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131A -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131A
KR20240052131A KR1020220131386A KR20220131386A KR20240052131A KR 20240052131 A KR20240052131 A KR 20240052131A KR 1020220131386 A KR1020220131386 A KR 1020220131386A KR 20220131386 A KR20220131386 A KR 20220131386A KR 20240052131 A KR20240052131 A KR 20240052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mobility
frame
mobil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2013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131A/ko
Publication of KR2024005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6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는: 고정된 프레임, 프레임에 이동식 모빌리티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거치고정부, 및 프레임에 거치 고정된 이동식 모빌리티에 전기 충전 안내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PARKING AND CHARGING APPARATUS FOR SMALL MOBILITY}
본 발명은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유형 또는 개인용 킥보드 등 이동식 모빌리티를 거치대에 거치 허용함으로써 인도에서 무분별한 주차로 발생하는 통행 불편을 방지하면서 이동식 모빌리티의 수거를 위해 지속적으로 인적과 물적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거치대에 거치된 이동식 모빌리티에 전기 충전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을 위해 별도의 공간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킥보드 등의 개인이동수단은 생활 스포츠에 사용하는 운동기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지의 근거리 교통에도 유익하게 사용하고 있는 교통수단이다.
특히, 교통체증을 감소시키고, 공해 방지에도 매우 효과적이어서 선진국에서는 자전거, 킥보드 등의 이용을 적극 활성화시키고 있다. 도심에는 개인이동수단 전용도로를 만들어 환경 보호, 교통체증의 해소, 국민 건강에 매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도로변이나 지하철역의 일측에 설치되는 개인이동수단 보관대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이 밀집된 곳에 마련되어 있는 개인이동수단 보관소는 개인이동수단을 임시로 보관하기에는 안성맞춤이지만,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열쇠꾸러미를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개인이동수단 주인은 열쇠로 잠궈 놓은 상태에서는 열쇠를 잘 보관해야만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자물쇠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단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개인용 또는 공용 자전거, 개인용 또는 공용 킥보드 등의 개인이동수단의 보관에 따른 관리가 용이하고,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보관 주차대가 특정지역의 해당장소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기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전동 자전거 또는 전동 킥보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선행기술들에는 전동 자전거 또는 전동 킥보드 등을 거치하면서 충전시키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8901호(등록일: 2013.08.14., 발명의 명칭 : 자전거용 주차대)가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기술들은 킥보드 등 개인이동수단이 거치되는 장소와 충전을 위한 장소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서 불편하고, 지정된 장소라도 이용자의 주차 행태나 넘어진 상태에 의해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유형 또는 개인용 킥보드 등 이동식 모빌리티를 거치대에 거치 허용함으로써 인도에서 무분별한 주차로 발생하는 통행 불편을 방지하고, 이동식 모빌리티의 수거를 위해 지속적으로 인적과 물적 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거치대에 거치된 이동식 모빌리티에 전기 충전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을 위해 별도의 공간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는: 고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이동식 모빌리티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거치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에 거치 고정된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에 전기 충전 안내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의 핸들을 거치하는 거치블록; 상기 거치블록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의 방향전환안내빔을 수용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방향전환안내빔을 위치 고정하여,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의 넘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거치블록에 구비되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인가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거치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인가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핀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거치블록에 힌지 연결되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작동핀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작동핀의 축 방향 이동에 따라 시소 운동을 하는 링크핀; 및 상기 방향전환안내빔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방향전환안내빔이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 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 인가시, 상기 링크핀에 구속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핀은 구속돌기를 돌출하고,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구속돌기를 수용하는 구속홈부를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부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을 위한 전류의 흐름을 안내하는 충전케이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력 제거시 상기 충전케이블을 감은 상태를 유지하거나 감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상기 충전케이블을 당기는 외력 작용시 상기 충전케이블을 풀어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인출 안내하는 권취부; 상기 충전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는 충전플러그; 및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플러그가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가 잠금 완료 후 상기 충전부가 작동 가능하도록,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의 전방바퀴를 수용하기 위해 바퀴거치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는 종래 기술과 달리 공유형 또는 개인용 킥보드 등 이동식 모빌리티를 거치대에 거치 허용함으로써 인도에서 무분별한 주차로 발생하는 통행 불편을 방지하고, 이동식 모빌리티의 수거를 위해 지속적으로 인적과 물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거치대에 거치된 이동식 모빌리티에 전기 충전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을 위해 별도의 공간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의 개략적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모빌리티(10)의 충전식 거치대(100)는 프레임(110), 거치고정부(120), 충전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거치대(100)에 거치 고정된 상태로 충전 가능한 이동식 모빌리티(10)는 발판(20), 방향전환안내빔(30) 및 핸들(40)을 포함한다.
