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737A - a solenoid valve - Google Patents

a solenoid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737A
KR20240054737A KR1020220135044A KR20220135044A KR20240054737A KR 20240054737 A KR20240054737 A KR 20240054737A KR 1020220135044 A KR1020220135044 A KR 1020220135044A KR 20220135044 A KR20220135044 A KR 20220135044A KR 20240054737 A KR20240054737 A KR 20240054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alve
plunger
solenoid valve
valv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0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병준
이승용
장승호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737A/en
Publication of KR2024005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737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8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exhaus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urbine or to the atmosphere
    • F02B37/183Arrangements of bypass valves or actuators therefor
    • F02B37/186Arrangements of actuators or linkage for 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보빈과, 상기 보빈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코일부를 구비하는 구동부;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헤드를 포함하는 밸브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헤드는 상기 플러저 주변에서 상기 밸브 헤드가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가동공간과 바이패스 유로를 연통시키는 압력 평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driving unit including a co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bobbin surrounding the core, and a coil portion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 valve unit including a plunger that is provided to reciproc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driving unit, and a valve head that is coupled to the plunger to open and close a bypass passage; It provides a solenoid valve, wherein the valve head has a pressure equalization hole formed around the plunger to communicate with a bypass passage and a movable space in which the valve head can reciprocate within the housing.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a solenoid valve}solenoid valve{a 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enoid valve, and to a solenoid valve that can improve the responsiveness of the solenoid valve.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부와, 솔레노이드 구동부에 의하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밸브 유닛을 포함한다.Generally, a solenoid valve includes a solenoid driving part that generates electromagnetic force, and a valve unit that performs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by the solenoid driving part.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한국 등록특허 10-1011641에 나타난다.This solenoid valve appears in Korean Patent No. 10-1011641.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터보차저 압축기 측에 설치되는 경우, 바이패스 밸브로서 역할을 한다.When this solenoid valve is installed on the turbocharger compressor side, it serves as a bypass valve.

즉, 터보차져의 압축기는 신기(fresh air)를 유입시키는 흡기 매니폴드 상에 배치되고, 흡기 매니폴드 상에는 신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조절 밸브(스로틀 밸브)가 마련된다.That is, the compressor of the turbocharger is placed on an intake manifold that introduces fresh air, and an air control valve (throttle valve) that can control the inflow amount of fresh air is provided on the intake manifold.

공기 조절 밸브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터보챠져 압축기와 연결된 배관 내부의 압력이 변하는데, 통상적으로 터보차저 압축기가 동작을 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는 바이패스 유로를 닫는다.Depending o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air control valve, the pressure inside the pipe connected to the turbocharger compressor changes. Typically, when the turbocharger compressor operates, the solenoid valve closes the bypass passage.

터보차저 압축기가 동작하는 중, 공기 조절 밸브 폐쇄에 의하여 공기 유입이 저하되거나 중단된 상태가 되면 터보차저가 충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유입유로와 토출 유로를 연통시키기 위해서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된다.While the turbocharger compressor is operating, if the air inflow is reduced or stopped due to the closing of the air control valve, the turbocharger may receive a shock, so the bypass valve is opened to communicate the inlet flow path and the discharge flow path.

그런데, 이와 같은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경우, 바이패스 유로 주변의 공기의 흐름 및 압력의 변화와 관련 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응답이 빨리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 그러한 응답 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However, when opening and closing such a bypass passage, the solenoid valve must respond quickly in relation to changes in air flow and pressure around the bypass passage, but in the case of conventional solenoid valves, such response performance is unsatisfactory. Problems are being raised.

한국등록특허 제10-1011641호 (2011. 01. 24. 등록)Korean Patent No. 10-1011641 (registered on January 24, 201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밸브 헤드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통하는 압력 평형홀을 형성하여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압력평형에 이르는 속도를 증 시킴으로써 밸브의 응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ressure equalization hole communicating vertically or horizontally in the valve head of the solenoid valve to increase the speed of reaching pressure equalization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pass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olenoid valve that can improve the response performance of the valve by increasing it.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보빈과, 상기 보빈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코일부를 구비하는 구동부;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헤드를 포함하는 밸브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헤드는 상기 플러저 주변에서 상기 밸브 헤드가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가동공간과 바이패스 유로를 연통시키는 압력 평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includes a housing; a driving unit including a co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bobbin surrounding the core, and a coil portion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 valve unit including a plunger provided to reciproc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driving unit, and a valve head coupled to the plunger to open and close a bypass passage; It provides a solenoid valve, wherein the valve head has a pressure equalization hole formed around the plunger to communicate with a bypass passage and a movable space in which the valve head can reciprocate within the housing.

