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070A - 의료용 전기 소작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전기 소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070A
KR20240057070A KR1020220137334A KR20220137334A KR20240057070A KR 20240057070 A KR20240057070 A KR 20240057070A KR 1020220137334 A KR1020220137334 A KR 1020220137334A KR 20220137334 A KR20220137334 A KR 20220137334A KR 20240057070 A KR20240057070 A KR 20240057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pipe body
unit
guid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유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유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유닛
Priority to KR102022013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070A/ko
Publication of KR2024005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404Blood vessels other than those in or around the 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35Spi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5Deformable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전기 소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균일한 방열 면적 확보를 위해 저항선을 관체에 감아 구성하더라도 불필요하게 직경이 커지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특히, 하지 정맥류의 치료를 위한 시술시 최소 침습을 가능케 하여 외과적 시술 트라우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전기 소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전기 소작기{MEDICAL ELECTROCAUTERY APPARATUS}
본 발명은 의료용 전기 소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균일한 방열 면적 확보를 위해 저항선을 관체에 감아 구성하더라도 불필요하게 직경이 커지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특히, 하지 정맥류의 치료를 위한 시술시 최소 침습을 가능케 하여 외과적 시술 트라우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전기 소작기에 관한 것이다.
하지 정맥류를 치료하기 위해 하지 정맥류가 발생한 표재 정맥 내로 기구를 삽입하고, 열로서 정맥을 소작하여 폐쇄시키는 침습술은 통상 비수술적인 방법 정도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수술적인 시술은 외과적 수술 방법에 비해 위험도가 낮고, 시술 트라우마 발생률이 낮으며, 비교적 간단하게 시술할 수 있다는 이유로, 반드시 외과적 수술을 요하는 적응증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이러한 침습술로 치료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사용하는 기구로는 전기 소작기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전기 소작기는 전술한 하지 정맥류 치료 외에도, 각종 병변 부위 소작, 체강이나 각종 기관 내의 저류물 배출, 세정용 관류액의 흡인, 심혈행 동태나 중 심정맥압 등의 측정, 조영제 등의 약물 주입 등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된다.
전기 소작기의 핵심 구성은 발열을 담당하는 발열체 구성인데, 발열체는 대체로 지지관체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감은 저항선으로 구성하거나 지지관체 또는 캐뉼라 원위에 팁을 장착하고, 상기 팁에 전류 전달을 위한 와이어를 지지관체에 내장한 구조로서, 상기 팁을 제외한 부분은 절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팁 주변으로만 제한적으로 소작이 되도록 하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한편, 전술한 저항선을 나선형으로 감는 방식의 경우 보다 넓고 균일한 면적으로 발열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지지관체 외부에 돌출된 구조로 인해 불필요하게 직경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돌출 부위로 인한 단차로 인해 체 내에서 조작성이 매우 떨어지고, 장치 시술 과정에서 조직에 물리적인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10-2014-0025051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균일한 방열 면적 확보를 위해 저항선을 관체에 감아 구성하더라도 불필요하게 직경이 커지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특히, 하지 정맥류의 치료를 위한 시술시 최소 침습을 가능케 하여 외과적 시술 트라우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의료용 전기 소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로 루멘을 형성하는 제1 관체; 상기 제1 관체의 외측면 일부 구간에 나선형으로 감긴 권선부를 포함하는 히팅와이어; 상기 권선부를 회피해 제1 관체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2 관체; 및 상기 권선부가 감싸지도록 상기 제1 관체 외측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2 관체와 인접 배치되는 관 형상의 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관체의 외경과 자켓의 외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켓과 인접한 제2 관체의 일단에는 자켓 내부로 삽입되는 코어가 제1 관체에 접촉된 상태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관체의 일단부에는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장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자켓의 일단은 상기 