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351A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351A
KR20240058351A KR1020220138992A KR20220138992A KR20240058351A KR 20240058351 A KR20240058351 A KR 20240058351A KR 1020220138992 A KR1020220138992 A KR 1020220138992A KR 20220138992 A KR20220138992 A KR 20220138992A KR 20240058351 A KR20240058351 A KR 20240058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cb
coupling
protrusion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상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351A/en
Publication of KR2024005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3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Paper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피씨비에 실장되는 제1커넥터와 제2피씨비에 실장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걸림턱에 구속되는 구속턱이 형성된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커넥터의 어느 한 둘레벽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조작을 위해 개방된 절개홈이 형성된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로써 서로 인접한 두 피씨비 간의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지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의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mounted on a first PCB and a second connector mounted on a second PCB,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on the locking protrusion. A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PCB is provided, wherein a locking member is formed with a restraining jaw to be restrained, and an open cut groove is formed on one peripheral wall of the first connector for manipulation of the locking member. As a result, the coupling between two adjacent PCBs can be easily and stably achieved, while also enabling their separation.

Description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for PCB combination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두 피씨비 간의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지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의 분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ype of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PCBs that allows for easy and stable coupling between two adjacent PCBs and enables separation from each other.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자 제품에 주로 사용되며, 두 부품 간의 신호나 전원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Generally, a connector assembly is mainly used in electronic products and is a device used to connect signals or power between two components.

차량의 경우 많은 전기 부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 부품은 케이블로 연결되어 각종 신호나 전원을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전기 부품을 서로 접속하거나 또는, 접속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the case of vehicles, many electrical components are used, and these electrical components are connected with cables to receive various signals or power. At this time, the connector assembly serves to connect or disconnect the cable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한편, 차량에 사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중 기판 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의 경우 피씨비와 케이블 또는, 피씨비와 또다른 피씨비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제공된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02-0056351호, 공개특허 제10-2009-0030888호, 공개특허 제10-2011-0081360호, 공개특허 제10-2018-0123372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Meanwhile, among the connector assemblies used in vehicles, the board-mounted connector assembly is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CB and a cable, or between the PCB and another PCB. In relation to this, it is as present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56351, Publication Patent No. 10-2009-0030888, Publication Patent No. 10-2011-0081360, and Publication Patent No. 10-2018-0123372.

즉, 피씨비에 커넥터 어셈블리가 직접 실장됨으로써 케이블 간의 연결이 아닌 피씨비와 케이블 또는, 두 피씨비 간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onnector assembly is mounted directly on the PCB to enable connection between the PCB and the cable, or between two PCBs, rather than between cables.

하지만, 상기 차량의 경우 운행시 또는, 엔진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가 원치않게 분리되거나 접점부의 마모에 의해 신호 전달의 불량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차량에 사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는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vehicl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or assembly was undesirably separated due to vibration generated during driving or engine operation, or a signal transmission defect occurred due to wear of the contact portion. Accordingly, conventionally, connector assemblies used in vehicles are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firmly coupl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 간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넥터 어셈블리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와 피씨비 간의 접속 부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assemblies is firmly established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nector assembly and the PCB was damaged dur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onnector assembly.

특히, 두 피씨비 간의 접속을 위한 소형 커넥터 어셈블리의 경우 상기 두 피씨비 간의 이격 거리가 좁아서(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거리) 작업자가 커넥터만 파지하기 어려웠다. 이로써 커넥터 간의 분리시 커넥터가 손상되거나 또는, 피씨비과 커넥터 간의 접속 부위가 손상될 우려가 컸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mall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two PCB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PCBs was narrow (a distance that a finger could not fit into), making it difficult for the worker to hold only the connector. As a result, there was a high risk that the connector would be damaged when the connectors were separated, or that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PCB and the connector would be damaged.

또한, 상기 두 피씨비 간의 접속시 서로의 이격 거리가 협소할 경우 그 조립이 완전히 이루어졌는지의 확인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로써 불완전한 체결이 잦아서 차량 주행시 커넥터 간 혹은, 단자 간이 이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dditionally, when the two PCBs are connected, i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m is narrow,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assembly has been completed. As a result, incomplete fastening was frequent and there was a problem of separation between connectors or terminals when driving the vehicle.