상기 밸브 헤드는 일 단면이 중공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측벽면과, 상기 측벽면의 상부를 커버하되 중심이 상기 플런저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평형홀은 상기 상부벽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과 이웃한 측벽면 상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head includes a side wall whose cross-section is hollow and circular, and an upper wall tha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side wall but whose cente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and the pressure equalization hole penetrates the upper wal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to do so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on a side wall adjacent to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압력 평형홀은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의 크기거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ure balance hole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은 서로 같은 크기 또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or area.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은 서로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밸브 헤드는 상기 상부벽면 상에서 상기 제1관통홀과 인접한 다른 제1관통홀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부와, 상기 측벽면의 외주면 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보강부의 선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간섭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head includes a reinforc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another adjacent first through hole on the upper wall, and an interference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tip of the reinforcing portion so as to protrude beyo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can do.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밸브 헤드에 압력 평형홀을 형성함으로써 밸브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압력의 평형 속도를 증가시켜 압력 평형에 도달하는 응답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First, by forming a pressure equalization hole in the valve head, the speed of pressure equalization can be increased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pass passage, thereby increasing the responsiveness to reach pressure equalization.

둘째, 압력 평형홀을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로 나누어 각각 상부벽면과 측벽면에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이동경로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Second, the movement path of the fluid can be expanded by dividing the pressure equalization hole into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and forming them on the upper wall and the side wall, respectively.

셋째, 솔레노이드 밸브 내에서 압력 평형이 유지됨으로써 밸브의 응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response performance of the valve can be improved by maintaining pressure balance within the solenoid valv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의 I-I' 영역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의 밸브 헤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의 II-II' 영역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의 밸브 헤드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region II'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1.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valve head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2.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gion II-II'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4.
FIG. 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partially enlarged valve head portion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3.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의 I-I' 영역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3 is a section II'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ure 1.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는 터보차저의 바이패스 유로(BP)를 구비한 블록(B)에 장착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는 솔레노이드 구동부(100)와, 솔레노이드 구동부(100)에 의하여 왕복운동을 하여 바이패스유로(BP)를 개폐하는 밸브 유닛(2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solenoid valv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mounted on a block (B) equipped with a bypass passage (BP) of the turbocharger, and a housing (10) inside the housing (10). It includes a solenoid driving unit 100 that is accommodated, and a valve unit 200 that opens and closes the bypass passage (BP) by reciprocating motion by the solenoid driving unit 100.

솔레노이드 구동부(100)는 하우징(10)의 일 측에 마련된 전원 단자(12)에 외부 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되면서 제어신호 및 전류공급을 통해 전자기력을 발생시켜서 밸브 유닛(200)을 움직인다.The solenoid driving unit 100 moves the valve unit 200 by generating electromagnetic force through a control signal and current supply when an external connecto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power terminal 1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먼저, 솔레노이드 구동부(100)는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는 코어(110)와, 코어(110)를 둘러싸는 보빈(120)과, 보빈(120)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코일부(122)를 포함한다.First, the solenoid driving unit 100 includes a core 110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 a bobbin 120 surrounding the core 110, and a coil portion 122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120. Includes.

그리고, 코어(110) 내부에는 스터드(300)가 축 또는 로드 형태로 고정되게 마련되는데, 스터드(300)는 솔레노이드 구동부(100)의 동작에 따라서 이동하는 밸브 유닛(20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nd, inside the core 110, a stud 300 is provided to be fixed in the form of a shaft or rod. The stud 300 movably supports the valve unit 200, which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driving unit 100. , plays a role in guiding reciprocating motion.

코어(110)는 스터드(300)가 내부에 삽입되고, 밸브 유닛(200)의 일 구성인 플런저(20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플런저(202)의 가동 공간을 정의하는 제1내부 공간부(111)와, 제1내부 공간부(111)와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내부 공간부(112)를 포함한다.The core 110 has a stud 300 inserted therein, a plunger 202, which is a component of the valve unit 200, is selectively inserted, and a first internal space defining the movable space of the plunger 202 ( 111) and a second internal space 112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ternal space 111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제2내부 공간부(112)에는 스프링(130)이 일부 삽입되어 지지되는데, 스프링(130)은 밸브 유닛(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여, 솔레노이드 구동부(100)에 전원 인가 중단 시, 밸브 유닛(200)이 바이패스 유로(BP)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A spring 130 is partially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112. The spring 130 serves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valve unit 200, an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solenoid driving unit 100, The valve unit 200 allows the bypass flow path (BP) to be closed.

