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348A -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및 원단의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및 원단의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348A
KR20240058348A KR1020220138989A KR20220138989A KR20240058348A KR 20240058348 A KR20240058348 A KR 20240058348A KR 1020220138989 A KR1020220138989 A KR 1020220138989A KR 20220138989 A KR20220138989 A KR 20220138989A KR 20240058348 A KR20240058348 A KR 20240058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module
capsule
functio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일
권순철
이희동
류수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3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348A/ko
Publication of KR2024005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34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6B3/36Driv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2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incorporated in microcaps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원단에 대한 가공 공정에서 원단에 감별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원단에 기능성 소재를 결합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는, 기능성캡슐과 용매의 배합물인 가공액을 생성시키는 캡슐배합모듈; 캡슐배합모듈로부터 가공액을 전달받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에 가공액을 도포하는 도포모듈; 가공액이 도포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열처리모듈; 도포모듈과 열처리모듈 사이에 설치되고, 도포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원단을 열처리모듈로 전달하는 이송모듈; 이송모듈을 통과하는 원단에 광을 조사하고, 광에 반응하는 원단의 표면을 촬상하여 촬상이미지를 생성시키는 모니터링모듈; 및 캡슐배합모듈로부터 전달된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 또는 촬상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분석정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장비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및 원단의 가공 방법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fabric containing a functional capsule and a method for processing the fabric}
본 발명은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및 원단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에 대한 가공 공정에서 원단에 감별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원단에 기능성 소재를 결합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섬유산업은 글로벌 친환경 정책 및 수요산업 요구 강화로 친환경 섬유의 사용이 의무필수화되고 있어 친환경 소재에 대한 인증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섬유 분야에서는 재활용, 바이오 섬유, 생분해성 섬유 비중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고 친환경 섬유 시장규모도 급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의무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리사이클 PET 등 재활용섬유의 경우 비(非)재활용 섬유와 육안판별이 어려워 처음부터 재활용 섬유 구분을 하지 않거나 혹은 작업자가 일일이 섬유종류와 소재가 적힌 라벨택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분류하고 있어 이에 따른 업무강도가 큰 실정이다.
그리고, 재활용섬유 등에 대한 감별기술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종래의 재활용섬유 등에 대한 감별기술은 재활용섬유의 이송, 자동화된 컨베이버, 자동 패킹등 실제 재활용섬유에 대한 감별기술 보다는 관련 설비에 대한 자동화에 국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섬유 원단에 기능성을 부여하여 감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기능성의 부여를 위해 발광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발광 파장이 800nm 이상의 영역에서 높은 발광 효율과 우수한 내광성 및 내구성을 지니는 고효율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 및 500nm 이상의 가시광선 발광소재는 최근 카드, 지폐, 여권뿐만 아니라 화장품, 명품의류, 재활용 섬유 등의 브랜드 진위 여부(Brand Protecting) 같은 다양한 분야의 첨단보안 시장에 활용되고 있다.
기존의 섬유산업 중 전처리 및 가공공정에 사용되는 가공기는 염색전 열풍으로 원단을 열고정하거나 염색된 원단을 건조, 혹은 기능성 가공제를 원단에 부여하는 용도로 활용되었다.
원단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가공제 중 캡슐형 가공제의 경우 기능성 및 캡슐 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온도와 이송속도로 가공을 하였고 이로 인해 캡슐형 가공제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거나 원단에 균일하게 도포 및 고정되지 못해 탈락되는 캡슐형 가공제로 인해 생산원가가 상승하기도 하였다.
