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612A -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612A
KR20240051612A KR1020220131486A KR20220131486A KR20240051612A KR 20240051612 A KR20240051612 A KR 20240051612A KR 1020220131486 A KR1020220131486 A KR 1020220131486A KR 20220131486 A KR20220131486 A KR 20220131486A KR 20240051612 A KR20240051612 A KR 20240051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device
implant
smart peg
mobility measurement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섭
심기봉
김준오
김시목
김활
소지홍
손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to KR1020220131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1612A/ko
Publication of KR20240051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픽스처에 장착된 스마트펙을 향해 자기(磁氣)신호를 출력하고, 스마트펙에 부딪혀 반사된 자기공명신호를 기초로, 픽스처의 골유합 정도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스마트펙을 향해 자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스마트펙으로부터 반사된 자기공명신호를 수신하는 자기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한 선단팁과; 자기신호 송수신부가 감지한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임플란트안정수치(ISQ)를 계산하는 분석부와; 분석부가 계산한 임플란트안정수치를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핸드피스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는, 스마트펙에 대한 핸드피스 선단팁의 각도와 거리를 알 수 있게 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므로 정확한 동요도 측정값을 알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Implant Mobility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펙에 대한 핸드피스 선단팁의 각도 맞춤이 용이하여,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수술에서의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골조직에 대한 픽스처의 안정적인 결합이다. 골조직과 픽스처의 결합 정도는 수술의 결과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골조직에 대한 픽스처의 안정적인 결합이 확인되어야 수술이 계속 진행된다.
픽스처의 결합이 불충분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픽스처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힘에 의해 픽스처가 미세하게 흔들리기 시작하고, 유동에 의해 벌어지는 틈 사이로 세균이나 이물질이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수술의 과정 중에는, 동요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골조직에 대한 픽스처의 골융합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포함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동요도 측정장치에는, 충격에 의한 픽스처의 반응 시간을 측정하는 타진식과, 공진주파수의 주파수 분석을 이용하는 자가공명 주파수 분석식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타진식은, 픽스처에 가하는 충격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 측정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넓은 범위에서의 치아 동요도 경향만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측정 방법은 비접촉식으로서 픽스처에 스마트펙을 고정하고 스마트펙에 일정 주파수의 전자기장을 가하는 방식으로서 환자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하지만. 스마트펙에 개한 전자기장 출력부의 각도가 정확하여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02111호 (물체의 테스트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장치는, 뼈에 부착된 임플란트를 테스트하는 장치로서, 임플란트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부재와; 부재가 임플란트에 부착된 경우에 부재의 하나 이상의 공진 주파수를 탐지하는 탐지 수단을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부재는 탐지가능한 자기부를 포함하고, 탐지 수단은 탐지가능한 자기부를 비접촉식으로 탐지하여 부재의 진동을 비접촉식으로 탐지하는 탐지기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한 장치는, 자성부재에 대한 프로브의 거리나 각도를 가이드 하는 구성이 없으므로, 측정할 때마다 측정값이 다르게 나오는 경우가많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스마트펙에 대한 핸드피스 선단팁의 각도와 거리를 알 수 있게 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므로 정확한 동요도 측정값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는, 픽스처에 장착된 스마트펙을 향해 자기(磁氣)신호를 출력하고, 스마트펙에 부딪혀 반사된 자기공명신호를 기초로, 픽스처의 골유합 정도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스마트펙을 향해 자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스마트펙으로부터 반사된 자기공명신호를 수신하는 자기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한 선단팁과; 자기신호 송수신부가 감지한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임플란트안정수치(ISQ)를 계산하는 분석부와; 분석부가 계산한 임플란트안정수치를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핸드피스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에는; 자기신호 