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399A -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399A
KR20240051399A KR1020220130965A KR20220130965A KR20240051399A KR 20240051399 A KR20240051399 A KR 20240051399A KR 1020220130965 A KR1020220130965 A KR 1020220130965A KR 20220130965 A KR20220130965 A KR 20220130965A KR 20240051399 A KR20240051399 A KR 20240051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karaoke
user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충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22013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1399A/ko
Publication of KR2024005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39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3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participants; by removing particip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조건 정보는,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조건 정보 및 선호하는 노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조건 정보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하는 승낙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승낙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노래방 콘텐츠에 대한 참여 요청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참여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참여 응답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노래방 콘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노래방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노래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content in a messenger service}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의 발달로 이제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해 음성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가입자마다 서로 차별성을 갖도록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부가 서비스로는 노래방 서비스가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먼저 이동단말기를 통해 노래방 서비스를 함께 이용할 상대방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대방과 함께 노래방 세션에 참가하여 각자의 파트에 따라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공유한다.
다만, 종래의 기술은 상대방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선정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 기준 및 선정 방식이 명확하게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상대방과 함께 노래하는 서비스에서는 함께 노래할 상대방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인 과제이므로 복수의 상대방의 의사가 합치하는지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노래방 서비스에 특히 적합한 상대방 매칭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공보 제10-2018-0027423호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의사에 맞는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조건 정보는,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조건 정보 및 선호하는 노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조건 정보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하는 승낙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승낙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노래방 콘텐츠에 대한 참여 요청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참여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참여 응답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노래방 콘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노래방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노래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친구인지 여부에 대한 조건 및 상기 제2 사용자 및 상기 제1 사용자 간의 대화 빈도 또는 마지막 대화 시점에 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상대방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상대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조건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상대방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조건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정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노래방 이용 요청을 획득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프로필 또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참여한 대화방과 관련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노래방 세션 정보를 제3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래방 세션 정보는, 상기 노래방 세션에서 진행 중인 노래방 콘텐츠,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세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와 관련된 상기 제3 사용자의 대화방에서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로부터 상기 노래방 세션에 대한 세션 참여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세션 참여 요청은,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이 상기 노래방 세션 정보에 대한 인터랙션을 획득하는 경우에 전송됨 - 및 상기 세션 참여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에 상기 노래방 세션에 참여할 수 있는 링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는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에 제한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한 입력 정보는, 상기 입력 정보에서 일부 데이터가 제외된 정보임 -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간의 관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레벨에 따라 상기 노래방 세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표시 또는 저장이 제한되는 제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조건 정보는,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조건 정보 및 선호하는 노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조건 정보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하는 승낙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승낙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노래방 콘텐츠에 대한 참여 요청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참여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참여 응답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노래방 콘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노래방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노래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조건 정보는,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조건 정보 및 선호하는 노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하여 승낙 응답을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승낙 응답을 제공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노래방 세션의 생성에 대한 완료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 노래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노래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조건 정보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노래방 이용 요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노래방 이용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2 사용자의 프로필 또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참여한 대화방과 관련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매칭 정보에 대한 인터랙션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노래방 콘텐츠에 대한 초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초대 요청은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초대임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조건 정보는,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조건 정보 및 선호하는 노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조건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하여 승낙 응답을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승낙 응답을 제공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노래방 세션의 생성에 대한 완료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 노래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노래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매칭 정보는, 조건 정보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의사에 맞는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계(S110)의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단계(S120)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단계(S121)의 후보 참여자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단계(S122)의 매칭 정도를 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 매칭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 매칭 정보가 표시되는 다른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개설된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주소를 제3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도시한 화면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제3 사용자가 그룹 채팅방의 참여자인 경우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1 사용자의 노래방 이용 요청을 그룹 대화방에 제공하는 동작을 도시한 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노래방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은 서버(10), 제1 사용자 단말(20), 제2 사용자 단말(30) 및 제3 사용자 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메신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제1 사용자 단말(20), 제2 사용자 단말(30) 및 제3 사용자 단말(40)로 예시되는 사용자 단말은 서버(10)가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치이다.
메신저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가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플랫폼을 통해 상호 간에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문자(text), 사진, 동영상, 음성 파일, 이모티콘 등 전송 가능한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메신저 서비스는 메시지의 송신 또는 수신 외에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는 노래방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래방 콘텐츠는 사용자가 실제 노래방과 유사한 환경을 경험하도록 서버(10)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노래와 관련된 데이터 또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래방 콘텐츠는 사용자들이 함께 부르는 노래(이하 '대상 노래')에 대한 음성 정보 또는 문자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노래방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대상 노래의 음성 정보는, 대상 노래의 반주 또는 MR(music recorded)일 수 있고, 대상 노래의 문자 정보는 가사 또는 곡 설명 문구 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이하, '사용자 영상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 정보(예: 사용자의 얼굴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 영상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생성되며, 서버에 의해 노래방 콘텐츠를 함께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음성 정보(이하, '사용자 음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로폰이 녹음한 음성 정보(예: 사용자의 목소리)일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생성되며, 서버에 의해 다른 사용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영상 정보와 사용자 음성 정보 간에는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10)와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노래방 콘텐츠의 제공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다르게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20)은 노래방 콘텐츠와 관련된 매칭 정보를 서버(10)로부터 획득하여 노래방 세션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이며, 제2 사용자 단말(30)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노래방 세션에서 제1 사용자와 함께 노래를 부르거나 부를 것으로 예상되는 사용자의 장치이며, 제3 사용자 단말(40)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이미 이용 중인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여 노래방 콘텐츠를 함께 제공받거나 제공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사용자의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 방식이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는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버(10)일 수 있다.
