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804A - Automatic Par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arking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 Google Patents

Automatic Par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arking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804A
KR20240051804A KR1020230064191A KR20230064191A KR20240051804A KR 20240051804 A KR20240051804 A KR 20240051804A KR 1020230064191 A KR1020230064191 A KR 1020230064191A KR 20230064191 A KR20230064191 A KR 20230064191A KR 20240051804 A KR20240051804 A KR 20240051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recognizing
automatic
environment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1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정규
이동진
민경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8/365,07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23973A1/en
Publication of KR20240051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8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3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occupant comf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은, 주차 가능 공간을 탐색하는 단계, 주차 가능 공간의 환경을 인식하여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주차 가능 공간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및 후면 주차 가능 여부 및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한 결과를 기반으로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isclosed is an automatic parking device and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searching for a parking space, recognizing the environment of the parking space and determining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and detect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the parking space. It may include a step of recognizing, and a step of setting a parking target position based on the result of recognizing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and at least one other vehicle.

Description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 및 방법{Automatic Par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arking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Automatic Par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arking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기재된 실시예는 자율 주행 차량의 자동 주차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described embodiments relate to automated parking technology for autonomous vehicles.

자율 주차 기술은 차량 탑재된 센서를 활용하여 주차 가능 구역을 탐색하고, 자동으로 주차 및 출차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다. Autonomous parking technology is a system that uses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to search for parking areas and automatically park and exit the vehicle.

주차 보조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로 주차 공간, 주차 궤적 등의 정보 및 조향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많은 차량 업체에서 상용화가 진행되었다. 자동 주차 시스템은 운전자의 개입없이 조향 및 브레이크가 자동적으로 구동되어 주차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로, 현재 다양한 업체에서 상용화를 추진 중에 있다. 자율 발렛 주차 시스템은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채로 차량이 스스로 주차장 내에서 공간을 찾고 자율 주행을 통해 주차를 하는 기술로 현재 개발이 진행중이다. The parking assistance system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parking space and parking trajectory and functions such as steering control while the driver is in the vehicle, and has been commercialized by many automobile companies. The automatic parking system is a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operates steering and brakes to perform parking without driver intervention, and is currently being commercialized by various companies. The autonomous valet parking system is a technology that allows a vehicle to find a space in a parking lot and park through autonomous driving without a driver on board, and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한편, 일반적으로 차량을 주차함에 있어 통용되는 다양한 예절들이 존재한다. 예컨대, 주차하려는 구역이 유리로 된 건물 또는 화단에 인접해 있는 경우, 차량 매연으로 인한 오염을 피하기 위하여 전방 주차하는 것이 널리 권고된다. Meanwhile, there are various etiquettes that are generally used when parking a vehicle. For example, if the area where you plan to park is adjacent to a glass building or flower bed, it is widely recommended to park in front to avoid pollution from vehicle exhaust.

또한, 주차 후 승하치 시 해당 차량의 도어가 인접 차량에 충돌하는 일명 문콕을 피하고 인접 차량의 운전자의 승하차 편의성을 위해 주차 가능 공간 중앙 보다는 운전석 쪽에 공간을 조금 더 비우면서 주차하는 것이 권장된다. In addition, when getting in and out of the car after parking, it is recommended to park with a little more space on the driver's side than in the center of the available parking space to avoid the so-called door locking, where the car's door collides with an adjacent car, and to make it easier for drivers of adjacent cars to get on and off.

그러나, 현재까지는 자율 주행 차량의 자동 주차 기술은 안전 주차에 포커스가 맞추어져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주차 예절이 적용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o date, automatic parking technology for self-driving vehicles has focused on safe parking, and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accepted parking etiquette is not applied.

기재된 실시예는 자율 주행 차량의 자동 주차에 있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주차 예절 준수함과 아울러 운전자의 승하차 편의를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described embodiment is to comply with generally accepted parking etiquette in automatic parking of self-driving vehicles an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getting on and off the driver.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은, 주차 가능 공간을 탐색하는 단계, 주차 가능 공간의 환경을 인식하여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주차 가능 공간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및 후면 주차 가능 여부 및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한 결과를 기반으로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searching for a parking space, recognizing the environment of the parking space and determining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and detect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the parking space. It may include a step of recognizing, and a step of setting a parking target position based on the result of recognizing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and at least one other vehicle.

