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075A -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075A
KR20240054075A KR1020220134357A KR20220134357A KR20240054075A KR 20240054075 A KR20240054075 A KR 20240054075A KR 1020220134357 A KR1020220134357 A KR 1020220134357A KR 20220134357 A KR20220134357 A KR 20220134357A KR 20240054075 A KR20240054075 A KR 20240054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connector housing
fixture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075A/ko
Publication of KR2024005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수납부(13)가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10)과, 상기 터미널수납부(13)에 수납되는 복수의 터미널(50A,5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는 터미널고정구(30A,30B)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는 상기 터미널수납부(13)의 입구와 연결되는 삽입구(43)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12)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구(43)가 형성되는 전면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터미널수납부(13)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결구(33)를 갖는 스페이서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와 상기 스페이서부(31)는 연결스트랩(4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having 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본 발명은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전기제어나 전원분배를 위해서 다양한 커넥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들은 암/수 한 쌍으로 구성되고, 암/수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암/수커넥터의 내부에 각각 암/수터미널이 배치되고, 암터미널과 수터미널이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자동차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커넥터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데, 커넥터에는 서로 다른 규격의 터미널 또는 다른 개수의 터미널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규격이란 터미널의 크기(폭 또는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규격 또는 개수의 터미널이 적용되면, 커넥터의 내부회로가 달라져 커넥터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서로 다른 규격이나 개수의 터미널들이 적용되는 커넥터들은 서로 호환되지 않으므로 개별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는 커넥터들마다 별도의 생산수단(금형 등)을 마련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렇게 되면 커넥터들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의 수가 증가하여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09902에는 키코드를 커넥터에 조립할 수 있는 키코드 분리/교체형 커넥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키코드 분리형 커넥터는 단지 커넥터의 조립과 관련된 키코드를 교체할 수 있는데 그치며, 다른 규격의 터미널을 수용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344778 한국 공개특허 10-2011-0076582 일본 공개특허 JP2013-05107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규격 또는 개수의 터미널들과 호환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이 수납되는 커넥터하우징은 변경하지 않고,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터미널고정구를 교체하여 다양한 규격/개수의 터미널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규격의 터미널들이 동일한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서 각각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수납부가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수납부에 수납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터미널고정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상기 터미널수납부의 입구와 연결되는 삽입구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고정구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구가 형성되는 전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고정구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터미널수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결구를 갖는 스페이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와 상기 스페이서부는 연결스트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은 서로 크기가 다른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제1터미널이 삽입되는 제1삽입구와, 상기 제2터미널이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구와 다른 크기를 갖는 제2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고정구에는 복수의 상기 제1삽입구와, 복수의 상기 제2삽입구를 포함하는 제1터미널고정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터미널고정구에는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를 대체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제1삽입구 및 복수의 상기 제2삽입구와 다른 개수 또는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상기 제1삽입구 및 복수의 상기 제2삽입구를 포함하는 제2터미널고정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차조립 및 제2차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부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제1차조립되었을 때 상기 삽입구, 상기 터미널수납부 및 상기 스페이서부의 연결구는 서로 연속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부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제2차조립되었을 때 상기 연결구는 상기 삽입구 및 상기 터미널수납부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와 상기 스페이서부는 각각 상대커넥터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스트랩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된 절곡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상면 중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부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걸림단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전면하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전면고정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수납부에는 상기 터미널수납부의 좌우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부재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터미널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보다 넓은 폭을 갖는 한 쌍의 측면지지턱이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턱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일단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터미널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표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암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반대편에 배치된 결합구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결합구를 통해 상대커넥터의 상대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상기 터미널수납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턱은 상기 제1터미널의 상부에서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암은 상기 제2터미널의 양쪽 측면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암의 표면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표면과 마주볼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규격의 터미널에 대응하는 구조는 터미널고정구에 적용될 수 있다. 