캡슐형 가공제를 일반 용매에 녹여 가공액을 만들경우 가공제와 용매간의 상용성이 떨어질 경우 단시간에 가공제끼리 뭉치거나 층분리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작업자가 가공액 배스로 유입되는 가공액의 양을 늘리거나 원단의 패딩 속도를 높이는데 이럴 경우 생산원가 상승과 불균일한 가공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캡슐형 가공제는 원단 색상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투명한 혹은 희뿌연 애멀전 상태가 대부분이고 이를 원단에 가공처리 할 경우 처리 여부가 확인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불균일한 가공의 경우 생산 작업자가 육안으로 판단할 수 없고 최종 제품이 되었을 때 소비자가 그 불량 여부를 알 수 있다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0523호(발명의 명칭: 기능성 캡슐이 포함된 직물의 제조방법)에서는, 방향제 또는 피톤치드가 포함된 캡슐혼합액을 준비하는 캡슐혼합액 준비단계(S10); 직물을 상기 캡슐혼합액에 담그는 캡슐혼합액 처리단계(S20); 상기 담금된 직물을 탈수시키는 탈수단계(S30) 및 상기 탈수된 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캡슐혼합액은, 향료 또는 피톤치드가 함유된 캡슐액, 물, 방오제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캡슐이 포함된 직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052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에 대한 가공 공정에서 원단에 감별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원단에 기능성 소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에 기능성 소재를 결합 시, 원단에 대한 기능성 소재의 분포 균일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기능성캡슐과 용매의 배합물인 가공액을 생성시키는 캡슐배합모듈; 상기 캡슐배합모듈로부터 상기 가공액을 전달받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에 상기 가공액을 도포하는 도포모듈; 상기 가공액이 도포된 상기 원단을 건조시키는 열처리모듈; 상기 도포모듈과 상기 열처리모듈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도포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원단을 상기 열처리모듈로 전달하는 이송모듈; 상기 이송모듈을 통과하는 상기 원단에 광을 조사하고, 광에 반응하는 상기 원단의 표면을 촬상하여 촬상이미지를 생성시키는 모니터링모듈; 및 상기 캡슐배합모듈로부터 전달된 상기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촬상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정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장비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캡슐은, 광 조사 시 반응하여 발광하는 소재인 발광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캡슐배합모듈은, 상기 기능성캡슐을 토출하는 토출노즐을 구비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로부터 기능성캡슐을 전달받고, 상기 기능성캡슐과 상기 용매를 배합시켜 상기 도포모듈로 전달하는 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토출노즐 각각에서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기능성캡슐이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배합부는, 외부로부터 용매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토출노즐로부터 토출된 기능성캡슐을 전달받는 배합배스; 및 상기 배합배스와 결합하고 상기 배합배스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배합배스 내에서 상기 기능성캡슐과 용매가 혼합되도록 하는 배합에어교반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캡슐배합모듈은, 상기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토출부와 상기 배합부를 제어하는 배합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상기 원단의 표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램프부; 및 상기 램프부에서 조사된 광에 반응하는 상기 원단의 표면을 촬상하여 상기 촬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램프 각각은, 상기 원단의 표면에 대한 광 조사 각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도포모듈은, 상기 캡슐배합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공액을 상기 원단에 도포하는 도포부; 및 상기 도포부로부터 상기 원단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모듈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캡슐배합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공액을 저장하고 상기 가공액이 상기 원단에 도포되도록 하는 가공액배스;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원단을 상기 가공액배스로 가이드하고, 상기 원단의 두께를 측정하는 도포롤러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모듈은, 상기 원단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원단을 가열시켜 건조시키는 복수 개의 열처리챔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모니터링모듈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포모듈을 통과한 상기 원단을 전달받고, 상기 원단을 상기 열처리모듈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캡슐배합모듈에서 상기 가공액이 형성되고, 상기 가공액이 상기 도포모듈로 전달되는 제1단계; 상기 도포모듈로 상기 원단이 공급되고, 상기 도포모듈에서 상기 원단의 표면에 상기 가공액이 도포되는 제2단계; 상기 도포모듈로부터 상기 이송모듈로 이동된 상기 원단이 상기 이송모듈을 통과하고, 상기 원단에 대한 상기 촬상이미지가 상기 모니터링모듈에 의해 획득되어 상기 장비제어부로 전달되는 제3단계; 상기 장비제어부에서 상기 분석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장비제어부에 의해 상기 이송모듈 또는 상기 열처리모듈이 제어되는 제4단계; 및 상기 이송모듈을 통과한 상기 원단이 상기 열처리모듈로 이동되고, 상기 원단에 대한 건조가 수행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캡슐배합모듈로부터 상기 장비제어부로 상기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원단 두께 등을 고려하여 발광소재를 포함한 기능성캡슐을 원단에 도포하고, 기능성캡슐의 형상, 기능에 따라 원단의 이송속도, 건조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캡슐의 성능을 최대한 유지한 상태에서 원단에 기능성캡슐이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효과는, 기능성캡슐의 균일도 등에 따라 기능성캡슐의 도포가 자동으로 제어되므로, 발광소재에 의한 원단의 발광 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원단에 대한 가공 오차가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출부와 배합부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합제어부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포부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달부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모듈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 장치의 모식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출부(110)와 배합부(120)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합제어부(130)의 모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포부(310)의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달부(320)의 모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모듈(200)의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공 장치는, 기능성캡슐과 용매의 배합물인 가공액을 생성시키는 캡슐배합모듈(100); 캡슐배합모듈(100)로부터 가공액을 전달받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10)에 가공액을 도포하는 도포모듈; 가공액이 도포된 원단(10)을 건조시키는 열처리모듈; 도포모듈과 열처리모듈 사이에 설치되고, 도포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원단(10)을 열처리모듈로 전달하는 이송모듈; 이송모듈을 통과하는 원단(10)에 광을 조사하고, 광에 반응하는 원단(10)의 표면을 촬상하여 촬상이미지를 생성시키는 모니터링모듈(200); 및 캡슐배합모듈(100)로부터 전달된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 또는 촬상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분석정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장비제어부(600)를 포함한다.