확장편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2 관체의 일단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켓과 제1 관체 사이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어 자켓이 권선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작동공간을 향해 냉각유체를 순환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2 관체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공간을 향해 노출되며 냉각유체를 상기 작동공간으로 주입 안내하는 주입관; 및 상기 제2 관체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공간을 향해 노출되며 상기 작동공간에 채워진 냉각유체 회수 안내하는 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선부에 결합되며 상기 권선부를 고정, 압축 또는 신장시켜 단위 코일 간 피치를 유지 및 조정하는 피치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치조정부는, 상기 작동공간에서 권선부의 외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가이드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을 가지며 일단은 가이드바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상태로 가이드바 내측 일단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고, 타단은 제2 관체에 내장되는 스크류핀; 상기 스크류핀의 제1 나사산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치합되는 제1 가이드너트, 상기 제1 가이드너트에서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접속되는 제1 가이드블럭 및 상기 제1 가이드블럭에서 단위 코일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일측의 단위 코일을 파지하는 제1 파지죠를 포함하는 제1 클램프; 상기 스크류핀의 제2 나사산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치합되는 제2 가이드너트, 상기 제2 가이드너트에서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접속되는 제2 가이드블럭 및 상기 제2 가이드블럭에서 단위 코일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타측의 단위 코일을 파지하는 제2 파지죠를 포함하는 제2 클램프; 및 상기 제2 관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핀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핀을 제자리 회전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핀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각각의 단위 코일을 파지한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가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단위 코일이 견인됨으로써 피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균일한 방열 면적 확보를 위해 저항선을 관체에 감아 구성하더라도 불필요하게 직경이 커지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특히, 하지 정맥류의 치료를 위한 시술시 최소 침습을 가능케 하여 외과적 시술 트라우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전기 소작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전기 소작기의 일측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전기 소작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피치조정부의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피치조정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전극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관체(10), 히팅와이어(20), 제2 관체(30) 및 자켓(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관체(10)는 내부로 루멘(11)을 형성하는 중공의 관형 부재로서, 내부 루멘(11)으로는 각종 약액을 운반해 환부에 유출시키거나 환부 주변의 혈액 등의 체액을 흡입 운반할 수 있다.
제1 관체(10)는 체내 삽입시 주변 조직의 압력 및 삽입 경로에 맞게 소정의 휨 변형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 예컨대 PC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관체(10)의 일단은 개방되어 있고, 타단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약액 주입수단, 흡입수단, 핸드피스 등이 연결되어 시술 과정에서 약액의 주입 또는 체액의 흡입 등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관체(10) 내부 일측에는 온도센서(12)가 마련되어 히팅와이어(20) 또는 환부 주변 온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다. 온도센서(12)는 후술 될 히팅와이어(20)의 권선부(21) 대응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발열을 보다 직관적이고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온도센서(12)의 전원 및 신호전달을 위한 전선의 경우 루멘(11)으로 배선되거나, 제1 관체(10)를 관통해 제1 관체(10)와 제2 관체(30) 사이 공간으로 배선되어 제어기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히팅와이어(20)는 저항선이며, 전류가 흐를 경우 발열하여 환부를 소작할 수 있도록 한다. 