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483A - A barge with reinforced flooring - Google Patents

A barge with reinforced flo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483A
KR20240053483A KR1020220151118A KR20220151118A KR20240053483A KR 20240053483 A KR20240053483 A KR 20240053483A KR 1020220151118 A KR1020220151118 A KR 1020220151118A KR 20220151118 A KR20220151118 A KR 20220151118A KR 20240053483 A KR20240053483 A KR 20240053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ttom plate
barge
reinforced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1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인화
권오근
Original Assignee
(주)블루웨이
권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웨이, 권오근 filed Critical (주)블루웨이
Publication of KR2024005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4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60Concretes
    • B63B2231/64Reinforced or armoured concre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부에 소정의 재질과 소정의 형상으로 되는 여러 개의 부력체를 마련하고 그 위에다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재질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바닥판의 구조강성을 증대하기 위한 보강부가 있게 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특히나 하부 부력체가 그 상부의 바닥판 또는 보강부에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의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ge, and specifically, providing several buoyancy bodies made of a predetermined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shape at the bottom, forming a bottom plate made of concrete or mortar on top of them, and improv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bottom plate.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barge with a structure that allows the lower buoyancy body to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upper floor plate or reinforcement portion in order to have a reinforcing portion to increase.

Description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A BARGE WITH REINFORCED FLOORING}Barge with reinforced bottom plate {A BARGE WITH REINFORCED FLOORING}

본 발명은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부에 소정의 재질과 소정의 형상으로 되는 여러 개의 부력체를 마련하고 그 위에다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재질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바닥판의 구조강성을 증대하기 위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재질의 보강부가 있게 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특히나 하부 부력체가 그 상부의 바닥판 또는 보강부에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의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ge, and specifically, providing several buoyancy bodies made of a predetermined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shape at the bottom, forming a bottom plate made of concrete or mortar on top of them, and improv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bottom plate.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barge with a structure that allows the lower buoyancy body to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upper floor plate or reinforcement part in order to have a reinforcing part made of concrete or mortar to increase it.

바지선은 바다의 해상이나 또는 육지의 호수나 댐이나 강 같은 곳에서 소정의 화물을 실어서 보관을 하거나 운송을 하거나 또는 해상이나 수상에서 사람들이 이용하는 각종의 시설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바닥을 평평하게 형성한 선박이다. Barges have flat bottoms so that they can load and store or transport certain cargo on the sea or in places such as lakes, dams, or rivers on land, or to build various facilities for use by people at sea or on the water. It is one ship.

한편, 이러한 바지선을 여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철제 바지선은 가격이 고가이고 무게가 무겁고 특히나 부식의 문제가 있는 바 바다에서는 부식의 문제가 더 심각하다.Meanwhile, these barges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iron barges are expensive, heavy, and have a corrosion problem, which is especially serious at sea.

FRP바지선도 가격이 고가이고 특히나 대부분 적층 성형의 방법으로 제작을 함에 따라서 수면위의 강한 햇빛에 의한 자외선으로 인한 열화손상으로 인하여 수명이 짧고 유리섬유의 분산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다.FRP barges are also expensive, and in particular, since most of them are manufactured using the laminated molding method, their lifespan is short due to deterioration and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ys from strong sunlight on the water surface, and there is a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dispersion of glass fibers.

플라스틱재질로 된 여러 개의 드럼통(공기통)을 부력체로 하고 그 위에다가 철재나 삼나무목재 또는 각종 플라스틱재질의 틀(프레임)을 얹어서 되는 것들은 가격도 고가이고 또한 플라스틱재질의 드럼통(공기통)들은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에 의한 내부 공기의 팽창 수축으로 인하여 드럼통(공기통)들의 손상이 심하여 수명이 짧고 특히나 하부의 드럼통(공기통) 부력체와 상부의 틀(프레임)의 연결 결합이 아주 곤란하여 조악한 방법으로 결합된 구조로서 특히나 파손이 심하고 수명이 짧으며 또한 상부의 틀(프레임) 또한 견고한 일체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파손이 심할 뿐만 아니라 또한 햇빛에 의한 열화손상도 심하다.Those made by using several drums (air containers) made of plastic as a buoyant body and placing frames (frames) made of steel, cedar wood, or various plastic materials on top of them are expensive, and plastic drums (air containers) are used in summer and winter. Due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internal air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e drums (air cylinders) are severely damaged, shortening their lifespan, and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wer drum (air cylinder) buoyancy body and the upper frame (frame) is very difficult, so they are joined in a crude way. As a structure, it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severe damage and has a short lifespan, and the upper frame is also not a solid, integrated structure, so not only is it damaged severely, but it is also subject to severe deterioration and damage from sunlight.