송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수평면에 대한 선단팁의 경사각을 파악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각도센싱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선단팁에는, 스마트펙에 대한 자기신호 송수신부의 간격을 감지하는 거리센서가 설치되고, 본체에는, 스마트펙에 대한 자기신호 송수신부의 간격이 설정범위에 도달했을 때 동작하는 신호발생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발생부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정지신호램프와 음향출력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선단팁에는; 선단팁이 스마트펙에 접근할 때, 스마트펙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스마트펙에 대한 선단팁의 접근을 가이드 하는 레이저포인터가 더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거리센서는 적외선센서이고, 스마트펙의 상단부에는, 선단팁이 스마트펙에 접근할 때, 적외선센서에서 출력되는 적외선을 반사하는 반사캡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반사캡은, 일정직경의 원통의 형상을 취하며, 상단면에, 수광된 적외선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반사면은; 반사캡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40도 내지 50도의 사이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반사캡의 반사면에는, 적외선을 반사하는 일정두께의 반사판이 적층된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에는, 반사면에 대한 적외선의 입사각이 0도 내지 5도 일 때 동작하는 각도적합확인램프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는, 스마트펙에 대한 핸드피스 선단팁의 각도와 거리를 알 수 있게 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므로 정확한 동요도 측정값을 알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반사캡을 별도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반사캡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반사캡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는, 자기공명 주파수 분석 방식을 통해 임플란트의 흔들림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펙에 대한 핸드피스의 선단팁의 각도와 간격의 맞춤이 용이하여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는, 픽스처에 장착된 스마트펙을 향해 자기(磁氣)신호를 출력하고, 스마트펙에 부딪혀 반사된 자기공명신호를 기초로, 픽스처의 골유합 정도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스마트펙을 향해 자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스마트펙으로부터 반사된 자기공명신호를 수신하는 자기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한 선단팁과; 자기신호 송수신부가 감지한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임플란트안정수치(ISQ)를 계산하는 분석부와; 분석부가 계산한 임플란트안정수치를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핸드피스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100)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요도 측정장치(100)는 핸드피스(20)를 구비한다. 핸드피스(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체(21)와 선단팁(25)을 포함한다.
핸드피스(20)는 뼈(11)에 고정되어 있는 픽스처(13)의 골유합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스마트펙(15)을 향해 자기(磁氣)신호를 출력하고, 스마트펙에 부딪혀 반사된 자기공명신호를 받아 자기공명신호를 기초로, 픽스처의 골유합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다.
스마트펙(15)은 하단부가 픽스처(13)에 나사 결합하는 직선형 부재로서, 상단에 자석부(15c)와 너트부(15a)를 갖는다. 너트부(15a)는 스마트펙(15)을 픽스처(13)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때 회전력을 가하는 부분이다.
또한 자석부(15c)는 영구자석으로서, 자기신호 송수신부(25a)와 상호 감응하며 자기신소 송수신부에 자기공명신호를 전달한다. 스마트펙(15)의 중심축선(Z)은 픽스처(13)의 중심축선과 일치한다.
핸드피스(20)는, 본체(21)와 선단팁(25)를 포함하며, 본체(21)에, 분석부(21p), 디스플레이부(21k), 제어부(21a), 가속도센서(21c), 음향출력부(21e), 정지신호램프(21m), 배터리(21r)를 갖는다. 또한 선단팁(25)는, 각도센싱부로서의 자이로센서(21f), 자기신호 송수신부(25a), 레이저포인터(25c), 적외선센서(27)를 구비한다.
본체(21)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케이스로서, 겉면에 다수의 작동버튼(미도시)을 구비한다.
가속도센서(21c)는 핸드피스(2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핸드피스(20)가 작동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작동 대기 상태라 함은, 선단팁(25)을 자석부(15c)에 근접시킬 때 자기공명신호를 즉시 수신할 수 있는 스탠바이 상태이다. 핸드피스(20)를 가만히 놔두면 설정시간이 지난 후, 절전모드로 전환되어 핸드피스(20) 내부의 구성 부품에 대한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절전모드 상태에서 자속도센서(21c)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대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분석부(21p)는, 자기신호 송수신부(25a)가 감지한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임플란트안정수치(ISQ)를 계산한다. 임플란트안정수치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부(21p)에서 계산된 결과값 수치는 디스플레이부(21k)를 통해 외부로 나타내 보인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1k)에 출력된 수치를 통해 픽스처(13)의 골유합 정도를 파악한다.
