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738A -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738A
KR20240052738A KR1020240048430A KR20240048430A KR20240052738A KR 20240052738 A KR20240052738 A KR 20240052738A KR 1020240048430 A KR1020240048430 A KR 1020240048430A KR 20240048430 A KR20240048430 A KR 20240048430A KR 20240052738 A KR20240052738 A KR 20240052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protective
control signal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84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광섭
김형동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4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738A/en
Publication of KR2024005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738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84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control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01R23/15Indicating that frequency of pulses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by making use of non-linear or digital elements (indicating that pulse width is above or below a certain lim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오류 검출 장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EVSE)와 전기 자동차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커넥터(connector)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인렛(inlet)의 근접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검출부,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duty ratio) 및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를 검출하는 제어 신호 분석부, 그리고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 및 상기 근접 여부의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라인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부를 포함한다.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unit disposed betwee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EVSE) and an electric vehicle, a switch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witch unit, a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A proximity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oximity of the inlet of the car, a control signal analysis unit that detects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an error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open position of a protective earth (PE)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atio,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proximity determination result.

Description

접지 오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실시 예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PE 라인에 발생하는 접지 오류를 검출하는 접지 오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embodiment relates to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 ground fault occurring in a PE lin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는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충전소에 설치된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를 이용한다.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EV) 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 us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installed at charging stations to charge their batteries. .

이를 위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는 EV 내에 탑재되며, EV 및 EVSE와 통신하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한다.To this en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 is mounted in the EV, communicates with the EV and EVSE, and controls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예를 들어, EVCC가 전기 자동차로부터 충전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충전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로부터 충전 종료를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충전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VCC receives a signal from the electric vehicle indicating the start of charging, it can be controlled to start charging, and when it receives a signal from the electric vehicle indicating the end of charging, it can be controlled to end charging.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은 충전 시간에 따라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급속 충전의 경우에는, 충전기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류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되고, 완속 충전의 경우에는 충전기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된다. 따라서 급속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기를 급속 충전기 또는 직류 충전기라 칭하고, 완속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기를 완속 충전기 또는 교류 충전기라 칭한다. Charging methods for electric vehicles can be divided into fast charging and slow charging depending on the charging time. In the case of fast charging, the battery is charged by direct current supplied from the charger, and in the case of slow charging, the battery is charged by alternating current supplied to the charger. Therefore, the charger used for fast charging is called a fast charger or DC charger, and the charger used for slow charging is called a slow charger or AC charger.

한편, 전기 자동차는 고전압 및 고전류로 충전되므로, 충전 중 안전에 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EVSE)와 전기 자동차(EV)는 PE 접지 라인을 연결하여 충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한다. 만약, PE 접지가 개방(open)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즉각 충전을 중단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감전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PE 접지 라인의 접지 오류를 검출하고 빠른 대처를 위하여 접지 오류가 발생한 위치를 검출하여야 하지만 현재 PE 접지 라인의 오류 검출 및 오류 발생 위치 검출을 위한 기술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since electric vehicles are charged with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requirements for safety during charging are increasing. To this e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EVSE) and the electric vehicle (EV) connect the PE ground lin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charging. If a situation occurs where the PE ground becomes open, charging must be stopped immediately. Otherwise, the user may receive an electric shock.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tect a ground fault in the PE ground line and detect the location where the ground fault occurs for quick respons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currently no technology for detecting the fault in the PE ground line and the location of the faul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PE 라인에 발생하는 보호 접지 개방 오류를 검출하는 접지 오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 protective ground open fault occurring in the PE lin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오류 검출 장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EVSE)와 전기 자동차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커넥터(connector)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인렛(inlet)의 근접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검출부,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duty ratio) 및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를 검출하는 제어 신호 분석부, 그리고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 및 상기 근접 여부의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라인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부를 포함한다.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unit disposed betwee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EVSE) and an electric vehicle, a switch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witch unit, a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A proximity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oximity of the inlet of the vehicle, a control signal analysis unit that detects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an error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open position of a protective earth (PE)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atio,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proximity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스위치부는, 제1단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단자와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근접 검출부와 연결될 수 있다. The switch unit may have a first end connected to a protective earth (PE)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개방 및 단락을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switch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witch unit to repeat opening and shorting according to a preset cycle.

