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773A - System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773A
KR20240057773A KR1020220138387A KR20220138387A KR20240057773A KR 20240057773 A KR20240057773 A KR 20240057773A KR 1020220138387 A KR1020220138387 A KR 1020220138387A KR 20220138387 A KR20220138387 A KR 20220138387A KR 20240057773 A KR20240057773 A KR 20240057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way
drainage
outlet hole
drain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기운
이준호
김종영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이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이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이앤엠
Priority to KR102022013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773A/en
Publication of KR2024005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773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은, 차도와 인도 사이 또는 차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하방을 향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공간의 일측이 차도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측구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구에 구비되어 차도에서 비산되는 오염원 중 일정 입경 이하의 먼지를 통과시키고, 담배꽁초를 포함한 일정 입경을 초과하는 오염원을 걸러내는 여과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지중 매립된 상태로 내부에 상단이 개방된 배수유로가 형성됨과 함께 배수유로의 하단에 출구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로의 개방된 상단이 바디부의 공간과 연통됨으로써 차량풍에 의해 여과부를 통해 측구로 유입된 먼지가 상기 배수유로 및 출구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유도부; 상기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에 구비되어 평시에는 닫혀진 상태로 배수유로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수용하고 우천 시 상기 여과부를 거쳐 배수유로를 통해 우수가 유입될 때는 상기 우수의 하중에 의해 개방되면서 우수와 함께 먼지를 배출하는 댐퍼부; 및 차도 또는 인도의 저부에 지중 매설된 상태로 상기 댐퍼부가 개방됨에 의해 배수유도부에서 배출되는 우수와 먼지를 수용하는 집수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installed between a roadway and a sidewalk or between a roadway and a roadway, with a space open downward inside the body and a side opening on one side of the space open toward the roadway direction. wealth; A filtering unit provided at the side port of the body portion to pass dust below a certain particle size among pollutants scattered on the roadway and filter out pollutants exceeding a certain particle size, including cigarette butts; A drainage passage with an open top is form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body in a state buried underground, and an outlet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and the open top of the drainage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space of the body to be blown by vehicle wind. a drainage inducing part that allows dust flowing into the side port through the filtering part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assage and outlet hole; It is provided at the outlet hole of the drainage induction unit and is closed in normal times to accommodate dust flowing in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In rainy weather, when rainwater flows in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through the filter unit, it is opened by the load of the rainwater and together with the rainwater. Damper unit for discharging dust; and a water collection basin that is buried underground at the bottom of a roadway or sidewalk and accommodates rainwater and dust discharged from the drainage induction unit when the damper unit is opened.

Description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System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System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

본 발명은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담배꽁초 등에 의해 차도의 배수구가 막혀 차도가 침수되거나 악취가 올라오는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차량의 주행 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차량풍에 의해 차도의 경계로 이동되는 비산먼지를 저감장치 내부로 유도 및 포집한 후 상기 장치 내부에 마련된 배수유로를 통해 우수(雨水)와 함께 하수관으로 배출함으로써 차도 상에서 유해한 비산먼지를 획기적으로 저감시켜 보행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비산먼지에 의한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s, and more specificall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roadway being flooded or causing bad odors due to blockage of drains in the roadway by cigarette butts, etc., and at the same time, the problem of vehicle wind naturally occurring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 fugitive dust that moves to the border of the roadway is guided and collected inside the reduction device,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sewer pipe along with rainwater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provided inside the device, thereby dramatically reducing harmful fugitive dust on the roadway and protecting pedestrians. It is about a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the health of people and prevent air pollution caused by fugitive dust.

차도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먼지는 대기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Dust emitted from roadways into the air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air pollution.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타이어나 브레이크가 마모되어 배출되는 비산 먼지와 차도 표면에 쌓여 있던 먼지가 자동차의 주행이나 바람에 의해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재비산 먼지 등이 존재한다.There is fugitive dust emitted when tires or brakes wear out from vehicles driving on the roadway, and re-fusing dust where dust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roadway is scattered into the air by the driving of a car or wind.

도 1은 일반적인 차도 상황에서 비산하는 먼지의 농도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dust flying in a typical roadway situation.

차도(10) 위를 자동차(C)가 지나간 후 일반 차도 경계석(30) 위치에서 미세먼지(D) 농도 분포는 지면에서 0.5m까지 76.4%이고, 1.0m까지는 88.1%로 1.0m 이하에서 가장 높게 발생되며, 높이가 낮아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차도 경계석(30) 위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After a car (C) passes on the roadway (10),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fine dust (D) at the location of the general roadway boundary stone (30) is 76.4% up to 0.5m from the ground, 88.1% up to 1.0m, and the highest below 1.0m. It occurs and is known to increase as the height decreases, so it appears highest at the roadway boundary stone (30).

일반적으로 차도 경계석(30)은 차도(10)의 경계 부분을 표시하기 위하여 차도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차도(10)보다 높게 설치되며, 차도(10)와 차도 경계석(30)이 턱진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차량(C)의 주행 시 발생되는 차량풍에 의해 이동한 비산먼지(D)와 재비산먼지가 침적되기 쉽다.Generally, the roadway boundary stone 30 is installed higher than the roadway 10 along the edge of the roadway to mark the boundary of the roadway 10, and because the roadway 10 and the roadway boundary stone 30 form a protruding structure. Flying dust (D) and re-flying dust moved by the vehicle wind generated when the vehicle (C) is driven are likely to be deposited.

이렇게 침적된 다량의 차도먼지(D)는 차량풍과 자연풍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재비산하여 인접한 인도(20)를 통행하고 있는 사람에게 직접 피해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차도 주변 대기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A large amount of roadway dust (D) deposited in this way is continuously re-dispersed due to vehicle wind and natural wind, not only causing direct damage to people passing on the adjacent sidewalk (20), but also seriously affecting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round the roadway.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차도 청소차, 분진 흡입차 등을 이용하여 침적된 먼지를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청소 전 침적된 미세먼지가 지속적으로 재비산을 하는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fforts have been made to periodically remove accumulated dust using driveway sweepers, dust suction trucks, etc., but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fine dust deposited before cleaning was continuously re-dispersed.