제1내부 공간부(111)의 내경은 제2내부 공간부(112)보다 크게 형성되고, 플런저(202)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플런저(202)가 원활하게 가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11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112 and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lunger 202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plunger 202 can operate smoothly. .

제1내부 공간부(111) 주위에 코어(110)의 몸체에서 연장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이 부분이 제1내부 공간부(111)를 형성하는데, 이 부분에 자기력이 집중된다.A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of the core 110 is formed around the first internal space 111, and this part forms the first internal space 111, and magnetic force is concentrated in this part.

보빈(120)의 아래에는 플레이트부(133)가 배치되어, 이들이 하우징(10)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고, 그 중심에는 통공(133a)이 형성되어 플런저(202)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코일부(122)와 보빈(120)의 외측에는 요크 사이드(150)가 감싸지도록 배치되고, 요크 사이드(150)의 상부는 요크(125)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A plate portion 133 is disposed below the bobbin 120 to fix it so that it can be stably positioned within the housing 10, and a through hole 133a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plunger 202 can move. forms. The yoke side 15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oil portion 122 and the bobbin 120, and the upper part of the yoke side 150 is coupl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yoke 125.

통공(133a)의 내주면에는 연장부(133b)가 형성되어 플런저(202)와 이격되고, 플런저(202)의 외주면과 대향되면서, 플런저(202)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An extension portion 133b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33a, is spaced apart from the plunger 202, fac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nger 202, and is arranged to surround the plunger 202.

후술하겠지만, 플레이트(133)의 연장부(133b)와 플런저(202)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서 솔레노이드 구동부(100) 내부의 공간과, 솔레노이드 구동부(100) 및 밸브 유닛(200)의 사이 공간(또는 밸브 헤드 가동 공간)(140)이 연통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pace inside the solenoid drive unit 100 and the space between the solenoid drive unit 100 and the valve unit 200 (or The valve head operation space) 140 may be in communication.

밸브 유닛(200)은 솔레노이드 구동부(100)의 자기력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는 플런저(202)와, 플런저(202) 및 스터드(300) 사이에 있는 부시(204)와, 플런저(202)의 일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밸브 헤드(210)를 포함한다.The valve unit 200 includes a plunger 202 that can be mov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driving unit 100, a bush 204 between the plunger 202 and the stud 300, and one end of the plunger 202. It includes a valve head 210 that is fixedly coupled.

플런저(202)의 단부에는 와셔(220)를 통하여 밸브 헤드(210)가 결합된다.The valve head 21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lunger 202 through a washer 220.

스프링(130)은 부시(204)의 일 단부와 코어(110)의 제2내부 공간부(112)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 유닛(200)을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The spring 130 is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bush 204 and the second internal space 112 of the core 11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push the valve unit 200 outward.

밸브 헤드(210)는 캡 형태로 마련되며, 일 측(하부방향)이 개방된 형태의 내부공간을 제공한다.The valve head 210 is provided in a cap shape and provides an internal space with one side (lower direction) open.

밸브 헤드(210)의 측면벽이 그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를 구성한다.The side wall of the valve head 210 forms a shape surrounding its internal space.

밸브 헤드(210)는 하우징의 플랜지부(11) 및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커버(20)에 의하여 그 주위가 둘러싸인다.The valve head 210 is surrounded by a flange portion 11 of the housing and a cover 20 coupled to the housing 10.

밸브 헤드(210)는 플런저(202)의 왕복운동을 따라서 움직이는데, 이 경우, 밸브 헤드(210)와 커버(20) 간의 실링이 유지되어야 한다.The valve head 210 moves alo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lunger 202, and in this case, the seal between the valve head 210 and the cover 20 must be maintained.

즉, 실링이 되면서도 밸브 헤드(210)가 자유롭게 움직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실링은 일명 립 씰(lip seal) 구조를 채택한다. 립 씰 형태의 실링부재(400)는 커버(20) 내면에 밀착되면서 밸브 헤드(210) 외주면 표면에 밀착된다.In other words, the valve head 210 must move freely while being sealed, and for this purpose, the seal adopts a so-called lip seal structure. The sealing member 400 in the form of a lip sea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head 210.