상기 근접 검출부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와 상기 전기 자동차가 형성하는 전기 폐루프에 포함된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전압 크기보다 크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인렛이 근접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may detect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close when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istance included in the electrical closed loop form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voltage magnitude. .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섀시 접지(chassis ground) 단자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error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chassis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in a normal state.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미포함되고 상기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미포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섀시 접지(chassis ground) 단자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error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chassis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open.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단락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인렛이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근접 검출부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f the error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close while the switch unit is short-circuited,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normal. It can be judged to be in a state.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단락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인렛이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근접 검출부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f the error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not close while the switch unit is short-circuited, a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is is in an open state.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EVSE)와 전기 자동차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개방 및 단락시키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커넥터(connector)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인렛(inlet)의 근접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duty ratio) 및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 및 상기 근접 여부의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라인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pening and short-circuiting a switch disposed betwee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EVSE) and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preset cycle, determining whether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close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Detecting, detecting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determining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whether the proximity is and detecting an open position of a protective earth (PE)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termination results.

상기 전기 자동차의 보호 접지 라인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미포함되고 상기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미포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섀시 접지(chassis ground) 단자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step of detecting the open position of the protectiv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when the PWM duty ratio is not included in a preset first range and the voltage magnitude is not included in a preset second range while the switch is open, the electric vehicl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chassis ground terminal of the vehicle and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in an open state.

상기 전기 자동차의 보호 접지 라인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단락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인렛이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근접 검출부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step of detecting the open position of the protectiv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protecting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not close to each other while the switch is short-circuit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ground terminal is op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통합 충전 시스템 타입 1(Combined Charging System type 1, CCS1)에 따른 근접 검출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통합 충전 시스템 타입 2(CCS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DIN(Deutsches Institute fuer Normung) 표준에 따른 CP(control pilot)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오류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접지 라인 개방의 경우 스위치부가 단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접지 라인 개방의 경우 스위치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보호 접지 라인 개방의 경우 스위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보호 접지 라인 개방의 경우 스위치부가 단락된 상태에서 전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오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S1140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proximity detection circuit according to Combined Charging System type 1 (CCS1).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integrated charging system type 2 (CCS2).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CP (control pilot) circuit according to the DIN (Deutsches Institute further Normung) standard.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hort-circuited state of the switch unit when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 unit is opened when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urrent flow when the switch unit is opened in the case of opening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current flow in a state where the switch unit is short-circuited when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round fault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iagram showing step S1140 of FIG. 11 in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optionally us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replac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the meaning of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by considering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can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lso is connected to that component. It can also include cases where other components ar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m.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refers not only to cases wher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o one This also includes cases where another component described above is formed or plac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top (above) or bottom (bottom)", it may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10) 및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10) and an electric vehicle (Electric Vehicle, EV, 20).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는 AC 또는 DC를 공급하는 설비이며, 충전소에 배치되거나, 가정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휴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는 충전소(supply), AC 충전소(AC supply), DC 충전소(DC supply), 소켓-아웃렛(socket-outlet) 등과 혼용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is a facility that supplies AC or DC, and can be placed at a charging station or within a home, and can also be implemented to be portabl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 charging station (supply), an AC charging station (AC supply), a DC charging station (DC supply), a socket-outlet, etc.