기능성캡슐은, 광 조사 시 반응하여 발광하는 소재인 발광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재는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에 대해 반응성이 우수한 소재일 수 있다.
일반적인 캡슐 형상을 구비하는 기능성캡슐은 합성수지 또는 천연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기능성캡슐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능성캡슐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능성캡슐에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경우에는 기능성캡슐의 내부 공간에 발광소재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캡슐에 내부 공간 없이 기능성캡슐의 몸체를 형성하는 소재와 발광소재가 혼합된 소재로 기능성캡슐이 형성될 수도 있다.
캡슐배합모듈(100)은, 기능성캡슐을 토출하는 토출노즐(111)을 구비하는 토출부(110); 및 토출부(110)로부터 기능성캡슐을 전달받고, 기능성캡슐과 용매를 배합시켜 도포모듈로 전달하는 배합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캡슐배합모듈(100)은,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토출부(110)와 배합부(120)를 제어하는 배합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출부(110)는, 기능성캡슐을 토출하는 복수 개의 토출노즐(111); 복수 종류의 기능성캡슐이 저장된 캡슐보관탱크(113); 및 복수 개의 토출노즐(111)과 결합하고 캡슐보관탱크(113)로부터 전달된 기능성캡슐을 토출노즐(111)로 전달하는 토출기(11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캡슐보관탱크(113)에는 복수 개의 캡슐보관공간이 형성되고, 토출부(1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토출노즐(111) 각각에서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기능성캡슐이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캡슐의 종류가 상이하다는 것은 기능성캡슐의 부피, 기능성캡슐의 형상, 기능성캡슐에 포함된 발광소재 등이 상이하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캡슐보관공간 중 하나의 캡슐보관공간으로부터 한 종류의 기능성캡슐이 토출부(110)에 전달되면, 토출부(110)가 복수 개의 토출노즐(111) 중 하나의 토출노즐(111)로 한 종류의 기능성캡슐을 이동시킨 후 가압함으로써, 하나의 토출노즐(111)로부터 한 종류의 기능성캡슐이 토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캡슐보관공간 중 다른 캡슐보관공간으로부터 다른 종류의 기능성캡슐이 토출부(110)에 전달되면, 토출부(110)가 복수 개의 토출노즐(111) 중 다른 토출노즐(111)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캡슐을 이동시킨 후 가압함으로써, 다른 토출노즐(111)로부터 다른 종류의 기능성캡슐이 토출될 수 있다.
배합부(120)는, 외부로부터 용매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토출노즐(111)로부터 토출된 기능성캡슐을 전달받는 배합배스(122); 배합배스(122)와 결합하고 배합배스(122)로 공기를 분사하여 배합배스(122) 내에서 기능성캡슐과 용매가 혼합되도록 하는 배합에어교반기(121); 배합배스(122)의 배출구와 결합하여 배합배스(122)로부터 배출되는 가공액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공액이송펌프(123); 및 가공액이송펌프(123)와 결합하고 가공액이송펌프(123)로부터 배출되는 가공액에 유로를 제공하는 가공액이송라인(124)을 구비할 수 있다.
배합에어교반기(121)는 수조 형상을 구비하는 배합배스(122) 내부 복수의 지점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으며, 공기 분사에 의해 배합배스(122) 내부에서 용매에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용매와 기능성캡슐이 혼합되어 가공액이 형성될 수 있다.