공개특허 제10-2002-0056351호Publication Patent No. 10-2002-0056351 공개특허 제10-2009-0030888호Publication Patent No. 10-2009-0030888 공개특허 제10-2011-0081360호Publication Patent No. 10-2011-0081360 공개특허 제10-2018-0123372호Public Patent No. 10-2018-0123372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피씨비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필요에 따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that allows easy coupling between connectors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wo PCBs and can be easily separated when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피씨비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진동에 의해 분리됨이 방지되도록 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that allows stable coupling between connectors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wo PCBs and prevents separation due to vibration of the vehic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전방벽과 후방벽과 양 측벽을 가지는 통체로 형성되면서 제1피씨비의 상면에 실장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내면에 위치되는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1몸체부 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상기 전방벽 및 후방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안내돌부를 가지는 제1커넥터; 제2피씨비의 저면에 실장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제1몸체부 내로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제1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를 가지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의 삽입부는 상기 제1커넥터의 전방벽과 안내돌부 사이로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의 후방벽과 안내돌부 사이로 삽입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rst body portion formed as a cylinder having a front wall, a rear wall, and both side walls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CB, and the first body portion. a first connector having a first connection terminal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to cross between the front and rear walls whil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body; A second body part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PCB, an insertion part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and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first body part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body part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A second connector having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guide protrusion of the first connect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insertion par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sertion part and is inserted between the rear wall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guide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안내돌부의 상단 전 후면에는 걸림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삽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구속되는 구속턱이 각각 돌출되면서 상기 삽입부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한 걸림부재가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upper part of the guide protrusion, and restraining protrusions that are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s are protruded on the inside of each insertion part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A locking member capable of tilt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unit is formed,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재는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게 형성된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thicker toward the bottom.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를 이루는 안내돌부의 상단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는 통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를 이루는 삽입부의 하단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상기 통과홈을 지나는 통과돌기가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ssing groove is formed on either the upper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forming the first connector, and the lower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forming the second connector. A passing protrusion passing through the passing groove is formed on one of the rear surfaces.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안내돌부에는 여타 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보강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part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other parts is formed on the guide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는 안내돌부의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ment portion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thicker toward the bottom of the guide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의 전방벽 및 후방벽 또는, 양 측벽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조작을 위해 개방된 절개홈이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t groove open for manipulating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walls or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절개홈의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돌출된 조작돌기가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ding manipula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so as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cut groove.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조작돌기의 둘레면은 상기 절개홈의 통과 방향을 향해 경사지거나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anipulation protrusion is inclined toward the direction of passage of the cut groove or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제1피씨비에 실장되면서 둘레벽을 가지는 제1커넥터; 제2피씨비에 실장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걸림턱에 구속되는 구속턱이 형성된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커넥터의 어느 한 둘레벽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조작을 위해 개방된 절개홈이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nector mounted on a first PCB and having a peripheral wall; A second connector is mounted on the second PCB and a part of the first connector is inserted and connected,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connector is restrained by the locking protrusion. A locking member formed with a restraining jaw is provided, and a cut groove open for manipulation of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on one peripheral wall of the first connecto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커넥터 간의 결합에 의한 걸림부재와 안내돌부 간의 맞물림(걸림턱과 구속턱 간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stable coupling state between the two connectors through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member and the guide protrusion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restraining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걸림부재가 충분한 길이를 가지면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원활한 탄성변형과 충분한 접압력의 제공으로 안내돌부와의 맞물림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the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member has a sufficient length and gradually becomes thicker toward the bottom, so that stable engagement with the guide protrusion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smooth elastic deformation and sufficient contact pressure. It ha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피씨비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더라도 도구를 이용한 두 커넥터 간의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두 커넥터 간의 분리시 피씨비의 손상이나 커넥터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mbining PCB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eparation between two connectors using a tool even if the gap between two PCBs is narrow, so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PCB or connector when separating the two connectors. .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걸림부재의 조작을 위해 제1커넥터의 측벽에 절개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걸림부재와 안내돌부 간의 결합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로써 접속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n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t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connector for manipulating the locking member, so that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locking member and the guide protrusion are coupled, thereby preventing poor connection.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접속단자 및 결합플랜지가 생략된 상태의 분해 사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접속단자 및 결합플랜지가 포함된 상태의 분해 사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1커넥터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1커넥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1커넥터의 사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2커넥터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2커넥터의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2커넥터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2커넥터의 사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and coupling flange omitte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CB coupling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ion terminal and coupling fl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8
Figure 10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onnector of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mbining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nector of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mbining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connector of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mbining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of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mbining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bottom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of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mbining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of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mbining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of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mbining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1 to 16.

설명에 앞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Prior to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can be connected or connected directly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설명을 위한 각 상태별 사시도 및 사시 단면도이다.1 to 5 are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for each state for explaining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접속단자 및 결합플랜지가 포함된 상태의 분해 사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들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관련한 설명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ttache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cluding the connection terminal and coupling flange, and Figure 6 is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view, Figure 7 is a sid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ptions regarding the direction or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component are 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피씨비(10,20)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면서도 분리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the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the PCB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two PCBs 10 and 20 to be firmly coupled and prevent damage when separated. It was made possibl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크게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rised of a first connector 100 and a second connector 200. This is explain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먼저, 상기 제1커넥터(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first connecto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and 10 to 12.

상기 제1커넥터(100)는 제1피씨비(10)에 실장되는 커넥터이다.The first connector 100 is a connector mounted on the first PCB 10.

상기 제1커넥터(100)는 제1몸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connector 100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110.