이러한 실링부재(400)를 채택함으로써 밸브 헤드(210)가 왕복운동 하면서도, 커버(20)와 밸브 헤드(210) 사이의 공간이 실링될 수 있다.By adopting such a sealing member 400, the space between the cover 20 and the valve head 210 can be sealed while the valve head 210 reciprocates.

커버(20)는 하우징(10)의 일 면(하면 또는 상면)에 마련되는 장착홈(10a)에 끼워져서 고정된다.The cover 20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0a provided on one surface (lower o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한편, 하우징(10)과 커버(20)가 결합되는 부분도 실링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O-링(Oring) 형태의 보조 실링부재(410, 420)가 그 결합구조 내부에 배치된다.Meanwhile, the portion where the housing 10 and the cover 20 are coupled must also be sealed, and for this purpose, auxiliary sealing members 410 and 420 in the form of O-rings are disposed inside the coupling structure.

스터드(300)는 솔레노이드 구동부(100)의 중심과, 밸브 유닛(200) 중심을 따라서 배치되며, 두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영역에 걸쳐지게 위치한다.The stud 300 is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e solenoid driving unit 100 and the center of the valve unit 200, and is positioned to span the area where the two components are disposed.

스터드(300)는 적어도 일부가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튜브 또는 중공 샤프트 형태로 마련되고, 그 내부에 연통 유로(302)가 형성된다.At least part of the stud 3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or hollow shaft with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and a communication passage 302 is formed therein.

그리고, 스터드(300)의 일단부에는 밸브 헤드(2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개구부(311)가 마련된다.And, a first opening 311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valve head 21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ud 300.

스터드(300)에는 제2개구부(312)가 형성되는데, 제2개구부(312)는 스터드 외주면 표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개구부(312)는 스터드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배치 높이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A second opening 312 is formed in the stud 300. The second opening 312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ud. Here,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312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ud, and their arrangement heights may be different.

연통유로(302)는 제1개구부(311)와 제2개구부(312)(및/또는 제3개구부(313)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에 의하여 밸브 유닛(200) 주위의 공간(상세하게는 밸브 헤드(21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의 공기 압력과, 하우징(10) 내부 공간(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 구동부(100) 내부 공간, 솔레노이드 구동부(100)와 밸브 유닛(200) 사이에 형성된 밸브 유닛 가동 공간인 제1내부공간(111) 및 밸브 헤드 가동 공간(140), 솔레노이드 구동부(200)와 하우징(10) 내면 사이 공간)의 압력이 평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munication passage 302 serves to communicate the first opening 311 and the second opening 312 (and/or the third opening 313), thereby allowing the space around the valve unit 200 (in detail, air pressure in the space formed by the valve head 210) an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specifically, the inner space of the solenoid drive unit 100, and the operation of the valve unit formed between the solenoid drive unit 100 and the valve unit 200) The pressure of the space (the first internal space 111, the valve head operation space 140, and the space between the solenoid drive unit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may be balanced.

원활한 공기의 연통을 위해서는 제2개구부(312)의 위치 선정이 중요하다.For smooth air communication, positioning of the second opening 312 is important.

이를 위해서 제2개구부(312)가 스터드(300) 외주면 표면에 형성되는 경우, 그 위치는 코어(110)의 제1내부 공간부(111) 또는 제2내부 공간부(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 또는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when the second opening 31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ud 300, its location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11 or the second internal space 112 of the core 110. It is preferable that it be formed in the region or both.

다만, 플런저(202)의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제2내부 공간부(112)가 형성된 영역에 구현되면 공기의 이동이 보다 원활해질 수는 있다.However, if implemented in an area where the second internal space 112,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02, is formed, the movement of air may become smoother.

밸브 헤드 가동공간(140)은 하우징(10)의 입구에 형성되는 플랜지(11)와, 밸브 헤드(210)의 일면과, 플레이트(133)와 플런저(202)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다.The valve head movable space 140 is formed by a space surrounded by the flange 11 formed at the inlet of the housing 10, one surface of the valve head 210, the plate 133, and the plunger 202.

밸브 헤드 가동 공간(140)은 제1내부 공간부(111)와 연통되는데, 이들은 상술한 플레이트(133)의 연장부(133b)와 플런저(202)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서 연통된다The valve head movable space 14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ternal space 111, which communicat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lunger 202 and the extension 133b of the plate 133 described above.

