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123A - 융합 폴리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융합 폴리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123A
KR20240053123A KR1020220132645A KR20220132645A KR20240053123A KR 20240053123 A KR20240053123 A KR 20240053123A KR 1020220132645 A KR1020220132645 A KR 1020220132645A KR 20220132645 A KR20220132645 A KR 20220132645A KR 20240053123 A KR20240053123 A KR 20240053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seq
fusion polypeptide
cysspwtkc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관영
황인아
이홍섭
원미선
김보경
Original Assignee
원큐어젠 주식회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큐어젠 주식회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원큐어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123A/ko
Publication of KR2024005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12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융합폴리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융합 폴리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usion polypeptid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융합 폴리펩티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암은 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으며, 서구 사회에서는 심혈관 질환 다음으로 가장 일반적인 사망 원인이다. 특히, 인구의 고령화,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고지방식의 섭취의 일반화, 환경 오염 물질의 급격한 증가, 음주량의 증가 등으로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암의 조기 예방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인간 건강의 증진, 건강한 삶의 질 향상 및 인류 보건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항암 물질의 창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초파리 전사인자 coactivator인 vestigial(vg) 유전자와 구조 유사성을 가진 Vestigial-like(VGLL) 유전자는 TEA 부위에 결합하는 전사인자 TEADs(TEA domain transcription factors)의 cofactor로 작용한다. VGLL1은 YAP(Yes-associated protein) 및 TAZ(transcription coactivator with a PDZ-binding motif)와 구조적으로 상동성이 높아 VGLL1-TEAD4 복합체를 형성한다. 또한, PI3K-AKT-β-카테닌에 신호전달 기전을 통해 VGLL1의 전사가 조절되며, VGLL1-TEAD4 복합체는 MMP9(Matrix metallopeptidase 9)의 발현을 증가시켜 위암의 증식과 전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만, 일련의 암세포의 증식 및 전이와 관련하여 VGLL1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VGLL1의 발현 증진과 관련된 암 세포 증식 또는 암 전이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한편, 세포 투과 펩티드(Cell Penetrating Peptides, CPP)는 약 10-60개 정도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로 이루어진 세포막 투과는 단백질-투과 도메인(protein-transduction domain)이나 막-이동 시퀀스(membrane-translocating sequence)로부터 유도된다. 외부 물질의 일반적인 세포 내 유입 경로와는 달리 CPP는 세포막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세포 내로 이동하고,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DNA나 단백질까지도 세포 내로 전달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세포 투과 펩티드를 활용하여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펩티드 기반 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세포 투과 펩티드의 적용에 의하여 항암 효과가 현저히 개선된 펩티드 기반 항암제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GJ Hilinski et al., Stitched α-Helical Peptides via Bis Ring-Closing Metathesi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136, 2014, 12314-12322.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세포 투과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융합 폴리펩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술한 융합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활성 펩티드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다음의 식 I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 단편이 융합된 융합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식 I]
[X1]n-X2-X3-X4-X5-X6-[X7]m
여기서,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고,
X1, X2, X3, X4, X5, X6 X7은 각각 독립적으로 아미노산 잔기이고,
X1, X2, X3, X4, X5, X6 X7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탄소-탄소 이중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술한 융합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융합 폴리펩티드는 우수한 세포 투과성 및 단백질분해효소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가지므로, 적은 양으로도 충분히 높은 항암 활성을 나타내어 다양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스테이플화 된 융합 폴리펩티드와 스테이플화 되지 않은 융합 폴리펩티드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 투과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스테이플화 된 융합 폴리펩티드와 스테이플화 되지 않은 융합 폴리펩티드의 단백질분해 효소에 대한 안정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스테이플화 된 융합 폴리펩티드가 TEAD4 타겟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향상된 세포 투과성 및 단백질분해효소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갖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상기 융합 폴리펩티드는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활성 펩티드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다음의 식 I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 단편이 융합된 것일 수 있다.
[식 I]
[X1]n-X2-X3-X4-X5-X6-[X7]m
여기서,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고,
X1, X2, X3, X4, X5, X6 X7은 각각 독립적으로 아미노산 잔기이고,
X1, X2, X3, X4, X5, X6 X7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탄소-탄소 이중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X1, X2, X3, X4, X5, X6 X7는 아르기닌(Arg) 또는 리신(Lys) 잔기일 수 있따.