터미널의 규격의 변경되면, 터미널고정구를 교체하여 변경된 규격의 터미널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골격을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 자체는 변경하지 않아도 되므로, 터미널의 규격마다 별도의 커넥터하우징을 만들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커넥터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터미널고정구는 터미널을 고정해주는 본래의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나의 부품(터미널고정구)으로 (i) 특정 규격(또는 개수)의 터미널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ii) 커넥터하우징에 수용된 터미널을 고정하여 고정력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미널고정구는 터미널을 고정해주는 스페이서부와, 터미널의 규격에 대응하는 전면부가 서로 연결스트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스트랩은 유연한 구조이므로 스페이서부가 먼저 커넥터하우징에 조립된 후에 전면부가 회전하여 커넥터하우징의 전면에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하우징에 서로 다른 규격의 터미널들이 장착되더라도, 이들은 모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부재는 (i)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1터미널이 장착되면 제1터미널의 측면지지턱을 걸어 고정할 수 있고, (ii)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2터미널이 장착되면 제2터미널의 측면지지암을 양쪽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하우징의 구조를 바꾸지 않더라도, 서로 다른 규격의 터미널을 모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커넥터하우징의 호환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실시례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터미널고정구가 커넥터하우징에 조립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터미널고정구가 커넥터하우징에 조립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스페이서부가 1차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VII-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터미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일실시례에 제1터미널이 수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터미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일실시례에 제2터미널이 수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과 개수를 갖는 터미널(50A,50B)을 수용하여, 호환성을 높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과 개수를 갖는 터미널(50A,50B)을 구분하여 수용하기 위한 부분을 터미널고정구(30A,30B)에 둔 것이다. 이하에서는 터미널(50A,50B)의 구분을 위한 터미널고정구(30A,30B)와, 다양한 터미널(50A,50B)을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한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커넥터와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커넥터와 상대커넥터로 칭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7에는 커넥터가 뒤집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고정구(30A,30B)의 구조를 보다 잘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보면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를 구성하는 스페이서부(31)가 커넥터의 위쪽으로 노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스페이서부(31)가 아래에서 위로 조립되어 아래쪽으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만 도시되어 있고, 이와 조립되는 상대커넥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상대커넥터에는 별도의 상대터미널이 수납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터미널(50A) 또는 제2터미널(5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 중 제1터미널고정구(30A)가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30A)의 스페이서부(31)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제1차조립(가조립) 및 제2차조립(완전조립)될 수 있는데, 도 1에는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제2차조립된 상태가 표현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제1차조립된 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터미널(50A) 또는 제2터미널(50B)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50A)과 상기 제2터미널(50B)에는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2를 보면, 상기 커넥터의 골격은 커넥터하우징(10)이 만드는데,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커넥터하우징몸체(11)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몸체(11)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은 상대커넥터의 커넥터하우징(미도시)과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고정구(30A,30B)의 전면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수납부(13)가 있다. 상기 터미널수납부(13)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전후 방향은 상기 커넥터에 상대커넥터가 조립되는 방향과 같다. 상기 터미널수납부(13)에는 상기 제1터미널(50A)과 상기 제2터미널(50B)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는 복수개의 상기 터미널수납부(1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수납부(13)의 개수는 커넥터의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수납부(13)는 제1수납부(13a)와 제2수납부(13b)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납부(13a)는 제2수납부(13b)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수납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납부(13a)에는 항상 동일한 규격의 터미널(50A,50B)이 수납되는데 반해, 제2수납부(13b)에는 서로 다른 규격의 터미널(제1터미널(50A)/제2터미널(50B))들이 수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수납부(13b)의 크기와 개수는 동일하지만,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가 조립됨에 따라 서로 다른 규격의 터미널(50A,50B)들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보면, 본 실시례에서 복수의 상기 제2수납부(13b)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2행으로 배치되고, 각 행마다 6개씩의 제2수납부(13b)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제2수납부(13b)들 중에서, 우측으로부터 제6열에 배치된 제2수납부(13b)에는 서로 다른 규격의 터미널(50A,50B)이 