또한, 물과 인력 등이 소비되며, 대기오염원이 포함된 물이 차도 주변에 항상 고여 있음으로 인해 차도 미관을 해치고 있다. 평상 시에는 햇빛에 의해 빠르게 차도 주변에 고여 있던 물이 증발하여 여전히 차도 근처에 대기 오염원이 잔존하기 때문에 다시 차량풍 및 자연풍으로 인해 공기 중으로 재비산할 우려도 존재한다.In addition, water and manpower are consumed, and water containing air pollutants is always stagnant around the roadway, damaging the aesthetics of the roadway. Normally, the water accumulated around the roadway evaporates quickly due to sunlight, and air pollutants still remain near the roadway, so there is a risk that it may be re-dispersed into the air due to vehicle and natural wind.

도 2는 종래 차도의 배수구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배수구는 통상 차도(10)와 인도(20)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며, 지중에 집수정(40)을 매립하고, 상기 집수정(40)의 상단에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그레이팅(Grating, 50)을 설치함으로써 우천 시 차도 위에서 표류하는 먼지 등의 오염원이 우수와 함께 상기 그레이팅(50)을 통해 하부의 집수정(40)으로 배수되도록 구성된다.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drain of a conventional driveway. Referring to the figure, the conventional drain is usually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riveway 10 and the sidewalk 20, and a water collection well 40 is buried in the ground. A grating (5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water collection basin (40) parallel to the ground, so that pollutants such as dust drifting on the roadway during rainy weather are channeled into the water collection basin (40) at the bottom through the grating (50) along with rainwater. It is configured to drain.

그러나, 상기 종래 차도의 배수구는 그레이팅(50)이 상방을 향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그레이팅에 담배꽁초가 끼이는 경우가 많고, 담배꽁초나 각종 오염원들로 인해 상기 그레이팅이 막혔을 때에는 먼지가 유입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우천 시 배수가 원활치 않아 차도가 침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since the grating 50 in the drain of the conventional driveway is installed upward, cigarette butts often get caught in the grating, and when the grating is blocked by cigarette butts or various pollutants, dust cannot flow in. In addition, due to poor drainage during rainy weather, the roadway was flooded.

또한, 상기 배수구 내부에 쌓인 담배꽁초 등의 각종 오염원들이 부패함에 따라 그레이팅(50)을 통해 악취가 인차도 올라와 불쾌감을 주고, 상기 각종 오염원들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경우 물고기가 폐사하는 등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었다. In addition, as various pollutants such as cigarette butts accumulated inside the drain decay, a foul odor rises through the grating 50, causing discomfort, and when the various pollutants flow into the river, the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such as the death of fish. Problems arising repeatedly occurred.

그러므로, 인도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건강과 하천 등 주변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차량풍을 이용하여 차도 위 비산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의 개발 및 보급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a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that effectively removes flying dust on the roadway using vehicle wind without harming the health of pedestrians using the sidewalk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rivers,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and is low cost. Supply is urgently needed.