발판(20)은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발판(20)은 하나 이상의 전방바퀴(22)와 하나 이상의 후방바퀴(24)를 구비한다. 그래서, 이동식 모빌리티(10)는 전방바퀴(22)와 후방바퀴(24)의 구름 회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방향전환안내빔(30)은 발판(20)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울러, 핸들(40)은 방향전환안내빔(30)에 연결되어, 방향전환안내빔(30)을 통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전방바퀴(22)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발판(20), 방향전환안내빔(30) 및 핸들(4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동식 모빌리티(10)는 공유형 또는 개인용 킥보드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프레임(110)은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거치고정부(120)는 프레임(110)에 이동식 모빌리티(1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충전부(140)는 프레임(110)에 거치 고정된 이동식 모빌리티(10)에 전기 충전 안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동식 모빌리티(10)가 거치고정부(120)에 의해 프레임(110)에 고정[locking]된 후 충전부(140)에 의해 충전이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거치고정부(120)는 거치블록(122), 수용홈부(124) 및 잠금부(130)를 포함한다.
거치블록(122)은 프레임(110)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이동식 모빌리티(10)의 핸들(40)을 거치한다. 거치블록(122)은 프레임(110)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수용홈부(124)는 거치블록(122)에 함몰 형성되어 이동식 모빌리티(10)의 방향전환안내빔(30)을 수용한다.
잠금부(130)는 수용홈부(124)에 수용된 방향전환안내빔(30)을 위치 고정 즉 방향전환안내빔(30)을 수용홈부(124)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한다.
이로써, 이동식 모빌리티(10)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이동식 모빌리티(10)가 잠금부(130)에 의해 프레임(110) 특히 거치블록(122)에 고정됨에 따라, 충전부(140)의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잠금부(130)는 전원인가부(131), 솔레노이드밸브(132), 링크핀(133) 및 구속부재(134)를 포함한다.
전원인가부(131)는 프레임(110) 또는 거치블록(122)에 구비되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전원인가부(131)는 전원(전류)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원인가부(131)는 외부 조작이나 제어 등에 의해 전원 공급을 단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132)는 프레임(110) 또는 거치블록(122)에 구비되고, 전원인가부(1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핀(135)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솔레노이드밸브(132)는 작동핀(135)을 포함하고, 전원인가시 작동핀(135)을 축 방향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 안내한다.
이때, 솔레노이드밸브(132)는 프레임(110) 또는 거치블록(122)에 다양한 형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프레임(110) 또는 거치블록(12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링크핀(133)은 축 방향을 따라 대략 중앙 부위가 거치블록(122)에 힌지 연결되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작동핀(135)에 링크 연결된다. 그래서, 작동핀(135)의 축 방향 이동됨에 연동되어, 링크핀(133)은 시소 운동을 하게 된다. 링크핀(133)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구속부재(134)는 방향전환안내빔(30)에 돌출 형성되어, 방향전환안내빔(30)이 수용홈부(124)에 수용 후 솔레노이드밸브(132)에 전원 인가시, 링크핀(133)에 구속된다.