따라서, 밸브 유닛(200) 외부의 공기가 제1개구부(311) 및 연통유로(302)를 타고 들어오는 경우, 제1내부 공간부(111) 및 밸브 유닛 가동 공간(140)으로 들어와서 압력 평형이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air outside the valve unit 200 enters through the first opening 311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302, it enters the first internal space 111 and the valve unit operation space 140 to maintain pressure balance. It comes true.

한편, 제3개구부(313)는 스터드(300)의 타단부(도면에서 스터드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third opening 313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ud 300 (the upper end of the stud in the drawing).

이 경우, 하우징(10)의 내면과 코어(110)의 사이, 그리고, 하우징(10)의 내면과 요크(125)의 사이, 하우징(10) 내면과 플레이트(133)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제3개구부(313)와 밸브 헤드 사이 공간(140)을 연통시킬 수도 있다.In this case, a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core 110,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yoke 125, an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plate 133. Thus, the space 140 between the third opening 313 and the valve head may be communicated.

하우징(10)의 측방향에는 전원 단자(12)가 마련된다. 전원 단자(12) 내부에는 외부 커넥터가 결합되어 제어신호 또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터미널(13)이 복수개 구비된다. 이러한 터미널(13)은 레지스터(113) 또는 코일부(도 2 참조, 122)와 연결될 수 있다.A power terminal 1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0. Inside the power terminal 12, a plurality of terminals 13 are provided to which external connectors are connected to supply control signals or power. This terminal 13 may be connected to the resistor 113 or the coil unit (see FIG. 2, 122).

수지 재질의 하우징(10)과 금속 재질의 전원 단자(12)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de of resin and the power terminal 12 made of metal can be molded using an insert injection method.

또한, 보빈(120)의 상부에는 전원 단자(12)와 인접하도록 장착부(121)가 마련된다. 장착부(121)는 보빈(12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121)에는 터미널(13)과 레지스터(113)가 고정된다.Additionally, a mounting portion 121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bbin 120 to be adjacent to the power terminal 12. The mount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bbin 120. A terminal 13 and a register 113 are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121.

터미널(13)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terminal 13 is made of a metal material because electrical connection must be made.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의 밸브 헤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의 II-II' 영역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의 밸브 헤드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참고도이다.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valve head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2,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region II-II' of the solenoid valve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 solenoid shown in FIG. 3. This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partially enlarged valve head portion of the valve.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밸브 헤드(21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측벽면(211)과, 측벽면(211)의 상부에서 플런저(202)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벽면(212) 및 측벽면(211)과 상부벽면(212) 상에 마련되어 바이패스 유로(BP)와 가동공간(140)을 연통시키는 압력 평형홀(21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to 6, the valve head 210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side wall 211, an upper wall 212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202 at the top of the side wall 211, and It includes a pressure equalization hole 213 provided on the side wall 211 and the upper wall 212 to communicate with the bypass passage BP and the movable space 140.

밸브 헤드(210)는 대략 캡 형상을 이루되, 내부가 비어있고,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면서 바이패스 유로(BP)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배치된다.The valve head 210 is roughly cap-shaped, has an empty interior, is open downward, and is arrang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bypass passage BP.

그리고, 압력 평형홀(213)은 상부벽면(212) 상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214)과, 측벽면(211) 상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215)을 포함한다. 즉, 압력 평형홀(213)은 상부벽면(212)과 함께 측벽면(211)에도 형성된다.And, the pressure equalization hole 213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214 formed on the upper wall surface 212 and a second through hole 215 formed on the side wall surface 211. That is, the pressure equalization hole 213 is formed on the side wall 211 along with the upper wall 212.

상부벽면(212)의 상면에는 방사형으로 형성된 보강부(216)가 마련되며, 보강부(216)와 인접한 다른 보강부 사이에 제1관통홀(2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관통홀(214)은 상부벽면(212) 상에서 복수개가 등 간격 또는 등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벽면(212) 상에 5개의 제1관통홀(214)과 5개의 보강부(216)가 마련된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하며, 이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 radially formed reinforcing portion 216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212, and a first through hole 214 is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portion 216 and another adjacent reinforcing portion. Accordingly,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4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r equal angles on the upper wall 212. In this embodiment, five first through-holes 214 and five reinforcement portions 216 are provided on the upper wall 212 as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them is not limited thereto.