수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터미널고정구(30A)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수납부(13)의 앞쪽에는 제1터미널고정구(30A)의 전면부(40)에 형성된 삽입구(43a,43b)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43a,43b)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터미널수납부(13a,13b)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우측으로부터 제1열-제6열에 배치된 제2수납부(13b, 도 4의 A1 구역)는 제1터미널고정구(30A)의 전면부(40)에 형성된 삽입구(43b)가 덮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40)의 우측으로부터 제6열에 배치된 상기 삽입구(43b)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삽입구(43b)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30A)에서, 우측으로부터 제1열-제6열의 제2수납부(43b)들은 모두 같은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를 보면, 제2터미널고정구(30B)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수납부(13)의 앞쪽에는 제2터미널고정구(30B)의 전면부(40)에 형성된 삽입구(43a,43b)가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터미널고정구(30B)는 도 4의 제1터미널고정구(30A)와 다른 종류인 제2터미널고정구(30B)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제1열 내지 제6열에 배치된 제2수납부(13b)들은 제2터미널고정구(30B)의 전면부(40)에 형성된 삽입구(43a,43b)가 덮고 있다. 그리고 우측으로부터 제6열(A2 구역)에 배치된 상기 삽입구(43a)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삽입구(43a)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제2터미널고정구(30B)에서, 우측으로부터 제6열에는 앞서와 달리 크기가 작은 제1수납부(43a)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측으로부터 제6열의 제1수납부(43a)는 우측으로부터 제1열 내지 제5열의 제2수납부(43b)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커넥터하우징(10)의 터미널수납부(13)들 중에서, 우측으로부터 제1열 내지 제6열에 배치된 제2수납부(13b)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지만,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되는 터미널고정구(30A,30B)의 종류에 따라 우측으로부터 제6열의 입구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우측으로부터 제6열(A2)의 입구는 도 4에 도시된 우측으로부터 제6열(A1)의 입구 보다 작기 때문에,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제1터미널(50A)은 삽입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를 교체하여, 커넥터의 회로 구성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와 도 11을 보면, 상기 터미널수납부(13)에는 상기 터미널수납부(13)의 좌우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부재(14)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는 상기 터미널(50A,50B)의 앞부분을 고정하고 지지해줄 수 있다. 상기 터미널수납부(13)에는 제1터미널(50A) 또는 제2터미널(50B)이 선택적으로 수납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부재(14)는 상기 제1터미널(50A)과 제2터미널(50B)을 모두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는 상대커넥터의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결합구(1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14)는 상기 결합구(13')와 인접한 위치에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4)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결합구(13') 상부의 폭을 좁히게 된다.
먼저 도 9에서 상기 제1터미널(50A)이 삽입된 모습을 보면, 상기 제1터미널(50A)에 형성된 측면지지턱(56')이 상기 지지부재(14)에 걸릴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측면지지턱(56') 사이의 폭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4) 사이의 폭 보다 넓기 때문에, 상기 측면지지턱(56')은 상기 지지부재(14)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지지턱(56')의 앞부분이 상기 지지부재(14)의 일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에서 상기 제2터미널(50B)이 삽입된 모습을 보면, 상기 제2터미널(50B)에 형성된 측면지지암(57)이 상기 지지부재(14)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암(57)은 한 쌍의 지지부재(14)의 표면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측면지지암(57)은 상기 제2터미널(50B)의 양쪽에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암(57)은 상기 제2터미널(50B)의 양쪽 측면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암(57)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14)와 겹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암(57)의 표면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4)의 표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암(57)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4)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지지부재(14)는 상기 측면지지암(57)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부재(14)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제1터미널(50A)과 제2터미널(50B)을 모두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지지부재(14)는 한 쌍으로 구성되지 않고, 상기 결합구(13')와 인접한 터미널수납부(13)의 좌측내면 또는 우측내면에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보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는 스페이서수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수납부(15)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수납부(15)의 입구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상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삽입부는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의 스페이서부(31)가 메우게 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수납부(15)를 중심으로, 상기 제1수납부(13a)와 상기 제2수납부(13b)는 상기 스페이서수납부(15)의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수납부(15)의 존재로 인해, 상기 제1수납부(13a)와 제2수납부(13b)는 연속된 경로를 가질 수 없지만, 상기 스페이서부(31)에 형성된 연결구(33)가 이들을 서로 연결해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부(31)의 연결구(33)는 상기 터미널수납부(13)의 일부를 구성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측면은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측면의 일부는 개방되어 걸림창(16)이 형성되고, 여기에 걸림단(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단(16')은 일종의 이탈방지턱으로 볼 수 있는데, 상기 걸림단(16')에는 스페이서부(31)의 걸림턱(36)이 걸릴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31)의 상기 걸림턱(36)은 제1걸림턱(36a)과 제2걸림턱(36b)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걸림턱(36a)이 상기 걸림단(16')에 걸리면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제1차조립된 것이고(도 6참조), 상기 제2걸림턱(36b)이 상기 걸림단(16')에 걸리면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제2차조립된 것이다(도 1참조).