또한 스티로폼(EPS)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발포한 부력체의 표면을 방수포 등과 같은 임시적인 재료로 감싼 여러 개의 부력체 위에다가 철재나 삼나무목재 또는 각종 플라스틱재질의 틀(프레임)을 얹어서 되는 것들 또한 가격도 고가이면서 특히나 그 아래의 합성수지를 발포한 부력체들은 햇빛의 자외선과 특히나 바다에서의 염분에 의한 열화 손상이 아주 심하여 수명이 아주 짧을 뿐만 아니라 특히나 환경오염이 아주 심하며 또한 마찬가지로 하부의 부력체와 상부의 틀(프레임)의 연결 결합이 아주 곤란하여 조악한 방법으로 결합을 하게 되어 특히나 파손이 심하고 수명이 짧으며 또한 상부의 틀(프레임) 또한 견고한 일체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파손이 심할 뿐만 아니라 또한 햇빛에 의한 열화손상도 심하다.In addition, those made by wrapping the surface of a buoyancy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Styrofoam (EPS) with temporary materials such as tarpaulin and placing a frame made of steel, cedar wood, or various plastic materials are also expensive. Although they are expensive, the buoyancy bodies made of foamed synthetic resin are very susceptible to ultraviolet rays from sunlight and especially salt in the sea, so their lifespan is very shor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particularly severe. Likewise, the lower buoyancy body and the upper buoyancy body are very susceptible to damage. It is very difficult to connect the frame, so it is joined in a crude way, which causes severe damage and short lifespan. Also, since the upper frame is not a solid integrated structure, not only is it damaged badly, but it also deteriorates due to sunlight. The damage is also severe.

그 외에도 직육면체 형상의 외벽면과 아래위면을 모두 콘크리트로 만든 콘크리트구조의 부력체 또한 제작비가 아주 고가이면서 무게가 무거워서 부력의 손실이 아주 크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of a concrete structure made of concrete on both the outer wall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also very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is heavy, so the loss of buoyancy is very large.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은 선체의 저부에 선수로부터 선미로 이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골이 상호 이격되게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바지선의 측면에서 선체 내부를 통해 골과 연통되게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유입로를 구비한 FRP 바지선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Meanwhile,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shows at least two grooves extending along a direction from the bow to the stern at the bottom of the hul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communicate with the grooves through the inside of the hull on the side of the barge. It only discloses the contents of an FRP barg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air inflow passages, but does not disclos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342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34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부력체의 열화손상 및 염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적 강성이 큰 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can prevent deterioration damage and salt corrosion of the buoyant body, and provides a barge with high structural rigidity.

또한 반영구적인 사용수명을 갖고,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렴한 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barge that has a semi-permanent service life, is easy to manufacture, and costs less to manufactur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은, 소정 체적의 무게가 같은 체적으로 되는 물의 무게 보다가 더 가벼워서 물위로 떠오를 수가 있으면서 소정의 형상으로 된 복수 개의 단위유닛(110)을 가로나 세로의 어느 일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하부 부력체(100); 상기 하부 부력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바닥판(200); 상기 단위유닛(110)의 내부를 수직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매입(埋入)되면서, 상 측의 소정부분은 상기 바닥판(200) 내부의 소정부분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바닥판(200)의 내부에는 연장된 상측의 소정부분이 함께 매입(埋入)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바닥판(200)을 관통하여 바닥판(200)의 상면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이 되도록 더 연장되는 결합부재(300); 상기 하부 부력체(100) 또는 상기 각 단위유닛(110)들의 외측 표면 중에서 상기 바닥판(20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미리 설정된 재료로 코팅하여 형성되는 표면보호층(115);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200)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재질로 형성된다.The bar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floating on the water because the weight of a predetermined volume is lighter than the weight of water of the same volume, and is capable of floating on the water and carrying a plurality of unit units 110 of a predetermined shape in any direction horizontally or vertically. A lower buoyancy body (100) formed by being arranged in one direction or two directions; A bottom plate 20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uoyancy body 100; While being embedd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unit unit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upper side extends to a predetermined portion inside the bottom plate 200 and is formed inside the bottom plate 200. A coupling member 300 that is formed to be embedded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xtended upper side or extends further to penetrate the bottom plate 200 and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0; A surface protection layer 115 formed by coating an area on which the bottom plate 200 is not formed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lower buoyancy body 100 or each unit unit 110 with a preset material, The floor plate 200 is made of concrete or mortar.

상기 단위유닛(110) 상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의 방향으로 유자(U)형의 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00)을 이루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상기 유자(U)형의 홈(111)에 함께 채워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U-shaped groove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unit 110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crete or mortar forming the floor plate 200 is formed in the U-shaped groove 111. ) is preferably formed by being filled together.

상기 단위유닛(110)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직육면체 상면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가장자리의 네 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일변의 부분에는 수평면 및 수직면을 갖는 엘자(L)의 형상으로 절개하여 이루어지는 L자 절개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L자 절개부(112)가 구비된 단위유닛(110)들의 일측면들이 서로 연접하도록 가로나 세로의 어느 일 방향 또는 가로와 세로의 양방향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 배열을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서로 연접한 단위유닛(110)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L자 절개부(112)가 서로 마주하면서 유자(U)형 홈(111)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호 연접한 단위유닛(110)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유닛(110)에 형성된 L자 절개부(112)와 다른 하나의 단위유닛(110)의 일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하여 하나의 L자 절개부(112)에 의한 유자(U)형의 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200)을 이루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상기 L자 절개부(112)에 의한 유자(U)형의 홈(111)에 함께 채워져서 형성되는 보강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nit unit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edge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cut into the shape of an L having a horizontal plane and a vertical plane. It is provided with a cutout part 112, and at least two units are provided in either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r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o that one side of the unit units 110 provided with the L-shaped cutout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with the arrangement, the two L-shaped incisions 112 formed in the adjacent unit units 110 face each other to form a U-shaped groove 111, or mutually Among the connected unit units 110, the L-shaped cutout 112 formed in one unit 110 and one side of the other unit unit 110 face each other to form an L-shaped cutout ( 112), a U-shaped groove 111 is formed, and the concrete or mortar forming the floor plate 200 forms a U-shaped groove 111 by the L-shaped cut portion 112.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einforcement portion 210 formed by filling together.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의 보강부(210)가 있게 되는 곳에 구비가 되어서 상 측의 소정부분이 상기의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 내부의 소정부분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의 내부에는 연장된 상 측의 소정부분이 함께 매입(埋入)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보강부(210)와 바닥판(200)을 모두 관통하여 바닥판(200)의 상면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이 되도록 더 연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member 300 is provided where the reinforcing part 210 is located,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upper side extends to a predetermined portion inside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ing portion 210. (200) or the inside of the reinforcement part 210, a certain part of the extended upper side is formed to be embedded together, or penetrates both the reinforcement part 210 and the bottom plate 200 to form a bottom plate 200. It is desirable to extend it further so that it protrudes above the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단위유닛(11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13)이 형성되고, 상기의 결합부재(300)가 상기 단위유닛(110)의 내부에 매입(埋入)되는 부분은 상기 관통공(113)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through hole 113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unit unit 110, and the portion where the coupling member 300 is embedded inside the unit unit 110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It is preferably placed inside the ball 113.

