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712A -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712A
KR20240057712A KR1020220138256A KR20220138256A KR20240057712A KR 20240057712 A KR20240057712 A KR 20240057712A KR 1020220138256 A KR1020220138256 A KR 1020220138256A KR 20220138256 A KR20220138256 A KR 20220138256A KR 20240057712 A KR20240057712 A KR 20240057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usage
virtual reality
dose inhaler
reali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학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3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712A/ko
Priority to PCT/KR2023/015304 priority patent/WO2024090835A1/ko
Publication of KR20240057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data related to laboratory analysis, e.g. patient specimen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를 표시하는 단계;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설명 UI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 설명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는 단계;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 훈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가상 현실 디바이스로부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SERVER FOR PROVIDING METERED-DOSE INHALER TRAINING SERVICE BASED ON VIRTUAL REALITY, METHOD AND PROGRAM}
본 개시는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약물 흡입 치료는, 전용 흡입기를 통해 환자에게 약물을 투약하는 치료 방식으로, 약물을 가장 필요로 하는 장소에 직접적으로 도달시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약물의 잠재적인 전신적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 흡입 치료에 사용되는 흡입제는,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지속적으로 조절하고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질병조절제'와 좁아진 기도를 단시간에 확장시키는 응급약물인 '증상완화제'로 구분되며, 휴대용 천식 흡입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천식 흡입기는, 흡입 용기에 따라 정량식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와 건조 분말 흡입기(Dry Powder Inhaler)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정량식 흡입기는, 추진제에 의해 알루미늄 캔 등 밀폐된 용기에 약물을 내장하고 있는 카트리지(Cartridge)로부터 흡입제가 일정량씩 분사되는 에어로솔 제품으로서, 라피헬러, 에보할러, 레스피맷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량식 흡입기를 사용한 약물 흡입 치료는, 환자가 어떤 상태와 환경에서 정량식 흡입기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웠었다.
따라서, 환자가 약물을 투여한 이후, 의사와 문진하며 정량식 흡입기 사용 시의 상태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의 진료에 의존해야만 했었다.
또한, 환자가 정량식 흡입기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하는지 정확하게 확인하기가 어려워, 정량식 흡입기를 사용할 때의 사용 방법에 대한 복약지도를 통해 사용 효과를 증진시키는 방법 이외의 별도의 지침을 제공하기가 어려웠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자 또는 정량식 호흡기 사용에 관심이 있는 대상자가 원할 때, 정량식 흡입기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면서, 정량식 흡입기를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오고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13-0063579(2013.03.14.공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정량식 흡입기 사용법을 한번 보여주고 실습할 수 있고, 단계별 따라하기 기능 또는 동시에 따라하기 기능 등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흡입제 교육의 몰입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현실감 교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실제 인력이 아닌 프로그램 기반으로 몰입도 및 연습 중재가 가능한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교육 시간 제한이나 피로도로 인한 교육 불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교육 몰입도 증대에 따른 흡입제 사용 증진 및 약제 사용 순응도를 증진시킬 수 있어 반복적인 교육과 연습이 가능하고, 약제 사용의 숙련도가 증진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반복 교육에 따른 인건비 절감 및 지속적인 교육이 가능한 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설명 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 설명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는 단계; 상기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 훈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상기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훈련 UI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 훈련 UI의 제1 사용 훈련 UI를 통해,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도록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 훈련 UI의 제2 사용 훈련 UI를 통해,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설명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 설명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 훈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상기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UI 중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는 제1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거나, 상기 사용 훈련 UI 중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는 제2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설명 UI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사용 설명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기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사용 훈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는 동작; 상기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상기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훈련 UI 표시 동작은, 상기 사용 훈련 UI의 제1 사용 훈련 UI를 통해,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도록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 훈련 UI의 제2 사용 훈련 UI를 통해,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동작은,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동작은,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동작은,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설명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 설명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 훈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으며, 상기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상기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UI 중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는 제1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거나, 상기 사용 훈련 UI 중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는 제2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정량식 흡입기 사용법을 한번 보여주고 실습할 수 있고, 단계별 따라하기 기능 또는 동시에 따라하기 기능 등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흡입제 교육의 몰입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현실감 교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실제 인력이 아닌 프로그램 기반으로 몰입도 및 연습 중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교육 시간 제한이나 피로도로 인한 교육 불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교육 몰입도 증대에 따른 흡입제 사용 증진 및 약제 사용 순응도를 증진시킬 수 있어 반복적인 교육과 연습이 가능하고, 약제 사용의 숙련도가 증진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반복 교육에 따른 인건비 절감 및 지속적인 교육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상 현실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일 예로 나타낸 순서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도 2 및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각각의 UI와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을 훈련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의 서버의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훈련 