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391A -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391A
KR20240055391A KR1020220135618A KR20220135618A KR20240055391A KR 20240055391 A KR20240055391 A KR 20240055391A KR 1020220135618 A KR1020220135618 A KR 1020220135618A KR 20220135618 A KR20220135618 A KR 20220135618A KR 20240055391 A KR20240055391 A KR 20240055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evice
home
lighting
storage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주)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엑사 filed Critical (주)엑사
Priority to KR102022013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5391A/ko
Publication of KR2024005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댁내 광도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되어 상기 댁내에 구비되는 조명기기; 상기 조명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제공받고, 외부 인터넷 망과 연결된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인터넷 통신부에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조명기기의 상태를 인터넷 망을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의해 상기 조명기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댁내 광도에 따라 상기 조명기기의 광도값을 미리 저장된 설정값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하는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고, 원격으로 댁내 조명기기의 모니터링 및 제어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명기기와 휴대 단말기 간에 특정 통신사의 통신망 서버를 이용하지 않게 되어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토리지 장치(IoT 홈 게이트웨이)가 제공하는 Open API를 통해 댁내에 설치된 조명기기들의 리소스를 상위 계층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개방형 어플리케이션인 Open API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작이 가능하여 다양한 조명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조명기기의 관리가 가능하여 호환성 및 편의성의 향상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Of Smart Hom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기기를 외부의 휴대 기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가전제품을 포함한 다양한 가정용 장치들이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스마트 홈 기술 (Smart Home Technology)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가전제품 제조사는 스마트 기기와 관련된 기술들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출시하고 있는 상태이다. 스마트폰을 필두로 스마트 TV,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 에어컨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통신사업자, 가전제품 제조사, 인터넷포털 공급사들은 이렇게 연결된 장치들 사이에 응용프로그램 연동, 컨텐츠 연동 등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을 확보하고 수익을 확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는 기존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나 M2M(Maching to Machine)에서 진화된 상태를 띄고 있는데, 기존 M2M이 통신장비(end-device)와 사람과의 통신이 주목적이었다면 IoT 기기는 사물의 범위를 넓혀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전화기, 책 , 온도계 등의 사물을 사람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는 것이다.
여기서, IoT 기기는 사람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도 사물(예: 가전기기, 가스기기, 안전기기, 운동기기 등) 간에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을 수행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
또, IoT 기기는 댁내에 설치되는 수많은 기기들이 사용환경 및 요구조건, 그리고 제조사의 설계상 선택에 따라 각자 별개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경우에도 이들 IoT 기기들과 개별적으로 통신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이하 ‘스토리지 장치’라고 함)를 댁내 셋톱박스에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댁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IoT 기기들은 헤테로지니어스한 무선통신 환경(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environment)을 이루는 것으로 가정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조명기기일 수 있다.
IoT 기기들에 사용되는 무선통신 기술로는 현재 Z-웨이브, 지그비, 블루투스,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SUN : Smart Utility Network), 와이파이(WiFi) 등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들은 통신속도, 대역폭, 배터리 소모량, 접속 안정성, 통신 시큐리티 등의 면에서 각자 장,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댁내에 설치되는 IoT 기기들은 사용환경 및 요구조건, 그리고 제조사의 설계상 선택에 따라 각자 나름대로 무선통신 기술을 선택하여 내장하게 되며 그 결과로 댁내의 무선통신 환경은 이러한 여러가지 무선통신 기술들이 혼재하는 헤테로지니어스 환경이 이루어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IoT 기기를 개발하여 설치된 기업만이 해당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을 뿐이어서 댁내에 IoT 기기들이 다수 설치되는 경우라도 이들을 통합적으로 연계시키지 못하였고, 그에 따라 서비스 개발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다수의 세대는 아직 스마트 홈에 적용 가능한 가전기기를 모두 사용하고 있지는 않는 바, 스마트 홈 기술이 각 세대에서 다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상태이며,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스마트 기기들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여전히 통신사를 통해서만 사용되어지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즉, 사용자는 다수의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서로 다른 다수의 어플을 이용하기 때문에, 통합 관리가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KR 10-2014-0050836A KR 10-2008-0096239A KR 10-1995873B
