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383A -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383A
KR20240053383A KR1020220133402A KR20220133402A KR20240053383A KR 20240053383 A KR20240053383 A KR 20240053383A KR 1020220133402 A KR1020220133402 A KR 1020220133402A KR 20220133402 A KR20220133402 A KR 20220133402A KR 20240053383 A KR20240053383 A KR 2024005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de
guardian
cal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팟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팟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팟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33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383A/ko
Publication of KR2024005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3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2019/06215Aspects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 G06K2019/06253Aspects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for a specific appl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호자 단말기가 휴대 가능한 피보호자 단말기의 제품에 부착된 QR 코드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기록하여 QR 코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웹 페이지를 통해 판독 단말기가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판독하여 QR 코드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관리서버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상기 호출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판독 단말기가 상기 호출메시지에 대응하는 승인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인증하여 상기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ROVIDESING SYSTEM OF CALL SERVICE USING QUICK RESPONE COD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피보호자가 휴대 가능한 제품에 삽입된 QR 코드를 활성화하는 경우 기저장된 순서대로 보호자에게 순차적으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여 위험상황으로부터 피보호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는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2차원 바코드로서, 주로 일본, 한국, 영국, 미국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QR 코드는 종래에 많이 사용되었던 1차원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 바코드로 종횡의 정보를 가져 숫자 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카메라, 전용 스캐너, 및 스마트폰 등이 QR 코드를 판독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현대사회가 핵가족화 및 개인화되면서 어린이 또는 노인들과 같은 노약자들이 혼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노약자들이 위험에 처해지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는데, 외부에 그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히 알리지 못하여 더욱 큰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또한, 낮시간에 보호자 없이 아동, 치매노인, 장애인 등이 혼자 이동할 때 위험상황이 발생한 경우, 위험상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긴급한 상황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려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치매 환자와 같이 정신적 인지 능력이 전혀 없거나, 유아나 긴급 환자의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응급상태 발생시 대처할 능력이 없어서 보호자가 계속적으로 지켜보아야 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환자 간병에도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노약자 또는 환자들이 스스로 자신이 응급상황에 처해 있음을 외부 또는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는 응급상태 알림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을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537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411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호자 단말기가 휴대 가능한 피보호자 단말기의 제품에 부착된 QR 코드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기록하여 QR 코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웹 페이지를 통해 판독 단말기가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판독하여 QR 코드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관리서버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상기 호출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판독 단말기가 상기 호출메시지에 대응하는 승인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인증하여 상기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비활성화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가입 후 생성된 회원가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자의 호출순서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보호자 단말기가 제1 응답시간 안에 제1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순서의 제2 보호자 단말기로 제2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보호자 단말기가 제2 응답시간 안에 상기 제2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순서의 제3 보호자 단말기로 제3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보호자 단말기가 제3 응답시간 안에 상기 제3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자동으로 연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답시간은 상기 제2 응답시간 보다 길고, 상기 제2 응답시간은 상기 제3 응답시간 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상기 승인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상기 호출메시지를 기초로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상기 판독 단말기 사이의 챗봇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상기 호출메시지를 기초로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연계 단말기가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판독하여 QR 코드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인증하여 상기 개인정보를 상기 연계 단말기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보호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계 단말기로 상기 긴급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가 포함된 긴급호출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보호자의 