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213A -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213A
KR20240057213A KR1020220137685A KR20220137685A KR20240057213A KR 20240057213 A KR20240057213 A KR 20240057213A KR 1020220137685 A KR1020220137685 A KR 1020220137685A KR 20220137685 A KR20220137685 A KR 20220137685A KR 20240057213 A KR20240057213 A KR 20240057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rocessor
elements
neighbor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찬
권지혜
이좌영
이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04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90725A1/ko
Publication of KR2024005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Abstract

본 개시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복수의 제1 UI 요소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UI 요소와 연관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 코드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이웃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제2 UI 요소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 상에 표현하는 동작; 상기 제2 UI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제2 UI 요소에 상응하는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1 UI 요소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NEIGHBORING DEVI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개시는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들의 판매자는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의 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소비자에게 함께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TV 장치의 경우에는 TV 장치용 원격 제어 장치가 있고, 에어컨 장치의 경우에도 에어컨 장치용 원격 제어 장치가 있다. 전자 디바이스들은 그 종류가 상이하다 하더라도 서로에 대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전형적인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서는 미리 정의된 전자 디바이스만을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댁 내에 전자 디바이스의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조작을 위해 필요한 원격 제어 장치의 개수 또한 함께 증가하고 있다.
본 개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나아가 하나의 원격 제어 디바이스(예: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소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방법을 구현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복수의 제1 UI 요소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UI 요소와 연관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 코드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이웃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제2 UI 요소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 상에 표현하는 동작; 상기 제2 UI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제2 UI 요소에 상응하는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1 UI 요소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 코드는, 디바이스 코드, 기능 코드, 및 매핑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웃 디바이스는, 동일한 기능 코드를 갖되, 상이한 디바이스 코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핑 코드는 상기 제1 UI 요소의 컴포넌트 타입과 연관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상기 트리거 입력이 아닌 노멀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는 맵 윈도우, 모달 윈도우, 바-타입 윈도우, 리스트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가 상기 맵 윈도우인 경우: 상기 제2 UI 요소들은 상기 맵 윈도우 상에 표현되며, 상기 제2 UI 요소들의 표시 위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웃 디바이스 간의 거리, 및 상기 이웃 디바이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UI 요소는, 상기 맵 윈도우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맵 윈도우는, 복수의 등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UI 요소는, 상기 등위선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MU 센서 및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이웃 디바이스의 위치 및 거리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가 모달 윈도우, 바-타입 윈도우, 리스트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UI 요소들은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배열되며,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웃 디바이스 간의 거리, 및 상기 이웃 디바이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UI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식별된 디바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배지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상기 배지가 결합된 제2 UI 요소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UI 요소에 상응하는 모든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상기 배지가 결합된 제2 UI 요소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UI 요소에 상응하는 이웃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추가적인 리스트 윈도우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 복수의 제1 UI 요소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UI 요소와 연관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 코드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이웃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제2 UI 요소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 상에 표현하는 동작; 상기 제2 UI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제2 UI 요소에 상응하는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1 UI 요소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소정의 사용자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기능 조작이 번거로운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의 기능들을 손쉽게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의 참고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텍스트 필드를 이용한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이웃 디바이스로 인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2는 윈도우의 구성을 수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3은 제1 UI 요소와 연관된 디바이스 기능은 변경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들이 참조되며,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예들이 도면들 내에서 예시로서 도시된다. 또한, 다양한 예들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무선 통신 시스템(1)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모바일 디바이스(11), 기지국(미도시)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 LET)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통신/모바일 디바이스(11)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모바일 디바이스(11)는 로봇, 차량, XR(extended reality) 디바이스, 휴대용 디바이스, 가전, IoT 디바이스(12), AI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AI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AI 서비스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3G/4G/5G/6G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는 기지국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이나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예: 사이드링크 통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AI 서비스 서버(13)는 IoT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 서비스 서버는 모바일 디바이스(11)로 미디어 컨텐츠를 추천하하는 컨텐츠 추천 서버, 사용자 발화를 분석하기 위한 TTS(text-To-speech) 서버, 텍스트를 음성으로 합성하기 위한 STT(speech-to-text)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I 서비스 서버(13)는 사용자 발화로부터 사용자 의도를 식별하기 위한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서버 또는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12)는 모바일 디바이스(11) 또는 서비스 서버(13)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12)는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능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12)는 서비스 서버(13)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능을 동작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IoT 디바이스(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한 기능 동작을 위해 메모리에 기능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기능 테이블은 제어 명령 및 상기 제어 명령과 연관된 기능을 매핑한 데이터 셋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능 테이블은 매핑 테이블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무선 통신 시스템(1)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AI 서비스 서버(13)(들) 및 모바일 디바이스(11)(들)은 공통적으로,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모바일 디바이스(11)(들) 및 서비스 서버(13)(들)에 적용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은 프로세서(102), 메모리(101), 및 트랜시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1), 트랜시버(103)는 프로세서(102)와 전기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제어 명령을 생성, 전송하여 전자 디바이스(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2)는 전자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부는 비휘발성 메모리(101)(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또는 SSD(Solid State Drive)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른 전기적 프로그래밍 가능한 ROM),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정적 또는 동적 RAM) 등과 같은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 내의 프로세싱 회로부는 전자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전력 관리 섹션(들), 오디오 칩(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 등에 기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01)는, 본 개시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된 방법들 및/또는 절차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하거나 이들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10)의 프로토콜, 구성, 제어 및 다른 기능들에서 사용되는 변수들을 저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에 대한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메모리(101)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메모리(101)는 하나 이상의 포맷들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예를 들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콤팩트 플래시 등)이 삽입 및 제거될 수 있게 하는 메모리 슬롯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시버(103)는 무선 통신 모듈 또는 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Wi-Fi, BT, GPS 또는 NF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10)를 네트워크(예: Internet, LAN, WAN,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POTS 또는 5G network 등)와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모듈은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 또는 호출된 전자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일 례로, RF 모듈는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은 무선통신에서 자유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개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 방법의 각 동작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는 설명된 순서 또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된 순서로 제한되지 않으며 선후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용어 “UI 요소(user interface element)”는 디스플레이 상에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UI 요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요소 중 사용자 입력이 적용될 수 있는 가상 버튼, 또는 가상 슬라이더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용어 “디바이스 기능”은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function)을 의미한다. 디바이스 기능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장치의 경우에는 전원제어, 밝기제어, 명암제어, 채도제어, 채널제어, 음량제어, 통신제어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세탁기의 경우에는 전원제어, 세탁행정 제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장치 별로 실행 가능한 기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디바이스 기능은 디바이스의 종류 별로 달리 정의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통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의 제1 UI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301).
