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426A -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426A
KR20240053426A KR1020220133492A KR20220133492A KR20240053426A KR 20240053426 A KR20240053426 A KR 20240053426A KR 1020220133492 A KR1020220133492 A KR 1020220133492A KR 20220133492 A KR20220133492 A KR 20220133492A KR 20240053426 A KR20240053426 A KR 20240053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iew
product
products
item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병훈
유영미
김은정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426A/ko
Publication of KR20240053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4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Abstract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은,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의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에 상기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VIEW DATA}
본 발명은, 사용자의 리뷰 데이터를 매트릭스 형태로 시각화 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자동화 기기 등)의 보급이 대중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전자기기에 대한 의존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종래 오프라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소비패턴은, 점차적으로 온라인(on-line)으로 옮겨갔으며, 현재에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소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한편, 오프라인 서비스와 달리, 온라인 서비스는 고객이 직접 상품을 눈으로 보거나 체험을 할 수 없는 것으로서, 여전히 온라인 소비의 개선에 대한 니즈가 존재한다.
이러한 니즈를 해결하고자, 온라인 서비스에서는 리뷰 서비스(Review Service)가 도입되고 있다. 양질의 리뷰 선발 시스템을 이용한 리뷰 리스트 정렬 방법(참조특허, 대한민국 공개특허 2022-0005389호)은, 리뷰에 대한 추천수가 높은 순으로 상품을 노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뷰 서비스는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평가를 추천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고객들은 구매자들의 평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상품 구매 결정에 도움을 받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고객들의 상품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고객들의 평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상품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여, 상품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리뷰 데이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매트릭스 형태로 확인 및 비교할 수 있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은,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의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에 상기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의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에 상기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의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에 상기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특정 상품군 단위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매트릭스 형태로 시각화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의 수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리뷰 데이터를 매트릭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기준 또는 지표를 마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에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매트릭스 영역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통해,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 및 비교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복수의 상품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품 구매 결정에 결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리뷰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리뷰 데이터를 가공하여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 도 7, 도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리뷰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들이 작성한 리뷰 데이터를 시각화 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 상품군(商品群)에 해당하는 다양한 상품(商品)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직관적이고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소비자 또는 고객)의 상품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은,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예를 들어, 쇼핑 서비스, 콘텐츠 제공 서비스, 정보 제공 서비스, 음식 제공 서비스 등)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은 쇼핑 서비스, 콘텐츠 제공 서비스, 검색 서비스 등 특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일 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물질 또는 노동을 “상품(商品)” 이라고 통칭하여 명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쇼핑 서비스를 통해 판매되는 물건(ex: 침대 매트리스(Mattress), 화장품, 운동화 등) 또는 노동(ex: 미용, 의료, 교육 등)이 본 발명의 상품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 종류의 상품의 묶음을 본 발명에서는 상품군(商品群)으로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군은, 동일 종류의 상품의 상위 개념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품 카테고리” 또는 “상품 그룹”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동일 종류의 상품은, 동일 상품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침대 매트리스 상품(예를 들어, 서로 다른 제조사, 서로 다른 사이즈, 서로 다른 기능 등의 매트리스)은, “침대 매트리스 상품군”에 해당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페이스 메이크업(Face Makeup) 상품(예를 들어, A 제조사의 페이스 메이크업, B 제조사의 페이스 메이크업)은, “페이스 메이크업 상품군”에 해당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리뷰 데이터(Review Data)”는 상품을 구매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정보로, 특정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후기, 의견, 점수(ex: 별점) 등 다양한 정보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뷰 데이터”는, “리뷰”, “후기”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은, 웹 페이지(Web Page)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 상에 리뷰 데이터 제공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웹 페이지에 리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페이지에 리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리뷰 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사용자에게 리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리뷰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리뷰 데이터를 가공하여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6, 도 7, 도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리뷰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리뷰 데이터 또는 리뷰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 상에 제공(또는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10)은, 전자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휴대용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리뷰 데이터 이용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 상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120)는, 상품 및 리뷰 데이터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서로 다른 상품 각각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이 서로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목”은, 리뷰 항목 및 속성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은,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리뷰와 관련된 정보인지 아니면 상품의 속성과 관련된 정보인지 여부에 따라, “리뷰 항목” 및 “속성 항목” 중 어느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리뷰 항목은, 사용자의 주관적(또는 상대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상품의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리뷰(ex: 의견 또는 생각)가 반영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 매트리스의 i) 쿠션감, ii) 냄새, iii) 사용감, iv) 품질, v) 디자인, vi) 성능, vii) 촉감, viii) 만족도, ix) 가성비(價性比, 가격 대비 성능) 등과 같이, 사용자의 의견이 수렴 가능한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을, 리뷰 항목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복수의 상품 마다, 리뷰 항목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 매트리스 상품에 대해서는, 쿠션감, 냄새와 같은 항목을 리뷰 항목으로 특정할 수 있으며, 자동차 상품에 대해서는, 승차감, 속도감 과 같은 항목을 리뷰 항목으로 특정할 수 있다.