상기 제1몸체부(110)는 제1피씨비(10)의 상면에 실장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둘레벽을 가지는 통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110)의 둘레벽은 전방벽(110a)과 후방벽(110b)과 양 측벽(110c)으로 형성된다.The first body portion 11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CB 10 and is formed as a cylinder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peripheral wall. The peripheral wall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of a front wall 110a, a rear wall 110b, and both side walls 110c.

상기 제1몸체부(110) 내의 전방벽(110a) 및 후방벽(110b)에는 후술될 제1접속단자(120)가 장착되는 제1장착홈(111)이 형성된다.A first mounting groove 111 on which a first connection terminal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is formed on the front wall 110a and the rear wall 110b of the first body 110.

상기 제1커넥터(110)의 저면은 후술될 제1접속단자(12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제1피씨비(10)에 실장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bottom of the first connector 110 is formed to be partially open so tha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can be mounted on the first PCB 10.

또한, 상기 제1커넥터(100)는 제1접속단자(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dditionally, the first connector 10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120.

상기 제1접속단자(120)는 제1피씨비(10)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단자이다. 상기 제1접속단자(120)는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가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20 is a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irst PCB 1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20 may be provided as one or in plurality of two or more.

상기 제1접속단자(120)는 다단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일부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내면에 형성된 제1장착홈(111)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바닥을 관통하여 저부로 노출된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20 is formed to be bent in multiple stages, a portion is located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11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other portion is located in the first body portion 110. ) penetrates the bottom and is exposed to the bottom.

또한, 상기 제1커넥터(100)는 안내돌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dditionally, the first connector 100 includes a guide protrusion 130.

상기 안내돌부(130)는 후술될 제2커넥터(200)에 형성되는 걸림부재(25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110) 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guide protrusion 13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s a component for coupling with the locking member 250 formed on the second connecto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안내돌부(130)는 상기 제1몸체부(110)를 이루는 전방벽(110a)과 후방벽(110b)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즉, 제1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안내돌부(130)를 기준으로 일측의 결합공간과 타측의 결합공간을 각각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 결합공간 및 타측 결합공간에는 복수의 제1접속단자(120)가 각각 제공된다.The guide protrusion 130 is formed to cross between the front wall 110a and the rear wall 110b of the first body 110. That is,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is configured to provide a coupling space on one side and a coupling space on the other side, respectively, based on the guide protrusion 130, and the one coupling space and the other coupling space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spaces. One connection terminal 120 is provided for each.

상기 안내돌부(130)에는 여타 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보강부(131)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부(131)의 제공으로 상기 안내돌부(130)가 상기 전방벽(110a) 또는, 후방벽(110b)으로의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부(131)는 안내돌부(130)의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게 형성된다.A reinforcing part 131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other parts is formed on the guide protrusion 130. In other words, the provision of the reinforcing part 131 prevents the guide protrusion 130 from bending and deforming the front wall 110a or the rear wall 110b. 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portion 131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thicker toward the lower end of the guide protrusion 130.

상기 안내돌부(130)의 상단 전후면에는 걸림턱(13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32)은 상기 안내돌부(130)의 상단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32)의 상면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32)은 상기 안내돌부(130)의 일측에서 타측에 이르기까지 일괄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안내돌부(130)의 일측에서 타측에 이르기까지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Locking protrusions 132 are formed on the upp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protrusion 130, respectively. The locking protrusion 13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protrusion 13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132 is formed to gradually slope downward toward the end. The locking protrusion 132 may be formed collectively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130, or may be formed partially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130.

한편, 상기 제1커넥터(100)에는 제1결합플랜지(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플랜지(140)는 상기 제1커넥터(100)를 기구적으로 제1피씨비(10)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커넥터(100)를 이루는 제1몸체부(110)의 어느 한 둘레벽(예컨대, 양 측벽)에 상기 제1결합플랜지(140)를 각각 제공하여 해당 제1커넥터(100)가 제1결합플랜지(14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nector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upling flange 140. The first coupling flange 140 may be provided to mechanically fix the first connector 100 to the first PCB 10. That is, the first coupling flange 140 is provided on one circumferential wall (e.g.,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forming the first connector 100,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00 It can be configured to be firmly fixed to the first coupling flange 140.

다음으로, 상기 제2커넥터(2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와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second connecto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and 13 to 16.

상기 제2커넥터(200)는 제2피씨비(20)에 실장되는 커넥터이다.The second connector 200 is a connector mounted on the second PCB 20.

상기 제2커넥터(200)는 제2몸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a second body portion 210.

상기 제2몸체부(210)는 둘레벽을 가지는 통체로 형성된다.The second body portion 210 is formed as a cylinder having a peripheral wall.