본 발명은 스토리지 장치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서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하며, 이때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통신망을 제공하는 통신사의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라 개방형의 어플리케이션인 Open API로 제작되어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댁내 광도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되어 상기 댁내에 구비되는 조명기기; 상기 조명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제공받고, 외부 인터넷 망과 연결된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인터넷 통신부에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조명기기의 상태를 인터넷 망을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의해 상기 조명기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댁내 광도에 따라 상기 조명기기의 광도값을 미리 저장된 설정값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하는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패턴 정보로 실시간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기기를 온/오프 또는 광도값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위치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값으로 상기 조명기기를 온/오프 또는 광도값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다른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사용자 패턴 정보를 제공받아 다른 사용자 패턴 정보로 저장하고, 사용자 패턴 정보와 다른 사용자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광도값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원격으로 댁내 조명기기의 모니터링 및 제어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명기기와 휴대 단말기 간에 특정 통신사의 통신망 서버를 이용하지 않게 되어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스토리지 장치(IoT 홈 게이트웨이)가 제공하는 Open API를 통해 댁내에 설치된 조명기기들의 리소스를 상위 계층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개방형 어플리케이션인 Open API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작이 가능하여 다양한 조명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조명기기의 관리가 가능하여 호환성 및 편의성의 향상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따른 스토리지 장치(IoT 홈 게이트웨이)는 여러가지 무선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조명기기들과 공통으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이러한 헤테로지니어스 무선통신 환경에서 각자 별개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복수 개의 홈 조명기기들을 상호 연동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조명기기에 한하여 설명하나, 조명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인 통신 모듈이 구비된 IoT 기기로서 인터넷 통신부를 거쳐 스토리지 장치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면 어떠한 기기라도 사용되어질 수 있다.
즉, IoT 기기는 유, 무선통신이 가능한 냉장고, TV 등의 가전기구난방기구, 장난감 드론, 교육 보조도구, 전력제어기 및 가전기구를 비롯하여, 다양한 IoT 통신 가능 기기 및 센서 등이 포함되어 제어될 수 있도록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장치 또는 휴대 단말기에서 이들 조명기기에 대한 개방형의 Open API를 제공함으로써 스토리지 장치를 매개하면 상위 계층, 즉 외부의 운용관리 서버 및 홈 IoT 서비스 앱이 이들 조명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휴대 단말기 및 Open API 서비스 앱, 스토리지 장치, 조명 기기들 간에 연동 체계를 구축 할 수 있다.
이러한 연동 체계가 구축됨으로 인해 댁내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기기들이 보유하는 리소스(기능 및 정보)를 외부의 서비스 앱이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유용한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은 댁내 광도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되어 댁내에 구비되는 조명기기(10); 조명기기(10)와 연결되어 센서부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제공받고, 외부 인터넷 망과 연결된 인터넷 통신부(20); 및 인터넷 통신부(20)에서 정보를 제공받아 조명기기(10)의 상태를 인터넷 망을 통해 휴대 단말기(40)로 제공하여 휴대 단말기(40)에 의해 조명기기(10)를 제어하거나 댁내 광도에 따라 조명기기(10)의 광도값을 미리 저장된 설정값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하는 스토리지 장치(30)를 포함한다.
조명기기(10)는 LED램프와 댁내 광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인터넷 통신부(20)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댁내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는 댁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조명기기(10)에 구비되어 조명기기(10)가 위치한 실내의 조도(광도값)를 측정할 수 있 조도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센서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가 조명기기(10) 별로 내장 설치되거나, 또는 다른 IoT 기기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열적외선 센서(PIR Sensor)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모션 센서는 조명기기(10)의 동작 반경 내에 사용자가 위치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온도, 습도와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로부터 감지한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부(20)를 통해 스토리지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인터넷 통신부(2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발명에서와 같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부는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의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터넷 통신부(20)는 유선 통신으로 인터넷에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연결되며, 휴대 단말기(40)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스토리지 장치(30)에 정보(제어 명령 등)를 제공하거나, 스토리지 장치(30)의 정보를 휴대 단말기(40)에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 통신부(20)의 LAN은, IP기반의 식별번호, 즉 사설 IP번호를 이용하여 다수의 통신 기기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홈 라우터(Home Router)일 수 있다.