이때,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주차 가능 공간 주변의 속성을 인식하는 단계, 및 주차 가능 공간 주변의 속성이 주거 또는 상업 공간일 경우, 전면 주차 가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may include the step of recognizing properties around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nd if the properties around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re residential or commercial spaces, determining that front parking is possible. there is.

이때, 주차 가능 공간의 속성을 인식하는 단계는, 차량의 센서 데이터를 입력으로 시맨틱 세그멘테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p of recognizing the properties of the available parking space can be recognized based on a semantic segmentation model using the vehicle's sensor data as input.

이때,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주차 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p of recognizing another vehicle may include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a parking available area, and recogniz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at least one other vehicle.

이때,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평행 주차의 경우, 주차 가능 영역의 앞뒤의 차량을 인식하고, 사선 또는 직각 주차의 경우, 주차 가능 영역의 좌우에 주차된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step of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in the case of parallel parking, vehicles in front and behind the parking area can be recognized, and in the case of diagonal or perpendicular parking, vehicles park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parking area can be recognized. .

이때,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3차원 바운딩 박스를 사용하는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기술을 기반으로 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step of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the other vehicle may be recognized based on object detection technology using a 3D bounding box.

이때,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자 차량 및 타 차량의 방향을 토대로 각각의 운전석의 위치를 예측하고, 예측된 운전석 위치의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 주차 목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step of setting the parking target position, the position of each driver's seat can be predicted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and the parking target position can be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free space at the predicted driver's seat position.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주차 가능 공간을 탐색하고, 주차 가능 공간의 환경을 인식하여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주차 가능 공간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고, 후면 주차 가능 여부 및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한 결과를 기반으로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An automatic parking device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emory in which at least one program is recorded, and a processor that executes the program, wherein the program searches for available parking spaces and recognizes the environment of the available parking spaces.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recognize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nd set a parking target lo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recognizing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and at least one other vehicle.

이때, 프로그램은,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주차 가능 공간 주변의 속성을 인식하는 단계, 및 주거 또는 상업 공간일 경우, 전면 주차 가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determining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the program may perform the steps of recognizing attributes around a parking space and, if it is a residential or commercial space, determining that front parking is possible.

이때, 프로그램은, 주차 가능 공간의 속성을 인식함에 있어, 차량의 센서 데이터를 입력으로 시맨틱 세그멘테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recognizing the attributes of a parking space, the program can recognize the vehicle's sensor data based on a semantic segmentation model as input.

이때, 프로그램은, 타 차량을 인식함에 있어, 주차 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recognizing other vehicles, the program may perform the steps of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a parking area and recogniz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at least one other vehicle.

이때,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함에 있어, 평행 주차의 경우, 주차 가능 영역의 앞뒤의 차량을 인식하고, 사선 또는 직각 주차의 경우, 주차 가능 영역의 좌우에 주차된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the program recognizes vehicles in front and behind the parking area in the case of parallel parking, and recognizes vehicles park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parking area in the case of diagonal or perpendicular parking. You can.

이때,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함에 있어, 3차원 바운딩 박스를 사용하는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기술을 기반으로 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the program may recognize the other vehicle based on object detection technology using a 3D bounding box.

이때, 프로그램은,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함에 있어, 자 차량 및 타 차량의 주차 방향을 토대로 각각의 운전석의 위치를 예측하고, 예측된 운전석 위치의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 주차 목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setting the parking target position, the program can predict the position of each driver's seat based on the parking direction of the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and calculate the parking target position by considering the free space at the predicted driver's seat position.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은, 주차 가능 공간을 탐색하는 단계, 주차 가능 공간의 주변 환경 속성을 인식하는 단계, 주변 환경 속성이 주거 또는 상업 공간인지의 여부에 따라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주차 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후면 주차 가능 여부 및 자 차량 및 타 차량의 방향을 토대로 각각의 운전석의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운전석의 위치의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 주차 목표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searching for a parking space, recogni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ttributes of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nd rear parking possible depending on whethe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ttributes are residential or commercial space. determining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the parking area, recogniz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at least one recognized other vehicle,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and the direction of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It may include predicting the position of each driver's seat based on the step of predicting the position of each driver's seat, and calculating the parking target position by considering the free space of the predicted driver's seat position.