국내 등록특허 제10-1349207호(2014.01.02. 공고)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349207 (announced on January 2, 20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종래 담배꽁초 등에 의해 차도의 배수구가 막혀 차도가 침수되거나 악취가 올라오는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차량의 주행 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차량풍에 의해 차도의 경계로 이동되는 비산먼지를 저감장치 내부로 유도 및 포집한 후 상기 장치 내부에 마련된 배수유로를 통해 우수(雨水)와 함께 하수관으로 배출함으로써 차도 상에서 유해한 비산먼지를 획기적으로 저감시켜 보행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비산먼지에 의한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solves the problem of the roadway being flooded or causing bad odors due to the drains of the roadway being blocked by cigarette butts, etc. The fugitive dust that moves to the border of the roadway due to wind is guided and collected inside the reduction device,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sewer pipe along with rainwater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provided inside the device, thereby dramatically reducing harmful fugitive dust on the roadwa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the health of pedestrians and prevent air pollution caused by flying du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도와 인도 사이 또는 차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하방을 향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공간의 일측이 차도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측구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구에 구비되어 차도에서 비산되는 오염원 중 일정 입경 이하의 먼지를 통과시키고, 담배꽁초를 포함한 일정 입경을 초과하는 오염원을 걸러내는 여과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지중 매립된 상태로 내부에 상단이 개방된 배수유로가 형성됨과 함께 배수유로의 하단에 출구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로의 개방된 상단이 바디부의 공간과 연통됨으로써 차량풍에 의해 여과부를 통해 측구로 유입된 먼지가 상기 배수유로 및 출구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유도부; 상기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에 구비되어 평시에는 닫혀진 상태로 배수유로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수용하고 우천 시 상기 여과부를 거쳐 배수유로를 통해 우수가 유입될 때는 상기 우수의 하중에 의해 개방되면서 우수와 함께 먼지를 배출하는 댐퍼부; 및 차도 또는 인도의 저부에 지중 매설된 상태로 상기 댐퍼부가 개방됨에 의해 배수유도부에서 배출되는 우수와 먼지를 수용하는 집수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between a roadway and a sidewalk or between a roadway and a roadway, and a space open downward is formed inside, and one side of the space faces the direction of the roadway. A body portion having a side port open toward the body; A filtering unit provided at the side port of the body portion to pass dust below a certain particle size among pollutants scattered on the roadway and filter out pollutants exceeding a certain particle size, including cigarette butts; A drainage passage with an open top is form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body in a state buried underground, and an outlet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and the open top of the drainage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space of the body to be blown by vehicle wind. a drainage inducing part that allows dust flowing into the side port through the filtering part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assage and outlet hole; It is provided at the outlet hole of the drainage induction unit and is closed in normal times to accommodate dust flowing in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In rainy weather, when rainwater flows in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through the filter unit, it is opened by the load of the rainwater and together with the rainwater. Damper unit for discharging dust; and a water collection basin that is buried underground at the bottom of a roadway or sidewalk and receives rainwater and dust discharged from the drainage induction unit when the damper unit is open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유도부의 출구공과 댐퍼부 사이에는 제1 배수관이 더 구비된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first drain pip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outlet hole of the drain guide portion and the damper porti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집수정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배수관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2 배수관을 통해 우수와 먼지가 주변 하수관으로 배출된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one second drain pipe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and rainwater and dust are discharged into the surrounding sewer pipe through the second drain pip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집수정의 상면에는 차도와 연통된 개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개구에는 덮개가 구비된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roadwa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mp, and the opening is provided with a cove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여과부는 익스펜디드 메탈로 형성되고, 집수정 또는 차도의 일측면에 접촉 또는 근접된 상태로 집수정 또는 차도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된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lter part is formed of expanded metal, and protrudes upward by a certain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mp or the roadway while in contact with or close to one side of the sump or the roadway.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유도부의 내부에는 배수유도부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으로 우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된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side the drainage guide portion to guide the flow of rain water from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drain guide portion to the outlet hole of the drain guide porti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유도부의 개방된 상면에는 바디부 내부의 개방된 공간과 연통되도록 슬릿 형상의 배수유로가 형성되고, 배수유도부에서 바디부의 측구 방향과 동일 또는 반대쪽 측면에는 원형의 출구공이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lit-shaped drain passage is form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drainage guide portion to communicate with the open space inside the body portion, and a circular outlet is formed on a side of the drain guide portion that is the same or opposite to the side opening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ball is form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집수정은 차도의 저부에 지중 매설되고, 집수정과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은 서로 접촉 또는 이격된 상태로 제1 배수관의 일단이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에 끼워짐과 함께 타단이 집수정을 관통하여 집수정 내부로 연결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ater collection well is buried underground at the bottom of the roadway, and the water collection well and the outlet hole of the drainage guide are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first drain pipe is inserted into the outlet hole of the drainage guide part. Together,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sump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ump.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집수정은 인도의 저부에 지중 매설되고, 집수정과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은 서로 접촉 또는 이격된 상태로 제1 배수관의 일단이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에 끼워짐과 함께 타단이 집수정을 관통하여 집수정 내부로 연결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ater collection well is buried underground at the bottom of the sidewalk, the water collection well and the outlet hole of the drainage guid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first drain pipe is inserted into the outlet hole of the drainage guide. Together,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sump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ump.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는 차도와 인도 또는 차도와 차도를 분리하는 분리대가 일체로 더 설치된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eparator separating the roadway and the sidewalk or the roadway and the roadway is further installed integr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디부의 높이는 차도의 높이보다 더 높게 설치됨으로써 차도 경계석이나 분리대의 역할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body part is install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roadway, so that it also functions as a roadway boundary stone or separato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에는 측면 우회 배수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출구공과 수직한 상기 측면 우회 배수조의 측면에는 제1 배수관 및 댐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ide bypass drain tank is further provided at the outlet hole of the drainage inducing portion, and a first drain pipe and a damper portion are provided on a side of the side bypass drain tank perpendicular to the outlet hol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차도의 측면에 기립된 상태로 여과부가 설치되고 장치 내부에 댐퍼부가 구비됨에 따라, 종래 차도의 배수구에 담배꽁초 등의 오염원이 끼여 우천 시 배수가 원활치 않음에 따라 반복되던 차도의 침수가 방지되고, 종래 배수구 내부에 쌓인 담배꽁초 등의 오염원이 부패함에 따라 그레이팅을 통해 악취가 올라오는 것이 차단되며, 상기 오염원이 배수구를 통해 하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물고기가 폐사하는 환경 훼손의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ltration unit installed in a standing position on the side of the roadway and a damper unit provided inside the device, thereby preventing smooth drainage during rainy weather due to contaminants such as cigarette butts getting caught in the drain of the conventional roadway. Flooding of the roadway is prevented, foul odors are prevented from rising through the grating as pollutants such as cigarette butts accumulated inside the existing drain decompose, and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the death of fish as the pollutants enter the river through the drain is prevented. It has the effect of resolving the problem.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차량풍에 의해 차도의 경계로 이동되는 비산먼지를 저감장치 내부로 유도 및 포집한 후, 장치 내부에 마련된 배수유로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함으로써 차도 상에서 유해한 비산먼지를 획기적으로 저감시켜 보행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비산먼지에 의한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and collects flying dust, which is moved to the border of the roadway by the vehicle wind naturally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nto the reduction device, and then discharges it into the sewer pipe through a drainage passage provided inside the device, thereby causing harmful emissions on the roadway. By dramatically reducing flying dust, it can improve the health of pedestrians and also prevent air pollution caused by flying dust.

또한 본 발명은 바디부의 높이를 인도의 높이와 같게 설계하는 경우 기존 차도 경계석의 역할을 겸할 수 있으며, 인도의 높이보다 더 높게 설계하는 경우 분리대의 역할을 겸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경계석 또는 분리대의 설치를 요하지 않으므로 공간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유익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rve as a boundary stone for an existing roadway when the height of the body part is designed to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sidewalk, and it can also serve as a separator when design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idewalk, so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boundary stone or divider. Since it is not required, it not only saves space, but also has the beneficial effect of reducing construction costs.

도 1은 일반적인 차도 상황에서 비산하는 먼지의 농도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차도의 배수구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우수에 의해 도 3의 댐퍼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유도부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a) 각진 경사면을 갖는 제1 실시예도, (b) 둥근 경사면을 갖는 제2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의 설치 상태도로서, (a) 집수정이 차도쪽에 매립된 제1 실시예도, (b)는 집수정이 인도쪽에 매립된 제2 실시예도
도 8a, 8b는 본 발명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을 제3 실시예에 따라 보인 요부 단면 사시도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dust flying in a typical roadway situa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drain of a conventional roadway.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damper part of Figure 3 in an open state due to rainwater.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rainage induc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a first embodiment with an angled inclined surface, and (b) a second embodiment with a round inclined surface.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a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sump is buried in the roadway, and (b)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sump is buried in the sidewalk.
8A and 8B are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road pollution source emission re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or “equipped”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Unless otherwise defined herei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It shouldn't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우수에 의해 도 3의 댐퍼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유도부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a) 각진 경사면을 갖는 제1 실시예도, (b) 둥근 경사면을 갖는 제2 실시예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의 설치 상태도로서, (a) 집수정이 차도쪽에 매립된 제1 실시예도, (b)는 집수정이 인도쪽에 매립된 제2 실시예도이다.Figure 3 is a main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main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amper part of Figure 3 in an open state due to rainwater, and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3.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rainage induc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a first embodiment with an angled inclined surface, (b) a second embodiment with a round inclined surface, and Figure 7 is a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a) a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sump is buried in the roadway, and (b)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sump is buried in the sidewalk.