상기 식 I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i 및 i+4 위치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은 (4'-펜테닐)아르기닌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이고,
X1 및 X7 공백이거나 아르기닌(Arg) 잔기이고,
X3, X4 및 X5는 아르기닌(Arg) 또는 리신(Lys) 잔기이고,
X2 및 X6이 옥트-4-에닐기로 스테이플화(stapling)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 펩티드는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시스테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 펩티드는 서열번호 14 내지 1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 펩티드 및 식 I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 단편은 직접 연결 또는 링커를 통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링커는 (BA)n 또는 (GG)m을 포함하고, n 또는 m은 1 내지 4의 정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융합 펩티드는 다음의 서열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XRRRX-CYSSPWTKC (서열번호 1),
XRRRX-BA-CYSSPWTKC (서열번호 2),
XRRRX-GG-CYSSPWTKC (서열번호 3),
RXRRRXR-CYSSPWTKC (서열번호 4),
RXRRRXR-BA-CYSSPWTKC (서열번호 5),
RXRRRXR-GG-CYSSPWTKC (서열번호 6),
XKRRX-CYSSPWTKC (서열번호 7),
XKRRX-CNQWRYSSPWTKC (서열번호 8),
XRRRX-CNQWRYSSPWTKC (서열번호 9),
CYSSPWTKCXRRRX (서열번호 10),
XRRRXYSSPWTK (서열번호 11) 또는
XRRRXNQWRYSSPWTK (서열번호 12).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암은 위암, 폐암, 유방암, 췌장암, 대장암, 간암, 두경부 편평암 세포 암종, 식도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중피종, 흑색종, 육종, 골육종, 지방육종, 갑상선암, 유건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암은 VGLL1, HER2, EGFR, CDK4/6, PDL1/PD1, INFA5, MYC, CCN1 또는 CCN2가 과발현되어 있는 암; 또는 PIK3CA, KRAS, BRAF, LKB1, p53, NF2 유전자 돌연변이 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테이플화 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합성
먼저, 항암 효과가 개선된 암치료용 펩티드를 개발하기 위해 세포 내 투과성을 높이기 위한 신규 스테이플화 융합 폴리펩티드를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펩티드는 0.52mmol/g의 로딩 용량으로 링크 아미드 MBHA 수지에서 합성하였다. 건조 수지(96 mg, 50 μmol)를 NMP(N-Methylpyrrolidone)에서 10분 동안 팽창시킨 후 사용했다. Fmoc 그룹은 수지를 NMP 중 20% 피페리딘으로 처리하여 제거했다(2 x 10분). 천연 아미노산의 커플링 반응을 위해 수지를 활성화제로서 COMU(4.75 당량), Fmoc-보호된 아미노산 5 당량 및 NMP 중 DIEA 10 당량으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S)-2-(4'-펜테닐)알라닌)의 커플링을 위해 Fmoc-보호된 아미노산(3 equiv.), COMU(2.85 equiv.) 및 DIEA(6 equiv.)를 사용하여 2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커플링 또는 탈보호 반응 후, 수지를 DCM(1분), DMF(1분), DCM(1분), DMF(1분) 및 NMP(1분)로 집중적으로 세척하였다. 펩타이드 신장이 끝나면 수지를 DCM(1분), DMF(1분), DCM(1분), DMF(1분), DCM(1분 x 3)으로 세척하고 1시간 동안 부드러운 질소 기류 하에 건조시켰다. 이후 수지 결합 펩티드를 루테늄 매개 스테이플링 반응에 적용했다. 간단히 말해서, 수지를 10분 동안 DCE(1,2-디클로로에탄)에서 팽윤시킨 다음 DCE에서 20 mol %의 1세대 Grubbs 촉매로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스테이플링 반응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촉매로 반응을 반복하였다. 각 반응 후, 수지를 DCE(1분), DCM(1분) DCE(1분), DCM(1분 x 3)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스테이플링 반응이 완료되면 수지 결합된 스테이플링된 펩타이드를 10분 내에 DMF에서 팽윤시키고 DMF(50mM)에 녹인 5당량의 요오드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수지를 DMF(1분 x 5), DCM(1분 x 3)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아세틸화 반응을 위해 NMP에 녹인 20% 피페리딘(2×10 min)으로 처리하여 레진이 결합된 펩타이드의 Fmoc 보호기를 제거한 후 아세틸화 용액(30 당량의 아세트산 무수물 및 NMP에 45분 동안 녹인 DIEA 60당량)으로 30분 동안 처리하였다. 수지를 DMF(1분 x 5), DCM(1분 x 3)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TFA/TIS/물(95/2.5/2.5)의 절단 칵테일로 수지를 2시간 동안 처리하여 펩티드를 최종적으로 탈보호하고 절단하고, n-펜탄/디에틸 에테르(1:1)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침전시켰다. 침전된 펩타이드를 원심분리하여 수집하고,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1:1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여 수지를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Zorbax C18 컬럼(Agilent, 5 μm, 9.4 x 250 mm)을 사용하여 역상 HPLC로 정제하였다.