한편, 속성 항목은, 상품을 설명하는 설명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제조사 또는 상품 판매자 등에 의해 제공되는 설명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 매트리스의 i) 가격(ex: 100만원), ii) 제조일자(ex: 2022년 08월 08일), iii) 제조사(ex: A 社), vi) 브랜드(B 社)가 해당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격, 제조 일자, 제조사, 브랜드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이 속성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속성 항목 또한, 상품의 종류마다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품에 대한 항목이 동일한 명칭으로 명명된다 하더라도,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결정하는 기준에 따라, 해당 항목은 리뷰 항목 및 속성 항목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 매트리스의 “무게”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예를 들어, 표준 무게 단위 g, kg으로 이루어진 정보)가 실제 측정된 수치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상기 “무게” 항목은 속성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침대 매트리스의 “무게”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가, 사용자들의 주관적인 평가, 의견에 근거하여 “가볍다”, “적당하다” 또는 “무겁다” 와 같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무게” 항목은 리뷰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속성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품의 판매자 및 시스템(100) 관리자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리뷰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는, 상품을 구매 또는 이용한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수신한 리뷰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상기 리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되어 저장부(120)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뷰 데이터는,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410)와, 선택형 리뷰 데이터(4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될 수 있다.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410)는,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리뷰 데이터로, 사용자가 텍스트(text)로 자유롭게 입력한 리뷰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선택형 리뷰 데이터(420)는, 특정 리뷰 항목과 관련된 서로 다른 복수의 평가 척도에 대해 사용자들이 선택을 하도록 구성된 선택형 리뷰 방법을 통해 획득되는 리뷰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선택형 리뷰데이터(420)는, 복수의 리뷰 항목(421, 422, 423) 중 특정 리뷰 항목에 대해 사용자들이 선택한 평가 척도(421a, 422a, 423a)에 해당하는 척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뷰 항목은, 제어부(130) 및 시스템(100) 관리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서로 다른 상품군 마다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120)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 매트리스” 상품군에 대해서는, 침대 매트리스의 “사이즈”, “두께”, “쿠션감”의 리뷰 항목이 미리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침대 매트리스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200)에는 침대 매트리스의 “사이즈”, “두께”, “쿠션감” 각각의 리뷰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페이스 메이크업(Face Makeup)” 상품군에 대해서는, “지속력”, “촉촉함”, “커버력”의 리뷰 항목이 미리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페이스 메이크업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200)에는, “지속력”, “촉촉함”, “커버력”의 리뷰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신발” 상품군에 대해서는, “발볼 넓이”, “쿠션감”의 리뷰 항목이 미리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신발(ex: 운동화)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200)에는, “발볼 넓이”, “쿠션감”의 리뷰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서로 다른 상품 각각에는, 특정 상품군에 매칭된 리뷰 항목을 포함하는 리뷰 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부(120)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 매트리스 상품군”에 포함된 제1 침대 매트리스 상품 및 제2 침대 매트리스 상품 각각에는, 침대 매트리스 상품군에 매칭된 리뷰 항목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리뷰 데이터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20)는 복수의 리뷰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뷰 데이터 서버(100a, 또는 리뷰 데이터 DB(data base)) 및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1100)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서버(100b, 또는 히스토리 DB(data bas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뷰 데이터 서버와 리뷰 데이터 DB를 구분하지 않고, 리뷰 데이터 서버(100a)라고 통일하여 명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리뷰 데이터 서버(100a)는, 리뷰 데이터 DB로도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리뷰 데이터 서버(100a) 및 히스토리 서버(100b)는 저장부(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은 리뷰 데이터 서버(100a) 및 히스토리 서버(100b)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또는 통신)하여, 리뷰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리뷰 데이터 서버(100a)를 제어하여, 리뷰 데이터 서버(100a)에 저장된 리뷰 데이터를 수치 정보로 수치화 하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장부(120), 리뷰 데이터 서버(100a) 및 히스토리 서버(100b)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모두 저장부(120)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저장부(120)에는, 사용자 계정과 연계된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계정”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과 연관된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계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히스토리 정보에는,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 계정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스토리 정보에는, i) 사용자 계정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이력 정보, ii) 사용자 계정에서 관심 상품으로 등록(ex: “찜하기”)한 관심 상품 정보, iii) 사용자 계정에서 장바구니를 통해 보관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 iv)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사용자의 정보(ex: 나이, 성별, 지역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리뷰 데이터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리뷰 데이터를 수치화 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200)를 수집할 수 있다(S210). 그리고, 제어부(130)는 복수의 리뷰 데이터(200)를 수치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뷰 데이터를 수치화 한다는 것을, “표준화”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리뷰 데이터(200)를 수치 정보로 가공한다는 것은, 리뷰 데이터(200)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치화 하여 수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가공”은, “수치화”, “표준화”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리뷰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또는 수치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된 리뷰 데이터를 수치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리뷰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를 수행할 수 있다(S220). 제어부(130)는 리뷰 데이터로부터, 특정 상품군에 대한 복수의 항목 마다의 수치 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항목은 앞서 살펴본 리뷰 항목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에 대해 서로 다른 리뷰 항목 마다의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이 “침대 매트리스”이고, 리뷰 항목이, “사이즈” 항목, “두께” 항목이라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제1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로부터, 사이즈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 및 두께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제어부(130)는 제2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로부터, 사이즈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 및 두께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상품 및 제2 상품에 대한 사이즈 항목 및 두께 항목 각각에 대한 수치 정보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계산 기법에 근거하여, 표준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의 주관적인 의견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를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수치 정보”는,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 및 “속성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는, 리뷰 데이터에 근거하여 수치화 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는, 리뷰 데이터로부터 리뷰 항목에 대한 내용이 추출되고, 추출된 내용을 객관적인 수치로 변환한 데이터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즉,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는, 특정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주관적인 평가가 수치로 변환된 데이터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를, “가공된 리뷰 데이터”, “표준화 리뷰 데이터”. “객관적인 리뷰 데이터”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속성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는, 제조사 또는 상품 판매자 등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의 설명으로부터 특정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속성 항목에 대한 제1 상품의 정보에 “10kg”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10kg”을 “무게” 속성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로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조사” 속성 항목에 대한 제1 상품의 정보에 “A社”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A社”에 대응하는 수치(예를 들어, “001”)를, “제조사”에 대한 수치 정보로 이해할 수 있다. 