히팅와이어(20)는 별도 도시되지 아니한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컨대, 히팅와이어(20)는 제1 관체(10)의 외측면 일부 구간에 나선형으로 감긴 권선부(21)와 나선형 권선부(21) 각각의 단부에서 길게 연장되어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2)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단일 히팅와이어(20)를 제1 관체(10)의 일단을 향해 길게 배선한 다음 제1 관체(10) 일단의 외측에 수 회 감아 권선부(21)를 구성한 후 다시 제1 관체(10)의 타측을 향해 배선하고 각각의 연결부(22)를 제어기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히팅와이어(2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관체(10) 외측으로 권선부(21)를 구성함에 따라, 권선부(21) 주변으로 발열범위를 보다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제2 관체(30)는 제1 관체(10) 외측으로 결합되어 제1 관체(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관형의 구성으로서, 이때, 제2 관체(30)는 제1 관체(10)의 일단 부위는 노출시킴으로써 제1 관체(10)에 권선된 권선부(21)를 회피하도록 한다. 다만, 권선부(21)에서 연장된 연결부(22)의 경우 제1 관체(10)와 제2 관체(30) 사이 유격으로 배선될 수 있도록 하여 연결부(22)에서 발생된 열기가 불필요하게 방열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제2 관체(30)는 강도가 좋은 SUS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경우에 따라 전술한 제1 관체(10)와 동일하게 유연하게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켓(40)은 제2 관체(30)에 의해 노출된 권선부(21)가 환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권선부(21)를 감싸주는 구성으로서, 제1 관체(10)의 일단 외측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2 관체(30)와 길이방향으로 인접 배치되는 관 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자켓(40)은 권선부(21)의 발열이 생체 조직으로 충분히 전도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자켓(40)은 열수축 방식으로 제1 관체(10) 외측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관체(10)의 외측으로는 히팅와이어(20), 제2 관체(30), 자켓(40) 등이 상호 결합이 될 수 있되, 이때, 상기 제2 관체(30)의 외경과 자켓(40)의 외경은 동일하게 구성하여 제2 관체(30)와 자켓(40)의 연결 부위에 특별한 단차나 직경변화 없이 균일한 외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자켓(40)을 통해 권선부(21) 역시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면을 구성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환부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부위의 직경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시술 과정에서 환부로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환부 삽입 또는 시술 후 제거 과정에서 특별히 소작이 필요 없는 조직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한편, 상기 자켓(40)과 인접한 제2 관체(30)의 일단에는 자켓(40) 내부로 삽입되는 코어(31)가 제1 관체(10)에 접촉된 상태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고, 제1 관체(10)의 일단부에는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장편(13)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자켓(40)의 일단은 상기 확장편(13)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2 관체(30)의 일단에 지지되어 자켓(40)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되, 자켓(40)의 타단 내측면은 상기 코어(31)에 밀착 지지되어 자켓(40) 타측부의 강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충분한 마찰저항을 받게 돼 자켓(40)이 임의로 변형 내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시술 과정에서 자켓(40)이 말리거나 위치가 이동 및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켓(40)의 일단과 확장편(13) 사이, 타단과 제2 관체(30) 사이는 실링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자켓(40) 내부를 밀폐 구성해 체액이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되 냉각부(50), 피치조정부(100)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1 관체(10) 외측으로 자켓(40)이 결합됨에 따라 자켓(40)과 제1 관체(10) 사이에는 작동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자켓(40)이 권선부(2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해 상기 피치조정부(100)가 배치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공간(160)으로는 냉각유체가 주입되어 권선부(21) 또는 조직을 직, 간접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냉각부(50)는 상기 작동공간(160)을 향해 냉각유체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제2 관체(30)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공간(160)을 향해 노출되며 냉각유체를 상기 작동공간(160)으로 주입 안내하는 주입관(51) 및 제2 관체(30)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공간(160)을 향해 노출되며 상기 작동공간(160)에 채워진 냉각유체 회수 안내하는 회수관(5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냉각부(50)는 상기 주입관(51)과 회수관(52)에 각각 연결되어 챔버에 저장된 냉각유체를 압송하는 순환펌프, 주입관(51)과 회수관(52)을 개폐 제어하는 밸브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챔버, 순환펌프, 밸브 등의 구성은 제2 관체(30) 내외부 적소에 배치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주입관(51)과 회수관(52)은 각각 180도 위상차를 두고 제2 관체(30)에 내장 배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주입관(51)과 회수관(52)을 통합하여 하나의 관로를 구성해 냉각유체의 주입과 회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주입관(51)을 