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346A -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346A
KR20240055346A KR1020220135541A KR20220135541A KR20240055346A KR 20240055346 A KR20240055346 A KR 20240055346A KR 1020220135541 A KR1020220135541 A KR 1020220135541A KR 20220135541 A KR20220135541 A KR 20220135541A KR 20240055346 A KR20240055346 A KR 20240055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applicator
auxiliary
support member
make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자영
Original Assignee
(주)장업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장업시스템 filed Critical (주)장업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3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5346A/ko
Publication of KR2024005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는 본 발명은 피부에 접촉되는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의 일측으로 연장된 조립부로 이루어진 도포부재 및 상기 도포부재에 결합되어 도포부를 지지하는 결합지지부와 상기 결합지지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보조도포부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makeup applicator}
본 발명은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목적이나 방식 또는 사용 부위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 도포 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화장품의 캡쳐량을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급속하게 다변화되어 가는 시대 흐름에 따라 남녀노소 모두 필요에 따라 화장품(化粧品)을 애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과 다양한 색체를 갖춘 화장용품 및 도구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화장품 관련업체의 연구개발에 의해 다채로운 양질의 화장용품 및 도구가 하루가 다르게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상기 화장품을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해보면 피부표면의 피지, 노폐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안화장품과,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적절히 공급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화장품과, 아름다운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조화장품과, 모발 또는 두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모발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발화장품 및 향료를 알코올 등에 녹여서 타인에게 향기를 풍기기 위해 사용되는 향수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화장품 중 색조화장품은 피부에 사용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눈, 눈썹, 입술 등에 사용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은 얼굴 전체의 피부색을 균일하게 정돈하거나 기미, 주근깨 등 피부의 문제점을 커버하여 피부를 아름답게 손질하기 위한 제품으로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이 있으며, 상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눈, 눈썹, 입술, 볼이나 손톱 등에 국부적으로 색채를 강조하거나 음영을 주어 입체감을 연출하여 자기 개성을 자연스럽게 표출하는 제품으로 립스틱, 립글로스, 립라이너,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이 있다.
특히, 상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 중 하나인 립 메이크업은 입술에 화장품을 도포하여 입술을 돋보이게 하는 메이크업으로서, 화장품의 색상뿐만 아니라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화장 도구에 따라 다양한 발림과 표현이 가능하다.
한편, 최근 소비자들의 성향은 화장품의 품질에 더하여 화장용 도구가 피부에 닿았을 때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고 외관상 아름다우면서 사용에 있어서 위생적이고 안전한 것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부드러운 촉감, 시각적 미려감, 위생적 청결감 등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만족감을 더욱 충족시킬 수 있도록 화장용 도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2350799호의 팁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가 개시되었는데,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 측에 연결되고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바르기 위한 도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전체길이 중 일부의 길이가 상기 지지부와 중첩되도록 연결되는 제1도포부를 포함하는 팁 어플리케이터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지지부가 도포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구조로, 지지 기능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지지부와 도포부가 팁 어플리케이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지지부가 도포부를 지지하는 데 한계가 있고, 힘 조절을 잘못할 경우 상기 도포부와 지지부 사이의 연결 부분이 파손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2153904호로 연결부를 통해 팁과 솔대의 휘어짐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우수한 사용감을 줄 수 있는 화장료 도포 장치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선행기술은 화장료를 캡쳐하여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료 도포 장치로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솔대; 상기 솔대의 단부로부터 상기 솔대의 연장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는 팁; 상기 솔대의 단부와 상기 팁을 연결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팁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장료를 캡쳐할 수 있는 캡쳐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연결부의 일측에 캡쳐부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캡쳐부의 전면과 측면과 후면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지므로, 피부에 화장품을 넓게 펴 바르기에는 적합하지만, 이미 도포된 화장품을 세밀하게 수정 또는 연장하거나, 얇은 라인을 그리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화장품을 찍어 피부에 도포할 때 상기 캡쳐부의 표면 전체에 화장품이 묻게 되면서 화장품의 캡쳐량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화장품의 도포 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화장품의 캡쳐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제10-2350799호(2022. 01. 14. 공개) 등록특허 제10-2153904호(2020. 09. 09.