속성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로부터, 속성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가 특정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영역 상에, 리뷰 데이터에 근거하여 수치 정보로 변환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영역은 “매트릭스 영역(610)”이라고도 표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리뷰 항목의 수치 정보를 매트릭스 형태로 시각화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230).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 각각은, 특정 상품군에 대한 리뷰 항목 및 속성 항목에 해당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매트릭스 영역의 제1 축(ex: X축) 및 제2 축(ex: Y축) 중 적어도 하나는 리뷰 항목에 대응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는 제1 축(ex: X축) 및 제2 축(ex: Y축) 중 적어도 하나는 속성 항목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매트릭스 영역의 제1 축(ex: X축) 및 제2 축(ex: Y축) 모두는 리뷰 항목에 대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매트릭스 영역의 제1 축(ex: X축) 및 제2 축(ex: Y축) 모두는 속성 항목에 대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축 및 제2 축에 어느 항목이 배치될 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군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상품 각각에 대한 리뷰 데이터(예를 들어, 선택형 리뷰 데이터, 420)를 수집하고, 수집된 리뷰 데이터(200)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가공하여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치 정보를 매트리스 형태로 시각화 하여 사용자 단말(1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 및 시스템(100) 관리자 중 적어도 하나는, 특정 상품군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사에 근거하여, 리뷰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뷰 데이터(예를 들어,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 410, 도 4 참조)를 이용하여 특정 상품군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사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410, 도 4)에 대한 자연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240). 그리고, 제어부(130)는 자연어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특정 상품군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사를 확인할 수 있다(S250). 그리고, 제어부(130)는 확인된 관심사를, 특정 상품군에 대한 리뷰 항목으로 매칭할 수 있다(S260).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학습된 인공 지능(AI) 기술을 이용하여, 자연어 처리가 수행된 리뷰 정보로부터, 특정 상품군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사를 분석(또는 추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정 상품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상품 각각의 수치 정보를, 매트릭스 형태로 시각화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상품군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집(또는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10, 도 3 참조). 특정 상품군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상품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상품군(ex: 침대 매트리스)에 속하는 서로 다른 상품을, 제1 상품(ex: A 제조사 침대 매트리스) 및 제2 상품(ex: B 제조사 침대 매트리스)으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120)에는 제1 상품에 대한 복수의 리뷰 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0)에는 제2 상품에 대한 복수의 리뷰 데이터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20)를 참조하여, 제1 상품 및 제2 상품 각각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뷰 데이터는,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410) 및 선택형 리뷰 데이터(4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될 수 있다.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410)는,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리뷰 데이터로, 사용자가 텍스트(text)로 자유롭게 입력한 리뷰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선택형 리뷰 데이터(420)는, 특정 리뷰 항목과 관련된 서로 다른 복수의 평가 척도에 대해 사용자들이 선택을 하도록 구성된 선택형 리뷰 방법을 통해 획득되는 리뷰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형 리뷰 데이터(420)는, 복수의 리뷰 항목(ex: 침대 매트리스의 “사이즈”, “두께”, “쿠션감”, 421, 422, 423) 각각에 대한 척도 정보(421a, 422a, 423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척도 정보”는, 상기 복수의 리뷰 항목 중 특정 리뷰 항목에 대해 상기 사용자들이 선택한 평가 척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리뷰 항목(421, 422, 423) 각각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평가 척도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감”에 대한 특정 리뷰 항목(423)에는 “푹신해요(423a)”, “보통이에요(423b)” 및 “단단해요(423c)”와 같은 서로 다른 복수의 평가 척도(423a, 423b, 423c)에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리뷰 항목(423)에 대한 척도 정보는, 사용자 선택에 근거하여 “푹신해요(423a)”의 평가 척도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의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20).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군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501, 502)마다 획득된 리뷰 데이터에 대한 가공을 수행하여,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상품(ex: A 제조사 침대 매트리스, 501)에 대한 복수의 리뷰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1 상품에 대한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2 상품(ex: B 제조사 침대 매트리스, 502)에 대한 복수의 리뷰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2 상품에 대한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에 대한 복수의 리뷰 데이터를 가공하여,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에 대한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상품에 대한 복수의 리뷰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1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 및 제2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2 상품에 대한 복수의 리뷰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1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 및 제2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리뷰 데이터는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410) 및 선택형 리뷰데이터(4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리뷰 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410) 및 선택형 리뷰데이터(420) 중 적어도 하나를 가공하여 수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선택형 리뷰 데이터(420)는, 복수의 리뷰 항목(421, 422, 423) 중 특정 리뷰 항목에 대해 사용자들이 선택한 평가 척도(421a, 422a, 423a)에 해당하는 척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ex: A 제조사 침대 매트리스, 501)에 대한 복수의 선택형 리뷰 데이터(420)에 포함된 척도 정보를, 리뷰 항목별(ex: “사이즈”, “두께”, “쿠션감)”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치화 하여,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형 리뷰 데이터(420)에 포함된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에는 복수의 평가 척도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감” 리뷰 항목에는 “딱딱해요”, “보통이에요”, “푹신해요”와 같은 복수의 평가 척도(또는 점수, 510a, 510b, 510c)이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i) 특정 리뷰 항목에 대한 복수의 평가 척도 중 사용자들이 선택한 평가 척도, ii) 상기 복수의 평가 척도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 및 iii) 특정 리뷰 항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들의 응답 수를 이용하여, 특정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i) 특정 리뷰 항목(ex: “쿠션감”)에 매칭된 복수의 평가 척도(ex: “딱딱해요”, “보통이에요”, “푹신해요”, 510a, 510b, 510c), ii) 상기 평가 척도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응답자 수(“0”, “49”, “323”, 511a, 511b, 511c) 및 iii) 상기 평가 척도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또는 가중치 값)에 근거하여, 특정 리뷰 항목에 대한 점수(또는 표준 점수, 평균 점수, 521)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리뷰 데이터를 수치화(또는 표준화)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하기 수학식과 같이, 특정 리뷰 항목(ex: “쿠션감”)에 대한 표준 점수를 수치 정보로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표준 점수={(제1 가중치 ×a)+(제2 가중치 ×b)+(제3 가중치 ×c)}÷(a+b+c)