컨텐츠의 유형 별 사용 훈련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훈련 컨텐츠의 유형 별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서버에 의해 분석된 분석 결과에 따른 맞춤형 사용 안내를 사용자의 단말기, 의료진의 단말기, 외부 서버, 보호자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컴퓨터,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것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설명 UI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사용 설명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사용 훈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가상 현실 디바이스로부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고,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정량식 흡입기 사용법을 한번 보여주고 실습할 수 있고, 단계별 따라하기 기능 또는 동시에 따라하기 기능 등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흡입제 교육의 몰입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현실감 교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실제 인력이 아닌 프로그램 기반으로 몰입도 및 연습 중재가 가능하며, 교육 시간 제한이나 피로도로 인한 교육 불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교육 몰입도 증대에 따른 흡입제 사용 증진 및 약제 사용 순응도를 증진시킬 수 있어 반복적인 교육과 연습이 가능하며, 약제 사용의 숙련도가 증진될 수 있고, 반복 교육에 따른 인건비 절감 및 지속적인 교육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상 현실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 서버(120), 사용자의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는 가상 현실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111)와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는 오큘러스 VR 기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의 조작에 의해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의 선택이 완료되면, 사용 설명 UI(111b)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사용 설명 UI(111b)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의 조작에 의해 사용 설명 UI(111b)의 선택이 완료되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시청하면서 들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의 조작에 의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사용 훈련 UI(111c)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훈련 UI(111c)는 제1 사용 훈련 UI(111c-1)와 제2 사용 훈련 UI(111c-2)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도록 제1 사용 훈련 UI(111c-1)를 표시하거나,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도록 제2 사용 훈련 UI(111c-2)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사용 훈련 UI(111c)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제1 사용 훈련 UI(111c-1) 또는 제2 사용 훈련 UI(111c-2)를 선택할 수 있다.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은,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의 조작에 의해 사용 훈련 UI(111c)의 선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훈련 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사용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1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사용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2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사용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3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제3 훈련 콘텐츠는, 입에 대기 훈련 콘텐츠, 약물 분사 훈련 콘텐츠, 숨 들이 마시기 훈련 콘텐츠, 숨참기 훈련 콘텐츠, 숨 내쉬기 훈련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20)는 통신부(121), 메모리(122), 프로세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 및 사용자의 단말기(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사용자의 단말기(130)와 관계된 의료진의 단말기(140), 사용자의 단말기(130)와 관계된 외부 서버(150), 사용자의 단말기(130)와 관계된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단말기(130)는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수행 완료한 대상자의 단말기 또는 환자의 단말기일 수 있고, 의료진의 단말기(140)는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수행 완료한 대상자 또는 환자를 관리하는 의사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외부 서버(150)는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수행 완료한 대상자 또는 환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서 관리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150)는 병원 서버,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상태를 연구하는 업체 서버와 연구소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보호자의 단말기(160)는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수행 완료한 대상자 또는 환자를 보호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이때, 통신부(121)는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2)는 본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메모리(12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3)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메모리(122)와 프로세서(123)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2)와 프로세서(123)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22)는 본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프로세서(123)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있고,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2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2)는 본 장치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3)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3)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3)는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설명 UI(111b)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3)는 사용 설명 UI(111b)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00)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3)는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훈련 UI(111c)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3)는 사용 훈련 UI(111c) 중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는 제1 사용 훈련 UI(111c-1)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하거나, 사용 훈련 UI(111c) 중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는 제2 사용 훈련 UI(111c-2)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3)는 사용 훈련 UI(111c)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3)는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1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3)는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2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3)는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3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3)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로부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고,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3)는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일 예로 나타낸 순서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각각의 UI를 이용하여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을 훈련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 관련 UI 표시 단계(S510), 사용 관련 UI 선택 단계(S520), 사용 설명 UI 표시 단계(S530), 사용 설명 UI 선택 단계(S540), 사용법 설명 단계(S550), 사용 훈련 UI 표시 단계(S560), 사용 훈련 UI 선택 단계(S570), 훈련 콘텐츠 표시 단계(S580), 사용 훈련 정보 수신 단계(S591), 판단 단계(S592), 전송 단계(S9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관련 UI 표시 단계는, 서버(120)를 통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를 표시할 수 있다(S510).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를 선택할 수 있다(S520).