서버(10)는 프로세서(11), 메모리(12) 및 통신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메모리(12) 및 통신부(13)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에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2)는 저장매체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서버(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서버(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모리(12)에는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2)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형태로 구비되거나, 웹 스토리지(webstorag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13)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1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획득하고, 조건 정보 및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매칭 정보에 대응하는 승낙 응답을 획득하고, 승낙 응답에 대응하여 노래방 콘텐츠에 대한 참여 요청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참여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참여 응답을 획득하는 경우, 노래방 콘텐츠를 제1 사용자 단말(20) 및 제2 사용자 단말(30)에 제공하기 위한 노래방 세션을 생성하고, 제1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노래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노래방 세션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부르고자 하는 노래 또는 함께 부르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건 정보는 제1 조건 정보 및 제2 조건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함께 부르기 원하는 상대방에 대한 정보이며, 제2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부르고자 하는 노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조건 정보로서 '친구인 사용자' 또는 '최근 대화한 사용자'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건 정보로서 '발라드 장르의 노래' 또는 '특정 가수 A의 노래'를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서버(10)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하여 서버(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하거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관계 정보 또는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계 정보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의 관계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친구(일반 친구, 즐겨찾는 친구, 숨김 친구, 차단 친구 등)정보 또는 대화 정보(대화 이력, 대화 빈도, 대화방, 그룹 대화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정보는 사용자가 메신저 서비스에 접속한 이후의 활동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정보는 사용자가 서버(10)로 제공하거나 획득한 명령 또는 데이터, 사용자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등록 또는 변경한 설정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매칭 정보는 메신저 서비스의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지 여부 또는 부합하는 정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제1 사용자의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조건 정보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수치적인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매칭 정보는 제1 유형 및 제2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20)이 서버(10)에 노래방 이용을 요청한 경우, 노래방 이용 요청에 따라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20)이 서버(10)에 제공하는 노래방 이용 요청과 무관하게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서버(10)는 조건에 관계없이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를 제공하고, 일정한 조건이 달성되는 경우에 한하여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매칭 정보의 제1 유형은 도 10에서, 제2 유형은 도 11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승낙 응답은 매칭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서버(10)에 제공하는 응답으로써, 구체적으로 매칭 정보에 포함된 상대방과 함께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할 것을 승낙하는 응답일 수 있다. 사용자는 서버(10)로부터 제시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에 따라 함께 노래할 상대방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 요청 정보는 승낙 응답에 따라 결정된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참여 요청 정보에는 승낙 응답을 제공한 사용자 정보 또는 매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대방은 참여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참여 응답을 서버(10)에 전송함으로써 참여 의사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노래방 세션은 상대방의 참여 응답에 따라 함께 노래할 사용자가 확정되는 경우, 각 사용자 단말에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되는 세션일 수 있다. 서버(10)는 노래방 세션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2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노래방 세션이 생성된 이후에 제3 사용자 단말(40)이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정보는 사용자 단말이 노래방 세션을 통하여 서버(10)로 제공하는 음성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음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예: 마이크로폰)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목소리 일 수 있고, 영상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다른 입력부(예: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은 서버(10)로부터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이다. 제1 사용자 단말(20)은 통신부(21), 입력부(22), 출력부(23), 메모리(24) 및 프로세서(2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는 서버(10) 또는 다른 단말과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입력부(22)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 행위에 의해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는 터치스크린모듈, 키보드, 마우스, 버튼, 카메라, 스타일러스 및 마이크로폰 등이 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은 입력부(22)를 통해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인터랙션이란 사용자가 입력부(22)를 조작하여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의도 등이 반영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에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터랙션은 터치스크린의 터치, 마우스의 클릭, 키보드의 타이핑, 마이크로폰의 소리입력, 카메라의 이미지 촬영, 동작센서의 동작 인식 등이 될 수 있다.
출력부(23)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3)는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진동발생장치 및 촉각발생장치 등이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출력부(23)는 사용자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장치(예를 들어, 블루투스 이어폰)일 수 있다.
메모리(24)는 저장매체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제1 사용자 단말(2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형태로 구비되거나, 웹스토리지(webstorag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모리(24)에는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자와 친구 관계로 등록된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5)는 통신부(21), 입력부(22), 출력부(23) 및 메모리(24)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단말(20)은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하고, 서버(10)로부터 제2 사용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수신하고, 매칭 정보에 대응하여 승낙 응답을 서버(10)로 제공하고, 승낙 응답을 제공하는 것에 응답하여, 서버(10)로부터 노래방 세션의 생성에 대한 완료 응답을 획득하고, 노래방 세션을 통해 서버(10)로 노래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정보를 전송하고, 노래방 세션을 통해 서버(10)로부터 노래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20)이 서버(10)로 제공하는 입력 정보이며, 제2 입력 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30)이 서버(10)에 제공하여 서버(1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20)로 전달되는 입력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20)이 촬영 또는 녹음한 제1 사용자와 관련된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노래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정보라 함은, 노래의 반주 또는 가사에 맞추어 제1 사용자 단말(2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또는 목소리일 수 있다. 제1 입력 정보는 서버(10)로 제공되어, 서버(10)를 통해 다른 참여자 단말(예: 제2 사용자 단말(30))로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입력 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30)이 촬영 또는 녹음한 제2 사용자와 관련된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노래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정보라 함은, 노래의 반주 또는 가사에 맞추어 제2 사용자 단말(30)이 획득한 제2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또는 목소리일 수 있다. 제2 입력 정보는 서버(10)로 제공되어, 서버(10)를 통해 다른 참여자 단말(예: 제1 사용자 단말(3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0)은 본 발명에서 서버(10)로부터 초대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참여 응답을 서버(10)로 제공하는 단말 장치이다. 제2 사용자 단말(30)은 제1 사용자 단말(2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단말 장치이다. 제2 사용자 단말(30)은 통신부(31), 입력부(32), 출력부(33), 메모리(34) 및 프로세서(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0)이 포함하는 각 세부 구성은 제1 사용자 단말(20)이 포함하는 각 세부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사용자 단말(30)은 서버(10)로 참여 응답 또는 제2 입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은 서버(10)로부터 초대 요청 정보 또는 제1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40)은 본 발명에서 이미 생성된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거나 참여할 예정인 제3 사용자의 단말 장치이다. 제3 사용자 단말(40)은 통신부(41), 입력부(42), 출력부(43), 메모리(44) 및 프로세서(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40)이 포함하는 각 세부 구성은 제1 사용자 단말(20)이 포함하는 각 세부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3 사용자 단말(40)은 서버(10)로 입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사용자 단말(40)은 서버(10)로부터 생성된 노래방 세션에 참여할 수 있는 주소, 제1 입력 정보 또는 제2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단계(S110)에서, 서버(1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획득한다.
