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219A - 간편 봉합사 앵커 - Google Patents

간편 봉합사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219A
KR20240052219A KR1020220131969A KR20220131969A KR20240052219A KR 20240052219 A KR20240052219 A KR 20240052219A KR 1020220131969 A KR1020220131969 A KR 1020220131969A KR 20220131969 A KR20220131969 A KR 20220131969A KR 20240052219 A KR20240052219 A KR 2024005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dy
outer body
suture
holes
sutur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진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31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219A/ko
Priority to PCT/KR2022/017361 priority patent/WO2024080437A1/ko
Publication of KR2024005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 suture-receiving opening, e.g. lateral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6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 A61B2017/0448Additional elements on or within the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Rheu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는 병변 부위의 뼈에 결합되고, 봉합사가 삽입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아우터 바디; 및 상기 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한 쌍의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어 상기 봉합사가 각각 삽입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이너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 사이에 상기 봉합사가 압착 고정 또는 압착 고정 해제되고,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아우터 바디에 대하여 상기 이너 바디가 특정 각도로 고정되도록 상기 이너 바디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간편 봉합사 앵커{A SIMPLE SUTURE ANCHOR}
본 발명은 간편 봉합사 앵커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신체 내에서 힘줄, 인대 및 근육과 같은 연조직은 대체로 골격의 뼈에 부착되는데, 연조직 중 힘줄은 섬유성 조직으로 탄력성을 가져 관절의 운동을 안정하게 하거나 제한함에 따라 강한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기 쉽다.
힘줄의 손상 형태로는 염좌, 비틀림, 찢김, 끊김 등이 있는데, 힘줄의 끊김은 주로 힘줄과 뼈가 결합된 부위에서 발생한다.
뼈에서 끊긴 힘줄을 다시 봉합하는 수술을 위해서는 봉합사 앵커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들어, 뼈에서 끊긴 힘줄을 다시 봉합하는 수술은 회전근개 봉합술 등이 있다.
봉합사 앵커는 봉합사와 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앵커는 이너 스크류가 나사 결합된 아우터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합사는 이너 스크류와 아우터 스크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봉합사 앵커를 이용하여 뼈에서 끊긴 힘줄을 뼈에 다시 봉합하는 수술은 의료용 나이프로 병변 부위의 피부를 절개한 후, 병변 부위까지 트로카를 이용하여 수술용 기구가 접근하게 할 수 있게 한 뒤에 이 트로카를 통해 병변 부위에 앵커를 접근 시켜 힘줄의 결속 부위를 결정한 뒤 2개의 앵커를 힘줄을 통과시켜 뼈까지 집어넣어 고정을 시킨 후, 2개의 앵커에 달려 있는 봉합사를 잡아당겨서 결속된 힘줄에 적당한 긴장상태를 유지 시킨 후 이너 스크류를 회전시키면서 아우터 스크류와 이너 스크류 사이에 봉합사를 고정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봉합사 앵커를 이용하여 뼈에서 끊긴 힘줄을 다시 뼈에 봉합하는 수술을 진행할 경우, 병변 부위의 뼈에 앵커를 삽입하여 결합한 후, 병변 부위의 매우 좁은 공간에서 1) 기구를 이용하여 찢어진 힘줄에 앵커에 달려 있는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과정, 2)병변 부위의 힘줄을 봉합사로 결속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으로써, 수술 난이도가 상승하고 수술 숙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15589호(2017.12.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병변부위의 뼈에서 끊긴 힘줄을 다시 봉합하는 수술을 진행하는 경우, 병변부위에서 봉합사를 찢어진 힘줄에 통과시키는 과정과 봉합사를 결속시키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수술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간편 봉합사 앵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는 병변 부위의 뼈에 결합되고, 봉합사가 삽입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아우터 바디; 및 상기 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한 쌍의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어 상기 봉합사가 각각 삽입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이너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 사이에 상기 봉합사가 압착 고정 또는 압착 고정 해제되고,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아우터 바디에 대하여 상기 이너 바디가 특정 각도로 고정되도록 상기 이너 바디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통홀이 동축 상에서 어긋나게 배치되면 상기 봉합사가 압착 고정 되거나 또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통홀이 동축 상에 배치되면 상기 봉합사의 압착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아우터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아우터 바디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이너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이너 바디의 중심 축선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이너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연통홀의 