생체신호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수신하는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QR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QR 코드를 비활성화하는 관리서버;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 가능한 피보호자 단말기의 제품에 부착된 QR 코드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기록하여 QR 코드를 활성화하는 보호자 단말기; 및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판독하여 인증된 QR 코드로부터 추출된 상기 개인정보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판독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판독 단말기가 QR 코드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관리서버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판독 단말기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기설정된 시간 안에 상기 호출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호출메시지에 대응하는 승인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인증하여 상기 개인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보호자가 휴대 가능한 제품에 삽입된 QR 코드를 활성화하는 경우 기저장된 순서대로 보호자에게 순차적으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피보호자가 응급상황에 처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보호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상황이 발생한 경우 의료기관이나 안전신고센터로 자동으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빠르게 구조요청을 진행하여 응급 환자가 더 빠르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상황 발생시 피보호자의 능동적인 행위를 할 수 없는 경우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의료기관이나 안전신고센터로 자동으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동, 치매노인 또는 장애인 등과 같은 보호가 필요한 피보호자의 보호자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활성화된 QR 코드가 포함된 제품을 피보호자인 실사용자가 항상 휴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QR 코드 활성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QR 코드로부터 추출된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독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계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피보호자 단말기(10), 보호자 단말기(20), 판독 단말기(30), 연계 단말기(40) 및 관리서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피보호자가 휴대 가능한 제품(11)에 배치된 QR 코드(110)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보호자가 직접 입력하고, 스마트폰과 같은 판독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제품(11)의 QR 코드(110)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인증절차를 통해 위험상황에서 순차적으로 보호자를 호출하여 피보호자를 위험상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는 QR 코드(110)가 배치된 제품(11)을 소지한 실종방지대상으로써, 유아, 장애인 및 치매노인 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반려동물 또는 물건일 수도 있다. 보호자는 제품(11)의 QR 코드(110)에 개인정보를 기록하는 사용자로써, 가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피보호자를 관리할 수 있는 주체이며 설정사항에 따라 그 대상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QR 코드(110)가 배치된 제품(11)은 팔찌, 목걸이, 반지, 시계, 머리 착용형 장치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신체 착용형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의류 일체형일 수도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 단말기(10), 보호자 단말기(20), 판독 단말기(30), 연계 단말기(40) 및 관리서버(50)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망은 다양한 원거리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널리 알려진 다양한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우선, 피보호자 단말기(10)는 보호자의 보호가 필요한 피보호자가 소지한 단말기로써, 피보호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신호는 키, 체중, 근골격량, 체지방량, 심박동수, 혈압, 산소포화, 체온, 심전도, 호흡수 및 뇌파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위치정보는 피보호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이용하여 피보호자 단말기(10)의 현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기(10)는 위험상황에 노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 보호자 단말기(20), 연계 단말기(40) 또는 관리서버(50)로 긴급호출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긴급호출메시지에는 개인정보 및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개인정보에는 피보호자의 정보 및 피보호자의 보호자의 정보로써, 피보호자의 사진, 이름, 성별, 나이, 연락처, 주소 및 긴급연락처 등의 기본정보와, 직업, 취미 및 성향(이성적, 민감적, 감성적, 보수적, 진취적, 수동적, 부정적 및 긍정적 등의 정보) 등의 부가정보와, 키, 체중, 근골격량, 체지방량, 심박동수, 혈압, 산소포화, 체온, 심전도, 호흡수 및 뇌파 등의 생체정보와, 행복(Happiness), 보통(Neutral), 화남(Anger), 혐오(Disgust), 두려움(Fear), 슬픔(Sadness), 놀라움(Surprise) 등의 감정정보와, 복수의 의료 기관에서 측정된 다수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정보 등의 의료정보와, 호출순서정보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국적, 언어, 장애 유무가 포함될 수 도 있다.
이때, EMR 정보에는 피보호자의 진료기록, 투약정보, 생체 파라미터 정보, 약물반응성, 가족력, 알러지유무 및 전문의 소견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호출순서정보에는 QR 코드(110)의 인증시 인증절차를 통해 순차적으로 호출되는 보호자의 순서를 설정한 정보일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20)는 관리서버(50)와의 통신을 통해 QR 코드(110)를 이용한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개인정보에는 피보호자의 정보 및 피보호자의 보호자의 정보로써, 피보호자의 기본정보와, 부가정보와, 생체정보와, 감정정보와, 의료정보와, 호출순서정보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QR 코드(110)는 QR 코드에 별도의 정보가 기록되지 않는 빈(empty) QR 코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보호자 단말기(20)는 비활성화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QR 코드(110)를 활성화하여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저장 또는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보호자 단말기(20)는 제1 내지 제3 보호자 단말기(22, 24, 26)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기(20)는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는 경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회원가입을 한 후, 생성된 회원가입정보를 기초로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QR 코드(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회원가입은 개인정보에 의해 선진행되며, 보호자 단말기(20)의 선가입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연동되어 진행될 수도 있다.