상기 관통공(113)의 내부에는 미리 설정된 형상이면서 속이 빈 관으로 되는 보강파이프(120);가 삽입되고 상기의 결합부재(300)가 상기 단위유닛(110)의 내부에 매입(埋入)되는 부분은 상기 보강파이프(12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reinforcing pipe 120, which has a preset shape and is a hollow pip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3, and the coupling member 300 is embedded inside the unit unit 110. It is desirable that the part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inforcement pipe 120.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단위유닛(110)의 아래쪽 면에 형성된 표면보호층(115)의 외측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된 외측 돌출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member 30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outer protrusion 330 that protrudes by a preset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115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unit 110.

상기 외측 돌출부(330)에는 너트(340)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상기 너트(340)를 체결하여 상기 단위유닛(110) 및 바닥판(200)을 고정 결합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thread for coupling the nut 340 is formed on the outer protrusion 330, and the unit unit 110 and the bottom plate 200 are fixedly coupled by fastening the nut 340 to the thread. do.

상기 외측 돌출부(330)는 L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고리모양의 L자걸고리(331)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유닛(110)은 상기 L자걸고리(331)에 걸리게 되는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바닥판(200) 또는 상기 보강부(210)에 매달려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protrusion 330 is formed as a ring-shaped L-shaped hook 331 bent into an L-shape, and the unit unit 110 is hung on the L-shaped hook 331 so that the bottom plate 200 ) Or,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is suspended and coupled to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상호 인접하는 두개의 상기 결합부재(300)에 형성된 두개의 상기 L자걸고리(331)의 끝단이 서로 붙어서 하나의 일변이 되고, 상호 인접하는 두 개 결합부재(300)의 수직 축이 각각 양 측의 두변으로 되어 하나의 U자형 볼트(350)가 되도록 하고, 상기의 U자형 볼트(350)에 의하여 상기의 단위유닛(110)이 상기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s of the two L-shaped hooks 331 formed on the two adjacent coupling members 300 are attached to each other to form one side, and the vertical axes of the two adjacent coupling members 300 are located on both sides, respectively. A structure in which the unit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by the two sides of the U-shaped bolt 350. It is desirable that it be done.

상기 바닥판(200) 또는 상기 보강부(210) 내부의 소정 위치에는 철근(鐵筋)으로 된 보강근(400)이 적어도 한 가닥 이상 매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reinforcing bar 400 made of reinforcing bars is embedd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floor plate 200 or the reinforcing part 210.

상기 보강근(400)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bar 400 is preferably made of fiber-reinforced plastic.

상기 결합부재(300)의 상 측이 바닥판(200) 또는 상기 단위유닛(110) 상면에 형성된 유자(U)형의 홈(111)에 채워지는 보강부(210)의 내부에 있게 되는 소정의 부분에는 단면의 굵기가 더 굵어지는 형상이 되도록 하는 소정재질의 마디(360)가 있도록 하게 되거나 또는 기역자(ㄱ)나 티자(T)나 원형의 형상으로 되는 결합고리(370)가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300 is located inside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filled in the U-shaped groove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unit 110. It is desirable for the part to have a node 360 made of a certain material that makes the cross-section thicker, or to have a connecting ring 370 in the shape of a letter (A), a tee (T), or a circle. do.

상기의 결합부재(300)가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의 내부에 있게 되는 소정의 부분에는 너트를 결합할 수가 있도록 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소정형상의 너트(361)를 상기의 나사산에 조립하여 상기의 마디(36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thread for coupling a nu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where the coupling member 300 is located inside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so that the nut 361 of a predetermined shape is connected to the thread. It is desirable to assemble it to form the node 360 described above.

상기 하부 부력체(100)의 가장 외측에 있게 되는 어느 일변 쪽에 배열되는 상기 단위유닛(110)의 아래쪽 외측의 소정부분은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가 지는 형상으로 구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outer side of the unit unit 110 arranged on one of the outermost sides of the lower buoyancy body 100 is provided in a shape inclined at a preset ang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은, 아주 가벼운 재질의 부력체로 되고 그 표면은 소정재질의 표면보호층으로 바닷물의 염분이나 햇빛의 자외선에 의한 부력체의 열화손상과 염부식의 우려가 전혀 없게 되며 특히나 상부의 바닥판만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하여 전체의 무게가 상당히 가벼워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의 무거운 무게로 인한 부력의 손실이 작으면서도 특히나 바닥판이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되는 일체구조로서 구조적 강성이 클 뿐만 아니라 더해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형성된 보강부로 인하여 전체의 상부 바닥판의 구조적 강성이 한층 더 증대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buoyant body made of a very light material, and its surface is a surface protection layer made of a predetermined material to prevent deterioration and damage of the buoyant body due to saltiness of sea water or ultraviolet rays of sunlight. There is no risk of corrosion, and in particular, only the upper floor plate is made of concrete or mortar, so the overall weight is quite light, so the loss of buoyancy due to the heavy weight of concrete or mortar is small, and it is especially structural as it is an integrated structure where the floor plate is made of concrete or mortar. Not only is the rigidity high, but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entire upper floor plate can be expected to be further increased due to the reinforcement portion formed of concrete or mortar.