통해 작동공간(160) 내로 냉각유체가 주입됨에 따라 권선부(21)를 포함하는 소작기의 일단 부위가 빠르게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통상, 소작기를 이용한 시술은 환부를 향해 소작기를 깊게 삽입한 다음 시술이 필요한 목표조직만을 국소적으로 소작하고, 다시 소작기를 체 내에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히팅와이어(20)가 목표온도까지 한 번 가열되면 빠르게 냉각을 시킬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히팅와이어(20)의 냉각 없이 소작기를 체 내에서 배출하게 되면 소작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조직에 열전달로 인한 열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작 완료 후 주 발열원인 권선부(21)를 냉각유체를 통해 빠르게 냉각시킴으로써 소작기 배출시 조직에 불필요한 열손상을 가하지 아니하도록 하고, 뿐만 아니라, 소작 이후 조직의 냉각이 필요한 적응증 질환에 폭넓게 활용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피치조정부(100)는 권선부(21)에 결합되어 권선부(21)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코일(21a) 사이의 간격(이하, 피치(P)라 함)을 유지시켜 주거나 혹은 상황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시술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권선부(21)를 고정해주어 제1 관체(10) 외측에 감긴 권선부(21)의 임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황에 따라 권선부(21)를 압축 또는 신장시켜 발열 범위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단위 코일(21a)이라 함은 권선부(21)를 구성하는 각각의 코일을 의미할 수 있다
소작기를 체 내로 삽입하게 되면 조직에 의해 소작기 외측으로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뿐만 아니라 소작기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소작기의 일단부가 소정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짐에 따라 권선부(21)의 위치, 피치(P) 등이 임의로 변해 시술 정밀도를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피치(P)가 커지게 됨은 각각의 단위 코일(21a) 사이 간격이 이격됨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권선 밀도가 낮아지게 되며 이 경우, 발열 범위는 증가하지만 반비례적으로 발열이 집중도를 떨어트리게 되고, 반대로 피치(P)가 작아됨은 각각의 단위 코일(21a) 사이 간격이 좁아짐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권선 밀도가 증가해 발열 범위는 감소하지만 발열을 보다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피치(P)의 조절은 시술 여건에 따라 적절이 조정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임의로 조절이 된다면 오히려 시술 정밀도를 떨어트리고 의료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피치조정부(100)는 권선부(21)를 고정시킴은 물론, 시술 여건에 따라서 피치(P)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피치조정부(100)는 크게, 가이드바(110), 스크류핀(120), 제1 클램프(130), 제2 클램프(140) 및 조작레버(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가이드바(110)는 작동공간(160)에서 권선부(21)의 외측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길게 연장된 관형 부재로서 타단이 제2 관체(30)의 코어(31) 외측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권선부(21)를 마주하는 가이드바(110)의 측면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레일(111)에는 제1 클램프(130)와 제2 클램프(140)가 접속되어 가이드바(1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바(110)는 내부로 스크류핀(120), 제1 클램프(130) 및 제2 클램프(140)를 수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크류핀(120)은 조작레버(150)의 조작에 따라 제자리 회전해 제1 클램프(130) 및 제2 클램프(14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단은 가이드바(11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상태로 가이드바(110) 내측 일단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고, 타단은 제2 관체(30)에 내장되는 긴 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류핀(120)은 조작레버(150)와 연동해 조작레버(150)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이와 연동해 제자리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스크류핀(120)에 연계 결합된 제1 클램프(130)와 제2 클램프(140)가 스크류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스크류핀(120)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제1 나사산(121)과 제2 나사산(12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나사산(121)에는 제1 클램프(130)가, 제2 나사산(122)에는 제2 클램프(140)가 각각 나사결합 방식으로 치합하여 스크류핀(120)이 회전하면 이에 따라 상대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클램프(130)와 제2 클램프(140)는 각각 단위 코일(21a) 외측을 파지하는 구성으로서,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결합 위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먼저, 제1 클램프(130)는 크게, 제1 가이드너트(131), 제1 가이드블럭(132) 및 제1 파지죠(13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너트(131), 제1 가이드블럭(132) 및 제1 파지죠(133)는 일체로서 제1 클램프(130)를 구성한다.