상기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은,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장치(100), 집수정(200) 및 제2 배수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3 to 7, the road pollution source emission re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ad pollution source emission reduction device 100, a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a second drain pipe 300.

먼저,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차도(10)와 인도(20) 사이 또는 차도(10)와 차도(10) 사이에 도로의 경계석(30)을 대체하여 바디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바디부(110)는 내부에 하방을 향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공간의 일측이 차도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측구(110a, 도 5 참조)를 갖는다.First,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device 100, the body part ( 110) is installed. The body portion 110 has a space open downwardly formed therein and has a side opening 110a (see FIG. 5) on one side of the space open toward the roadway.

또한, 상기 바디부(110)의 측구(110a)에는 메쉬(mesh) 또는 슬릿 형태의 여과부(12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기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여과부(120)는 차도(10)에서 비산되는 오염원 중 일정 입경 이하의 먼지 등 작은 오염원은 통과시키고, 담배꽁초를 포함한 일정 입경을 초과하는 큰 오염원을 걸러낸다.In addition, a filtering unit 120 in the form of a mesh or slit is installed in the side port 110a of the body 110 in an upright state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Accordingly, the filtering unit 120 passes small pollutants, such as dust below a certain particle size, among the pollutants scattered from the roadway 10, and filters out large pollutants, including cigarette butts, exceeding a certain particle size.

또한, 상기 바디부(110)의 하부에는 지중 매립된 상태로 배수유도부(13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수유도부(130)의 내부에는 상방을 향해 개방된 배수유로(130a, 도 5 참조)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배수유로(130a)의 개방된 상단이 바디부(110)의 공간과 연통됨으로써 차량풍에 의해 여과부(120)를 통해 측구(110a)로 유입된 먼지가 상기 배수유로(130a)의 하단에 모여지게 된다.In addition, a drainage guide part 13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10 in a buried s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drain passage 130a (see FIG. 5) that is open upward is formed inside the drainage guide portion 130, and the open upper end of the drain passage 130a is of the body portion 110. By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dust flowing into the side port 110a through the filter 120 due to vehicle wind is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drain passage 130a.

또한, 상기 배수유도부(130)의 배수유로(130a)는 바디부(110) 내부의 개방된 공간과 연통되도록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수유도부(130)에서 바디부(110)의 측구(110a) 방향과 동일 또는 반대쪽 측면 중 어느 한쪽 측면에는 원형의 출구공(130b)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rain passage 130a of the drain guide 130 is formed in a slit shape to communicate with the open space inside the body 110, and the drain guide 130 has a side opening of the body 110. (110a) A circular outlet hole 130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ame or opposite side.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유로(130a)는 상단이 개방됨과 함께 상기 개방된 상단이 바디부(11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배수유로(130a)의 하단에는 상기 배수유로(130a)의 개방된 상단으로부터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으로 우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131)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여과부(120)를 통과한 먼지 등의 입경이 작은 오염원은 상기 배수유로(130a)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131) 위에 쌓이게 된다.Also, referring to FIG. 6, the drain passage 130a has an open top and the open top communicates with the space inside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drain passage 130a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rain passage 130a. ) An inclined surface 131 is formed to guide the flow of rainwater from the open top of the drain guide unit 130 to the outlet hole 130b. That is, small particle size contaminants such as dust that pass through the filt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mulate on the inclined surface 13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rain passage 130a.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경사면(131)은 각진 형태(도 6a 참조)이거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경사면(131)은 둥근 형태(도 6b 참조)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clined surface 131 may have an angular shape (see FIG. 6A), 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nclined surface 131 may have a round shape (see FIG. 6B).

또한, 상기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에는 댐퍼부(140)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댐퍼부(140)는 평시에는 닫혀진 상태로 여과부(120) 및 배수유로(130a)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수용한다. In addition, a damper unit 140 is installed at the outlet hole 130b of the drainage guide unit 130. Referring to FIG. 3, the damper unit 140 is closed in normal times and receives dust introduced through the filter unit 120 and the drain passage 130a.

이 상태에서,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여과부(120) 및 배수유로(130a)를 통해 우수가 유입될 때는 상기 우수의 하중에 의해 댐퍼부(140)가 개방되면서 우수와 함께 먼지를 배출한다. 또한, 상기 댐퍼부(140)는 평시에는 닫여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집수정(200) 내부의 악취가 집수정(200)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4, when rainwater flows in through the filter unit 120 and the drainage passage 130a, the damper unit 140 is opened by the load of the rainwater and dust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rainwater. . In addition, the damper unit 140 maintains a closed state in normal times to prevent bad odors inside the water sump 200 from leaking out of the water sump 200.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차도(10) 또는 인도(20)의 저부에는 집수정(200)이 지중 매설된다. 상기 집수정(200)은 우천 시 우수의 하중에 의해 댐퍼부(140)가 개방되면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에서 배출되는 우수와 먼지를 수용한다.Also, referring to FIG. 7, a water collection well 200 is buried underground at the bottom of the roadway 10 or sidewalk 20.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receives rainwater and dust discharged from the outlet hole 130b of the drainage guide unit 130 when the damper unit 140 is opened due to the load of rainwater during rainy weather.

구체적으로, 도 7a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정(200)은 차도(10)의 저부에 지중 매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수정(200)과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은 서로 접촉 또는 이격된 상태(도 7a에서는 이격된 상태로 도시됨)로 제1 배수관(150)의 일단이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에 끼워짐과 함께 타단이 집수정(200)을 관통하여 집수정(200) 내부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집수정(200)과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이 서로 이격되더라도 제1 배수관(150)의 길이를 조정하여 집수정(200)과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 사이의 유로를 연장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7A,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may be buried underground at the bottom of the roadway 10. At this time, the outlet hole 130b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the drainage guide part 130 is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hown as spaced apart in Figure 7a), and one end of the first drain pipe 150 is connected to the drain guide part. It is inserted into the outlet hole (130b) of (130)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Therefore, even if the outlet hole 130b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the drainage induction part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first drain pipe 150 is adjusted to determine the outlet hole 130b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the drainage induction part 130. ) can be extended.