또한 바닥판이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되어서 날카롭거나 거친 물체들도 쉽게 실어서 운반을 하거나 작업을 할 수가 있는 등의 사용성이 아주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oor plate is made of concrete or mortar, you can expect excellent usability, such as being able to easily load and transport or work on sharp or rough objects.

더욱이 하부의 부력체와 상부의 바닥판이 아주 견고하게 결합되어 파손 등과 같은 염려가 전혀 없어서 거의 반 영구적인 사용수명을 가질 수가 있게 되며 또한 제작이 아주 쉽고 용이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아주 저렴하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Moreover, the lower buoyancy body and the upper floor plate are very firmly combined, so there is no concern about damage, etc., so it can have an almost semi-permanent service life. Also, it is very easy and easy to manufacture,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very low.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의 구성 중 하부 부력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의 구성 중 하부 부력체를 이루는 단위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에서 하부 부력체와 결합부재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에서 하부 부력체와 결합부재 간의 다양한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ower buoyancy body among the configuration of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unit units forming the lower buoyancy body among the configuration of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buoyancy body and the coupling member in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coupl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lower buoyancy body and the coupling member in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ttached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력체(100), 바닥판(200), 결합부재(300) 및 표면보호층(11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uoyancy body 100, a bottom plate 200, a coupling member 300, and a surface protection layer 115, as shown in FIGS. 4 to 6. ) is configured to include.

하부 부력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체적의 무게가 같은 체적으로 되는 물의 무게 보다가 더 가벼워서 물위로 떠오를 수가 있으면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유닛(110)을 가로나 세로의 어느 일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합성수지 재료를 소정의 형상으로 발포 성형시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ower buoyancy body 100 is capable of floating on the water because the weight of a predetermined volume is lighter than the weight of water of the same volum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units 110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It is formed by arranging in one or both directions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is preferably formed by foam mold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to a predetermined shape.

특히 상기 하부 부력체(100)의 가장 외측에 있게 되는 어느 일변 쪽에 배열되는 상기 단위유닛(110)의 아래쪽 외측의 소정부분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부터 하부까지 미리 설정된 각도로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가 지는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바지선의 용이한 인양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outer side of the unit unit 110 arranged on one of the outermost sides of the lower buoyancy body 100 has a preset angle from the middle portion to the bottom as shown in FIGS. 4 to 6. It is possible to ensure easy lifting of the barge by being provided in a shape that slopes at a preset angle.

한편 단위유닛(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a)와 같이 단위유닛(110)은 상기 단위유닛(110)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직육면체 상면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가장자리의 네 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일변의 부분에는 수평면 및 수직면을 갖는 엘자(L)의 형상으로 절개하여 이루어지는 L자 절개부(112)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unit unit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 3. As shown in FIG. 3(a), the unit unit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mong the four sides of the edge corresponding to the bord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t least one side may be provided with an L-shaped cutout 112 formed by cutting in the shape of an L having a horizontal plane and a vertical plane.

이러한 도 3(a)의 복수 개의 단위유닛(110)을 가로 및 세로로 연접 배열할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한 두 개의 L자 절개부(112)에 의한 유자(U)형의 홈(111)이 형성되게 된다. When the plurality of unit units 110 of FIG. 3(a)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e user (U) is formed by two adjacent L-shaped cutouts 112 as shown in FIGS. 1 and 2. )-shaped groove 111 is formed.

또한 도 3(b)와 같이 단위유닛(110)을 직육면체 상면의 4개의 테두리 부분 중 2개의 테두리 부분에 수평면 및 수직면을 갖는 엘자(L) 형상으로 절개하여 이루어지는 L자 절개부(112)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b), the unit unit 110 is provided with an L-shaped cut portion 112 formed by cutting the unit unit 110 in an L shape having a horizontal plane and a vertical plane on two of the four edge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t can be configured to do so.

이러한 도 3(b)에 따른 복수 개의 단위유닛(110)을 가로 및 세로로 연접 배열할 경우, 상호 인접한 단위유닛(110) 중 어느 하나의 단위유닛(110)에 형성된 L자 절개부(112)와 다른 하나의 단위유닛(110) 중 L자 절개부(112)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을 연접 배열하여 하나의 L자 절개부(112)에 의한 유자(U)형의 홈(111)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When the plurality of unit units 110 according to FIG. 3(b)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e L-shaped cutout 112 is formed in one unit 110 among the adjacent unit units 110. and the side of the other unit unit 110 on which the L-shaped cutout 112 is not formed is arranged to form a U-shaped groove 111 by one L-shaped cutout 112. It might be possible.

또한 도 3(c)와 같이 하나의 단위유닛(110) 상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유자(U)형의 홈(111)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3(c), a U-shaped groove 111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one unit unit 110.