프로세서(102)는 복수의 제1 UI 요소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UI 요소는 가상 버튼(들), 또는 가상 슬라이더(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302).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입력 방식은,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프레스(press), 딥 프레스(deep press), 팬(pan), 스와이프(swipe), 플릭(flick), 드래그(drag), 핀치 인/아웃(pinch in/out), 로테이트(rot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 입력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프레스(press),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일 측에 마련된 물리 버튼의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이하의 동작 303을 수행하고, 상기 트리거 입력이 아닌 다른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UI 요소에 대해 수신되는 경우에는 동작 303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 입력이 아닌 다른 사용자 입력(예: 탭, 드래그 등)이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에 연관된 기능(fun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I 요소가 전원 On/Off 기능과 연관된 경우, 프로세서(1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전원을 Off 하거나, 전원을 Off 하기 위한 윈도우(window)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I 요소가 밝기의 조절 기능과 연관된 경우, 프로세서(102)는 사용자 입력(예: 스와이프)의 길이에 따라 밝기를 증가하거나 감시시키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의 개시에서, 트리거 입력이 수신된 경우의 실행 모드는 컨트롤 모드,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의 실행 모드는 노멀 모드로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와 연관된 디바이스 기능을 식별할 수 있다(303).
일 실시예에서, 제1 UI 요소는 디바이스 기능과 연관될 수 있다. 후술할 것이나, 디바이스 기능은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기능 코드에 상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1 UI 요소는 상기의 기능 코드와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의 메모리(101)에는 매핑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매핑 테이블은 복수의 식별 코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코드는 (i) 디바이스 코드, (ii) 매핑 코드, 및/또는 (iii) 기능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코드는, 예를 들어, TV 장치, 에어컨 장치, 스피커 장치와 같은 디바이스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코드는, 동종의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적인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매핑 코드는, 제1 UI 요소의 컴포넌트 타입 또는 개별적인 제1 UI 요소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컴포넌트 타입은, 예를 들어, 온/오프 버튼형, 모드 실행 버튼형, 좌우 슬라이더형, 업다운 버튼형, 입력 버튼형, 인증 버튼형, 연결 버튼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오프 버튼형은 “0”, 모드 실행 버튼형은 “1”, 좌우 슬라이더형은 “2”와 같이, 컴포넌트 타입에 기반하여 각각 상이한 코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I 요소 A(예: 전원 켜기/끄기 버튼)는 “0”, UI 요소 B(예: 무음 모드 실행 버튼)는 “1”, UI 요소 C(예: 음량 제어 슬라이더)는 “2”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에 포함된 제1 UI 요소 별로 고유의 매핑 코드가 제공될 수도 있다.
기능 코드는, 디바이스 기능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지 않으나, 디바이스 기능은, 전원 켜기/끄기, 모드 실행(예: 무음 모드, 접근성 모드, 취침 모드, 다크 모드 등), 밝기 조절, 볼륨 조절, 컨텐츠 네비게이션, 채널 변경, 업다운 선택, 온도 조절, 팬(fan) 회전 세기 조절, 검색 실행(예; 설정 검색, 컨텐츠 검색, 채널 검색 등), 인증 실행(예: 패스워드 인증, 패턴 인증, 생체 인증 등), 통신 연결(예: 와이파이 연결, 블루투스 연결, 셀룰러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면, 기능 코드는 “TV_00”, “TV_1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TV_00”의 경우에, 프로세서(102)는 디바이스 코드 “TV”로부터 디바이스 종류를 TV로 식별하고, 첫번째 “0”으로부터 컴포넌트 타입을 온/오프 버튼으로 식별하고, 두번째 “0”으로부터 디바이스 기능을 전원 켜기/끄기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TV_11”의 경우에, 프로세서(102)는 디바이스 코드 “TV”로부터 디바이스 종류를 TV로 식별하고, 첫번째 “1”로부터 컴포넌트 타입을 모드 실행 버튼으로 식별하고, 두번째 “1”로부터 디바이스 기능을 무음 모드 실행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디바이스 기능에는 복수의 식별 코드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켜기/끄기”와 기능은,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것이므로, 하나의 기능 코드에는 둘 이상의 디바이스 코드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둘 이상의 식별 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하나의 기능 코드에는 둘 이상의 매핑 코드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둘 이상의 식별 코드가 생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1 디바이스 기능과 연관된 제2 디바이스 기능을 실행 가능한 이웃 디바이스(12)를 식별할 수 있다(304).