여기에서, 제1 내지 3 가중치 각각은, 특정 리뷰 항목의 제1 내지 3 평가 척도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는 제어부(130) 및 시스템(100) 관리자에 의하여 미리 정의되어 저장부(120)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중치는 “1”, 제2 가중치는 “3”, 제3 가중치는 “5”로 미리 정의되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a, b 및 c 각각은, 제1 내지 제3 평가 척도 각각을 선택한 응답자 수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하여, 리뷰 항목 별로 표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준 점수가 산출되는 것을 본 발명에서는 표준화, 수치화라라고 할 수 있으며, 표준 점수는, “수치 정보”라고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상품(ex: A 제조사 침대 매트리스, 501)에 대한 특정 리뷰 항목의 표준 점수(ex: “4.84”, 521)를 산출하고, 제2 상품(ex: B 제조사 침대 매트리스, 502)에 대한 특정 리뷰 항목의 표준 점수(ex: “4.74”, 522)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학식은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품군 별로, 상품군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가공하는 수학식 및 가중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 매트리스” 상품군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수학식과, “페이스 메이크업” 상품군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가공하기 위한 수학식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이 해당하는 상품군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수학식 및 서로 다른 가중치에 따라 리뷰 데이터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군 각각에 대한 수학식 및 가중치는, 제어부(130) 및 시스템(100)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정의되어, 상기 특정 상품군 각각에 매칭되어 저장부(120)에 존재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410)로부터 복수의 리뷰 항목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410)로부터 추출된 내용에 대한 의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의미 분석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410)에 대한 자연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저장부(120)에 존재하는 의미 분석 데이터베이스(DB)를 참조하여, 자연어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특정 상품군에 대한 리뷰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침대 매트리스가 너무 딱딱해요”라는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에 대한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딱딱해요”가 침대 매트릭스 상품군에 대한 “쿠션감” 리뷰 항목의 “단단해요” 평가 척도에 대응하는 의미임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의미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리뷰 항목에 대한 표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상기 의미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단해요”에 대응하는 표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상품군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상품 각각에 대한 복수의 리뷰 데이터를, 상품의 항목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로 다른 상품 각각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 및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에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330). 제어부(130)는 상품에 대한 수치 정보를 매트릭스 영역 상에 시각화 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상품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Graphic Object, 611, 612, 613, 614, 615)를,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상품에 대한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서의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611, 612, 613, 614, 615)의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매트릭스 영역(610)상에 포함된 복수의 축(Axis)을 고려하여, 그래픽 객체들(611, 612, 613, 614, 615)의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매트릭스 영역(610)은, 제1 축(X축 또는 가로축, 610a) 및 상기 제1 축(610a)과 직교하는 제2 축(Y축 또는 세로축, 62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매트릭스 영역(610)은 상기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과 직교하는 제3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에 대해 설명하겠으며,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에 대한 설명은 제3 축에도 대해서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 각각은, 특정 상품군에 대한 리뷰 항목 및 속성 항목에 해당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매트릭스 영역의 제1 축(ex: X축) 및 제2 축(ex: Y축) 중 적어도 하나는 리뷰 항목에 대응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는 제1 축(ex: X축) 및 제2 축(ex: Y축) 중 적어도 하나는 속성 항목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매트릭스 영역의 제1 축(ex: X축) 및 제2 축(ex: Y축) 모두는 리뷰 항목에 대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매트릭스 영역의 제1 축(ex: X축) 및 제2 축(ex: Y축) 모두는 속성 항목에 대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축 및 제2 축에 어느 항목이 배치될 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축(610a)은, 특정 상품군(ex: “침대 매트리스 상품군”)에 대한 복수의 리뷰 항목 중 제1 리뷰 항목(ex: “쿠션감”)에 대응되고, 제2 축(610b)은, 상기 특정 상품군에 대한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제1 속성 항목(ex: “가격대”)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축(610a)은, 특정 상품군(ex: “침대 매트리스 상품군”)에 대한 복수의 리뷰 항목 중 제1 리뷰 항목(ex: “쿠션감”)에 대응되고, 제2 축(610b)은, 상기 제1 리뷰 항목과 다른 제2 리뷰 항목(ex: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축(610a)은, 특정 상품군(ex: “침대 매트리스 상품군”)에 대한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제1 속성 항목(ex: “가격대”)에 대응되고, 제2 축(610b)은, 상기 제1 속성 항목과 다른 제2 속성 항목(ex: “제조사”)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상품군에 대한 복수의 항목 중 제1 축(610a)에 대응하는 제1 항목 및 제2 축(610b)에 대응하는 제2 항목 각각에 대한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수치 정보는,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서 그래픽 객체(611, 612, 613, 614, 615)들이 표시되는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지표(기준 또는 근거)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축(610a)에 대응하는 제1 항목에 대한 제1 상품의 수치 정보와, 제2 축(610b)에 대응하는 제2 항목에 대한 제1 상품의 수치 정보가 서로 교차되는 제1 지점을, 제1 상품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1 축(610a)에 대응하는 제1 항목에 대한 제2 상품의 수치 정보와, 제2 축(610b)에 대응하는 제2 항목에 대한 제2 상품의 수치 정보가 서로 교차되는 제2 지점을, 제2 상품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611, 612, 613, 614, 615)의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그래픽 객체들(611, 612, 613, 614, 615)의 표시 위치는, 좌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결정된 표시 위치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그래픽 객체들(611, 612, 613, 614, 615)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축(610a)은 “쿠션감” 항목에 대응되고, 제2 축(610b)은 “가격대”항목에 대응된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제1 상품은, “쿠션감”항목에 대해 “3.7점”의 수치 정보와, “가격대”항목에 대해 “98만원”의 수치 정보를 갖고, 제2 품은 “쿠션감”항목에 대해 “5.1점”의 수치 정보와, “가격대”항목에 대해 “72만원”의 수치 정보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상품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객체(611)는,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서 좌표 (3.7, 98)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상품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객체(612)는,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서 좌표 (5.1, 72)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매트릭스 영역(610)에 포함된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항목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축(610a)에 대응하는 항목 및 제2 축(610b)에 대응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변경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축(610a)에 대응하는 항목 및 제2 축(610b)에 대응하는 항목이 변경되는 것에 연동하여, 매트릭스 영역(610)에 표시된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600)에는, 매트릭스 영역(610)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페이지(600) 상의 매트릭스 영역(610) 주변에는,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에 대응되는 항목을 선택 받기 위한 선택 영역(620)이 위치할 수 있다.