사용 설명 UI 표시 단계는, 서버(120)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의 선택이 완료되면(S520),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설명 UI(111b)를 표시할 수 있다(S530).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의 조작에 의해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의 선택이 완료되면(S520), 사용 설명 UI(111b)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사용 설명 UI(111b)를 선택할 수 있다(S540).
사용법 설명 단계는, 서버(120)를 통해, 사용 설명 UI(111b)의 선택이 완료되면(S540),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다(S550).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의 조작에 의해 사용 설명 UI(111b)의 선택이 완료되면(S540),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시청하면서 들을 수 있다.
사용 훈련 UI 표시 단계는, 서버(120)를 통해,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S550),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훈련 UI를 표시할 수 있다(S560).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의 조작에 의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사용 훈련 UI(111c)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훈련 UI(111c)는 제1 사용 훈련 UI(111c-1)와 제2 사용 훈련 UI(111c-2)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도록 제1 사용 훈련 UI(111c-1)를 표시하거나,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도록 제2 사용 훈련 UI(111c-2)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사용 훈련 UI(111c)를 선택할 수 있다(S57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제1 사용 훈련 UI(111c-1) 또는 제2 사용 훈련 UI(111c-2)를 선택할 수 있다.
훈련 콘텐츠 표시 단계는, 서버(120)를 통해, 사용 훈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S570),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S580).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의 조작에 의해 사용 훈련 UI(111c)의 선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훈련 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훈련 콘텐츠 표시 단계는, 서버(120)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1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사용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1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훈련 콘텐츠 표시 단계는, 서버(120)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2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사용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2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을 3회 또는 4회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훈련 콘텐츠 표시 단계는, 서버(120)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3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사용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제3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제3 훈련 콘텐츠는, 입에 대기 훈련 콘텐츠, 약물 분사 훈련 콘텐츠, 숨 들이 마시기 훈련 콘텐츠, 숨 참기 훈련 콘텐츠, 숨 내쉬기 훈련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숨 들이 마시기 훈련 콘텐츠(C1)를 통해, 약물이 밖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흡입구를 양입술로 물고, 엄지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을 세게 누르면서 천천히 깊게 숨을 들이 마쉬는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숨 참기 훈련 콘텐츠(C2)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에서 입을 떼고, 약 10초 동안 숨을 참는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숨 내쉬기 훈련 컨텐츠(C3)를 통해, 참았던 숨을 내쉬는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사용 훈련 정보 수신 단계는, 서버(120)를 통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로부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S591). 판단 단계는, 서버(120)를 통해,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92). 서버(120)는 사용 훈련 정보를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서버의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훈련 컨텐츠의 유형 별 사용 훈련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훈련 컨텐츠의 유형 별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서버(140)는 메타데이터인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제1 사용 훈련 데이터(ID1), 제2 사용 훈련 데이터(ID1), 제3 사용 훈련 데이터(ID3)의 입력 값을 인공지능 모델(AIM)에 입력하고, 인공지능 모델(AIM)을 기반으로 학습하여 판단된 제1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1), 제2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2) 및 제3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3)의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1)는, 제1 사용 훈련 데이터(ID1)의 입력에 따라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또는 불만족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2)는, 제2 사용 훈련 데이터(ID2)의 입력에 따라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또는 불만족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제3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3)는, 제3 사용 훈련 데이터(ID3)의 입력에 따라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또는 불만족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AIM)은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제1 사용 훈련 데이터(ID1), 제2 사용 훈련 데이터(ID1), 제3 사용 훈련 데이터(ID3)를 상관 관계를 통해 학습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AIM)은 제1 사용 훈련 데이터(ID1), 제2 사용 훈련 데이터(ID1), 제3 사용 훈련 데이터(ID3)를 CNN 알고리즘 또는 RN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데이터 셋으로 구축 및 강화 학습시킬 수 있다.