본 개시에서, 제1 디바이스 기능은 제1 디바이스(예: 모바일 디바이스(11))에 의해 실행가능한 디바이스 기능을 의미하고, 제2 디바이스 기능은 제2 디바이스(예: 이웃 디바이스(12))에 의해 실행가능한 디바이스 기능을 의미한다. 제1 디바이스 기능은 제2 디바이스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코드는, 제2 디바이스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코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UI 요소와 연관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 코드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UI 요소와 연관된 식별 코드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매핑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UI 요소와 연관된 식별 코드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상기 획득된 식별 코드들에 포함된 디바이스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기능 코드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기능을 실행 가능한 이웃 디바이스(12)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를 표현하는 제2 UI 요소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305).
프로세서(102)는, 디바이스 코드에 기반하여 제2 UI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코드가 “TV”인 경우에는 TV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AC”인 경우에는 에어컨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상기의 제2 UI 요소로서 생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UI 요소를 포함하는 윈도우는, 제1 UI 요소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오버랩하며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306).
동작 30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입력 방식은,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프레스(press), 딥 프레스(deep press), 팬(pan), 스와이프(swipe), 플릭(flick), 드래그(drag), 핀치 인/아웃(pinch in/out), 로테이트(rot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탭, 프레스 등)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2 UI 요소에 상응하는 이웃 디바이스(12)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제2 UI 요소에 상응하는 이웃 디바이스(12)(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2 디바이스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307).
프로세서(102)는, 트랜시버(103)를 통해,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 기능이 “전원 켜기/끄기”인 경우에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스스로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한편, 제어 대상 디바이스가 2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02)는 복수의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모바일 디바이스(11) 및 모바일 디바이스(11)에 적용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의 참고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40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4)는 터치 스크린을 적어도 일부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4)는 이하에서 후술할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을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 상의 하나 이상의 UI 요소들(예: 제1 UI 요소(410, 420), 제2 UI 요소(441a, ..., 441e))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는 사용자와 인터랙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는 물리 키 버튼(4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리 키 버튼(490)은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물리 키 버튼(490)은 트리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 키 버튼(490)에 대한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기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는 도 3의 동작 302에서 전술한 트리거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트리거 입력은 물리 키 버튼(490)에 대한 사용자 입력 뿐만 아니라,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UI요소(410, 42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 인가되는 것에 기초하여 트리거 입력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입력은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 상에 미리 마련된 트리거 버튼(미도시)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트리거 버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는 트리거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물리 키 버튼에 대한 물리적인 조작이나, 롱-프레스와 같이 미리 정의되는 조작 방식은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숨은 기능으로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하기 어려우나, 별도의 트리거 버튼이 마련되면 사용자는 쉽게 트리거 모드에 진입할 수 있고, 해당 기능의 존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모바일 디바이스(11)는 트리거 모드로 진입하는 것에 기초하여 이웃 디바이스(12)들 대기 모드로 동작시키는 명령을 상기 이웃 디바이스(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웃 디바이스(12)는 명령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이하의 개시에서 설명할 제어 명령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이하의 개시에서, 도 4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이 도시된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디바이스(11)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무선 디바이스(예: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등)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의 형태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다. 단,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이 변경되더라도, 이하에서 후술할 제1 UI 요소(410, 420)(들), 제2 UI 요소(441a, ..., 441e)(들) 및 다양한 윈도우(들)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의 적어도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동등한 동작(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제1 UI 요소(410, 420)(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UI 요소(410, 420)는, 전원 켜기/끄기 버튼(411), 설정 버튼(412), 와이파이 연결 버튼(413), 무음 모드 실행 버튼(414), 블루투스 연결 버튼(415), 절전 모드 실행 버튼(416), 인증 버튼(417), 키-호출 버튼(41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UI 요소(410, 420)는, 음량 제어 슬라이더(421), 밝기 제어 슬라이더(4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UI 요소(410, 420)들은 인터랙션 방식 및/또는 컴포넌트 타입에 기반하여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UI 요소(410, 420)들은 인터랙션 방식에 기반하여 가상 버튼(410)과 슬라이더(420)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 버튼(410)에 해당하는 제1 UI 요소(410)로서는, 전원 켜기/끄기 버튼(411), 설정 버튼(412), 와이파이 연결 버튼(413), 무음 모드 실행 버튼(414), 블루투스 연결 버튼(415), 절전 모드 실행 버튼(416), 인증 버튼(417), 키-호출 버튼(418)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더(420)에 해당하는 제1 UI 요소(420)로서는, 음량 제어 슬라이더(421), 밝기 제어 슬라이더(422)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UI 요소(410, 420)들은 컴포넌트 타입에 기반하여 분류될 수 있다. 컴포넌트 타입은, 예를 들어, 온/오프 버튼형, 모드 실행 버튼형, 좌우 슬라이더형, 업다운 버튼형, 입력 버튼형, 인증 버튼형, 연결 버튼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원 켜기/끄기 버튼(411)은 온/오프 버튼형에 해당할 수 있다. 무음 모드 실행 버튼(414), 절전 모드 실행 버튼(416)은 모드 실행 버튼형에 해당할 수 있다. 음량 제어 슬라이더(421)와 밝기 제어 슬라이더(422)는 좌우 슬라이더형에 해당할 수 있다. 와이파이 연결 버튼(413), 블루투스 연결 버튼(415)은 연결 버튼형에 해당할 수 있다. 인증 버튼(417)은 인증 버튼형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도 4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퀵 패드, 또는 컨트롤 패드로 지칭될 수 있다. 퀵 패드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의 상측(404t)으로부터 하측으로 이어지는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는 퀵 패드를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위젯의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위젯은 디스플레이(404)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홈 IoT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개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은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구성하는 UI 요소들의 배열이나 위치는 심미적으로/기능적으로 변경되거나 재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은 바-타입 무선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되고 있으나, 본 개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은 바-타입 무선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경우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는 와치-타입 무선 단말, 또는 글래스-타입 무선 단말일 수도 있으며, 각각의 무선 단말은 고유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유형의 무선 단말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치수, 디스플레이 형상에 적응적으로 다시 디자인된 본 개시의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단말에 의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은, 후술하는 설명과 같이,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 디바이스(12)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고,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이웃 디바이스(12)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을 트리거 입력, 또는 노멀 입력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서(102)는 컨트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노멀 입력으로 결정되면,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을 모바일 디바이스(11)가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절전 모드 실행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획득한 기능 코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코드를 갖는 복수의 식별 코드들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이처럼 획득한 식별 코드들에 포함된 디바이스 코드에 상응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웃 디바이스(12)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이웃 디바이스(12)들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트랜시버(103)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12)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UWB(ultra-wideband),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방식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12)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UWB,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웃 디바이스(12)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선택 입력)(TIN2)에 기반하여, 상기 이웃 디바이스(12)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들)를 나타내는 제2 UI 요소(441a, ..., 441e)(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441a, ..., 441e)(들)를 포함하는 맵 윈도우(430)를 표시할 수 있다. 