한편, 도 7b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정(200)은 도 7a의 반대편인 인도(20)의 저부에 지중 매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수정(200)과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은 서로 접촉 또는 이격된 상태(도 7b에서는 접촉된 상태로 도시됨)로 제1 배수관(150)의 일단이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에 끼워짐과 함께 타단이 집수정(200)을 관통하여 집수정(200) 내부로 연결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7B,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may be buried underground at the bottom of the sidewalk 20 on the opposite side of FIG. 7A. At this time, the outlet hole 130b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the drainage inducing part 130 is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hown in a contact state in FIG. 7b), and one end of the first drain pipe 150 is in the drainage inducing part. It is inserted into the outlet hole (130b) of (130)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또한, 상기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과 댐퍼부(140) 사이에는 제1 배수관(15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수관(150)은 집수정(200)과 배수유도부(130) 사이에 간격이 존재할 때 상기 이격된 집수정(200)과 배수유도부(130)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집수정(200)과 배수유도부(130) 사이의 간격에 부합되는 길이를 갖는 제1 배수관(150)을 준비한 후, 상기 이격된 집수정(200)과 배수유도부(130) 사이에 끼워 넣어 서로 연결한다.In addition, a first drain pipe 150 is provided between the outlet hole 130b of the drain guide part 130 and the damper part 140. Here, the first drain pipe 150 performs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spaced water sump 200 and the drainage guide part 130 to each other when there is a gap between the water sump 200 and the drainage guide part 130. That is, after preparing the first drain pipe 150 having a length that matches the gap between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the drainage guide part 130, it is inserted between the spaced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the drainage guide part 130. Put them together and connect them together.

또한, 상기 집수정(20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배수관(30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배수관(300)은 집수정(200)과 주변 하수관(미도시)을 연결한다. 따라서, 우천 시 댐퍼부(140)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집수정(200) 내부로 유입된 우수와 먼지는 상기 제2 배수관(300)을 통해 주변 하수관(미도시)으로 최종 배출된다.Additionally, at least one second drain pipe 3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The second drain pipe 300 connects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a surrounding sewer pipe (not shown). Accordingly, as the damper unit 140 is opened during rainy weather, rainwater and dust flowing into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re finally discharged into the surrounding sewer pipe (not shown) through the second drain pipe 300.

또한, 상기 집수정(200)의 상면에는 차도(10)와 연통된 개구(미도시)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개구에는 덮개(210)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210)는 종래에서 살펴본 그레이팅 형태가 아닌 폐쇄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3, 4,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덮개(210)가 집수정(200)의 개구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를 통해 우수가 집수정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현장에서 작업자는 필요 시 상기 덮개(210)를 개방한 후 집수정(200) 내부를 청소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roadway 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mp 200, and a cover 210 is provided at the opening. The cover 210 is preferably formed in a closed form rather than the grating form seen in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S. 3, 4, and 7, in the state where the cover 210 blocks the opening of the water sump 200, It is understandable that rainwater cannot flow into the catch basin through the opening. Meanwhile, in the field, workers can perform tasks such as cleaning the inside of the water sump 200 after opening the cover 210 when necessary.

또한, 상기 여과부(120)는 익스펜디드 메탈(expanded metal)로 형성되고, 집수정(200) 또는 차도(10)의 일측면에 접촉 또는 근접된 상태로 집수정(200) 또는 차도(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filter 120 is formed of expanded metal, and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one side of the sump 200 or the roadway 10. )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by a certain height.

이에 따라 담배꽁초 등 일정 입경 이상의 큰 오염원은 상기 여과부(120)에 끼이거나 통과하지 않고 걸림되므로 청소 시에 이를 제거하고, 일정 입경 미만의 먼지 등 작은 오염원은 상기 여과부(120)를 통과하여 배수유도부(130)의 배수유로(130a) 하단에 쌓이게 된다. Accordingly, large pollutants such as cigarette butts or larger than a certain particle size are caught in the filter unit 120 or do not pass through, so they are removed during cleaning, and small pollutants such as dust less than a certain particle size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120. It is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130a) of the drainage inducing part (130).

이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배수구의 경우 담배꽁초가 그레이팅(50, 도 2 참조) 사이에 끼이거나 상기 그레이팅(50)을 통과하여 집수정(40) 내부에 쌓이고, 이후 상기 집수정(40) 내부에 쌓인 담배꽁초 등은 집수정(40) 내부에서 부패하거나 하천으로 유입되어 환경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여과부(120)는 바디부(110)의 측구(110a)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입을 차단하고자 하는 오염원, 예컨대 담배꽁초를 기준으로 상기 담배꽁초보다 작은 입경의 메쉬(그물눈) 또는 슬릿 형태의 통공을 갖는 익스펜디드 메탈을 채용함으로써 차량풍에 의한 먼지는 통과시키되 담배꽁초 등의 입경이 큰 오염원은 집수정(20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At this time, as seen abov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rain, cigarette butts are caught between the gratings (50, see FIG. 2) or pass through the gratings (50) and accumulate inside the sump 40, and then inside the sump 40. There was a problem that cigarette butts accumulated in the water collection well 40 rotted inside or flowed into the river, damaging the environment. However, the filter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able to the side port 110a of the body unit 110. Based on the pollutant to be blocked from inflow, such as a cigarette butt, an expanded metal having a mesh or slit-shaped hole with a particle diameter smaller than the cigarette butt is adopted to allow dust from vehicle wind to pass through, but the cigarette is Pollutants with large particle sizes, such as butts, are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일례로, 상기 메쉬 또는 슬릿 형태의 통공의 사이즈는 담배꽁초 등의 오염원이 배수로(231)를 통해 하천으로 흘러들어가 하천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수 mm 크기로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size of the mesh or slit-shaped through holes is preferably small, at a few millimeters in size, to prevent contaminants such as cigarette butts from flowing into the river through the drain 231 and contaminating the river.