도 7을 보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에는 랜스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랜스부(17)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랜스부(17)는 터미널(50A,50B)을 걸어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의 아래쪽을 보면, 상기 터미널(50A,50B)의 스토핑부(55)가 상기 랜스부(17)에 걸린 모습을 볼 수 있다.
다시 도 2를 보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12)하부에는 고정편(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9)에는 고정홀(18)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18)에는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의 전면부(40)에 형성된 전면고정턱(48)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18)에 상기 전면고정턱(48)이 삽입되면, 상기 전면부(4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12)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9)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12)하부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20은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체결부(20)를 통해 상기 상대커넥터와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를 보면,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된다.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되면, 상기 랜스부(17)와 함께 상기 터미널(50A,50B)을 걸어 고정해주는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는 상기 터미널수납부(13)에 수납되는 터미널(50A,50B)의 규격을 선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때, 전자의 기능은 스페이서부(31)가 담당하고, 후자의 기능은 전면부(40)가 담당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50A,50B)의 규격을 선별하는 기능을 하는 상기 전면부(40)의 형태에 따라,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는 제1터미널고정구(30A)와 제2터미널고정구(50B)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에는 제1터미널고정구(30A)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30A)와 상기 제2터미널고정구(30B)는 상기 전면부(40)의 구조를 제외하면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30A)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30A)는 크게 스페이서부(31), 전면부(40)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스트랩(47)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부(31)는 상기 스페이서수납부(15)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전면부(4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12)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스트랩(47)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31)는 대략 육면체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31)에는 상기 연결구(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33)는 상기 스페이서부(31)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33)는 상기 스페이서수납부(15)로 인해 단절된 터미널수납부(13)를 연속적으로 이어줄 수 있다.
상기 연결구(33)는 제1연결구(33a)와 제2연결구(33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구(33a)는 상기 제1수납부(13a)와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구(33b)는 상기 제2수납부(13b)와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i) 상기 전면부(40)의 제1삽입구(43a)-제1수납부(13a)-제1연결구(33a)-제1수납부(13a)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ii) 상기 전면부(40)의 제2삽입구(43b)-제2수납부(13b)-제2연결구(33b)-제2수납부(13b)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또 하나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31)의 측면(35)에는 걸림턱(3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36)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걸림단(16')에 걸리는 부분으로, 상기 스페이서부(31)의 측면(35)에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31)의 상기 걸림턱(36)은 제1걸림턱(36a)과 제2걸림턱(36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턱(36a)과 상기 제2걸림턱(36b)은 스페이서부(31)의 측면(35)에서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걸림턱(36a)이 상기 제2걸림턱(36b) 보다 낮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걸림턱(36a)이 상기 걸림단(16')에 걸리면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제1차조립된 것이고(도 6참조), 상기 제2걸림턱(36b)이 상기 걸림단(16')에 걸리면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제2차조립된 것이다(도 1참조). 이처럼 상기 스페이서부(31)는 상기 스페이서수납부(15)에 삽입되는 깊이를 달리하면서 순차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50A,50B)은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제1차조립되었을 때에만 상기 연결구(33)를 통과할 수 있고, 제2차조립되면 통과할 수 없다. 또한, 이미 상기 터미널수납부(13)에 수납된 터미널(50A,50B)은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제2차조립되면 분리되지 못한다.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50A,50B)의 스토핑부(55)가 상기 랜스부(17)에 걸릴 뿐 아니라, 상기 연결구(33)의 주변부에 걸리기 때문이다.