맵 윈도우(4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이웃 디바이스(12) 간의 거리를 나타내기 위한 복수의 등위선(442)(들),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지향성을 나타내기 위한 지향선(4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맵 윈도우(430) 상에 표시되는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의 위치는, 전술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와 같은 지향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지향 센서에 의해 획득된 지향성 정보는 지향선(443)의 결정에 기초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맵 윈도우(430)는 사용자 입력(TIN1)에 의해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는, 등위선(442)(들)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는, 맵 윈도우(430)의 중심으로 표시 위치가 이동될 수도 있다.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의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에 따라 등위선(442), 지향선(443) 및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의 표시 위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맵 윈도우(430) 상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는 모바일 디바이스(11)와 가까울수록 등위선(442)의 중심과 가까이 위치하고, 멀수록 등위선(442)의 중심과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UI 요소(441a, ..., 441e)(들)는, 지향 센서의 센싱 정보(지향 정보)에 기반하여 지향선(443)의 좌측 및/또는 우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맵 윈도우(430) 상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2)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사용자 입력(TIN2)이 인가된 제2 UI 요소(441a, ..., 441e)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이전에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 코드와 연관된 것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기능을, 제어 대상 디바이스가 수행하도록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프로세서(102)는 맵 윈도우(430)를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441a, ..., 441e)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2)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이 수신된 제2 UI 요소(441a, ..., 441e)에 상응하는 이웃 디바이스(12)(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이전에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와 관련된 기능 코드와 상응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441a, ..., 441e)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2)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441a, ..., 441e)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2)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TIN2)이 수신된 제2 UI 요소(441a, ..., 441e)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를 제어 명령의 전송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대상은, 둘 이상이 선택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둘 이상의 제어 대상 디바이스가 전송 대상으로 결정되는 경우, 복수의 전송 대상으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복수의 전송 대상에 대한 제어 명령의 전송은, 미리 정의된 전송 트리거 입력을 수신하는 거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전송 트리거 입력은, 맵 윈도우(43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맵 윈도우(430)와 함께 표현되고 있는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송 대상들은,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과 연관된 디바이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제어(절전 모드 실행)”에 관한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각각의 전송 대상은 절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 별로 절전 모드의 구현 방식이 상이할 수 있는데,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는 각각의 디바이스 별로 미리 정의된 고유의 절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더라도, 전송 대상의 종류에 따라 실제 구현되는 디바이스 기능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 장치의 경우에는 절전제어에 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무풍 운전 또는 절약 코스를 실행할 수 있고, 세탁기 장치의 경우에는 절전제어에 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절약 세탁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b를 참조하여 전술한 복수의 이웃 디바이스(12)를 제어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 디바이스(12)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프로세서(1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예;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102)에 관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을 트리거 입력, 또는 노멀 입력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서(102)는 컨트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노멀 입력으로 결정되면,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을 모바일 디바이스(11)가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절전 모드 실행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획득한 기능 코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코드를 갖는 복수의 식별 코드들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이처럼 획득한 식별 코드들에 포함된 디바이스 코드에 상응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웃 디바이스(12)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이웃 디바이스(12)들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트랜시버(103)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12)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UWB(ultra-wideband),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방식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12)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UWB,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웃 디바이스(12)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선택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이웃 디바이스(12)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들)를 나타내는 제2 UI 요소(441a, ..., 441e)(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441a, ..., 441e)(들)를 포함하는 리스트 윈도우(440)를 표시할 수 있다. 리스트 윈도우(44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을 리스트 타입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이 세로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스트 윈도우(44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은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순위를 갖는 제2 UI 요소(441a, ..., 441e)는 하위 순위를 갖는 제2 UI 요소(441a, ..., 441e)보다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우선순위는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이웃 디바이스(12) 간의 거리, 및/또는 상기 이웃 디바이스(12)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와 가까이 위치할수록 더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지향성 정보에 기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지향 방향과 인접할수록 더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11)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와 같은 지향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지향 센서에 의해 획득된 지향성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지향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가 움직임에 따라 IMU 센서에 의해 획득될 지향성 정보가 변할 수 있으며, 지향성 정보가 변하는 것에 응답하여 리스트 윈도우(440)에 포함된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의 배열 또한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스트 윈도우(440)는 사용자 입력(TIN1)에 의해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UI 요소(410, 420)는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기 이전의 위치에 그대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리스트 윈도우(440)는 제1 UI 요소(410, 420)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며 표시되고, 제1 UI 요소(410, 420)는 원래의 위치에 그대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리스트 윈도우(440) 