전기 자동차(2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로부터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이 전기 자동차(20)의 주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20)는 배터리 충전을 위해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를 탑재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는 전기 자동차(20)와 통신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는 전기 자동차(20)와 복수의 핀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와 복수의 핀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20 can charge the battery provided in the vehicle from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To this end, the charging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20. The electric vehicle 20 may be equipped with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 for battery charging. A controller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 vehicle 20.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20 through a plurality of pin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through a plurality of pins.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와 연결되는 20 핀(pin)을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핀 중 하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로부터 CP(Control Pilot) 신호를 입력 받는 CP 포트용 핀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충전 케이블 커넥터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PD(Proximity Detection) 포트용 핀일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와 연결되는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포트용 핀일 수 있다. 20 핀 중 또 다른 하나는 주유구 플랩(flap)을 열기 위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핀일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모터를 센싱하기 위한 핀일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온도 센싱을 위한 핀일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엘이디 센싱을 위한 핀일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캔(CAN) 통신을 위한 핀일 수 있다. 그러나, 핀의 개수 및 기능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includes 20 pin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through this. For example, one of the 20 pins may be a CP port pin that receives a CP (Control Pilot) signal from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d the other pin may be a PD (Proximity Detection) pin that detects the proximity of the charging cable connector. One may be a pin for a port, and the other may be a pin for a protective earth (PE) port connected to the protective ground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other one of the 20 pins may be a pin for driving a motor to open the gas filler flap, another may be a pin for sensing the motor, another may be a pin for temperature sensing, and another pin may be a pin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nother may be a pin for LED sensing, and another may be a pin for CAN communication. However, the number and function of pins are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그리고,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는 전기 자동차(20)와 연결되는 12 핀(pin)을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2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 핀 중 하나는 전기 자동차(20) 내 충돌 감지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라인용 핀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전기 자동차(20) 내 배터리 핀일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캔 통신을 위한 핀일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접지와 연결되는 핀일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고전압 보호용 핀일 수 있다. 그러나, 핀의 개수 및 기능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includes 12 pin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20, through which it can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 vehicle 20. For example, one of the 12 pins may be a pin for a voltage line applied from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within the electric vehicle 20, another may be a battery pin within the electric vehicle 20, and another pin may be a pin for can communication. It may be a pin, another may be a pin connected to ground, and another may be a high voltage protection pin. However, the number and function of pins are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두 개의 고전압 라인은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 내에 전력을 공급하며, 이때, 고전압 라인의 온오프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 two high voltage line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supply power to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20 throug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At this time, the on and off of the high voltage lines is controll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You can.

즉,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는 전기 자동차(20)의 ECU(Elctric Control Unit)와 통신하며, 전기 자동차(20) 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각각 수신한 신호에 따라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communicates with the ECU (Elctric Control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signals respectively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electric vehicle 20 o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The power supplied from the device 10 can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20.

전기 자동차(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보호 접지 라인 개방 상태와 같은 접지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컨트롤러에 입력되는 충전 제어 신호, 전기 자동차(20)의 인렛 및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커넥터 사이의 근접 여부에 기초하여 보호 접지 라인의 오류 및 개방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도면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The electric vehicle 20 may include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can detect a ground fault, such as an open protective ground line state.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detects errors in the protective ground line based on the charging control signal input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and the proximity between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The open position can be detected. To this end,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may include a switch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will be examined through the drawings below.

도 2 내지 도 4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표준 규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통합 충전 시스템 타입 1(Combined Charging System type 1, CCS1)에 따른 근접 검출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s 2 to 4 are diagrams showing standard specification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proximity detection circuit according to Combined Charging System type 1 (CCS1).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커넥터와 전기 자동차(20)의 인렛의 핀(31) 연결을 통해 근접 감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 의 보호 접지 단자(33)와 전기 자동차(20)의 섀시 접지 단자(34)는 핀(3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는 저항(R5)과 핀(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2, proximity detection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d the pin 31 of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the protective ground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The terminal 33 and the chassis ground terminal 34 of the electric vehicle 20 may be connected through a pin 32.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sistor R5 and the pin 32.

