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935A - A lift for conveying a box - Google Patents

A lift for conveying a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935A
KR20240057935A KR1020220143984A KR20220143984A KR20240057935A KR 20240057935 A KR20240057935 A KR 20240057935A KR 1020220143984 A KR1020220143984 A KR 1020220143984A KR 20220143984 A KR20220143984 A KR 20220143984A KR 20240057935 A KR20240057935 A KR 20240057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gripping
lift
piec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9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태영
Original Assignee
최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영 filed Critical 최태영
Publication of KR2024005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9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 운반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며 상자의 양쪽 3측면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파지부, 각각의 파지부에 설치되어 상자를 들어올리기 위한 운반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폭을 조절하여 상기 한 쌍의 파지부로 상자의 양쪽 3측면을 각각 감싸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구를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상자를 한층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for transporting boxes, the width of which is adjustable, and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air of gripping parts that respectively surround both three sides of the box, and a transport tool installed on each gripping part to lift the box. Therefore, the box can be transported more easily by adjusting the width and holding and lifting the transport tool while fixing each of the three sides of the box with the pair of grip parts.

Description

상자 운반용 리프트{A LIFT FOR CONVEYING A BOX}Lift for conveying boxes{A LIFT FOR CONVEYING A BOX}

본 발명은 상자 운반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자의 측면을 지지하여 들어올림으로써 안정된 자세 유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반작업이 편리하고 손가락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자 운반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for transporting box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lift for transporting boxes that not only maintains a stable posture by supporting the side of the box and lifting it, but also makes transport work convenient and prevents finger injuries.

바닥에 놓인 상자를 손으로 운반하려면 상자의 양측 하단 모서리 부분을 손으로 받쳐서 들 수밖에 없는데, 이와 같이 상자를 들면 자세가 불편할 뿐 아니라 상자를 내려놓을 때 바닥에 손가락을 찧어 부상을 입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To carry a box on the floor by hand, you have no choice but to lift it by supporting the bottom corners on both sides of the box. Not only is your posture uncomfortable when you lift the box like this, but you often get injured by hitting your fingers on the floor when putting the box down. I do i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바닥에 놓인 상자의 하단에 지지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들어올려 운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상자가 중량일 경우 상자의 하단에 지지부를 삽입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자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쉽게 분리되어 상자가 바닥으로 떨어질 우려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figuration has been disclosed in the past in which a box placed on the floor is lifted and transported with a support part inserted into the bottom, but if the box is heavy, inserting a support part into the bottom of the box itself is difficult. Not only was it difficult, but it had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overcome the weight of the box and being easily separated, increasing the risk of the box falling to the floor.

등록특허공보 제10-2321115호 (2021.10.28)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321115 (2021.10.2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자의 측면을 지지하여 들어올림으로써 안정된 자세 유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반작업이 편리하며 손가락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자 운반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by supporting and lifting the sides of the box, as well as to conveniently transport the box and prevent finger injuries. It is about a lift for transporting boxe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운반용 리프트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box transport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폭 조절이 가능하며 상자의 양쪽 3측면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파지부; 및A pair of gripp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in width and cover each of the three sides of the box; and

각각의 파지부에 설치되어 상자를 들어올리기 위한 운반구;A transport tool installed on each holding part to lift the box;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상기 파지부는 상대 이동하여 서로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결합되는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파지부에는 일 방향 래칫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지부에는 상기 일 방향 래칫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폴 버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ipping part is composed of a first gripping part and a second gripping part that are coupled to narrow or widen each other by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A one-way ratchet is formed on the first gripping part,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is mounted on the one-way ratchet. It is characterized by a sexually active pole button being installed.

상기 제1 파지부는 상자의 일단에 접촉하는 제11 파지편과 상기 제11 파지편으로부터 상자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 래칫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 파지편으로 구성되며,The first gripping part consists of an 11th gripping piec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box and a 12th gripping piece extending along the side of the box from the 11th gripping piece and having the one-way ratche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

상기 제2 파지부는 상자의 타단에 접촉하는 제21 파지편과 상기 제21 파지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자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며 선단면에는 상기 일 방향 래칫이 삽입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폴 버튼이 설치되는 제22 파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gripping part includes a 21st gripping piec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box and is bent from the 21st gripping piece to extend along the side of the box. A guide hole into which the one-way ratchet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ront end surface,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ripping pie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22nd holding piece on which the pole button is installed.