또한, 상기 통공의 사이즈는 담배꽁초 등의 오염원은 통과시키지 않지만, 공기, 물 또는 먼지 등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이면 충분하며, 상기 통공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특별히 통공의 형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hole is sufficient so that contaminants such as cigarette butts do not pass through, but air, water or dust can pass through, and the shape of the hole may be circular, oval, square or rectangular, especially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is not limited.

또한, 상기 바디부(110)의 상면에는 차도(10)와 인도(20) 또는 차도(10)와 차도(10)를 분리하는 분리대(미도시)가 일체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리대(미도시)는 차도(10)와 인도(20)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대이거나 차도(10) 중앙의 중앙 분리대일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or (not shown) separating the roadway 10 and the sidewalk 20 or the roadway 10 and the roadway 1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parator (not shown) may be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roadway 10 and the sidewalk 20 or a central separator in the center of the roadway 10.

따라서, 본 발명 시스템은 도로의 차량풍(공기+먼지)에 의해 여과부(120)를 통과하여 배수유로(130a) 하단의 경사면(131)에 퇴적된 먼지를 우천 시 배수유도부의 배수유로(130a)로 유입되는 우수에 의해 댐퍼부(140)가 개방되면서 집수정(200)을 경유하여 주변 하수관(미도시)으로 깨끗이 배출(水洗)될 수 있다.Therefor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lters dust accumulated on the slope 131 at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130a by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unit 120 due to vehicle wind (air + dust) on the road, and flows into the drainage passage 130a of the drainage induction unit during rainy weather. ), the damper unit 140 is opened by rainwater flowing into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can be discharged cleanly into the surrounding sewer pipe (not shown).

또한, 상기 바디부(110), 배수유도부(130), 집수정(200) 등은 적어도 한 부분이 석재, 콘크리트, 세라믹,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디부(110)의 상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이고, 바디부(110)의 하부는 석재, 콘크리트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part of the body portion 110, the drainage guide portion 130, and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may be formed of stone, concrete, ceramic, plastic, or metal. For example, the upper part of the body 110 may be made of plastic or metal, and the lower part of the body 110 may be made of stone, concrete, or ceramic.

또한, 상기 바디부(110)의 높이는 차도(1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부(110)는 기존 차도(10)와 인도(20)의 경계석(30, 도 1, 2 참조)을 대체함으로써 상기 경계석(30)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eight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install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roadway 10. 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110 can also serve as the boundary stone 30 by replacing the boundary stone 30 (see FIGS. 1 and 2) of the existing roadway 10 and sidewalk 20.

한편, 상기 바디부(110)는 차도(10) 또는 인도(20)에 설치되는 분리대(미도시)를 대체하거나 상기 분리대(미도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부(110)는 사각형이나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110)의 높이는 차도(10)의 상면으로부터 1m 이상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body portion 110 may replace a separator (not shown) installed on the roadway 10 or sidewalk 20 or may also serve as the separator (not shown). 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110 may be design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or a pentagon, and the height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to be 1 m or mor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oadway 10.

이에 따라 앞서 도 1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 시스템은 일반 차도 경계석(30)의 위치로부터 1.0 m 높이까지 88.1%의 농도에 해당하는 미세먼지(D)를 포집할 수 있다. 일례로, 바디부(110)의 측구(110a) 높이를 1m 이상으로 형성할 경우 88.1% 이상 거의 100%에 근접하는 농도의 미세먼지를 모두 포집할 수 있다.Accordingly, as previously seen in FIG. 1,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fine dust (D) corresponding to a concentration of 88.1% from the position of the general roadway boundary stone 30 to a height of 1.0 m.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side opening 110a of the body 110 is 1 m or more, all fine dust at a concentration of 88.1% or more and close to 100% can be collected.

또한, 상기 여과부(120)와 바디부(110)는 별도의 고정 클립(미도시)에 의해 체결되거나 여과부(120)의 적어도 일측부에 형성된 홈부(미도시)가 대응되는 바디부(110)의 측구(110a)에 형성된 돌기부(미도시)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ing part 120 and the body part 110 are fastened by a separate fixing clip (not shown) or the body part 110 has a corresponding groove part (not shown)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ltering part 120. ) can be fastened to and fixed to a protrusion (not shown) formed on the side port 110a.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상기 도로는, 자동차 차도(10) 또는 열차의 철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차나 열차의 주행에 따라 발생하는 차량풍에 의해 차도(10)에서 바디부의 방향으로 먼지를 포함한 오염원이 이동되므로 담배꽁초나 나뭇잎, 비닐봉지 등의 오염원은 여과부(120)에 의해 걸러지고, 먼지 등 작은 입경을 갖는 오염원 만이 여과부(120)를 통해 측구(110a)로 유입된다.Additionally, the road to whic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an automobile roadway 10 or a train track. Accordingly, pollutants including dust are moved from the roadway 10 toward the body by the vehicle wind generated as the car or train runs, so pollutants such as cigarette butts, leaves, and plastic bags are filtered out by the filtering unit 120. Only pollutants with small particle sizes, such as dust, are filtered out and flow into the side port 110a through the filter 120.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된 도로 위의 비산먼지는, 질산염 (NO3-),암모늄 (NH4+), 황산염 (SO42-), 오존, 탄소화합물, 금속화합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다이옥신 및 악취유발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lying dust on the road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nitrate (NO3-), ammonium (NH4+), sulfate (SO42-), ozone, carbon compounds, metal compounds, volatile organic compounds, dioxins and odor-causing substances. It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이하, 상술한 구성의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을 설치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as follows.