서버(120)는 인공지능 모델(AIM)을 기반으로, 제1 사용 훈련 데이터, 제2 사용 훈련 데이터, 제3 사용 훈련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제1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1), 제2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2) 및 제3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3)의 조건 만족 데이터 또는 조건 불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서버(120)는 제1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1)가 조건 불만족인 상태이면, 제1 사용 훈련 데이터의 훈련 부족 정도에 상응하는 제1 조건 불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는 사용자가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을 실시할 때에, 영상 내의 뚜껑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120)는 영상 내의 뚜껑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으면 제1 조건 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영상 내의 뚜껑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존재하면 제1 조건 불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 훈련 데이터의 훈련 부족 정도는 영상 내의 뚜껑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의 뚜껑 제거 시간을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제2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2)가 조건 불만족인 상태이면, 제2 사용 훈련 데이터의 훈련 부족 정도를 포함하는 제2 조건 불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는 사용자가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을 실시할 때에, 영상 내의 정량식 흡입기의 움직임 위치 별 왕복 이동 횟수가 기 설정된 움직임 위치 별 왕복 이동 횟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는 움직임 위치 별 왕복 이동 횟수가 기 설정된 움직임 위치에서의 3회 또는 4회 왕복 이동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120)는 움직임 위치 별 왕복 이동 횟수가 기 설정된 움직임 위치 별 왕복 이동 횟수이면 제2 조건 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움직임 위치 별 왕복 이동 횟수가 기 설정된 움직임 위치 별 왕복 이동 횟수가 아니면 제2 조건 불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 훈련 데이터의 훈련 부족 정도는 움직임 위치 별 왕복 이동 횟수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제3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OD3)가 조건 불만족인 상태이면, 제3 사용 훈련 데이터의 훈련 부족 정도를 포함하는 제3 조건 불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는 사용자가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을 실시할 때에, 영상 내의 정량식 흡입기의 폐 움직임 위치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움직임 위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120)는 폐 움직임 위치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움직임 위치이면 제3 조건 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폐 움직임 위치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움직임 위치가 아니면 제3 조건 불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3 사용 훈련 데이터의 훈련 부족 정도는 폐 움직임 위치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20)는 사용자가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중 숨 들이 마시기 훈련을 실시할 때에, 영상 내의 정량식 흡입기의 숨 들이 마시기 훈련에 상응하는 폐 움직임 위치(C1-1)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제1 움직임 위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서버(120)는 사용자가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중 숨 참기 훈련을 실시할 때에, 영상 내의 정량식 흡입기의 숨 참기 훈련에 상응하는 폐 움직임 위치(C2-1)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현재 위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서버(120)는 사용자가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중 숨 내쉬기 훈련을 실시할 때에, 영상 내의 정량식 흡입기의 숨 내쉬기 훈련에 상응하는 폐 움직임 위치(C3-1)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제2 움직임 위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서버(120)는 제4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가 조건 불만족인 상태이면, 제4 사용 훈련 데이터의 훈련 부족 정도를 포함하는 제4 조건 불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는 사용자가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입에 대기 훈련을 실시할 때에, 영상 내의 정량식 흡입기의 위치가 기 설정된 입의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120)는 정량식 흡입기의 위치가 기 설정된 입의 영역에 있으면 제4 조건 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정량식 흡입기의 위치가 기 설정된 입의 영역의 밖에 있으면 제4 조건 불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4 사용 훈련 데이터의 훈련 부족 정도는 정량식 흡입기의 위치와 입의 영역간의 거리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서버(120)는 제5 사용 훈련 상태 판단 데이터가 조건 불만족인 상태이면, 제5 사용 훈련 데이터의 훈련 부족 정도를 포함하는 제5 조건 불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0)는 사용자가 정량식 흡입기 훈련 장치(112)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표시된 정량식 흡입기의 약물 분사 훈련을 실시할 때에, 영상 내의 정량식 흡입기의 누름 위치가 기 설정된 누름 시간 동안 기 설정된 누름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120)는 정량식 흡입기의 누름 위치에 대해 기 설정된 누름 시간 동안 기 설정된 누름 영역에 있으면 제5 조건 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정량식 흡입기의 누름 위치에 대해 기 설정된 누름 시간과 기 설정된 누름 영역중 적어도 하나를 벗어나면 제5 조건 불만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5 사용 훈련 데이터의 훈련 부족 정도는 정량식 흡입기의 누름 시간과 누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전송 단계는, 서버(120)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S592),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S593). 또한, 서버(120)는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130)와 관계된 의료진의 단말기(140), 외부 서버(15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20)는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경고 상황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 훈련의 조건보다 낮은 수준일 경우에,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외부 서버(15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로 팝업창, 문자 메시지, SNS 메시지 등과 같은 알림부를 통해 경고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서버(120)는 사용자 별로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상태에 대한 정확한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외부 서버(15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별로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상태에 대한 정확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20)는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외부 서버(15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전송할 때에, 맞춤형 사용 안내 정보의 전송 여부를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외부 서버(15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로 요청할 수 있다(S594).