회원가입정보에는 아이디, 비밀번호 및 고객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20)는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는 경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는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최초 회원가입 또는 개인정보를 입력한 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20)는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는 경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삭제하여 QR 코드(11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기록된 개인정보 중 보호자의 선택에 의해 QR 코드(110)의 인증시 선택된 정보만 표시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는 새로운 단말을 이용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QR 코드(110)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생성하여 판독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호출메시지에는 판독 단말기(30)에 의해 작성된 전달메시지, 피보호자 또는 판독 단말기(30)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에 의해 작성된 전달메시지는 텍스트, 동영상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설정된 응답시간은 보호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관리서버(50)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피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생성하여 판독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호출메시지에 대응하는 승인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없는 미승인메시지를 생성하여 판독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피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없는 미승인메시지를 생성하여 판독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연계 단말기(40)를 호출할 수 있는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피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해 연계 단말기(40)를 호출할 수 있는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생성하기 전에 챗봇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챗봇 서비스는 음성 또는 메시지에 대한 대화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대화창의 일부분에 광고가 포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관리서버(50)를 통해서 판독 단말기(30)와의 챗봇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챗봇 서비스를 통해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피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 또는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거나,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미승인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에 의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가 판독되는 경우, 피보호자가 소지한 제품(11)의 위치정보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에 의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가 판독되는 경우, 판독 단말기(30)와 자동으로 음성 또는 메시지에 대한 대화창이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는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와 광고를 함께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20)는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1 보호자 단말기(22)가 제1 응답시간 안에 제1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순서의 제2 보호자 단말기(24)가 제2 호출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2 보호자 단말기(24)가 제2 응답시간 안에 제2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제3 보호자 단말기(26)가 제3 호출메시지를 수신하고, 제3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3 보호자 단말기(26)가 제3 응답시간 안에 제3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 긴급호출메시지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연계 단말기(4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1 응답시간은 제2 응답시간 보다 길고, 제2 응답시간은 제3 응답시간 보다 길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제1 내지 제3 응답시간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호출메시지의 내용은 서로 동일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20)는 피보호자 단말기(10)로부터 피보호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계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정보를 기초로 피보호자의 생체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피보호자의 생체신호가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되면, 보호자 단말기(20)가 이를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체신호 및 긴급호출메시지에는 피보호자 단말기(10)의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자 단말기(20)는 관리서버(5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휴대 가능한 전자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기(20)는 별도의 스마트 기기로써,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Tablet),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 포함), 각종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과 같은 다양한 휴대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휴대 가능하지 않는 데스크 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및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등의 전자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20)는 본 개시에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서버 또는 관리서버(5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호자 단말기(20)는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직접 개인정보를 비활성화된 QR 코드(110)에 기록하여 활성화한 후,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현재상황을 파악하여 호출메시지에 대응하는 승인/미승인메시지 또는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함으로써, 위험상황으로부터 피보호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판독 단말기(30)는 QR 코드 판독 프로그램이 설치된 피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써, 웹 페이지를 통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된 QR 코드(110)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정보는 보호자 단말기(20)에 의해 저장된 개인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호자 단말기(20)에 의해 개인정보 중 확인 가능하도록 선택된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판독 단말기(30)는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스캔하는 경우, 웹 페이지를 통해 QR 코드 인식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인증된 QR 코드를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판독 단말기(30)는 웹 페이지를 통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는 경우, QR 코드(110)를 인증하여 개인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보호자 단말기(20)를 호출하는 호출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20) 또는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보호자 단말기(20)를 호출하는 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20) 또는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호출메시지에는 판독 단말기(30)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 피보호자 또는 판독 단말기(30)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판독 단말기(30)는 웹 페이지를 통해 호출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한 경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호출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보호자 단말기(20)에게 호출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보호자 