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227A -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디오스메틴 - Google Patents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디오스메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227A
KR20240055227A KR1020220135168A KR20220135168A KR20240055227A KR 20240055227 A KR20240055227 A KR 20240055227A KR 1020220135168 A KR1020220135168 A KR 1020220135168A KR 20220135168 A KR20220135168 A KR 20220135168A KR 20240055227 A KR20240055227 A KR 20240055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smetin
pancreatic lipase
pancreatic
obesit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판식
최윤석
홍지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35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5227A/ko
Publication of KR2024005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2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비만 기능성을 위한 타겟인 췌장 라이페이스에 대한 저해능을 가지는 소재인 디오스메틴(diosmetin)에 관한 것으로, 4-메틸움벨리페릴 올리에이트(4-methylumbelliferyl oleate, 4-MUO)와 형광분석기를 활용한 형광 원리 기반의 효소 반응 분석법을 통해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능을 확인하고, 비가역성 저해제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이 없는 경쟁적 저해제로서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디오스메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디오스메틴 {Diosmetin, the natural pancreatic lipase inhibitor}
본 발명은 항비만 기능성을 위한 타겟인 췌장 라이페이스에 대한 저해능을 가지는 소재인 디오스메틴(diosmetin)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메틸움벨리페릴 올리에이트(4-methylumbelliferyl oleate, 4-MUO)와 형광분석기를 활용한 형광 원리 기반의 효소 반응 분석법을 통해 디오스메틴의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능을 확인하여 항비만 조성물에 활용 가능한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디오스메틴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기름진 음식을 선호하는 식습관으로 인해 지방 섭취량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과체중 및 비만 비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이에, 비만 치료를 위한 약물 사용이 오래전부터 시도되어 왔지만 여러 심각한 부작용들로 인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0년 시부트라민이 안전성 문제로 판매금지 조치된 이후 약효 및 안전성이 확보된 새로운 비만 치료제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소재 관련 종래기술은 일반적으로 천연물보다는 화학적 합성물과 관련 있으며 개발된 일부 소재는 의약품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소재가 비가역성 저해제로 극심한 부작용을 동반하여 FDA 승인을 받지 못하고 퇴출되었고, 이를 계기로 종래기술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더욱이 국내 식물의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반 건강기능식품 소재 활용에 대해서는 혁신적 혹은 선진적인 기술 개발이 미미하며, 여전히 대부분은 경험적 자료에 의존하여 원시적으로 혹은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그보다 선진적인 기술의 경우 건강기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물, 주정 등을 활용하여 농축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등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하고 있지만, 유효성분의 제대로된 분석과 실 효능에 대한 검증 및 원리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종래기술에서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제로서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중 플라본(flavone)인 캠퍼롤(kaempferol) 및 케르세틴(quercetin)은 뽕나무에 주로 함유된 소재로서,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성이 일부 보고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신소재인 디오스메틴(diosmetin)에 대해서는 정확히 보고된 바가 거의 없으며, 디오스메틴의 췌장 라이페이스에 대한 효소학적 분석을 통해 효소 저해 기능성을 제대로 규명한 종래기술은 전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비만 기능성을 위한 타겟인 췌장 라이페이스에 대한 저해능을 가지는 신소재 디오스메틴(diosmetin)을 이용하여 종래의 극심한 부작용을 동반하는 비가역성 저해제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안전성을 가진 췌장 라이페이스의 경쟁적 저해제 제조기술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기 디오스메틴을 항비만 제제 및 식품 소재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3413호(2021.04.16. 등록)에는,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된 감국 효소처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49477호(2022.01.05. 등록)에는, 바이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 및 플라본, 하이드록시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본 유도체, 하이드록시플라본 유도체, 플라바논 유도체의 복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플라본의 일종인 디오스메틴(diosmetin)을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능을 가진 신소재로 발굴하고, 해당 신소재의 췌장 라이페이스에 대한 저해 특성을 효소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오스메틴을 포함하는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의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저해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디오스메틴은, 췌장 라이페이스의 활성 부위(active site)와 상호작용하는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저해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저해로 말미암은 비만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오스메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오스메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본 