그래서, 방향전환안내빔(30)이 수용홈부(124)에 수용됨에 따라, 이동식 모빌리티(10)는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이동식 모빌리티(10)의 구속부재(134)가 링크핀(133)에 구속됨에 따라, 이동식 모빌리티(10)는 도난이 방지된다.
특히, 링크핀(133)은 구속돌기(136)를 돌출하고, 구속부재(134)는 구속돌기(136)를 수용하는 구속홈부(137)를 함몰 형성한다.
따라서, 구속부재(134)가 방향전환안내빔(30)과 함께 수용홈부(124)에 설정깊이만큼 완전히 삽입 후, 솔레노이드밸브(132)가 작동함에 따라, 작동핀(135)이 하향(도면에서 봤을 때)하게 된다.
이로 인해, 링크핀(133)은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이 상승되고, 링크핀(133)의 타측의 구속돌기(136)가 대응되는 구속홈부(137)에 진입하게 된다. 그래서, 구속부재(134)는 링크핀(133)에 결속된다. 이때, 구속부재(134) 또는 방향전환안내빔(30)이 수용홈부(124)에 완전히 삽입됨은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밸브(132)가 재차 작동시, 작동핀(135)은 상향 이동된다. 이로써, 구속돌기(136)는 구속홈부(137)로부터 이탈된다. 이 후, 이동식 모빌리티(10)는 사용 가능하게 된다.
물론, 구속돌기(136)와 구속홈부(137)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충전부(140)는 충전케이블(142), 권취부(144), 충전플러그(146) 및 충전유닛(148)을 포함한다.
충전케이블(142)은 잠금부(130)의 전원인가부(131)에 연결되는 등에 의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을 위한 전류의 흐름을 안내한다.
권취부(144)는 프레임(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력 제거시 충전케이블(142)을 감은 상태를 유지하거나 감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충전케이블(142)을 당기는 외력 작용시 충전케이블(142)을 풀어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인출 안내한다. 이에 따라, 권취부(144)는 권취릴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충전플러그(146)는 충전케이블(142)의 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충전유닛(148)은 이동식 모빌리티(10)에 구비되어, 충전플러그(146)가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 안내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충전유닛(148)은 충전소켓을 구비한 충전배터리모듈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충전유닛(148)은 이동식 모빌리티(10)의 발판(20)이나 방향전환안내빔(30) 등 다양한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잠금부(130)의 링크핀(133)이 구속부재(134)를 구속한 상태에서, 충전부(140) 특히 충전케이블(142)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50)는 해당 신호를 센서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110)은 이동식 모빌리티(10)의 전방바퀴(22)를 수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바퀴거치홈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거치블록(122)의 수용홈부(124)가 방향전환안내빔(30)을 수용하여 위치 고정하고, 프레임(110)의 바퀴거치홈부(112)가 전방바퀴(22)를 수용하여 위치 고정함에 따라, 이동식 모빌리티(10)는 안정된 자세를 취한 채 충전이 이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이동식 모빌리티(10)의 핸들(40)을 거치블록(122)에 거치하면서 방향전환안내빔(30)을 수용홈부(124)에 수용한다.
방향전환안내빔(30)과 구속부재(134)가 수용홈부(124)에 완전히 삽입 후,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밸브(132)가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링크핀(133)이 상향 기울어지면서, 링크핀(133)의 구속돌기(136)가 구속부재(134)의 구속홈부(137)에 수용된다. 그래서, 이동식 모빌리티(10)는 프레임(110)에 잠금 처리된다.
또한, 이동식 모빌리티(10)가 프레임(110)에 잠금 처리된 상태에서, 이동식 모빌리티(10)의 잠금 처리에 연동되거나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충전케이블(142)은 전원(전류)이 인가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충전케이블(142)을 권취부(144)로부터 풀면서 인출 후 충전플러그(146)를 충전유닛(148)에 접속한다.
그래서, 이동식 모빌리티(10)는 충전이 시작된다.
