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670A - 검사 정밀도가 우수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 - Google Patents
검사 정밀도가 우수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4670A KR20240054670A KR1020220134919A KR20220134919A KR20240054670A KR 20240054670 A KR20240054670 A KR 20240054670A KR 1020220134919 A KR1020220134919 A KR 1020220134919A KR 20220134919 A KR20220134919 A KR 20220134919A KR 20240054670 A KR20240054670 A KR 202400546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estal
- height adjustment
- position fixing
- coupled
- automobile parts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는 베이스 어셈블리와, 높이조절기둥과, 지지체와, 클램핑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 어셈블리는 받침대와, 복수의 위치고정부재 및 복수의 고정핀으로 이루어진다.
받침대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X축과, X축에 대하여 수직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Y축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에서 각 X축과 각 Y축이 만나는 교점에 복수의 제1핀홀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고정부재는 받침대 위에 복수 개 배치되는데 나사결합을 통해 받침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는 제1핀홀과 대응되는 제2핀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핀은 받침대 상에서 위치고정부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대의 제1핀홀과 위치고정부재의 제2핀홀에 함께 끼워진다. 또한, 높이조절기둥은 수직학게 형성되어 각 위치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지지체는 높이조절기둥에 결합되며 자동차 부품 접촉되어 자동차 부품을 지지하며, 클램핑부재는 높이조절기둥에 결합되어 지지체에 지지된 자동차 부품을 클램핑한다.
받침대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X축과, X축에 대하여 수직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Y축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에서 각 X축과 각 Y축이 만나는 교점에 복수의 제1핀홀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고정부재는 받침대 위에 복수 개 배치되는데 나사결합을 통해 받침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는 제1핀홀과 대응되는 제2핀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핀은 받침대 상에서 위치고정부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대의 제1핀홀과 위치고정부재의 제2핀홀에 함께 끼워진다. 또한, 높이조절기둥은 수직학게 형성되어 각 위치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지지체는 높이조절기둥에 결합되며 자동차 부품 접촉되어 자동차 부품을 지지하며, 클램핑부재는 높이조절기둥에 결합되어 지지체에 지지된 자동차 부품을 클램핑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을 검사하기 위한 총합검사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부품만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 라 다양한 부품을 모두 고정할 수 있도록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각 부위별로 부품을 제작한 다음,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생산되는데, 각 부품들을 서로 결합하기 이전에 그 부품들이 정확한 치수와 형상으로 제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검사는 단위 부품에 대해서만 행해지는 것은 아니며, 몇 개의 부품이 결합된 어셈블리에 대해서도 수행된다. 즉, 자동차는 20,000 가지 이상의 부품이 조립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단위 부품 또는 단위 어셈블리들의 형상과 치수가 허용 오차를 약간만 벗어나더라도, 모든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엄청나게 큰 오차를 발생시켜 불량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조립 자체가 불가능하여 자동차를 제대로 완성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기존에는 각 부품, 예컨대 각종 패널, 트림, 프레밍 등의 형상과 치수를 개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특정 검사구들이 사용되었었다. 이러한 종래의 부품 검사구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리어 측정지그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010341호에 개시된 것이다. 이 검사구에는 다양한 검사기구가 부착되어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부분의 갭이 4mm로 형성되어야 한다면, 폭이 3mm, 4mm, 5mm로 형성된 측정기구가 구비되어, 측정기구들을 갭에 각각 삽입시켜 갭의 크기가 정확히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렇게 종래에는 자동차 부품들을 각 부품에 맞게 특별하게 제작된 검사구에 고정시킨 후, 홀이 정확한 크기와 위치에 뚫려 있는지, 갭이 정확한 치수로 형성되었는지, 형상이 정확하게 형성되었는지 등을 각종 측정기구를 통해 수작업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근래에는 외국 자동차 회사들을 필두로 3차원 측정기와 각종 센서들을 사용하여 각 부품 또는 각 어셈블리들이 정확하게 제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전자시스템이 도입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검사구를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측정시스템이 도입된 이후로 종래와 같은 검사구에서 검사 기능들은 제외한 채 부품을 정확하게 고정해 줄 수 있는 지그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지그는 자동차의 특정 부품별로 별도로 제작되었는 바, 다른 부품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즉, 지그로서의 호환성과 범용성이 완전히 결여되어 있었다. 