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630A -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8630A KR20240058630A KR1020220139554A KR20220139554A KR20240058630A KR 20240058630 A KR20240058630 A KR 20240058630A KR 1020220139554 A KR1020220139554 A KR 1020220139554A KR 20220139554 A KR20220139554 A KR 20220139554A KR 20240058630 A KR20240058630 A KR 202400586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frame
- battery pack
- protrusion
- outsi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팩은,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외부와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마련된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며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팩의 제조방법은,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외부와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되, 돌출부가 구비된 버스바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돌출부가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버스바를 상기 몰드를 이용한 사출 성형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and a bus bar installed on the frame to en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and the bus bar is installed along an edge of the frame when viewed from the top. However, it may include a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ward across the edg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mold, preparing a bus bar that is capable of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and has a protrusion, and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protrusion is of the frame. It may include a joining step of joining the frame and the bus bar by injection molding using the mold so that the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rame across the ed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지팩 및 그 전지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pack.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고, 석유자원의 고갈에 따른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수요를 해결하고자 친환경 에너지원에 기초한 전력 생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차전지의 재료, 구조, 공정, 안정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demand for alternative energy sources due to the depletion of petroleum resources, research and development on electric power production based on eco-friendly energy sources is underway. In particular,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on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repeated charging/discharging, and research/development is being conducted on various aspects such as materials, structures, processes, and stability of secondary batteries.
이차전지는 모듈/팩 단위로 관리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이차전지들이 전지모듈에 탑재되고, 복수개의 전지모듈들이 전지 팩에 탑재되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시 이외에도, 이차전지의 타입이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예가 있을 수 있다. Secondary batteries can be managed on a module/pack basis. For example,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may be mounted on a battery module, and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may be mounted on a battery pack and managed by a battery management system. However, in addition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various examples depending on the type or shape of the secondary battery.
종래기술에 따르면, 전지팩은 복수개의 전지들이 수용되는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전지들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버스바를 포함하였다. 프레임에 버스바를 설치 시에 사출 성형을 통해 버스바를 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프레임이 버스바를 물리적으로 간섭하여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방해하게 될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battery pack includes a frame that forms an exterior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accommodated, and a bus bar installed on the fram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batteries to the outside. When installing a bus bar on a frame, the bus bar can be coupled to the frame through injection molding. In this case, the frame may physically interfere with the bus bar, interfering with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적 결합에 안정성이 있으며,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지팩 및 그 전지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pack that have stable structural coupling and can stably make an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팩은,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외부와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마련된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며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and a bus bar installed on the frame to enabl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and the bus bar is installed along an edge of the frame when viewed from the top. However, it may include a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ward across the edg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팩의 제조방법은,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외부와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되, 돌출부가 구비된 버스바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돌출부가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버스바를 상기 몰드를 이용한 사출 성형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mold, preparing a bus bar that is capable of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and has a protrusion, and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protrusion is of the frame. It may include a joining step of joining the frame and the bus bar by injection molding using the mold so that the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rame across the edg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력 향상으로 인해 구조적 결합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ility of structural bonding can be improved due to improved adhes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can be stably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팩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팩의 일 측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및 제1 버스바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및 제1 버스바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및 제1 버스바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버스바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버스바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및 제1 