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170A -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170A
KR20240052170A KR1020220131856A KR20220131856A KR20240052170A KR 20240052170 A KR20240052170 A KR 20240052170A KR 1020220131856 A KR1020220131856 A KR 1020220131856A KR 20220131856 A KR20220131856 A KR 20220131856A KR 20240052170 A KR20240052170 A KR 20240052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ype secondary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상학
조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3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170A/en
Publication of KR2024005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1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01M10/0427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5Terminals formed by the casing of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으로 버튼형 이차전지 내 전극조립체가 파손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쇼트(short) 및 그에 따른 발화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전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게 되는 버튼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는, 지름의 길이가 높이보다 큰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양극, 분리막,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캔바디, 캔바디의 개구을 덮으며 캔바디에 결합되어 캔바디와 함께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탑캡부, 및 수용 공간에서 전극 조립체를 제외한 빈 공간에 마련되며, 발화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유닛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nd a battery module containing the same. It can prevent short circuits and subsequent ignition that may occur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is damaged by external shock, and as a result, safety and It relates to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with excellent stability and a battery module containing the same.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with a diameter greater than the height,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 separa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 can body into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and a can body covering the opening of the can body. It is coupled to the top cap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can body, and is provided in an empty space ex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receiving space and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unit for suppressing ignition.

Description

버튼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튼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으로 버튼형 이차전지 내 전극조립체가 파손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쇼트(short) 및 그에 따른 발화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전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게 되는 버튼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nd a battery module containing the same. It can prevent short circuits and subsequent ignition that may occur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is damaged by external shock, and as a result, safety and It relates to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with excellent stability and a battery module containing the same.

근래에는 화석 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 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 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지 등의 전력 저장 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price of energy sources has risen due to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has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eco-friendly alternative energy sources has become an essential factor for future life. Accordingly, research continues on various power production technologies such as solar power, wind power, and tidal power, and there is also great interest in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to use the electric energy produced in this way more efficiently.

더욱이, 전지를 사용하는 전자 모바일 기기와 전기 자동차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Moreover,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electronic mobile devices and electric vehicles using batteries increase, the demand for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muc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batteries that can meet various needs. there is.

특히,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In particular, in terms of materials, there is high deman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such as lithium-ion batteries and lithium-ion polymer batteries, which have advantage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and output stability.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웨어러블 기기가 점점 소형화 되어가는 추세에 맞추어서 버튼형 이차전지 등의 소형 전지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secondary batteries are classified into cylindrical batteries and square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a cylindrical or square metal can, and pouch-type batterie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a pouch-shaped case of aluminum laminate sheet. It can be. And recently, in line with the trend of wearable devices becoming increasingly smaller,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small batteries such as button-type secondary batteries has been highlighted.

도 1은 종래의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버튼형 이차전지가 외부의 충격 또는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고 변형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버튼형 이차전지(1)는 전극조립체(10)가 금속 캔바디(20)에 내장되고 상부에는 금속의 베이스 플레이트(30)가 캔바디의 개구를 덮고 있다. 그리고 전극 조립체(10)의 중앙 상부에는 외부의 전자 기기에 연결되는 금속의 전극 단자(40)가 위치한다. 전극 단자(40)와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절연 가스켓(5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력 또는 외부의 충격이 버튼셀(1)의 상부에 가해지면 전극 단자(40)가 아래로 변형되어 내려오고, 중심홀(15)이 중앙에 형성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10)는 지지할 수 있는 어떤 지지 수단도 가지지 못하므로 전극 단자(40)의 변형에 따라 넓은 범위에서 아래로 변형되고 무너져 내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Figure 1 shows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damaged and deformed by an external impact or external force. 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built into a metal can body 20, and a metal base plate 30 covers the opening of the can body at the top. And at the upper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 metal electrode terminal 40 tha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located. The electrode terminal 40 and the base plate 30 are electrically insulated by an insulating gasket 50. As shown in FIG. 1, when an external force or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button cell 1, the electrode terminal 40 is deformed downward and a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y with a central hole 15 formed in the center ( Since 10) does not have any support means, a problem occurred in which it deforms downward and collapses in a wide range depending on the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40.