이에 한 번 사용한 지그는 다시 재활용하기 곤란하며 폐기 처분되었으므로 경제적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고정 지그의 무게와 부피가 커서 보관하기에도 매우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다양한 부품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 이 개선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는 자동차 부품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자동차 부품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X축과, 상기 X축에 대하여 수직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Y축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에서 상기 각 X축과 각 Y축이 만나는 교점에 복수의 제1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위에 복수 개 배치되어 상기 받침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1핀홀과 대응되는 제2핀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위치고정부재;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1핀홀과 제2핀홀에 함께 끼워져 상기 받침대 상에서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핀;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복수의 높이조절기둥; 상기 높이조절기둥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차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지지된 상기 자동차 부품을 고정하도록 상기 높이조절기둥에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Y축을 따라 상기 제1핀홀들의 사이에 제1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부재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제2결합공이 형성되어, 나사가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 함께 끼워져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상기 받침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있는 제1결합공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는 제1결합공에 체결된다.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의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기둥의 중앙부에도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나사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나사공에 끼워져 체결된다.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는 상기 받침대를 인상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리부재를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 및 이 지그에 사용되는 베이스 어셈블리는 높이조절기둥과 지지체만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자동차 부품에 사용될 수 있는 바 범용성과 호환성이 높은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밀하게 가공된 핀홀과 고정핀을 이용하여 높이조절기둥과 지지체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부품 검사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의 중요 부분에 대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자동차 부품이 도 2에 도시된 지그에 고정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은 도2에 도시된 지그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의 중요 부분에 대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자동차 부품이 도 2에 도시된 지그에 고정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은 도2에 도시된 지그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의 중요 부분에 대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자동차 부품이 도 2에 도시된 지그에 고정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100)는 베이스 어셈블리(50), 높이조절기둥(60), 지지체(70) 및 클램핑부재(80)를 구비한다.
베이스 어셈블리(50)는 받침대(10), 위치고정부재(20) 및 고정핀(30)을 구비한다.
받침대(10)는 일정한 두께의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받침대(10)의 하부에는 각 모서리 및 중앙부에 복수의 다리부(11)가 형성된다. 받침대(10)에는 복수의 제1핀홀(12)이 형성된다.
이 제1핀홀(12)은 받침대(10)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받침대(10)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즉, 직사각형의 받침대(10)에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X축과, X축에 대하여 수직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Y축을 설정하면, 위 X축들과 Y축들의 교점에 제1핀홀(12)이 배치된다. 여기서 X축과 Y축은 임의로 설정된 것이며, 실제 바닥판(10)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제1핀홀(12)들의 X축 상에서의 간격은 120mm 이며, Y축 상에서의 간격은 100mm 이다. 이러한 간격은 본 실시예에 한정된 것이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다 좁게 또는 보다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50mm 이하로 너무 좁게 형성되는 것은 실제 자동차 부품을 고정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할 정도로 많은 것이므로 생산성과 경제성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역으로 150mm 이상으로 간격이 넓게 형성되면 다종다양한 자동차 부품들의 형상에 맞게 고정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핀홀(12)은 10mm의 직경으로 형성되는데, 제1핀홀은 후술할 위치고정부재(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공차가 허용되지 않는다. 즉, 제1핀홀(12)은 직경이 10mm가 되도록 정밀가공된다. 이 직경은 반드시 10mm일 필요는 없으며 실시예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지만, 설정된 직경에 대해서는 공차없이 정확하게 정밀가공된다
또한, 받침대(10)에는 복수의 제1결합공(13)이 형성된다. 제1결합공(13)은 Y축을 따라 제1핀홀(12)들 사이에 형성된다. 즉, Y축 상에서 제1핀홀(12)들의 간격은 100mm이며, 제1핀홀(12)들 사이의 정중앙에 제1결합공(13)이 형성된다.
모든 제1핀홀(12)들 사이에 제1결합공(13)이 형성되므로, 결국 제1결합공(13)도 받침대(10) 상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결합공(13)은 X축을 따라 120mm의 간격으로 Y축을 따라 100mm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공(13)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결합나사(19)가 체결된다.
한편, 받침대(10)의 각 모서리에는 이 받침대(10)를 인상하기 위한 고리부재(40)가 부착된다.