바닥판(200)은 하부 부력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형성되며, 단위유닛(110)의 상면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하게 되면,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는 상술한 하부 부력체(100)에 형성된 유자(U)자 형의 홈(111)에 함께 채워지게 되며, 유자(U)자 형의 홈(111)에 형성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의하여 보강부(210)가 형성되게 된다.The floor plate 2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uoyancy body 100 and is made of concrete or mortar. When concrete or mortar is po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unit 110, the concrete or mortar has the lower buoyancy force described above. It is filled together with the U-shaped groove 111 formed in the sieve 100,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is formed by the concrete or mortar formed in the U-shaped groove 111. .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200)과 보강부(210)는 시멘트와 모래와 자갈에다가 필요에 따른 소정재질의 혼화제를 추가로 더 첨가하여 물로 반죽을 한 통상적인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때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지선 자체의 자중에 의한 부력의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무게의 재료로 되는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의 두께를 보다 더 얇게 하고자 하는 등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자갈이 포함되지 않은 시멘트와 모래만을 기본 재료로 하여 필요에 따른 소정 재질의 혼화제를 추가로 더 첨가하고 물 또는 상기의 혼화제로서 반죽을 한 시멘트 모르타르(mortar)를 이용하여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plate 200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are preferably formed of conventional concrete kneaded with water by adding additional admixtures of predetermined materials as necessary to cement, sand, and gravel. In some cases, such as when it is desired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made of a relatively heavier material thinner in order to minimize the decrease in buoyancy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bar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tc. In the case, only cement and sand without gravel are used as the basic materials, additional admixtures of predetermined materials are added as needed, and water or cement mortar kneaded with the above admixtures is used to form the floor plate 200. Alternatively, a reinforcement portion 210 may be formed.

이때 모르타르(mortar)에는 폴리머(polymer) 재질의 혼화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소정재질의 섬유보강제(reinforcing fiber)를 함께 혼합한 모르타르(mortar)로 구비를 할 수도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폴리머(polymer) 재질 또는 소정재질의 섬유보강재(reinforcing fiber)가 첨가되거나 함께 혼합된 모르타르(mortar)로 이루어지는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는 다소 유연(柔軟)해지게 되는 물리적 특성을 가지게 되면서도 미세한 균열이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어서 해상에서의 파도에 의한 수면의 유동에 있어 본발명의 바지선이 구조적으로 한층 더 유연(柔軟)하게 적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ortar can be prepared by adding a polymer admixture or by mixing a reinforcing fiber of a certain material together. As described above, the mortar can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Alternatively, the floor plate 200 or the reinforcing portion 210 made of mortar to which reinforcing fiber of a predetermined material is added or mixed together has the physical property of being somewhat flexible and does not cause fine cracks. Since it rarely occurs, the barg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ructurally more flexible in adapting to the flow of the water surface caused by waves at sea.

결합부재(300)는 단위유닛(110)의 내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부 부력체(100)와 바닥판(20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결합부재(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The coupling member 300 penetrates the interior of the unit unit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rmly couples the lower buoyancy body 100 and the bottom plate 20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upling member 300 will be described later. Let's do it.

표면보호층(115)는 하부 부력체(100)의 표면 중 바닥판(20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미리 설정된 재료로 코팅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부 부력체(100)의 표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이러한 표면보호층은 단위유닛(110)의 측면 및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보호층은 폴리우레아(Polyurea) 코팅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115 is formed by coating the surface of the lower buoyancy body 100 on which the bottom plate 200 is not formed with a preset material, and prevents corrosion of the surface of the lower buoyancy body 100. This surface protection layer may be formed on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unit unit 110, and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is preferably a polyurea coating layer.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은 바닥판(20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근(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reinforcing bars 400 as shown in FIGS. 4 to 6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ottom plate 200.

보강근(400)은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 내부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한 가닥 이상 매입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210)에는 일방향으로 보강근(400)이 배치되고, 바닥판(200)에는 일방향과 다른 방향인 타방향으로 보강근(400)이 배치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 400 may be embedded in at least one stra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ing part 210, and as shown in FIGS. 4 to 6, the reinforcing bar 40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in one direction ( 400) is disposed, and reinforcing bars 40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plate 200 in one direction and in another direction.

아울러 상술한 보강근(400)은 무게가 무거운 철근으로 형성되는 것보다 통상적으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로 통칭이 되고 있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reinforcing bar 400 may be formed of a fiber-reinforced plastic material, commonly known as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rather than a heavy reinforcing bar.

한편 결합부재(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부력체(100)와 바닥판(200)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결합부재(300)는 단위유닛(110)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113)에 삽입될 수도 있으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파이프(120)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coupling member 300 is a structure for a firm coupling between the lower buoyancy body 100 and the bottom plate 200, as described above. This coupling member 300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inside the unit unit 110. ), but for stable coupling, it is preferable to use a reinforcing pipe 120 as shown in FIG. 7.

구체적으로, 이러한 보강파이프(120)는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속이 빈 관으로 형성되어 단위유닛(110)의 관통공(113) 내부에 삽입되고, 결합부재(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파이프(12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is reinforcement pipe 120 is formed in a preset shape and is formed as a hollow pipe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3 of the unit unit 110, and the coupling member 300 is as shown in FIG. It can be inserted into the reinforcement pipe 120 as well.