그리고 이 경우, 전극조립체(10)가 변형되거나 파손됨에 따라 쇼트(short)가 발생할 수 있었고, 쇼트는 곧 발화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을 의미할 수 있었다. 이에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10) 파손 및 그에 따른 쇼트 및 발화를 방지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었다.In this case, a short could occur as the electrode assembly 10 was deformed or damaged, and a short could mean a dangerous situation that could lead to ignition. Accordingly, there was a need to prevent damage to the electrode assembly 10 that may occur due to external shock and subsequent short circuit and ignition.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 충격으로 버튼형 이차전지 내 전극조립체가 파손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쇼트(short) 및 그에 따른 발화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전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게 되는 버튼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prevent short circuits and subsequent ignition that may occur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n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is damaged by external shock, and as a result, safety and stability are improved. The aim is to provide an excellent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nd a battery module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는, 지름의 길이가 높이보다 큰 버튼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양극, 분리막,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캔바디, 캔바디의 개구을 덮으며 캔바디에 결합되어 캔바디와 함께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탑캡부, 및 수용 공간에서 전극 조립체를 제외한 빈 공간에 마련되며, 발화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유닛을 포함한다.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with a diameter greater than the height,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 separa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 can body into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and a can body covering the opening of the can body. It is coupled to the top cap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can body, and is provided in an empty space ex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receiving space and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unit for suppressing ignition.

소화 유닛은, 소화 물질을 포함하고, 알갱이 형태를 가지는 소화 알갱이부, 및 소화 알갱이부 복수개를 수용하는 주머니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e extinguishing unit may include a fir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containing an extinguishing material and having a granular shape, and a bag portion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s.

주머니부는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The pocket portion may be prepared including a polymer material.

주머니부의 외면 또는 주머니부의 내면에는 소화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or the inner surface of the bag may be coated with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소화 알갱이부는, 소화 물질, 및 소화 물질을 감싸는 캡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may include an extinguishing substance and a capsule member surround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소화 알갱이부는, 소화 물질이 덩어리 형태로 뭉쳐져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Th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may be formed by agglomerating extinguishing substances into lumps.

주머니부가 열 또는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변형되면, 소화 알갱이부는 주머니부의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If the bag is damaged or deformed by heat or external force, the extinguished particle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g.

탑캡부는, 내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캔바디의 상단 개구를 덮으며 캔바디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관통홀을 덮는 전극 단자, 및 전극 단자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가스켓을 포함하고, 소화 유닛은 전극조립체의 권취 중심에 형성된 센터홀 내에 마련될 수 있다. The top cap portion has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inside, a base plate that covers the top opening of the can body and is coupled to the can body, an electrode terminal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plate and covering the through ho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and base. It includes an insulating gasket to insulate between the plates, and the fire extinguishing unit may be provided in a center hole formed in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소화 유닛은 센터홀의 모양 및 크기와 대응하는 모양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unit may have a shape and size that corresponds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center hole.

탑캡부는, 내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캔바디의 상단 개구를 덮으며 캔바디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관통홀을 덮는 전극 단자, 및 전극 단자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가스켓을 포함하고, 소화 유닛은 전극조립체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The top cap portion has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inside, a base plate that covers the top opening of the can body and is coupled to the can body, an electrode terminal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plate and covering the through ho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and base. It includes an insulating gasket to insulate between the plates, and the fire extinguish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ase plate.

소화 유닛은 전극조립체의 권취 중심에 형성된 센터홀 내에도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uni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in the center hole formed in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캔바디의 개구는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고, 전극 단자는 양극을 형성하고, 캔바디 및 베이스 플레이트는 음극을 형성할 수 있다.The edge of the base plate and the opening of the can body are joined by laser welding, the electrode terminal can form an anode, and the can body and base plate can form a cathode.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이상에서 검토한 버튼형 이차전지 복수개, 및 상기 버튼형 이차전지 복수개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It can be provided as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type secondary batteries reviewed above,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button-type secondary batteries.

본 발명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은 외부 충격으로 버튼형 이차전지 내 전극조립체가 파손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쇼트(short) 및 그에 따른 발화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전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게 되는 버튼형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ttery module containing the same can prevent short circuits and resulting ignition that may occur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is damaged by external shock, and as a result, safety and stability are improved. Excellent button-type secondary batteries and battery modules can be implemented.