제어부(21a)는 배터리(21r)와 연결되며, 핸드피스(20) 내부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자이로센서(21f)는 수평면(X)에 대한 선단팁(25), 보다 정확하게는, 수평면(X)에 대한 자기신호 송수신부(25a)의 출력라인(L)의 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1a)로 전달한다. 출력라인(L)은 선단팁(25)에 내장되어 있는 자기신호 송수신부(25a)에서 출력된 자기신호의 방출 방향을 의미한다. 자기신호 방출방향은 선단팁(25)의 연장 방향과 일치한다. 다시 말하면, 자기신호는, 선단팁(25)의 길이방향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제어부(21a)는 자이로센서(21f)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수평면(X)에 대한 자기신호 출력라인(L)의 사이각(θ)을 알아내고, 사이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1k)로 출력한다. 사이각(θ)은, 당연히, 핸드피스 (20)를 움직일 때 마다 바뀐다.
알려진 바와 같이, RFA(Resonance Frequency Analysis)(공명 주파수 분석)방식 동요도 측정장치에서, 동요도의 정확한 측정은, 자기신호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스마트펙의 자석부(15c)에 45도 각도로 입사할 때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핸드피스(30)를 적절히 움직여 선단팁(25)이 자석부(15c)에 대해 45도 각도가 되도록 한다.
음향출력부(21e)와 정지신호램프(21m)는, 스마트펙의 자석부(15c)에 대한 자기신호 송수신부(25a)의 간격이 설정범위에 도달했을 때 동작하는 신호발생부이다. 상기 설정범위는 3mm 내지 8mm 이다.
음향출력부는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이고, 정지신호램프(21m)는 점멸 가능한 엘이디램프이다. 사용자는 음향출력부(21e)가 음향을 출력하고, 정지신호램프(21m)가 점멸할 때, 스마트펙(15)에 대한 핸드피스(20)의 접근을 정지하고 그 자리에서 도용도를 측정한다.
한편, 선단팁(25)의 내측에는 자기신호 송수신부(25a)가 내장된다. 자기신호 송수신부(25a)는, 스마트펙(15) 상단의 자석부(15c)측으로 자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자석부(15c)에서 반사된 자기공명신호를 수신한다. 자기신호 송수신부(25a)의 동작은 제어부(21a)에 의해 이루어진다. 아울러,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자기신호 송수신부(25a)에 수신된 자기공명신호는 분석부(21p)로 전달된다.
적외선센서(27)는, 자석부(15c)에 대한 자기신호 송수신부(25a)의 간격을 감지하는 소자이다. 적외선센서(27)의 측정값은 제어부(21a)로 실시간 전달된다. 특히 적외선센서(27)에서 출력되는 적외선의 광축과, 자기신호 송수신부(25a)에서 발생하는 자기신호의 출력방향은 나란하다.
아울러, 선단팁(25)에는 레이저포인터(25c)가 더 구비된다. 레이저포인터(25c)는 선단팁(25)이 스마트팩의 자석부(15c)에 접근할 때, 자석부(15c)를 향해 빛을 조사하여, 스마트팩에 대한 선단팁의 접근을 가이드 한다. 레이저포인터(25c)에서 조사된 빛이 자석부(15c)에 맺히므로, 사용자는 조사된 빛을 보면서, 선단팁(25)이 자석부(15c)를 보다 정확하게 겨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100)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반사캡을 별도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반사캡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변형 예에 따른 동요도 측정장치(100)는 핸드피스(20)와 반사캡(31)으로 구성된다. 반사캡(31)은 스마트펙(15)의 자석부(15c)에 끼워지는 부재로서, 적외선센서(27)에서 발생한 적외선의 타겟 포인트 이다. 적외선센서의 발광부에서 조사된 적외선광은, 입사광이 5도 이하일 때, 반사캡(31)에 부딪혀 반사된 후 수광부로 전달된다. 발광부와 수광부는 적외선센서(27) 자체에 구비된 소자이다. 적외선센서의 구성과 거리 센싱 방식은 일반적인 것이다.