복수의 사용자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이며 메신저 서비스가 제공하는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조건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르고 싶은 노래 또는 함께 부르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조건을 결정하고,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된 조건 정보는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노래 또는 상대방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제1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인터랙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은 제1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라 제1 사용자에 대한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 단말(30)도 제2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라 제2 사용자에 대한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각각의 조건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조건 정보는 제1 조건 정보 및 제2 조건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희망하는 상대방의 유형을 한정하기 위한 조건은 제1 조건 정보로 지칭되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노래의 유형을 한정하기 위한 조건은 제2 조건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1 조건 정보로서 '나와 친구 관계인 사용자'를 입력하고, 제2 조건 정보로서 '발라드 장르'를 입력할 수 있고, 서버(10)는 이를 제1 사용자에 대한 조건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서버(10)는 조건 정보 및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
서버(10)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1 사용자의 제1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사용자를 제2 사용자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는 복수일 수 있다.
제1 조건 정보는 사용자와 상대방 사이의 관계와 관련된 관계 정보 및 메신저 서비스의 접속과 관련된 접속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계 정보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간의 관계(예: 친구), 대화 및 노래방 콘텐츠 이용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계 정보는 함께 노래할 상대방으로서 사용자와 친구 관계인 사용자만 매칭하는 조건, 최근 대화한 상대와 매칭하는 조건, 자주 대화하는 상대와 매칭하는 조건 및 기존에 노래방 콘텐츠를 함께 이용한 적이 있는 상대와 매칭하는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 정보는 메신저 서비스에 접속한 사용자의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시간, 이용 빈도 또는 이용 성향이 일치하는 사용자와 매칭하는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결정된 제2 사용자와 제1 사용자 간의 제2 조건 정보가 일치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2 조건 정보가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제2 사용자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노래에 대한 노래 정보 및 사용자의 식별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래 정보는 노래의 특징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노래 제목, 가수, 장르, 가창 스타일, 음역, 노래의 출시일, 재생 시간, 다른 사용자의 선호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성향을 추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나이, 성별, 주소, 계정, 위치일 수 있다.
서버(10)는 제2 조건 정보 중 노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간의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선호 곡 리스트'에 동일한 노래 제목이 포함되어 있다면, 적합성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선호 곡 리스트에 동일한 노래 제목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제1 사용자의 선호 곡 리스트에 등록된 노래 A의 출시일이 제2 사용자의 출생일 이후이며, 제2 사용자의 연령대인 다른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노래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는 제2 사용자가 노래 A를 알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는 적합성 평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0)는 제1 조건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를 결정하고, 제2 조건에 따라 제2 사용자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여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적합성 평가는 관계 정보, 접속 정보, 노래 정보 및 식별 정보 간의 복합적인 관계를 반영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매칭 정보에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매칭되는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고, 매칭되는 정도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매칭되는 경우, 매칭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녹색으로 표시되고, 매칭되지 않으면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매칭되는 정도는 퍼센트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서버(10)는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한다.
매칭 정보는 제1 유형 및 제2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20)이 서버(10)에 노래방 이용을 요청한 경우, 노래방 이용 요청에 따라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노래방 이용 요청은 제1 사용자의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사와 관련된 요청일 수 있다. 이 때 노래방 이용 요청에는 제1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는 제1 사용자의 노래방 이용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은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1 유형의 매칭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를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20)은 제1 사용자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 매칭 여부 또는 매칭 정도가 표시되는 내용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20)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선택하는 선택 인터랙션이 획득되는 선택 인터페이스 표시할 수 있다.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는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상대방에 대한 추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는 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중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사용자를 결정하고, 선택 인터페이스에 선택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선택 인터랙션은 후술하는 승낙 응답으로써 서버(10)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20)이 서버(10)에 제공하는 노래방 이용 요청과 무관하게 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에서 친구 목록에 관한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친구 목록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를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의 매칭 여부 및 매칭 정도를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와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가 제2-1 사용자 및 제2-2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제2-1 사용자의 매칭 여부 및 매칭 정도는 제2-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2 사용자의 매칭 여부 및 매칭 정도는 제2-2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선택 인터랙션을 제공하면 이는 후술하는 승낙 응답으로써 서버(10)에 제공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서버(10)는 제1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매칭 정보에 대응하는 승낙 응답을 획득한다.
승낙 응답은 매칭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서버(10)에 제공하는 응답이다. 구체적으로 승낙 응답은 매칭 정보에 포함된 상대방과 함께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할 것을 승낙하는 응답일 수 있다. 승낙 응답은 제1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된 선택 인터랙션에 따라 서버(10)로 제공될 수 있다. 승낙 응답은 제1 사용자가 선택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와 함께 노래를 부르기 원한다는 의사 표시일 수 있다.
단계(S150)에서, 승낙 응답에 대응하여 노래방 콘텐츠에 대한 참여 요청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한다.