발명은 췌장 라이페이스의 활성 부위에 상호작용하여 기질의 접근을 방해하는 경쟁적 저해제로서의 디오스메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오스메틴은 상기와 같은 특성으로 췌장 라이페이스의 비가역적 변성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더욱 효과적이면서 안전한 천연물 기반의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제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디오스메틴의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능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디오스메틴(0.125 mM)의 유무에 따른 췌장 라이페이스의 반응곡선을, (B)는 디오스메틴의 농도에 따른 췌장 라이페이스의 4-MUO 가수분해 저해능 곡선을, (C)는 4-MUO와 디오스메틴의 농도에 따른 췌장 라이페이스의 반응 초기 기울기의 라인위버-버크 플롯(Lineweaver-Burk plot)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인실리코 분자 도킹 시뮬레이션(in silico molecular docking simulation)을 통해 확인한 디오스메틴과 췌장 라이페이스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오스메틴을 포함하는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췌장 라이페이스(EC 3.1.1.3)는 포유류의 췌장에서 분비되는 라이페이스의 일종으로 중성지방(triacylglycerol) 소화에 가장 필수적인 효소이다. 사람의 경우, 췌장 라이페이스는 소장 내에서 중성지방을 흡수 가능한 자유지방산(free fatty acid)과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로 분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췌장 라이페이스는 지방 흡수와 관련된 직접적인 요인이기 때문에 이를 저해함으로써 지방의 흡수를 낮추고 결과적으로 비만 혹은 동맥경화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FDA의 승인을 받아 전 세계에 팔리고 있는 의약품은 오르리스타트(orlistat) 단 하나이며, 해당 의약품은 췌장 라이페이스에 공유결합하여 효소 자체를 망가뜨려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더욱이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는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를 기반으로 한 소재를 활용하여 제품화한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효소 저해제는 통상적으로 저해 특성에 따라 가역성 저해제와 비가역성 저해제로 나뉘며, 가역성 저해제(reversible inhibitor)는 경쟁적, 비경쟁적, 무경쟁적 저해제로 분류된다. 비가역성 저해제(irreversible inhibitor)의 경우, 효소에 공유결합하거나 효소 구조를 망가뜨려서 효소 자체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반면, 가역성 저해제의 경우는 효소 자체에 큰 변화를 주지는 않지만 효소 반응의 화학 평형을 조절하여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제를 발굴하기 위하여 4-메틸움벨리페릴 올리에이트(4-methylumbelliferyl oleate, 4-MUO)와 형광분석기를 활용한 형광 원리 기반의 효소 반응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4-메틸움벨리페릴 올리에이트(4-MUO)는 췌장 라이페이스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4-메틸움벨리페론(4-methylumbelliferone, 4-MU)과 올리에이트(oleate)로 분해되는데, 이때 4-메틸움벨리페론(4-MU)을 320 nm 파장의 빛으로 여기(勵起, excitation) 시키면 455 nm 파장의 빛을 방출(emission)하게 되며, 방출된 빛의 형광값(fluorescence)을 검출함으로써 췌장 라이페이스 효소 반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형광 분석을 활용하여 저해 소재가 효소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저해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디오스메틴은, 췌장 라이페이스의 활성 부위(active site)와 상호작용하는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저해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저해로 말미암은 비만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오스메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한편, 본 발명의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은 일 예로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렛, 빵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항비만용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비만용 약학 조성물이 약제인 경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항비만용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H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N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항비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본 발명의 항비만용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00001 내지 100 ㎎/㎏(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복용자의 상태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4-메틸움벨리페릴 올리에이트(4-MUO)와 형광분석기를 활용한 형광 원리 기반의 효소 반응 분석법을 사용하여 디오스메틴이 경쟁적 저해제로서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활성을 가지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그로 인한 비만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 디오스메틴 샘플 용액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디오스메틴의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및 저해 방식 분석을 위한 디오스메틴 샘플 용액을 제조하였다.
(1) 50 mM Tris-HCl 완충 용액(pH 7.7)에 췌장 라이페이스(Sigma-aldrich Co. 사의 돼지 췌장 라이페이스 Ⅱ형)를 30 mg/mL이 되도록 녹이고, 잘 분산된 용액을 5,000 × g,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그런 다음, 상층액을 50 mM Tris-HCl 완충 용액(pH 7.7)으로 1/75 희석하여 효소 용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기질 용액은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형광 기질로 Sigma-aldrich Co. 사의 4-메틸움벨리페릴 올리에이트(4-methylumbelliferyl oleate, 4-MUO)를 1.6 mM이 되도록 녹인 후 50 mM Tris-HCl 완충 용액(pH 7.7)으로 1/100 희석하여 제조하였으며, 메탄올과 DMSO를 9:1 부피비로 혼합한 Methanol-DMSO 용액에 디오스메틴(≥98%, ChemFaces Biochemical Co.) 0.05, 0.10, 0.15, 0.20, 0.25, 0.30, 0.35, 2.0 mM을 녹여서 8종의 샘플 용액을 제조하였다.