가공액은 가공액이송펌프(123)를 통과하면서 가압되고, 이와 같이 압력이 증가된 가공액은 가공액이송라인(124)을 따라 유동한 후 도포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토출기(112)는 토출부(11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써 토출디스플레이(112a)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부(110)에 대한 정보는 복수 개의 토출노즐(111) 중 하나의 토출노즐(111)에서 토출되는 기능성캡슐의 종류, 배합배스(122)에서의 기능성캡슐과 용매의 혼합을 위한 소요 시간 및 남은 시간, 복수 개의 캡슐보관공간 각각에 저장된 각각의 기능성캡슐의 잔량, 가공액이송펌프(123)의 압력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부(110)와 배합부(120)는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출노즐(111)의 하부이며 토출기(112)의 하부 전면에 배합배스(122)가 결합되고, 토출기(112)의 하단에 배합에어교반기(121)가 결합되며, 토출기(112)의 후면에 캡슐보관탱크(113)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합제어부(130)는 토출부(110)와 배합부(120)의 결합체와 결합하거나 토출부(110)와 배합부(120)의 결합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합제어부(130)는, 배합제어몸체(131); 배합제어몸체(131)의 상부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스크린(132); 배합제어몸체(131)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합제어부(130)의 정보가 표시되는 배합제어디스플레이(133) 및; 배합제어몸체(131)의 하부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복수 개의 버튼(134)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스크린(132)은 터치 입력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스크린(132)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기능성캡슐의 종류 및 양 등의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고, 이와 같은 설정 정보가 캡슐배합모듈(100)로 전달되어 캡슐배합모듈(100)의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조작이 가능하도록 조작스크린(132)에 표시되는 각각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버튼(134)이 형성되어 복수 개의 버튼(13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가 생성되면, 배합제어부(130)로부터 장비제어부(600)로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배합제어디스플레이(133)에는, 기능성캡슐의 종류와 양, 원단(10)에 대한 정보(원단 종류, 원단 두께, 원단 밀도 등), 현재 수행 중인 명령 등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포모듈은, 캡슐배합모듈(100)로부터 전달받은 가공액을 원단(10)에 도포하는 도포부(310); 및 도포부(310)로부터 원단(10)을 전달받아 이송모듈로 전달하는 전달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포부(310)는, 캡슐배합모듈(100)로부터 전달받은 가공액을 저장하고 가공액이 원단(10)에 도포되도록 하는 가공액배스(311);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10)을 가공액배스(311)로 가이드하고, 원단(10)의 두께를 측정하는 도포롤러기(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합배스(122)로부터 배출되어 가공액이송라인(124)을 따라 유동한 가공액은 수조 형상을 구비하는 가공액배스(311)로 유동하여 가공액배스(311)에 저장될 수 있다.
도포부(310)는, 상부 벽체와 하부 벽체 및 양 측의 측벽체를 구비하는 도포프레임(313); 및 도포프레임(313)의 상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롤러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단(10)을 도포롤러기(312)로 가이드하는 공급가이드롤러(3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포부(310)의 양 측의 측벽체 각각에는 공급가이드지지대(315)가 결합하고, 이와 같은 한 쌍의 공급가이드지지대(315)와 공급가이드롤러(314)가 결합함으로써, 한 쌍의 공급가이드지지대(315)에 의해 공급가이드롤러(314)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가공액배스(311)는 도포프레임(313)의 하부 벽체 상에 결합하고, 공급가이드롤러(314)와 도포롤러기(312)를 통과한 원단(10)이 가공액배스(311)로 이동하고, 가공액배스(311)에 저장된 가공액에 원단(10)이 잠김으로써, 원단(10)에 가공액이 도포될 수 있다.
가공액배스(311)는, 가공액배스(311)의 내부면에 형성되고, 가공액배스(311)에 저장되는 가공액의 깊이를 측정하는 가공액감지센서(311a)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공액의 깊이 측정 정보는 배합제어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배합제어부(130)에는 가공액배스(311) 내 가공액 깊이에 대한 기준 범위인 기준 깊이 범위에 대한 데이터가 사전에 저장되어 있으며, 배합제어부(130)는, 이를 이용하여 가공액이송펌프(123)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액감지센서(311a)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의해 배합제어부(130)에서 가공액의 깊이가 기준 깊이 범위의 최소 값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배합제어부(130)는 가공액이송펌프(123)의 출력을 증가시켜 가공액이송라인(124)을 따라 배출되는 가공액의 양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공액감지센서(311a)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의해 배합제어부(130)에서 가공액의 깊이가 기준 깊이 범위의 최대 값 초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배합제어부(130)는 가공액이송펌프(123)의 출력을 감소시켜 가공액이송라인(124)을 따라 배출되는 가공액의 양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공액배스(311) 내에서 가공액의 깊이가 소정의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원단(10)에 대한 가공액의 도포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도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포롤러기(312)는, 도포프레임(313)의 양 측벽체와 결합하고 원단(10)과 접촉하여 회전을 수행하는 롤러인 제1도포롤러(312a); 및 제1도포롤러(312a)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도포프레임(313)의 양 측벽체와 결합하며 원단(10)과 접촉하여 회전을 수행하는 롤러인 제2도포롤러(312b)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포부(310)는, 공급가이드롤러(314) 및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에 동력을 전달하여 각각의 롤러를 회전시키는 도포부(310)구동기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급가이드롤러(314)를 통과한 원단(10)은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 사이를 통과한 후 가공액배스(311)로 투입되고, 가공액배스(311)에서 가공액이 원단(10)에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롤러의 회전에 의해 원단(10)의 이송이 수행될 수 있다.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의 간격은 도포부(310)구동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제1도포롤러(312a) 또는 제2도포롤러(312b)에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인 롤러압력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롤러압력센서에 의해 제1도포롤러(312a) 또는 제2도포롤러(312b)와 원단(10) 사이의 접촉 압력이 측정되고, 이와 같은 롤러압력센서의 측정 정보는 장비제어부(600)로 전달될 수 있다.