합성한 융합 폴리펩티드 서열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질명 융합 폴리펩티드 서열 서열번호
OCG013071061 Ac-XRRRX-CYSSPWTKC-NH2 1
OCG013071065 Ac-XRRRX-BA-CYSSPWTKC-NH2 2
OCG013071066 Ac-XRRRX-GG-CYSSPWTKC-NH2 3
OCG013071067 Ac-RXRRRXR-CYSSPWTKC-NH2 4
OCG013071068 Ac-RXRRRXR-BA-CYSSPWTKC-NH2 5
OCG013071069 Ac-RXRRRXR-GG-CYSSPWTKC-NH2 6
OCG013071072 Ac-XKRRX-CYSSPWTKC-NH2 7
OCG013111073 Ac-XKRRX-CNQWRYSSPWTKC-NH2 8
OCG013111074 Ac-XRRRX-CNQWRYSSPWTKC-NH2 9
OCG013071075 Ac-CYSSPWTKCXRRRX-NH2 10
OCG013070076 Ac-XRRRXYSSPWTK-NH2 11
OCG013111077 Ac-XRRRXNQWRYSSPWTK-NH2 12
스테이플화 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
신규 합성된 융합 폴리펩티드에 의한 암세포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암세포 증식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암 세포주(NUGC-3) 및 폐암 세포주(Calu-3)를 각각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계대 배양하고, 다음날 표 1의 펩티드 단편을 각각 20 μM씩 상기 세포주에 처리하였다. 72시간 후, 10% Trichloroacetic acid 용액으로 세포를 고정시킨 다음, 0.4% Sulforhodamine B 용액으로 상기 세포를 1시간 동안 염색하고, 아세트산(acetic acid)으로 세척하여 건조시켰다. 그 후, 건조된 세포를 10 mM Tris 용액에 녹이고 엘라이자 플레이트 리더기(ELISA 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서열번호 물질명 위암세포주 폐암세포주
1 OCG013071061 + +
2 OCG013071065 -
3 OCG013071066 -
4 OCG013071067 +
5 OCG013071068 -
6 OCG013071069 -
7 OCG013071072 + +
8 OCG013111073 + +
9 OCG013111074 + +
10 OCG013071075 + +
11 OCG013070076 + +
12 OCG013110077 + +
스테이플화 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세포 투과능 증가 효과
신규 합성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세포투과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FITC를 결합시킨 펩티드를 세포주에 투여하고, 1시간 후에 세포 내 존재하는 FITC의 상대적인 발현값을 IX-PICO imaging system으로 촬영 후, 분석하였다.