상기 전면부(40)는 상기 스페이서부(31)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12)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12)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는 대략 판상구조인 전면몸체(4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는 회전되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는 상기 연결스트랩(47)을 통해서만 상기 스페이서부(3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전면부(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부(40)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전면부(4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하부에 배치된 고정편(19)도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에는 복수의 삽입구(43)들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43)는 상기 터미널(50A,50B)이 터미널수납부(13)에 수납될 때 통과하게 되는 일종의 입구로 볼 수 있다. 상기 삽입구(43)의 반대편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상기 결합구(13',도 3참조)가 배치되는데, 상기 결합구(13')를 통해서는 상대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43)는 제1삽입구(43a)와 제2삽입구(43b)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구(43a)와 상기 제2삽입구(43b)는 서로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상기 제2삽입구(43b)는 제1삽입구(43a) 보다 면적이 크고,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구(43a)를 통해서 제1터미널(50A)이 삽입되고, 제2삽입구(43b)를 통해서 제2터미널(50B)이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터미널고정구(30A)와 제2터미널고정구(30B)는 상기 제2삽입구(43b)의 개수를 서로 달리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30A)는 우측에서 6번째 열(A1 구역)에 제2삽입구(43b)가 배치되는데 반해, 도 5에 도시된 상기 제2터미널고정구(30B)는 우측에서 6번째 열(A2 구역)에 제1삽입구(43a)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30A) 또는 제2터미널고정구(30B) 중 어느 터미널고정구(30A,30B)를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하는지에 따라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수납되는 터미널(50A,50B)의 종류가 달라지고, 회로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보면, 상기 전면부(40)의 하부에는 전면고정턱(4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고정턱(48)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고정홀(18)에 삽입되어 상기 전면부(40)의 조립상태를 잠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전면고정턱(48)은 상기 전면부(40)의 양쪽에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와 상기 스페이서부(31)는 상기 연결스트랩(47)이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스트랩(47)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스트랩(47)은 폭에 비해 두께가 얇아 유연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부(40)와 상기 스페이서부(31) 사이의 간격, 각도는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스트랩(47)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된 절곡부(4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48)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48)로 인해 상기 연결스트랩(47)은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곡부(48)가 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면 상기 연결스트랩(47)의 전체 길이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8과 도 10을 참고하여, 터미널(50A,50B)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터미널(50A,50B)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터미널(50A)과 제2터미널(50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터미널(50A)은 상기 제2터미널(50B) 보다 크기가 크다. 도 8에는 제1터미널(50A)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제2터미널(50B)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제1터미널(50A)을 보면, 상기 제1터미널(50A)의 골격은 몸체부(51)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51)는 대략 전후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51)의 일단부는 상기 스페이서부(31)에 의해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제2차조립된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상기 제1터미널(50A)의 일단부를 걸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몸체부(51)의 앞쪽에는 상대터미널의 탭(미도시) 부분이 삽입되는 탭삽입홀(52)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탭삽입홀(52)에 상기 상대터미널의 탭이 삽입되면, 상기 제1터미널(50A)과 상대터미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50A)의 몸체부(51)에는 스프링암(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암(53)은 상기 제1터미널(50A)의 일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암(53)은 상대터미널의 탭 표면을 가압하여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암(53)은 암연결부(53a)와, 상기 암연결부(53a)에서 외팔보형태로 연장되는 암연장부(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50A)의 몸체부(51) 전방에는 차단벽(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54)은 상기 탭삽입홀(5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대터미널의 탭이 오삽입될 때 탭과 간섭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54)은 몸체부(51)의 전방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터미널(50A)에는 스토핑부(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부(55)는 상기 몸체부(51)의 상부 중 일부가 아래쪽으로 함몰된 형태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부(55)는 함몰된 형상의 일단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스토핑부(55)는 상기 랜스부(17)에 걸려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 7을 보면, 상기 스토핑부(55)가 상기 랜스부(17)에 걸린 모습을 볼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서는 상기 스토핑부(55)가 아래쪽으로 향한 모습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8에서는 이와 반대로, 상기 스토핑부(55)가 위쪽을 향한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터미널(50A)에는 함몰지지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지지부(56)는 상기 제1터미널에서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함몰된 형태의 함몰지지부(56)에는 상기 지지부재(14)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터미널(50A)이 상기 터미널수납부(13)에 수납되면 상기 함몰지지부(56)에는 상기 지지부재(14)가 배치되어, 함몰된 부분을 메울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이 도 9에 표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함몰지지부(56)의 일단에는 측면지지턱(56')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턱(56')은 상기 제1터미널(50A)이 상기 터미널수납부(13)의 내부에서 유격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턱(56')은 상기 지지부재(14)의 일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턱(56')은 