(2) 50 mM Tris-HCl 완충 용액(pH 7.7)에 췌장 라이페이스(Sigma-aldrich Co. 사의 돼지 췌장 라이페이스 Ⅱ형)를 30 mg/mL이 되도록 녹이고, 잘 분산된 용액을 5,000 × g,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그런 다음, 상층액을 50 mM Tris-HCl 완충 용액(pH 7.7)으로 1/37.5 희석하여 효소 용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기질 용액은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형광 기질로 Sigma-aldrich Co. 사의 4-메틸움벨리페릴 올리에이트(4-methylumbelliferyl oleate, 4-MUO)를 각각 2, 1, 0.66, 0.5 mM이 되도록 녹인 후 50 mM Tris-HCl 완충 용액(pH 7.7)으로 1/100 희석하여 제조하였으며, 메탄올과 DMSO를 9:1 부피비로 혼합한 Methanol-DMSO 용액에 디오스메틴(≥98%, ChemFaces Biochemical Co.) 0.12 mM (120 μM), 0.06 mM (60 μM)을 녹여서 2종의 샘플 용액을 제조하였다.
하기 실험에서는 상기 제조한 샘플 용액들을 이용하여 디오스메틴의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및 저해 방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예 1 : 디오스메틴 농도에 따른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형광 분석기를 이용하여 디오스메틴 농도에 따른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96-well microplate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기질 용액 50 μL와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8종의 샘플 용액 100 μL를 각각 혼합하고, 50 μL 효소 용액을 첨가하여 37℃에서 효소반응시켰다. 효소반응이 완료된 시료는 형광측정기(SpectraMax iD3 multi-mode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로 320 nm에서 여기 후 방출된 형광을 455 nm에서 1분 간격으로 60분간 측정하였다.
도 1의 (A)는 디오스메틴(0.125 mM)의 유무에 따른 췌장 라이페이스의 반응곡선을, (B)는 디오스메틴의 농도(0, 0.025, 0.050, 0.075, 0.100, 0.125, 0.150, 0.175, 1.0 mM)에 따른 췌장 라이페이스의 4-MUO 가수분해 저해능 곡선을 나타낸 것으로, 디오스메틴의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능을 나타낸 것이다. 디오스메틴이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능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0.125 mM 디오스메틴으로 확인한 결과, 도 1의 (A)에서 보듯이 0.125 mM 디오스메틴은 약 47%의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오스메틴의 농도에 따른 췌장 라이페이스의 저해능을 확인한 결과, 도 1의 (B)에서 보듯이 131.9 ± 8.4 μM 디오스메틴이 50%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도 1의 (C)는 4-MUO와 디오스메틴의 농도에 따른 췌장 라이페이스의 반응 초기 기울기의 라인위버-버크 플롯(Lineweaver-Burk plot)을 나타낸 것으로,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2종의 샘플 용액을 이용하여 디오스메틴의 저해 방식을 확인한 결과, 도 1의 (C)에서 보듯이 디오스메틴의 농도가 증가함 (0 μM, 30 μM, 60 μM)에 따라 K m이 증가하고, V max는 변하지 않아 경쟁적 저해제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하기 화학식 1은 본 발명의 디오스메틴(diosmetin)의 구조이다.
[실험예 2 : 디오스메틴 농도에 따른 형광 방출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형광 방출 분광법(Fluorescence emission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디오스메틴 농도에 따른 형광 방출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50 mM Tris-HCl(pH 7.7)/DMSO(11:4, v/v)에 녹아있는 0, 15, 30, 45 μM 농도의 디오스메틴 용액 150 μL과 10 mg/mL 췌장 라이페이스 용액 50 μL을 섞어 280 nm에서 여기 시킨 뒤, 방출된 형광을 310~400 nm 범위에서 측정하였다(SpectraMax iD3, Molecular Devices 사용). 아래 표 1은 측정된 형광 데이터를 Stern-Volmer 방정식(수학식 1)과 double-logarithmic 방정식(수학식 2)을 활용하여 분석하여 얻은 스턴볼머 상수(K SV), 소광 상수(k q), 결합상수(KA), 결합 위치의 수(n)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하기 수학식 1 및 2에서 F0와 F는 각각 시료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형광강도를 나타내며, k q는 bimolecular quenching 상수, τ 0는 시료가 없을 때의 형광 지속시간, K SV는 Stern-Volmer quenching 상수, [Q]는 시료의 농도를 나타낸다.