장비제어부(600)에는 롤러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에 대한 기준 범위인 기준 롤러압력 범위에 대한 데이터가 사전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제어부(600)는, 이를 이용하여 도포부(310)구동기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압력센서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의해 장비제어부(600)에서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가 원단(10)을 가압하는 압력이 기준 롤러압력 범위의 최소 값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장비제어부(600)는 도포부(310)구동기의 작동에 의해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압력센서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의해 장비제어부(600)에서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가 원단(10)을 가압하는 압력이 기준 롤러압력 범위의 최대 값 초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장비제어부(600)는 도포부(310)구동기의 작동에 의해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가 원단(10)을 가압하는 압력이 과소하여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 사이에 위치하는 원단(10)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원단(10)이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송 오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가 원단(10)을 가압하는 압력이 과대하여 원단(10)에 손상이 발생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장비제어부(600)는 원단(10)과 접촉하는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원단(10)의 두께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도포구동기로부터 장비제어부(600)로 제1도포롤러(312a)와 제2도포롤러(312b)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장비제어부(600)로는 외부로부터 원단(10)의 단위 길이 당 질량 및 폭 길이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고, 장비제어부(600)에서는 원단(10)의 두께, 원단(10)의 단위 길이 당 질량 및 폭 길이를 이용하여 원단(10)의 밀도를 연산할 수 있다.
전달부(320)는, 전달부본체(321); 전달부본체(321)와 결합하고 도포부(310)로부터 전달된 원단(10)을 가이드하는 전달가이드롤러(322); 및 전달부본체(321)와 결합하고 전달가이드롤러(322)로부터 원단(10)을 전달받아 이송부로 이동시키는 전달롤러(32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달롤러(323)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원단(10)은 복수 개의 전달롤러(323)와 접촉되고 복수 개의 전달롤러(323) 중 원단(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달롤러(323)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 개의 전달롤러(323) 각각의 회전에 의해 원단(10)이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전달롤러(323) 각각의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달부(320)로부터 이송부로 이동하는 원단(10)의 이송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전달가이드롤러(32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원단(10)은 복수 개의 전달가이드롤러(322)와 접촉되고, 복수 개의 전달가이드롤러(322) 각각의 회전에 의해 원단(10)이 전달롤러(323)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전달롤러(323) 각각의 회전 속도 변화에 따라 복수 개의 전달가이드롤러(322) 각각의 회전 속도가 조절됨과 동시에, 전달롤러(323)에 대한 복수 개의 전달가이드롤러(322) 각각의 배치에 의해 원단(10)에 장력이 생성됨으로써, 전달롤러(323)와 전달가이드롤러(322)를 통과하는 원단(10)의 주름이 방지되는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이송모듈은, 모니터링모듈(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도포모듈을 통과한 원단(10)을 전달받고, 원단(10)을 열처리모듈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이송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부는, 원단(10)과 접촉하고 회전을 수행하여 도포모듈로부터 열처리모듈 방향으로 원단(10)을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 및 복수 개의 이송롤러와 결합하여 복수 개의 이송롤러를 지지하는 이송프레임(41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프레임(410)의 하부에는 지지부(420)가 형성되어 이송프레임(410)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달부(320)를 통과한 원단(10)은 이송롤러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어 열처리모듈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 때, 복수 개의 전달롤러(323) 각각의 회전 속도 변화에 따라 이송롤러의 회전 속도가 가변되어, 이송부로부터 열처리모듈로 원단(10)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열처리모듈은, 원단(10)을 통과시키면서 원단(10)을 가열시켜 건조시키는 복수 개의 열처리챔버(5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열처리챔버(510) 내 원단(10)에 대한 건조 온도 범위는 상이할 수 있다.
열처리챔버(510)를 원단(10)이 통과하는 경우, 원단(10)에 열풍이 제공되어 원단(10)의 건조가 수행될 수 있으며, 원단(10)은 복수 개의 열처리챔버(510) 각각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건조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열처리챔버(510) 각각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니터링모듈(200)은, 원단(10)의 표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램프부(220); 및 램프부(220)에서 조사된 광에 반응하는 원단(10)의 표면을 촬상하여 촬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모듈(200)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이송부를 향하는 하부가 개방된 형상의 모니터링하우징(230)을 구비할 수 있다.
모니터링하우징(230)에는 모니터링송신기(240)가 결합되며, 촬상이미지는 모니터링송신기(240)로부터 장비제어부(600)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램프부(220)는, 원단(10)의 표면을 향해 제1각도로 광을 조사하는 제1램프(221); 및 원단(10)의 표면을 향해 제2각도로 광을 조사하는 제2램프(22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램프부(220)는 3개 이상의 램프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램프(221) 및 제2램프(222)가 형성된 사항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램프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적용되는 원리는 동일하다.