참여 요청 정보는 승낙 응답에 따라 결정된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참여 요청 정보에는 승낙 응답을 제공한 사용자 정보 또는 매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참여 요청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20)이 제2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하는 메시지의 형태로 제2 사용자 단말(3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의 대화방에 새로운 메시지로서 표시되거나, 노래방 콘텐츠와 관련된 채팅 봇을 통해 제공되는 알림 톡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참여 요청 정보는 제2 사용자가 노래방 콘텐츠에 대해 참여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하는 선택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제2 사용자가 선택 인터페이스에 참여 의사에 관한 선택 인터랙션을 제공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참여 응답을 서버(1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 서버(10)는 참여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참여 응답을 획득하는 경우, 노래방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노래방 세션을 생성한다.
서버(10)는 제2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참여 응답을 획득하면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에 노래방 콘텐츠의 이용에 관한 의사의 합치가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래방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노래방 세션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S170)에서, 서버(10)는 제1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노래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노래방 세션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한다.
노래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는, 제1 사용자가 부른 노래 소리로서 제1 사용자 단말(20)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획득되는 음성 정보, 제1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로서 제1 사용자 단말(20)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수신된 노래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 또한 단계(S170)과 마찬가지로 제1 사용자 단말(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는 사용자들 간의 관계 레벨에 따라 입력 정보의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사용자가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는 경우, 서버는 제3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 대한 관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제한 조건에 따라 관계 레벨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제3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한 조건은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제3 사용자에게 입력 정보의 제공을 제한하기 위해 생성한 조건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한 조건은 제3 사용자가 친구인 경우, 제3 사용자와 최근 대화한 적이 있는 경우, 제3 사용자와 자주 대화하는 경우 등과 관련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제한 조건이 '제3 사용자가 친구일 것'인 경우, 제3 사용자가 제1 사용자와 최근 대화한 적이 있어도 친구가 아니라면 수신, 송신, 또는 저장 가능한 입력 정보의 일부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는 노래를 들을 수 있으나, 제1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볼 수 없으며, 노래의 녹음이 제한될 수 있다.
제한 조건에 따라 수신, 송신, 또는 저장이 제한되는 입력 정보의 종류는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계(S110)의 조건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조건 정보에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 외에도 다양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화면에서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조건 정보 중 제1 조건 정보를 예시한 것이다.
제1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상대방 매칭 관리 설정을 통해 결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결정되거나 변경된 제1 조건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조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는 제1 그룹(310), 노래방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는 제2 그룹(3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그룹(310) 중 친구인 상대만을 매칭하는 조건, 최근 대화한 상대 중 매칭하는 조건, 자주 대화하는 상대를 매칭하는 조건, 특정 대화방의 참여자와 매칭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인 상대방만을 매칭하는 조건이 선택되어 있다면, 서버(10)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친구만을 상대방으로 매칭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조건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면, 제1 조건 정보와 관계 없이 서버(10)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친구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임의의 사용자를 상대방으로 매칭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특정 대화방의 참여자와 매칭하는 조건이 선택되어 있다면,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참여한 특정 채팅방을 선택받고, 해당 채팅방에 참여한 참여자들 내에서 상대방을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채팅방은 참여자가 3명 이상인 그룹 채팅방일 수 있다.
서버(10)는 제2 그룹(330) 중 과거 노래방 콘텐츠를 함께 이용한 상대 중 매칭하는 조건, 현재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중인 상대 중 매칭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그룹(310) 및 제2 그룹(330)에 포함된 조건 외에도 메신저 서비스 또는 노래방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한 다양한 조건들이 상대방 결정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제1 조건 정보와 관계 없이 사용자와 함께 노래할 상대방을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가 사용자와 친구 관계 또는 대화 이력이 없는 상대방과 연결될 수 있는 접속 링크 또는 코드 등을 제공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오픈채팅방(카카오의 등록상표) 등을 통해 상대방을 식별 가능한 경우, 제1 조건 정보의 만족 여부에 상관없이 서버(10)는 사용자와 상대방을 매칭할 수 있다.
제1 조건 정보는, 함께 노래할 상대방에 대한 상대방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방 특성 정보는 함께 노래할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서, 상대방의 노래 성향 또는 스타일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노래 성향 또는 스타일에 해당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서버에 상대방 특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사용자와 함께 노래할 상대방을 매칭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상대방 특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 특성 정보는, 상대방의 성별 정보, 음역대 정보, 음색 정보, 선호 장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서버(10)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적절한 상대방 특성 정보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특성 정보로 저음의 음역대가 설정되어 있다면, 상대방 특성 정보로는 고음의 음역대가 적절하다고 제안할 수 있다. 이러한 적절한 상대방의 특성 정보 제안은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의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조건 정보에 따라, 사용자와 상대방 간의 매칭이 성사되면, 서버(10)는 사용자 및 상대방을 포함하는 새로운 채팅방(이하 '노래방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서버(10)는 노래방 채팅방에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도록 노래방 페이지로 이동할 수 접속링크 또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노래방 채팅방은 노래방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팅방임을 표시하도록 별도의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노래방 채팅방을 통해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동안 채팅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음성 또는 영상 파일, 캡쳐 화면, 메시지, 점수화면 등은 노래방 채팅방에 표시 또는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참여자가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도중에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가 노래방 페이지를 퇴장한 경우, 퇴장한 참여자는 노래방 채팅방을 통해 다시 노래방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조건 정보 중 제2 조건 정보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조건 정보 중 제2 조건 정보를 예시한 것이다.