보강부(216)는 상부벽면(212)에 형성된 제1관통홀(214) 때문에 밸브 헤드(210)가 플런저(202)와 연결되는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을 보완할 수 있고, 밸브 헤드(210)의 빠른 개폐 동작에 대해서도 상부벽면(212)과 측벽면(211) 사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portion 216 can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the coupling force connecting the valve head 210 to the plunger 202 due to the first through hole 214 formed in the upper wall 212, and th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of firmly supporting between the upper wall 212 and the side wall 211 even for rapid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상부벽면(212)의 외주연에는 측벽면(211)의 외주면 보다 더 돌출되는 간섭턱(217)이 마련된다. 간섭턱(217)은 적어도 커버(20)의 내주면에 간섭되도록 배치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20)의 내측에서 커버(20)와 측벽면(211)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400)에도 간섭될 수 있다.An interference protrusion 217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wall surface 212 and protrudes further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ide wall surface 211. The interference protrusion 217 is arranged to interfere with at leas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20, and more preferably is also disposed on the sealing member 400 that seals between the cover 20 and the side wall surface 211 on the inside of the cover 20. There may be interference.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벽면(212) 상에서 제1관통홀(214)이 위치한 영역의 두께는 제1관통홀(214) 이외의 영역 두께에 비하여 더 얇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밸브 헤드(210)의 중량을 최소화하여 개폐 동작에 따른 빠른 응답성을 위해서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hickness of the area where the first through hole 214 is located on the upper wall 212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areas oth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214. This can be applied to minimize the weight of the valve head 210 and achieve quick respons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상부벽면(212)의 제1관통홀(214)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측벽면(211)에는 제2관통홀(215)이 형성된다. 측벽면(211)에서 바라본 제2관통홀(215)의 높이는 약 상부벽면(212)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제1관통홀(214)과 제2관통홀(215)은 보는 위치에 따라서 하나의 구성으로 보일 수 있으나, 상부벽면(212)과 측벽면(211)의 위치적인 관점과, 유체의 이동경로 관점에서 볼 때 제2관통홀(215)이 가지는 기능 및 효과는 제1관통홀(214)만이 형성된 것에 비하여 확연한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제1관통홀(214)은 제2관통홀(215)에 비하여 더 큰 크기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관통홀(215)이 제1관통홀(214) 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제1관통홀(214)과 제2관통홀(215)이 같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 second through hole 215 is formed on the side wall 211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214 on the upper wall 212. Since the height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5 viewed from the side wall 211 can approximatel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wall 212, the first through hole 21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5 are positioned according to the viewing position. It may appear as one configuration, b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upper wall 212 and the side wall 211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fluid,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second through hole 215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5. A clear difference can be felt compared to the one formed only by (214). The first through hole 214 may be formed in a larger size or area than the second through hole 215. Of course, the second through hole 215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214, or the first through hole 21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15 may be formed of the same size.

먼저, 도 6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낸 유체의 제1경로(P1)는 가동공간(140)과 바이패스 유로(BP) 사이에서 제1관통홀 (214)을 통하여 대부분의 유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제2경로(P2)는 바이패스 유로(BP)에서 수평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체가 제2관통홀(215)을 통하여 일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First, the first path (P1) of the fluid shown as an example in FIG. 6 represents the direction in which most fluid mov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4) between the movable space (140) and the bypass passage (BP). , the second path (P2) represen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moving in the horizontal or diagonal direction in the bypass flow path (BP) partially mov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15).

즉, 제2관통홀(215)을 통해서 부가적으로 제2경로(P2)에 대한 유체의 이동량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관통홀(214)만으로 제1경로(P1)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켜 압력 평형을 이루는 것에 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밸브 헤드(210)의 이동에 따른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movement of fluid to the second path (P2) can be smoothened additionally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15, the fluid can be moved through the first path (P1) only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4. Compared to achieving pressure balance by moving the fluid, the fluid can be moved more effectively, and the pressure due to the movement of the valve head 210 can be relatively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면, 밸브 헤드에 압력 평형홀을 형성함으로써 밸브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압력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고, 압력 평형홀을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로 나누어 각각 상부벽면과 측벽면에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이동경로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밸브 내에서 압력 평형이 유지됨으로써 밸브의 응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pressure balance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path passage by forming a pressure equalization hole in the valve head, and dividing the pressure equalization hole into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By forming them on the upper wall and the side wall, respectively, the movement path of the fluid can be expanded, and the response performance of the valve can be improved by maintaining pressure balance within the solenoid val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arried out withi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1: 솔레노이드 밸브
10: 하우징 12: 전원 단자
13: 터미널
100: 솔레노이드 구동부 110: 코어
120: 보빈 121: 장착부
121a, 121b: 단턱부 130: 스프링
200: 밸브 유닛 210: 밸브 헤드
211: 상부벽면 212: 측벽면
1: Solenoid valve
10: Housing 12: Power terminal
13: terminal
100: solenoid driving unit 110: core
120: Bobbin 121: Mounting part
121a, 121b: step portion 130: spring
200: valve unit 210: valve head
211: upper wall 212: side wall