단말기(20)에게 호출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고,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계 단말기(40)를 호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보호자 단말기(20)에게 호출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판독 단말기(30)는 웹 페이지를 통해 호출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판독 단말기(30)는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피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해 연계 단말기(40)를 호출할 수 있는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판독 단말기(30)는 웹 페이지를 통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는 경우,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20)와 챗봇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챗봇 서비스는 음성 또는 메시지에 대한 대화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대화창의 일부분에 광고가 포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20)의 요청에 의해 관리서버(50)를 통해서 보호자 단말기(20)와의 챗봇 서비스를 실행한 후,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챗봇 서비스를 실행하여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챗봇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 보호자 단말기(20)에게 호출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보호자 단말기(20)와의 챗봇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보호자 단말기(20)와의 챗봇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개인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가 판독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기(20)와 자동으로 음성 또는 메시지에 대한 대화창이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가 판독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기(20)에게 위치정보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QR 코드(110)에 기록된 정보와 광고를 함께 전송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독 단말기(30)는 보호자 단말기(20)와 같이 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휴대 가능한 전자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계 단말기(40)는 피보호자를 위험상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관공서, 병원, 경찰서, 소방서, 119 등의 구조기간으로써, 긴급호출메시지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피보호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연계 단말기(40)는 관리서버(50)와의 통신을 통해 QR 코드(110)를 이용한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계 단말기(4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계 단말기(40)는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는 경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회원가입을 한 후, 생성된 회원가입정보를 기초로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QR 코드(110)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계 단말기(4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기록된 개인정보 중 보호자의 선택에 의해 QR 코드(110)의 인증시 선택된 정보만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연계 단말기(40)는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연계 단말기(40)는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20) 또는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계 단말기(4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호출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계 단말기(40)는 웹 페이지를 통해 호출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계 단말기(40)는 긴급호출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10), 관리서버(50) 및 별도의 서버와 공유할 수 있다.
관리서버(50)는 테이터송수신부(52), 데이터베이스부(54), 모니터링부(56) 및 서버제어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터송수신부(52)는 피보호자 단말기(10), 보호자 단말기(20), 판독 단말기(30) 및 연계 단말기(40)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54)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피보호자 단말기(10), 보호자 단말기(20), 판독 단말기(30) 및 연계 단말기(4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54)는 관리서버(5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54)는 관리서버(5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리서버(5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56)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피보호자 단말기(10), 보호자 단말기(20), 판독 단말기(30), 연계 단말기(40) 및 관리서버(50)의 동작상태, 그리고 피보호자 단말기(10), 보호자 단말기(20), 판독 단말기(30), 연계 단말기(40) 및 관리서버(5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58)는 비활성화된 QR 코드(110)를 생성하고, 비활성화된 QR 코드(1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생성하여 피보호자 단말기(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제어부(58)는 QR 코드(110)에 기록될 입력항목과,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설정한 후, QR 코드(11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제어부(58)는 QR 코드에 추후에 기록된 입력항목을 설정하고, 설정된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필드는 빈 값으로 설정한 후, 설정된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설정하여 QR 코드(110)를 생성하고, 생성된 QR 코드(11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보호자 단말기(20)에 의해 비활성화된 QR 코드(110)에 대한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수행된 회원가입을 기초로 회원가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회원가입정보는 보호자 단말기(20)에 의해 입력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고객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고객번호는 QR 코드(110)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버제어부(58)는 보호자 단말기(20)에 의해 비활성화된 QR 코드(110)에 대한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전송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입력된 회원가입을 통해 회원가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보호자 단말기(20)에 의해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대한 개인정보의 저장 또는 수정 요청이 수신된 경우, 회원가입정보를 기초로 개인정보를 저장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제어부(58)는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업로드 되는 사진을 전처리하여 명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제어부(58)는 보호자 단말기(20)의 선택에 의해 개인정보 중 확인 가능하도록 선택된 정보만 QR 코드(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보호자 단말기(20)에 의해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대한 비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회원가입정보를 기초로 활성화된 QR 코드(11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서버제어부(58)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제어부(58)는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비활성화가 요청되면, 회원가입정보를 기초로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저장된 개인정보와,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삭제하여 QR 코드(11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에 의해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대한 비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활성화된 QR 코드(110)를 비활성화함과 동시에 보호자 단말기(20)의 회원가입을 탈퇴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긴급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연계 