물질명 아미노산서열 서열번호
OCG012071060 FITC-RRRRR-CYSSPWTKC-NH2 13
OCG013071061 FITC-XRRRX-CYSSPWTKC-NH2 1
OCG013071072 FITC-XKRRX-CYSSPWTKC-NH2 7
구체적으로, 세포투과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위암세포주 (NUGC3)를 96웰 플레이트에 계대배양하고, 다음날 위 표의 펩티드 단편을 각각 0.5/1/2/4/8 μM씩 상기세포주에 처리하였다. 1시간 후, 4% paraformaldehyde 용액으로 세포를 고정시킨 다음, Hoechst33342 1μg/mL 용액으로 핵염색 (counter stain) 하였다. 그 후, IX-PICO imaging system으로 플레이트를 촬영하여, 핵수 대비 FITC 표현 세포수 및 각 웰의 FITC 발현값을 계산하였다.그 결과, 스테이플화 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세포내 투과도가 스테이플화 되지 않은 융합 폴리펩티드 대비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스테이플화 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안정성 증가 효과
신규 합성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융합 폴리펩티드에 트립신을 처리한 후, 남아 있는 기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분해 완충액(0.1M NH4HCO3 완충액, pH 8.0)에 25μL의 트립신 용액(0.5μM, Sigma)을 분해 완충액(기질/효소 = 1,600/1)과 펩타이드 용액(80μM) 250μ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5 μL의 트립토판(4mM) 용액을 동일한 완충액(내부 표준용)에 넣고 25℃에서 부드럽게 흔들면서 배양하였다. 50 μL의 소화 혼합물을 취한 다음 0, 10, 20, 30, 60분에 2 μ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켄칭했다. 잔류 기질 및 트립토판은 280 nm에서 HPLC 기반 피크 검출에 의해 정량화되었다. 트립신에 대한 펩타이드의 안정성은 각 기간 후 남아 있는 기질의 백분율을 계산하여 추정했다. 각 실험은 2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잔류 기질의 백분율은 아래 식에 의해 각 시점에 계산되었다.
S (at t (min)) = (ASM/AW)/(ASM0/AW0) * 100
여기서,
S는 잔류 기질 %
ASM은 t 분에서의 기질 피크 면적, AW는 t 분에서의 트립토판 피크 면적,
ASM0는 0분에서 기질 피크의 면적이고, AW0는 t분에서 트립토판 피크의 면적이다.
그 결과, 스테이플화 된 융합 폴리펩티드의 단백질분해효소에 대한 안정성이 스테이플화 되지 않은 융합 폴리펩티드 대비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타겟 유전자 발현 억제 측정
VGLL1은 TEAD4의 전사보조인자 (transcriptional coactivator)이므로 상기의 융합 폴리펩티드가 TEAD4 타겟 유전자의 발현에 나타나는 영향을 분석하여 펩티드가 타겟 특이적으로 작용하였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위암세포주(NUGC3)를 6웰 플레이트(6-well plate)에 계대배양하고, 다음날 OCG013071061 및 OCG013071072를 각각 20 μM씩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를 모아 mRNA를 추출하였다. mRNA는 상보적 DNA를 합성한 후, 다음의 프라이머를 사용한 qRT-PCR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Gene Sequence 서열번호
ACTB F CACCATTGGCAATGAGCGGTTC 18
R AGGTCTTTGCGGATGTCCACGT 19
ANKRD1 F CGACTCCTGATTATGTATGGCGC 20
R GCTTTGGTTCCATTCTGCCAGTG 21
CYR61(CCN1) F GGAAAAGGCAGCTCACTGAAGC 22
R GGAGATACCAGTTCCACAGGTC 23
CTGF(CCN2) F CTTGCGAAGCTGACCTGGAAGA 24
R CCGTCGGTACATACTCCACAGA 25
각각의 결과값은 ACTB house keeping gene qRT-PCR 결과로 보정한 후, 대조군 (NT)에 대한 상대값으로 그래프를 나타내었다(Data are presented as mean±SEM, *p<0.05, **p<0.01, ***p<0.001).