Claims (6)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보빈과, 상기 보빈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코일부를 구비하는 구동부;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바이패스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헤드를 포함하는 밸브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헤드는 상기 플러저 주변에서 상기 밸브 헤드가 하우징 내부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가동공간과 바이패스 유로를 연통시키는 압력 평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housing;
a driving unit including a co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bobbin surrounding the core, and a coil portion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 valve unit including a plunger provided to reciproc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driving unit, and a valve head coupled to the plunger to open and close a bypass passage; Including,
A solenoid valve, wherein the valve head has a pressure equalization hole formed around the plunger to communicate with a bypass passage and a movable space in which the valve head can reciprocate within the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헤드는 일 단면이 중공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측벽면과, 상기 측벽면의 상부를 커버하되 중심이 상기 플런저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평형홀은 상기 상부벽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과 이웃한 측벽면 상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In claim 1,
The valve head includes a side wall whose cross-section is hollow and circular, and an upper wall tha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side wall and whose cente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The pressure equalization hole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wall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on a side wall adjacent to the first through hole. solenoid valv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 평형홀은,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In claim 2,
The pressure equalization hole is,
A solenoid valve, w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formed in different siz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은 서로 같은 크기 또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In claim 2,
A solenoid valve, w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or are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은 서로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In claim 2,
A solenoid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 헤드는,
상기 상부벽면 상에서 상기 제1관통홀과 인접한 다른 제1관통홀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부와,
상기 측벽면의 외주면 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보강부의 선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간섭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In claim 2,
The valve head is,
a reinforcement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another adjacent first through hole on the upper wall;
A solenoid valve comprising an interference jaw protru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tip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so as to protrude beyo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surface.
KR1020220135044A 2022-10-19 2022-10-19 a solenoid valve KR202400547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44A KR20240054737A (en) 2022-10-19 2022-10-19 a solenoid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044A KR20240054737A (en) 2022-10-19 2022-10-19 a solenoid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737A true KR20240054737A (en) 2024-04-26

Family

ID=9088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044A KR20240054737A (en) 2022-10-19 2022-10-19 a solenoid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73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641B1 (en) 2010-04-23 2011-01-28 주식회사 유니크 On-off solenoid val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641B1 (en) 2010-04-23 2011-01-28 주식회사 유니크 On-off solenoid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352A (en) Oil supply apparatus for linear compressor
JP4981663B2 (en) Switching valve
JP5170952B2 (en) Linear compressor
JPH0338540Y2 (en)
US6220393B1 (en) Oil supply apparatus for linear compressor
US6299421B1 (en) Oil supply apparatus of linear compressor
KR0162393B1 (en) Noise reduction apparatus of a linear compressor
EP2012041A2 (en) Active vibration isolation support system
KR102105949B1 (en) Solenoid valve for vehicle
KR20240054737A (en) a solenoid valve
KR101749735B1 (en) A solenoid valve
KR20240054755A (en) a solenoid valve
KR100253236B1 (en) Axial direction valve unit of linear compressor
KR101882686B1 (en) A solenoid valve
KR102043966B1 (en) Solenoid valve assembly for switching drive mode in suspension system
JP2003056739A (en) Solenoid valve
KR20240054747A (en) a terminal comprising a block pattern and a solenoid valve comprising the terminal
JP7447414B2 (en) solenoid valve
KR102098387B1 (en) A solenoid valve
KR101796038B1 (en) Electromagnetic control valve for variable volume compressor
KR100239350B1 (en) Oil supplier of linear compressor
KR100273440B1 (en) Linear compressor
KR100189033B1 (en) Double seat type solenoid valve
KR100246422B1 (en) Oil supplying device for linear compressor
CN219827879U (en) Electric valve, air conditioner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