제2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부르고 싶은 노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선호 곡 관리 설정을 통해 결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결정되거나 변경된 제2 조건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거나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노래를 추정하거나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건 정보는 선호 곡 리스트, 선호 장르, 선호 가수, 발매 시기, 음역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의 과거 노래방 콘텐츠 이용 내역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가 단계(S120)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121)에서, 서버(10)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제1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참여자를 결정한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제1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로서 제1 사용자의 친구 정보 또는 대화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신저 서비스에서 제1 사용자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가 누구인지, 제1 사용자가 최근 대화한 사용자가 누구인지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서버(10)는 제1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중 제1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건 정보가 '나와 친구 관계인 상대만 매칭'인 경우, 서버(10)는 제1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중 메신저 서비스에서 제1 사용자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를 후보 참여자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후보 참여자는 제1 사용자의 제1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단계(S122)에서, 서버(10)는 제2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참여자에 대한 매칭 정도를 결정한다.
서버(10)는 단계(S121)에서 결정된 후보 참여자와 제1 사용자 간의 제2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후보 참여자와 제1 사용자의 유사 정도가 높을수록 매칭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1 후보 참여자와 제1 사용자 제2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선호 곡 리스트에서 동일한 노래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매칭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후보 참여자는 제1 사용자와 동일한 노래가 3개 존재하고, 제2 후보 참여자는 제1 사용자와 동일한 노래가 1개 존재하는 경우, 제1 후보 참여자의 매칭 정도가 제2 후보 참여자의 매칭 정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선호 곡 리스트에 존재하는 곡의 유사도 외에도, 선호 가수, 선호 장르 등 제2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보에 따라 매칭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단계(S123)에서, 서버(10)는 매칭 정도에 기반하여 후보 참여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
매칭 정보는 후보 참여자 및 후보 참여자에 대응하는 매칭 정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 정보에는 매칭 정도가 어떠한 판단 기준에 따라 결정되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 정보에는 제1 후보 참여자인 A는, 선호 곡 리스트에 제1 사용자와 공통된 곡이 3개 포함되어, 매칭도 78%에 해당함'이라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서버(10)는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가 단계(S121)의 후보 참여자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제1 조건 정보에 따라 비교 대상이 되는 제1 사용자(610)의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서버(10)는 제1 사용자(610)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A(630)와 제1 사용자의 제1 조건 정보(650)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A(630)에는 제1 사용자(610)의 메신저 서비스 또는 노래방 콘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A(630)의 사용자 정보는 다양한 분류 기준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제1 사용자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 제1 사용자와 최근 대화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 제1 사용자와 자주 대화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제1 사용자와 함께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사용자가 제공한 제1 조건 정보(650)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A(630)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제1 조건 정보가 '친구인 상대 중 매칭' 및 '노래방 콘텐츠 이용자 중 매칭'인 경우, 제1 사용자의 친구(671) 및 노래방 이용 상대(673)를 후보 참여자를 결정하기 위한 비교 대상으로 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레이스, 마이크' 등은 비교 대상에서 제외되고, '앤, 제임스, 피터' 등에서 후보 참여자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제1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사용자 정보는 결과 정보 A(670)로 지칭될 수 있다.
도 7은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제1 조건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의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서버(10)는 제2 사용자(710)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B(730)와 제2 사용자의 제1 조건 정보(750)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710)에 대응하는 제1 조건 정보(750)는 '친구인 상대 중 매칭' 및 '최근 대화한 상대 중 매칭'일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 B(730)에서 제1 조건 정보(750)를 만족하는 사용자 정보는 '에릭, 마크, 제이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의 친구(771) 및 최근 대화 상대(773)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제1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제1 조건 정보(750)를 만족하는 사용자 정보는 결과 정보 B(770)로 지칭될 수 있다.
도 8은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제1 조건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와 비교되는 다른 사용자들이 후보 참여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제1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해, 서버(10)는 결과 정보 A(670)와 결과 정보 B(770)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버(10)는 다른 사용자(예: 제2-2 사용자(810), 제2-3 사용자(811))의 결과 정보(예: 결과 정보 B-2(870), 결과 정보 B-3(871))를 결과 정보 A(670)와 각각 비교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결과 정보 A(670)에는 '친구'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중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715)가 포함되고, '노래방 이용 상대'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중 제2-2 사용자에 대한 정보(815)가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결과 정보 B 중 '친구'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615)가 포함되며, 결과 정보 B-2(870) 중 '자주 대화하는 상대'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6151)가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비교 결과에 기초할 때, 제2 사용자(710) 및 제2-2 사용자(810)는 제1 사용자(610)의 후보 참여자로 결정될 수 있다.