도 1은 종래의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의 소화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의 소화 유닛에서 소화 알갱이부만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e extinguishing unit of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fir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i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of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or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omitted, and reference signs are added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n this regard, identical or similar reference sign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실시예 1Example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의 소화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의 소화 유닛에서 소화 알갱이부만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e extinguishing unit of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fir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i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of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는 지름의 길이가 높이보다 큰 버튼형 이차전지(100)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110), 캔바디(120), 탑캡부(300), 및 소화 유닛(19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탑캡부(300)는 캔바디(120)의 상측을 덮으며 캔바디(120)에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특히 캔바디(120)의 상측 개구를 덮는 구성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4,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00 whose diameter is greater than its height. And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110, a can body 120, a top cap portion 300, and a fire extinguishing unit 190. Here, the top cap portion 300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can body 120 and may be coupled to the can body 120. In particular, it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can body 120.

여기서 탑캡부(300)는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30), 전극 단자(140), 절연 가스켓(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탑캡부(300)는 더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부 절연을 목적으로 추가적으로 한 절연 시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op cap portion 300 may specifically include a base plate 130, an electrode terminal 140, and an insulating gasket 150. In addition, the top cap portion 30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insulating sheet 160 for the purpose of insul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30.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10)는 양극, 분리막, 음극을 포함하고, 양극, 분리막, 음극이 교대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110)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권취된 형태를 가지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110)일 수 있다. 이러한 전극조립체(110)는 한 개 이상의 양극, 한 개 이상의 음극, 한 개 이상의 분리막이 서로 권취된 전극 권회체일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de assembly 110 includes an anode, a separator, and a cathode, and may be formed by alternating the anode, separator, and cathode. The electrode assembly 110 may be a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y 110 in which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wound. This electrode assembly 110 may be an electrode winding body in which one or more anodes, one or more cathodes, and one or more separators are wound around each other.

캔바디(120)는 전극조립체(110)가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캔바디(12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공간에 전극조립체(110)가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수직으로 삽입된다는 것은 전극조립체의 권취 축이 캔바디(120)의 바닥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전극조립체(110)가 삽입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캔바디(120)는 위쪽에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즉 위쪽이 열려 있고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can body 120 may be configured to insert the electrode assembly 110. The can body 120 has an internal space, and the electrode assembly 110 can be vertically inserted into this internal space. Vertically inserted may mean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inserted so that the winding axis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of the can body 120. The can body 120 may have an opening at the top. That is, the top may be open and may include a bottom and side walls.

탑캡부(300)는 캔바디(120)의 개구을 덮으며 캔바디(120)에 결합되어, 캔바디(120)와 함께 전극조립체(1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top cap portion 300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can body 120 and be coupled to the can body 120 to form a receiving space (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can body 120. there is.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 탑캡부(300)의 구체적 구성 중 하나인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캔바디(120)의 상단 개구(121)를 덮으며 캔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결합은 용접에 의한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캔바디의 개구(121)는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용접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캔바디의 개구(121)가 용접되는 부분이 용접부(170)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ase plate 130, which is one of the specific components of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top cap portion 300 according to Example 1, covers the upper opening 121 of the can body 120 and covers the can body 120. can be combined with This joining may be done by welding. Specifically, the edge of the base plate and the opening 121 of the can body may be joined by laser welding. The portion where the edge of the base plate and the opening 121 of the can body are welded by welding may be the welded portion 170.

그리고 이 레이저 용접의 형태는 용접 핀 홀(pin hole) 방지에 유리한 심용접(seam welding)일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30)에는 내측 중앙에 관통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금속 소재로 마련되고, 이 금속 소재는 SUS, 니켈 도금된 탄소강, Al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And this type of laser welding may be seam welding, which is advantageous for preventing weld pin holes. And a through hole 131 may be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base plate 130. Here, the base plat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is metal material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SUS, nickel-plated carbon steel, and Al.

전극 단자(140)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홀(131)에 결합되는 단자일 수 있다. 전극 단자(140)는 양극을 형성하는 양극 단자일 수 있다. 이는 전극조립체(110)의 양극이 전극 단자(140)에 연결됨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 도 2에서 전극에서부터 연장되는 전극 탭(180)이 전극 단자(140)의 하면에 연결되고 있는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이 연결은 용접에 의한 연결일 수 있다. The electrode terminal 140 may be a terminal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31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ase plate 130. The electrode terminal 140 may be a positive terminal that forms an anode. This may be the result of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being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140. In FIG. 2, the electrode tab 180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is shown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140. This connection may be by welding.