상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2)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사용자 입력(TIN2)이 인가된 제2 UI 요소(441a, ..., 441e)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이전에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 코드와 연관된 것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기능을, 제어 대상 디바이스가 수행하도록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 디바이스(12)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프로세서(1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예: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102)에 관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을 트리거 입력, 또는 노멀 입력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서(102)는 컨트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노멀 입력으로 결정되면,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을 모바일 디바이스(11)가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절전 모드 실행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획득한 기능 코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코드를 갖는 복수의 식별 코드들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이처럼 획득한 식별 코드들에 포함된 디바이스 코드에 상응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웃 디바이스(12)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이웃 디바이스(12)들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트랜시버(103)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12)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UWB(ultra-wideband),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방식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12)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UWB,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웃 디바이스(12)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선택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이웃 디바이스(12)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들)를 나타내는 제2 UI 요소(451a, ..., 451e)(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451a, ..., 451e)(들)를 포함하는 모달 윈도우(Modal Window)(450)를 표시할 수 있다. 모달 윈도우(45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UI 요소(451a, ..., 451e)(들)을 리스트 타입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달 윈도우(45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UI 요소(451a, ..., 451e)들은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순위를 갖는 제2 UI 요소(451a, ..., 451e)는 하위 순위를 갖는 제2 UI 요소(451a, ..., 451e)보다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순위를 갖는 제2 UI 요소(451a, ..., 451e)는 하위 순위를 갖는 제2 UI 요소(451a, ..., 451e)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순위를 갖는 제2 UI 요소(451a, ..., 451e)는 하위 순위를 갖는 제2 UI 요소(451a, ..., 451e)보다 좌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우선순위는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이웃 디바이스(12) 간의 거리, 및/또는 상기 이웃 디바이스(12)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와 가까이 위치할수록 더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지향성 정보에 기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지향 방향과 인접할수록 더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11)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와 같은 지향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지향 센서에 의해 획득된 지향성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지향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가 움직임에 따라 IMU 센서에 의해 획득될 지향성 정보가 변할 수 있으며, 지향성 정보가 변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달 윈도우(450)에 포함된 제2 UI 요소(451a, ..., 451e)들의 배열 또한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달 윈도우(450)는 사용자 입력(TIN1)에 의해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달 윈도우(450)는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기능에 대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기능은, 기능 코드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달 윈도우(450)는,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며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모달 윈도우(450)는,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 전부를 오버랩하며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모달 윈도우(450) 상의 제2 UI 요소(451a, ..., 451e)(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2)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사용자 입력(TIN2)이 인가된 제2 UI 요소(451a, ..., 451e)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이전에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 코드와 연관된 것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기능을, 제어 대상 디바이스가 수행하도록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 디바이스(12)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프로세서(1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예: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102)에 관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을 트리거 입력, 또는 노멀 입력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서(102)는 컨트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노멀 입력으로 결정되면,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을 모바일 디바이스(11)가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절전 모드 실행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획득한 기능 코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코드를 갖는 복수의 식별 코드들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이처럼 획득한 식별 코드들에 포함된 디바이스 코드에 상응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웃 디바이스(12)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이웃 디바이스(12)들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트랜시버(103)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12)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UWB(ultra-wideband),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방식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12)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UWB,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웃 디바이스(12)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선택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이웃 디바이스(12)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들)를 나타내는 제2 UI 요소(441a, ..., 441e)(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441a, ..., 441e)(들)를 포함하는 바-타입 윈도우(bar type window)(460a)를 표시할 수 있다. 바-타입 윈도우(460a)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을 리스트 타입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바-타입 윈도우(460a)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의 제1 영역(RE1)에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제1 영역(RE1), 제2 영역(R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RE1)에는 미리 정의된 유형의 디폴트 정보(예: 시간정보, 날씨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영역(RE2)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 UI 요소(410, 420)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트리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영역(RE1)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트리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영역(RE1)을 미리 정의된 유형의 디폴트 정보에서, 바-타입 윈도우(460a)로 바꾸어 표시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제2 영역(RE2)에서 표시 중이던 제1 UI 요소(410, 420)들의 표시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타입 윈도우(460a)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은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순위를 갖는 제2 UI 요소(441a, ..., 441e)는 하위 순위를 갖는 제2 UI 요소(441a, ..., 441e)보다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우선순위는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이웃 디바이스(12) 간의 거리, 및/또는 상기 이웃 디바이스(12)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와 가까이 위치할수록 더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지향성 정보에 기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지향 방향과 인접할수록 더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11)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와 같은 지향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지향 센서에 의해 획득된 지향성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지향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가 움직임에 따라 IMU 센서에 의해 획득될 지향성 정보가 변할 수 있으며, 지향성 정보가 변하는 것에 응답하여 바-타입 윈도우(460a)에 포함된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의 배열 또한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타입 