반면에, 결과 정보 A(670) 중 '노래방 이용 상대'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로서 제2-3 사용자에 대한 정보(8115)가 존재하나, 결과 정보 B-3(871)에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양자는 서로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3 사용자(811)는 제1 사용자(610)의 후보 참여자로 결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가 단계(S122)의 매칭 정도를 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서버(10)는 제1 사용자(610)의 제2 조건 정보(660)와 제2 사용자(710) 또는 제2-2 사용자(810)의 제2 조건 정보(760, 860)를 서로 비교하여 유사 정도를 판단하고, 유사 정도가 높을수록 매칭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610), 제2 사용자(710) 및 제2-2 사용자(810)의 제2 조건 정보(950)은 모두 '선호 곡 리스트' 및 '선호 가수 리스트'일 수 있다. 서버(10)는 제2 사용자 또는 제2-2 사용자의 리스트 중 제1 사용자의 리스트에 포함된 노래 또는 가수가 얼마나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매칭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의 제2 조건 정보(760) 중 제1 사용자의 제2 조건 정보(660)와 공통된 정보는 선호 가수가 '빅*'이라는 것이며, 제2-2 사용자의 제2 조건 정보(860) 중 제1 사용자의 제2 조건 정보(660)와 공통된 정보는 선호 곡이 '오랜만*야'이며 선호 가수가 '임*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통되는 제2 조건 정보(950)가 더 많은 제2-2 사용자(810)에 대한 매칭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9에는 제2 조건 정보(950)로서 선호 곡 리스트 및 선호 가수 리스트만을 예시하였으나, 이 외에도 선호 곡 리스트로부터 예상되는 음역대, 선호 장르, 가창 스타일, 출시일 등에 대한 정보를 함께 반영하여 매칭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 매칭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단계(S130)에 따라 서버(10)가 제1 사용자 단말(20)로 매칭 정보를 전송하면, 제1 사용자 단말(20)은 매칭 정보를 유형에 따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이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을 서버(10)에 전송하는 경우, 서버(10)는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는 도 10의 화면과 같이 표시되도록 서버(1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20)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는 단계(S121)에서 결정된 후보 참여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1010) 및 매칭 정도에 대한 정보(103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보 참여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는 후보 참여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는 프로필 정보(사진, 닉네임, 상태 메시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 정도에 대한 정보는 제1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으로서 후보 참여자가 얼마나 적합한지에 대한 수치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칭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참여자 엘렌은 선호 곡 리스트에 3개의 곡이 공통되므로 매칭 정도가 82%임'이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는, 후보 참여자를 선택하는 선택 인터페이스(1040), 선택된 참여자에 대한 초대를 입력하는 초대 인터페이스(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의 선택 인터페이스(1040)에 제1 인터랙션을 제공하고, 초대 인터페이스(1050)에 제2 인터랙션을 제공하면, 제1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 참여자에 대하여 '함께 노래할 의사가 있음'에 대한 정보가 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팝업 형식으로 표시되거나, 어플리케이션 내의 대화방에서 메시지(예: 알림 톡)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서버(10)는 후보 참여자에 대한 매칭 정도의 수치에 관계없이 후보 참여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하거나, 매칭 정도의 수치가 미리 정하진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후보 참여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20)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을 만족하는 후보 참여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초대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 매칭 정보가 표시되는 다른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제1 사용자 단말(20)이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을 서버(10)에 전송하였는지 관계없이, 서버(10)는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유형의 매칭 정보와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는 함께 전송되거나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는 도 11의 화면과 같이 표시되도록 서버(10)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20)에 전송될 수 있다.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는 후보 참여자 각각에 대한 정보(1110a, 1110b)로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칭 정보에 포함된 후보 참여자가 복수인 경우,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는 각각의 후보 참여자에 대응하는 매칭 정보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참여자가 '라이언' 및 '민수'로 총 2명인 경우, '라이언'에 대응하는 매칭 정보인 매칭 여부, 공통 선호 곡 등은 어플리케이션에서 '라이언'의 프로필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민수'에 대응하는 매칭 정보 또한 '민수'의 프로필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함께 표시되는 매칭 정보는 매칭 여부를 나타내는 매칭 아이콘(예: 마이크 그림)(1130) 및 공통 선호 곡 중 어느 하나(1150)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표시되는 매칭 아이콘의 개수를 통하여 매칭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20)에 표시된 제2 유형의 매칭 정보 중 어느 한 후보 참여자의 매칭 정보에 대하여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은 인터랙션의 감지에 따라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후보 참여자의 매칭 정보에 대한 세부 항목(1170)이 표시되거나, 해당 후보 참여자에게 노래방 콘텐츠를 함께 이용하기 위한 초대 요청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119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친구 목록에서 복수의 친구에 대한 매칭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개별 사용자의 프로필 페이지에 매칭 정보가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개별 사용자의 프로필 페이지 중 별도의 지정된 영역에 매칭 아이콘, 공통 선호 곡 또는 매칭 정보에 대한 세부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개별 사용자의 프로필 페이지 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메시지를 통해 매칭 정보가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프로필 페이지에 '듀엣 곡 희망'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아이콘을 보고 상대방에게 듀엣 곡을 함께 부를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이 이미 다른 사람과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 중인 경우에는 상대방의 프로필 페이지에 '노래 중'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아이콘을 보고 다른 상대방을 찾거나, 이미 진행 중인 노래방 콘텐츠에 참여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가 개설된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링크를 제3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도시한 화면이다.
노래방 세션에 참여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게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는 서버(10)에 초대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초대 요청은 서버(10)가 제3 사용자 단말(40)에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기 위한 링크를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초대 요청에 따라 서버(10)가 제3 사용자 단말(40)에 링크를 제공하면, 제3 사용자는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접속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정보는 제3 사용자 단말(40)이 노래방 세션에 접속하기 위한 링크 주소 또는 QR 코드일 수 있다. 또한 접속 정보는 메신저 서비스 내에서 제3 사용자와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 간의 대화방에 표시되거나 별도의 팝업 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접속 정보는 제3 사용자 단말(40)에 표시되는 참가 인터페이스(1210)와 관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사용자 단말(40)에는 제3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획득하는 참가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참가 인터페이스는 확인 영역(1220) 및 참가 영역(1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참가 영역(1220)에 제3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제공되면 제3 사용자 단말(40)은 서버(10)에 노래방 세션에 대한 참여 요청을 서버(10)로 전송하고, 확인 영역(1230)에 제3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제공되면 제3 사용자 단말(40)은 노래방 세션에 참여 중인 사용자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미 노래방 세션에 참여 중인 '마이크'가 제3 사용자에게 접속 정보에 대응하는 알림 톡 메시지를 제3 사용자의 대화방에 제공할 때, 제3 사용자 단말(40)은 참가 인터페이스(12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서 제3 사용자가 그룹 채팅방의 참여자인 경우를 도시한 화면이다.
서버(10)는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초대 요청에 따라 제3 사용자가 포함된 그룹 대화방에 접속 주소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 대화방은 제3 사용자 외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룹 대화방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는 대화방에 표시된 접속 주소를 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주소는 제3 사용자 단말(40)에서 접속 가능한 링크 주소일 수 있다. 또한 접속 주소는 메신저 서비스 내에서 제3 사용자와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 간의 대화방에 표시되거나 별도의 팝업 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접속 주소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참가 인터페이스(1310)와 관련될 수 있다. 참가 인터페이스(1310)는 도 12의 참가 인터페이스(1210)와 동일할 수 있다.
