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560A -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560A
KR20210003560A KR1020190079506A KR20190079506A KR20210003560A KR 20210003560 A KR20210003560 A KR 20210003560A KR 1020190079506 A KR1020190079506 A KR 1020190079506A KR 20190079506 A KR20190079506 A KR 20190079506A KR 20210003560 A KR20210003560 A KR 20210003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personal medical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3682B1 (ko
Inventor
김영주
오성민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9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6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보호자와 연락을 하지 않아도 바로 환자의 상태를 응급 구조자와 의료인이 확인할 수 있는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및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보호자와 연락을 하지 않아도 바로 환자의 상태를 응급 구조자와 의료인이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직접 서버에 올리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환자가 응급한 경우 바로 개인 의료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Emergency Management System For Chronic Disease Patient And Management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에 기반한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기술이 의료영역에 접목되면서 의료정보 또한 전산화되고 온라인으로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통신 사정이 좋지 않았던 과거의 응급의료는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환자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신속한 환자 이송과 병원 도착 후의 응급 처치에만 중점을 두었으나, 통신의 발달로 병원 도착 전에 환자의 의료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해져 최근엔 병원 도착 전 응급 처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환자의 응급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어, 응급 구조 절차에서 환자 식별 및 병력 파악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환자를 식별하거나 환자의 병력 파악을 질문에 의존하므로 환자의 의식이 없으면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응급 의료 시스템에서는 환자의 위급 정도와 상관없이 환자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의료 정보화는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편익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으나, 개인의 의료정보가 대량으로 저장되고 처리됨으로써 민감한 정보인 의료정보가 오남용 및 유출될 가능성도 높아져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도 증가되어 정보 공유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응급 환자가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는 응급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 1은 응급환자가 있는 현장의 응급구조사에게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권한위임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웹이나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장 일반적인 ID 또는 비밀번호를 통하여 권한 위임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이러한 ID 또는 비밀번호를 분실하거나 양도할 경우, 개인정보보호법이나 환자정보보호법을 위반할 소지가 있다.
선행기술 2는 의료 관계자들 간의 의료정보 공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의료정보 공유방법은 DB부 내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의 의료정보를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공유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유하는 대상이 병원 관계자나 환자, 환자의 보호자에 국한되어 있다. 특히, 단순하게 의료 정보를 보호하면서 공유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인 SNS에 국한된다고 할 수 있다.
선행기술 3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개인 특성 정보를 신속히 획득하여 사회안전 시설로 전송하고, 그로부터 응급환자에 대한 긴급 조치 정보를 안내받음으로써 응급환자를 구조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응급환자의 개인 정보의 출력에만 한정되어 있다.
선행기술 4는 기초자치단체의 보건소와 광역자치단체의 3차 진료기관과의 협진을 포함하는 USN 기반 원격건강관리시스템으로서, 진료기관간 협업시스템, 만성질환 관리시스템, 메터볼릭센서 모니터링시스템, 방문간호시스템으로 구성된 원격건강관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원격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불과하며 응급 상황에서의 조치에 대한 인식은 없다.
선행기술 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32705 선행기술 2: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4-0003163 선행기술 3: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3-0070954
선행기술 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7권제4호 (2009.08.) p183-18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환자의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보호자와 연락을 하지 않아도 바로 환자의 상태를 응급 구조자와 의료인이 확인할 수 있는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및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은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환자에게 응급 상황 발생시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식별 코드 인식부; 및 응급 환자의 조치자가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하여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보관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환자가 승인한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환자를 대리하여, 진단서, 약처방전, 또는 약봉지를 사진으로 입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또는 AR 코드이며,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상기 응급 환자의 건강 상태, 병력, 검사 결과, 처방 결과, 약물 반응, 입원 및 퇴원 기록, 또는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을 환자에게 제공할 때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거쳐 생성되어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치자는,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미리 승인된 구급대원 또는 의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에 표시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의 긴급 연락망 구동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식별 코드로 인식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긴급 연락망 구동부를 통하여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와 연계된 보호자에게 긴급 상황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에 기반한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방법은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 단계; 환자에게 응급 상황 발생시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부로부터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 및 응급 환자의 조치자가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하여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에 표시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식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보관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환자가 승인한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환자를 대리하여, 진단서, 약처방전, 또는 약봉지를 사진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또는 AR 코드이며,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상기 응급 환자의 건강 상태, 병력, 검사 결과, 처방 결과, 약물 반응, 입원 및 퇴원 기록, 또는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을 환자에게 제공할 때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거쳐 생성되어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치자는,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미리 승인된 구급대원 또는 의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에 표시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긴급 연락망을 통하여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와 연계된 보호자에게 긴급 상황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및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에 의하면, 환자의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보호자와 연락을 하지 않아도 바로 환자의 상태를 응급 구조자와 의료인이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직접 서버에 올리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환자가 응급한 경우 바로 개인 의료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및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및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및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및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및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및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및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이다.