직경과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와 상기 이너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록킹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와 상기 이너 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너바디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록킹돌기와 록킹되는 록킹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돌기와 상기 록킹홈은 상기 삽입부의 축선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아우터 바디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홀은 상기 이너 바디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아우터 바디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는 병변부위의 뼈에서 끊긴 힘줄을 다시 봉합하는 수술을 진행하는 경우, 병변부위에서 봉합사를 찢어진 힘줄에 통과시키는 과정과 봉합사를 결속시키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수술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1의 A-A` 단면도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의 아우터 바디와 이너 바디 사이에 봉합사가 압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의 아우터 바디와 이너 바디 사이에 봉합사가 압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간편 봉합사 앵커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간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1의 A-A` 단면도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의 아우터 바디(100)와 이너 바디(200) 사이에 봉합사(10)가 압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의 아우터 바디(100)와 이너 바디(200) 사이에 봉합사(10)가 압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는 아우터 바디(100) 및 이너 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는 아우터 바디(100)의 삽입부(120)에 이너 바디(20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아우터 바디(100)에 형성된 관통홀(110)과 이너 바디(200)에 형성된 연통홀(210)에 봉합사(10)가 미리 삽입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100)는 봉합사(10)가 미리 삽입된 상태에서 병변 부위의 뼈에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봉합사(10)는 병변 부위의 인대에 결속되는 인대용 봉합사(10)와, 다른 간편 봉합사 앵커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용 봉합사(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100)는 병변 부위의 뼈에 결합되고, 봉합사(10)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관통홀(110)이 형성되며, 한 쌍의 관통홀(110)과 연통되는 삽입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아우터 바디(100)는 트로카에 의해 병변 부위의 뼈에 형성된 트로카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아우터 바디(100)는 트로카에 의한 타격을 받아 트로카 홈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관통홀(110)은 각각 봉합사(1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관통홀(110)을 하나의 그룹으로 볼때, 한 쌍의 관통홀(110) 그룹은 아우터 바디(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관통홀(110)은 아우터 바디(100)의 축선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0)는 이너 바디(20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삽입부(120)는 아우터 바디(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120)는 아우터 바디(100)의 상단부로부터 아우터 바디(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우터 바디(100)는 못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아우터 바디(100)의 하단부는 뾰족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바디(100)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는 아우터 바디(100)가 병변 부위의 뼈의 트로카 홈에 결합된 후, 트로카 홈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래치돌기(1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돌기(101)는 아우터 바디(100)의 하단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바디(100)의 상단부 둘레에는 환형태의 연장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02)는 아우터 바디(100)가 트로카에 의한 타격을 받아 병변 부위의 뼈에 형성된 트로카 홈에 결합될 때, 트로카에 의한 타격을 쉽게 받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너 바디(200)는 삽입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한 쌍의 관통홀(110)과 연통되는 연통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홀(210)에는 봉합사(10)가 삽입될 수 있다.
연통홀(210)은 한 쌍의 관통홀(110)과 함께 봉합사(10)를 각각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통홀(210)은 이너 바디(200)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연통홀(210)은 이너 바디(200)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연통홀(210)은 이너 바디(200)의 축선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우터 바디(100)의 관통홀(110)과 이너 바디(200)의 연통홀(210)에 삽입된 봉합사(10)는 삽입부(120)에 삽입된 이너 바디(200)의 회전에 따라 압착 고정 또는 압착 고정 해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이너 바디(200)의 회전에 따라, 관통홀(110)과 연통홀(210)이 동축 상에서 어긋나게 배치되면 봉합사(10)가 압착 고정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합사(10)는 이너 바디(200)의 외주면과 아우터 바디(100)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에 압착 고정될 수 있다. (도 6 참조)