서버(120)는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외부 서버(15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맞춤형 사용 안내 정보의 전송 명령이 요청되면(S595), 맞춤형 사용 안내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외부 서버(15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S596).
도 15는 도 1의 서버에 의해 분석된 분석 결과에 따른 맞춤형 사용 안내를 사용자의 단말기, 의료진의 단말기, 외부 서버, 보호자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과정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버(120)는 사용자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분석 결과 정보(SD1)에 따른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사용 안내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외부 서버(15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분석 결과 정보(SD1)는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분석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분석 결과는 숨 들이 마시기 훈련 분석 결과일 수 있고, 숨 참기 훈련 분석 결과일 수 있으며, 숨 내쉬기 훈련 분석 결과일 수 있다.
이때, 서버(120)는 숨 들이 마시기 훈련 분석 결과값 또는 숨 참기 훈련 분석 결과값 또는 숨 내쉬기 훈련 분석 결과값이 기 설정된 각각의 기준값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훈련 불만족 상태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사용 안내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외부 서버(15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맞춤형 사용 안내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는 "1. 숨 조금더 들이 마시기, 2. 숨 조금더 참기, 3. 숨 조금더 내쉬기"라는 각각의 맞춤형 사용 안내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분석 결과 정보(SD1)는,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분석 결과,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분석 결과, 정량식 흡입기의 입에 대기 훈련 분석 결과, 정량식 흡입기의 약물 분사 훈련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서버(120)는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분석 결과값 또는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분석 결과값 또는 정량식 흡입기의 입에 대기 훈련 분석 결과값 또는 정량식 흡입기의 약물 분사 훈련 분석 결과값이 기 설정된 각각의 기준값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훈련 불만족 상태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사용 안내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외부 서버(15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단말기(130), 의료진의 단말기(140), 보호자의 단말기(160)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맞춤형 사용 안내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외부 서버(150)는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분석 결과 정보(SD1)와 각각의 맞춤형 사용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받아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연구자와 의료진 중 적어도 하나는 데이터 베이스화된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분석 결과 정보(SD1)와 각각의 맞춤형 사용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에 대한 연구와 사용 편의 개선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를 표시하는 동작;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설명 UI(111b)를 표시하는 동작; 사용 설명 UI(111b)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는 동작;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훈련 UI(111c)를 표시하는 동작; 사용 훈련 UI(111c)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로부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는 동작;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 훈련 UI 표시 동작은, 사용 훈련 UI(111c)의 제1 사용 훈련 UI(111c-1)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도록 표시하거나, 사용 훈련 UI(111c)의 제2 사용 훈련 UI(111c-2)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훈련 콘텐츠 표시 동작은,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인스트럭션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하고,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111a)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설명 UI(111b)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하며, 사용 설명 UI(111b)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하고,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훈련 UI(111c)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하며, 사용 훈련 UI(111c)의 선택이 완료되면,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하고,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로부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으며,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는, 사용 훈련 UI(111c) 중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는 제1 사용 훈련 UI(111c-1)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하거나, 사용 훈련 UI(111c) 중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는 제2 사용 훈련 UI(111c-2)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가상 현실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증강 현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혼합 현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혼합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복수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5 내지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복수의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 내지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 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가상 현실 디바이스 120: 서버
121: 통신부 122: 메모리
123: 프로세서 130: 사용자의 단말기
140: 의료진의 단말기 150: 외부 서버
160: 보호자의 단말기

Claims (20)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설명 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 설명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는 단계;
    상기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 훈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상기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훈련 UI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 훈련 UI의 제1 사용 훈련 UI를 통해,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도록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 훈련 UI의 제2 사용 훈련 UI를 통해,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가상 현실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설명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 설명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 훈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상기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UI 중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는 제1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거나,
    상기 사용 훈련 UI 중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는 제2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설명 UI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사용 설명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기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사용 훈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는 동작;