윈도우(460a)에 포함된 각각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에는 아라비아 숫자로 이루어진 배지(badge)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지는 각각의 제2 UI 요소(441a, ..., 441e)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의 개수를 안내하기 위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지가 2로 표기되는 경우, 제2 UI 요소(441a, ..., 441e)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2개인 것으로 사용자는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배지가 결합된 제2 UI 요소(441a, ..., 441e)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2a)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지가 결합된 제2 UI 요소(441a, ..., 441e)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프로세서(102)는 제1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제2 UI 요소(441a, ..., 441e)에 상응하는 모든 제어 대상 디바이스들을 제어 명령을 전송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배지가 결합된 제2 UI 요소(441a, ..., 441e)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TIN2a)이 인가되면, 프로세서(102)는 추가적인 리스트 윈도우(460b)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리스트 윈도우(460b)는 제2 UI 요소(441a, ..., 441e)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는 제3 UI 요소(461da, ..., 461d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은 탭 방식의 터치 입력, 제2 사용자 입력(TIN2a)은 프레스, 또는 스와이프 방식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TIN2a)이 스와이프 방식이니 경우, 제2 사용자 입력(TIN2a)의 스와이프 방향은 추가적인 리스트 윈도우(460b)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UI 요소(461da, ..., 461de)들은 제2 UI 요소(441a, ..., 441e)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더 높은 순위를 갖는 제3 UI 요소(461da, ..., 461de)는, 더 낮은 순위를 갖는 제3 UI 요소(461da, ..., 461de)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리스트 윈도우(460b)는,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 및/또는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며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바-타입 윈도우(460a) 상의 제3 UI 요소(461da, ..., 461de)(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3)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사용자 입력(TIN3)이 인가된 제3 UI 요소(461da, ..., 461de)에 상응하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명령은 이전에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 코드와 연관된 것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기능을, 제어 대상 디바이스가 수행하도록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 디바이스(12)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프로세서(1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예: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102)에 관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트리거 입력, 또는 노멀 입력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서(102)는 컨트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노멀 입력으로 결정되면,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을 모바일 디바이스(11)가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절전 모드 실행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기능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획득한 기능 코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코드를 갖는 복수의 식별 코드들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이처럼 획득한 식별 코드들에 포함된 디바이스 코드에 상응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웃 디바이스(12)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이웃 디바이스(12)들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트랜시버(103)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12)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UWB(ultra-wideband),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방식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12)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UWB,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웃 디바이스(12)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선택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이웃 디바이스(12)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 입력이 인가된 제1 UI 요소(410, 420)는 슬라이더(421, 422)일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슬라이더(421, 42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특정 파라미터를 증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더(421, 422)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더(421, 422)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에 기반하여 제어 대상 디바이스의 특정 파라미터를 증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슬라이더(421, 422)형의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트리거 입력(예: TIN1)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트리거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모달 윈도우(450)에 포함된 복수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함으로써, 복수의 이웃 디바이스(12)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21, 422)형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02)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슬라이더(421, 422)형 제1 UI 요소(410, 420)가 좌우 슬라이더(421, 422)인 경우에는, 좌우 슬라이더(421, 422)에 대한 탭 입력, 또는 스와이프 입력에 기반하여 변경되거나 새롭게 설정될 파라미터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02)는 결정된 크기의 파라미터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파라미터의 크기는 제어 명령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기능 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기능 코드 및 파라미터의 크기에 기반하여 제1 UI 요소(410, 420)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코드가 음량조절, 파라미터의 크기가 +10인 경우에, 제어 대상 디바이스는 파라미터 크기 +10에 상응하는 크기만큼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텍스트 필드를 이용한 이웃 디바이스(12)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프로세서(1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예: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102)에 관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 중 어느 하나인 키-호출 버튼(417)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키-호출 버튼(417)에 대한 트리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키-호출 버튼(417)에 대한 트리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가상 키보드(4182) 및 텍스트 필드(4181)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가상 키보드(4182)에 대한 텍스트 입력을 텍스트 필드(418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텍스트 필드(4181) 상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12)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텍스트 정보는 파라미터형 텍스트, 검색형 텍스트 및/또는 디바이스 기능형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형 텍스트는, 예를 들어, 아라비아 숫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 기능형 텍스트는 다양한 디바이스 기능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텍스트 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색형 텍스트는 파라마티형 텍스트, 및 디바이스 기능형 텍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텍스트 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a는 텍스트 필드(4181)에 디바이스 기능형 텍스트가 입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텍스트 필드(4181)에는 다양한 디바이스 기능들 중 어느 하나와 연관된 텍스트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DMI”가 텍스트 필드(4181)에 기입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HDMI와 연관된 디바이스 기능(예: HDMI 설정)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모드”가 텍스트 필드(4181)에 기입되는 경우, 프로세서(102)는 절전모드와 연관된 디바이스 기능(예: 절전 모드 실행)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텍스트 입력을 이용하여 추론된 디바이스 기능을 “예상 디바이스 기능”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예상 디바이스 기능을 실행 가능한 이웃 디바이스(12)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에 상응하는 제2 UI 요소(441a, ..., 441e)를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441a, ..., 441e)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2)에 기반하여, 제어 대상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예: “HDMI 설정”)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b는 텍스트 필드(4181)에 파라미터형 텍스트가 입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텍스트 필드(4181)에는 파라미터, 예를 들어, 아라비아 숫자로 이루어진 텍스트가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텍스트 필드(4181)에 파라미터형 텍스트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02)는 파라미터 조절과 연관된 디바이스 기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파라미터 조절과 연관된 식별 코드들을 식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파라미터 조절과 연관된 기능 코드를 갖는 지 여부를 기준으로, 연관된 식별 코드들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파라미터 조절과 연관된 기능으로는, 음량 조절 기능, 밝기 조절 기능, 채널 