그룹 대화방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는 노래방 세션에 참여한 사용자와의 관계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조건 정보가 부합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 중 제3 사용자가 제1 사용자와 '친구 관계'로서 제1 조건 정보를 만족하고, 제2 사용자와 '최근 대화한 상대'로서 제1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 제1 그룹(1330)에 속할 수 있다. 또한, 제3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제1 조건 정보를 만족하나 제2 사용자의 제1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라도, 제2 사용자로부터 참여 승인을 획득한 때에는 제1 그룹(1330)에 속할 수 있다.
다만, 제3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제1 조건 정보를 모두 만족하지 않는 경우로서, 참여 승인을 획득하지 못한 때에는 제2 그룹(1350)에 속할 수 있다.
제1 그룹(1330)에 속하는 다른 사용자는 권한의 제한 없이 노래방 세션에 참가하여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고, 제2 그룹(1350)에 속하는 다른 사용자는 이용할 수 있는 노래방 콘텐츠가 일부 제한되거나, 노래방 세션에 참가하는 것이 불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그룹(1330) 및 제2 그룹(1350)에 대한 노래방 콘텐츠의 이용 제한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의 정도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가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가 제1 사용자의 노래방 이용 요청을 그룹 대화방에 제공하는 동작을 도시한 화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그룹 대화방 내의 다른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20)의 노래방 이용 요청에 따라 참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노래방 이용 요청은 노래방 세션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이 서버(10)에 제공하는 요청일 수 있다. 따라서 그룹 대화방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가 참가 인터페이스(1410)를 통해 참가 응답을 서버(10)에 제공하면, 서버(10)는 노래방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그룹 대화방에 표시하도록 노래방 이용 요청을 서버(10)에 제공하는 경우, 서버(10)는 제1 사용자 및 그룹 대화방의 다른 사용자 간에 제1 조건 정보가 만족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참가 응답에 따라 노래방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참가 인터페이스(1410)는 참가 영역(1420)과 설명 영역(14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참가 영역(1420)에 다른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제공되면 다른 사용자 단말은 서버(10)에 노래방 세션에 대한 참여 요청을 서버(10)로 전송하고, 설명 영역(1430)에 다른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제공되면 다른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 또는 매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가 노래방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화면(1500a)은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제2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이고, 제2 화면(1500b)은 제3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서버(10)가 노래방 세션을 생성하면,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는 노래방 세션을 통해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노래방 콘텐츠는 제1 화면(1500a)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 및 제2 사용자 단말(30)은 노래방 세션을 통해 서버(10)로부터 노래방 콘텐츠를 획득하거나 서버(10)로 노래방 콘텐츠와 관련된 입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노래방 콘텐츠는 노래방 세션에 참여한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래 반주, 보컬 또는 노래 가사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보컬은 서버(10)에 저장된 다른 사람(예: 유명인, 다른 사용자)의 음성 정보일 수 있다.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한 음성 정보 또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면 사용자의 음성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획득 및 변환되어 음성 정보로써 서버(1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서버(1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획득한 입력 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노래방 세션에 참여한 사용자가 2 명이면 다른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30)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노래방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노래방 화면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1530a), 가사가 표시되는 영역(1550)이 포함될 수 있다. 노래방 화면에는 사용자 단말이 음소거 상태인지 여부, 음성 정보가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 현재 노래 제목, 다음 부를 노래 제목, 녹음을 위한 인터페이스(1560a)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기 위한 초대 인터페이스(1570), 노래방 세션에서 퇴장하기 위한 퇴장 인터페이스(15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가 노래방 세션을 생성한 후, 제3 사용자는 생성된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여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제3 사용자는 제1 조건 정보 또는 제2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와 부합하지 않는 사용자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노래방 콘텐츠는 제2 화면(1500b)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는 노래방 콘텐츠를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는 노래방 세션의 개설자(이하 '개설자')로서 노래방 콘텐츠를 수신하거나 표시할 수 있고, 입력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고, 노래방 콘텐츠 및 입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에 표시되는 제1 화면(1500a)을 통해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영상 정보(예: 얼굴)를 볼 수 있고, 제1 사용자의 음성 정보(예: 노래)를 들을 수 있고, 노래방 콘텐츠 또는 입력 정보를 저장(예: 녹음)할 수 있다.
이미 생성된 노래방 세션이 참가하는 제3 사용자는 개설자가 아니므로,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와의 관계에 따라 노래방 콘텐츠의 이용이 일부 제한될 수 있다.
제3 사용자에 대하여 노래방 콘텐츠가 제한되는 정도는 제3 사용자와 개설자와의 관계 레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설정한 제한 조건에 따라, 제3 사용자 단말은 입력 정보 또는 노래방 콘텐츠를 수신, 전송 또는 저장하는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조건은 제3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와의 관계에서 친구인지, 최근 대화한 상대인지, 자주 대화하는 상대인지, 상호 동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제한 조건이 '친구가 아닌 상대에게 얼굴 미공개'인 경우, 제3 사용자가 제1 사용자와 친구가 아니라면 제3 사용자 단말의 제1 영상 화면(1530b)에는 제1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얼굴을 미공개 하는 동작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얼굴을 완전히 미공개하거나,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아바타 이미지로 대체하거나, 얼굴 이미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모자이크 처리하는 방식으로 제1 사용자의 얼굴을 미공개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얼굴을 미공개하는 동작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하였으나, 얼굴 이미지 외에도 음성 또는 채팅 메시지를 변조, 일부 노출, 제거하는 등의 방식이 제한 조건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제한 조건이 '상대방의 노래방 콘텐츠 저장 권한 제한'인 경우, 제3 사용자와 제1 사용자의 관계에 따라 제3 사용자 단말은 노래방 콘텐츠의 이용에 따라 생성된 영상, 음성 또는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권한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노래의 종료 이후에 저장을 허용하거나, 노래의 시작과 함께 실시간으로 저장을 허용하는 등 노래방 콘텐츠의 저장 가능 시점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는 노래방 콘텐츠의 이용에 참여한 사람이 함께 노래를 부르는 상대방인지, 또는 단순 시청자인지 여부에 따라 저장 권한을 다르게 부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사용자는 상대방인 제2 사용자가 설정한 저장 권한에 의해 저장 권한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는 매칭 단계에서 저장 권한에 대한 동의 여부를 요청 또는 수락할 수 있다.