단말기(40)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제어부(58)는 생체신호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긴급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연계 단말기(40)를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피보호자 단말기(10)로부터 긴급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연계 단말기(40)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제어부(58)는 개인정보를 기초로 피보호자의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고, 긴급호출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20) 및 연계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웹 페이지를 통해 판독 단말기(30)에 의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가 판독되는 경우, 판독 단말기(30)의 화면을 통해 개인정보를 표시되도록 호출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 페이지를 통해 판독 단말기(30)에 의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가 판독되는 경우, 서버제어부(58)는 QR 코드(110)를 인증하여 개인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보호자 단말기(20)를 호출하는 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웹 페이지를 통해 판독 단말기(30)에 의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가 판독되는 경우, 서버제어부(58)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생성된 호출메시지를 수신하여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웹 페이지를 통해 판독 단말기(30)에 의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가 판독되는 경우,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20)의 요청에 의해 보호자 단말기(20)와 판독 단말기(30) 사이의 챗봇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제어부(58)는 챗봇 서비스의 실행 결과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의 요청에 의해 판독 단말기(30)로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버제어부(58)는 챗봇 서비스의 실행 결과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의 요청에 의해 연계 단말기(40)로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제어부(58)는 판독 단말기(30)의 요청에 의해 보호자 단말기(20)와 판독 단말기(30) 사이의 챗봇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20)의 요청에 의해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서버제어부(58)는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판독 단말기(30)로 승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서버제어부(58)는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없도록 판독 단말기(30)로 승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서버제어부(58)는 판독 단말기(30)의 요청에 의해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호출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20)로 재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서버제어부(58)는 판독 단말기(30)의 요청에 의해 호출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20)로 재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서버제어부(58)는 판독 단말기(30)의 요청에 의해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계 단말기(40)를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피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해 연계 단말기(40)를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는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보호자 단말기(20)에게 호출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생성하여 연계 단말기(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계 단말기(40)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는 경우, 서버제어부(58)는 QR 코드(110)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계 단말기(40)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는 경우, 서버제어부(58)는 연계 단말기(40)의 요청에 의해 호출메시지 또는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연계 단말기(40)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호출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서버제어부(58)는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연계 단말기(40)가 웹 페이지를 통해 호출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서버제어부(58)는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판독 단말기(30)에 의해 작성된 전달메시지를 전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제어부(58)는 전달메시지를 토큰화(Tokenization) 작업, 정제화(Cleaning) 작업 및 정규화(Normalization) 작업을 순서대로 진행하여 전처리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버제어부(58)는 전달메시지에 동영상 또는 사진이 포함된 경우, 주변환경, 흔들림, 움직임 속도, 모색 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측정데이터의 밝기 및 선명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제어부(58)는 판독 단말기(30)에 의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가 판독되는 경우, 피보호자가 소지한 제품(11)의 위치정보 또는 판독 단말기(3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피보호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제어부(58)는 연계 단말기(40)에 의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가 판독되는 경우, 피보호자가 소지한 제품(11)의 위치정보 또는 연계 단말기(4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피보호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제어부(58)는 판독 단말기(30) 또는 연계 단말기(40)에 의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가 판독되는 경우, 판독 단말기(30)의 화면을 통해 개인정보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보호자 단말기(20)가 새로운 단말을 이용하여 QR 코드(110)에 기록된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하려는 경우, 개인정보가 표시된 표시창과 함께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함께 새로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58)는 보호자 단말기(20)가 새로운 단말을 이용하여 QR 코드(110)에 기록된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하려는 경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입력된 회원가입정보를 기초로 QR 코드(110)에 기록된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제어부(58)는 새로운 단말을 통해서 개인정보의 수정이 요청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회원가입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54)에 저장된 회원가입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개인정보의 수정을 승인하고, 수정된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54)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제어부(58)는 보호자 단말기(20) 또는 연계 단말기(40)로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와 함께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버제어부(58)는 판독 단말기(30) 또는 연계 단말기(40)에 의해 개인정보가 표시될 때, 광고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서버(50)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QR 코드 활성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QR 코드로부터 추출된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4(a)는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호출순서정보를 설정하는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보호자 단말기(20)는 비활성화된 QR 코드(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S10).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기(20)가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는 경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수신받을 수 있다(S100).