상기 제2몸체부(210) 내의 서로 대향되는 두 벽면에는 후술될 제2접속단자(240)가 장착되는 제2장착홈(211)이 형성된다.A second mounting groove 211 is formed on two opposing walls of the second body portion 210, into which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또한, 상기 제2커넥터(200)는 삽입부(220,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220,230)는 상기 제1커넥터(100)의 제1몸체부(110) 내에 삽입되는 부위이다.Additionally, 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are portion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of the first connector 100.

상기 삽입부(220,230)는 상기 제1커넥터(100)의 전방벽(110a)과 안내돌부(130) 사이로 삽입되는 제1삽입부(220)와, 상기 제1커넥터(100)의 후방벽(110b)과 안내돌부(130) 사이로 삽입되는 제2삽입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삽입부(220,230)는 상기 제2몸체부(210)의 저면 중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된다.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include a first insertion portion 220 inserted between the front wall 110a and the guide protrusion 130 of the first connector 100, and a rear wall 110b of the first connector 100. )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230 inserte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130. At this time,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portion 210.

상기 제1삽입부(220)와 제2삽입부(23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두 삽입부(220,230)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커넥터(100)의 안내돌부(130)가 이루는 전후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part 220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23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sertion parts 220 and 230 may be greater than the front-to-back thickness of the guide protrusion 130 of the first connector 100.

상기 각 삽입부(220,230)의 외면(전면 또는, 후면)에는 제2접속단자(240)의 하단 부위가 안착되는 안착홈(221,231)이 각각 형성된다.Seating grooves 221 and 231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40 is seated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front or rear) of each of the insertion parts 220 and 230, respectively.

상기 각 삽입부(220,230)의 하단은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의 경우 제1커넥터(100)를 이루는 제1몸체부(110)의 상단은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삽입부(220,230)와 제1몸체부(110) 간의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lower ends of each insertion portion 220 and 230 are gradually inclined inward toward the end. In this case, the top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forming the first connector 100 is gradually inclined inward toward the end. As a result, the coupling between the insertion parts 220 and 230 and the first body part 110 can be smoothly achieved.

또한, 상기 제2커넥터(200)는 제2접속단자(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dditionally, 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240.

상기 제2접속단자(240)는 상기 제1접속단자(120)와 통전되면서 제1피씨비(10)와 제2피씨비(2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제공되는 단자이다. 상기 제2접속단자(240)는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가 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40 is a terminal provi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PCB 10 and the second PCB 20 while conducting electricity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20.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40 may be provided as one or in plurality of two or more.

상기 제2접속단자(240)는 다단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일부는 상기 제2몸체부(210)의 내면에 형성된 제2장착홈(211)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삽입부(220,230)의 외면에 형성된 안착홈(221,231)에 안착된다. 이로써, 상기 제2커넥터(200)의 삽입부(220,230)가 상기 제1커넥터(100)의 제1몸체부(110) 내로 삽입 결합될 경우 상기 제2커넥터(200)에 제공되는 제2접속단자(240)와 상기 제1커넥터(100)에 제공되는 제1접속단자(120)는 서로 접속된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40 is formed to be bent in multiple stages, a portion of which is locat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21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210,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20, 230. It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s 221 and 23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ccordingly, when 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of the second connector 200 are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of the first connector 100,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to the second connector 200 240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20 provided on the first connector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커넥터(200)는 걸림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dditionally, the second connector 200 includes a locking member 250.

상기 걸림부재(250)는 상기 제1커넥터(100)의 안내돌부(130)와 맞물리면서 상기 제2커넥터(200)와 제1커넥터(100) 간의 원치않는 분리를 방지하는 구조이다.The locking member 250 is structured to prevent unwanted separation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200 and the first connector 100 while engaging with the guide protrusion 130 of the first connector 100.

상기 걸림부재(250)는 상기 각 삽입부(220,230)의 내측에 상기 안내돌부(130)와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250)는 상기 삽입부(220,230)의 바닥으로부터 상향 돌출됨과 더불어 상기 삽입부(220,230)를 이루는 외벽(제1삽입부의 전방벽 또는, 제2삽입부의 후방벽)의 내면과는 이격되면서 상기 삽입부(220,230)의 내측 방향(외벽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locking member 250 is formed inside each of the insertion parts 220 and 230 to face the guide protrusion 130. At this time, the locking member 250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the front wall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or the rear wall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forming 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and selectively inclined toward the inner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wall is located).

상기 걸림부재(250)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걸림부재(250)가 잦은 결합 조작에 의해 파손됨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더욱 강한 걸림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locking member 250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thicker toward the bottom.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cking member 250 from being damaged by frequent coupling operations as much as possible and provide a stronger locking force.