이때, 주차 가능 공간의 속성을 인식하는 단계는, 차량의 센서 데이터를 입력으로 시맨틱 세그멘테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p of recognizing the properties of the available parking space can be recognized based on a semantic segmentation model using the vehicle's sensor data as input.

이때,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3차원 바운딩 박스를 사용하는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기술을 기반으로 타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step of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the other vehicle may be recognized based on object detection technology using a 3D bounding box.

기재된 실시예는 자율 주행 차량의 자동 주차에 있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주차 예절 준수함과 아울러 운전자의 승하차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described embodiment can improve the driver's convenience of getting on and off while complying with generally accepted parking etiquette in automatic parking of self-driving vehicle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능 공간 주변 환경 인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시맨티 세그멘테이션(Semantic Segmentation) 기반 환경 인식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면 주차 예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후면 주차 예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직각 자율 주차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사선 자율 주차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평행 자율 주차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3차원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를 이용하는 객체 검출 예시도이ㄷ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타 차량의 위치 및 방향 예측 예시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여유 공간 생성 예시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여유 공간을 고려한 주차 목표 위치 설정 예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parking device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tep of recogni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park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n example of environment recognition based on semantic segmenta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front parking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of rear par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s for recognizing anothe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n example diagram of perpendicular autonomous parking.
Figure 9 is an example diagram of diagonal autonomous parking.
Figure 10 is an example diagram of parallel autonomous parking.
Figure 11 is an example of object detection using a 3D bounding box.
Figure 12 is an example of predict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anothe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s for recognizing anothe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4 is an example of free space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5 is an example of setting a parking target position considering fre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비록 "제1" 또는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러한 구성요소는 상기와 같은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or “comprising” implies that the mentioned element or step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r step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parking device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100)는, 자율 주행 차량에 설치되어 해당 차량의 주차 및 출차를 자동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utomatic parking device 100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an autonomous vehicle and perform an operation of automatically parking and unparking the vehicle.

이때, 자율 주행 차량에는 주변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10)가 탑재될 수 있다. 센서부(10)는 일례로, 카메라(11), 라이다(Lidar)(12) 및 레이더(Radar)(13)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tonomous vehicle may be equipped with a sensor unit 10 that acquires surrounding information. The sensor unit 10 may include, for example, a camera 11, Lidar 12, and Radar 13.

여기서, 카메라(141) 및 라이다(142)는 차량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레이더(143)는 차량 주변 환경의 객체에 대한 위치 및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camera 141 and LIDAR 142 can acquire images of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and the radar 143 can acquire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objects in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100)는, 자율 주행 차량에 설치된 센서부(10)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주차를 수행한다. The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based automatic parking device 100 acquires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the sensor unit 10 installed in the autonomous vehicle and performs automatic parking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이러한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100)는, 상세하게는 환경 인식부(110), 주변 차량 인식부(120) 및 주차 계획 수립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matic parking device 100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may include, in detail, an environment recognition unit 110, a surrounding vehicle recognition unit 120, and a parking plan establishment unit 130.

환경 인식부(110)는, 자율 주행 또는 자율 주차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차량 주변 환경을 인식한다. 특히, 주차의 경우 일반적인 도로 주행과 비교하여 더 정밀한 인식을 필요로 한다. The environment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vehicle to perform autonomous driving or autonomous parking. In particular, parking requires more precise recognition compared to general road driving.

실시예에 따라, 환경 인식부(110)는, 주차 가능 공간을 탐색하고, 탐색된 주차 가능 공간의 환경을 인식하여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environment recognition unit 110 searches for available parking spaces, recognizes the environment of the searched available parking spaces, and determines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즉, 도 2를 참조하면, 환경 인식부(110)는, 주행 종료 위치에 도달하면 센서부(10)에 의해 감지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차 공간을 탐색한다(S210).That is, referring to FIG. 2, when the environment recognition unit 110 reaches the driving end position, it searches for a parking space based on sensor data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0 (S210).