다음, 피보호자 단말기(2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회원가입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할 수 있다(S110).
이때, 회원가입은 개인정보에 의해 선진행되며, 보호자 단말기(20)의 선가입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연동되어 진행될 수도 있다.
다음, 피보호자 단말기(20)는 생성된 회원가입정보를 기초로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피보호자 단말기(20)는 피보호자의 정보 및 피보호자의 보호자의 정보를 직접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을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기(2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사진, 이름, 성별, 나이, 연락처, 주소, 긴급연락처가 기록된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 피보호자 단말기(20)는 호출순서정보를 설정하여 QR 코드(100)를 활성화할 수 있다(S130, S140).
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기(20)는 위험상황으로부터 피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해 판독 단말기(30) 또는 연계 단말기(40)에 의해 QR 코드(110)의 인증시 인증절차를 통해 순차적으로 호출되는 보호자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기(2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기록된 개인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한편, QR 코드(100)는 피보호자 단말기(20)에 의해 활성화되기 이전에 관리서버(50)에 의해 생성되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비활성화된 QR 코드(110)는 제품(11)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웹 페이지를 통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 단말기(30)가 판독하는 경우, 관리서버(50)는 QR 코드(110)를 인증하여 개인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보호자 단말기(20)를 호출하는 호출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14).
예를 들어, 관리서버(5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웹 페이지를 통해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호자 단말기(20)가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관리서버(50)는 보호자 단말기(20)의 요청에 의해 보호자 단말기(20)와 판독 단말기(30) 사이의 챗봇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S16).
구체적으로,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관리서버(50)를 통해서 판독 단말기(30)와의 챗봇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가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보호자 단말기(20)와의 챗봇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챗봇 서비스를 통해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피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20).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피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생성하여 판독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없는 미승인메시지를 생성하여 판독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S22).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호출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보호자 단말기(10)로부터 피보호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24), 관리서버(50)는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계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S26).
구체적으로, 개인정보를 기초로 피보호자의 생체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피보호자의 생체신호가 수신되면, 관리서버(50)가 이를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계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생체신호 및 긴급호출메시지에는 피보호자 단말기(10)의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계 단말기(40)가 관리서버(50)로부터 긴급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긴급호출메시지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피보호자를 보호할 수 있다(S28).
마지막으로, 관리서버(50)는 맞춤형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S3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호출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호출메시지를 분석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호출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동영상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전달메시지를 분석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호자 단말기(20)는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을 더욱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관리서버(50)를 통해서 판독 단말기(30)와의 챗봇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S210).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는 판독 단말기(30)의 요청에 의해 보호자 단말기(20)와 판독 단말기(30) 사이의 챗봇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챗봇 서비스를 실행을 통해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S220), 보호자 단말기(20)는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기(20)는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피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해 연계 단말기(40)를 호출할 수 있는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는 는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피보호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보호자 단말기(20)는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240).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는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없는 미승인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챗봇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 보호자 단말기(20)는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없는 미승인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25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독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독 단말기(30)가 웹 페이지를 통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는 경우(S300), 호출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판독 단말기(30)는 QR 코드(110)를 인증하여 개인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보호자 단말기(20)를 호출하는 호출메시지를 웹 페이지를 통해 보호자 단말기(20) 또는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독 단말기(30)는 보호자 단말기(20)의 요청에 의해 챗봇 서비스를 실행하는 경우(S320),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챗봇 서비스를 실행하여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챗봇 서비스를 실행하여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관리서버(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보호자 단말기(20)에게 챗봇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20) 및 판독 단말기(30)는 판독 단말기(30)가 호출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승인메시지 또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챗봇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판독 단말기(30)는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S340).