전극 단자(140)가 양극을 형성하는 경우, 캔바디(120) 및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음극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110)의 음극이 캔바디(120)에 연결되어 캔바디(120)가 음극을 띄게 되는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캔바디(120)에 용접 됨에 따라 캔바디(120)와 동일한 음극을 띌 수 있다. 음극 탭은 캔바디(120)의 바닥면에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terminal 140 forms an anode, the can body 120 and the base plate 130 may form a cathode. The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connected to the can body 120 so that the can body 120 has a cathode. As the base plate 130 is welded to the can body 120, it has the same cathode as the can body 120. It can be noticeable. The negative electrode tab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body 120.

전극 단자(140)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홀(13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관통홀(131)을 덮는 구성일 수 있다. 전극 단자(140)는 금속 소재로 마련되고, 이 금속 소재는 SUS, 니켈 도금된 탄소강, Al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전극 단자(140)는 전극 탭(180)을 통해 전극조립체(110)의 전극(111)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전지가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단자를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The electrode terminal 140 may b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31 formed inside the base plate 130 and cover the through hole 131. The electrode terminal 14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is metal material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SUS, nickel-plated carbon steel, and Al. The electrode terminal 140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1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hrough the electrode tab 180, and may be a part that forms a terminal through which the battery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절연 가스켓(150)는 전극 단자(14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절연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즉, 전극 단자(14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 사이에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전극 단자(140)가 양극을 형성하는 경우, 음극인 캔바디(120)의 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음극을 띄고, 전극 단자(140)는 양극을 띄므로, 이 전극 단자(14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 둘 사이를 절연하는 구조물이 필요한데, 이 구조물이 절연 가스켓(150)일 수 있다. The insulating gasket 150 may be configured to insulate the electrode terminal 140 and the base plate 130. In other words, it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a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140 and the base plate 130. When the electrode terminal 140 forms an anode, the base plate 130 coupled to the body of the can body 120, which is a cathode, has a cathode, and the electrode terminal 140 has a anode, so this electrode terminal ( A structure that insulates between the base plate 140 and the base plate 130 is required, and this structure may be an insulating gasket 150.

그리고, 전극 단자(140), 절연 가스켓(150), 및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열융착으로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열융착은 열과 압력을 가해서 서로 접착시키는 형태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electrode terminal 140, the insulating gasket 150, and the base plate 130 may be joined by heat fusion. Heat fusion can be a form of adhesion to each other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추가적으로 탑캡부(300)는 절연 시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시트(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 상에 위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을 절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절연 시트(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전극 탭(180) 사이를 절연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시트(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전극조립체(110) 사이를 절연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top cap portion 30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sheet 160. The insulating sheet 160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30 and insulate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30. The insulating sheet 160 may insulate between the base plate 130 and the electrode tab 180. Additionally, the insulating sheet 160 may insulate between the base plate 13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10.

그리고 절연 시트(160)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 절연 시트(160)가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And the insulating sheet 16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30. When attached in this way, the insulating sheet 160 can be stably positioned without moving.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에서, 전극 단자(140)는 관통홀(131)에 삽입되는 삽입부(141), 및 삽입부(14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되 플레이트(plate)의 형태를 가지며 연장하는 단자 플레이트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terminal 140 has an insertion portion 141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31, and an outer portion from the top of the insertion portion 141. It may include a terminal plate portion 142 that extends and has the shape of a plate.