상기 폴 버튼은 상기 일 방향 래칫에 걸리는 폴과, 상기 제22 파지편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폴과 버튼 사이의 소정의 지점은 상기 제22 파지편에 마련된 힌지부에 왕복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wl button consists of a pawl hooked on the one-way ratchet and a butt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22nd grip piece, and a predetermined point between the pawl and the button rotates back and forth on a hinge provided on the 22nd grip pie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installed.

상기 제11 파지편과 제21 파지편의 내면에는 상자의 단부에 접촉하는 파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11th gripping piece and the 21st gripping piece are characterized in that gripping protrusions that contact the ends of the box are formed.

상기 운반구는, 상기 제22 파지편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장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와 후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제2 파지부에 대하여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rrying tool includes an elongated main body that is movable up and down on the 22nd grip piece, a handle and a hook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the main body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is attached to the second gripp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horizontal rotation is possible.

일측 파지부에서의 후크가 상자를 지지하기 위해 대향하는 타측 파지부를 향할 때 일측 파지부에서의 손잡이는 제22 파지편의 내측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le on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does not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22nd grip piece when the hook on the one side grip portion faces the other opposite grip portion for supporting the box.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폭 조절이 가능하며 상자의 양쪽 3측면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파지부 및, 각각의 파지부에 설치되어 상자를 들어올리기 위한 운반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폭을 조절하여 상기 한 쌍의 파지부로 상자의 양쪽 3측면을 각각 감싸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구를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상자를 한층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idth is adjustable and includes a pair of gripping parts that respectively surround both three sides of the box, and a transport device installed in each gripping part to lift the box. Because of this feature, the box can be transported more easily by adjusting the width and holding and lifting the transport tool in a state in which both three sides of the box are wrapped and fixed with the pair of grip par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지부는, 상대 이동하여 서로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결합되는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파지부에는 일 방향 래칫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지부에는 상기 일 방향 래칫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폴 버튼이 설치되어, 상기 제1 파지부를 제2 파지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상기 일 방향 래칫이 상기 폴 버튼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게 되지만 상기 일 방향 래칫이 상기 폴 버튼에 반대방향으로 걸리기 때문에 신속하게 상자를 강하게 눌러서 충분한 파지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part is composed of a first gripping part and a second gripping part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narrow or widen by relative movement, a one-way ratchet is formed on the first gripping part,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A pawl button is installed that elastically catches the one-way ratchet, and when the first gripper is moved toward the second gripper, the one-way ratchet elastically rides on the pawl button. Since this pull button is cau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trongly press the box to generate sufficient gripping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 버튼은 상기 일 방향 래칫에 걸리는 폴과, 상기 제2 파지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폴과 버튼 사이의 소정의 지점은 상기 제2 파지부에 마련된 힌지부에 왕복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폴 버튼의 버튼을 눌러서 폴이 상기 일 방향 래칫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한 후에 상기 제1 파지부를 제2 파지부에 대하여 분리하면 되므로 분리 작업이 한층 신속하고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wl button is composed of a pawl hooked on the one-way ratchet and a butt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gripping part, and a predetermined point between the pawl and the button is positioned on the second gripping part. It is installed on the provided hinge part to enable reciprocating rotation, so that the first grip part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grip part after pressing the button of the pawl button to release the pawl from the one-way ratchet, making the separation work much easi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quick and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파지부의 제11 파지편과 제2 파지부의 제21 파지편의 내면에는 각각 상자의 단부에 접촉하는 파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자를 파지하였을 때 상자의 측면을 파고 들어가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ipping protrusions that contact the ends of the box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11th gripping piece of the first gripping part and the 21st gripping piece of the second gripping part,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box is gripped, the side of the box is dug. It goes in and doesn't slip.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운반구는, 제22 파지편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장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와 후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제2 파지부에 대하여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후크가 상자의 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파지부와 상자 사이의 결합이 다소 느슨한 경우에도 상자가 완전 분리되는 경우 없이 운반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ying tool includes an elongated main body that is movable up and down on the 22nd grip piece, a handle and a hook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the cross-section of the main body is circular. Since horizontal rotation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gripper, the hook can support the bottom of the box, making it possible to transport the box without the box being completely separated eve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gripper and the box is somewhat loose.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 파지부에서의 후크가 상자를 지지하기 위해 대향하는 타측 파지부를 향할 때 일측 파지부에서의 손잡이는 제22 파지편의 내측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후크가 상자를 지지할 때는 자연스럽게 상자와 손잡이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ok on one side of the grip part is directed toward the other opposite grip part for supporting the box, the handle on one side of the grip part is configured so as not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22nd grip piece, so that the hook is attached to the box. When supporting, it is possible to naturally configure the box and handle so that they do not interfe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운반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운반용 리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운반용 리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n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ft for transporting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lift for transporting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lift for transporting box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자 운반용 리프트(1000)는, 폭 조절이 가능하며 상자(B)의 양쪽 3측면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파지부(100,100) 및, 각각의 파지부(100)에 설치되어 상자(B)를 들어올리기 위한 운반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box transport lif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justable width and includes a pair of grip parts 100 and 100 respectively surrounding both three sides of the box B, and It is installed on the holding part 100 of and includes a transport tool 200 for lifting the box B.