상기 지지부재(14)의 일단부와 직접 접촉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지지턱(56')은 상기 제1터미널(50A)의 상부에서 함몰된 함몰지지부(56)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측면지지턱(56')은 상기 몸체부(51)의 상면(도 8 기준) 보다 낮게 함몰된 함몰지지부(56)의 일단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턱(56')이 함몰지지부(56)의 일단부에 형성되면, 상기 함몰지지부(56)는 상기 지지부재(14)와 간섭되지 않지만, 상기 측면지지턱(56')은 상기 지지부재(14)와 간섭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지지턱(56')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14)의 일단부와 만나 지지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58은 와이어(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고하여 제2터미널(50B)을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상기 제2터미널(50B)의 구조는 제1터미널(50A)과 유사하므로, 제1터미널(50A)의 구조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제2터미널(50B)은 상기 제1터미널(50A)에 비해 좌우폭이 좁다. 따라서, 상기 제2터미널(50B)은 상기 터미널수납부(13) 내부에서 자칫 좌우로 흔들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터미널(50B)에는 측면지지암(57)이 구비된다. 상기 측면지지암(57)은 상기 제2터미널(50B)이 상기 터미널수납부(13)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측면지지암(57)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4)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암(57)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4)의 표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측면지지암(57)은 상기 제2터미널(50B)의 몸체부(51) 양쪽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지지암(57)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14)와 겹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암(57)의 표면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4)의 표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암(57)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4)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지지부재(14)는 상기 측면지지암(57)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30A)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보면,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30A)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30A)의 스페이서부(31)가 상기 스페이서수납부(15)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31)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스페이서부(31)의 제1걸림턱(36a)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걸림단(16')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페이서부(31)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제1차조립되어,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도 6을 보면,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제1차조립만 되어 약간 돌출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제1차조립된 후에, 상기 전면부(40)가 회전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12)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는 상기 연결스트랩(47)을 통해서 상기 스페이서부(31)에 연결되므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가 회전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12)에 밀착되면, 상기 전면부(40)의 전면고정턱(48)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전면(12)하부에 있는 고정홀(18)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제2차조립되기에 앞서, 상기 터미널(50A,50B)들이 터미널수납부(13)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제1차조립되면, 상기 삽입구(43), 상기 터미널수납부(13) 및 상기 스페이서부(31)의 연결구(33)는 서로 연속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50A,50B)이 커넥터하우징(1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50A,50B)들은 상기 전면부(40)에 형성된 삽입구(43)를 통해서 삽입되므로, 상기 삽입구(43)의 규격에 맞는 터미널(50A,50B)들이 상기 터미널수납부(13) 안쪽으로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삽입구(43a) 보다 큰 터미널(50A,50B)은 제1삽입구(43a)를 통해서 삽입될 수 없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50A,50B)들이 모두 수납되면,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제2차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부(31)는 상기 터미널(50A,50B)의 몸체부(51) 일단을 걸어, 상기 랜스부(17)와 함께 상기 터미널(50A,50B)을 이중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제2차조립되면, 상기 연결구(33)는 상기 삽입구(43) 및 상기 터미널수납부(13)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부(31)가 상기 터미널(50A,50B)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의 용도나 기능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30A)를 커넥터하우징(10)에서 분리하고, 상기 제2터미널고정구(30B)를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할 수 있다. 즉, 적용하고자 하는 터미널(50A,50B)의 규격의 변경되면, 상기 터미널고정구(30A,30B)를 교체하여 변경된 규격의 터미널(50A,50B)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골격을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10) 자체는 변경하지 않아도 되므로, 터미널(50A,50B)의 규격마다 별도의 커넥터하우징(10)을 준비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커넥터하우징 13: 터미널수납부
13': 결합구 14: 지지부재
15: 스페이서수납부 16': 걸림단
17: 랜스부 18: 체결편
20: 체결부 30: 터미널고정구
30B: 제1터미널고정구 30B: 제2터미널고정구
31: 스페이서부 33: 연결구
40: 전면부 43: 삽입구
50A: 제1터미널 50B: 제2터미널
51: 몸체부 53: 스프링암
55: 스토핑부 56: 함몰지지부
56': 측면지지턱 57: 측면지지암

Claims (15)

  1. 내부에 터미널수납부가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
    상기 터미널수납부에 수납되고, 와이어가 연결되는 복수의 터미널;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수납부의 입구와 연결되는 삽입구를 갖는 터미널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구가 형성되는 전면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터미널수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결구를 갖는 스페이서부;
    상기 전면부와 상기 스페이서부를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스트랩;을 포함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서로 크기가 다른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제1터미널이 삽입되는 제1삽입구;와
    상기 제2터미널이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구와 다른 크기를 갖는 제2삽입구;를 포함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복수의 상기 제1삽입구와, 복수의 상기 제2삽입구를 포함하는 제1터미널고정구;와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를 대체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제1터미널고정구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제1삽입구 및 복수의 상기 제2삽입구와 다른 개수 또는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상기 제1삽입구 및 복수의 상기 제2삽입구를 포함하는 제2터미널고정구;를 포함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차조립 및 제2차조립되고,