특히, 상기 걸림부재(250)의 상하 높이는 삽입부(220,230)의 높이보다는 낮고 상기 삽입부(220,230) 높이의 절반보다는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걸림부재(250)가 충분한 휨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잦은 결합 조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the vertical height of the locking member 250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and higher than half the height of 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This structure is intended to prevent damage due to frequent coupling operations by allowing the locking member 250 to undergo sufficient bending deformation.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걸림부재(250)의 상하 높이는 삽입부(220,230) 높이의 2/3 이상이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충분한 접압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구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구속 해제를 위한 걸림부재(250)의 조작력에 의해 원활한 휨 변형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height of the locking member 250 is formed to be more than 2/3 of the height of 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As a result, sufficient contact pressure is provided to maintain a stable restraint state, and smooth bending and deformation is possible by the manipulation force of the locking member 250 to release the restraint.

상기 걸림부재(250)에는 상기 안내돌부(130)의 걸림턱(132)에 걸려 구속되는 구속턱(251)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구속턱(251)은 각 걸림부재(250) 간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250 has restraining protrusions 251 that are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132 of the guide protrusion 130 and are respectively protruding. The restraining protrusions 251 may be formed on opposing surfaces between the locking members 250, respectively.

상기 걸림턱(132)의 상면은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구속턱(251)의 저면은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32)의 저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턱(251)의 상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걸림턱(132)에 구속턱(251)이 구속되면 상기 제2커넥터(200)가 제1커넥터(100)로부터 상향 이동됨이 방지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132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n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training protrusion 251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distal end.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132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straining protrusion 251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Accordingly, when the restraining jaw 251 is restrained by the locking jaw 132, the second connector 200 is prevented from moving upward from the first connector 100.

상기 각 삽입부(220,230)를 이루는 각 걸림부재(250) 간의 대향면에는 조작돌기(25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조작돌기(252)는 상기 구속턱(251)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A manipulation protrusion 252 is formed to protrude on opposing surfaces between the locking members 250 forming each of 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The manipulation protrusion 252 is formed to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straining jaw 251.

한편, 상기 제1커넥터(100)를 이루는 제1몸체부(110)의 어느 한 둘레벽에는 상기 걸림부재(250)의 조작을 위해 개방되는 절개홈(1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절개홈(112)을 통해 두 커넥터(100,200) 간이 결합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작돌기(252)가 제1몸체부(110)의 측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Meanwhile, a cut groove 112 that opens for manipulation of the locking member 250 is formed on one peripheral wall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forming the first connector 100. That is, even though the two connectors 100 and 200 are coupled through the cut groove 112, the manipulation protrusion 252 is visible from th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예컨대, 상기 제1커넥터(100)의 양 측벽(110c)에는 상기 각 걸림부재(250)의 조작돌기(252)가 보일 수 있도록 절개홈(112)이 형성된다.For example, cut grooves 112 are formed on both side walls 110c of the first connector 100 so that the manipulation protrusions 252 of each locking member 250 can be seen.

상기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제1커넥터(100)의 측부에서 도구(또는, 별도의 전용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걸림부재(250)의 구속턱(251)을 안내돌부(130)의 걸림턱(132)으로부터 이탈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above structure, the user can use a tool (or a separate dedicated jig) on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00 to attach the restraining jaw 251 of the locking member 250 to the locking jaw of the guide protrusion 130. 132), it can be manipulated to deviate from it.

특히, 상기 조작돌기(252)의 양 측벽(절개홈을 통해 보이는 벽면)은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줄어들수 있게 경사 또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조적돌기(252)는 평면에서 봤을 때 반원형 또는, 삼각형의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both side walls (wall surfaces visible through the cut groove) of the manipulation protrusion 252 are formed to form an inclined or curved surface so that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center. For example, the masonry protrusion 252 may be formed to have a semicircular or triangular structure when viewed in plan.

이로써 제1커넥터(100)의 어느 한 측에서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돌기(252)를 가압할 경우 걸림부재(250)는 상기 도구가 삽입되는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anipulation protrusion 252 is pressed using a tool from ei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00, the locking member 250 can be til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ol is inserted.

상기 제2커넥터(200)에는 제2결합플랜지(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플랜지(260)는 상기 제2커넥터(200)를 기구적으로 제2피씨비(20)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커넥터(200)를 이루는 제2몸체부(210)의 어느 한 둘레벽(예컨대, 양 측벽)에 상기 제2결합플랜지(260)를 각각 제공하여 해당 제2커넥터(200)가 제2피씨비(2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2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upling flange 260. The second coupling flange 260 may be provided to mechanically fix the second connector 200 to the second PCB 20. That is, the second coupling flange 260 is provided on one peripheral wall (e.g., both side walls) of the second body portion 210 forming the second connector 200, so that the second connector 200 It can be configured to be firmly fixed to the second PCB 20.

한편, 상기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제2커넥터(200)의 전후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the PCB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to prevent incorrect inse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0 back and forth.

예컨대, 상기 제2커넥터(200)를 이루는 두 삽입부(220,230) 중 어느 한 삽입부의 하측 끝단에는 통과돌기(2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부(130)의 상단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32)에는 상기 통과돌기(222)가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홈(133)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passing protrusion 222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one of the two insertion parts 220 and 230 forming the second connector 200, and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front or back sides of the guide protrusion 130. A passing groove 133 may be formed in the locking protrusion 132 formed on the surface to allow the passing protrusion 222 to pass through.

