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실시예(또는 실시예들의 조합)와 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제공하지만, 총망라하거나 또는 실시 형태들의 범주를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수정들 및 변형들이 위의 교시들을 고려하여 가능하거나 다양한 실시 형태들의 실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이 특정 실시 형태들의 설명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이들 실시 형태들은 단일 시스템들로 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들로 부분적으로 조합되거나, 다수의 시스템들로 분할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들로 분할 또는 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 형태의 파라미터들/속성들/양태들/등이 다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파라미터들/속성들/양태들/등은 단지 명료함을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들에서 설명되며, 파라미터들/속성들/양태들/등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의 파라미터들/속성들/등과 조합되거나 그에 대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개인 식별가능 정보의 사용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산업 또는 정부 요건들을 충족시키거나 초과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을 따라야 하는 것이 잘 이해된다. 특히, 개인 식별가능 정보 데이터는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사용의 위험성들을 최소화하도록 관리되고 핸들링되어야 하며, 인가된 사용의 성질은 사용자들에게 명확히 표시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이 명료함의 목적들을 위해 일부 세부사항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 변화들 및 수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들 및 장치들 둘 모두를 구현하는 많은 대안적인 방식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설명은 본 명세서에 주어진 세부사항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및 등가물들 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Claims (25)

  1.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프로세싱 회로부로 하여금,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프로세싱하고 -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복수의 셀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들과 연관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함 -;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셀들로부터 캠프 온(camp on)할 셀을 선택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제1 메시지들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포함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은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고;
    상기 순위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셀을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상기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상기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할당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상기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상기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들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 슬라이스들의 대응하는 수를 카운팅하고;
    가장 많은 수의 지원된 슬라이스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로서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주파수 우선순위에 관계없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각각의 주파수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메시지들은 상기 주파수에 의해 지원된 슬라이스들에 대한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들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에 대해,
    상기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들로부터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에 대한 제1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제1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높음부터 낮음까지로 순위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의 그룹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의 대응하는 수를 카운팅하고;
    가장 많은 수의 지원된,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로서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제외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에 의해 지원되는 슬라이스들에 대한 가중 인자들의 대응하는 합을 계산하고;
    대응하는 합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높음부터 낮음까지로 순위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들은 상기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표시하고, 상기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들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현재 캠프 온하고 있는 서빙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빙 주파수는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것은 상기 서빙 주파수를 가장 높은 순위의 주파수로서 순위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는 사용자 장비(UE)가 현재 캠프 온하고 있는 서빙 주파수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를 순위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각각을 상기 서빙 주파수와 비교하여 더 높은 순위의 후보 주파수로서 순위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셀이 선택되거나 상기 순위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모두가 체크될 때까지, 다음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다음 동작들은,
    가장 높은 순위의 후보 주파수에서 셀들에 대해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을 수행하는 것;
    상기 순위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에서 체크되지 않은 상기 가장 높은 순위의 후보 주파수에서의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며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
    상기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며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을 상기 캠프 온하기 위한 셀로서 선택하는 것; 및
    상기 가장 높은 순위의 셀이 적합하지 않거나 상기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RRM 측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복귀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셀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순위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주파수 모두가 체크되고 상기 셀이 선택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고려하지 않고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등록 수락(Registration Accept)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17.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이 사용자 장비(UE)에 송신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하나 이상의 제1 메시지들 및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슬라이스 우선순위들을 표시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우선순위화된 슬라이스들의 그룹을 표시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의 각각의 주파수에 대해, 상기 제1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상기 주파수에 의해 지원되는 슬라이스들에 대한 대응하는 주파수 우선순위들을 표시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들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슬라이스를 제외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대응하는 가중 인자들을 표시하는,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메시지들은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메시지들은 등록 수락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는 서빙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현재 상기 서빙 주파수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방법.
KR1020247012686A 2021-10-21 2021-10-21 셀 재선택 KR202400589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25362 WO2023065232A1 (en) 2021-10-21 2021-10-21 Cell resel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942A true KR20240058942A (ko) 2024-05-07

Family

ID=8605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2686A KR20240058942A (ko) 2021-10-21 2021-10-21 셀 재선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58942A (ko)
CO (1) CO2024005016A2 (ko)
WO (1) WO202306523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7657B1 (en) * 2016-02-15 2020-1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JP7150831B2 (ja) * 2017-09-28 2022-10-1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スライス可用性に基づく周波数又は無線アクセス技術(rat)選択
CN111866991A (zh) * 2019-04-30 2020-10-3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终端接入方法及设备
CN113498130B (zh) * 2020-04-02 2022-10-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选择或重选的方法和设备
WO2022021097A1 (zh) * 2020-07-28 2022-02-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小区重选方法、小区重选装置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5232A1 (en) 2023-04-27
CO2024005016A2 (es) 202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692B2 (en) Measurement design for next radio (NR) and long term evolution (LTE)
US20240154759A1 (en) Aperiodic srs triggering mechanism enhancement
WO2022236645A1 (en) Fast measurement with multiple concurrent beams
US20230180075A1 (en) Handover with pscell based on trigger message
US11902803B2 (en) Physical-layer cell identifier (PCI) configuration and mobility robustness optimization for fifth generation self-organizing networks (5G SON)
WO2022151378A1 (en) Reference timing for target data measurement in unlicensed spectrum for new radio
WO2023065232A1 (en) Cell reselection
US11930460B2 (en) SMTC2-LP based RRM enhancement
US11943702B2 (en) Determining reference cell availability
US20230180091A1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relaxation for user equipment based on mobility state
US20240064760A1 (en) Pdcch reliability enhancement for multi-trp operation
WO2024031284A1 (en) Enhancement on tn cell and ntn cell reselection
US20230224999A1 (en) Power saving for sdt procedure
US11844054B2 (en) Sound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WO2024031250A1 (en) Ue mobility enhancement in mobile iab
WO2023130317A1 (en) Preconfigured measurement gap enhancement
US20240187916A1 (en) Configured grant enhancement
WO2023206144A1 (en) Enhanced gnss measurement for iot ntn
WO2023029003A1 (en) Configured grant enhancement
WO2024065504A1 (en) Cell re-selection for atg
WO2022151377A1 (en) Delay requirements determination for handover with primary secondary cell
WO2022151564A1 (en) Optimizing of schedu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