    상기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상기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훈련 UI 표시 동작은,
    상기 사용 훈련 UI의 제1 사용 훈련 UI를 통해,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도록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 훈련 UI의 제2 사용 훈련 UI를 통해,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동작은,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동작은,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콘텐츠 표시 동작은,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가상 현실 디바이스에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정량식 흡입기 사용 관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설명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 설명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을 설명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법의 설명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 훈련 UI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 훈련 과정 별로 기 설정된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훈련 콘텐츠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보를 수신받으며,
    상기 사용 훈련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기 설정된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정도가 상기 사용 훈련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사용 훈련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UI 중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단계 별로 따라하는 제1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거나,
    상기 사용 훈련 UI 중 상기 정량식 흡입기의 사용법에 대해 동시에 따라하는 제2 사용 훈련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뚜껑 열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흔들기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 훈련 과정 중 정량식 흡입기의 호흡 훈련 과정에 상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220138256A 2022-10-25 2022-10-25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40057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256A KR20240057712A (ko) 2022-10-25 2022-10-25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PCT/KR2023/015304 WO2024090835A1 (ko) 2022-10-25 2023-10-05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256A KR20240057712A (ko) 2022-10-25 2022-10-25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712A true KR20240057712A (ko) 2024-05-07

Family

ID=9083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256A KR20240057712A (ko) 2022-10-25 2022-10-25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7712A (ko)
WO (1) WO20240908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3579A1 (en) 2010-05-06 2013-03-14 AI Cur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tion of Inhaler Actu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1809A1 (en) * 2014-11-18 2017-09-27 Koninklijke Philips N.V. User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e of an augmented reality device
EP3729452B1 (en) * 2017-12-21 2024-05-15 VisionHealth GmbH Inhaler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20220115107A1 (en) * 2019-02-14 2022-04-14 Reciprocal Lab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Respiratory Medicament Device Usage
KR102183894B1 (ko) * 2019-06-28 2020-11-3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가상 현실을 이용한 컴퓨터 기반 학습 평가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109351A (ko) * 2019-09-16 2019-09-25 주식회사 테크인모션 Vr 교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3579A1 (en) 2010-05-06 2013-03-14 AI Cur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tion of Inhaler Act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835A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4582B1 (en) Machine learning to identify individuals for a therapeutic intervention provided using digital devices
US11151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achine learning to improve processes for achieving readiness
Association of Diabetes Care and Education Specialists et al. An effective model of diabetes care and education: the ADCES7 Self-Care Behaviors™
US11963924B2 (en) Tools for case review performance analysis and trending of treatment metrics
Patrick et al. A multicomponent program for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change in primary care: PACE+ for adolescents
Spring et al. Healthy apps: mobile devices for continuous monitoring and intervention
Greenwood et al. A framework for optimizing technology-enabled diabetes and cardiometabolic care and education: the role of the diabetes care and education specialist
US20220273204A1 (en) Intermittent Monitoring
US20180232492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to edit health care plans
Whitcomb et al. Participation of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hospital care for the poor
De Sa et al. Ubiquitous psychotherapy
Ball et al. Missed opportunities for vaccination and the delivery of preventive care
Gordon-Lubitz Risk communication: problems of 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Triantafyllidis et al. Computerised decision support in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Novák Handbook of research on holistic perspectives in gamification for clinical practice
KR20240057712A (ko) 가상 현실 기반의 정량식 흡입기 사용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Lohnari et al. Use of mobile applications in healthcare: a review
KR20220011845A (ko) Ar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Gallagher et al. Competence is about skill, not procedure case numbers
Bickmore et al. Some Novel Aspects of Health Communication from a Dialogue Systems Perspective.
US202103433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articipant health regimen
Pereira et al. Mobile applications for sickle cell disease management: an integrative review
Sobnath et al. Mobile self-management application for COPD patients with comorbidities: A usability study
KR20240028573A (ko) 패치형 센서를 활용한 가상 현실 기반의 호흡 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JPWO201911669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