이때, 삽입부(141)는 전극조립체(1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내려갈수록 횡단면의 지름이 줄어드는 형태일 수 있다. 절연 시트(160)에는 내측에 삽입홀(16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부(141)의 하단부가 절연 시트(160)의 삽입홀(161)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삽입부(141)의 하단부가 절연 시트(160)에 닿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portion 141 may have a cross-sectional diameter that decreases as it moves downward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 insertion hole 161 may be formed inside the insulating sheet 160. 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41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61 of the insulating sheet 160. When having this structure,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41 may not contact the insulating sheet 16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110)의 전극(111)에서 연장되는 전극 탭(18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탭(180)은 전극조립체(110)의 전극(111)에서 연장되어 전극 단자(140)에 접촉하고 있을 수 있다. 전극 탭(180)은 양극 탭일 수 있다. 이 경우 전극 탭(180)은 전극조립체(110)의 양극에서 연장하여 전극 단자(140)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de tab 180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111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he electrode tab 180 may extend from the electrode 111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 140. The electrode tab 180 may be a positive electrode tab. In this case, the electrode tab 180 may exten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 140.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에서, 소화 유닛(190)은 수용 공간(S)에서 전극조립체(110)를 제외한 빈 공간에 마련되며, 발화를 진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is provided in the empty space of the receiving space (S) ex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may be configured to suppress ignition. .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소화 유닛(190)은, 구체적으로 소화 알갱이부(191) 및 주머니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 알갱이부(191)는 발화를 진압하기 위한 물질인 소화 물질(191-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화 물질(191-a)은 통상 소화기 등 소화를 위한 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화 약제일 수 있다. 그리고 소화 알갱이부(191)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알갱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주머니부(192)는 이러한 소화 알갱이부(191)를 복수개 수용하는 주머니 형태의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주머니부(192)는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주머니부(192)는 탄성을 가진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강성을 가진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외부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탄성을 가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지지력을 더 높이는 소화 유닛(190)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강성을 가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4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may specifically include a fir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191 and a bag portion 192. Th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191 may include an extinguishing material 191-a, which is a material for suppressing ignition. Here, the fire extinguishing substance 191-a may be a fire extinguishing agent commonly used in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such as a fire extinguisher. And the digestion granule portion 191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It may also have the form of granules. The bag portion 19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g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these digested granule portions 191. Here, the pocket portion 192 may be prepared including a polymer material. The pocket portion 192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a rigid material. When it is desired to increase the role of buffering external shock, it may be advantageous to use a material with elasticity, and when it is desired to implement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with greater support, it may be advantageous to use a material with rigidity.

도 3을 참조하면, 주머니부(192)가 열 또는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변형되면, 소화 알갱이부(191)는 주머니부(192)의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의 (a)는 열 또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소화 유닛(190)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외력은 F 화살표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 F화살표는 외력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렇듯 소화 유닛(190)에 외력 또는 열이 작용된 결과 주머니부(192)가 파손되어 내부의 소화 알갱이부(191)가 배출되는 모습이 도 3의 (b)에서 도시되고 있다. 이렇게 배출된 소화 알갱이부(191)는 버튼형 이차 전지 내 수용 공간(S)에서 발화가 난 부분을 진화할 수 있다. 소화 알갱이부(191)는 소화 물질(191-a)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소화 물질(191-a)이 발화를 진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bag portion 192 is damaged or deformed by heat or external force, the fire extinguishing pellets 19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g portion 192. Figure 3(a) shows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before heat or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shows the external force acting in this state. Here, the external force is shown as an F arrow, but this F arrow can mean not only external force but also heat applied from the outside. As a result of external force or heat being applied to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the bag portion 192 is damaged and the internal fir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191 is discharged, as shown in FIG. 3(b). Th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191 discharged in this way can extinguish the ignited portion in the receiving space (S) with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Since the fir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191 contains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191-a,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191-a can suppress the igni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는 외부 충격으로 버튼형 이차전지(100) 내 전극조립체(110)가 파손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쇼트(short) 및 그에 따른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안전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게 되는 버튼형 이차전지(100)를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hort circuits and resulting ignition that may occur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10 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00 is damaged by external shock. You can. As a result,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00 with excellent safety and stability can be implement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에서는, 또한, 주머니부의 외면(192-1) 또는 주머니부의 내면(192-2)에는 소화 물질(191-a)이 도포되어 있거나 또는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소화 유닛(190)에 의해 발화가 진압되는 효과는 더욱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inguishing material 191-a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192-1 of the pocket portion or the inner surface 192-2 of the pocket portion, or It may be coated. In this case,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ignition by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4를 참조하면, 소화 알갱이부(191)는 소화 물질(191-a) 및 이 소화 물질(191-a)을 감싸는 캡슐 부재(19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캡슐 부재(191-b)는 외력 또는 열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녹을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캡슐 부재(191-b)는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소화 유닛(190)의 완충 작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탄성을 가진 캡슐 부재(191-b)를 이용할 수 있고, 지지 작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강성을 가진 캡슐 부재(191-b)를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191 may include an extinguishing material (191-a) and a capsule member (191-b) surround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191-a). Here, the capsule member 191-b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broken or melted by external force or heat. For example, the capsule member 191-b may be prepared including a polymer material. Additionally, an elastic capsule member 191-b can be used to increase the cushioning effect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and a rigid capsule member 191-b can be used to increase the support function.