선택 영역(620)은, 제1 축(610a)에 대응되는 항목을 선택 받기 위한 제1 선택 영역(620a) 및 제2 축에 대응되는 항목을 선택 받기 위한 제2 선택 영역(6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1 선택 영역(620a)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축(610a)에 대응되는 항목을 다른 항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2 선택 영역(620b)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2 축(610b)에 대응되는 항목을 다른 항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610a)에는 복수의 항목 중 제1 항목이 대응되고, 제2 축(610b)에는 복수의 항목 중 제2 항목이 대응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1 선택 영역(620a)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축(610a)에 대응되는 제1 항목을 제3 항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2 선택 영역(620b)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2 축(610b)에 대응되는 제2 항목을 제4 항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기 위하여, 도 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선택 영역(620a) 상에 복수의 항목(710a, 710b, 710c)을 포함하는 제1 항목 리스트(710)를 드롭 다운(Drop Down)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항목 리스트(710)는, 제1 선택 영역(620a)의 일 영역(ex: “V” 아이콘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선택에 근거하여, 제1 선택 영역(620a)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항목 리스트(710)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ex: “두께감”, 710c)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1 선택 영역(620a)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선택 영역(620a)에 대한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제1 축(610a)에 대응하는 항목을, 선택된 항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2 선택 영역(620b) 상에 복수의 항목(720a, 720b, 720c)을 포함하는 제2 항목 리스트(720)를 드롭 다운(Drop Down)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항목 리스트(720)는, 제2 선택 영역(620b)의 일 영역(ex: “V” 아이콘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선택에 근거하여, 제2 선택 영역(620b)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2 항목 리스트(720)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ex: “배송기간”, 720c)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2 선택 영역(620b)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2 선택 영역(620b)에 대한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제2 축(610b)에 대응하는 항목을, 선택된 항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축(610a)에 대응하는 항목 및 제2 축(610b)에 대응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것에 연동하여, 매트릭스 영역(610)에 표시된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그래픽 객체의 변경된 표시 위치는, 변경된 제1 축(610a)에 대응하는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 및 변경된 제2 축(610b)에 대응하는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서비스 페이지(600) 상의 선택 영역(620)에는, 제1 축(610a)에 대응하는 항목과, 제2 축(610b)에 대응하는 항목을 서로 전환하는 선택을 받기 위한 일 영역(62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기 일 영역(620c)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축(610a)에 대응하는 항목과 제2 축(610b)에 대응하는 항목을 설로 전환하여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610a)에는 제1 항목이 대응되고, 제2 축에는 제2 항목이 대응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일 영역(620c)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제1 축(610a)에 대응되는 항목을 제1 항목에서 제2 항목으로 변경하고, 제2 축(610b)에 대응되는 항목을 제2 항목에서 제1 항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 각각은, 특정 상품군에 대한 리뷰 항목 및 속성 항목에 해당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에 대응하는 항목을, 복수의 리뷰 항목 및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적어도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610a)에 복수의 리뷰 항목 중 제1 리뷰 항목이 대응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1 선택 영역(620a)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어부(130)는 제1 축(610a) 에 대응되는 제1 리뷰 항목을, 상기 제1 리뷰 항목과는 다른 제2 리뷰 항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축(610a)에 제1 리뷰 항목이 대응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1 선택 영역(620a)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어부(130)는 제1 축(610a)에 대응되는 제1 리뷰 항목을,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제1 속성 항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 각각에 대한 기본 항목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항목은, 시스템(100) 관리자 또는 제어부(130)에 의해 상품군 별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0)에는, 기본 항목이 상품군 별로 각각 매칭되어 매칭 정보로서 저장부(120)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 매트리스 상품군”에는, 제1축(610a)에 “쿠션감” 항목이 기본 항목으로 미리 설정되어 존재하고, 제2 축(610b)에 “가격대” 항목이 기본 항목으로 미리 설정되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페이스 메이크업 상품군”에는, 제1축(610a)에 “커버력” 항목이 기본 항목으로 미리 설정되어 존재하고, 제2 축(610b)에 “배송일” 항목이 기본 항목으로 미리 설정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서비스 페이지(600)의 출력 요청을 수신하면, 제1축(610a)에 대응하는 기본 항목에 대해 복수의 상품 각각이 갖는 수치 정보와, 제2축(610b)에 대응하는 기본 항목에 대해 복수의 상품 각각이 갖는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그래픽 객체들(611, 612, 613, 614, 615)을 표시할 수 있다(도 6의 (a) 참조).