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포부재 및 상기 도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각각 도포부와 보조도포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 목적이나 방식 또는 사용 부위에 따라, 상기 도포부와 보조도포부로 다양한 화장품 도포 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화장품의 캡쳐량을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에 접촉되는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의 일측으로 연장된 조립부로 이루어진 도포부재 및 상기 도포부재에 결합되어 도포부를 지지하는 결합지지부와, 상기 결합지지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보조도포부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포부재의 도포부에는 돌출연결부가 형성되어 보조도포부의 일측 단부를 덮으면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포부재와 지지부재에는 각각 삽입홈과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도포부재와 지지부재에는 각각 보조삽입홈과 보조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절단면이 형성되어 도포부재의 도포부 일면과 접하되, 상기 절단면은 도포부재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면서 연장 형성되어 도포부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1 절단면과, 도포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도포부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제2 절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보조도포부는 지지부재의 일면에서 도포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일정 구간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포부재와 지지부재가 서로 연결되면서 조립됨에 따라, 화장품의 도포 시 상기 도포부재가 지지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포부재에 형성된 도포부와 지지부재에 형성된 보조도포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사용 목적이나 방식 또는 사용 부위에 맞추어 다양한 화장품 도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부재가 도포부재의 도포부 가장자리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도포부의 해당 면적을 제한함에 따라, 화장품의 캡쳐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포부재의 도포부로 화장품을 넓게 펴 바르고, 이미 도포된 화장품을 지지부재의 보조도포부로 세밀하게 수정 또는 연장하거나, 얇은 라인을 그리면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도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보조도포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를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는 손잡이가 구비된 솔대의 단부에 형성되고, 화장품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화장품 내용물을 덜어내 이를 피부에 도포하게 된다. 상기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는 화장품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도포장치로써, 특히 립 글로스와 같은 입술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립 틴트, 립 라커, 립 오일, 아이 섀도우, 파운데이션, 컨실러 등과 같은 화장품을 묻혀 사용자의 피부에 바르는 형태의 미용 제품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도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B-B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전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보조도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는 도포부재(10) 및 지지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포부재(10)는 화장품 내용물을 찍어 피부에 바르는 부분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도포부(12)와 상기 도포부(12)의 일측으로 연장된 조립부(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도포부(12)와 조립부(14)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사출 성형되어 서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포부(12)는 사용 목적이나 방식 또는 사용 부위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특히 도포부재(10)의 길이 방향 즉, 지지부재(20)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감소하는 타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포부(12)는 도포전면(12a)과 도포측면(12b)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도포전면(12a)은 도포부(12)의 중앙 부분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포측면(12b)은 도포전면(12a)의 양측 테두리 부분에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포부(12)의 어느 한 부분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포부(12)의 편평(扁平, 넓고 평평하다)한 도포전면(12a)을 사용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피부의 넓은 면적에 고르게 바를 수도 있고, 도포부(12)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좁고 날렵한 도포측면(12b)을 사용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피부의 좁은 면적에 섬세하게 바를 수도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포부(12)에는 도포부재(10)와 지지부재(20) 사이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삽입홈(12c)과 보조삽입홈(12d)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c)은 도포부(12)의 도포전면(12a) 반대편에서 상기 도포전면(12a) 방향으로 함몰된 홈이고, 상기 보조삽입홈(12d)은 삽입홈(12c)의 외측 특히, 내벽 상면에 함몰된 홈이며, 상기 삽입홈(12c)과 보조삽입홈(12d)에 각각 지지부재(20)의 적어도 일부분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12c)은 도포부(12)의 외표면과 대응되면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포부재(10)의 도포부(12)에는 돌출연결부(12e)가 형성되어 지지부재(20)의 보조도포부(24)의 단부를 덮으면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돌출연결부(12e)는 도포부(12)의 단부로부터 지지부재(20)와 접하는 부분까지 연장된 돌출부(突出部)로써, 그 표면은 보조도포부(24)의 일측 단부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부드럽게 휘어진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도포부재(10)와 지지부재(20)의 결합 시 상기 도포부(12)와 보조도포부(24)가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포부(12)는 발림성 향상을 위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포부(12)는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e), 엘라스토머(elastom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합성 고분자(synthetic polymer),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열가소성 탄성체(TPE; thermoplastic elastome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도포부(12)는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한 