또한, 이너 바디(200)의 회전에 따라, 관통홀(110)과 연통홀(210)이 동축 상에 배치되면 봉합사(10)의 압착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바디(200)의 외주면과 아우터 바디(100)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이 커짐에 따라, 이너 바디(200)의 외주면과 아우터 바디(100)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에서의 봉합사(10)의 압착 고정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 참조)
나아가, 아우터 바디(100)와 이너 바디(200)에는 아우터 바디(100)에 대하여 이너 바디(200)가 특정 각도로 고정되도록 걸림돌기(220)와 복수의 걸림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걸림돌기(220)는 이너 바디(2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걸림홈(130)은 아우터 바디(100)의 내주면에 이너 바디(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걸림돌기(22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단, 도면에는 걸림돌기(220)가 이너 바디(20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걸림홈(130)이 아우터 바디(100)의 내주면에 이너 바디(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걸림돌기는 아우터 바디(10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걸림홈은 이너 바디(200)의 외주면에 이너 바디(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걸림돌기(220)가 복수의 걸림홈(130)에 선택적으로 고정될때, 아우터 바디(100)에 대하여 이너 바디(200)가 고정되는 특정 각도는 아우터 바디(100)의 관통홀(110)과 이너 바디(200)의 연통홀(210)이 동축 상에 배치되는 동축 각도와 아우터 바디(100)의 관통홀(110)과 이너 바디(200)의 연통홀(210)이 동축 상에 어긋나게 배치되는 비동축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바디(200)의 회전에 의해 걸림 돌기는 복수의 걸림홈(130) 중 아우터 바디(100)에 대하여 이너 바디(200)가 동축 각도를 이루는 것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너 바디(200)의 회전에 의해 걸림 돌기는 복수의 걸림홈(130) 중 아우터 바디(100)에 대하여 이너 바디(200)가 비동축 각도를 이루는 것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홀(110)은 아우터 바디(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아우터 바디(100)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며, 연통홀(210)은 이너 바디(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너 바디(200)의 중심 축선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10)가 이너 바디(200)의 외주면과 아우터 바디(100)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에 압착고정될 때, 봉합사(10)가 이너 바디(200)의 연통홀(210)의 곡면 형태의 부위와 아우터 바디(100)의 관통홀(110)의 곡면 형태의 부위 사이에 압착 고정됨에 따라, 봉합사(10)의 끊김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아우터 바디(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홀(110)의 직경은 이너 바디(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통홀(210)의 직경과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봉합사(10)가 관통홀(110)과 연통홀(210)의 연통 영역에 삽입될 때, 봉합사(10)의 걸림이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아우터 바디(100)의 삽입부(120)와 이너 바디(200)에는 아우터 바디(100)의 삽입부(120)에 이너 바디(200)가 삽입될때, 아우터 바디(100)와 이너 바디(200)를 록킹하는 록킹돌기(140)와 록킹돌기(14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록킹돌기(140)는 아우터 바디(100)의 삽입부(120)에 형성될 수 있고, 록킹홈(230)은 이너 바디(2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록킹돌기(140)와 록킹홈(230)은 삽입부(120)의 축선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는데, 록킹돌기(140)는 삽입부(120)의 바닥면에 삽입부(120)의 축선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록킹홈(230)은 이너 바디(200)의 하단부에 삽입부(120)의 축선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돌기(140)와 록킹홈(230)은 이너바디가 아우터 바디(100)의 삽입부(120)에 삽입될 때, 록킹돌기(140)와 록킹홈(230)이 상호 록킹됨에 따라, 이너 바디(200)를 삽입부(120)의 축선 방향으로 정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록킹돌기(140)와 록킹홈(230)은 이너 바디(200)의 회전축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록킹돌기(140)가 아우터 바디(100)의 삽입부(120)에 형성되고 록킹홈(230)이 이너 바디(200)에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록킹돌기가 이너 바디(200)에 형성되고 록킹홈이 아우터 바디(10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간편 봉합사 앵커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간편 봉합사 앵커의 한 쌍의 봉합사(10) 중 하나는 복수의 간편 봉합사 앵커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간편 봉합사 앵커의 한 쌍의 봉합사(10) 중 나머지는 병변 부위의 인대에 결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를 이용하여 뼈에서 끊긴 인대를 뼈에 다시 봉합하는 수술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과정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로봇팔이나, 수술자가 시행할 수 있다.
우선, 의료용 나이프에 의해 병변 부위가 절개된다.
다음으로, 병변 부위의 뼈에 트로카를 이용하여 복수의 트로카 홈을 형성한다.
이어서, 복수의 간편 봉합사 앵커의 아우터 바디(100)를 각각 복수의 트로카 홈에 결합한다. 이 때, 각각의 간편 봉합사 앵커는 아우터 바디(100)의 삽입부(120)에 이너 바디(200)가 삽입되고, 아우터 바디(100)의 한 쌍의 관통홀(110)이 각각 이너 바디(200)의 연통홀(210)과 동축 상으로 정렬되며, 한 쌍의 관통홀(110)과 연통홀(210)에 봉합사(10)가 미리 삽입된다.
이 후, 간편 봉합사 앵커의 복수의 봉합사(10) 중 하나를 병변 부위의 인대에 결속하고 간편 봉합사 앵커의 복수의 봉합사(10) 중 다른 하나를 인접하는 다른 간편 봉합사 앵커에 결속한다.