아울러 결합부재(300)의 상측이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의 내부에 있게 되는 소정의 부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굵기가 더 굵어지는 형상이 되도록 하는 소정재질의 마디(360)가 있도록 하게 되거나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0)가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의 내부에 있게 되는 소정의 부분에는 너트를 결합할 수가 있도록 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소정형상의 너트(361)를 상기의 나사산에 조립하여 상기의 마디(360)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 certain portion where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300 is inside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is made of a certain material so that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becomes thicker as shown in FIG. 8. There is a node 360 or a thread that allows a nut to be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where the coupling member 300 is located inside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as shown in FIG. 9.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node 360 by assembling the nut 361 of a predetermined shape to the thread.

아울러 결합부재(300)의 상측이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의 내부에 있게 되는 소정의 부분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역자(ㄱ)나 티자(T)나 원형의 형상으로 되는 결합고리(370)가 있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portion where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300 is inside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ing portion 210 has a square shape (ㄱ), a tee (T), or a circle,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re may be a coupling ring 370 in the shape of.

외측 돌출부(330)은 관통부(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단위유닛(110)의 아래쪽 면에 형성된 표면보호층의 외측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러한 외측 돌출부(330)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너트(340)를 결합함으로써 결합부재(300)를 단위유닛(11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The outer protrusion 330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penetrating part 310 and protrudes a preset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unit 110. This outer protrusion 330 is shown in Figure 8. As shown in Figures 10 through 10, the coupling member 300 can be firmly fixed to the unit unit 110 by coupling the nut 340 to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아울러 너트(340)의 체결에 의하여 단위유닛(110)의 하부 중 너트(340)와 대응되는 영역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너트(340)와 단위유닛(110)의 하부 사이에는 지압판(345)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nut 340 in the lower part of the unit unit 110 by fastening the nut 340, an acupressure plate 345 is provided between the nut 340 and the lower part of the unit unit 110. can be placed.

또한 외측 돌출부(3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고리모양의 L자 걸고리(331)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단위유닛(110)은 L자 걸고리(331)에 걸리게 되는 구조에 의하여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에 매달려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rotrusion 330 may be formed as a ring-shaped L-shaped hook 331 bent into an L shape as shown in FIG. 11, and in this case, the unit unit 110 is caught on the L-shaped hook 331. Depending on the structure, it may be suspended and coupled to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이때도 마찬가지로 단위유닛(110)의 하부 중 L자 걸고리(331)와 대응되는 영역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L자 걸고리(331)와 단위유닛(110)의 하부 사이에는 지압판(345)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well,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shaped hook 331 in the lower part of the unit unit 110, an acupressure plate 345 is placed between the L-shaped hook 331 and the lower part of the unit unit 110. It is desirabl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은, 결합부재(30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210)에 배치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floo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mber 300 may be disposed on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as shown in FIG. 12.

특히 도 3(a)의 단위유닛(110)으로 하부 부력체(100)를 구성할 경우, 보강부(2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한 두 개의 L자 절개부(112) 내에 형성되는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L자 절개부(112)의 영역에 각각 결합부재(300a, 300b)를 배치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lower buoyancy body 100 is composed of the unit unit 110 of FIG. 3(a),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is formed within two L-shaped cutouts 112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2. In this way, the coupling members 300a and 300b can be disposed in the areas of the two L-shaped cutouts 112 adjacent to each other.

이때 어느 하나의 결합부재(300a)의 외측돌출부(330a)는 다른 하나의 결합부재(300b)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L자 걸고리(331)이며, 이러한 상호 마주보도록 구성된 2개의 L자 걸고리(331a, 331b)는 상호 붙어있게 되어 하나의 일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결합부재(300a) 및 다른 하나의 결합부재(300b)를 각각 상호 평행한 두 변으로 형성되어, 결국 결합부재(3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U자형 볼트(350)가 된다.At this time, the outer protrusion 330a of one coupling member 300a is an L-shaped hook 331 formed by b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coupling member 300b, and the two L-shaped hooks 331a ar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331b)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to form one side, and one coupling member 300a and the other coupling member 300b are formed into two mutually parallel sides, resulting in the coupling member 300 becomes one U-shaped bolt 350 as shown in FIG. 12.

상술한 U자형 볼트(350)에 의하여 단위유닛(110)은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에 매달려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unit unit 110 can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by using the above-described U-shaped bolt 350.

아울러 U자형 볼트(350)의 하부를 이루는 일변이 단위유닛(110)의 하부와 직접 맞닿아 있을 경우 단위유닛(110)의 해당되는 영역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외측돌출부(330a, 330b)로 이루어진 U자형 볼트(350)의 하부를 이루는 일변과 단위유닛(110)의 하부 사이에는 지압판(345)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f one side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U-shaped bolt 35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unit unit 110,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unit unit 110 may be damaged. To prevent this, two outer protrusions 330a , 330b), it is preferable that an acupressure plate 345 is disposed between one side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U-shaped bolt 350 and the lower part of the unit unit 110.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하부 부력체
110; 단위 유닛
111: 유자(U)형의 홈
112: L자절개부
113: 관통공
115: 표면보호층
120: 보강파이프
200: 바닥판
210: 보강부
300: 결합부재
330: 외측 돌출부
331: L자걸고리
340: 너트
345: 지압판
350: U자형 볼트
360: 마디
361: 너트
370: 결합고리
400: 보강근
100: Lower buoyancy body
110; unit unit
111: U-shaped groove
112: L-shaped incision
113: Through hole
115: Surface protection layer
120: Reinforcement pipe
200: Bottom plate
210: reinforcement part
300: Coupling member
330: outer protrusion
331: L-shaped hook
340: nut
345: Acupressure plate
350: U-shaped bolt
360: node
361: nut
370: binding ring
400: Reinforcement bar