도 1을 참조하면,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은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 QR 코드가 부착된 개인 의료 정보 가방(3),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3)에 부착되어 있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1)와 통신하여 개인 의료 정보를 습득하는 스마트폰(2)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개방형 PHR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100)은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S10); 환자에게 응급 상황 발생시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식별 코드 인식부(S20); 및 응급 환자의 조치자가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하여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S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저장부(S10)는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보관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응급 환자의 건강 상태, 병력, 검사 결과, 처방 결과, 약물 반응, 입원 및 퇴원 기록, 또는 인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200)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병원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의 서버에도 저장(S11)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의 대리자가 환자를 대리하여, 진단서, 약처방전, 또는 약봉지를 사진으로 입력(S12)하여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방자치단체의 서버에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보관함으로써, 만성질환자가 응급 상황 발생할 때 그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환자의 대리자는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일 수 있다. 이들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는 환자에게 미리 승인을 얻은 상태에서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개인 의료 정보의 입력 방법으로서는 문서 형식으로 입력해도 되지만,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사진으로 입력할 수 있다. 사진으로 입력된 개인 의료 정보는 사진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고, 문서 파일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에게 응급 상황 발생시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식별 코드 인식부(S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별 코드 인식부는 병원 내의 전자 장치에 설치되고, 또한 지방자치단체 내의 전자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QR 코드(10)가 부착되고, 내부에는 환자의 처방전(20), 처방 CD(30), 처방 메모리 카드(40), 진료 카드(50), 처방약(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 의료 정보 가방(70)에 다양한 환자의 진료 또는 치료 정보가 들어있으므로 인하여, 식별 코드 인식부를 통하여 얻은 정보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식별 코드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을 환자에게 제공할 때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거쳐 생성되어 등록(S21)될 수 있다.
즉,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통하여 구급대원 또는 의료인은 미리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승인을 받고(S22),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응급 환자가 긴급으로 병원에 호송될 때, 보호자의 동의를 얻는 절차를 생략하고 바로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S23)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개인 의료 정보는 응급 환자의 건강 상태, 병력, 검사 결과, 처방 결과, 약물 반응, 입원 및 퇴원 기록, 또는 인적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개인 의료 정보는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에 표시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열람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에 표시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의 긴급 연락망 구동부를 포함하고, 긴급 연락망 구동부를 통하여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와 연계된 보호자에게 긴급 상황을 전달(S31)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기기로서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통신기기로서 태블릿 PC, PDA와 같은 이동형 단말과, 키오스크와 같은 고정형 단말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은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 단계(S10); 환자에게 응급 상황 발생시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부로부터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S20); 및 응급 환자의 조치자가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하여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에 표시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식하는 제3 단계(S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병원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의 서버에도 저장(S11)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의 대리자가 환자를 대리하여, 진단서, 약처방전, 또는 약봉지를 사진으로 입력(S12)하여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방자치단체의 서버에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보관함으로써, 만성질환자가 응급 상황 발생할 때 의료인이 아닌 대리자가 개인 의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응급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대리자인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는 환자에게 미리 승인을 얻은 상태에서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개인 의료 정보의 입력 방법으로서는 문서 형식으로 입력해도 되지만,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사진으로 입력할 수 있다. 사진으로 입력된 개인 의료 정보는 사진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고, 문서 파일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에게 응급 상황 발생시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식별 코드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을 환자에게 제공할 때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거쳐 생성되어 등록(S21)될 수 있다.
즉,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통하여 구급대원 또는 의료인은 미리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승인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S22),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응급 환자가 긴급으로 병원에 호송될 때, 보호자의 동의를 얻는 절차를 생략하고 바로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SS23) 응급 환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개인 의료 정보는 응급 환자의 건강 상태, 병력, 검사 결과, 처방 결과, 약물 반응, 입원 및 퇴원 기록, 또는 인적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개인 의료 정보는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에 표시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열람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방법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에 표시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의 긴급 연락망 구동부를 통하여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와 연계된 보호자에게 긴급 상황을 전달(S31)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1 : 데이터 저장부
2 : 스마트폰
3 : 개인 의료 정보 가방
10 : QR 코드
20 : 처방전
30 : 처방 CD
40 : 처방 메모리 카드
50 : 진료 카드
60 : 처방약
70 : 개인 의료 정보 가방

Claims (14)

  1.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환자에게 응급 상황 발생시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식별 코드 인식부; 및
    응급 환자의 조치자가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하여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보관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환자가 승인한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환자를 대리하여, 진단서, 약처방전, 또는 약봉지를 사진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또는 AR 코드이며,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상기 응급 환자의 건강 상태, 병력, 검사 결과, 처방 결과, 약물 반응, 입원 및 퇴원 기록, 또는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을 환자에게 제공할 때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거쳐 생성되어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치자는,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미리 승인된 구급대원 또는 의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에 표시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의 긴급 연락망 구동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식별 코드로 인식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긴급 연락망 구동부를 통하여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와 연계된 보호자에게 긴급 상황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용 관리 시스템.