변경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식별 코드에 기반하여 이웃 디바이스(12)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웃 디바이스(12)를 나타내는 제2 UI 요소(441a, ..., 441e)를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441a, ..., 441e)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2)에 기반하여, 제어 대상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예: 27번 채널로 변경”)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파라미터 조절과 연관된 디바이스 기능은, 하나의 이웃 디바이스(12)에 관해서도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장치의 경우에는, 밝기 조절, 음량 조절, 채널 변경 등 파라미터 값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기능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명령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디바이스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필드(4181)를 이용하여 이웃 디바이스(12)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TV 장치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의 기초가 되는 파라미터 값은 “채널 변경”에 관한 것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도 10c는 텍스트 필드(4181)에 검색형 텍스트가 입력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0c를 참조하면, 텍스트 필드(4181)에는 검색형 텍스트가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텍스트 필드(4181)에 검색형 텍스트가 입력되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의도를 검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대상 디바이스에서 수행되어야 할 디바이스 기능은 검색 및/또는 검색 결과의 출력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디바이스에서 수행되어야 할 디바이스 기능은 검색형 텍스트에 상응하는 컨텐츠 검색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2)는, 상기의 디바이스 기능과 연관된 이웃 디바이스(12)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에 상응하는 제2 UI 요소(441a, ..., 441e)를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하고, 제2 UI 요소(441a, ..., 441e)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예: “컨텐츠 검색”)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이웃 디바이스(12)로 인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프로세서(1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예: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102)에 관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복수의 제1 UI 요소(410, 42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 중 어느 하나인 인증 버튼(417)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a)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인증 버튼(417)에 대한 트리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인증 버튼(417)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a)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인증 메뉴(4171)를 호출할 수 있다. 인증 메뉴(4171)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 상에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메뉴(4171)는 하나 이상의 인증 방식(예: 패턴 인증, 지문 인증, 패스워드 인증 등)을 나타내는 제1 옵션(들), 하나 이상의 인증 대상(예: OTT 어플리케이션, 검색 엔진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는 제1 옵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옵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b)이 검출되면, 프로세서(102)는 인증을 위한 실행 화면(4172a)을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인식의 경우에는, 지문인식을 위한 실행 화면(4172a)을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인식인 경우에는, 패턴인식을 위한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예: 사용자 인증)이 성공되는 것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02)는 인증 결과(인증 정보)(472)를 전송할 이웃 디바이스(12)를 식별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지 않으나, 인증 결과(472)를 수신할 이웃 디바이스(12)는 트랜시버(103)를 통해 수신되는 상태 정보(예: 인증 대기)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결과(472)를 수신할 이웃 디바이스(12)는, 인증 대기 상태로 동작 중인 디바이스로서, 인증 대기 신호를 유무선으로 출력 중인 디바이스로 식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를 나타내는 제2 UI 요소(471a, 471b)를 포함하는 윈도우(4173a)를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UI 요소(471a, 471b)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2)이 수신되면,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예: “인증 정보 적용”)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명령에는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1b는 제2 옵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2 옵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a)이 검출되면, 프로세서(102)는 계정 정보를 수신하게 될 디바이스를 결정하기 위한 윈도우(4172a)를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계정 정보는 서비스에 관한 계정 정보(예: Samsung TV에 대한 계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는 계정 정보를 메모리(101)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정 정보를 수신하게 될 이웃 디바이스(12)를 결정하기 위한 윈도우(4172a)는 제2 UI 요소(471a, 471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제2 UI 요소(471a, 471b)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2)이 수신되면,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예: “계정 정보 적용”)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명령에는 계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2 UI 요소(471a, 471b)로 표현되는 이웃 디바이스(12)들은,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전까지, 제어 대기 상태(예: 인증 대기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이웃 디바이스(12)는 XR 디바이스(예: AR 글래스, HMD 등)일 수 있다. XR 디바이스는 전방 뷰를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센싱할 수 있다. XR 디바이스는, 일 예에서, 전방 뷰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1)가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인증 대기 상태로 동작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윈도우의 구성을 수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과 트리거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로서, 이웃 디바이스(12)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윈도우(450a)가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윈도우(450a)는 모달 윈도우로 예시되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맵 윈도우, 리스트 윈도우, 바-타입 윈도우에도 후술할 삽입 UI 요소(452)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프로세서(1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예: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102)에 관한 것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윈도우(예: 모달 윈도우)는 복수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450a)는 삽입 UI 요소(4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 UI 요소(452)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4a)이 검출되면, 프로세서(102)는 윈도우(450a)에 새로운 제2 UI 요소를 추가하기 위한 종속 윈도우(450b)를 표시할 수 있다. 종속 윈도우(450b)는 후보 UI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후보 UI 요소는 이웃 디바이스(12)로 추가할 수 있는 후보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후보 UI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4b)이 검출되면, 프로세서(102)는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후보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싱할 수 있다. 후보 디바이스는 제어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변경을 모바일 디바이스(11)로 안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는 그러한 제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후보 디바이스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후보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예: TV 장치의 볼륨 조절)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어 신호를 센싱하면 후보 UI 요소를 제2 UI 요소(451f)로서 윈도우 상에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후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와 연관된 기능 코드와, 이전에 선택된 제1 UI 요소(410, 420)와 연관된 기능 코드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 후보 UI 요소를 제2 UI 요소로서 윈도우에 추가할 수도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모바일 디바이스(11)는, 후보 디바이스를 이웃 디바이스(12)로 세팅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되는 새로운 제2 UI 요소(451f)는, 추가된 직후에는,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제1 UI 요소(410, 420)와 연관된 디바이스 기능은 변경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400)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1)과 트리거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로서, 이웃 디바이스(12)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404)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윈도우(450a)는 모달 윈도우로 예시되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맵 윈도우, 리스트 윈도우, 바-타입 윈도우에도 후술할 편집 UI 요소(453)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프로세서(102)는 모바일 디바이스(11)(예: 사용자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102)에 관한 것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윈도우(예: 모달 윈도우)(450a)는 복수의 제2 UI 요소(441a, ..., 441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450a)는 편집 UI 요소(4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집 UI 요소(453)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5a)이 검출되면, 프로세서(102)는 제1 UI 요소(410, 420)와 연관된 디바이스 기능을 편집하기 위한 종속 윈도우(450b)를 표시할 수 있다. 