이러한 구성에 따라, 폭을 조절하여 상기 한 쌍의 파지부(100,100)로 상자(B)의 양쪽 3측면을 각각 감싸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구(200)를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상자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box can be easily transported by adjusting the width and holding and lifting the transport tool 200 while wrapping and fixing both three sides of the box B with the pair of gripping parts 100 and 100. There will be.

상기 파지부(100)는, 상대 이동하여 서로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결합되는 제1 파지부(110) 및 제2 파지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파지부(110)에는 일 방향 래칫(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지부(120)에는 상기 일 방향 래칫(115)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폴 버튼(125)이 설치된다.The gripping part 100 is composed of a first gripping part 110 and a second gripping part 120 that move relative to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narrow or widen, and the first gripping part 110 includes a one-way ratchet ( 115) is formed, and a pawl button 125 that is elastically caught by the one-way ratchet 115 is installed on the second gripping part 120.

탄성적인 걸림을 위해 상기 폴 버튼(125)과 제2 파지부(120)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126)이 연결될 수 있다.A torsion spring 126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pawl button 125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120 for elastic locking.

즉, 상기 제1 파지부(110)를 제2 파지부(120)를 향해 이동시키면 상기 일 방향 래칫(115)이 상기 폴 버튼(125)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게 되지만, 상기 일 방향 래칫(115)이 상기 폴 버튼(125)에 반대방향으로 걸리기 때문에 제1 파지부(110)를 제2 파지부(120)로부터 반대방향으로 그대로 빼내어 분리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first gripping part 110 is moved toward the second gripping part 120, the one-way ratchet 115 elastically moves over the pawl button 125, but the one-way ratchet ( Since 115 is cau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awl button 125, it becomes difficult to separate the first holding part 110 by pulling it out from the second holding part 120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제1 파지부(110)는 상자(B)의 일단에 접촉하는 제11 파지편(111)과 상기 제11 파지편(111)으로부터 상자(B)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 래칫(11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 파지편(1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파지부(120)는 상자(B)의 타단에 접촉하는 제21 파지편(121)과 상기 제21 파지편(121)으로부터 절곡되어 상자(B)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며 선단면에는 상기 일 방향 래칫(115)이 삽입되는 안내구멍(122a)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폴 버튼(125)이 설치되는 제22 파지편(122)으로 구성된다.The first gripping part 110 includes an 11th gripping piece 111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box B, extends from the 11th gripping piece 111 along the side of the box B, and has the first gripping piece 111 on the outer surface. The directional ratchet 115 is composed of a twelfth gripping piece 11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120 includes a twenty-first gripping piece 121 contacting the other end of the box B and the It is bent from the 21st grip piece 121 and extends along the side of the box (B), and a guide hole 122a into which the one-way ratchet 115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ront end surface, and the pawl button 125 is on the outer surface. It consists of a 22nd gripping piece 122 installed.

상기 폴 버튼(125)은 상기 일 방향 래칫(115)과 걸리는 폴(125a)과, 상기 제22 파지편(12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125b)으로 구성되며, 상기 폴(125a)과 버튼(125b) 사이의 소정의 지점은 상기 제22 파지편(122)에 마련된 힌지부(H)에 왕복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pawl button 125 is composed of a pawl (125a) that catches the one-way ratchet 115, and a button (125b)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22nd grip piece 122, and the pawl (125a) and the button A predetermined point between (125b) is installed to enable reciprocating rotation on the hinge portion (H) provided on the 22nd holding piece (122).

상기 힌지부(H)를 중심으로 상기 폴 버튼(125)과 제22 파지편(122)에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126)이 연결되어, 상기 폴 버튼(125)이 복원 가능하게 회동한다.The torsion spring 126 is connected to the pawl button 125 and the 22nd grip piece 122 around the hinge portion H, so that the pawl button 125 rotates in a restoreable manner.