  8.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에 기반한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 단계;
    환자에게 응급 상황 발생시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 및
    응급 환자의 조치자가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하여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에 표시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식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병원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보관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환자가 승인한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환자를 대리하여, 진단서, 약처방전, 또는 약봉지를 사진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또는 AR 코드이며,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상기 응급 환자의 건강 상태, 병력, 검사 결과, 처방 결과, 약물 반응, 입원 및 퇴원 기록, 또는 인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을 환자에게 제공할 때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거쳐 생성되어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치자는,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미리 승인된 구급대원 또는 의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표시부에 표시된 웹이나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긴급 연락망을 통하여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와 연계된 보호자에게 긴급 상황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방법.
KR1020190079506A 2019-07-02 2019-07-02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2283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06A KR102283682B1 (ko) 2019-07-02 2019-07-02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06A KR102283682B1 (ko) 2019-07-02 2019-07-02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560A true KR20210003560A (ko) 2021-01-12
KR102283682B1 KR102283682B1 (ko) 2021-07-29

Family

ID=7412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506A KR102283682B1 (ko) 2019-07-02 2019-07-02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728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여권에 부착할 수 있는 스티커에 인쇄된 2차원 코드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예방 접종 정보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예방 접종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3322A (ja) * 2010-06-01 2011-12-15 Takashi Ishizu 緊急時個人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30070954A (ko) 2011-12-20 2013-06-28 메타빌드주식회사 긴급 구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03163A (ko) 2012-06-29 2014-01-0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의료정보 공유방법
KR20160125646A (ko) * 2015-04-22 2016-11-01 정재은 다기능 의료가방
KR20170032705A (ko) 2015-09-15 2017-03-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구조 시의 안전한 자동권한위임 방법
KR20180076910A (ko) * 2016-12-28 2018-07-06 (주)메디컬로직 응급상황에서 제3자에 대한 응급의료 정보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3322A (ja) * 2010-06-01 2011-12-15 Takashi Ishizu 緊急時個人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30070954A (ko) 2011-12-20 2013-06-28 메타빌드주식회사 긴급 구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03163A (ko) 2012-06-29 2014-01-0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의료정보 공유방법
KR20160125646A (ko) * 2015-04-22 2016-11-01 정재은 다기능 의료가방
KR20170032705A (ko) 2015-09-15 2017-03-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구조 시의 안전한 자동권한위임 방법
KR20180076910A (ko) * 2016-12-28 2018-07-06 (주)메디컬로직 응급상황에서 제3자에 대한 응급의료 정보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선행기술 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7권제4호 (2009.08.) p183-18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728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여권에 부착할 수 있는 스티커에 인쇄된 2차원 코드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예방 접종 정보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예방 접종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682B1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470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ally retrieving medical information
Kapadia et al. Emerging ICT implementation issues in aged care
KR102144532B1 (ko)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JP5525161B2 (ja) 携帯機器または携帯端末へ医療データを安全に転送する方法
Michael et al. A research note on ethics in the emerging age of überveillance
US202201305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medical data
US8498884B2 (en) Encrypted portabl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US10140504B2 (e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with online (social) network to access casualty health inform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WO2011028261A2 (en) Portable medical record storage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y
JP6570691B1 (ja) 個人医療情報集約システム
US20150039341A1 (en) Invention includes the Process, Method and System for cloud-based critical Emergency and Discharge medical Information through the Capturing, Maintaining, Accessing, Integrating and Communicating said information
US20180052958A1 (en) Patient-owned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and method
Warren‐Stomberg et al. At‐home monitoring after surgery/anaesthesia–a challenge
Yathiraju et al. The Implications of IoT in the Modern Healthcare Industry post COVID-19
US202201395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medical data
US20200143920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healthcare delivery processes
JP2011253322A (ja) 緊急時個人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80076910A (ko) 응급상황에서 제3자에 대한 응급의료 정보제공 방법
KR102283682B1 (ko) 만성질환자 응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US11424030B1 (en) Medical incident response and reporting system and method
Sivashanker et al.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families regarding health care–associated exposure to coronavirus 2019: a checklist to facilitate disclosure
JP7442371B2 (ja) 患者情報管理装置、患者情報管理方法、及び患者情報管理プログラム
US20080059235A1 (en) Medical Information Storage and Access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20129923A (ko) 의료인 간의 환자 진료과정 공유 시스템
US201603285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Tri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