인터넷 통신부(20)는 AP를 매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기기(10)와 연결되고, 조명기기(10)의 정보를 수신하여 스토리지 장치(30)에 정보를 전송하고, 인터넷망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40)로 정보를 송수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통신부(20)는 각각의 조명기기(10)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인터넷 통신부(20)를 통하여 사용자는 서로 이격되어 다양한 장소에 분산된 복수의 조명기기(10) 각각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인터넷 통신부(20)는 스토리지 장치(30)와 LAN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무선 통신으로 스토리지 장치(30) 또는 조명기기(10)와 연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3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30)는 추론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공 신경망을 구비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30)는 반응형 웹을 적용한 웹페이지와 연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스토리지 장치(30)는 제어부, 등록부,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인터넷 통신부(2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조명기기(10)의 등록, 연산 및 저장하여 조명기기(10)를 제어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40)로부터 제어 명령을 제공받아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30)는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조명기기(10)의 동작 의도를 추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해당되며, MCU 이외에 네트워크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40), 중앙 서버에서 동작 의도를 추론하여 조명기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등록부는 인터넷 통신부(20)로부터 조명기기(10)의 등록 정보를 제공받아 등록하고, 다시 휴대 단말기(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에 필요한 정보는 조명기기의 식별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종류, 명칭, 모델명, 부여된 식별코드 또는 제조회사 등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을 허용하는 휴대 단말기(4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는 조명기기(10)를 등록부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조명기기(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사용자의 요청시 해당하는 데이터 등을 제공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스토리지 장치(30)는 댁내 광도에 따라 조명기기(10)의 광도값을 미리 저장된 설정값으로 제어하고, 스토리지 장치(30)를 통하여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제공받아 조명기기(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휴대 단말기(40)로 제공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30)는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조명기기(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할 수 있고, 또, 휴대 단말기(40)에서 제어명령을 받아 조명기기(10)를 제어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토리지 장치(30)는 센서부에서 제공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패턴 정보로 실시간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라 조명기기(10)를 온/오프 또는 광도값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토리지 장치(30)는 센서부에서 제공된 광도값이 미리 설정된 광도값 이하이면,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도값을 높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션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태에서 광도값이 미리 설정된 광도값 이하이면 광도값을 높여 밝은 상태로 조절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40)를 통하여 적절 광도값을 조절해 놓으면, 스토리지 장치(30)를 이에 대한 값을 사용 패턴 정보에 수정된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 광도값을 저장시켜 놓을 수 있다. 이때, 저장되는 광도 정보는 사용자별로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모션센서에서 측정된 정보와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광도값이 일치하면 해당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로딩하여 사용자 패턴에 따른 광도값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 해당하는 광도를 각각 사용별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때문에, 이러한 사용자 패턴 저장을 통하여 학습효과를 높여 정밀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어느 사용자가 오더라도, 주로 사용하는 광도값을 제공하여 눈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휴대 단말기(4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손쉽게 제어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모션센서에서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조도 센서에서 제공받은 광도값이 미리 설정된 광도값을 초과하면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도값으로 낮추는 절전모드로 전환하여 절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알람하여 절전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일정시간을 설정하여 해당시간 동안 절전모드를 연장시키거나 오프(Off)시킬 수 있다.