이때, 상기 통과돌기(222)는 상기 제1커넥터(100)의 안내돌부(130)에 형성되는 통과홈(133)을 지날 수 있을 정도의 돌출 거리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한 통과홈(133)과 통과돌기(222)의 구조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200)의 전후가 뒤바뀐 상태로 제1커넥터(100)에 오삽입됨이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passing protrusion 222 is formed to have a protruding distance sufficient to pass through the passing groove 133 formed in the guide protrusion 130 of the first connector 100.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passage groove 133 and the passage protrusion 222 prevents the second connector 200 from being incorrectly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100 with its front and back reversed.

하기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과정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coupling process and separation process of the PCB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각 커넥터(100,200)는 각 피씨비(10,20)에 실장된 상태로 제공된다. 예컨대, 제1커넥터(100)는 제1피씨비(10)의 상면에 실장된 상태로 제공되고, 제2커넥터(200)는 제2피씨비(20)의 저면에 실장된 상태로 제공된다.First, each connector 100 and 200 is provided mounted on each PCB 10 and 20.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100 is provided mounted on the top of the first PCB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is provided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PCB 20.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각 피씨비(10,20) 중 적어도 어느 한 피씨비는 구조물(예컨대, 차량의 헤드램프 등)에 고정되거나 또는, 두 피씨비(10,20) 모두 비고정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of the PCBs 10 and 20 may be fixed to a structure (eg, a headlamp of a vehicle, etc.), or both PCBs 10 and 20 may be provided in an unfixed state.

상기한 최초의 상태에서 두 피씨비(10,20)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자 할 경우 두 커넥터(100,200) 간을 마주보게 위치시킨다. 예컨대, 제1커넥터(100)는 하측에 위치시키고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In the above-mentioned initial state, when it is desi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wo PCBs 10 and 20, the two connectors 100 and 200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10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connector 2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00.

상기 제2커넥터(200)의 각 삽입부(220,230)는 제1커넥터(100)를 이루는 제1몸체부(110)의 내면과 안내돌부(130) 사이에 각각 위치되도록 배치한다. 특히, 상기 각 삽입부(220,230) 중 어느 한 삽입부에만 형성되는 통과돌기(222)는 제1커넥터(200)의 안내돌부(130)에 형성되는 통과홈(133)에 일치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로써 상기 제2커넥터(200)의 전후가 뒤바뀐 상태로 제1커넥터(100)에 오삽입됨이 방지된다.Each insertion portion 220 and 230 of the second connector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forming the first connector 100 and the guide protrusion 130,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passing protrusion 222 formed on only one of the insertion parts 220 and 230 is positioned to match the passing groove 133 formed on the guiding protrusion 130 of the first connector 200. This prevents the second connector 200 from being incorrectly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100 with its front and back reversed.

이의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200)의 각 삽입부(220,230)를 상기 제1커넥터(100)를 이루는 제1몸체부(110) 내로 삽입 결합한다. 이로써 제1삽입부(220)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내의 전방벽(110a)과 안내돌부(130) 사이에 삽입되고, 제2삽입부(230)는 상기 제1몸체부(110)의 내의 후방벽(110b)과 안내돌부(130) 사이에 삽입된다.In this state, each insertion portion 220 and 230 of the second connector 200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forming the first connector 100. Accordingly,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20 is inserted between the front wall 110a and the guide protrusion 130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 is inserted between the rear wall (110b) and the guide protrusion (130).

이와 함께, 상기 제1삽입부(220)에 형성된 걸림부재(250)의 구속턱(251)은 상기 안내돌부(130)의 상단 전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32)에 구속되고, 상기 제2삽입부(230)에 형성된 걸림부재(250)의 구속턱(251)은 상기 안내돌부(130)의 상단 후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32)에 구속된다. 이로써 상기 각 삽입부(220,230)가 제1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삽입부(220,230)에 설치된 제2접속단자(240)들은 제1몸체부(110) 내에 설치된 제1접속단자(120)들에 접촉되면서 통전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restraining protrusion 251 of the locking member 250 formed o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20 is restrain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32 form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130,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0 is connected to the locking protrusion 132. The locking protrusion 251 of the locking member 250 formed on the portion 230 is constrain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32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130. As a result, each of the insertion parts 220 and 2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part 110.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40 installed in each of the insertion parts 220 and 230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s 120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110 and are energized.