위치고정부재(20)는 받침대(10) 위에 복수 개 배치된다. 이 위치고정부재(20)는 후술할 지지체(70)가 결합된 높이조절기둥(60)의 X,Y축 상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치고정부재(20)가 배치되는 개수 및 위치는 자동차 부품의 형상과 모양 등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지지체(70)가 놓여져야될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고정부재(20)는 사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X축 160mm, Y축 140mm 및 높이 18mm의 크기로 제조된다. 위치고정부재(20)의 X축 방향 양측 단부에는 각각 제2핀홀(22)이 형성된다.
위치고정부재(20)가 받침대(10)에 결합되었을 때, 이 제2핀홀(22)은 받침대(10)의 제1핀홀(12)과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에 위치고정부재(20)에서 제2핀홀(22) 사이의 간격은 받침대(10)의 제1핀홀(12) 사이의 간격(X축 간격)과 동일하게 120mm로 설정된다.
또한, 위치고정부재(20)의 제2핀홀(22)은 받침대(10)의 제1핀홀(12)과 마찬가지로 직경이 10mm가 되도록 정밀가공된다. 이 직경은 반드시 10mm일 필요는 없으며 실시예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지만, 받침대(10)의 제1핀홀(12)과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하며, 설정된 직경에 대해서는 공차없이 정확하게 정밀가공된다.
위치고정부재(20)가 받침대(10) 위에 배치되면, 받침대(10)의 제1핀홀(12)과 위치고정부재(20)의 제2핀홀(22)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는데, 고정핀(30)은 제1핀홀(12)과 제2핀홀(22)에 끼워진다. 고정핀(30)은 위치고정부재(20)의 양측에 각각 끼워지므로 위치고정부재(20)는 받침대(10)에 대하여 상대이동될 수 없고 위치고정된다. 특히, 고정핀(30)은 외경은 제1핀홀(12) 및 제2핀홀(22)과 동일하게 10mm이며 공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정밀가공되므로, 고정핀(30)은 제1핀홀(12)과 제2핀홀(22)에 틈새없이 밀착되서 끼워지는 바, 위치고정부재(20)가 약간이라도 위치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핀홀(12,22)에 밀착되게 끼워지므로 제1핀홀(12)이 하방으로 관통되어 있다고 해도 고정핀(30)이 제1핀홀(12)의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위치고정부재(20)의 둘레방향을 따라 각 모서리에는 제2결합공(23)이 배치된다. 위치고정부재(20)가 받침대(10) 위에 정확하게 위치하면, 제2결합공(23)은 받침대(10)의 제1결합공(13)과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결합나사(19)는 상측에서부터 위치고정부재(20)의 제2결합공(23)을 통해 받침대(10)의 제1결합공(13)에 나사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공(13)은 나사공이며, 제2결합공(23)은 나사산이 없는 관통공으로 형성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공(13)도 단순한 관통공으로 형성하고, 볼트를 끼운 후 받침대(10)의 하부에서 너트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결합이 가능하다. 다만, 본 위치고정부재(20)는 특정 자동차 부품에 대한 지그에 사용된 후, 다른 부품에 대해서도 사용되어야 하므로 받침대(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는 바,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하여 위치고정부재(20)가 받침대(10)에 완전하게 고정되면 안된다.
한편, 위치고정부재(20)의 중앙부에는 위치고정부재(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24)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24)은 후술할 높이조절기둥(60)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높이조절기둥(60)은 후술할 지지체(70)의 개략적 높이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받침대(10)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위치고정부재(20)에 결합된다.
높이조절기둥(60)은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홈부(61)가 형성되어 있는 4각 기둥 형태의 프로파일이 사용된다. 높이조절기둥(60)의 하부에는 위치고정부재(20)의 관통공(24)과 대응되는위치에 4개의 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되며, 나사(29)는 위치고정부재(20)의 관통공(24)으로부터 삽입되어 높이조절기둥(60)의 나사공에 체결됨으로써, 높이조절기둥(60)이 위치고정부재(20)에 결합된다.