한편,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스토리지 장치(30)는 휴대 단말기(40)로부터 제공받는 위치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값으로 조명기기(10)를 온/오프 또는 광도값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토리지 장치(30)는 휴대 단말기(40)의 위치정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40)가 조명기기(10)로부터 근접하였다면 판단하면 사용자가 근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조명기기(10)를 온(On)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토리지 장치(30)는 휴대 단말기(40)의 위치정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40)가 조명기기(10)로부터 원거리에 있다면 사용자가 조명기기(10)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조명기기(10)를 오프(Off)시킬 수 있으며, 이때, 휴대 단말기(40)로 오프(Off) 시킬 것인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제 3실시예에 의하면, 스토리지 장치(30)는 센서부 즉, 조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주변 조도에 기초하여 조명기기(1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모드 및 모션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조명기기의 상태 표시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주변 조도가 기설정된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스토리지 장치(30)는 동작 모드를 야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스토리지 장치(30)는 동작 모드를 주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야간 모드는, 저녁, 밤, 새벽 시간대의 조명기기(10)의 동작 모드, 주간 모드는, 아침, 점심, 오후 시간대의 동작 모드로서, 시간대는 기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모드가 야간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동작 반경 내에서 감지된 경우, 스토리지 장치(30)는 조명기기(10)를 점등하도록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움직임이 동작 반경 내에서 감지된 경우, 스토리지 장치(30)는 사용자가 조명기기(10)를 사용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예측 판단하고, 조명기기(10)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이때, 동작 모드가 야간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동작 반경 내에서 감지되지 않은 경우, 스토리지 장치(30)는 조명기기(10)를 오프(소등)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조명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야간 모드인 경우, 스토리지 장치(30)는 조명기기(10)의 상태 표시등을 소등시킴에 따라 빛 공해로 인한 사용자의 야간 활동 방해를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제 4실시예에 의하면, 스토리지 장치(30)는, 다른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사용자 패턴 정보를 제공받아 다른 사용자 패턴 정보로 저장하고, 사용자 패턴 정보와 다른 사용자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평소 선호하는 광도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 1실시예 또는 제 3실시예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조명기기(10)의 광도값을 조절하여 조도를 조절시킬 수 있다.
제 5실시예에 의하면, 스토리지 장치(30)는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 휴대 단말기(40)의 사용기간 만료 정보를 경고 알람으로 제공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30)는 사용기간 만료에 따른 경고 알람을 휴대 단말기(40)로 제어 여부를 전송하거나, 미설정한 사항에 대하여 정보를 얻어 휴대 단말기(40)로 제어 여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명기기(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장치(30)는 적응적으로 설정된 동작 반경을 기초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동작의도를 파악함에 따라 조명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반경은, 동작 모드가 주간 모드 또는 야간 모드인 상태에서 수집된 사용자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 장치(30)는 사용자 학습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와 조명기기(10) 간의 거리 및 변화 추이 정보, 기기의 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동작값들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리지 장치(30)는 추출된 동작값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조명기기(10) 동작 의도를 추론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반경에 들어왔을 때 동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동작의도 추론 반경"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작의도 추론 반경"에 들어온 경우, 스토리지 장치(30)는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및 거리 변화 추이 등의 데이터를 기초하여 사용자의 동작의도를 추론할 수 있다. 이어, 스토리지 장치(30)는 추론 결과에 기초하여 조명기기(10)를 점등하거나 또는 소등할 수 있다.
제 6실시예에 의하면, 스토리지 장치(30)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된 기계학습모델에 기초하여 조명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 장치(30)는 SV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간 또는 야간 모드에서 수집된 사용자 학습 데이터로부터 특정 시간에 동작 반경 r 내에서 사용자가 조명기기(10)를 동작시키는 인터랙션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동작값들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리지 장치(30)는 추출된 동작값들(feature set)을 기초로 SV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조명기기(10)간의 인터랙션 의도를 예측하고,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조명기기(10)를 점등시킬지, 또는 소등시킬지 여부를 나타내는 기계학습모델(machine learning model)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스토리지 장치(30)는 생성된 기계학습모델을 저장하고 있다가, 이후, 동작 모드가 야간 모드로 결정되면, 조명기기(10)의 스토리지 장치(3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 학습모델에 기초하여 조명기기(10)를 점등시키거나 또는 소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움직임이 모션 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스토리지 장치(30)는 기계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조명기기(10)를 작동시키고자 움직인 것인지, 아니면, 작동 의도가 없이 조명기기(10) 주변을 지나가는 것인지의 동작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리지 장치(30)는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조명기기(10)를 점등되거나 소등시킬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40)는 조명기기(10)의 상태정보를 스토리지 장치(30)로부터 인터넷 통신부(20)를 통해 제공받아 조명기기(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40)에는 Open API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 하나의 통신사업자에 의한 제어보다는 다양한 사업자들에 의해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조명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40)는 본 발명의 구현 내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별도의 Open API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설치에 