제1 가이드너트(131)는 스크류핀(120)의 제1 나사산(121)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치합되는 구성으로서, 가이드바(110) 내측에 내장된 상태에서 스크류핀(120)의 회전시 제1 나사산(121)을 타고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블럭(132)은 제1 가이드너트(131)에서 가이드레일(11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11)에 접속됨으로써 스크류핀(120)의 회전시 제1 가이드너트(131)가 스크류핀(120)의 회전에 연동해 회전됨을 방지하고, 일정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제1 파지죠(133)는 상기 제1 가이드블럭(132)에서 단위 코일(21a)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일측의 단위 코일(21a)을 파지한다. 제1 파지죠(133)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단위 코일(21a) 외측을 파지하는 집게 형태로 예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의 단위 코일(21a)이라 함은 제1 관체(10) 일단에 가장 인접한 단위 코일(21a)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클램프(140)는 스크류핀(120)의 제2 나사산(122)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치합되는 제2 가이드너트(141), 상기 제2 가이드너트(141)에서 가이드레일(11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11)에 접속되는 제2 가이드블럭(142) 및 상기 제2 가이드블럭(142)에서 단위 코일(21a)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타측의 단위 코일(21a)을 파지하는 제2 파지죠(14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의 단위 코일(21a)이라 함은 제2 관체(30) 일단에 가장 인접한 단위 코일(21a)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램프(130)는 일측 단위 코일(21a)을, 제2 클램프(140)는 타측 단위 코일(21a)을 각각 개별적으로 파지하게 되는바, 권선부(21)가 피치조정부(100)에 의해 구속되어 단위 코일(21a) 사이 간격이 임의로 변하는 현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조작레버(150)는 제2 관체(3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제2 관체(30) 내부로 연장된 스크류핀(1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핀(120)을 제자리 회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으로서, 조작레버(150)의 일부는 제2 관체(30)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시술자가 노출된 조작레버(150)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조작레버(150)는 통상의 기어 형태로서, 힌지핀(151)을 통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스크류핀(120)의 타단에는 상기 조작레버(150)와 치합되기 위한 기어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조작레버(150)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조작레버(150)에 연계하여 스크류핀(120)이 제자리 회전하게 되고, 스크류핀(120)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각각의 단위 코일(21a)을 파지한 제1 클램프(130)와 제2 클램프(140)가 가이드레일(11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단위 코일(21a)을 견인하는 방식으로 권선부(21)의 피치(P)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150)의 회전 조작으로 스크류핀(120)을 정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1 클램프(130)와 제2 클램프(14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되면서 이에 따라 단위 코일(21a)이 견인되어 권선부(21)의 신장으로 피치(P)가 커지게 된다.
반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핀(120)을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제1 클램프(130)와 제2 클램프(14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되면서 이에 따라 단위 코일(21a)이 견인되어 권선부(21)의 압축으로 피치(P)가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흡사 코일 스프링을 압축 또는 신장시킴에 따라 코일 스프링의 피치(P)가 줄어들게 되거나 또는 커지게 되는 원리와 같다.