디오스메틴과 췌장 라이페이스의 형광방출 결과로부터 얻은 스턴볼머 상수(K SV), 소광 상수(k q), 결합상수(K a), 바인딩사이트 수(n)
Compound Temperature (oC) K SV (104M-1) k q (1012M-1s-1) R 2 K a (104M-1) n R 2
diosmetin 32 0.88 5.535 0.9923 1.04 1.0208 0.9916
37 0.98 6.164 0.9906 1.52 1.0482 0.9931
42 0.99 6.226 0.9831 1.06 1.0074 0.9855
표 1에서 보듯이, k q값이 최대충돌 소광(quenching) 상수인 2.0×1012보다 큰 값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형광단이 들뜬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돌아갈 때, 디오스메틴과 비형광 콤플렉스(complex)를 형성함으로써 형광이 소광(quenching)되는 정적 ?칭 프로세스(static quenching process)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n값은 1에 가깝기 때문에 한 개의 바인딩사이트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3 : 디오스메틴 농도에 따른 원편광 이색성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디오스메틴 농도에 따른 원편광 이색성(Circular dichroism)을 측정하였다.
각각 100 μM, 200 μM의 디오스메틴 용액 100 μL와 0.8 mg/mL 췌장 라이페이스 용액 100 μL를 섞은 후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incubation)하고, 경로 길이(path length) 0.2 mm, time per point 0.1초, 대역폭(bandwidth) 1 nm의 조건으로 파장 190~260 nm 범위에서 원편광 이색성을 측정하였다(ChirascanTM-plus CD spectrometer, Applied Photophysics). 측정된 mdeg 데이터는 CDNN을 이용하여 췌장 라이페이스의 2차 구조 조성을 구한 후, 2차 구조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아래 표 2는 원편광 이색성(Circular dichroism) 으로 얻은 췌장 라이페이스의 2차 구조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원편광 이색성(Circular dichroism)으로부터 얻은 췌장 라이페이스의 2차 구조의 조성
Control (%) 디오스메틴
50 μM 100 μM
α-Helix 20.9 +0.2 +0.0
Antiparallel β-sheet 32.9 +0.6 +1.2
Parallel β-sheet 10.9 -0.3 -0.2
β-Turn 20.1 +0.1 +0.2
Random coil 36.5 -1.3 -1.2
표 2에서 보듯이, 췌장 라이페이스의 2차 구조의 조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 디오스메틴을 넣지 않았을 때(Control)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디오스메틴은 췌장 라이페이스의 2차 구조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 디오스메틴 농도에 따른 인실리코 분자 도킹 시물레이션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디오스메틴 농도에 따른 인실리코 분자 도킹 시뮬레이션(in silico molecular docking simulation)을 확인하였다.
췌장 라이페이스의 구조 파일(1LPB)을 단백질 정보 은행 (Protein Data Bank)로부터 구하고 Autodock4를 이용하여 MUP, BOG, 물 분자를 제거한 후, 극성 수소(polar hydrogen)와 콜먼 전하(Kollman charge)를 추가하였다. 그런 다음, 디오스메틴의 구조(5281612)를 Pubchem으로부터 구하고 리간드(ligand)로 설정하고, Autodock Vina 1.1.2를 이용하여 grid coordinates 50×40×50 Å3, grid center 7.500, 26.042, 47.696 Å, exhaustiveness와 energy range는 각각 8과 3의 조건에서 췌장 라이페이스와 디오스메틴을 도킹(docking)한 후, Pymol 2.5.2로 시각화하여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도 2는 인실리코 분자 도킹 시뮬레이션(in silico molecular docking simulation)을 통해 확인한 디오스메틴과 췌장 라이페이스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디오스메틴이 췌장 라이페이스의 활성 부위(active site)에 위치하였으며, 주변 잔기와 수소결합을 통해 -9.7 kcal/mol의 바인딩 에너지를 보여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활성 부위 (active site)와 상호작용하여 췌장 라이페이스의 활성을 저해시키는 경쟁적 저해제라는 앞선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오스메틴은 췌장 라이페이스의 촉매부위(catalytic site) 잔기와 상호작용하여 기질의 접근을 방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디오스메틴이 췌장 라이페이스의 활성 부위에 상호작용하여 기질의 접근을 방해하는 경쟁적 저해제로서, 비가역적 변성 등이 발생하지 않는 새로운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제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디오스메틴이 항비만 건강기능성 식품 및 제제 등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오스메틴을 포함하는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저해용 조성물.