충전이 완료 후, 솔레노이드밸브(132)는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다시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식 모빌리티(10)는 충전 중지가 되고 잠금 해제가 된다.
사용자는 충전플러그(146)를 충전유닛(148)으로부터 분리 후 이동식 모빌리티(1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충전케이블(142)은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권취부(144)에 감겨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이동식 모빌리티 20: 발판
22: 전방바퀴 30: 방향전환안내빔
40: 핸들 100: 충전식 거치대
110: 프레임 112: 바퀴거치홈부
120: 거치고정부 122: 거치블록
124: 수용홈부 130: 잠금부
131: 전원인가부 132: 솔레노이드밸브
133: 링크핀 134: 구속부재
135: 작동핀 136: 구속돌기
137: 구속홈부 140: 충전부
142: 충전케이블 144: 권취부
146: 충전플러그 148: 충전유닛
150: 제어부

Claims (7)

  1. 고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이동식 모빌리티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거치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에 거치 고정된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에 전기 충전 안내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의 핸들을 거치하는 거치블록;
    상기 거치블록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의 방향전환안내빔을 수용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방향전환안내빔을 위치 고정하여,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의 넘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거치블록에 구비되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인가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거치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전원인가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핀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거치블록에 힌지 연결되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작동핀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작동핀의 축 방향 이동에 따라 시소 운동을 하는 링크핀; 및
    상기 방향전환안내빔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방향전환안내빔이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 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 인가시, 상기 링크핀에 구속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핀은 구속돌기를 돌출하고,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구속돌기를 수용하는 구속홈부를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을 위한 전류의 흐름을 안내하는 충전케이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력 제거시 상기 충전케이블을 감은 상태를 유지하거나 감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상기 충전케이블을 당기는 외력 작용시 상기 충전케이블을 풀어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인출 안내하는 권취부;
    상기 충전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는 충전플러그; 및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플러그가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가 잠금 완료 후 상기 충전부가 작동 가능하도록,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동식 모빌리티의 전방바퀴를 수용하기 위해 바퀴거치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KR1020220131386A 2022-10-13 2022-10-13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KR20240052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386A KR20240052131A (ko) 2022-10-13 2022-10-13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386A KR20240052131A (ko) 2022-10-13 2022-10-13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131A true KR20240052131A (ko) 2024-04-23

Family

ID=9088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386A KR20240052131A (ko) 2022-10-13 2022-10-13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21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21834A (ja) 電気自転車のための、バッテリを有する取り外し可能なサドル
US9272739B2 (en) Urban vehicle
WO2013061880A1 (ja) 電動車両
US20030042711A1 (en) Portable bag/box having a sliding function
JP3093606U (ja) 電気駆動車の省力的携帯可能なバッテリ装置
US20100237585A1 (en) Bicycle frame for receiving a battery unit and associated battery unit
EP2922745A2 (en) Foldable motorized scooter
WO2015063752A1 (en) Wheeled luggage case
US5414966A (en) Vehicle enclosure
US7145078B2 (en) Detachable hand rail for modular cable protectors
KR20240052131A (ko) 이동식 모빌리티의 충전식 거치대
KR101349951B1 (ko) 자전거용 경보자물쇠
JP2009280184A (ja) トランク機能を備えた自転車
FI111063B (fi) Sähkömoottorikäyttöinen kulkuväline
CN103129688B (zh) 折叠式电动自行车
KR20220129938A (ko) 헬멧거치대가 구비된 퍼스널 모빌리티
KR102457178B1 (ko) 개인이동수단용 거치 및 충전 시스템
EP2074012B1 (en) Battery seat
CN105620626A (zh) 便携式折叠车
TWI471245B (zh) 電動車輛
JP2004106781A (ja) 折り畳み車両
CN208808884U (zh) 具有扶手控制系统的电动四轮车
CN205417946U (zh) 便携式折叠车
KR20160033819A (ko) 자가접근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JPH06261925A (ja) 電動歩行補助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