따라서, 시술자는 시술 여건에 맞게 피치(P)를 조절하여 손쉽게 발열 범위, 발열 출력 밀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제1 관체
20: 히팅와이어
30: 제2 관체
40: 자켓

Claims (3)

  1. 내부로 루멘을 형성하는 제1 관체;
    상기 제1 관체의 외측면 일부 구간에 나선형으로 감긴 권선부를 포함하는 히팅와이어;
    상기 권선부를 회피해 제1 관체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2 관체; 및
    상기 권선부가 감싸지도록 상기 제1 관체 외측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2 관체와 인접 배치되는 관 형상의 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관체의 외경과 자켓의 외경은 동일하며,
    상기 자켓과 인접한 제2 관체의 일단에는 자켓 내부로 삽입되는 코어가 제1 관체에 접촉된 상태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체의 일단부에는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장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자켓의 일단은 상기 확장편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2 관체의 일단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 소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켓과 제1 관체 사이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어 자켓이 권선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작동공간을 향해 냉각유체를 순환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2 관체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공간을 향해 노출되며 냉각유체를 상기 작동공간으로 주입 안내하는 주입관; 및
    상기 제2 관체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공간을 향해 노출되며 상기 작동공간에 채워진 냉각유체 회수 안내하는 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 소작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에 결합되며 상기 권선부를 고정, 압축 또는 신장시켜 단위 코일 간 피치를 유지 및 조정하는 피치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치조정부는,
    상기 작동공간에서 권선부의 외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가이드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을 가지며 일단은 가이드바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상태로 가이드바 내측 일단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고, 타단은 제2 관체에 내장되는 스크류핀;
    각각 단위 코일 외측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 및
    상기 제2 관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핀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핀을 제자리 회전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스크류핀의 제1 나사산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치합되는 제1 가이드너트;
    상기 제1 가이드너트에서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접속되는 제1 가이드블럭; 및
    상기 제1 가이드블럭에서 단위 코일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일측의 단위 코일을 파지하는 제1 파지죠;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스크류핀의 제2 나사산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치합되는 제2 가이드너트;
    상기 제2 가이드너트에서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접속되는 제2 가이드블럭; 및
    상기 제2 가이드블럭에서 단위 코일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타측의 단위 코일을 파지하는 제2 파지죠;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핀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각각의 단위 코일을 파지한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가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단위 코일이 견인됨으로써 피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 소작기.
KR1020220137334A 2022-10-24 2022-10-24 의료용 전기 소작기 KR20240057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334A KR20240057070A (ko) 2022-10-24 2022-10-24 의료용 전기 소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334A KR20240057070A (ko) 2022-10-24 2022-10-24 의료용 전기 소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070A true KR20240057070A (ko) 2024-05-02

Family

ID=9107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334A KR20240057070A (ko) 2022-10-24 2022-10-24 의료용 전기 소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0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051A (ko) 2012-08-21 2014-03-04 전명기 하지정맥류 치료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051A (ko) 2012-08-21 2014-03-04 전명기 하지정맥류 치료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6882C (en) Prevention of kinks in catheter irrigation tubes
JP4203216B2 (ja) 関節運動可能なイオン化可能ガス凝固器
CN103037791B (zh) 用于肺静脉隔离的器械
CN110251224B (zh) 可调节冷冻消融针
WO2014174662A1 (ja) アブレーションカテーテル
JP2010526574A (ja) 人間または動物の血管内に蒸気を注入するための装置
JP2008154751A (ja) 低温治療装置
US20230065952A1 (en) Induction Coil Assembly for Uterine Ablation and Method
CN218186923U (zh) 蒸汽消融系统
KR20210033443A (ko) 관주식 절제 요법을 위해 추론된 최대 온도 모니터링
CN110604613A (zh) 弯型可调冷冻消融针
WO2015198628A1 (ja) 医療用デバイス
KR20240057070A (ko) 의료용 전기 소작기
KR20240057030A (ko) 의료용 전기 소작기
US20220117645A1 (en) Medical system and method of use
US11382682B2 (en) Closed irrigated radiofrequency bipolar tined ablation probe
US7250050B2 (en) Tubal sterilization device having sesquipolar electrodes and method for performing sterilization using the same
CN212755875U (zh) 基于电导监测闭环反馈控制的激光手术用冷凝管防漏装置
CN218773931U (zh) 一种射频消融导管及血管内介入治疗系统
CN111643187A (zh) 一种基于电导监测闭环反馈控制的激光手术用冷凝管防漏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