S210의 탐색 결과 주차 가능 공간이 존재(S220)할 경우, 환경 인식부(110)는, 해당 주차 가능 공간 주변 환경을 인식한다(S230).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If a parking space exists as a result of the search at S210 (S220), the environment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parking space (S23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다음으로, 주변 차량 인식부(120)는, 주차 가능 공간에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한다(S240).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Next, the surrounding vehicl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nearby in the available parking space (S24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2.

마지막으로, 주차 계획 수립부(130)는, 환경 인식부(110)에서 출력된 후면 주차 가능 여부 및 주변 차량 인식부(120)에서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한다(S250).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Finally, the parking plan establishment unit 130 determines the parking target location based on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output from the environment recognition unit 110 and at least one other vehicle recognition result output from the surrounding vehicle recognition unit 120. Set (S25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5.

그런 후, 주차 계획 수립부(130)는, 설정된 목표 위치에 주차 가능하지 않을 경우, S210으로 진행한다. Then, if parking is not possible at the set target location, the parking plan establishment unit 130 proceeds to S210.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능 공간 주변 환경 인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시맨틱 세그멘테이션(Semantic Segmentation) 기반 환경 인식 예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면 주차 예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후면 주차 예시도이다. Figure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teps of recogni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park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n example of environment recognition based on semantic segmentation, and Figure 5 is an example of front par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of rear par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환경 인식부(110)는, 주차 가능 공간 주변의 속성을 인식한다(S231).Referring to FIG. 3, the environment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attributes around a parking space (S231).

이때, 환경 인식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11) 또는 라이다(12)를 입력으로 하는 시맨틱 세그멘테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주차 가능 공간의 객체들 각각을 인식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environment recognition unit 110 identifies each of the objects in the parking space based on a semantic segmentation model that inputs the camera 11 or lidar 12 mounted on the vehicle. recognize

여기서, 시맨틱 세그멘테이션(Semantic Segmentation)은, 센서부(10)의 입력을 픽셀 단위로 정해진 클래스에 맞게 분류하는 기술로, 특정 영역의 성질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Here, semantic segmentation is a technology that classifies the input of the sensor unit 10 into a defined class on a pixel basis, and can be used to predict the properties of a specific area.

환경 인식부(110)는, S231에서 인식한 주차 가능 공간 주변의 속성이 주거 또는 상업 공간으로 인식(S232)될 경우, 전면 주차 가능인 것으로 판단한다(S233).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가능 공간(51) 주변에 화단 재질(52) 또는 유리 재질이 존재하는 주거 또는 상업 공간일 경우, 전면 주차(50) 가능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The environment recognition unit 110 determines that front parking is possible when the properties surrounding the parking space recognized in S231 are recognized as residential or commercial spaces (S23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if it is a residential or commercial space where a flower bed material 52 or a glass material exists around the parking space 51, it may be determined that front parking 50 is possible.

반면, 환경 인식부(110)는, S231에서 인식한 주차 가능 공간(61) 주변의 속성이 주거 또는 상업 공간으로 인식되지 않을(S232)될 경우, 후면 주차(60) 가능인 것으로 판단한다(S234).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가능 공간 주변(62)이 주거 또는 상업 공간이 아닌 경우, 후면 주차 가능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 recognition unit 110 determines that rear parking 60 is possible when the properties surrounding the available parking space 61 recognized in S231 are not recognized as residential or commercial spaces (S232) (S234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if the area around the available parking space 62 is not a residential or commercial space, it may be determined that rear parking is possible.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은 직각 자율 주차의 예시도이고, 도 9는 사선 자율 주차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평행 자율 주차의 예시도이고, 도 11은 3차원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를 이용하는 객체 검출 예시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타 차량의 위치 및 방향 예측 예시도이다.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s for recognizing other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n example of perpendicular autonomous parking, FIG. 9 is an example of oblique autonomous parking, and FIG. 10 is an example of parallel autonomous parking. 11 is an example of object detection using a 3D bounding box, and FIG. 12 is an example of predic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anothe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주변 차량 인식부(120)는, 주차 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존재를 인식한다(S241~S243).Referring to FIG. 7, the surrounding vehicl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the parking area (S241 to S243).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가능 영역이 평행 주차 가능한 경우(S241), 주변 차량 인식부(120)는 주차 가능 영역의 앞뒤의 위치하는 타 차량을 인식한다(S242).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when the parking area allows parallel parking (S241), the surrounding vehicl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other vehicles located in front and behind the parking area (S242).