여기에서, 서비스 페이지(600)의 출력 요청은, 특정 상품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상품 정보 요청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기본 항목은,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다른 항목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매트릭스 영역 상(610)상에, 기본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에 근거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1 선택 영역(620a) 및 제2 선택 영역(620a)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에 대응되는 기본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항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에 대한 항목을 변경하는 방법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매트릭스 영역(610)에 대한 스케일(scale)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매트릭스 영역(610)에 대한 스케일 변경은,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에 대한 스케일이 변경에 연동하여, 매트릭스 영역(610)에 포함되는 그래픽 객체의 크기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610)의 스케일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매트릭스 영역(6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스케일에 따른 매트릭스 영역(610)의 변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매트릭스 영역(610)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ex: 핀치 아웃, Pinch out)이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매트릭스 영역(610)의 확대에 대응하는 스케일 변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매트릭스 영역(610)에 대한 제2 사용자 입력(ex: 핀치 인, Pinch in)이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10)부터 매트릭스 영역(610)의 축소에 대응하는 스케일 변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매트릭스 영역(6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의 스케일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매트릭스 영역(6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크기에 따라,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의 스케일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매트릭스 영역(610)에 대한 사용자 입력 시간에 대응하는 스케일의 크기로, 제1 축(610a) 및 제2축의 스케일의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이 가해진 영역의 크기(또는 길이)에 대응하는 스케일의 크기로, 제1 축(610a) 및 제2축의 스케일을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의 스케일 변경에 연동하여, 매트릭스 영역(610)에 포함되는 그래픽 객체의 크기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의 스케일 변경에 연동하여, 매트릭스 영역(610)에 포함되는 제1 크기의 그래픽 객체(811)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의 그래픽 객체(821)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의 스케일 변동에 연동하여, 매트릭스 영역(610)에 포함되는 그래픽 객체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도 8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는 상품 군집(群集)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831)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의 스케일 변동에 연동하여, 매트릭스 영역(610)에 포함되는 그래픽 객체의 크기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것을, 매트릭스 영역(610)에 표시되는 매트릭스 뷰(View, 810, 820, 830)의 스케일이 변경되는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의 시각적 외관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의 스케일 변동에 연동하여, 그래픽 객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복수의 상품 중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다른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도록, 크기, 색상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이하, “시각적 외관”으로 명명하여 설명)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복수의 상품 중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특정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특정 상품에 대응되는 특정 그래픽 객체(615)의 시각적 외관을, 다른 그래픽 객체(611, 612, 613, 614)의 시각적 외관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상품이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다는 것은, 특정 상품이 사용자 계정에서 구매된 구매 상품 또는 사용자 계정에서의 관심 상품으로 선택(ex: “찜하기” 또는 “장바구니 보관”)된 상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 중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특정 상품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히스토리 정보에는, 사용자 계정에서의 구매 이력 정보 및 관심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한 결과, 복수의 상품 중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특정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상품에 대응되는 특정 그래픽 객체 주변에, 특정 상품이 사용자 계정과 관련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 615)를 표시(또는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과 관련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는, 도 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상품과 사용자 계정 사이의 관련성에 근거하여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이 사용자 계정에서의 관심 상품(예를 들어, 최근에 열람한 상품)에 해당하는 경우, 관심 상품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615a)에는, 특정 상품이 사용자 계정에서의 관심 상품에 해당함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ex: “최근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특정 상품이 사용자 계정에서의 구매 상품에 해당하는 경우, 구매 상품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615b)에는, 특정 상품이 사용자 계정에서의 구매 상품에 해당함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ex: “사용중”)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한 결과, 복수의 상품 중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특정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상품 중 인기 상품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 주변에, 인기 상품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ex: “20대 인기”, “30만원대 인기”, 615c, 615d)를 표시(또는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매트릭스 영역(610)에는,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 중 일부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다른 일부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다른 일부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표시 요청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특정 제스처(ex: 드래그, drag)가 입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다른 일부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표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다른 일부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표시 요청에 근거하여, 도 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다른 일부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복수의 상품 중 일부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일부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는 것을, 매트릭스 영역(610)에 표시되는 매트릭스 뷰(View, 910, 920)의 구간이 변경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는,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이 이루는 전체 구간 중 제1 구간에 대응하는 매트릭스 뷰(910)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구간에 대응하는 매트릭스 뷰(910, 도 9의 (a) 참조)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구간 변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매트릭스 뷰의 구간 변경 요청을 수신한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구간과는 다른 제2 구간에 대응하는 매트릭스 뷰(920, 도 9의 (b) 참조)를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특정 상품군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상품 중 사용자가 원하는 속성 항목(또는 조건)에 대응하는 상품만을 필터링(filtering)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비스 페이지(600) 상에는, 매트릭스 영역 주변에 필터 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품의 “속성”은, 수치 정보로 가공이 가능하지 않은 정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상품의 “속성”은, 랭킹(ranking)화가 어려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의 “속성”은, 상품의 사이즈, 브랜드, 제조사, 배송 형태(ex: 택배 배송, 업체 배송, 해외 배송 등), 무료 배송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품의 속성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을, “속성 항목”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필터 영역(630)에 대한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어느 하나를 다른 속성 항목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변경전 속성 항목에 대응하는 상품의 그래픽 객체는, 매트릭스 영역 상에서 사라지고, 변경된 속성 항목에 대응하는 상품의 그래픽 객체가 매트릭스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 영역(630)은, 복수의 속성 항목 어느 하나를 선택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영역(630)은, 복수의 속성 항목 중 제1 속성 항목을, 상기 제1 속성 항목과는 다른 제2 속성 항목으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 영역(630)에는, 복수의 속성 항목(또는 조건)에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631, 632, 633, 635, 636)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영역(630)에는, “싱글(S)”, “슈퍼 싱글(SS)”, “더블(D)”, “무료 배송”, “A社”, “B社”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631, 632, 633, 634, 635, 636)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필터 영역(630)에는, 도 10에 도시된 속성 항목에 대응하는 아이콘(631, 632, 633, 634, 635, 636)외에, 다양한 속성 항목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필터 영역(630)에는, 상품의 브랜드에 대응하는 아이콘, 상품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아이콘, 상품의 배송 형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필터 영역(63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631, 632, 633, 634, 635, 636)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무료배송”, 634)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속성 항목(조건)을 만족하는 상품을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특정된 상품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만을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특정되지 않은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는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고, 