상기와 같이 제1커넥터(100)에 제2커넥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걸림부재(250)와 안내돌부(130) 간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특히, 상기 걸림부재(250)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면서도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지는 구조로 인해 두 커넥터(100,200)의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접압력(전면에서 제공하는 힘)을 제공하여 원치않는 분리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connector 20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00, the engaging member 250 and the guide protrusion 130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stable coupling state is maintained. In particular, the locking member 250 has a sufficient length and a structure that gradually becomes thicker toward the bottom, so that the two connectors 100 and 200 can be smoothly coupled, while providing sufficient contact pressure (force provided from the front) to prevent unwanted Separ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작업자는 제1커넥터(100)의 양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한 벽면에 형성된 절개홈(112)을 통해 상기 걸림부재(250)와 안내돌부(130) 간의 결합 여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되어 두 커넥터(100,200) 간의 접속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or can accurately recognize whether the locking member 250 and the guide protrusion 130 are coupled through the cut groove 112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two side walls of the first connector 100. Poor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s 100 and 200 can be prevented.

한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두 피씨비(10,20) 간의 접속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두 커넥터(100,200)를 서로 분리한다.Meanwhile, when the user wants to disconnect the two PCBs 10 and 20 according to his needs, the two connectors 100 and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의 경우, 작업자는 안내돌부(130)의 걸림턱(132)으로부터 걸림부재(250)의 구속턱(251)을 이탈시킨다. 즉, 제1커넥터(100)의 측벽(110c)에 형성된 절개홈(112)을 통해 도구(예컨대, 해제 전용 지그)를 삽입하여 상기 걸림부재(250)에 형성된 조작돌기(252)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조작돌기(252)는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구에 의한 가압력이 제공될 경우 상기 걸림부재(250)가 삽입부(220,230)의 외벽을 향해 기울어지게 된다. 이로써 걸림부재(250)의 구속턱(251)이 안내돌부(130)의 걸림턱(132)으로부터 이탈된다.In this case, the worker separates the restraining jaw 251 of the stopping member 250 from the stopping jaw 132 of the guide protrusion 130. That is, a tool (e.g., a release-only jig) is inserted through the cut groove 112 formed in the side wall 110c of the first connector 100 to press the manipulation protrusion 252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250. At this time, since the manipulation protrusion 252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by the tool, the locking member 250 is inclined toward the outer wall of the insertion portions 220 and 230. As a result, the restraining protrusion 251 of the locking member 25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132 of the guide protrusion 130.

이후, 작업자는 각 커넥터(100,200)를 서로의 결합 반대 방향으로 당겨 분리함으로써 서로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된다.Thereafter, the operator separates the connectors 100 and 200 by pulling them in opposite directions, thereby disconnecting the connectors from each oth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커넥터(100,200) 간의 결합에 의한 걸림부재(250)와 안내돌부(130) 간의 맞물림(걸림턱과 구속턱 간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the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ble coupling state due to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member 250 and the guide protrusion 130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restraining protrusion) caused by the coupling between the two connectors 100 and 200. is maintained.

특히, 상기 걸림부재(250)의 경우 충분한 길이를 가지면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지는 구조에 의해 안내돌부(130)와의 맞물림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locking member 250, it has a sufficient length and has a structure that gradually becomes thicker toward the bottom, so that it can be stably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 130.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피씨비(10,20)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더라도 도구를 이용한 두 커넥터(100,200) 간의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두 커넥터(100,200) 간의 분리시 피씨비(10,20)의 손상이나 커넥터(100,2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the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eparation between the two connectors (100, 200) using a tool even if the gap between the two PCBs (10, 20) is narrow, so that when separating the two connectors (100, 200), the PCB (10, 20) or damage to the connectors 100 and 200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걸림부재(250)의 조작을 위해 제1커넥터(100)의 측벽에 절개홈(112)이 형성되기 때문에 걸림부재(250)와 안내돌부(130) 간의 결합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로써 접속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t groove 112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connector 100 for manipulating the locking member 250,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locking member 250 and the guide protrusion 130. Connec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and connection failures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erefore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피씨비 20. 제2피씨비
100. 제1커넥터 110. 몸체부
111. 장착홈 112. 절개홈
120. 제1접속단자 130. 안내돌부
131. 보강부 132. 걸림턱
133. 통과홈 140. 제1결합플랜지
200. 제2커넥터 210. 제2몸체부
211. 제2장착홈 220. 제1삽입부
221,231. 안착홈 222. 통과돌기
230. 제2삽입부 240. 제2접속단자
250. 걸림부재 251. 구속턱
252. 조작돌기 260. 제2결합플랜지
10. 1st PCB 20. 2nd PCB
100. First connector 110. Body part
111. Mounting groove 112. Cutting groove
120. First connection terminal 130. Guide protrusion
131. Reinforcement part 132. Locking jaw
133. Passing groove 140. First coupling flange
200. Second connector 210. Second body part
211. Second mounting groove 220. First insertion part
221,231. Seating groove 222. Passing projection
230. Second insertion part 240. Second connection terminal
250. Locking member 251. Restraint jaw
252. Manipulating protrusion 260. Second coupling flange

Claims (10)