도 3은 통합 충전 시스템 타입 2(CCS2)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integrated charging system type 2 (CCS2).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커넥터와 전기 자동차(20)의 인렛은 핀(41) 연결을 통해 근접 감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 단자(43)와 전기 자동차(20)의 섀시 접지 단자(44)는 핀(4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는 근접을 검출하는 전기 자동차(20)의 제어 유닛(EV Control Unit, 45)과 핀(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d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20 can perform proximity detection through connection to the pin 41, and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43 and the chassis ground terminal 44 of the electric vehicle 20 may be connected through a pin 42. 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laced between the pin 42 and the control unit (EV Control Unit) 45 of the electric vehicle 20 that detects proximity.

도 4는 DIN(Deutsches Institute fuer Normung) 표준에 따른 CP(control pilot)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CP (control pilot) circuit according to the DIN (Deutsches Institute further Normung) standard.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커넥터와 전기 자동차(20)의 인렛은 핀(51) 연결을 통해 제어 파일럿 신호, 즉 충전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오류 검출 장치는 핀(51)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파일럿 신호를 분석하여 PWM 듀티비 및 전압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 단자(53)와 전기 자동차(20)의 섀시 접지 단자는 핀(5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On-board Battery Charge Controller(54)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오류 검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d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20 can transmit a control pilot signal, that is, a charging control signal, through connection to the pin 51,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PWM duty ratio and voltage magnitude by analyzing the control pilo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in 51.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53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d the chassis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20 may be connected through a pin 52.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on-board Battery Charge Controller 5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오류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스위치부(210), 스위치 제어부(220), 근접 검출부(230), 제어 신호 분석부(240) 및 오류 검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unit 210, a switch control unit 220, a proximity detection unit 230, a control signal analysis unit 240, and an error detection unit ( 250).

스위치부(21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EVSE, 10)와 전기 자동차(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부(210)는 스위칭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부(210)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단접합 트랜지스터(UniJunction Transistor, UJT),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JFET),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e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주입 강화 절연 게이트 트랜지스터(Injection-Enhanced Gate Transistor, IEGT)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switch unit 2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EVSE) 10 and the electric vehicle 20. The switch unit 210 may be implemented as a switching element. The switch unit 210 includes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a unijunction transistor (UJT), a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JFET), and a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It can be implemented with any one of a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or an Injection-Enhanced Insulated Gate Transistor (IEGT). This is just an example, and may be implemented with other types of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 switching function.

스위치 제어부(220)는 스위치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220)는 스위치부(210)를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스위칭 제어 신호는 스위치 제어부(220)에 입력될 수 있다. The switch control unit 220 can control the switch unit 210. The switch control unit 220 may generate a switching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switch unit 210. The generated switching control signal may be input to the switch control unit 220.

스위치 제어부(220)는 스위치부(210)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개방 및 단락을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주기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 및 전기 자동차(20)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주기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 및 전기 자동차(20) 사이의 충전이 정상적으로 제어되는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The switch control unit 220 may control the switch unit 210 to repeat opening and shorting according to a preset cycle. At this time, the preset cycl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d the electric vehicle 20. The preset cycle may be set within a range in which charging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d the electric vehicle 20 is normally controlled.

근접 검출부(23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커넥터(connector)와 전기 자동차(20)의 인렛(inlet)의 근접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230 can detect whether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is close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20.

근접 검출부(23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와 전기 자동차(20)가 형성하는 전기 폐루프에 포함된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전압 크기보다 크면, 커넥터와 인렛이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f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istance included in the electrical closed loop form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d the electric vehicle 20 is greater than the preset voltage magnitude,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230 determines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close. can do.

제어 신호 분석부(240)는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duty ratio) 및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충전 제어 신호는 PWM 신호일 수 있으며, PWM 듀티에 따라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에 충전하는 전력값이 상이할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analysis unit 240 may detect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The charging control signal may be a PWM signal, and the power value charged to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2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WM duty.

오류 검출부(250)는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 및 근접 여부의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20)의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라인의 개방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The error detection unit 250 determines the open position of the protective earth (PE)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20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a determination result of proximity. can be detected.