물론 소화 알갱이부(191)는 또 다른 형태로 캡슐 부재(191-b) 없이 소화 물질(191-a)만 덩어리 형태로 뭉쳐져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이 경우는 캡슐 부재(191-b)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 상의 용이성이 더 높아질 수 있고, 동일 부피에 더 많은 소화 물질(191-a)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화 능력을 더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Of course, the extinguishing granule portion 191 may be formed in another form in which only the extinguishing material 191-a is lumped together without the capsule member 191-b. In this case, the ease of manufacturing can be higher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re is a capsule member (191-b), and since more extinguishing substances (191-a) can be accommodated in the same volume, the extinguishing ability can be relatively increased. There may be some advantage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100)에서 소화 유닛(190)은 전극조립체(110)의 권취 중심에 형성된 센터홀(C) 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소화 유닛(190)은 센터홀의 모양 및 크기와 대응하는 모양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될 경우, 소화 유닛(190)이 전극조립체(110)의 중심에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씸웰딩형 버튼셀에서 외력이 가해질 때 탑캡부(300)의 중심부가 쉽게 무너져 내리는 문제가 있었는 바, 이와 관련해서도, 소화 유닛(190)이 센터홀에 위치하게 되면 지지력을 강화하여 붕괴를 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중심부에서 발생하는 발화를 효과적으로 진압하는 효과도 발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hole C formed in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dditionally,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may have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center hole. When arranged in this way,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may serve to support the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y 110 at the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here was a problem in the seam welding type button cell that the center of the top cap portion 300 easily collapses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relation to this, whe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is located in the center hole, the support force is strengthened to prevent collapse. It may play a role. Of course, it can also have the effect of effectively suppressing ignition occurring in the center.

한편, 이상에서 검토한 버튼형 이차전지(100)를 복수개 모아서 전지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전지 모듈은 이러한 버튼형 이차전지(100) 복수개 및 버튼형 이차전지(100) 복수개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버튼형 이차전지(100)에서 발화가 방지되므로, 이러한 발화 방지 효과는 전지 모듈 전체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Meanwhile, a battery module may be formed by collecting a plurality of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ies 100 reviewed above. This battery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type secondary batteries 100 and a housing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button-type secondary batteries 100. Since ignition is prevented in the individual button-type secondary batteries 100, this ignition prevention effect can be equally observed in the entire battery module.

실시예 2Example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소화 유닛(190)의 위치가 전극조립체(110)와 탑캡부(300) 사이의 공간에 마련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Embodiment 1 in that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top cap portion 300.

실시예 1과 공통된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고 차이점 중심으로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실시예 2에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이 필요한 경우 실시예 1의 내용을 통해 보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Contents in common with Example 1 will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Example 2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other words, it is obvious that if content not explained in Example 2 is necessary, it can be supplemented through the content of Example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200)에서 탑캡부(300)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구성일 수 있으며, 소화 유닛(190)은 젤리롤형 전극조립체(110)의 상면과 탑캡부(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소화 유닛(190)은 젤리롤형 전극조립체(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사이 공간(G)에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200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cap portion 30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in Example 1, and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may have a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y 110. ) can be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ap portion 300. More specifically,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G between the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base plate 130.

소화 유닛(190)이 이러한 사이 공간(G)에 마련될 경우, 외력에 의해서 탑캡부(300)가 무너져 내리는 것을 막는 효과와 전극조립체(110)의 상면과 탑캡부(300) 사이에 서로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 기능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전극조립체의 중심부 이외의 부분에서 발생하는 발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is provided in this space (G),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top cap portion 300 from collapsing due to external force and prevents a short circuit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top cap portion 300. It can simultaneously serve as an insulating function to prevent this from occurring.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ignition occurring in parts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실시예 3Example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소화 유닛(190)의 위치가 전극조립체(110)의 권취 중심에 형성된 센터홀 내에 마련되면서도, 동시에 전극조립체(110)와 탑캡부(300) 사이의 공간에도 마련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 및 2와 차이가 있다.In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is provided in the center hole formed in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at the same time, it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top cap portion 300. It is different from Examples 1 and 2 in this respect.