버스바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및 제1 버스바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portion of one side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rame and a first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rame and a first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frame and the first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first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first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lan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rame and a first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lan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rame and a first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or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omitted, and reference signs are added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n this regard, identical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팩(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팩(1)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지팩(1)의 일 측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전지팩(1)은 프레임(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전지팩(1)의 외곽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은, 복수개의 전지들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복수개의 전지들(또는 수용공간)을 둘러싸며 전지팩(1)의 외곽을 형성할 수 있다. The
전지팩(1)은 제1 버스바(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스바(20)는, 전지팩(1)이 복수개의 전지들을 수용하는 경우, 복수개의 전지들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제1 버스바(20)는 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스바(20)는 프레임(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는, 전지팩(1)을 상측에서 보았을 때(예: +Z에서 -Z 방향으로 보았을 때), 프레임(10)의 가장자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버스바(20)는, +Z에서 -Z 방향으로 보았을 때, 프레임(10)의 양측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방향(예: -X에서 +X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제1 버스바(20)는 일부는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프레임(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스바(20)의 일부는 프레임(10)의 내측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다른 일부(예: 도 5 내지 도 9의 돌출부(100))는 프레임(1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The
전지팩(1)(또는 제1 버스바(20))는 제1 체결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재(21)는, 후술하는 제2 체결부재(40)와의 결합을 위해, 프레임(10)의 외측을 향해 소정방향(예: -X에서 +X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제1 체결부재(21)는, 제1 버스바(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버스바(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체결부재(21)는 제1 버스바(20)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The battery pack 1 (or the first bus bar 20) may include a
전지팩(1)은 제2 버스바(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버스바(30)는, 전지팩(1)이 복수개의 전지들을 수용하는 경우, 복수개의 전지들과 제1 버스바(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버스바(30)는 프레임(1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버스바(30)는, 제1 체결부재(21)가 관통되어 안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버스바(30)는 제1 체결부재(21)가 소정 방향(예: -X에서 +X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은 제1 체결부재(21)의 단면적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전지팩(1)은 제2 체결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40)는, 제2 버스바(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부재(40)는, 제2 버스바(30)를 사이에 두고, 제1 버스바(20)와 체결될 수 있다. The
제2 체결부재(40)는, 제1 버스바(20)의 제1 체결부재(21)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부재(40)는, 제1 체결부재(21)를 감싸는 형태로 제1 체결부재(21)와 체결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10) 및 제1 버스바(20)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10) 및 제1 버스바(20)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20) 및 제1 버스바(20)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버스바(20)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설명은, 본 실시 예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버스바(20)는 프레임(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버스바(20)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또는 +Z에서 -Z방향으로 보았을 때),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제1 버스바(20)는 돌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00)는 프레임(1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00)는 제1 버스바(20)에서 프레임(10)의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며 외측을 향해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돌출부(100)는 프레임(10)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소정방향(예: +X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돌출부(100)는 커브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브부(110)는 프레임(10)의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브부(110)는 프레임(10)의 가장자리를 -X에서 +X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브부(110)는 프레임(10)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브부(110)는, 프레임(110)(또는 프레임(10)의 가장자리)의 외측을 향해 반구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커브부(110)는 프레임(10)의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상술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하게 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 The
돌출부(100)는 접촉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20)는 돌출부(100)의 중심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20)는, 제1 버스바(20)와 제2 버스바(30)(또는 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부분일 수 있다. 접촉부(120)는 접촉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121)은 외측을 향해 평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면(121)은, 제2 버스바(30)(또는 외부)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원 또는 원띠 형태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21)가 제1 버스바(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접촉면(121)은 제1 체결부재(21)가 관통할 수 있는 중심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접촉면(121)의 면적은 전류의 세기 및 버스바의 두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접촉면(121)의 면적은, 접촉길이(A)에 대응하는 면적일 수 있다. 접촉길이(A)가 클수록 접촉면(121)의 면적이 클 수 있다. 전류의 세기는, 제1 버스바(20) 및/또는 제2 버스바(3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일 수 있다. 또한, 버스바의 두께는, 제1 버스바(20)의 두께(d)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150A인 경우, 제1 버스바(20)의 두께(d)가 2T이면 접촉길이(A)는 8mm로 설계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는 예시이며,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및 버스바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 The area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버스바(20)에 돌출부(100)가 형성되는 경우, 제1 버스바(20)와 프레임(10)의 결합 시(예: 사출 성형을 통한 결합 시)에, 프레임(10)의 일부가 제1 버스바(20)의 일부(예: 접촉부(120), 접촉면(121))를 물리적으로 간섭(또는 침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버스바(20)와 외부(또는 제2 버스바(30))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프레임(10) 및 제1 버스바(20)의 결합은, 후술하는 전지팩(1)의 제조방법에 따를 수 있다. 