오류 검출부(250)는 스위치부(210)가 개방(open)된 상태에서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포함되면, 전기 자동차(20)의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오류 검출부(250)는 스위치부(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미포함되고,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미포함되면, 전기 자동차(20)의 섀시 접지(chassis ground) 단자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ope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error detection unit 250 protects the electric vehicle 20 when the PWM duty ratio is within a preset first range and the voltage magnitude is within a preset second range while the switch unit 210 is ope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ground line is in a normal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WM duty ratio is not included in the preset first range and the voltage magnitude is not included in the preset second range while the switch unit 210 is open, the error detection unit 250 grounds the chassis of the electric vehicle 2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chassis ground) terminal and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is in an open state.

오류 검출부(250)는 단락(short)된 상태에서 커넥터와 인렛이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 자동차(20)의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오류 검출부(250)는 스위치부(210)가 단락된 상태에서 커넥터와 인렛이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 자동차(20)의 근접 검출부(230)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ope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close to each other in a shorted state, the error detection unit 250 may determine that the protectiv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20 is in a normal state. On the other hand, if the error detection unit 250 determines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not close while the switch unit 210 is short-circuited,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230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re protect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ground terminal is ope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스위치부(21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 와 전기 자동차(20)가 형성하는 폐루프 회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부(210)의 제1단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61)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부(210)의 제2단은 근접 검출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switch unit 210 may be disposed on a closed loop circuit form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d the electric vehicle 20. Specifically, the first terminal of the switch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ve earth (PE, 61)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The second end of the switch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230.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류 검출부(250)의 접지 오류 검출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ground fault detection mechanism of the fault detection uni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접지 라인 개방의 경우 스위치부가 단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접지 라인 개방의 경우 스위치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Figure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switch unit is short-circuited when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switch unit is opened when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전기 자동차(20)의 섀시 접지 단자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7 and 8 show a state in which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chassis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is open.

도 7에서와 같이,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된 상태에서 스위치부(210)가 단락된 경우는 스위치부(210)가 배치되지 않고 도선으로 연결된 상태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없다. 이는, 보호 접지 라인을 포함하는 폐루프 형성에 제1 보호 접지 라인의 개방 상태가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As shown in FIG. 7 , when the switch unit 210 is short-circuited while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is open, it may be the same as the state where the switch unit 210 is not disposed and is connected by a conductive wire. In this case, it cannot be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is open. This is because the open state of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does not affect the formation of a closed loop including the protective ground line.

하지만, 도 8에서와 같이,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된 상태에서 스위치부(210)가 개방되면,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로 연결되는 폐루프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전류는 전기 자동차(20)의 섀시 접지로 흐르게 되며, 이때, 충전 제어 신호는 도 7에서의 충전 제어 신호와 상이한 듀티비 및 전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8, when the switch unit 210 is opened while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is open, a closed loop connected to the protective ground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is not formed. In this case, current flows to the chassis ground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at this time, the charging control signal may have a different duty ratio and voltage magnitude from the charging control signal in FIG. 7.

예를 들어, 도 7의 경우, 충전 제어 신호는 5%의 듀티비와 6 [V]의 전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도 8의 경우, 충전 제어 신호는 10%의 듀티비와 12 [V]의 전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7, the charging control signal may have a duty ratio of 5% and a voltage magnitude of 6 [V]. However, in the case of FIG. 8, the charging control signal may have a duty ratio of 10% and a voltage level of 12 [V].

이와 같은 매커니즘에 따라, 오류 검출부(250)는 스위치부(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포함되면, 전기 자동차(20)의 섀시 접지(chassis ground) 단자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스위치부(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미포함되고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미포함되면, 전기 자동차(20)의 섀시 접지(chassis ground) 단자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mechanism, when the PWM duty ratio is within a preset first range and the voltage level is within a preset second range while the switch unit 210 is open, the error detection unit 250 detects the electric vehicle 2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chassis ground terminal of ) and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is in a normal state. Conversely, when the switch unit 210 is open and the PWM duty ratio is not included in the preset first range and the voltage level is not included in the preset second range, the chassis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the electric vehicle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automobile charging device 10 is in an open state.