실시예 1 및 2와 공통된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고 차이점 중심으로 실시예 3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실시예 3에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이 필요한 경우 실시예 1 및 2의 내용을 통해 보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Contents in common with Examples 1 and 2 will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Example 3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other words, it is obvious that if content not explained in Example 3 is necessary, it can be supplemented through the content of Examples 1 and 2.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에서 탑캡부(300)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구성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cap portion 30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Example 1.

그리고, 소화 유닛(190)은 젤리롤형 전극조립체(110)의 상면과 탑캡부(300) 사이, 더 구체적으로 소화 유닛(190)은 젤리롤형 전극조립체(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사이 공간(G)에 마련되고, 또한 동시에 소화 유닛(190)은 전극조립체(110)의 권취 중심에 형성된 센터홀(C) 내에 마련될 수 있다.And,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i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top cap portion 300, and more specifically,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is the space between the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base plate 130. (G), and at the same time,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hole (C) formed in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300)는 우선 센터홀(C) 내에 소화 유닛(190)이 배치되므로, 씸웰딩(seam welding)형 버튼셀(탑캡부가 용접으로 캔바디에 결합되는 형태)에서 외력이 가해질 때 탑캡부(300)의 중심부가 쉽게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중심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또한, 중심부에서 발생하는 발화를 진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소화 유닛(190)이 전극조립체(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사이 공간(G)에 마련되므로 탑캡부(300)가 무너져 내리는 것을 막는 효과와 전극조립체(110)의 상면과 탑캡부(300) 사이에 서로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 기능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전극조립체의 중심부 이외의 몸체부 부분에서 발생하는 발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300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is first disposed in the center hole (C), so it is a seam welding type button cell (the top cap portion is joined to the can body by welding). form), it can prevent the center of the top cap portion 300 from easily collaps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serve to support the center, and can also have the effect of suppressing ignition occurring in the center. In addition, since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is provided in the space G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base plate 130,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top cap portion 300 from collaps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top cap portion ( 300) can simultaneously serve as an insulating function to prevent short circuits between devices.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ignition occurring in parts of the body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300)는 수용 공간(S)에 존재하는 잉여 공간을 거의 모두 소화 유닛(190)이 차지하게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버튼형 이차전지(300) 내 어느 곳에서 발화가 발생하던지 즉시 발화를 진압하여 전지의 안전을 확실히 담보할 수 있다.And since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300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90 occupies almost all of the excess space existing in the receiving space (S), any part of the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300 If an ignition occurs in an area, the fire can be extinguished immediately to ensure the safety of the battery.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y of the patent claims.

100, 200, 300: 버튼형 이차전지
110: 전극조립체
111: 전극
112: 분리막
120: 캔바디
121: 캔바디의 개구
130: 베이스 플레이트
131: 관통홀
132: 베이스 플레이트의 둘레부
140: 전극 단자
141: 삽입부
142: 단자 플레이트부
150: 절연 가스켓
160: 절연 시트
161: 삽입홀
170: 용접부
180: 전극 탭
190: 소화 유닛
191: 소화 알갱이부
191-a: 소화 물질
191-b: 캡슐 부재
192: 주머니부
192-1: 주머니부의 외면
192-2: 주머니부의 내면
300: 탑캡부
C: 센터홀
G: 사이 공간
S: 수용 공간
100, 200, 300: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110: Electrode assembly
111: electrode
112: Separator
120: Can body
121: Opening of can body
130: base plate
131: Through hole
132: Perimeter of base plate
140: electrode terminal
141: Insertion part
142: Terminal plate part
150: Insulating gasket
160: insulation sheet
161: Insertion hole
170: welding part
180: electrode tab
190: Fire extinguishing unit
191: Digestion granule part
191-a: Extinguishing agent
191-b: Capsule member
192: Pocket part
192-1: External surface of pocket
192-2: Inside of pocket
300: Top cap part
C: Center hole
G: space between
S: accommodation space

Claims (13)