특정된 상품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는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비스 페이지(600)의 일 영역(640) 상에는, 복수의 상품 중 특정 상품의 상품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매트릭스 영역(610)에 포함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1101, 1102, 1103) 중 특정 그래픽 객체(1101)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일 영역(640)을 통해,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특정 상품의 상품 정보(641)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상품의 상품 정보(641)에는, 특정 상품의 이미지, 상품명, 제조사(또는 브랜드 명), 항목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ex: “#단단함”, “#4만원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상품의 상품 정보(641)는 카드 그래픽 객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는 일 영역(640)은 캐로셀(Carousel) 영역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영역(640) 상에는,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가 전환되면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일 영역(640) 상에,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도 11의 (b)에서 도면부호 642 참조)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는 사라지고, 상기 제1 상품과는 다른 제2 상품의 상품 정보(도 11의 (b)에서 도면부호 643 참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영역(640) 상에 제공되는 상품 정보의 전환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 마다, 서로 다른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가 전환되어 서비스 페이지(600)의 일 영역(640) 상에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따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642)가 일 영역(640)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품 정보 전환과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일 영역(640) 상에 제2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643)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품 정보 전환과 관련된 요청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페이지(600) 가 제공된 사용자 단말(10)에서의 일 영역(64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 상품과 다른 상품의 상품 정보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매트릭스 영역(610)에 포함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매트릭스 영역(610)에서 특정 그래픽 객체가 선택된 것에 근거하여,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상품(이하, “선택된 상품”으로 명명하여 설명)의 정보를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택된 상품의 정보를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에 저장하는 것을,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에 저장하는 것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서비스 페이지(600)에 포함된 기능 아이콘(1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기 기능 아이콘(1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에서 선택된 상품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만이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트릭스 영역(610)상에 선택된 상품을 포함한 복수의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1201, 1202, 1203, 1204)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능 아이콘(1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상기 기능 아이콘(1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근거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1201, 1202)를 제외한 그래픽 객체(1203, 1204)는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1201, 1202)의 표시는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1201, 1202)가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표시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능 아이콘(1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1201, 1202)가 매트릭스 영역(610)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관심 있는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그래픽 객체만을 모아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페이지(600) 상에, 특정 상품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일부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13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 리스트(1500)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는, 상품의 이미지, 상품의 제조사(또는 브랜드), 상품의 명칭, 상품 가격 정보, 상품의 항목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품 리스트(1500)를 통해 상품 정보가 제공되는 상품은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매트릭스 영역(610)을 통해 그래픽 객체로서 제공되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상품 리스트(1500) 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영역(610)을 통해,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이 이루는 전체 구간 중 제1 구간에 대응하는 상품의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상품 리스트(1500)에는, 상기 제1 구간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매트릭스 영역(610)에 제1 구간에 대응하는 상품의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구간과는 다른 제2 구간에 대응하는 다른 상품의 그래픽 객체가 변경되어 표시되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상품 리스트(1500)에는, 상기 제1 구간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가 사라지고, 상기 제2 구간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매트릭스 영역(610)을 통해 그래픽 객체로서 제공되지 않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상품 리스트(1500) 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매트릭스 영역(610)을 통해 그래픽 객체로서 제공되지 않는 상품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특정 상품군에 해당하는 복수의 상품 중 리뷰 데이터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상품의 상품 정보를, 상품 리스트(15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리뷰 데이터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상품은, 리뷰 데이터에 근거하여 수치 정보를 생성하지 못하고,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610)에 그래픽 객체로서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품 리스트(1500)를 통해, 그래픽 객체로서 제공되지 못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품에 매칭된 리뷰 데이터 중 특정 리뷰 항목과 관련된 리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상품의 상품 정보를, 상품 리스트(15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에 매칭된 리뷰 데이터에 “쿠션감” 리뷰 항목에 대응하는 리뷰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하자. 매트릭스 영역(610)의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 중 어느 하나를 “쿠션감”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는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표시되지 못한다. 이에, 제어부(150)는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상품 리스트(1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매트릭스 영역(610)상에 표시되고 있지 않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를, 상품 리스트(15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리스트(1500)는, 제1 축(610a) 및 제2 축(610b)이 이루는 구간이 변경되는 변경되는 것에 근거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다.
한편, 도 1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비스 페이지(600) 상에는, 상품 리스트(1500) 표시와 관련된 기능 아이콘(ex: “전체보기”, 1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아이콘(1510)은, 상품 리스트(1500) 포커싱 인터랙션(Focusing interaction) 기능과 관련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기 기능 아이콘(1510)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도 1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비스 페이지(600) 전체 영역에 상품 리스트(1500)가 노출되도록 서비스 페이지(6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페이지(600)는,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610, 620, 630, 640)포함하는 제1 레이어와, 상품 리스트(1500)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는 서로 다른 계층을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품 리스트(1500)를 포함하는 제2 레이어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기 기능 아이콘(1510)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보다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레이어의 일부분을 가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품군(商品群) 단위로, 리뷰 데이터를 수치 정보로 가공하고, 수치 정보를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침대 매트리스 상품군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상품(ex: A제조사 침대 매트리스, B제조사 침대 매트리스)의 리뷰 데이터 각각을, 수치 정보로 가공하여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그래픽 객체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페이스 메이크업(Face Makeup) 상품군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상품(예를 들어, C브랜드의 페이스 메이크업, D 브랜드의 의 페이스 메이크업)의 리뷰 데이터 각각을, 수치 정보로 가공하여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그래픽 객체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페이스 메이크업 상품군에 대한 기 설정된 리뷰 항목이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페이스 메이크업 상품군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에는, 상기 기 설정된 리뷰 항목에 대한 척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페이스 메이크업 상품군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에는, 페이스 메이크업에 대해 기 설정된 “촉촉함”, “지속력”, “커버력” 각각의 리뷰 항목(1411, 1412, 1413)에 대한 척도 정보(1411a, 1412a, 1413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상기 척도 정보를 포함하는 리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페이스 메이크업 상품군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상품 각각에 대한 수치 정보를 생성하여, 매트릭스 영역(610) 상에 그래픽 객체로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오프라인 데이터를, 매트리스 영역 상에 시각화 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프라인 데이터”는, 온라인에서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쇼핑 서비스와 관련된 서버(ex: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리뷰 