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가능 영역이 직각 주차 가능한 경우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가능 영역이 사선 주차 가능한 경우(S241), 주변 차량 인식부(120)는 주차 가능 영역의 좌우에 위치하는 타 차량을 인식한다(S243).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rking area allows perpendicular parking as shown in FIG. 9 or when the parking area allows diagonal parking as shown in FIG. 10 (S241), the surrounding vehicle recognition unit 120 detects the parking area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available parking area. Recognize other vehicles located in (S243).

이때, 주변 차량 인식부(1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를 사용하는 객체 검출(Object Detection) 기술을 기반으로 주차 가능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타 차량을 인식한다. At this time, the surrounding vehicle recognition unit 120 detects other vehicles located around the parking area based on object detection technology using a three-dimensional bounding box, as shown in FIG. 11. recognize

여기서, 객체 검출(Object Detection)은, 입력 센서에서 목표로 하는 객체를 3차원 박스 형태로 찾는 기술로, 해당 객체의 3차원 공간에서의 점유하고 있는 위치와 방향을 동시에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Here, object detection is a technology that finds a target object in the form of a 3D box from an input sensor, and aims to simultaneously find the position and direction that the object occupies in 3D space.

그런 후, 주변 차량 인식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위치 및 방향을 예측한다(S244).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주차하는 주차 가능 영역의 좌우에 위치하는 타 차량들(81, 82)의 위치 및 주차 방향을 인식하게 된다. Then, the surrounding vehicle recognition unit 120 predicts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at least one other vehicle (S24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positions and parking directions of other vehicles 81 and 82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a parking area parking at a right angle are recognized.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여유 공간 생성 예시도이고,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여유 공간을 고려한 주차 목표 위치 설정 예시도이다. FIG.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steps for recognizing other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4 is an example of free space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5 is an example of setting a parking target position considering fre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lso a degree.

도 13을 참조하면, 주차 계획 수립부(130)는, 자 차량 및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주차 방향을 고려하여 여유 공간을 생성한다(S251). Referring to FIG. 13, the parking plan establishment unit 130 creates a free space by considering the parking direction of the own vehicle and at least one other vehicle (S251).

즉, 전술한 S230에서 결정된 자 차량의 주차 방향과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주차 방향을 기반으로 각 차량의 운전석의 위치를 예측한다. 예컨대, 한국 기준으로는 왼쪽일 수 있다. That is, the position of the driver's seat of each vehicle is predicted based on the parking direction of the own vehicle determined in the above-described S230 and the parking direction of at least one other vehicle nearby. For example, by Korean standards, it may be on the left.

그런 후, 주차 계획 수립부(130)는, 예측된 운전석 위치를 기반으로 여유 공간을 생성한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차량의 운전석 왼쪽의 여유 공간(91) 및 자 차량의 운전석 왼쪽의 여유 공간(92)을 가상으로 생성한다.Then, the parking plan establishment unit 130 creates a free space based on the predicted driver's seat pos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a free space 91 on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of another vehicle and a free space 92 on the left side of the driver's seat of the own vehicle are virtually created.