반사캡(31)은, 선단팁(25)이 자석부(15c)에 접근할 때, 적외선센서에서 출력되는 적외선을 반사하는 것으로서, 적외선센서(27)에 대한 반사캡(31)의 간격을 알려줌과 동시에, 자석부(15c)에 대한 적외선광의 조사각도가 정상범위인지 알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
반사캡(31)이 자석부(15c)와 결합하고 있으므로, 적외선센서(27)와 반사캡(31)의 간격은, 적외선센서(27)와 자석부(15c)의 간격으로 봐도 무방하다. 그리고, 자석부(15c)에 대한, 적외선센서(27)와 자기신호 송수신부(25a)의 거리도 비슷하므로, 결국, 적외선센서(27)와 반사캡(31)의 간격은, 자기신호 출력부(25a)와 자석부(15c)의 간격과 같다.
반사캡(3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직경의 원통의 형상을 취하며, 상면에, 반사면(31a)을 가진다. 반사면(31a)은 반사캡(31)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축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일정 기울기의 경사면으로서, 수광된 적외선을 반사하는 반사면이다. 반사면(31a)과, 반사캡(31) 중심축선(Z)의 사이각(θ1)은 40도 내지 50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도 이다.
한편, 핸드피스(20)에는, 반사면(31a)에 대한 적외선의 입사각이 0도 내지 5도 일 때에만 동작하는 각도적합확인램프(28)가 설치된다. 입사각이 5도 보다 클 경우, 반사면(31a)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적외선센서(27)로부터 빗나가 수광되지 않고 각도적합확인램프(28)가 점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이각(θ1)이 45도 일 때, 환자가 누워 있던 앉아 있던, 반사면(31a)에 대한 적외선광의 입사각이 0도가 되었다면, 각도적합확인램프(28)가 점등된다. 입사각이 0도인 것은, 스마트펙(15) 중심축선(Z)에 대한 적외선광의 사이각이 45도 즉, 자석부(15c)에 자기신호가 45도 각도로 입사함을 의미한다.
선단팁(25)이 약간 삐뚤어져, 반사면(31a)에 대한 적외선광의 입사각이 5도 일 때에도, 각도적합확인램프(28)는 점등된다. 이 때, 환자가 누워 있던 앉아 있던, 환자의 자세에 상관없이, 중심축선(Z)에 대한 적외선광 광축의 사이각은 40도 이거나 50도 인 것이다. 이는, 자석부(15c)에 자기신호가 40도나 50도로 입사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선단팁(25)이 부정확하게 위치되어, 반사면에 대한 적외선광의 입사각이 5도 보다 클 경우에는, 반사된 적외선광이 적외선센서에 감지되지 않으므로, 각도적합확인램프(28)가 동작하지 않는다. 각도적합확인램프(28)가 점등되지 않는 것을 보고, 자석부(15c)에 대해 자기신호가 50도 보다 높거나 40도 보다 낮은 각도로 가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동요도 측정장치(10)를 이용할 때, 각도적합확인램프(28)를 통해, 자것부(15c)에 자기신호가 적절한 각도로 전달되고 있는지 여부를 육안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31c는 결합홀이다. 결합홀(31c)은 자석부(15c)를 수용 고정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반사캡(31)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사면(31a)에 반사판(33)이 더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사판(33)은 적외선광을 반사하는 깔대기형 부재로서 자석(34)을 통해 반사면(31a) 상에 고정된다. 반사판(33)은 반사면(31a)의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또는 손상되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뼈 13:픽스처 15:스마트펙
15a:너트부 15c:자석부 20:핸드피스
21:본체 21a:제어부 21c:가속도센서
21e:음향출력부 21f:자이로센서 21k:디스플레이부
21m:정지신호램프 21p:분석부 21r:배터리
25:선단팁 25a:자기신호송수신부 25c:레이저포인터
27:적외선센서 28:각도적합확인램프 31:반사캡
31a:반사면 31c:결합홀 33:반사판
33a:반사면 34:자석 100:동요도측정장치

Claims (10)

  1. 픽스처에 장착된 스마트펙을 향해 자기(磁氣)신호를 출력하고, 스마트펙에 부딪혀 반사된 자기공명신호를 기초로, 픽스처의 골유합 정도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스마트펙을 향해 자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스마트펙으로부터 반사된 자기공명신호를 수신하는 자기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한 선단팁과;
    자기신호 송수신부가 감지한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임플란트안정수치(ISQ)를 계산하는 분석부와;
    분석부가 계산한 임플란트안정수치를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핸드피스를 갖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에는;
    자기신호 송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수평면에 대한 선단팁의 경사각을 파악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각도센싱부가 더 구비된,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팁에는, 스마트펙에 대한 자기신호 송수신부의 간격을 감지하는 거리센서가 설치되고,