전방벽과 후방벽과 양 측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제1피씨비의 상면에 실장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내면에 위치되는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1몸체부 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상기 전방벽과 후방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안내돌부를 가지는 제1커넥터;
제2피씨비의 저면에 실장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제1몸체부 내로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제1접속단자에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를 가지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의 삽입부는 상기 제1커넥터의 전방벽과 안내돌부 사이로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의 후방벽과 안내돌부 사이로 삽입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내돌부의 상단 전 후면에는 걸림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삽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구속되는 구속턱이 각각 돌출되면서 상기 삽입부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한 걸림부재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
A first body portion formed to have a front wall, a rear wall, and both side walls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CB, a first connection terminal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body portion. a first connector having a guid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and cross between the front and rear walls;
A second body part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PCB, an insertion part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and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first body part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body part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It includes a second connector having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The insertion part of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first insertion part inserted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guide protrus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insertion part inserted between the rear wall and the guide protrusion of the first connecto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sertion part. It consists of 2 insertion parts,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protrusions, respectively.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member that is capable of tilt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side each insertion portion while a restraining jaw that is caught and restrained by the locking jaw protru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mber gradually becomes thicker toward the bott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를 이루는 안내돌부의 상단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는 통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를 이루는 삽입부의 하단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상기 통과홈을 지나는 통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passing groove is formed on either the upper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forming the first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characterized in that a passing protrusion passing through the passing groove is formed on either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bottom of the insertion part forming the second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부에는 여타 부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보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part having a thicker thickness than other parts is formed on the guide protrus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안내돌부의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두꺼워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4,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portion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thicker toward the bottom of the guide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부재 간의 대향면에는 조작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어느 한 벽에는 상기 조작돌기가 보일 수 있도록 개구된 절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manipulation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pposing surface between each of the locking members,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characterized in that a cut groove is formed in one wall of the first connector so that the manipulation protrusion is visib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돌기의 둘레면은 상기 절개홈의 통과 방향을 향해 경사지거나 또는,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6,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ipulation protrusion is inclined toward a passing direction of the cutting groove or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제1피씨비에 실장되면서 둘레벽을 가지는 제1커넥터;
제2피씨비에 실장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걸림턱에 구속되는 구속턱이 형성된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커넥터의 어느 한 둘레벽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조작을 위해 개방된 절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
A first connector mounted on the first PCB and having a peripheral wall;
It includes a second connector mounted on the second PCB and connected by inserting a part of the first connector,
The first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The second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formed with a restraining jaw that is restrained by the locking jaw,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 cut groove is formed in one peripheral wall of the first connector for manipulation of the locking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절개홈의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돌출된 조작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8,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with a protruding manipulation protrusion so as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cut groov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돌기의 둘레면은 상기 절개홈의 통과 방향을 향해 경사지거나 또는,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 결합용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9,
A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a PCB,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ipulation protrusion is inclined toward a passing direction of the cutting groove or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KR1020220138992A 2022-10-26 2022-10-26 connector assembly KR202400583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992A KR20240058351A (en) 2022-10-26 2022-10-26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992A KR20240058351A (en) 2022-10-26 2022-10-26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351A true KR20240058351A (en) 2024-05-03

Family

ID=9107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992A KR20240058351A (en) 2022-10-26 2022-10-26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351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351A (en) 2000-12-29 2002-07-10 정진택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between PCB and PCB
KR20090030888A (en) 2007-09-21 2009-03-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ridge connector
KR20110081360A (en) 2009-12-28 2011-07-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cb mounting type connector and side-bracket assembling method of the same
KR20180123372A (en)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유니테스트 PCB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351A (en) 2000-12-29 2002-07-10 정진택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between PCB and PCB
KR20090030888A (en) 2007-09-21 2009-03-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ridge connector
KR20110081360A (en) 2009-12-28 2011-07-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cb mounting type connector and side-bracket assembling method of the same
KR20180123372A (en) 2017-05-08 2018-11-16 주식회사 유니테스트 PCB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793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JP3204397B2 (en) Micro pin connector mechanism
US5672073A (en) Connector having engagement detecting device
EP2451016B1 (en) Female terminal
US8974244B2 (en) Connector
KR101998077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CPA
US5823815A (en) Structure of interconnecting units with respective connectors
JP2008543026A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US9640922B2 (en) Connector
KR20080012218A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KR101105537B1 (en) Divided connector
KR20150003378A (en) Connector for flat cable
JP2004335221A (en) Pressure contact connector
JP2010182647A (en) Shield connector and shield shell
KR20240058351A (en) connector assembly
US6659785B2 (en) Connector
CN114628952B (en) Connector with a plurality of connectors
US11715906B2 (en) Connector
JPH10106680A (en) Electric insertion coupling
JP5107004B2 (en) Combined connector
JP7272232B2 (en) connector
JP2002124341A (en) Connector
WO2023021858A1 (en) Connector
JP2008108711A (en) Card edge connector
JP2019061744A (en) Connector, housing, cover body, and wire harness with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