데이터 외에 다양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데이터는, i)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가 온라인(ex: SNS, 블로그 등)에 등록한 리뷰 데이터, ii) 오프라인에서의 상품 판매와 실적 정보, iii) 브랜드 또는 제조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 데이터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에 등록되거나, 통신부(110)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으로 수집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오프라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리뷰 항목 각각의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에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오프라인 데이터를, 앞서 설명한 리뷰 데이터와 같이 가공하고, 이를 매트리스 영역 상에 시각화 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오프라인 데이터를 시각화 하여 제공하는 방법은, 리뷰 데이터를 시각화 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특정 상품군 단위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매트릭스 형태로 시각화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의 수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리뷰 데이터를 매트릭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기준 또는 지표를 마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에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매트릭스 영역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를 통해,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 및 비교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복수의 상품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품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7)

  1.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의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matrix) 영역에 상기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영역 상에서 상기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는,
    상기 복수의 상품의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영역은,
    제1 축 및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축은 상기 복수의 리뷰 항목 중 제1 리뷰 항목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축은 상기 복수의 리뷰 항목 중 제1 리뷰 항목과 다른 제2 리뷰 항목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품 중 제1 상품에 대응되는 제1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는,
    상기 제1 축에서의 상기 제1 리뷰 항목에 대한 상기 제1 상품의 수치 정보 및 상기 제2 축에서의 상기 제2 리뷰 항목에 대한 상기 제1 상품의 수치 정보가 교차되는 제1 지점에 해당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 중 상기 제1 상품과 다른 제2 상품에 대응되는 제2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는,
    상기 제1 축에서의 상기 제1 리뷰 항목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의 수치 정보 및 상기 제2 축에서의 상기 제2 리뷰 항목에 대한 상기 제2 상품의 수치 정보가 교차되는 제2 지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리뷰 항목 및 상기 제2 리뷰 항목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변경에 연동하여, 상기 매트릭스 영역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의 표시위치는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제공 가능한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되고,
    상기 서비스 페이지의 상기 매트릭스 영역 주변에는 상기 제1 축에 대응되는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선택 영역 및 상기 제2 축에 대응되는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 영역이 위치하며,
    상기 제1 리뷰 항목은, 상기 제1 선택 영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다른 항목으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 제2 리뷰 항목은, 상기 제2 선택 영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다른 항목으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페이지의 상기 매트릭스 영역 주변에는 상기 복수의 상품의 속성과 관련된 속성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필터 영역이 더 위치하고,
    상기 속성 항목은, 상기 필터 영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다른 항목으로 변경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상품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상품 각각을 설명하는 설명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의 스케일은,
    상기 매트릭스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변경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의 스케일 변경에 연동하여, 상기 매트릭스 영역에 포함되는 그래픽 객체의 크기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뷰 데이터는,
    서로 다른 복수의 평가 척도에 대해 사용자들이 선택을 하도록 구성된 선택형 리뷰 방법을 통해 획득되고,
    상기 리뷰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리뷰 항목 중 특정 리뷰 항목에 대해 상기 사용자들이 선택한 평가 척도에 해당하는 척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리뷰 항목의 상기 복수의 평가 척도 중 상기 사용자들이 선택한 평가 척도, 상기 복수의 평가 척도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 및
    상기 특정 리뷰 항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들의 응답 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리뷰 항목에 대한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뷰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매한 사용자들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텍스트형 리뷰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리뷰 항목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한 리뷰 항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들의 평가 점수를 환산함으로써, 상기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품 중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특정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상품에 대응되는 특정 그래픽 객체는, 다른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도록 표시되며,
    상기 특정 그래픽 객체는, 상기 다른 그래픽 객체와 크기, 색상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특정 상품은,
    상기 사용자의 구매 상품 또는 관심 상품에 해당하고,
    상기 특정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그래픽 객체 주변에는, 상기 특정 상품이 상기 사용자와 관련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영역은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제공 가능한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되고,
    상기 매트릭스 영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 중 특정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페이지의 일 영역에는,
    상기 특정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특정 상품의 상품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영역에 제공된 상기 특정 상품의 상품 정보는,
    상기 서비스 페이지가 제공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일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상품과 다른 상품의 상품 정보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16.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의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에 상기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리뷰 데이터 제공 시스템.
  17.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특정 상품군에 포함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리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리뷰 항목 각각의 수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매트릭스 영역에 상기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20133492A 2022-10-17 2022-10-17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시스템 KR20240053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492A KR20240053426A (ko) 2022-10-17 2022-10-17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492A KR20240053426A (ko) 2022-10-17 2022-10-17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426A true KR20240053426A (ko) 2024-04-24

Family

ID=9088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492A KR20240053426A (ko) 2022-10-17 2022-10-17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4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Mining affective experience for a kansei design study on a recliner
US20170097963A1 (en) Data Analysis
US7878390B1 (en) Relative ranking and discovery of items based on subjective attributes
JP6370434B1 (ja) 企業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Rajic et al. Modelling the relationships among retail atmospherics,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customer behavioural intentions in an emerging economy context
JP2010218376A (ja) ユーザ関心ジャンル分析システム
WO2019226935A9 (en) Real-time recommendation monitoring dashboard
Semerádová et al. Website quality and shopping behavi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idence
Sulikowski et al. Human-website interaction monitoring in recommender systems
US20210090105A1 (en) Technology opportunity mapping
US20160171567A1 (en) Universal feedback system with site-local data acquisition and presentation
JP6925495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60300292A1 (en) Product navigation tool
KR20240053426A (ko) 리뷰 데이터 제공 방법 시스템
JP6585998B2 (ja) コンテンツ決定装置
CN114358871A (zh) 商品推荐方法及电子设备
JP4251550B2 (ja) 電子カタログ処理プログラム
Zainal et al. Online Convenience Store System using Multidimensional Data Visualization
US202103504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the selection of materials or products according to haptic properties
JP2017182746A (ja) 情報提供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6809148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組み合わせ抽出システム
WO2019159288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67370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itkin et al. Dirichlet process mixtures of order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to retail analytics
JP2020149137A (ja) 行動パターン分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