이를 통해 예측된 운전석의 위치의 공간을 더 넓게 주차하도록 유도하여, 자 차량 및 타 차량의 운전자의 승하차가 원활할 수 있게 배려할 수 있도록 한다. Through this, the driver is encouraged to park in a wider space at the predicted driver's seat location, allowing for smooth entry and exit of drivers of their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그런 후, 주차 계획 수립부(130)는, 생성된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 최종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S252).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된 운전석 방향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여분의 가상 공간이 있는 상태로 주차 목표 위치를 계산한다. 결과적으로, 주차구역의 정중앙보다 인접한 차량들의 운전석에서 조금 더 떨어진 위치에 주차를 진행하도록 유도된다. Then, the parking plan establishment unit 130 sets the final parking target position by considering the created free space (S252). That is, as shown in FIG. 15, the parking target position is calculated with an additional virtual space for the predicted driver's seat direction. As a result, they are encouraged to park at a location slightly further away from the driver's seats of adjacent vehicles than at the exact center of the parking area.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1000)에서 구현될 수 있다.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system 1000 such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 시스템(1000)은 버스(10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0), 메모리(10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0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050) 및 스토리지(10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000)은 네트워크(10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030)나 스토리지(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030) 및 스토리지(1060)는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매체, 비분리형 매체, 통신 매체, 또는 정보 전달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30)는 ROM(1031)이나 RAM(1032)을 포함할 수 있다.Computer system 100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1010, memory 1030,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040,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050, and storage 1060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bus 1020. You can. Additionally, the computer system 1000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interface 1070 connected to the network 1080. The processor 101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programs or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030 or storage 1060. The memory 1030 and storage 1060 may be storage media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volatile media, non-volatile media, removable media, non-removable media, communication media, and information transfer media. For example, memory 1030 may include ROM 1031 or RAM 1032.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exis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Claims (17)

주차 가능 공간을 탐색하는 단계;
주차 가능 공간의 환경을 인식하여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주차 가능 공간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및
후면 주차 가능 여부 및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한 결과를 기반으로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
Searching for available parking spaces;
Recognizing the environment of the available parking space and determining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a parking space; and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recognition of a parking area environment, comprising the step of setting a parking target position based on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and a result of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제1 항에 있어서,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주차 가능 공간 주변의 속성을 인식하는 단계; 및
주거 또는 상업 공간일 경우, 전면 주차 가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is:
Recognizing properties around available parking spaces; and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recognition of the parking area environment, including determining that front parking is possible in the case of a residential or commercial space.
제2 항에 있어서, 주차 가능 공간의 속성을 인식하는 단계는,
차량의 센서 데이터를 입력으로 시맨틱 세그멘테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인식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attributes of the available parking space includes: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that recognizes vehicle sensor data based on a semantic segmentation model.
제1 항에 있어서,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주차 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another vehicle includes: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the parking area; and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comprising the step of recogniz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at least one other vehicle.
제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평행 주차의 경우, 주차 가능 영역의 앞뒤의 차량을 인식하고,
사선 또는 직각 주차의 경우, 주차 가능 영역의 좌우에 주차된 차량을 인식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includes:
In the case of parallel parking, vehicles in front and behind the parking area are recognized,
In the case of diagonal or perpendicular parking,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that recognizes vehicles park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available parking area.
제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3차원 바운딩 박스를 사용하는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기술을 기반으로 타 차량을 인식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includes: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that recognizes other vehicles based on object detection technology using a 3D bounding box.
제4 항에 있어서,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자 차량 및 타 차량의 방향을 토대로 각각의 운전석의 위치를 예측하고, 예측된 운전석 위치의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 주차 목표 위치를 계산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etting the parking target position comprises: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that predicts the position of each driver's seat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and other vehicles, and calculates the parking target position by considering the free space at the predicted driver's seat position.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주차 가능 공간을 탐색하고, 주차 가능 공간의 환경을 인식하여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주차 가능 공간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고, 후면 주차 가능 여부 및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한 결과를 기반으로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
a memory in which at least one program is recorded; and
Contains a processor that executes a program,
The program is,
Searches for parking space, recognizes the environment of the parking space, determines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recognizes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the parking space, recognizes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and at least one other vehicle. An automatic parking device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that sets the parking target location based on the results.
제8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주차 가능 공간 주변의 속성을 인식하는 단계; 및
주거 또는 상업 공간일 경우, 전면 주차 가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rogram:
In determining whether rear parking is possible,
Recognizing properties around available parking spaces; and
An automatic parking device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al awareness that takes steps to determine if front parking is available in residential or commercial spaces.
제9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주차 가능 공간의 속성을 인식함에 있어, 차량의 센서 데이터를 입력으로 시맨틱 세그멘테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인식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ogram:
An automatic parking device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that recognizes the properties of available parking spaces based on a semantic segmentation model using the vehicle's sensor data as input.
제8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타 차량을 인식함에 있어, 주차 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rogram:
In recognizing other vehicles,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a parking area; and
An automatic parking device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which performs the step of recogniz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at least one other vehicle.
제11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함에 있어, 평행 주차의 경우, 주차 가능 영역의 앞뒤의 차량을 인식하고, 사선 또는 직각 주차의 경우, 주차 가능 영역의 좌우에 주차된 차량을 인식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gram:
In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in the case of parallel parking, vehicles in front and behind the parking area are recognized, and in the case of diagonal or perpendicular parking,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is performed to recognize vehicles park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king area. based automatic parking device.
제11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함에 있어, 3차원 바운딩 박스를 사용하는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기술을 기반으로 타 차량을 인식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gram:
An automatic parking device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that recognizes at least one other vehicle based on object detection technology using a 3D bounding box.
제11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함에 있어, 자 차량 및 타 차량의 주차 방향을 토대로 각각의 운전석의 위치를 예측하고, 예측된 운전석 위치의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 주차 목표 위치를 계산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gram:
In setting the parking target location, the location of each driver's seat is predicted based on the park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other vehicles, and the parking target location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free space at the predicted driver's seat location. Automatic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based Parking device.
주차 가능 공간을 탐색하는 단계;
주차 가능 공간의 주변 환경 속성을 인식하는 단계;
주변 환경 속성이 주거 또는 상업 공간인지의 여부에 따라 후면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주차 가능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후면 주차 가능 여부 및 자 차량 및 타 차량의 방향을 토대로 각각의 운전석의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운전석의 위치의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 주차 목표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
Searching for available parking spaces;
Recognizing surrounding environmental attributes of available parking spaces;
determining rear parking availability depending on whether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attributes are residential or commercial spaces;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in the parking area;
Recogniz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at least one other recognized vehicle;
Predicting the position of each driver's seat based on rear parking availability and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other vehicles; and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including the step of calculating a parking target position by considering the free space of the predicted driver's seat position.
제15 항에 있어서, 주차 가능 공간의 속성을 인식하는 단계는,
차량의 센서 데이터를 입력으로 시맨틱 세그멘테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인식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attributes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ncludes: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that recognizes vehicle sensor data based on a semantic segmentation model.
제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3차원 바운딩 박스를 사용하는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기술을 기반으로 타 차량을 인식하는, 주차 영역 환경 인식 기반 자동 주차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at least one other vehicle includes:
An automatic parking method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that recognizes other vehicles based on object detection technology using a 3D bounding box.
KR1020230064191A 2022-10-13 2023-05-18 Automatic Par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arking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KR202400518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365,071 US20240123973A1 (en) 2022-10-13 2023-08-03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arking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1282 2022-10-13
KR1020220131282 2022-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804A true KR20240051804A (en) 2024-04-22