제1램프(221)와 제2램프(222) 각각은 모니터링하우징(23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램프(221)와 제2램프(222)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촬상부(210)도 모니터링하우징(23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램프(221)가 촬상부(210)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단(10)의 표면 상 촬상 위치에 제1램프(221)에 의한 광이 조사되므로, 촬상부(210)의 촬상 각도 변경 시 제1램프(221)의 광 조사 각도도 동시에 변경되어, 원단(10)의 표면 상 촬상이 신속히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촬상부(210)와 제1램프(221) 및 하기된 제2램프(222)의 이동 및 자세 변경은, 3차원 운동 및 회전 운동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부(220)에 구비된 복수 개의 램프 각각은, 원단(10)의 표면에 대한 광 조사 각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제1램프(221)가 광 조사 각도가 변할 수 있고, 제2램프(222)의 광 조사 각도도 변할 수 있으며, 제1램프(221)가 제1조사각도로 원단(10)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고, 제2램프(222)가 제2조사각도로 원단(10)의 표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기능성캡슐은 제1램프(221) 또는 제2램프(222)의 광에 의해 발광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장비제어부(600)는 배합제어부(130)로부터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이에 따라 장비제어부(600)는 기능성캡슐의 발광소재에 적합한 제1조사각도 및 제2조사각도를 선택하여 상기와 같은 각각의 램프에 의해 원단(10)에 대한 광 조사가 수행되도록 램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장비제어부(600)는, 발광소재의 종류에 따라, 제1램프(221)의 광량과 광세기 및 제2램프(222)의 광량과 광세기를 설정하여 각각의 램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촬상부(210)로부터 촬상이미지를 전달받는 장비제어부(600)는, 촬상이미지에서 기능성캡슐의 밝기가 가장 밝은 경우로써 발광소재의 발광 성능이 최대화되는 경우의 제1램프(221)와 제2램프(222) 각각의 광 조사 각도, 광량 및 광세기로 원단(10)에 대한 광 조사가 수행되도록 제1램프(221)와 제2램프(222) 및 촬상부(21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장비제어부(600)는, 촬상이미지를 분석하여 원단(10)에 도포된 기능성캡슐의 도포 균일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비제어부(600)는, 촬상이미지에서 원단(10)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원단(10)의 이미지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원단(10)의 이미지에서 발광하는 것으로 촬상되어 있는 기능성캡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영역 각각은 가로 픽셀 수x세로 픽셀 수의 면적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장비제어부(600)는 원단(10)의 이미지에서 복수 개의 영역 각각에 분포하는 기능성캡슐의 수를 분석하고, 복수 개의 영역 각각에 대한 기능성캡슐 수의 표준편차와 평균값을 분석하거나, 또는, 최대값과 최소값 및 평균값을 분석하여 기능성캡슐의 도포 균일도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균일도(uniformity) 연산 방법은 종래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장비제어부(600)는, 상기와 같은 기능성캡슐의 도포 균일도, 배합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은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기능성캡슐의 부피와 양, 기능성캡슐 내 발광소재의 종류), 및 도포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원단(10)의 두께와 밀도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은 장비제어부(600)는, 기능성캡슐의 부피와 양 및 기능성캡슐 내 발광소재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열처리챔버(510) 각각의 건조 온도 범위를 조절하고, 전달부(320)와 이송부에서의 원단(10)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촬상이미지 획득 전에는, 작업제어부는 배합제어부(130)로 원단(10)의 두께와 밀도 정보를 전달하고, 배합제어부(130)에서는 원단(10)의 두께와 밀도에 적합한 기능성캡슐의 양을 연산하여 토출부(110)로 전달하고, 토출부(110)에서는 연산된 기능성캡슐의 양에 따라 기능성캡슐의 토출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촬상이미지 획득 후에는, 작업제어부는 기능성캡슐의 도포 균일도 및 기능성캡슐의 광도에 대한 정보를 배합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캡슐의 광도는 촬상이미지에서 복수 개의 기능성캡슐의 발광 이미지에 의해 분석된 광도의 평균 값일 수 있다. 배합제어부(130)에서는, 기능성캡슐의 도포 균일도 및 기능성캡슐 이미지의 광도에 따라 토출부(110)에서 토출되는 기능성캡슐의 종류가 변경되도록 토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캡슐의 도포 균일도가 배합제어부(130)에 저장된 도포 균일도 기준 값 미만인 경우, 배합제어부(130)는 기능성캡슐과 용매의 혼합률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고, 배합에어교반기(121)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배합에어교반기(121)로부터 배합배스(122)로 공급되는 공기의 분사 압력 또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기능성캡슐과 용매의 혼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성캡슐의 광도가 배합제어부(130)에 저장된 광도 기준 범위의 최소 값 미만인 경우, 배합제어부(130)는 기능성캡슐의 수 증가 또는 발광소재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토출부(11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토출되는 기능성캡슐의 수가 증가되거나 발광 성능이 증가된 발광소재를 구비한 기능성캡슐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캡슐의 광도가 배합제어부(130)에 저장된 광도 기준 범위의 최대 값 초과인 경우, 배합제어부(130)는 기능성캡슐의 수 감소 또는 