지지체(70)는 자동차 부품(c)과 접촉되어 자동차 부품(c)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지지체(70)의 일단부는 높이조절기둥(60)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자동차 부품(c)의 특정한 지점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70)는 수지제(71)와 접촉체(72)로 이루어지는데, 높이조절기둥(60)으로는 개략적인 높이만 조절한 후 수지제(71)를 이용하여 정확한 높이를 맞추고, 최종적으로 자동차 부품(c)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접촉체(72)가 부착된다. 접촉체(72)는 자동차 부품(c)의 형상과 정확하게 매칭되도록 성형된다. 다만, 별도의 접촉체가 없이 수지제의 단부를 자동차 부품(c)의 형상과 대응되게 성형하여 자동차 부품(c)을 지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지제(71)는 경도가 약하여 수지제(71) 자체를 성형하여 직접 자동차 부품(c)과 접촉하게 하면 빈번한 유지보수의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바, 수지제 보다 경도가 강한 별도의 접촉체(72)를 성형하여 부품(c)을 지지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접촉체(72)의 재료는 다양할 수 있으며, 금속 성분이 포함되어 경도가 강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동차 부품(c)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동차 부품(c)을 고정하여야 하는데, 자동차 부품(c)의 많은 영역들 중 기준점을 클램핑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기준점이란 대부분 자동차 부품(c) 중 다른 자동차 부품과 상호 결합되는 부분, 대면하는 부분 또는 매칭되는 부분으로 정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기준점은 소위 GD&T로 약칭되는 기하공차(geometric tolerence)의 개념인 A 데이텀(datum), B 데이텀 및 C 데이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텀 또는 복수의 데이텀으로 작용한다. 즉, 하나의 기준점이 위 A,B,C데이텀 중 하나의 데이텀으로 작용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데이텀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홀이 형성되어 있는 지점에서는 대략 2가지의 데이텀으로 작용하게 된다.
클램핑부재(80)는 지지체(70)에 지지되어 있는 자동차 부품(c)을 클램핑하여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클램핑부재(80)는 공지의 부재로서, 고정부(81)와 레버(82) 및 클램핑부(83)를 구비한다. 고정부(81)는 높이조절기둥(60)에 결합되는데, 높이조절기둥(60)의 홈부(61)에 끼워져 나사 등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81)는 높이조절기둥(60)의 홈부(61)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그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레버(82)는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되며, 클램핑부(83)는 레버(82)의 회전에 의하여 자동차 부품(c)을 상방에서 가압 및 고정하여 자동차 부품(c)이 지지체(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클램핑부(83)의 가압에 의하여 자동차 부품(c)이 고정되는 상태는 도 5의 확대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100)의 호환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정한 자동차 부품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그(100)를 제작하여 사용한 뒤, 자동차의 생산이 중지되는 등의 이유로 이 특정 부품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검사가 필요없게 된다. 이렇게 더 이상 특정 부품에 대한 검사가 필요없게 되면, 종래에는 이 지그를 폐기처분할 수 밖에 없었으며, 그 부피와 무게로 인하여 보관이나 폐기도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지그(100)는 범용성이 뛰어난 바 받침대(10), 위치고정부재(20) 및 고정핀(30)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어셈블리(50)를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다. 즉, 위 베이스 어셈블리(50)는 새로운 부품에 대한 지그의 베이스 어셈블리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부품검사장에서 새로운 부품에 대한 지그의 제작을 요청한 경우, 새롭게 검사 대상이 되는 부품에 맞도록 높이조절기둥(60)과 지지체(70)를 다시 설계하여 조립한 후, 이 조립체를 부품검사장에 보내면서 기존의 받침대(10) 상에서 이 조립체가 X,Y축 상 어느 위치에 배치되는지만을 알려준다. 부품검사장에서는 기존의 지그에서 위치고정부재(20)를 분리해내고, 높이조절기둥 및 지지체를 제거한 후 새롭게 보내진 높이조절기둥과 지지체의 조립체를 부착한다. 이렇게 새롭게 제작된 높이조절기둥(60)과 지지체(70)를 위치고정부재(20)에 결합한 후, 최종적으로 위치고정부재(20)를 받침대(10) 상에 조립하면 새로운 부품에 대한 지그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에서는 부피가 매우 큰 받침대(10) 및 위치고정부재(20)는 그대로 이용하면서, 단지 부피가 작은 높이조절기둥(60)과 지지체(70)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기존에 지그 전체를 폐기하던 것에 비하여 호환성과 범용성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부품검사장 등에서 지그를 교체할 때에는 새롭게 만들어온 높이조절기둥과 지지체의 조립체를 받침대(10) 상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10)와 위치고정부재(20)에 정밀하게 가공된 제1,2핀홀(12,22)에 고정핀(30)을 삽입시켜 새로운 조립체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
10 : 받침대
20 : 위치고정부재 30 : 고정핀
40 : 고리부재 50 : 베이스 어셈블리
60 : 높이조절기둥 70 : 지지체
80 : 클램핑부재 c : 자동차 부품