제한 조건은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제3 사용자는 입력 정보를 전송하지 못하고, 채팅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 등을 포함하는 반응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제3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저장(예: 녹음)하는 기능이 제한되어 제2 화면(1500b)의 녹음하기 아이콘(1560b)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서버
20: 제1 사용자 단말
30: 제2 사용자 단말
40: 제3 사용자 단말

Claims (18)

  1.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조건 정보는,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조건 정보 및 선호하는 노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조건 정보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하는 승낙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승낙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노래방 콘텐츠에 대한 참여 요청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참여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참여 응답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노래방 콘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노래방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노래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친구인지 여부에 대한 조건 및 상기 제2 사용자 및 상기 제1 사용자 간의 대화 빈도 또는 마지막 대화 시점에 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상대방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상대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조건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상대방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조건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정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매칭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노래방 이용 요청을 획득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는,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2 사용자의 프로필 또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참여한 대화방과 관련된 영역에 표시되는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노래방 세션 정보를 제3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래방 세션 정보는,
    상기 노래방 세션에서 진행 중인 노래방 콘텐츠,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세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와 관련된 상기 제3 사용자의 대화방에서 표시되도록 제공되는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로부터 상기 노래방 세션에 대한 세션 참여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세션 참여 요청은,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이 상기 노래방 세션 정보에 대한 인터랙션을 획득하는 경우에 전송됨 -; 및
    상기 세션 참여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에 상기 노래방 세션에 참여할 수 있는 링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노래방 세션에 참여하는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에 제한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한 입력 정보는, 상기 입력 정보에서 일부 데이터가 제외된 정보임 - 를 포함하는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간의 관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레벨에 따라 상기 노래방 세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표시 또는 저장이 제한되는 제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가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12.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조건 정보는,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조건 정보 및 선호하는 노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조건 정보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매칭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하는 승낙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승낙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노래방 콘텐츠에 대한 참여 요청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참여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참여 응답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노래방 콘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노래방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노래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1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 내지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조건 정보는,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조건 정보 및 선호하는 노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조건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하여 승낙 응답을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승낙 응답을 제공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노래방 세션의 생성에 대한 완료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 노래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노래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조건 정보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노래방 이용 요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노래방 이용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형의 매칭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형의 매칭 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2 사용자의 프로필 또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참여한 대화방과 관련된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매칭 정보에 대한 인터랙션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노래방 콘텐츠에 대한 초대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초대 요청은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초대임 - ;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법.
  18.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조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조건 정보는, 함께 노래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조건 정보 및 선호하는 노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조건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에 대한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하여 승낙 응답을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승낙 응답을 제공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노래방 세션의 생성에 대한 완료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 노래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방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노래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매칭 정보는, 조건 정보 및 상기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
KR1020220130965A 2022-10-12 2022-10-12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40051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965A KR20240051399A (ko) 2022-10-12 2022-10-12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965A KR20240051399A (ko) 2022-10-12 2022-10-12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399A true KR20240051399A (ko) 2024-04-22

Family

ID=9088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965A KR20240051399A (ko) 2022-10-12 2022-10-12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13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423A (ko) 2015-06-03 2018-03-14 스뮬, 인코포레이티드 지리적으로 분산된 연주자로부터 캡처된 콘텐츠에 기반하여 조율된 오디오비주얼 작품을 자동 생성하는 기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423A (ko) 2015-06-03 2018-03-14 스뮬, 인코포레이티드 지리적으로 분산된 연주자로부터 캡처된 콘텐츠에 기반하여 조율된 오디오비주얼 작품을 자동 생성하는 기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5017B (zh) 用於增強播放清單選擇之音樂播放器連接系統
US7890088B2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playback of song files
US2019014784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a karaoke interface
JP2015111423A (ja) 受信方法及びクライアント機器に受信方法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5018563A (ja) 通信方法、システムおよび製品
US11128997B1 (en) Complex computing network for improving establishment and broadcasting of audio communication among mobile computing devices and providing descriptive operator management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US11218565B2 (en) Personalized updates upon invocation of a service
US105999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laying musical elements based on a tracked face or facial feature
TWI795759B (zh) 線上會議系統
US201501280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JP2010507278A (ja) ビデオストリーミング通信
US11792610B2 (en) Complex computing network for improving establishment and streaming of audio communication among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1336622B1 (ko)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50097894A (ko) 기분에 기초한 음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1355A (ko) 대화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US11864066B2 (en) Complex computing network for improving establishment and streaming of audio communication among mobile computing devices
KR20240051399A (ko) 메신저 서비스에서 노래방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6209222A (ja) ファイル検索装置
WO2016021584A1 (ja) 端末装置及び管理サーバ
JP2004205850A (ja) カラオケ予約装置、カラオケ予約システム、カラオケ予約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40079386A (ko) 인스턴트메신저와 미디어플레이어를 이용한 미디어정보 전달과 재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00438B1 (ko) 가사 하이라이팅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US202304214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messenger service of group chat room
US20240184601A1 (en) Method for highlighting lyric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same
US20220353223A1 (en) Text command based group listening session playback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