전지팩(1)의 제조방법은,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는 전지팩(1)의 제조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주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는 후술하는 인서트 사출 시에 이용될 수 있는 주형일 수 있다. 전지팩(1)의 제조방법은, 외부와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되, 돌출부(100)가 구비된 제1 버스바(20)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스바(20)를 준비하는 단계는, 돌출부(100)가 외측을 향해 굽어지는 커브부(110)를 형성하면서 돌출되되, 커브부(110)에서 이어지는 평면형태의 접촉면(121)이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접촉부(120)를 구비하도록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지팩(1)의 제조방법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돌출부(100)가 프레임(10)의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10)과 제1 버스바(20)를 상기 몰드를 이용한 사출 성형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 성형은, 인서트 사출 성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 성형은, 미리 준비된 몰드 내에 용융된 프레임(10) 소재와 제1 버스바(20)를 삽입하고, 몰드 내에서 프레임(10)과 제1 버스바(20)를 결합(또는 일체화)시키는 성형일 수 있다.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버스바(20)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10) 및 제1 버스바(20)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전술한 설명은, 본 실시 예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Figure 8 is a plan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제1 버스바(30)는 함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몰부(200)는, 돌출부(100)의 돌출된 방향(예: +X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함몰부(200)는 돌출부(100)의 돌출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00)가 반구형태의 커브부(110)를 형성하면서 돌출된 경우, 함몰부(200)는 반구형태로 함몰될 수 있다. The recessed
함몰부(200)는 돌출부(100)의 돌출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되면서 함몰영역(2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21)가 제1 버스바(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제1 체결부재(21)의 일단은 함몰영역(210)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21)의 타단은 프레임(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체결부재(21)의 일단이 함몰영역(210) 내에 안착되도록, 제1 체결부재(21)의 일단의 반경은, 함몰영역(210)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The recessed
제1 버스바(20)가 사출 성형(예: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프레임(10)과 결합 시에, 함몰부(200)와 프레임(10)이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은, 함몰부(200)의 함몰영역(210)이 정의하는 함몰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사출 성형을 통해 채우면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레임(10)은, 함몰부(200)의 함몰영역(210)이 정의하는 함몰공간 전부를 사출 성형을 통해 채우면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함몰공간을 프레임(10)이 채우는 정도가 높으면, 프레임(10)과 제1 버스바(20)의 접촉영역(S)이 커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은, 함몰부(200)의 함몰영역(210)과 접촉되며 함몰영역(210)을 커버할 수 있다. When the
함몰부(200)와 프레임(10)은, 접촉영역(S)을 형성하며 결합될 수 있다. 제1 버스바(20)에 함몰부(200)가 형성됨으로써 접촉영역(S)이 커지는 경우, 제1 버스바(20)와 프레임(10)의 결합강도(또는 접착력)가 높아지며, 이에 따라 구조적 결합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recess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10a) 및 제1 버스바(20a)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전술한 설명은, 본 실시 예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Figure 10 is a plan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제1 버스바(20a)는 돌출부(10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부(100a)는 단차부(110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00a)는 단차부(110a)를 형성하며 돌출될 수도 있다. 단차부(110a)는, 프레임(10a)의 외측을 향해 소정방향(예: +X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버스바(20a)에 단차부(100a)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1 버스바(20a)와 프레임(10a)의 사출 성형을 통한 결합 시에, 프레임(10a)의 일부가 제1 버스바(20a)의 일부(예: 접촉부(120a), 접촉면(121a))를 물리적으로 간섭(또는 침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버스바(20a)와 외부(또는 제2 버스바(30))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돌출부(100a)는 접촉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20a)는, 외부의 버스바(예: 제2 버스바(30))와 접촉되기 위한 접촉면(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121a)은, 제1 버스바(20a)의 두께(d')에 대응하는 접촉길이(A')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00a)의 접촉부(120a)는 단차부(110a)를 형성하며 소정방향(예: +X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접촉면(121a)의 면적(A')은 도 5 내지 도 9의 접촉면(121)의 면적(A)보다 넓게 설계 가능하다. 접촉면(121a)의 면적(A')이 넓어지는 경우, 안정적으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제1 버스바(20a)는 함몰부(200a)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200a)는 돌출부(100a)의 돌출방향(예: +X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00a)의 돌출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되어 함몰영역(210a)을 형성할 수 있다. 함몰부(200a)가 단차부(110a)를 형성하며 함몰되고, 함몰영역(210a)에 대응하는 접촉영역(S')이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0a)이 접촉영역(S')을 통해 제1 버스바(20a)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버스바(20a)와 프레임(10a)의 결합강도(또는 접착력)가 높아지며, 이에 따라 구조적 결합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y of the patent claims.
1: 전지팩
10, 10a: 프레임
20, 20a: 제1 버스바
21, 21a: 제1 체결부재
30: 제2 버스바
40: 제2 체결부재
100, 100a: 돌출부
110: 커브부
110a: 단차부
120, 120a: 접촉부
121, 121a: 접촉면
200, 200a: 함몰부
210, 210a: 함몰영역
S, S': 접촉영역1: Battery pack
10, 10a: frame
20, 20a: first bus bar
21, 21a: first fastening member
30: second bus bar
40: Second fastening member
100, 100a: protrusion
110: Curve part
110a: Step part
120, 120a: contact part
121, 121a: contact surface
200, 200a: depression
210, 210a: depression area
S, S': contact area
Claims (12)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외부와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마련된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며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지팩. frame; and
Installed on the frame, it includes a bus bar provided to enable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The bus bar is,
A battery pack installed along an edge of the frame when viewed from above, and including a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ward across the edge.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지팩. In claim 1,
The protrusion is,
A battery pack including a contact part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상기 접촉부는,
외측을 향해 평면형태로 형성된 접촉면을 포함하는, 전지팩. In claim 2,
The contact part is,
A battery pack including a contact surface formed in a flat shape toward the outside.