먼저, 기존 차도(10)와 인도(20), 또는 차도(10)와 차도(10) 사이에 설치된 차도의 경계석(30)을 모두 제거한 뒤, 기존 경계석(30) 주변의 흙을 일정 폭과 깊이로 굴착한다. First, remove all of the curbstones (30) of the existing driveway (10) and the sidewalk (20), or the curbstone (30) of the driveway installed between the driveway (10) and the driveway (10), and then remove the soil around the existing curbstone (30) to a certain width and depth. Excavate with

다음으로 굴착된 지중면에 배수유도부(130)와 바디부(110)를 차례로 설치한 후 상기 바디부(110)의 측구(110a)가 차도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측구(110a)에 여과부(120)를 설치한다. Next, after installing the drainage guide portion 130 and the body portion 110 in order on the excavated ground surface, the side port 110a of the body portion 110 is protrud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roadway surface. Install the filter unit 120 in .

이어서, 상기 배수유도부(130)와 집수정(200)을 제1 배수관(150)으로 연결한 후 상기 제1 배수관(150)의 단부에 댐퍼부(140)를 설치하고, 집수정(200)과 주변 하수관(미도시)을 제2 배수관(300)으로 연결한 후 주변을 정리함으로써 기존 차도 경계석(30)을 대체하는 본 발명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의 시공을 완료한다.Next, the drainage guide part 130 and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ipe 150, and then the damper part 14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drain pipe 150, and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and By connecting the surrounding sewer pipe (not shown) to the second drain pipe 300 and organizing the surrounding area, construction of th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places the existing roadway curb 30, is completed.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집수정(200)은 제1 실시예에 따라 차도(10)쪽에 지중 매립되거나(도 7a 참조) 제2 실시예에 따라 인도(20)쪽에 지중 매립될 수 있다.(도 7b 참조)Meanwhile, referring to FIG. 7, the water sump 200 may be buried underground on the side of the roadwa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ee FIG. 7A) or on the side of the sidewalk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ee Figure 7b)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존에 차도(10)와 인도(20), 또는 차도(10)와 차도(10) 사이의 차도 경계에 설치된 모든 형태의 경계석(30), 또는 분리대(미도시) 등을 본 발명 시스템으로 대체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한번의 시공으로 차도에서 발생되는 비산먼지(D)를 발생 즉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반영구적인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을 갖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types of boundary stones (30) or separation strips (not shown) installed at the boundary of the roadway between the roadway (10) and the sidewalk (20), or the roadway (10) and the roadway (10). It can be constructed by replacing the system, and with one-time construction, you will have a semi-permanent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that can effectively remove fugitive dust (D) generated on the roadway as soon as it is generated.

한편, 도 8a, 8b는 본 발명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을 제3 실시예에 따라 보인 요부 단면 사시도로서, 도 8a, 8b는 제3 실시예 구성을 각각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Meanwhile, Figures 8a and 8b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third embodiment configuration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도 8a, 8b를 참조하면, 도 8a, 8b의 제3 실시예 구성은 앞서 살펴 본 도 7b의 제2 실시예 구성에서 인도(20) 밑에 다른 배관 등 장애물(미도시)이 매설되어 있어 본 발명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장치(100)를 설치할 수 없을 경우에는 별도의 측면 우회 배수조(400)를 추가로 설치하여 제1 실시예처럼 전방의 집수정(200)으로 배수로를 우회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S. 8A and 8B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7B as seen above, in which obstacles (not shown) such as other pipes are buried under the sidewalk 20,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oad pollutant discharge reduction device 100 cannot be installed, a separate side bypass drain 400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to bypass the drain to the front sump 2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이에 따라, 도 8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120)를 통해 배수유도부(130)로 진입한 우수(파란색 화살표 참조)는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을 통해 상기 측면 우회 배수조(40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측면 우회 배수조(400)에는 배수유도부(130)의 출구공(130b)에 수직한 측면 방향(도 8a에서 우측면)으로 제1 배수관(150)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 우회 배수조(400) 내로 유입된 우수는 상기 제1 배수관(150)을 통해 집수정(200)의 측면으로 유입된 뒤, 제2 배수관(300)을 통해 최종 배출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8A, rainwater (see blue arrow) entering the drainage induction unit 130 through the filter unit 120 flows into the side bypass drain tank through the outlet hole 130b of the drainage induction unit 130. flows into (400).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ide bypass drain tank 400 has a first drain pipe 150 formed in a lateral direction (right side in Figure 8a) perpendicular to the outlet hole 130b of the drain guide portion 130. Rainwater flowing into the side bypass drain tank 400 flows into the sid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200 through the first drain pipe 150 and is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rain pipe 300.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제1 배수관(150)의 출구단에는 앞서 제1,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댐퍼부(140)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악취가 배수유로를 타고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8b, the outlet end of the first drain pipe 150 is provided with a damper unit 140,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o prevent bad odors from rising through the drain passage. .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라, 장치의 구성이나 형상,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just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effect can be created even when changing the configuration, shap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device, s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It is stated that addition, deletion, and modification of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차도 20 : 인도
30 : 경계석 100 :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장치
110 : 바디부 120 : 여과부
120a: 측구 130 : 배수유도부
130a: 배수유로 130b: 출구공
131 : 경사면 140 : 댐퍼부 150 : 제1 배수관 200 : 집수정
300 : 제2 배수관 400 : 측면 우회 배수조
10: Roadway 20: Sidewalk
30: Boundary stone 100: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device
110: body part 120: filtration part
120a: side port 130: drainage induction unit
130a: drainage passage 130b: outlet hole
131: Slope 140: Damper unit 150: First drain pipe 200: Sump well
300: second drain pipe 400: side bypass drain tank

Claims (12)