발광소재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토출부(11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토출되는 기능성캡슐의 수가 감소되거나 발광 성능이 감소된 발광소재를 구비한 기능성캡슐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가공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원단(10) 두께 등을 고려하여 발광소재를 포함한 기능성캡슐을 원단(10)에 도포하고, 기능성캡슐의 형상, 기능에 따라 원단(10)의 이송속도, 건조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캡슐의 성능을 최대한 유지한 상태에서 원단(10)에 기능성캡슐이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성캡슐의 균일도 등에 따라 기능성캡슐의 도포가 자동으로 제어되므로, 발광소재에 의한 원단(10)의 발광 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원단(10)에 대한 가공 오차가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단계에서, 캡슐배합모듈(100)에서 가공액이 형성되고, 가공액이 도포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캡슐배합모듈(100)로부터 장비제어부(600)로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합제어부(130)로부터 장비제어부(600)로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된 제1단계 수행 후 제2단계에서, 도포모듈로 원단(10)이 공급되고, 도포모듈에서 원단(10)의 표면에 가공액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는, 촬상이미지가 획득되기 전으로써, 배합제어부(130)에서는 원단(10)의 두께와 밀도에 적합한 기능성캡슐의 양을 연산하여 토출부(110)로 전달하고, 토출부(110)에서는 연산된 기능성캡슐의 양에 따라 기능성캡슐의 토출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제2단계 수행 후 제3단계에서, 도포모듈로부터 이송모듈로 이동된 원단(10)이 이송모듈을 통과하고, 원단(10)에 대한 촬상이미지가 모니터링모듈(200)에 의해 획득되어 장비제어부(6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는, 촬상이미지가 획득된 후로써, 배합제어부(130)에서는, 기능성캡슐의 도포 균일도 및 기능성캡슐 이미지의 광도에 따라 토출부(110)에서 토출되는 기능성캡슐의 종류가 변경되도록 토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된 제3단계 수행 후 제4단계에서, 장비제어부(600)에서 분석정보가 생성되고, 장비제어부(600)에 의해 이송모듈 또는 열처리모듈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된 제4단계 수행 후 제5단계에서, 이송모듈을 통과한 원단(10)이 열처리모듈로 이동되고, 원단(10)에 대한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 방법에 대한 나머지 상세한 사항은 상기된 본 발명의 가공 장치에 대한 사항과 동일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원단 100 : 캡슐배합모듈
110 : 토출부 111 : 토출노즐
112 : 토출기 112a : 토출디스플레이
113 : 캡슐보관탱크 120 : 배합부
121 : 배합에어교반기 122 : 배합배스
123 : 가공액이송펌프 124 : 가공액이송라인
130 : 배합제어부 131 : 배합제어몸체
132 : 조작스크린 133 : 배합제어디스플레이
134 : 버튼 200 : 모니터링모듈
210 : 촬상부 220 : 램프부
221 : 제1램프 222 : 제2램프
230 : 모니터링하우징 240 : 모니터링송신기
310 : 도포부 311 : 가공액배스
311a : 가공액감지센서 312 : 도포롤러기
312a : 제1도포롤러 312b : 제2도포롤러
313 : 도포프레임 314 : 공급가이드롤러
315 : 공급가이드지지대 320 : 전달부
321 : 전달부본체 322 : 전달가이드롤러
323 : 전달롤러 410 : 이송프레임
420 : 지지부 510 : 열처리챔버
600 : 장비제어부

Claims (14)

  1. 기능성캡슐과 용매의 배합물인 가공액을 생성시키는 캡슐배합모듈;
    상기 캡슐배합모듈로부터 상기 가공액을 전달받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에 상기 가공액을 도포하는 도포모듈;
    상기 가공액이 도포된 상기 원단을 건조시키는 열처리모듈;
    상기 도포모듈과 상기 열처리모듈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도포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원단을 상기 열처리모듈로 전달하는 이송모듈;
    상기 이송모듈을 통과하는 상기 원단에 광을 조사하고, 광에 반응하는 상기 원단의 표면을 촬상하여 촬상이미지를 생성시키는 모니터링모듈; 및
    상기 캡슐배합모듈로부터 전달된 상기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촬상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정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장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캡슐은, 광 조사 시 반응하여 발광하는 소재인 발광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배합모듈은,
    상기 기능성캡슐을 토출하는 토출노즐을 구비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로부터 기능성캡슐을 전달받고, 상기 기능성캡슐과 상기 용매를 배합시켜 상기 도포모듈로 전달하는 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 개의 토출노즐 각각에서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기능성캡슐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합부는,
    외부로부터 용매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토출노즐로부터 토출된 기능성캡슐을 전달받는 배합배스; 및
    상기 배합배스와 결합하고 상기 배합배스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배합배스 내에서 상기 기능성캡슐과 용매가 혼합되도록 하는 배합에어교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캡슐배합모듈은, 상기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토출부와 상기 배합부를 제어하는 배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상기 원단의 표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램프부; 및
    상기 램프부에서 조사된 광에 반응하는 상기 원단의 표면을 촬상하여 상기 촬상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램프 각각은, 상기 원단의 표면에 대한 광 조사 각도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모듈은,