상기 접촉면의 면적은,
상기 버스바에 전달되는 전류의 세기 및 버스바의 두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지팩. In claim 3,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is,
A battery pack determined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transmitted to the bus bar and the thickness of the bus bar.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형태의 커브부를 포함하는, 전지팩. In claim 1,
The protrusion is,
A battery pack extending in a direction across the edge and including a curved portion bent outward.
상기 커브부는,
상기 외측을 향해 반구형태로 돌출되는, 전지팩. In claim 5,
The curve part,
A battery pack that protrudes outward in a hemispherical shape.
상기 버스바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된 방향의 반대측에 상기 돌출부의 돌출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는, 전지팩. In claim 1,
The bus bar is,
A depress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shap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 battery pack in which the depression and the frame are combined.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함몰부의 함몰된 영역이 정의하는 함몰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면서 결합되는, 전지팩. In claim 7,
The frame is,
A battery pack that is combined while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ssed space defined by the recessed area of the recessed portion.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함몰부의 함몰된 영역에 접촉되며 상기 함몰된 영역을 커버하는, 전지팩. In claim 7,
The frame is,
A battery pack that contacts the recessed area of the recessed portion and covers the recessed area.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상기 외측을 향해 굽어져 돌출된 커브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상기 커브부와 이어지는 평면형태의 접촉면이 형성된 접촉부가 마련되는, 전지팩. In claim 1,
The protrusion is,
A battery pack in which a curved portion is formed that protrudes and bends toward the outside based on the edge, and a contact portion having a planar contact surface connected to the curved portion is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외부와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되, 돌출부가 구비된 버스바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돌출부가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버스바를 상기 몰드를 이용한 사출 성형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Preparing a mold;
Preparing a bus bar capable of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and having a protrus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comprising a joining step of joining the frame and the bus bar by injection molding using the mold so that the protrusion crosses the edge of the frame and protrudes out of the frame when viewed from the top.
상기 버스바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외측을 향해 굽어지는 커브부를 형성하면서 돌출되되, 상기 커브부에서 이어지는 평면형태의 접촉면이 상기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접촉부를 구비하도록 준비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In claim 11,
The step of preparing the bus ba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wherein the protrusion protrudes while forming a curved portion bent toward the outside, and has a contact portion formed such that a flat contact surface extending from the curved portion faces the out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9554A KR20240058630A (en) | 2022-10-26 | 2022-10-26 |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9554A KR20240058630A (en) | 2022-10-26 | 2022-10-26 |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8630A true KR20240058630A (en) | 2024-05-03 |
Family
ID=9107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9554A KR20240058630A (en) | 2022-10-26 | 2022-10-26 |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58630A (en) |
-
2022
- 2022-10-26 KR KR1020220139554A patent/KR20240058630A/en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49181B2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insert-injection molded busbar assembly | |
CN108321346B (en) | battery module | |
KR20180099438A (en) | Frame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module | |
US8703312B2 (en) | Battery module | |
KR101126889B1 (en) | Battery pack | |
US9088032B2 (en) | Secondary battery | |
EP3800688B1 (en) | Top cover assembly, battery cell,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WO2018143464A1 (en) |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module | |
JP2012113944A (en) | Battery module | |
US20120208046A1 (en) | Battery Pack | |
CN105706272A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sensing module having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 |
CN116830332A (en) |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CN211789135U (en) | Battery pack | |
CN217158363U (en) | Battery cell, battery and power consumption device | |
KR101783333B1 (en) | Terminal for module | |
KR20240058630A (en) |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3887457B (en) | Battery pack | |
JP7225795B2 (en) | power storage device | |
JP4085741B2 (en) | Single cell,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 |
CN215342870U (en) | Battery pack and electric equipment | |
KR102073191B1 (en) | Battery pack | |
CN217387416U (en) | Battery pack and vehicle with same | |
CN215342849U (en) | Battery pack and electric device using same | |
KR102716407B1 (en) | Solar cell module for vehicle panel and vehicle pan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CN218299976U (en) | Cover plate of battery cell, battery and energy storage sys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