상자(B)를 운반할 때는, 상자(B)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파지부(110)를 제2 파지부(120)를 향해 이동시키되 상자(B)의 양면을 상기 제1 파지부(110)의 제11 파지편(111)과 제2 파지부(120)의 제21 파지편(121)이 각각 신속하게 강하게 눌러서 상자(B)에 대한 충분한 파지력이 발생하도록 한다.When transporting the box (B), the first holding part (110) is moved toward the second holding part (120) with the box (B) in between, and both sides of the box (B) are held by the first holding part ( The 11th gripping piece 111 of the 110) and the 21st gripping piece 121 of the second gripping portion 120 are each pressed quickly and strongly to generate sufficient gripping force for the box B.

상기 제1 파지부(110)를 제2 파지부(1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폴 버튼(125)의 버튼(125b)을 눌러서 폴(125a)이 상기 일 방향 래칫(115)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한 후에 상기 제1 파지부(110)를 제2 파지부(120)에 대하여 빼내면 된다.In order to separate the first gripping part 110 from the second gripping part 120, first press the button 125b of the pawl button 125 so that the pawl 125a is released from the one-way ratchet 115. After doing so, the first gripping part 110 can be pulled out from the second gripping part 120.

따라서, 상기 제1 파지부(110)를 제2 파지부(12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한층 신속하고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first gripping part 110 from the second gripping part 120 is faster and more convenient.

상기 제11 파지편(111)과 제21 파지편(121)의 내면에는 상자(B)의 단부에 접촉하는 파지 돌기(190)가 각각 형성되어 상자(B)를 파지하였을 때 그 측면을 파고 들어가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The inner surfaces of the 11th gripping piece 111 and the 21st gripping piece 121 are each formed with gripping protrusions 190 that contact the ends of the box B, and are dug into the sides when the box B is gripped. It won't slip.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반구(200)는, 상기 제22 파지편(12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장형의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220)와 후크(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210)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제2 파지부(120)에 대하여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ransport tool 200 includes an elongated main body 210 that is movable up and down on the 22nd grip piece 122, and an elongated body 210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main body 210,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handle 220 and a hook 230, and the cross-section of the main body 210 is circular to enable horizontal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grip portion 120.

상기 본체(210)의 수평 회전을 위해 상기 제2 파지부(120)에는 원통형의 중공을 가지는 안내부(128)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210)는 상기 안내부(128)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For horizontal rotation of the main body 210, a guide part 128 having a cylindrical hollow can be provided in the second gripping part 120, and the main 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128. It can move up and down.

한 쌍의 파지부(100,100)로 상자의 3측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제2 파지부(120)에 설치된 운반구(200)를 이용하여 상자(B)를 들어서 운반하게 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후크(230)가 상자(B)의 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파지부(100)와 상자(B) 사이의 결합이 다소 느슨한 경우에도 문제없이 운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box (B) is lifted and transported using the transport tool 200 installed on the second gripper 120 while the three sides of the box are held by a pair of grippers 100 and 100. At this time, the hook 230 )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ox (B), enabling transportation without problems eve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gripping part 100 and the box (B) is somewhat loose.

또한, 일측 파지부(100)에서의 후크(230)가 상자(B)를 지지하기 위해 대향하는 타측 파지부(100)를 향하여 배치될 때 일측 파지부에서의 손잡이(220)는 제22 파지편(122)의 내측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후크(230)가 상자(B)를 지지할 때는 자연스럽게 상자(B)와 손잡이(220)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hook 230 on one side of the gripper 100 is disposed toward the other gripper 100 that opposes it to support the box (B), the handle 220 on one side of the gripper is the 22nd gripper.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box (B) from naturally interfering with the handle (220) when the hook (230) supports the box (B) by not protruding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12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파지부
110... 제1 파지부
111... 제11 파지편
112... 제12 파지편
115... 일 방향 래칫
120... 제2 파지부
121... 제21 파지편
122... 제22 파지편
122a... 안내구멍
125... 폴 버튼
125a... 폴
125b... 버튼
126... 비틀림 스프링
128... 안내부
190... 파지 돌기
200... 운반구
210... 본체
220... 손잡이
230... 후크
1000... 상자 운반용 리프트
B... 상자
H... 힌지부
100... gripping part
110... first gripping portion
111... Chapter 11
112... Chapter 12
115... one-way ratchet
120... second gripping portion
121... Chapter 21
122... Chapter 22
122a... guide hole
125... Paul Button
125a...pole
125b... button
126... Torsion spring
128... Information Department
190... grip projection
200... carriage
210... body
220...Handle
230... hook
1000... Lift for transporting boxes
B... box
H... Hinge part

Claims (7)