PWM 듀티비에 대응하는 제1 범위 및 전압 크기에 대응하는 제2 범위는 상기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경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경우 PWM 듀티비가 5%이고 전압 크기가 6 [V]인 경우, 제1 범위는 4%에서 6%의 범위일 수 있고, 전압 크기는 5 [V]에서 7[V]의 범위일 수 있다. The first range corresponding to the PWM duty ratio and the second range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magnitude may be set based on the case where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is in a normal state. For example, when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is in a normal state, the PWM duty ratio is 5% and the voltage magnitude is 6 [V], the first range may range from 4% to 6%, and the voltage magnitude is 5 [V]. It may range from [V] to 7 [V].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보호 접지 라인 개방의 경우 스위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보호 접지 라인 개방의 경우 스위치부가 단락된 상태에서 전류 흐름을 나타낸다. Figure 9 shows the current flow with the switch unit open in the case of opening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the current flow in a state where the switch unit is short-circuited when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와 같이, 스위치부(210)가 개방된 상태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된 상태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근접 검출부(230)는 커넥터와 인렛이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므로, 오류 검출부(250)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된 상태인지 스위치부(210)가 개방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없다. As shown in FIG. 9, the open state of the switch unit 210 may be the same as the open state of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In this case, since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230 determines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not close, the error detection unit 25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is open or the switch unit 210 is open. I can't.

하지만, 도 10에서와 같이, 스위치부(210)가 단락된 상태에서 근접 검출부(230)가 커넥터와 인렛이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오류 검출부(250)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된 상태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10, when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230 determines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not close while the switch unit 210 is short-circuited, the error detection unit 250 detects that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is open. status can be determined.

이와 같은 매커니즘에 따라, 오류 검출부(250)는 스위치부(210)가 단락된 상태에서 커넥터와 인렛이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 자동차(20)의 근접 검출부(230)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 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오류 검출부(250)는 스위치부(210)가 단락된 상태에서 커넥터와 인렛이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 자동차(20)의 근접 검출부(230)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 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mechanism, when the error detection unit 250 determines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close while the switch unit 210 is short-circuited,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230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is in a normal state. Conversely, if the error detection unit 250 determines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not close while the switch unit 210 is short-circuited, it protects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230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ground terminal is ope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오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ure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round fault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와 전기 자동차(20)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개방(open) 및 단락(short) 시킬 수 있다(S1110).First,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may open and short the switch disposed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and the electric vehicle 20 according to a preset cycle (S1110).

그러면,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커넥터(connector)와 전기 자동차(20)의 인렛(inlet)의 근접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1110).Then,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can detect whether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is close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20 (S1110).

그리고,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duty ratio) 및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S1110).Additionally,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may detect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S1110).

다음으로,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 및 근접 여부의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20)의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라인의 개방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S1110).Next,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determines the protective earth (PE) of the electric vehicle 20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proximity. ) The open position of the line can be detected (S1110).

도 12는 도 11의 S1140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FIG. 12 is a diagram showing step S1140 of FIG. 11 in detail.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스위치부(210)가 개방(open)된 상태에서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41).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PWM duty ratio is within a preset first range and the voltage magnitude is within a preset second range when the switch unit 210 is open ( S1141).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스위치부(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포함되면, 전기 자동차(20)의 섀시 접지(chassis ground) 단자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42).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grounds the chassis of the electric vehicle 20 when the PWM duty ratio is within a preset first range and the voltage magnitude is within a preset second range while the switch unit 210 is ope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chassis ground) terminal and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is in a normal state (S1142).

반면,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스위치부(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미포함되고,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미포함되면,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ope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43). On the other hand,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operates when the PWM duty ratio is outside the preset first range and the voltage magnitude is outside the preset second range while the switch unit 210 is open,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is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in an open state (S1143).