Claims (15)

소정 체적의 무게가 같은 체적으로 되는 물의 무게 보다가 더 가벼워서 물위로 떠오를 수가 있으면서 소정의 형상으로 된 복수 개의 단위유닛(110)을 가로나 세로의 어느 일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배열하여 형성되는 하부 부력체(100);
상기 하부 부력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바닥판(200);
상기 단위유닛(110)의 내부를 수직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매입(埋入)되면서, 상 측의 소정부분은 상기 바닥판(200) 내부의 소정부분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바닥판(200)의 내부에는 연장된 상측의 소정부분이 함께 매입(埋入)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바닥판(200)을 관통하여 바닥판(200)의 상면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더 연장되는 결합부재(300);
상기 하부 부력체(100) 또는 상기 각 단위유닛(110)들의 외측 표면 중에서 상기 바닥판(20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미리 설정된 재료로 코팅하여 형성되는 표면보호층(115);
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200)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A lower buoyancy body that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unit units 110 of a predetermined shape in one or both directions horizontally or vertically, as the weight of a predetermined volume is lighter than the weight of water of the same volume, so it can float on the water. (100);
A bottom plate 20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uoyancy body 100;
While being embedd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unit unit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upper side extends to a predetermined portion inside the bottom plate 200 and is formed inside the bottom plate 200. A coupling member 300 that is formed to be embedded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xtended upper side or extends further to penetrate the bottom plate 200 and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0;
A surface protection layer 115 formed by coating an area on which the bottom plate 200 is not formed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lower buoyancy body 100 or each unit unit 110 with a preset material;
Including,
The floor plate 200 is a barge with a reinforced floo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concrete or mort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유닛(110) 상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의 방향으로 유자(U)형의 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00)을 이루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상기 유자(U)형의 홈(111)에 함께 채워져서 형성되는 보강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In claim 1,
A U-shaped groove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unit 110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 barge with a reinforced floo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reinforcement portion 210 formed by filling the U-shaped groove 111 with concrete or mortar forming the floor plate 2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유닛(110)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직육면체 상면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가장자리의 네 변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일변의 부분에는 수평면 및 수직면을 갖는 엘자(L)의 형상으로 절개하여 이루어지는 L자 절개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L자 절개부(112)가 구비된 단위유닛(110)들의 일측면들이 서로 연접하도록 가로나 세로의 어느 일 방향 또는 가로와 세로의 양방향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 배열을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서로 연접한 단위유닛(110)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L자 절개부(112)가 서로 마주하면서 유자(U)형 홈(111)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호 연접한 단위유닛(110)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위유닛(110)에 형성된 L자 절개부(112)와 다른 하나의 단위유닛(110)의 일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하여 하나의 L자 절개부(112)에 의한 유자(U)형의 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200)을 이루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상기 L자 절개부(112)에 의한 유자(U)형의 홈(111)에 함께 채워져서 형성되는 보강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In claim 1,
The unit unit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edge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cut into the shape of an L having a horizontal plane and a vertical plane. It is provided with a ruler incision (112),
At least two of the unit units 110 provided with the L-shaped cutout 112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horizontally or vertically or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o that one side of each unit unit 11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wo L-shaped cutouts 112 formed in the unit units 110 connected to each other face each other to form a U-shaped groove 111, or the unit units 110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ormed. ), the L-shaped cutout 112 formed in one unit unit 110 and one side of the other unit unit 110 face each other, so that the L-shaped cutout 112 is formed Forming a U)-shaped groove 111,
The concrete or mortar forming the floor plate 200 further includes a reinforcement portion 210 formed by filling the U-shaped groove 111 formed by the L-shaped cut portion 112.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청구항 2 및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의 보강부(210)가 있게 되는 곳에 구비가 되어서 상 측의 소정부분이 상기의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 내부의 소정부분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의 내부에는 연장된 상 측의 소정부분이 함께 매입(埋入)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보강부(210)와 바닥판(200)을 모두 관통하여 바닥판(200)의 상면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이 되도록 더 연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 and 3,
The coupling member 300 is provided where the reinforcing part 210 is located,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upper side extends to a predetermined portion inside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ing portion 210. (200) or the inside of the reinforcement part 210, a certain part of the extended upper side is formed to be embedded together, or penetrates both the reinforcement part 210 and the bottom plate 200 to form a bottom plate 200. A barge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extend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유닛(11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13)이 형성되고, 상기의 결합부재(300)가 상기 단위유닛(110)의 내부에 매입(埋入)되는 부분은 상기 관통공(113)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In claim 1,
A through hole 113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unit unit 110, and the portion where the coupling member 300 is embedded inside the unit unit 110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side the ball (113).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3)의 내부에는 미리 설정된 형상이면서 속이 빈 관으로 되는 보강파이프(120);가 삽입되고
상기의 결합부재(300)가 상기 단위유닛(110)의 내부에 매입(埋入)되는 부분은 상기 보강파이프(12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In claim 5,
A reinforcing pipe 120, which has a preset shape and is a hollow tub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3.
A barge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where the coupling member 300 is embedded into the interior of the unit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inforcement pipe 1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단위유닛(110)의 아래쪽 면에 형성된 표면보호층(115)의 외측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된 외측 돌출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In claim 1,
The coupling member 300 further includes an outer protrusion 330 that protrudes by a preset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115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unit 110. Barge with bottom pla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측 돌출부(330)에는 너트(340)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상기 너트(340)를 체결하여 상기 단위유닛(110) 및 바닥판(200)을 고정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In claim 7,
A thread for coupling the nut 340 is formed on the outer protrusion 330,
A barge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unit 110 and the bottom plate 200 are fixedly coupled by fastening the nut 340 to the screw threa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측 돌출부(330)는 L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고리모양의 L자걸고리(331)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유닛(110)은 상기 L자걸고리(331)에 걸리게 되는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바닥판(200) 또는 상기 보강부(210)에 매달려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In claim 7,
The outer protrusion 330 is formed as a ring-shaped L-shaped hook 331 bent into an L-shape, and the unit unit 110 is hung on the L-shaped hook 331 so that the bottom plate 200 ) Or a barge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is coupled by hanging on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호 인접하는 두개의 상기 결합부재(300)에 형성된 두개의 상기 L자걸고리(331)의 끝단이 서로 붙어서 하나의 일변이 되고, 상호 인접하는 두 개 결합부재(300)의 수직 축이 각각 양 측의 두변으로 되어 하나의 U자형 볼트(350)가 되도록 하고,
상기의 U자형 볼트(350)에 의하여 상기의 단위유닛(110)이 상기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In claim 9,
The ends of the two L-shaped hooks 331 formed on the two adjacent coupling members 300 are attached to each other to form one side, and the vertical axes of the two adjacent coupling members 300 are located on both sides, respectively. The two sides of are made into one U-shaped bolt (350),
A barge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unit 110 is coupled to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by the U-shaped bolt 350.
청구항 2 및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200) 또는 상기 보강부(210) 내부의 소정 위치에는 철근(鐵筋)으로 된 보강근(400)이 적어도 한 가닥 이상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 and 3,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floo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reinforcing bar (400) made of steel bars is embed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강근(400)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In claim 11,
The reinforcing bar 400 is a barge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material of fiber-reinforced plastic.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의 상 측이 바닥판(200) 또는 상기 단위유닛(110) 상면에 형성된 유자(U)형의 홈(111)에 채워지는 보강부(210)의 내부에 있게 되는 소정의 부분에는 단면의 굵기가 더 굵어지는 형상이 되도록 하는 소정재질의 마디(360)가 있도록 하게 되거나 또는 기역자(ㄱ)나 티자(T)나 원형의 형상으로 되는 결합고리(370)가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300 is located inside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filled in the U-shaped groove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unit 110. The par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node 360 made of a certain material that makes the cross-section thicker, or a connecting ring 370 in the shape of a letter (A), a tee (T), or a circle.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의 결합부재(300)가 바닥판(200) 또는 보강부(210)의 내부에 있게 되는 소정의 부분에는 너트를 결합할 수가 있도록 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소정형상의 너트(361)를 상기의 나사산에 조립하여 상기의 마디(360)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In claim 13,
A thread for coupling a nu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where the coupling member 300 is located inside the bottom plate 200 or the reinforcement portion 210, so that the nut 361 of a predetermined shape is connected to the thread. A barge equipped with a reinforced botto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sembled to form the node 360 described ab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력체(100)의 가장 외측에 있게 되는 어느 일변 쪽에 배열되는 상기 단위유닛(110)의 아래쪽 외측의 소정부분은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가 지는 형상으로 구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In claim 1,
A reinforced floo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certain portion of the lower outer side of the unit unit 110 arranged on one of the outermost sides of the lower buoyancy body 100 is provided in a shape inclined at a preset angle. A barge equipped with .
KR1020220151118A 2022-10-17 2022-11-12 A barge with reinforced flooring KR2024005348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3632 2022-10-17
KR1020220133632 2022-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483A true KR20240053483A (en) 2024-04-24