종속 윈도우(450b)는 후보 UI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후보 UI 요소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싱하게 될 이웃 디바이스(12)에 상응하는 제2 UI 요소(451a, ..., 451e) 중 적어도 일부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후보 UI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후보 UI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TIN5b)이 검출되면, 프로세서(102)는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후보 UI 요소에 상응하는 이웃 디바이스(12)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싱할 수 있다. 이웃 디바이스(12)는 제어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변경을 모바일 디바이스(11)로 안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는 그러한 제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이웃 디바이스(12)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2)는 이웃 디바이스(12)로부터 제어 신호(예: 온도 제어)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어 신호를 센싱하면, 그러한 제어 신호와 연관된 디바이스 기능을 제1 UI 요소(410, 420)와 연관시킬 수 있다. 즉, 이웃 디바이스(12)로부터 수신하거나 센싱한 제어 신호의 디바이스 기능을 제1 UI 요소(410, 420)와 매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매핑 테이블 또한 갱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핑 테이블이 갱신된 이후에, 동일한 제1 UI 요소(410, 420)에 대해 사용자 입력(TIN1) 및/또는 트리거 입력이 인가되면, 프로세서(102)는 새로 매핑된 디바이스 기능(예: 온도 제어)과 연관된 이웃 디바이스(12)들을 식별하고, 이들을 나타내는 제2 UI 요소들을 윈도우 상에 표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 5a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무선 디바이스가 와치형 무선 단말, 또는 글래스형 무선 단말인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형 무선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제1 UI 요소에 대한 입력, 제2 UI 요소 및/또는 제3 UI 요소에 대한 입력에 기반하여, 와치형 무선 단말은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형 무선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제1 UI 요소에 대한 입력, 제2 UI 요소에 대한 입력에 기반하여 글래스형 무선 단말은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 또는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할 경우”는 문맥에 따라 “~할 때”, 또는 “~할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이 검출되는 경우”는 문맥에 따라 “결정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 시”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제1 UI 요소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UI 요소와 연관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 코드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이웃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제2 UI 요소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 상에 표현하는 동작;
    상기 제2 UI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제2 UI 요소에 상응하는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1 UI 요소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디바이스 코드, 기능 코드, 및 매핑 코드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디바이스는, 동일한 기능 코드를 갖되, 상이한 디바이스 코드를 갖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코드는 상기 제1 UI 요소의 컴포넌트 타입과 연관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입력이 아닌 노멀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맵 윈도우, 모달 윈도우, 바-타입 윈도우, 리스트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가 상기 맵 윈도우인 경우:
    상기 제2 UI 요소들은 상기 맵 윈도우 상에 표현되며,
    상기 제2 UI 요소들의 표시 위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웃 디바이스 간의 거리, 및 상기 이웃 디바이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 요소는, 상기 맵 윈도우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맵 윈도우는, 복수의 등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UI 요소는, 상기 등위선의 중심에 위치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IMU 센서 및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이웃 디바이스의 위치 및 거리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가 모달 윈도우, 바-타입 윈도우, 리스트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2 UI 요소들은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배열되며,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웃 디바이스 간의 거리, 및 상기 이웃 디바이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식별된 디바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배지가 결합될 수 있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가 결합된 제2 UI 요소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UI 요소에 상응하는 모든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가 결합된 제2 UI 요소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UI 요소에 상응하는 이웃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추가적인 리스트 윈도우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
    복수의 제1 UI 요소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
    제1 UI 요소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UI 요소와 연관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 코드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웃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이웃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제2 UI 요소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표현 상에 표현하는 동작;
    상기 제2 UI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제2 UI 요소에 상응하는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 제1 UI 요소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동작;
    을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디바이스 코드, 기능 코드, 및 매핑 코드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코드는 상기 제1 UI 요소의 컴포넌트 타입과 연관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리거 입력이 아닌 노멀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 요소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맵 윈도우, 모달 윈도우, 바-타입 윈도우, 리스트 윈도우 중 어느 하나인, 모바일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가 상기 맵 윈도우인 경우: 상기 제2 UI 요소들은 상기 맵 윈도우 상에 표현되며, 상기 제2 UI 요소들의 표시 위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웃 디바이스 간의 거리, 및 상기 이웃 디바이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220137685A 2022-10-24 2022-10-24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57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0479 WO2024090725A1 (ko) 2022-10-24 2023-07-20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213A true KR20240057213A (ko) 2024-05-0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7666B1 (ko)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의도 확인을 위한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91772B1 (ko)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US20180275968A1 (en) Generation of a device application
EP3695301A1 (en) Methods of direct manipulation of multi-layered user interfaces
US2015002908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thereof
KR102242983B1 (ko) 통합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20150009254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354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5022024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of
CN111240555A (zh) 利用摄像装置的智能物联网菜单
KR20110014223A (ko) 유저인터페이스생성장치
EP3554184A1 (en)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home screen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2282498B1 (ko)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EP314789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40100306A (ko) 휴대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US9977582B2 (en) Window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a window using an external input device
KR2016014314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입출력 제어 방법
KR20160046633A (ko) 입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503793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fingerprint input
KR102345883B1 (ko) 그래픽 표시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US101153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CN113050863A (zh) 页面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311530B1 (ko) 절전 모드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77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40057213A (ko) 이웃 디바이스를 제어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