차도와 인도 사이 또는 차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하방을 향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공간의 일측이 차도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측구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구에 구비되어 차도에서 비산되는 오염원 중 일정 입경 이하의 먼지를 통과시키고, 담배꽁초를 포함한 일정 입경을 초과하는 오염원을 걸러내는 여과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지중 매립된 상태로 내부에 상단이 개방된 배수유로가 형성됨과 함께 배수유로의 하단에 출구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로의 개방된 상단이 바디부의 공간과 연통됨으로써 차량풍에 의해 여과부를 통해 측구로 유입된 먼지가 상기 배수유로 및 출구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유도부;
상기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에 구비되어 평시에는 닫혀진 상태로 배수유로를 통해 유입된 먼지를 수용하고 우천 시 상기 여과부를 거쳐 배수유로를 통해 우수가 유입될 때는 상기 우수의 하중에 의해 개방되면서 우수와 함께 먼지를 배출하는 댐퍼부; 및
차도 또는 인도의 저부에 지중 매설된 상태로 상기 댐퍼부가 개방됨에 의해 배수유도부에서 배출되는 우수와 먼지를 수용하는 집수정;을 포함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 body portion installed between a roadway and a sidewalk or between a roadway and a roadway, forming a space open downward therein, and having a side opening on one side of the space open toward the roadway direction;
A filtering unit provided at the side port of the body portion to pass dust below a certain particle size among pollutants scattered on the roadway and filter out pollutants exceeding a certain particle size, including cigarette butts;
A drainage passage with an open top is form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body in a state buried underground, and an outlet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and the open top of the drainage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space of the body to be blown by vehicle wind. a drainage inducing part that allows dust flowing into the side port through the filtering part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assage and outlet hole;
It is provided at the outlet hole of the drainage induction unit and is closed in normal times to accommodate dust flowing in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In rainy weather, when rainwater flows in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through the filter unit, it is opened by the load of the rainwater and together with the rainwater. Damper unit for discharging dust; and
A water collection basin that is buried underground at the bottom of a roadway or sidewalk and accommodates rainwater and dust discharged from the drainage induction unit when the damper unit is opened.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부의 출구공과 댐퍼부 사이에는 제1 배수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drain pip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outlet hole of the drain inducing part and the damper part,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배수관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2 배수관을 통해 우수와 먼지가 주변 하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second drain pipe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collection well, so that rainwater and dust are discharged into the surrounding sewer pipe through the second drain pip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상면에는 차도와 연통된 개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개구에는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roadwa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mp, and the opening is provided with a cover,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익스펜디드 메탈로 형성되고, 집수정 또는 차도의 일측면에 접촉 또는 근접된 상태로 집수정 또는 차도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part is formed of expanded metal,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upward by a certain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mp or the roadway while being in contact with or close to one side of the water sump or the roadway.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부의 내부에는 배수유도부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으로 우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side the drainage guide portion to guide the flow of rainwater from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drain guide portion to the outlet hole of the drain guide portion,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부의 개방된 상면에는 바디부 내부의 개방된 공간과 연통되도록 슬릿 형상의 배수유로가 형성되고, 배수유도부에서 바디부의 측구 방향과 동일 또는 반대쪽 측면에는 원형의 출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lit-shaped drain passage is form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drain guide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open space inside the body, and a circular outlet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in guide part that is the same or opposite to the side opening of the body part. ,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차도의 저부에 지중 매설되고, 집수정과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은 서로 접촉 또는 이격된 상태로 제1 배수관의 일단이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에 끼워짐과 함께 타단이 집수정을 관통하여 집수정 내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sump is buried underground at the bottom of the roadway, and the sump and the outlet hole of the drainage guide are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first drain pipe is inserted into the outlet hole of the drain guide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sump.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sump,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인도의 저부에 지중 매설되고, 집수정과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은 서로 접촉 또는 이격된 상태로 제1 배수관의 일단이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에 끼워짐과 함께 타단이 집수정을 관통하여 집수정 내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sump is buried underground at the bottom of the sidewalk, and the sump and the outlet hole of the drainage guide are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first drain pipe is inserted into the outlet hole of the drain guide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sump.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sump,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는 차도와 인도 또는 차도와 차도를 분리하는 분리대가 일체로 더 설치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eparator separating the roadway and the sidewalk or the roadway and the roadway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높이는 차도의 높이보다 더 높게 설치됨으로써 차도 경계석이나 분리대의 역할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of the body part is install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roadway, so that it also serves as a roadway boundary stone or separator.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부의 출구공에는 측면 우회 배수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출구공과 수직한 상기 측면 우회 배수조의 측면에는 제1 배수관 및 댐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오염원 배출 저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A side bypass drain tank is further provided at the outlet hole of the drainage inducing portion, and a first drain pipe and a damper portion are provided on a side of the side bypass drain tank perpendicular to the outlet hole.
Road pollutant emission reduction system.
KR1020220138387A 2022-10-25 2022-10-25 System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 KR202400577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387A KR20240057773A (en) 2022-10-25 2022-10-25 System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387A KR20240057773A (en) 2022-10-25 2022-10-25 System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773A true KR20240057773A (en) 2024-05-03

Family

ID=9107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387A KR20240057773A (en) 2022-10-25 2022-10-25 System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77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07B1 (en) 2011-04-29 2014-01-10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Road boundary st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07B1 (en) 2011-04-29 2014-01-10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Road boundary st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54063A1 (en)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above grate based inlet filter system
US10704247B2 (en)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above grate based inlet filter system
KR101062391B1 (en) Parking lot with bio filter for non-point pollution
KR100486105B1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KR101152978B1 (en) Management Block of Polluted Runoff Having Function of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KR20090120986A (en) Gutter
KR20090120987A (en) Gutter
KR102389667B1 (en) Scattering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road using vehicle wind
KR20240057773A (en) System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
KR20240057767A (en) Apparatus for reducing road pollutant emission
KR20090017869A (en) Road boundary block with sluice gate
KR20100114813A (en) Rainwater reservoir of sewer system considering driving safety
JP4167514B2 (en) Gathering for collecting water and drainage structure using it
KR102477146B1 (en) Scattering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road using vehicle wind
KR102277516B1 (en) Fence having function of collecting dust and protecting against soil outflow
KR102256569B1 (en) Closing and opening device of rainwater drainage area
JP3739782B2 (en) Water collecting grating and drainage structure of road using it.
KR100866289B1 (en) Waste filtering unit
KR100951061B1 (en) Street inlet of side ditch on the street of a city
KR20050103147A (en) Storm water catch basin on both side of the road
KR100925648B1 (en) Rainwater reservoir of sewer system considering driving safety
KR100762979B1 (en) Garbage Interception Structure for Road
KR200327756Y1 (en) Draining structure of a road
KR102677124B1 (en) Drainage Kerb have filtering function of Non-point pollutants
JP2004183376A (en) Treatment method for surface drainage, and treatment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