폭 조절이 가능하며 상자의 양쪽 3측면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파지부; 및
각각의 파지부에 설치되어 상자를 들어올리기 위한 운반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운반용 리프트.
A pair of gripp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in width and surround each of the three sides of the box; and
A transport tool installed on each holding part to lift the box;
A lift for transporting boxes,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서로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상대 이동하는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파지부에는 일 방향 래칫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지부에는 상기 일 방향 래칫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폴 버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운반용 리프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ripping part is composed of a first gripping part and a second gripping part that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o narrow or widen each other. A one-way ratchet is formed on the first gripping part, and the second gripping part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one-way ratchet. A lift for transporting boxes, characterized in that a pole button is install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는 상자의 일단에 접촉하는 제11 파지편과 상기 제11 파지편으로부터 상자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일 방향 래칫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 파지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파지부는 상자의 타단에 접촉하는 제21 파지편과 상기 제21 파지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자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며 선단면에는 상기 일 방향 래칫이 삽입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폴 버튼이 설치되는 제22 파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운반용 리프트.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gripping part consists of an 11th gripping piec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box and a 12th gripping piece extending along the side of the box from the 11th gripping piece and having the one-way ratche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
The second gripping part includes a 21st gripping piec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box and is bent from the 21st gripping piece to extend along the side of the box. A guide hole into which the one-way ratchet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ront end surface, and a guide hole into which the one-way ratchet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 lift for transporting box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22nd gripping piece on which a pole button is install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 버튼은 상기 일 방향 래칫에 걸리는 폴과, 상기 제22 파지편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으로 구성되며, 상기 폴과 버튼 사이의 소정의 지점은 상기 제22 파지편에 마련된 힌지부에 왕복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운반용 리프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pawl button consists of a pawl hooked on the one-way ratchet and a butt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22nd grip piece, and a predetermined point between the pawl and the button rotates back and forth on a hinge provided on the 22nd grip piece. A lift for transporting boxe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install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파지편과 제21 파지편의 내면에는 상자의 단부에 접촉하는 파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운반용 리프트.
According to paragraph 3,
A box transport lift, characterized in that gripping protrusions that contact the ends of the box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11th gripping piece and the 21st gripping piece.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구는, 상기 제22 파지편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장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와 후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제2 파지부에 대하여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운반용 리프트.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The carrying tool includes an elongated main body that is movable up and down on the 22nd gripping piece, a handle and a hook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the main body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is attached to the second gripping piece. A lift for transporting box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pable of horizontal rotation.
제6항에 있어서,
일측 파지부에서의 후크가 상자를 지지하기 위해 대향하는 타측 파지부를 향할 때 일측 파지부에서의 손잡이는 제22 파지편의 내측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운반용 리프트.
According to clause 6,
A lift for transporting boxes, wherein the handle on one side does not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22nd grip piece when the hook on one side grips the opposite side to support the box.
KR1020220143984A 2022-10-25 2022-11-01 A lift for conveying a box KR2024005793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8351 2022-10-25
KR1020220138351 2022-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935A true KR20240057935A (en) 2024-05-03

Family

ID=9107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984A KR20240057935A (en) 2022-10-25 2022-11-01 A lift for conveying a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93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15B1 (en) 2020-12-15 2021-11-03 김성환 Box carrying hand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15B1 (en) 2020-12-15 2021-11-03 김성환 Box carrying ha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1526A (en) Steering and support handle for wheeled luggage
US5619758A (en) Hand-held toilet seat lifting device
KR20240057935A (en) A lift for conveying a box
KR200491612Y1 (en) Handle instrument for paper box
US5226688A (en) Sheet carrying device
JP6871610B2 (en) Railroad rail moving equipment
US4919466A (en) Reusable package strap handle
KR102151029B1 (en) The appartus for moving jumbo roll
KR200456155Y1 (en) handle for moving
JP6407695B2 (en) Caster stopper
JPH0313759Y2 (en)
JP2022035704A (en) Contact avoidance tool
KR102278866B1 (en) Cart with removable basket
KR200228736Y1 (en) Grip for carrying package
JP2009261685A (en) Carry bag as substitute for stick
KR200165793Y1 (en) Container for keeping food
JP3160619U (en) Nursery box lifting tool
JP3185847U (en) File with handle
US11529716B1 (en) Tool to assist movement of tubular objects
JPH0895331A (en) Image forming device
WO2020059162A1 (en) Tool for surfboard
KR20230174654A (en) Box carrying aids
JPH0646342Y2 (en) Travel bag tightening belt
JPH08328329A (en) Grip for carrying equipment
JP2801177B2 (en) Auxiliary belt for trans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