또한,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스위치부(210)가 단락(short)된 상태에서 커넥터와 인렛의 근접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44).Additionally,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witch unit 210 is close based on the proximity detection result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inlet in a shorted state (S1144).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스위치부(210)가 단락된 상태에서 근접 검출 결과 커넥터와 인렛이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 자동차(20)의 근접 검출부(230)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 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45). If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close as a result of proximity detection while the switch unit 210 is short-circuited,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230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is in a normal state (S1145).

반면, 접지 오류 검출 장치(200)는 스위치부(210)가 단락된 상태에서 근접 검출 결과 커넥터와 인렛이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ope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46). On the other hand, if th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not close as a result of proximity detection while the switch unit 210 is short-circuited, it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is in an open state. There is (S1146).

도 12에서는 S1141 내지 S1143 단계와 S1144 내지 S1146 단계가 함께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1141 내지 S1143 단계가 수행된 후 S1144 내지 S1146 단계가 수행되거나, S1144 내지 S1146 단계가 수행된 후 S1141 내지 S1143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In Figure 12, steps S1141 to S1143 and steps S1144 to S1146 are shown to be performed togethe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teps S1144 to S1146 may be performed after steps S1141 to S1143 are performed, or steps S1141 to S1143 may be performed after steps S1144 to S1146 are performed.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focuses on the example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You will see that various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xample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se variations and differences in applic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20 : 전기 자동차
200 : 접지 오류 검출 장치
210 : 스위치부
220 : 스위치 제어부
230 : 근접 검출부
240 : 제어 신호 분석부
250 : 오류 검출부
10: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20: electric car
200: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210: switch part
220: switch control unit
230: Proximity detection unit
240: Control signal analysis unit
250: error detection unit

Claims (11)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EVSE)와 전기 자동차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커넥터(connector)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인렛(inlet)의 근접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검출부,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duty ratio) 및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를 검출하는 제어 신호 분석부, 그리고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 및 상기 근접 여부의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라인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부를 포함하는 접지 오류 검출 장치.
A switch unit disposed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EVSE) and the electric vehicle,
A switch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witch unit,
A proximity detection unit that detects whether a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close to an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A control signal analysis unit that detects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An error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open position of the protective earth (PE)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proximity determination result.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제1단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단자와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근접 검출부와 연결되는 접지 오류 검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witch unit,
The first stage is connected to the protective earth (PE)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whose second stage is connected to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개방 및 단락을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접지 오류 검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witch control unit,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that controls the switch unit to repeat opening and shorting according to a preset cy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검출부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와 상기 전기 자동차가 형성하는 전기 폐루프에 포함된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전압 크기보다 크면, 상기 커넥터와 상기 인렛이 근접한 것으로 검출하는 접지 오류 검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close when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istance included in the electric closed loop form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voltage magnit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섀시 접지(chassis ground) 단자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접지 오류 검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rror detection unit,
When the switch unit is open and the PWM duty ratio is within a preset first range and the voltage level is within a preset second range, the chassis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that determines that the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is in a normal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미포함되고 상기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미포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섀시 접지(chassis ground) 단자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접지 오류 검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rror detection unit,
When the switch unit is open and the PWM duty ratio is not included in the preset first range and the voltage level is not included in the preset second range, the chassis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that determines that a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a protective ground terminal is in an ope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단락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인렛이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근접 검출부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접지 오류 검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rror detec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close while the switch unit is short-circui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in a normal state.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스위치부가 단락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인렛이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상기 근접 검출부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접지 오류 검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rror detection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not close to each other while the switch unit is short-circuited,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determined to be open. A ground fault detection device that makes judgments.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EVSE)와 전기 자동차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개방 및 단락시키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커넥터(connector)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인렛(inlet)의 근접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duty ratio) 및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PWM 듀티비, 상기 충전 제어 신호의 전압 크기 및 상기 근접 여부의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라인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지 오류 검출 방법.
Opening and short-circuiting a switch disposed betwee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EVSE) and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preset cycle;
Detecting whether a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close to an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Detecting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Detecting the open position of the protective earth (PE)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WM duty ratio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the voltage magnitude of the charging control signal,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oximity. A ground fault detection method compri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의 보호 접지 라인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PWM 듀티비가 기 설정된 제1 범위에 미포함되고 상기 전압 크기가 기 설정된 제2 범위에 미포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섀시 접지(chassis ground) 단자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접지 오류 검출 방법.
According to clause 9,
Detecting the open position of the protectiv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When the switch is open and the PWM duty ratio is not included in the preset first range and the voltage level is not included in the preset second range, the chassis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 ground fault detection method for determining that a first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a protective ground terminal is in an open sta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의 보호 접지 라인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단락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인렛이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의 근접 검출부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보호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보호 접지 라인이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접지 오류 검출 방법.
According to clause 9,
Detecting the open position of the protectiv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and the inlet are not close to each other while the switch is short-circui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protective ground line connecting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protective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s open. Ground fault detection method.
KR1020240048430A 2019-01-25 2024-04-11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KR202400527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8430A KR20240052738A (en) 2019-01-25 2024-04-11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744A KR102657722B1 (en) 2019-01-25 2019-01-25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KR1020240048430A KR20240052738A (en) 2019-01-25 2024-04-11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744A Division KR102657722B1 (en) 2019-01-25 2019-01-25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738A true KR20240052738A (en) 2024-04-23