    본체에는, 스마트펙에 대한 자기신호 송수신부의 간격이 설정범위에 도달했을 때 동작하는 신호발생부가 설치된,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정지신호램프와 음향출력부를 갖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팁에는;
    선단팁이 스마트펙에 접근할 때, 스마트펙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스마트펙에 대한 선단팁의 접근을 가이드 하는 레이저포인터가 더 구비된,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는 적외선센서이고,
    스마트펙의 상단부에는, 선단팁이 스마트펙에 접근할 때, 적외선센서에서 출력되는 적외선을 반사하는 반사캡이 장착된,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캡은,
    일정직경의 원통의 형상을 취하며, 상단면에, 수광된 적외선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반사캡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40도 내지 50도의 사이각을 갖는,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캡의 반사면에는,
    적외선을 반사하는 일정두께의 반사판이 적층된,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에는, 반사면에 대한 적외선의 입사각이 0도 내지 5도 일 때 동작하는 각도적합확인램프가 더 구비된,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KR1020220131486A 2022-10-13 2022-10-13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KR20240051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486A KR20240051612A (ko) 2022-10-13 2022-10-13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486A KR20240051612A (ko) 2022-10-13 2022-10-13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612A true KR20240051612A (ko) 2024-04-22

Family

ID=9088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486A KR20240051612A (ko) 2022-10-13 2022-10-13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16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3001A (ko) 귀 속을 측정하는 장치
JP6812553B2 (ja) 光学的粒子センサーモジュール
EP0881463B1 (en) Laser light plane generator
US8072588B2 (en) Dental light curing device coupled to a light measuring device
US20120275140A1 (en) Remote Control of Illuminating Headlamp
GB2420405A (en)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with coincident emitting and receiving optical axes
US20190154444A1 (en) Method for Comparing a Received Beam Incident on a Laser Receiver with a Rotating Laser Beam
JP5375747B2 (ja) 生体情報検出システム
JP6391803B2 (ja) 緊張した駆動ベルトにおける振動の周波数を測定するデバイス、及び振動周波数測定を実施する方法
TW201929788A (zh) 用於確定物件的結構特性的系統和方法
JP2009144705A (ja) ピストンエンジンのクランクシャフトの回転位置、特に上死点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164139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relating to testing implants
US20130181132A1 (en) Intrus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40051612A (ko)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장치
JP6289040B2 (ja) 非接触眼球加振式眼圧計
JP2008048987A (ja) 脈波測定装置
JPH09113266A (ja) 距離測定装置
JP2020187150A (ja) 電子ハイハット
CN107014360B (zh) 一种用于天线或场探头的定位系统及定位方法
CN105301111B (zh) 一种检测系统
CN217766850U (zh) 一种背景抑制型激光传感器
KR100731275B1 (ko) 비반사면을 가지는 반사부를 이용한 구조물 진동레벨감지장치
CN100413046C (zh) 缺失晶粒的检测
EP3811053B1 (en) Laser sensor module for measuring particle density of particles comprising detector arranged to provide an indication signal of soiling of emission window,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08104726A (ja) ゴルフスウィング評価方法およびゴルフスウィング評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