    상기 캡슐배합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공액을 상기 원단에 도포하는 도포부; 및
    상기 도포부로부터 상기 원단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모듈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캡슐배합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공액을 저장하고 상기 가공액이 상기 원단에 도포되도록 하는 가공액배스;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원단을 상기 가공액배스로 가이드하고, 상기 원단의 두께를 측정하는 도포롤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모듈은, 상기 원단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원단을 가열시켜 건조시키는 복수 개의 열처리챔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모니터링모듈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포모듈을 통과한 상기 원단을 전달받고, 상기 원단을 상기 열처리모듈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13. 청구항 1의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를 이용한 원단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캡슐배합모듈에서 상기 가공액이 형성되고, 상기 가공액이 상기 도포모듈로 전달되는 제1단계;
    상기 도포모듈로 상기 원단이 공급되고, 상기 도포모듈에서 상기 원단의 표면에 상기 가공액이 도포되는 제2단계;
    상기 도포모듈로부터 상기 이송모듈로 이동된 상기 원단이 상기 이송모듈을 통과하고, 상기 원단에 대한 상기 촬상이미지가 상기 모니터링모듈에 의해 획득되어 상기 장비제어부로 전달되는 제3단계;
    상기 장비제어부에서 상기 분석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장비제어부에 의해 상기 이송모듈 또는 상기 열처리모듈이 제어되는 제4단계; 및
    상기 이송모듈을 통과한 상기 원단이 상기 열처리모듈로 이동되고, 상기 원단에 대한 건조가 수행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가공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캡슐배합모듈로부터 상기 장비제어부로 상기 기능성캡슐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가공 방법.
KR1020220138989A 2022-10-26 2022-10-26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및 원단의 가공 방법 KR20240058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989A KR20240058348A (ko) 2022-10-26 2022-10-26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및 원단의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989A KR20240058348A (ko) 2022-10-26 2022-10-26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및 원단의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348A true KR20240058348A (ko) 2024-05-03

Family

ID=9107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989A KR20240058348A (ko) 2022-10-26 2022-10-26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및 원단의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3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523B1 (ko) 2016-08-01 2016-12-28 김보근 기능성 캡슐이 포함된 직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523B1 (ko) 2016-08-01 2016-12-28 김보근 기능성 캡슐이 포함된 직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463B2 (en) Laser marking method
CN105696380B (zh) 一种可识别喷墨印花织物预处理均匀性的方法
JP2009523200A (ja) インディゴ染料のための染色装置及び方法
US3785179A (en)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dyes and/or chemicals to fabrics, webs, strands of yarn, or other material
US202201780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textile printing
CN109312520A (zh) 用于改进控制带水运行的家用器具的方法和适于该方法的家用器具
US7578152B2 (en) Wet processing or finishing machine for rope-formed textile products
US20180119323A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 textile substrate, and device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EP2450482B1 (en) Rotary dyeing device and automatic dyeing device
WO2019092712A9 (en) Rotary printer for textiles
CN103282571B (zh) 用于纱线卷的和/或缠绕在卷装上的纺织纤维的染色的机器和方法
KR20240058348A (ko) 기능성 캡슐을 포함한 원단의 가공 장치 및 원단의 가공 방법
KR101672366B1 (ko) 데님의류 제작방법
CN101835541A (zh) 用于印染的脉冲加热方法和设备
US10538870B2 (en) Dye exhaustion and dryer apparatus
CN106087301B (zh) 一种具备防水性能纱线的染整工艺及其自动浸渍机
NL8006435A (nl) Werkwijze en apparaat voor het bedrukken door indompelen van gepoolde weefsels.
KR100921983B1 (ko) 원단에 탈색무늬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CN206486688U (zh) 一种纱线络筒机的染色装置
KR101842914B1 (ko) 염색기 내부의 피염물의 반사율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2576628B1 (ko) 통합지능형 염색장치 iot 적용 컨트롤러 시스템
Park Dyeing laboratory developments
CN205398963U (zh) 定型机针座架结构
KR200432752Y1 (ko) 데님용 부분 탈색장치
Comelo Control of dyeing processes by colour measur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