탄성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포부(12)는 적어도 일부분이 플로킹(flocking, 접착제로 섬유나 무늬를 붙여서 만든 원단) 가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도포부(12)의 표면에 부착되는 섬유 등에 의하여, 표면상에 화장품 내용물을 보다 잘 보유시킬 수 있으며, 화장품 내용물이 사용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플로킹 가공시 부착하는 섬유의 양, 섬유의 크기, 섬유의 강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플로킹(flocking)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립부(14)는 도포부(1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지부재(20)를 관통한 상태로 솔대(미도시)와 결합되고, 이를 통해 상기 도포부(12)를 솔대에 대해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립부(14)는 적어도 일부분이 도포부(12)의 삽입홈(12c)에 접하면서 상기 삽입홈(12c)의 어느 한 외벽이 되며, 상기 도포부(12)의 중심축을 따라 직선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0)는 도포부재(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도포부재(10)의 도포부(12)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도포부재(10)와 결합되면서 도포부(12)를 지지하는 결합지지부(22) 및 상기 결합지지부(22)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보조도포부(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지지부(22)와 보조도포부(24)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사출 성형되어 서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0)는 도포부(12)를 안정적으로 지탱하면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도포부재(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0)의 결합지지부(22)에는 도포부재(10)의 조립부(14)가 관통되는 관통홀(22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2a)과 인접한 위치에는 도포부재(10)의 도포부(12) 가장자리가 접하는 절단면(2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면(22b)은 도포부(12)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1 절단면(22b-1)과, 도포부(12)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제2 절단면(22b-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단면(22b-1)은 도포부재(10)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면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절단면(22b-1)으로 도포부(12)의 하단이 안착되며, 상기 제2 절단면(22b-2)은 도포부재(10)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절단면(22b-2)으로 도포부(12)의 측면 단부가 밀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도포부재(10)와 지지부재(20)의 조립 시 상기 지지부재(20)의 제1 절단면(22b-1)은 도포부(12)의 하단을 받치는 동시에, 제2 절단면(22b-2)은 도포부(12)의 측면을 받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지지부(22)에는 도포부재(10)와 지지부재(20) 사이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삽입돌기(22c)와 보조삽입돌기(22d)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22c)는 결합지지부(22)의 어느 일면에서 도포부(1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포부(12)의 삽입홈(12c)으로 삽입되며, 상기 보조삽입돌기(22d)는 결합지지부(22)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포부(12)의 보조삽입홈(12d)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포부재(10)의 삽입홈(12c)과 지지부재(20)의 삽입돌기(22c)가 서로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도포부재(10)와 지지부재(20)가 서로에 대해 나란히 접하면서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도포부재(10)의 보조삽입홈(12d)과 지지부재(20)의 보조삽입돌기(22d)가 서로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도포부재(10)의 도포부(12) 단부가 지지부재(20)로부터 벌어지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22c)는 양측 단부가 서로에 대해 마주보도록 꺾인 상태로 상기 도포부재(10) 또는 지지부재(20)의 내벽을 따라 일정 구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돌기(22c)는 삽입홈(12c)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삽입돌기(22c)의 외벽과 삽입홈(12c)의 외측벽이 서로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어터의 도면에서는 상기 도포부재(10)에 삽입홈과 보조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돌기와 보조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포부재(10)와 지지부재(20)의 끼움 결합 구조는 서로 반대로 형성 즉, 상기 도포부재(10)에 삽입돌기와 보조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0)에 삽입홈과 보조삽입홈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부재(20)의 보조도포부(24)는 지지부재(20)의 일면에서 도포부재(10)의 중심축을 따라 일정 구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도포부(24)는 절곡구간(24a)과, 상기 절곡구간(24a)으로부터 도포부재(10)의 중심축을 따라 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곡면구간(24b) 및 상기 곡면구간(24b)으로부터 기울어져 지지부재(20)의 측면에 연결되는 경사구간(2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구간(24a)은 지지부재(2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도포부(12)의 돌출연결부(12e)와 접하는 부분이고, 상기 곡면구간(24b)은 보조도포부(24)를 사용할 때 피부에 직적접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경사구간(24c)은 사용의 편의성 및 안정성 등을 위해 곡면구간(24b)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는 도포부재(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0)에 보조도포부(24)를 추가로 형성하고, 상기 보조도포부(24)가 도포부재(10)의 도포부(12)와 함께 사용됨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 도포 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화장품의 캡쳐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화장품 내용물의 도포 시 사용자는 도포부재(10)의 도포부(12)와 지지부재(20)의 보조도포부(24)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도포구(12)는 넓은 면적에 화장품 내용물을 전체적으로 펴 바르는데 사용되고, 상기 보조도포부(24)는 입술 가장자리에 라인을 그리거나 입술 주름을 표현하는 등 섬세한 수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도포부(24)는 면적 및 재질의 차이에 의해 도포구(12) 보다 화장품 내용물 캡쳐량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도포부(24)는 지지부재(20)의 일면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뾰죡하게 형성됨에 따라, 국소 부위의 피부에 화장품 내용물을 도포하기 용이하며, 섬세한 표현 및 수정이 가능하다.