그 결과, 스테이플화 된 융합 폴리펩티드에 의해 CTGF, CYR1, ANKRD1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Claims (13)

  1.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활성 펩티드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다음의 식 I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 단편이 융합된 융합 폴리펩티드:
    [식 I]
    [X1]n-X2-X3-X4-X5-X6-[X7]m
    여기서,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이고,
    X1, X2, X3, X4, X5, X6 X7은 각각 독립적으로 아미노산 잔기이고,
    X1, X2, X3, X4, X5, X6 X7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탄소-탄소 이중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X1, X2, X3, X4, X5, X6 X7는 아르기닌(Arg) 또는 리신(Lys) 잔기인 것인, 융합 폴리펩티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 I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i 및 i+4 위치에 있는 것인, 융합 폴리펩티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은 (4'-펜테닐)아르기닌인, 융합 폴리펩티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이고,
    X1 및 X7 공백이거나 아르기닌(Arg) 잔기이고,
    X3, X4 및 X5는 아르기닌(Arg) 또는 리신(Lys) 잔기이고,
    X2 및 X6이 옥트-4-에닐기로 스테이플화(stapling)된 융합 폴리펩티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 펩티드는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시스테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융합 폴리펩티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 펩티드는 서열번호 14 내지 1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인 융합 폴리펩티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 펩티드 및 식 I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 단편은 직접 연결 또는 링커를 통해 연결된 것인 융합 폴리펩티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BA)n 또는 (GG)m을 포함하고, n 또는 m은 1 내지 4의 정수인 융합 폴리펩티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음의 서열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인 융합 폴리펩티드:
    XRRRX-CYSSPWTKC (서열번호 1),
    XRRRX-BA-CYSSPWTKC (서열번호 2),
    XRRRX-GG-CYSSPWTKC (서열번호 3),
    RXRRRXR-CYSSPWTKC (서열번호 4),
    RXRRRXR-BA-CYSSPWTKC (서열번호 5),
    RXRRRXR-GG-CYSSPWTKC (서열번호 6),
    XKRRX-CYSSPWTKC (서열번호 7),
    XKRRX-CNQWRYSSPWTKC (서열번호 8),
    XRRRX-CNQWRYSSPWTKC (서열번호 9),
    CYSSPWTKCXRRRX (서열번호 10),
    XRRRXYSSPWTK (서열번호 11) 또는
    XRRRXNQWRYSSPWTK (서열번호 12).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의 융합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위암, 폐암, 유방암, 췌장암, 대장암, 간암, 두경부 편평암 세포 암종, 식도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중피종, 흑색종, 육종, 골육종, 지방육종, 갑상선암, 유건종 및 혈액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암은 VGLL1, HER2, EGFR, CDK4/6, PDL1/PD1, INFA5, MYC, CCN1 또는 CCN2이 과발현되어 있는 암; 또는 PIK3CA, KRAS, BRAF, LKB1, p53, NF2 유전자 돌연변이 암 중 어느 하나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20132645A 2022-10-14 2022-10-14 융합 폴리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40053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645A KR20240053123A (ko) 2022-10-14 2022-10-14 융합 폴리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645A KR20240053123A (ko) 2022-10-14 2022-10-14 융합 폴리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123A true KR20240053123A (ko) 2024-04-24

Family

ID=9088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645A KR20240053123A (ko) 2022-10-14 2022-10-14 융합 폴리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123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J Hilinski et al., Stitched α-Helical Peptides via Bis Ring-Closing Metathesi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136, 2014, 12314-12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6407B (zh) 双巯基大环化系统
CN102482336B (zh) 拟肽大环化合物
US20240140999A1 (en) Stabilized peptide-mediated targeted protein degradation
EP1263471B1 (en) Antimicrobial compounds and formulations
AU2007283150B2 (en) Peptides having pharmacological activity for treating disorders associated with altered cell migration, such as cancer
DK2320927T3 (en) Modified peptides as potent inhibitors of the PSD-95 / NMDA receptor interaction
CN102223891A (zh) 具有改善性质的拟肽大环化合物
CN102884074A (zh) 拟肽大环化合物
JP2004521149A (ja) 新規なジペプチジルぺプチダ−ゼiv阻害剤およびそれらの抗癌剤としての使用
CN102197046A (zh) 拟肽大环化合物
CA2585421A1 (en) Conjugates with enhanced cell uptake activity
AU727662B2 (en) Peptides having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AU2016232833A1 (en) Selective Mcl-1 binding peptides
WO2011044374A1 (en) Capcna peptide therapeutics for cancer
EP2870174A1 (en) Cell penetrating peptides to target eif4e
US20100099609A1 (en) eAPP AND DERIVATIVES FOR TREATMENT OF ALZHEIMER&#39;S DISEASE
US20100256041A1 (en) Conjugate Molecule Compounds With Enhanced Cell Uptake Activity
KR20110093899A (ko) 종양 괴사 인자 알파 억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JP5279021B2 (ja) Gpr54アゴニスト活性を有する新規化合物
KR20240053123A (ko) 융합 폴리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McComsey et al. Heterocycle-peptide hybrid compounds. Aminotriazole-containing agonists of the thrombin receptor (PAR-1)
Puszko et al. Urea moiety as amide bond mimetic in peptide-like inhibitors of VEGF-A165/NRP-1 complex
Shu et al. Synthesis of the Src SH2 domain and its application in bioassays for mirror-image screening
JP2023533168A (ja) 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透過性のモジュレーター
WO2005090570A9 (en)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diseases that involve angiogen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