Family

ID=9088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191A KR20240051804A (en) 2022-10-13 2023-05-18 Automatic Par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arking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180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8846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pedestrian collision accident,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N109927715B (en) Vertical parking method
CN109606354B (en) Automatic parking method and auxiliary system based on hierarchical planning
CN107848534B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medium storing vehicle control program
JP3860061B2 (en) Outside-of-vehicle monitoring device and travel control device equipped with this out-of-vehicle monitoring device
JP6592074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CN107848531B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medium storing vehicle control program
US20210403037A1 (en) Arithmetic operation system for vehicles
JP724704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64158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970186B2 (en) Arithmetic operation system for vehicles
US20210394760A1 (en) Method For Conducting A Motor Vehicle In An At Least Partially Automated Manner
CN113297881B (en) Target detec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US11285957B2 (en) Traveling control apparatus, traveling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11605297B2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9093764A (en) Vehicle control device
CN112193246A (en) Vehicle and method for performing inter-vehicle distance control
US20220032906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collision risk
CN111932884A (en) Traffic jam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US20220258727A1 (en) Automated valet parking system, control method of automated valet parking system, and autonomous driving vehicle
CN113650607B (en) Low-speed scene automatic driving method, system and automobile
CN113183948B (en) Intelligent automobile non-fixed parking space automatic automobile mov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active service
CN113895429A (en) Automatic parking method, system,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240051804A (en) Automatic Par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arking based on Parking Area Environment Recognition
CN110789519B (e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acquiring parking position of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