Family

ID=720487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744A KR102657722B1 (en) 2019-01-25 2019-01-25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KR1020240048430A KR20240052738A (en) 2019-01-25 2024-04-11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744A KR102657722B1 (en) 2019-01-25 2019-01-25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577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73880A1 (en) * 2021-10-28 2023-05-03 Volvo Truck Corporation A monitoring circuit for monitoring of a protective earth connection in a vehicle charging interface of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4339B2 (en) * 2012-03-30 2015-02-24 Yazaki North America, Inc. Faulty protective earth ground circui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50089646A (en) * 2014-01-28 2015-08-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onnection de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vehicle charger coupler
KR102518036B1 (en) * 2016-02-12 2023-04-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722B1 (en) 2024-04-17
KR20200092624A (en)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435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CN105610124B (en) EVSE handle with automatic thermal shut-off through NTC to ground
CN107681757B (en) Backup power supply
KR20240052738A (en) Apparatus for detecting ground error and method thereof
US11186191B2 (en)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N108631387B (en) Dual bus battery precharge circuit
US9804034B2 (en) EVSE with cordset handle temperature measurement
US201302782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hort circuit
CN105676033A (en) AC charging interface circuit simulator
US20190184849A1 (en)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20160072320A1 (en) Overcurrent detection device, and charging/discharging system, distribution board, charging control device, charging/discharging device for vehicle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the overcurrent detection device
KR102140131B1 (en) Charging device and vehicle having a plurality of charging interfaces
CN103459189A (en) Charging device for vehicle, vehicle equipped with charging device, and offset correction method for current sensor
KR101836740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open/close state of control pilot line of on-board charger
CN102646960A (en) Battery pack primary loop interface protection circuit and protection method
US9656569B2 (en) Vehicle power source apparatus
JP5104520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US9184581B2 (en)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a touch current and protecting an electrical apparatus against such touch currents
KR20210002971A (en) Device for ground fault detection of electric car charger and method for the same
CN204696641U (en) A kind of equipment for the protection of high-tension battery using electricity system and the vehicle with this equipment
CN205353247U (en) Alternating -current charging interface circuit simulator
CN108749579B (en) Grounding self-inspection method and device for high-voltage system, high-voltage system and automobile
CN106300229A (en) A kind of for protecting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high-tension battery electricity system
KR20210091000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 of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CN111746284B (en) High-voltage protection method for electric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