의해, 정해진 프로세스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되어,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설치에 의해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여러 종류의 통신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따른 스토리지 장치(30)는 사용자의 움직임, 및 주변 조도에 기초하여 야간 모드인 경우에 조명기기(10)를 소등함에 따라 야간에 발생하는 빛 공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원격으로 댁내 조명기기의 모니터링 및 제어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명기기와 휴대 단말기 간에 특정 통신사의 통신망 서버를 이용하지 않게 되어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스토리지 장치(IoT 홈 게이트웨이)가 제공하는 Open API를 통해 댁내에 설치된 조명기기들의 리소스를 상위 계층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개방형 어플리케이션인 Open API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작이 가능하여 다양한 조명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조명기기의 관리가 가능하여 호환성 및 편의성의 향상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실시예를 조합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기술적 사상)을 이용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조명기기
20: 인터넷 통신부
30: 스토리지 장치
40: 휴대 단말기

Claims (4)

  1. 댁내 광도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되어 상기 댁내에 구비되는 조명기기; 및
    상기 조명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제공받고, 외부 인터넷 망과 연결된 인터넷 통신부; 및
    상기 인터넷 통신부에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조명기기의 상태를 인터넷 망을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의해 상기 조명기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댁내 광도에 따라 상기 조명기기의 광도값을 미리 저장된 설정값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하는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패턴 정보로 실시간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기기를 온/오프 또는 광도값을 제어하는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위치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값으로 상기 조명기기를 온/오프 또는 광도값을 제어하는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다른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사용자 패턴 정보를 제공받아 다른 사용자의 패턴 정보로 저장하고, 사용자 패턴 정보와 다른 사용자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광도값을 조절하는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
KR1020220135618A 2022-10-20 2022-10-20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 KR20240055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618A KR20240055391A (ko) 2022-10-20 2022-10-20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618A KR20240055391A (ko) 2022-10-20 2022-10-20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391A true KR20240055391A (ko) 2024-04-29

Family

ID=9088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618A KR20240055391A (ko) 2022-10-20 2022-10-20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39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239A (ko) 2007-04-27 2008-10-30 정장오 주방tv 및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가전기기를 음성으로제어하는 음성인식 네트워크주방tv시스템.
KR20140050836A (ko) 2012-10-22 2014-04-30 엠브릿지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995873B1 (ko) 2018-07-20 2019-07-04 정화찬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출입통제 및 스마트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239A (ko) 2007-04-27 2008-10-30 정장오 주방tv 및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가전기기를 음성으로제어하는 음성인식 네트워크주방tv시스템.
KR20140050836A (ko) 2012-10-22 2014-04-30 엠브릿지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995873B1 (ko) 2018-07-20 2019-07-04 정화찬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출입통제 및 스마트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357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JP6105667B2 (ja) スマートホームデバイスおよびスマートホームデバイス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動作を最適化する方法
KR102213752B1 (ko) 구조의 열역학 모델들의 생성 및 구현
KR102516730B1 (ko) 수요 반응 이벤트들 동안 hvac 시스템 제어
Moreno et al. User‐centric smart buildings for energy sustainable smart cities
Motlagh et al. An IoT-based automation system for older homes: A use case for lighting system
US10412811B1 (en)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lights
JP2017506027A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リモートセンサ情報を用いて環境を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機器
US11039520B1 (en)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lights
US20170196070A1 (en) Real-time lighting control system and real-time lighting control method
US20170094134A1 (en) Electrical Devices with Camera Sensors
CN108572554A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方法及相关设备
Sharif et al. Smart home automation by internet-of-things edge computing platform
Mangla et al. Context-aware automation based energy conservation techniques for IoT ecosystem
CN204287781U (zh) Led照明装置、智能家庭控制服务器、智能家庭终端及智能家庭控制系统
Phangbertha et al. Smart socket for electricity control in home environment
KR20240055391A (ko) 스마트 홈 조명 기기 제어 시스템
KR20170114804A (ko) 스마트 오브젝트의 태스크 기반 협업을 위한 분산 설계 온톨로지에 기반한 분산 사물인터넷 시스템
Laidi et al. Commercial technologies for advanced light control in smart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 comparative study
Moreno-Cano et al. Future human-centric smart environments
Gazzawe et al. Smart home: Devices, applications and their potential benefits and challenges
Pandey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home automation system
Ashril et al. Wi-Fi based smart home prototype development
Gupta et al. Design of smart lighting control for the built environment
Yoon The Case Study of Smart Home in L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