지름의 길이가 높이보다 큰 버튼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양극, 분리막,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캔바디;
상기 캔바디의 개구을 덮으며 상기 캔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캔바디와 함께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탑캡부; 및
상기 수용 공간(S)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제외한 빈 공간에 마련되며, 발화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유닛을 포함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where the length of the diameter is greater than the height,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anode, a separator, and a cathode;
A can body into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a top cap portion that covers the opening of the can body and is coupled to the can body to form a receiving space (S)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can body; and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provided in an empty space ex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receiving space (S) and including a fire extinguishing unit for suppressing ign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 유닛은,
소화 물질을 포함하고, 알갱이 형태를 가지는 소화 알갱이부; 및
상기 소화 알갱이부 복수개를 수용하는 주머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claim 1,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s,
A digestion granule portion containing extinguishing substances and having a granular shape; and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ocket portion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the digested granule portion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부는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claim 2,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pocket portion is provided including a polymer materi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부의 외면 또는 주머니부의 내면에는 소화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claim 2,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or the inner inner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is coated with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화 알갱이부는,
소화 물질; 및
상기 소화 물질을 감싸는 캡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claim 2,
The digested granule part,
extinguishing substances; and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apsule member surround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화 알갱이부는,
소화 물질이 덩어리 형태로 뭉쳐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claim 2,
The digested granule part,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inguishing substances are aggregated in the form of lump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부가 열 또는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변형되면,
상기 소화 알갱이부는 상기 주머니부의 바깥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claim 2,
If the pocket part is damaged or deformed by heat or external force,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digested granule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캡부는,
내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캔바디의 상단 개구를 덮으며 상기 캔바디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을 덮는 전극 단자; 및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 유닛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권취 중심에 형성된 센터홀(C) 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claim 1,
The top cap part,
A base plat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inside, covering the top opening of the can body, and coupled to the can body;
an electrode terminal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plate and covering the through hole; and
Includes an insulating gasket to insulate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base plate,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s provided in a center hole (C) formed at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소화 유닛은 상기 센터홀(C)의 모양 및 크기와 대응하는 모양 및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claim 8,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has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center hole (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캡부는,
내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캔바디의 상단 개구를 덮으며 상기 캔바디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을 덮는 전극 단자; 및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 유닛은 상기 전극조립체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공간(G)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claim 1,
The top cap part,
A base plat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inside, covering the top opening of the can body, and coupled to the can body;
an electrode terminal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plate and covering the through hole; and
Includes an insulating gasket to insulate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base plate,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s provided in the space (G)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ase plat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소화 유닛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권취 중심에 형성된 센터홀(C) 내에도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claim 10,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s additionally provided in a center hole (C) formed in the winding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상기 캔바디의 개구는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전극 단자는 양극을 형성하고,
상기 캔바디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음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이차전지.
In claim 8,
The edge of the base plate and the opening of the can body are joined by laser welding,
The electrode terminal forms an anode,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can body and the base plate form a negative electrode.
청구항 1에 따른 버튼형 이차전지 복수개; 및
상기 버튼형 이차전지 복수개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A plurality of button-type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housing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button-type secondary batteries.
KR1020220131856A 2022-10-13 2022-10-13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400521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856A KR20240052170A (en) 2022-10-13 2022-10-13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856A KR20240052170A (en) 2022-10-13 2022-10-13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170A true KR20240052170A (en) 2024-04-23

Family

ID=9088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856A KR20240052170A (en) 2022-10-13 2022-10-13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217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284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823193B1 (en) Rechargeable battery
JP4402637B2 (en) Secondary battery
JP2013502048A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20180126934A (en) Secondary Battery
KR101370144B1 (en) Square lithium type cell
KR100658614B1 (en) secondary battery
JP2006216358A (en) Sealed battery
KR100770116B1 (en) Cylindrical Li Secondary battery
KR101511302B1 (en) Secondary battery
JP2006080066A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KR101223516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646512B1 (en) Cylinder type secondary battery
KR101453783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121205B1 (en) Secondary battery
KR20070097142A (en) Secondary battery
KR20240052170A (en)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07227283A (en) Sealed battery
KR101563680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86811B1 (en) Cylindrical Li Secondary Battery
KR20230109435A (en)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KR20240085126A (en)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KR20190049205A (en) The Current Interrupt Device And The Cap Assembly
KR20240056448A (en) Button 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0601499B1 (en) Cylindrical Li Secondary Batt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