Family

ID=9088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118A KR20240053483A (en) 2022-10-17 2022-11-12 A barge with reinforced flo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48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421A (en) 2006-01-05 2007-07-10 천지해건설(주) Frp bar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421A (en) 2006-01-05 2007-07-10 천지해건설(주) Frp bar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0021A (en) Floating dock
US6491473B2 (en) Precast modular concrete shape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o form shoreline stabilization, marine and terrestrial structures
KR101500283B1 (en) A pontoon for floating structure
KR102205978B1 (en) Concrete pontoon with buoyancy contro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6199502B1 (en) Concrete module for floating structures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4559891A (en) Pontoon
US3659540A (en) Monolithic floating wharves
US7845300B1 (en) Modular floating marine dock
US3448709A (en) Marine float construction
KR102196017B1 (en) Floating structures.
KR100956519B1 (en) Floating Pier using hollow sectional fiber reinforced composite decks with snap-fit connection
US4887654A (en) Floating dock
US3157144A (en) Marine float
KR101651819B1 (en) Units assemblable type pontoon
KR20160145247A (en) Frp catamaran barge
US4406564A (en) Breakwater
KR102224206B1 (en) Marine floating pier structure
KR20110020573A (en) Light weight concrete pontoon reinforced with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KR20240053483A (en) A barge with reinforced flooring
KR102250159B1 (en) Floating assembly for water floating solar power plant
UA16800U (en) Vessel
KR100925836B1 (en) Floating dock for a small ship
KR101312920B1 (en) Pontoon shaped stiffener, pontoon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ntoon assembly
KR20090017001A (en) Coupler of dock
KR102256284B1 (en) Concrete pontoon with buoyancy contro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