    상기 스페이서부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제1차조립되었을 때 상기 삽입구, 상기 터미널수납부 및 상기 스페이서부의 연결구는 서로 연속된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스페이서부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제2차조립되었을 때 상기 연결구는 상기 삽입구 및 상기 터미널수납부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배치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스페이서부는 각각 상대커넥터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장착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스트랩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된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전면을 구성하고,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상면 중 일부를 구성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걸림단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전면하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전면고정턱이 구비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수납부에는 상기 터미널수납부의 좌우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부재가 돌출되고,
    상기 제1터미널에는 함몰된 형태의 함몰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이 상기 터미널수납부에 수납되면 상기 함몰지지부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2터미널에는 한 쌍의 측면지지암이 돌출되고, 상기 제2터미널이 상기 터미널수납부에 수납되면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암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표면에 지지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반대편에 배치된 결합구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구를 통해 상대커넥터의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상기 터미널수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함몰지지부의 일단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지지되는 측면지지턱이 돌출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암은 상기 제2터미널의 양쪽 측면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암의 표면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표면과 마주보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14. 내부에 터미널이 배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대터미널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내부에 터미널수납부가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
    상기 터미널수납부에 수납되는 복수의 상기 터미널;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수납부의 입구와 연결되는 삽입구를 갖는 터미널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수납부에는 상기 삽입구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위치에 결합구가 개방되며, 상기 결합구를 통해 상기 상대터미널이 상기 터미널수납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터미널수납부의 좌우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부재가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고정구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구가 형성되는 전면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터미널수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결구를 갖는 스페이서부;
    상기 전면부와 상기 스페이서부를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스트랩;을 포함하는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20134357A 2022-10-18 2022-10-18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240054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357A KR20240054075A (ko) 2022-10-18 2022-10-18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357A KR20240054075A (ko) 2022-10-18 2022-10-18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075A true KR20240054075A (ko) 2024-04-25

Family

ID=9088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357A KR20240054075A (ko) 2022-10-18 2022-10-18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07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582A (ko)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JP2013051077A (ja) 2011-08-30 2013-03-14 Yazaki Corp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被覆部材
KR101344778B1 (ko) 2007-07-30 2013-12-26 타이코에이엠피(유) 패널 고정식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778B1 (ko) 2007-07-30 2013-12-26 타이코에이엠피(유) 패널 고정식 커넥터
KR20110076582A (ko)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JP2013051077A (ja) 2011-08-30 2013-03-14 Yazaki Corp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被覆部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707B2 (ja) 垂直嵌合雌端子及びこれが装着されるハウジング
JP4955731B2 (ja) 基板対基板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0940733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718615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re harness, and method for arranging wire harness
JP6729273B2 (ja) コネクタ構造
US4784623A (en) Mass terminable flat flexible cable to pin connector
EP0418698B1 (e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uch a terminal
US9368896B2 (en) Connector
JPH06236784A (ja) 端子位置保証部材付き電気コネクター
KR20020075225A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2019192527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5997362A (en) Connector
US5083944A (en) Wire to wire electrical connector with blade contact
CN111864472B (zh) 电插接装置的插接连接器及由插接连接器和功能元件构成的组件
JP6931223B2 (ja) 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US6077092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abilizing structure for spacer and terminal
US5921807A (en) Crimping connector
US573314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retaining piece
JP2019192526A (ja) 電気コネクタ
US5997365A (en) Connector
KR20240054075A (ko) 터미널고정구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JP5155116B2 (ja) 二重係止コネクタ
JP6812917B2 (ja) 端子金具
WO2014007051A1 (ja) コネクタおよび接続端子
JP5342299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