한편,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판독 단말기(30)는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없는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50).
다음으로,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판독 단말기(30)는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S360),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계 단말기(40)를 호출할 수 있다(S370, S380).
이와 달리,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판독 단말기(30)는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되면(S360), 보호자 단말기(20)에게 호출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S390).
구체적으로, 판독 단말기(30)는 호출메시지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미승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승인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호출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계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 단말기(40)가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는 경우,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수신받을 수 있다(S400).
다음으로, 연계 단말기(4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회원가입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할 수 있다(S410).
다음으로, 연계 단말기(4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S420).
실시예에 따라, 연계 단말기(4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활성화된 QR 코드(110)에 기록된 개인정보 중 보호자의 선택에 의해 QR 코드(110)의 인증시 선택된 정보만 열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계 단말기(40)는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되면(S430),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S440).
이와 달리, 연계 단말기(40)는 현재상황을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되면(S430), 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보호자 단말기(20) 또는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S45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50)는 판독 단말기(30)로부터 웹 페이지를 통해 제품(11)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판독하여 인증이 요청되면(S500), 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보호자 단말기(22)에게 전송할 수 있다(S510).
다음, 제1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1 보호자 단말기(22)가 제1 응답시간 안에 제1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S520), 관리서버(50)는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순서의 제2 보호자 단말기(24)에게 제2 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530).
이때, 제2 호출메시지는 제1 호출메시지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음, 제2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2 보호자 단말기(24)가 제2 응답시간 안에 제2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S540), 관리서버(50)는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순서의 제3 보호자 단말기(26)에게 제3 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550).
이때, 제3 호출메시지는 제1 및 제2 호출메시지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2 응답시간은 제1 응답시간보다 짧을 수 있지만, 이와 달리 동일할 수 있다.
다음, 제3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3 보호자 단말기(26)가 제3 응답시간 안에 제3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S560), 관리서버(50)는 긴급호출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연계 단말기(40)를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다(S570, S580).
이때, 제3 응답시간은 제1 및 제2 응답시간보다 짧을 수 있지만, 이와 달리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1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1 보호자 단말기(22)가 제1 응답시간 안에 제1 호출메시지를 확인하거나(S520), 제2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2 보호자 단말기(24)가 제2 응답시간 안에 제2 호출메시지를 확인하거나(S540), 제3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3 보호자 단말기(26)가 제3 응답시간 안에 제3 호출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S560), 관리서버(50)는 승인메시지를 생성하여 판독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1 보호자 단말기(22)가 제1 응답시간 안에 제1 호출메시지를 확인하거나(S520), 제2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2 보호자 단말기(24)가 제2 응답시간 안에 제2 호출메시지를 확인하거나(S540), 제3 호출메시지를 수신한 제3 보호자 단말기(26)가 제3 응답시간 안에 제3 호출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S560), 관리서버(50)는 미승인메시지를 생성하여 판독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50)는 피보호자 단말기(10)로부터 피보호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분석할 수 있다(S600).
구체적으로, 관리서버(50)는 개인정보를 기초로 피보호자의 생체신호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 분석 결과에 따라,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S610), 관리서버(50)는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계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S620).