20 : 위치고정부재 30 : 고정핀
40 : 고리부재 50 : 베이스 어셈블리
60 : 높이조절기둥 70 : 지지체
80 : 클램핑부재 c : 자동차 부품
Claims (2)
- 자동차 부품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자동차 부품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X축과, 상기 X축에 대하여 수직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Y축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에서 상기 각 X축과 각 Y축이 만나는 교점에 복수의 제1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위에 복수 개 배치되어 상기 받침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1핀홀과 대응되는 제2핀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위치고정부재;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1핀홀과 제2핀홀에 함께 끼워져 상기 받침대 상에서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핀;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복수의 높이조절기둥;
상기 높이조절기둥에 결합되며 상기 자동차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지지된 상기 자동차 부품을 고정하도록 상기 높이조절기둥에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Y축을 따라 상기 제1핀홀들의 사이에 제1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부재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제2결합공이 형성되어,
나사가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 함께 끼워져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상기 받침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있는 제1결합공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는 제1결합공에 체결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기둥의 중앙부에도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나사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나사공에 끼워져 체결되는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를 인상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리부재를 더 구비되는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4919A KR20240054670A (ko) | 2022-10-19 | 2022-10-19 | 검사 정밀도가 우수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4919A KR20240054670A (ko) | 2022-10-19 | 2022-10-19 | 검사 정밀도가 우수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4670A true KR20240054670A (ko) | 2024-04-26 |
Family
ID=9088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4919A KR20240054670A (ko) | 2022-10-19 | 2022-10-19 | 검사 정밀도가 우수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54670A (ko) |
-
2022
- 2022-10-19 KR KR1020220134919A patent/KR20240054670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0039B1 (ko) |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 및 자동차 부품 검사용 범용 지그의 베이스 어셈블리 | |
US5024002A (en) | Apparatus with a supporting fram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uch a frame | |
FI93178C (fi) | Laite työkappaleen kiinnittämiseksi asemaltaan määritellysti työstöpöydälle | |
US2676413A (en) | Design and construction of jigs and fixtures | |
US4968012A (en) | Modular workpiece holding apparatus | |
US20190078879A1 (en) | Machine tool test fixture | |
CN203240981U (zh) | 一种汽车仪表板横梁分总成柔性检验工装 | |
CN108608216A (zh) | 一种桥式龙门铣床立柱安装调整结构及其调整方法 | |
CN201073735Y (zh) | 加工结晶器铜管用夹具 | |
CN111702521B (zh) | 异型体零件加工方法、夹具和夹具设计方法 | |
CN114932242A (zh) | 飞机部件接头孔精加工定位防颤工装及精加工工艺 | |
KR20240054670A (ko) | 검사 정밀도가 우수한 자동차 부품용 총합검사구 | |
CN106624890A (zh) | 一种机械加工夹具 | |
KR20220130329A (ko) | 범용 사용이 가능한 자동차 부품용 검사 지그 | |
CN107813108B (zh) | 一种薄壁零件加工方法 | |
US588439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the chassis and or bodywork of automotive vehicles | |
CN113804136A (zh) | 一种基于nc点阵的工件检具平台及柔性自动测量系统 | |
US511911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entering aligning and attaching carriage shafts in a pen plotter | |
CN105108512A (zh) | 花盘角铁式车床夹具 | |
CN105196075A (zh) | 一种曲面定位钻孔装置 | |
JP3408380B2 (ja) | 姿見用検査治具 | |
CN216464195U (zh) | 大型薄壁件的装夹工装 | |
CN221882424U (zh) | 零部件检测装置 | |
CN210741417U (zh) | 高精度三坐标测量仪 | |
CN211361451U (zh) | 保证工件加工各个面基准统一的治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