마지막으로, 아우터 바디(100)의 한 쌍의 관통홀(110)과 이너 바디(200)의 연통홀(210)이 동축 상에서 어긋나게 정렬되도록 이너 바디(200)를 회전시킨다. 그 결과, 아우터 바디(100)의 외주면과 이너 바디(200)의 내주면 사이에 봉합사(10)가 압착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봉합사 앵커는 병변부위의 뼈에서 끊긴 인대를 다시 봉합하는 수술을 진행하는 경우, 병변부위에서 봉합사(10)를 아우터 바디(10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수술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봉합사
100: 아우터 바디
110: 관통홀
120: 삽입부
130: 걸림홈
140: 록킹돌기
200: 이너 바디
210: 연통홀
220: 걸림돌기
230: 록킹홈

Claims (9)

  1. 병변 부위의 뼈에 결합되고, 봉합사가 삽입되는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아우터 바디; 및
    상기 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한 쌍의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어 상기 봉합사가 각각 삽입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이너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 사이에 상기 봉합사가 압착 고정 또는 압착 고정 해제되고,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아우터 바디에 대하여 상기 이너 바디가 특정 각도로 고정되도록 상기 이너 바디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간편 봉합사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통홀이 동축 상에서 어긋나게 배치되면 상기 봉합사가 압착 고정 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통홀이 동축 상에 배치되면 상기 봉합사의 압착 고정이 해제되는, 간편 봉합사 앵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아우터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아우터 바디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이너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이너 바디의 중심 축선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간편 봉합사 앵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이너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연통홀의 직경과 대응하는, 간편 봉합사 앵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이너 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록킹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와 상기 이너 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너바디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록킹돌기와 록킹되는 록킹홈이 형성되는, 간편 봉합사 앵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와 상기 록킹홈은 상기 삽입부의 축선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간편 봉합사 앵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아우터 바디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간편 봉합사 앵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이너 바디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간편 봉합사 앵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아우터 바디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간편 봉합사 앵커.
KR1020220131969A 2022-10-14 2022-10-14 간편 봉합사 앵커 KR20240052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969A KR20240052219A (ko) 2022-10-14 2022-10-14 간편 봉합사 앵커
PCT/KR2022/017361 WO2024080437A1 (ko) 2022-10-14 2022-11-07 간편 봉합사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969A KR20240052219A (ko) 2022-10-14 2022-10-14 간편 봉합사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219A true KR20240052219A (ko) 2024-04-23

Family

ID=9066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969A KR20240052219A (ko) 2022-10-14 2022-10-14 간편 봉합사 앵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2219A (ko)
WO (1) WO202408043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589B1 (ko) 2017-02-09 2018-01-05 (주)오스테오닉 측부 개방형 봉합사 앵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7710B2 (en) * 2003-09-10 2010-11-23 Linvatec Corporation Knotless suture anchor
US20060282081A1 (en) * 2004-04-16 2006-12-14 Fanton Gary S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tissue to bone with a suture
US8777990B2 (en) * 2008-09-08 2014-07-15 Howmedica Osteonics Corp. Knotless suture anchor for soft tissue repair and method of use
KR101774390B1 (ko) * 2016-12-29 2017-09-04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확장형 앵커
KR101959783B1 (ko) * 2017-03-29 2019-03-19 주식회사 티제이씨라이프 풀림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589B1 (ko) 2017-02-09 2018-01-05 (주)오스테오닉 측부 개방형 봉합사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437A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6058B2 (en) Anchor/suture used for medical procedures
JP5280010B2 (ja) 縫合糸アンカーを使用した関節鏡手術のための装具
JP4263619B2 (ja) 無結節式に縫合糸を固定することを用いて結合組織を骨に取付ける装置
US5782865A (en) Stabilizer for human joints
US8382799B2 (en) Variable tension post fixation
US78332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assageway
US8663279B2 (en) Swivel anchor for knotless fixation of tissue
CA2605251C (en) Suture fix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rgical repair
US2019018347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knotless suture anchoring
KR20240052219A (ko) 간편 봉합사 앵커
CN112472266A (zh) 韧带胫骨止点撕脱骨折固定装置及其配套手术方法
EP1887943B1 (en) Apparatus for surgical repair
JP5058154B2 (ja) 縫合糸を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TWI676457B (zh) 纖維軟骨縫合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