이와 달리, 분석 결과에 따라, 피보호자의 현재상황이 위험상황으로 판단되지 않으면(S610), 보호자 단말기(20)를 호출하는 호출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630).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 제품 110 : QR 코드
10 : 피보호자 단말기 20 : 보호자 단말기
30 : 판독 단말기 40 : 연계 단말기
50 : 관리서버

Claims (10)

  1.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호자 단말기가 휴대 가능한 피보호자 단말기의 제품에 부착된 QR 코드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기록하여 QR 코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웹 페이지를 통해 판독 단말기가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판독하여 QR 코드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관리서버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기설정된 응답시간 안에 상기 호출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판독 단말기가 상기 호출메시지에 대응하는 승인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인증하여 상기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비활성화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가입 후 생성된 회원가입정보를 기초로 상기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자의 호출순서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보호자 단말기가 제1 응답시간 안에 제1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순서의 제2 보호자 단말기로 제2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보호자 단말기가 제2 응답시간 안에 상기 제2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호출순서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순서의 제3 보호자 단말기로 제3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보호자 단말기가 제3 응답시간 안에 상기 제3 호출메시지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자동으로 연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답시간은 상기 제2 응답시간 보다 길고, 상기 제2 응답시간은 상기 제3 응답시간 보다 긴,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상기 승인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상기 호출메시지를 기초로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와 상기 판독 단말기 사이의 챗봇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상기 호출메시지를 기초로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연계 단말기가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판독하여 QR 코드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인증하여 상기 개인정보를 상기 연계 단말기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보호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단말기로 상기 긴급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가 포함된 긴급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보호자의 생체신호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수신하는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긴급호출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9.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QR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QR 코드를 비활성화하는 관리서버;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 가능한 피보호자 단말기의 제품에 부착된 QR 코드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기록하여 QR 코드를 활성화하는 보호자 단말기; 및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판독하여 인증된 QR 코드로부터 추출된 상기 개인정보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판독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판독 단말기가 QR 코드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관리서버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판독 단말기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가 기설정된 시간 안에 상기 호출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호출메시지에 대응하는 승인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QR 코드를 인증하여 상기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33402A 2022-10-17 2022-10-17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53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402A KR20240053383A (ko) 2022-10-17 2022-10-17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402A KR20240053383A (ko) 2022-10-17 2022-10-17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383A true KR20240053383A (ko) 2024-04-24

Family

ID=9088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402A KR20240053383A (ko) 2022-10-17 2022-10-17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38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19B1 (ko) 2013-04-19 2013-07-10 이택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75377B1 (ko) 2017-03-31 2018-07-06 주식회사 아이엔티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19B1 (ko) 2013-04-19 2013-07-10 이택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75377B1 (ko) 2017-03-31 2018-07-06 주식회사 아이엔티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42979A1 (en) Medical Quick Response Codes and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9491277B2 (en)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global health, personal safety and emergency response
US201200500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animal, object and/or surrounding environment
US20080294490A1 (en) Networking Platform For Facilitating Interactions And Sharing Of Caretaking Responsibilities Between Family Members
US10831872B2 (en) Automated voice-activated medical assistance
US20130325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and wellness mobile management
Scott et al. A review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ecurity risks and safety measures of mobile health apps
US119085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response data acquisition and retrieval
US20170330445A1 (en) Mobile safety platform
US20170109570A1 (e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with online (social) network to access casualty health inform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US10375574B2 (en) Emergency contact method and system
US113543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data to facility computing entities
US20160232416A1 (en) Vital Data Assistant
KR20240053383A (ko)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3198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Children's Medication and Wellness Tracking
KR102427655B1 (ko) E-qr 코드를 이용한 개인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89203B2 (ja) 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33905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enhance patient safety
KR102113274B1 (ko)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20150019256A1 (en) Patient status update portal
KR101678902B1 (ko)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KR20210003560A (ko)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Jeyakumar et al. A smart virtual vision system for health monitoring
Saikar et al. Medco: An Emergency Tele-Medicine System for Ambulance
WO2022241790A1 (zh) 信息获取方法、信息提供方法、信息交互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