    [화학식 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오스메틴은,
    췌장 라이페이스의 활성 부위(active site)와 상호작용하는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저해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췌장 라이페이스 활성 저해로 말미암은 비만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오스메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5.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오스메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KR1020220135168A 2022-10-19 2022-10-19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디오스메틴 KR20240055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168A KR20240055227A (ko) 2022-10-19 2022-10-19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디오스메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168A KR20240055227A (ko) 2022-10-19 2022-10-19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디오스메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227A true KR20240055227A (ko) 2024-04-29

Family

ID=9088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168A KR20240055227A (ko) 2022-10-19 2022-10-19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디오스메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22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413B1 (ko) 2019-01-30 2021-04-22 주식회사 비티씨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된 감국 효소처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9477B1 (ko) 2019-08-30 2022-01-10 (주)프론트바이오 바이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 및 플라본, 하이드록시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본 유도체, 하이드록시플라본 유도체, 플라바논 유도체의 복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413B1 (ko) 2019-01-30 2021-04-22 주식회사 비티씨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된 감국 효소처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9477B1 (ko) 2019-08-30 2022-01-10 (주)프론트바이오 바이구아나이드 계열 화합물 및 플라본, 하이드록시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본 유도체, 하이드록시플라본 유도체, 플라바논 유도체의 복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Inhibitory mechanism of epicatechin gallate on α-amylase and α-glucosidase and its combinational effect with acarbose or epigallocatechin gallate
Sun et al. Natural products for glycaemic control: Polyphenols as inhibitors of alpha-amylase
Peng et al. Inhibitory kinetics and mechanism of kaempferol on α-glucosidase
Xiong et al. Mushroom (Agaricus bisporus) polyphenoloxidase inhibited by apigenin: Multi-spectroscopic analyses and computational docking simulation
Fu et al. Essential moieties of myricetins, quercetins and catechins for binding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α-Glucosidase
Liu et al. Inhibition of pancreatic α-amylase by Lonicera caerulea berry polyphenols in vitro and their potential as hyperglycemic agents
Zhao et al. Interaction mechanism between α-glucosidase and A-type trimer procyanidin revealed by integrated spectroscopic analysis techniques
Zeng et al. Mechanism of fisetin suppressing superoxide anion and xanthine oxidase activity
Gülçin et al. Polyphenol contents, potential antioxidant, anticholinergic and antidiabetic properties of mountain mint (Cyclotrichium leucotrichum)
Akileshwari et al. Bioflavonoid ellagic acid inhibits aldose reductase: Implications for prevention of diabetic complications
He et al. Inhibition of α-glucosidase by trilobatin and its mechanism: kinetics, interaction mechanism and molecular docking
Sikora et al. Aronia melanocarpa Elliot Reduces the Activity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In Vitro and Ex Vivo Studies
Zhang et al. Camellia nitidissima Chi flower extracts inhibi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 vitro by analysis of optimization of addition methods, inhibitory kinetics and mechanisms
Karageçili et al. Antioxidant, antidiabetic, antiglaucoma, and anticholinergic effects of Tayfi grape (Vitis vinifera): A phytochemical screening by LC-MS/MS analysis
Nascimento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fungal in vitro and in silico, antioxidant, and anticholinesterase activities of extracts and constituents of Ouratea fieldingiana (DC.) Baill
Li et 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mechanisms of procyanidin B1 and procyanidin B2 with protein tyrosine phosphatase-1B: Analysis by kinetics, spectroscopy methods and molecular docking
Demir et al. Cherry stem phenolic compounds: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and in vitro evaluations of antioxidant, antimicrobial, antidiabetic, anti‐inflammatory, and cytotoxic activities
Kovalchuke et al. Stress-induced phospho-ubiquitin formation causes parkin degradation
Xue et al. Mechanism underlying the interaction of malvidin-3-O-galactoside with protein tyrosine phosphatase-1B and α-glucosidase
Sun et al. The inhibition mechanism of bound polyphenols extracted from mung bean coat dietary fiber on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kinetic, spectroscopi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ic and molecular docking
Sun et al. Comparing the effect of benzoic acid and cinnamic acid hydroxyl derivatives on polyphenol oxidase: Activity, action mechanism, and molecular docking
Xie et al. Inhibitory kinetics and mechanism of oleanolic acid on α-glucosidase
Wen et al. Inhibition of albendazole and 2‐(2‐aminophenyl)‐1 H‐benzimidazole against tyrosinase: mechanism,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and anti‐browning effect
KR20240055227A (ko)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디오스메틴
Shi et al. Anti-acetylcholinesterase mechanism of kaempferol and its synergistic effect with galanthamine hydrobrom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