한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도포부(24)는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의 디자인적 요소 및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도포부(12)와 접하는 지점 즉, 절곡구간(24a)으로부터 그 반대편 단부 즉, 곡면구간(24b)과 경사구간(24c)의 연결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상대적으로 커지고, 그 폭이 점차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포부재(10)에 형성된 도포부(12)와 지지부재(20)에 형성된 보조도포부(24)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사용 목적이나 방식 또는 사용 부위에 맞추어 다양한 화장품 도포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지지부재(20)가 도포부재(10)의 도포부(12) 가장자리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도포부(12)의 해당 면적을 제한함에 따라, 화장품의 캡쳐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구매력을 높이는 직관적인 디자인과 기능이 동시에 구비된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로써, 디자인 형상 및 기능이 차별화되어 제품이 가지는 특징으로 어필할 수 있으며, 이를 마케팅으로 활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도포부재 12: 도포부
12a: 도포전면 12b: 도포측면
12c: 삽입홈 12d: 보조삽입홈
12e: 돌출연결부 14: 조립부
20: 지지부재 22: 결합지지부
22a: 관통홀 22b: 절단면
22c: 삽입돌기 22d: 보조삽입돌기
24: 보조도포부 24a: 절곡구간
24b: 곡면구간 24c: 경사구간

Claims (5)

  1. 피부에 접촉되는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의 일측으로 연장된 조립부로 이루어진 도포부재 및
    상기 도포부재에 결합되어 도포부를 지지하는 결합지지부와, 상기 결합지지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보조도포부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의 도포부에는 돌출연결부가 형성되어 보조도포부의 일측 단부를 덮으면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와 지지부재에는 각각 삽입홈과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도포부재와 지지부재에는 각각 보조삽입홈과 보조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절단면이 형성되어 도포부재의 도포부 일면과 접하되, 상기 절단면은 도포부재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면서 연장 형성되어 도포부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1 절단면과, 도포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도포부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제2 절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보조도포부는 지지부재의 일면에서 도포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일정 구간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KR1020220135541A 2022-10-20 2022-10-20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KR20240055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541A KR20240055346A (ko) 2022-10-20 2022-10-20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541A KR20240055346A (ko) 2022-10-20 2022-10-20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346A true KR20240055346A (ko) 2024-04-29

Family

ID=9088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541A KR20240055346A (ko) 2022-10-20 2022-10-20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34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904B1 (ko) 2018-11-08 2020-09-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350799B1 (ko) 2017-07-19 2022-01-14 (주)아모레퍼시픽 팁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799B1 (ko) 2017-07-19 2022-01-14 (주)아모레퍼시픽 팁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KR102153904B1 (ko) 2018-11-08 2020-09-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4614B (zh) 包括两个组装的部件的涂抹器构件
RU2327400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аковки и аппликатора
KR102073786B1 (ko) 미용 제품 어플리케이터, 장치 및 관련 방법
KR102201522B1 (ko) 팁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TWI791601B (zh) 尖端施用器及包括該尖端施用器之化粧品施用裝置
US20140166041A1 (en) Cosmetic brushes having improved carry and application features
US9826815B2 (en) Application device
US20090114239A1 (en) Eyelash brush
US9635924B1 (en) Cat eye makeup applicator
KR102350799B1 (ko) 팁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JP5105546B2 (ja) 化粧ブラシ
KR20160121749A (ko) 화장품 용기
KR20240055346A (ko)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KR102038832B1 (ko)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용기
KR20190003228A (ko)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용기
KR102351643B1 (ko) 마스카라
KR102520179B1 (ko)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US20220265028A1 (en) Cosmetic applicator
KR102356677B1 (ko) 아이라이너
KR200492534Y1 (ko) 마스카라
KR100760627B1 (ko) 화장용 브러쉬
KR102112507B1 (ko) 팁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장치
KR200455577Y1 (ko) 화장용 퍼프 어셈블리
KR200230117Y1 (ko) 색조화장용 퍼프
KR200496711Y1 (ko) 화장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