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772A -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 Google Patents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772A
KR20240050772A KR1020220130566A KR20220130566A KR20240050772A KR 20240050772 A KR20240050772 A KR 20240050772A KR 1020220130566 A KR1020220130566 A KR 1020220130566A KR 20220130566 A KR20220130566 A KR 20220130566A KR 20240050772 A KR20240050772 A KR 20240050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frequency generator
carpal tunnel
tunnel syndrome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넬로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넬로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넬로피
Priority to KR1020220130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772A/ko
Priority to PCT/KR2023/008158 priority patent/WO2024080480A1/ko
Publication of KR2024005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7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love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글러브의 손등부, 손바닥부 및 손목부에 주파수를 이용한 자극을 제공하여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손목터널증후군 질환을 신속히 개선할 수 있고, 글러브에 배치된 다수의 햅틱센서들을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시킴으로써 운동 재활 컨텐츠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에 관한 것이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는 손등부, 손바닥부 및 손목부를 포함하는 글러브에 있어서, 상기 손등부에 부착 설치되고, 고주파를 발생시켜 손에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발생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GLOVE FOR IMPROVING CARPAL TUNNEL SYNDROME DISEASES}
본 발명은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글러브의 손등부, 손바닥부 및 손목부에 주파수를 이용한 자극을 제공하여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손목터널증후군 질환을 신속히 개선할 수 있고, 글러브에 배치된 다수의 햅틱센서들을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시킴으로써 운동 재활 콘텐츠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컴퓨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컴퓨터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컴퓨터의 사용은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컴퓨터 모니터 및 자판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에 의하여 유발되는 VDT 증후군, 고정된 자세로 장시간 작업함으로써 유발되는 허리 및 목 디스크, 키보드 및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여 손가락 및 어깨 관절염 등에 노출되게 된다.
특히, 행주나 걸레 짜기 등의 집안일을 많이 하는 주부들이나 컴퓨터 키보드를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 공사장 인부나 진동 기계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에서 손바닥, 손가락, 손목 등에 통증, 저림 또는 감각이상 등으로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이 발병될 수 있다.
수근관 증후군이라고도 불리는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을 통과하는 정중신경이 여러 원인에 의해 수근인대에 눌려 발생하는 신경압박성 질환이다. 이는 경증인 경우에는 간단한 주사나 약물요법 또는 손목에 부목을 고정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호전되기도 하나, 정도가 심할 때에는 수술적 방법이 동원된다.
수술적 방법은 손목에서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수근인대를 잘라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종전에는 수근인대를 자르기 위하여, 손바닥에서 손목위까지 광범위한 부분을 절개하여 벌리고 수근인대를 노출시켜 수근인대를 잘라주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확실하게 신경이 눌리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절개부위가 넓고 회복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내시경 수술방법이 시행되기도 한다. 그런데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방법은 수술자국이 작다는 장점은 있지만 시술 중 시야 확보가 불량하여 신경이나 혈관 등의 손상 위험을 가지고 이렇다할 메리트가 없으며 번거롭기도 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손목터널증후군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나, 초기 증상인 경우에는 비수술적 비료방식으로도 충분히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방식으로서, 고정기를 통해 손목을 고정시켜 안정을 취하도록 하거나, 인대강화주사, 도수치료, 재활운동 및 고주파치료 등의 방식으로 증상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비수술 치료 중 주파수를 이용한 치료와 관련된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6827호에 손목 터널 증후군 치료용 손목보호대 타입의 저주파 자극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손목에 저주파 자극을 전달하는 자극부재를 포함하는 손목보호대; 및 저주파 자극을 생성하여 상기 손목보호대의 자극부재로 전달하는 저주파 자극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저주파만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을 완화 또는 개선하기가 부족한 단점이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비수술 치료와 관련된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2309743호에 손목터널증후군 완화용 손목견인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손목을 중심으로 팔고정부와 손고정부를 각각 고정한 후 길이를 늘려 양방향으로 손목을 견인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단순히 손목을 늘려 인장시킨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것으로서,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목을 이용한 수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6827호(2018. 08. 01.) 등록특허공보 제10-2309743호(2021. 09. 3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수술 방식의 고주파와 저주파를 통해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글러브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목 및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 수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는 손등부, 손바닥부 및 손목부를 포함하는 글러브에 있어서, 상기 손등부에 부착 설치되고, 고주파를 발생시켜 손에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발생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글러브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손바닥부에 부착 설치되고, 저주파를 발생시켜 손에 저주파를 전달하는 제1 저주파발생기; 및 상기 손목부에 부착 설치되고, 저주파를 발생시켜 손에 저주파를 전달하는 제2 저주파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및 제2 저주파발생기 중에서 선택된 1개의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제1 모드;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및 제2 저주파발생기 중에서 선택된 2개의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제2 모드; 및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및 제2 저주파발생기를 모두 동작시키는 제3 모드로 동작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러브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글러브의 손가락 마디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햅틱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햅틱센서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의 개선을 실행하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러브의 손가락 마디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햅틱센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햅틱센서에서 검출된 센서값에 기초하여,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또는 제2 저주파발생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동작시키는 제4 모드로 동작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러브의 손가락 단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거된 오픈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등, 손바닥 또는 손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에 적절한 주파수를 조사함으로써 손목터널증후군 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선 글러브는 손목터널증후군을 갖는 환자가 평소의 생활 중에 개선 글러브를 착용한 상태에서 키보드, 마우스 등의 수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더 나아가 개선 글러브와 무선으로 연동된 별도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보다 체계적인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에 적용된 고주파발생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는 손등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글러브이고, 도 5는 손바닥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글러브이다.
도 6은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에 적용된 저주파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글러브(3)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실시예 4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시스템의 사용 장면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는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손에 고주파 신경 자극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여 손목터널증후군과 관련된 신경 조직을 재생하고, 저주파 신경자극을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근육의 자극시켜 손목터널증후군과 관련된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글러브의 손등부, 손바닥부 및 손목부에 주파수를 이용한 자극을 제공하여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손목터널증후군 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1, 이하, '글러브'라 한다)는 손등 부위를 피복하는 손등부(11), 상기 손등부(11)에 마주하여 연결되고 손바닥을 피복하는 손바닥부(12) 및 상기 손등부(11)와 손바닥부(12)를 연결하여 손목을 둥글게 피복하는 손목부(13) 및 상기 손등부(11)와 손바닥부(12)의 끝단을 연결하여 손가락을 둥글게 피복하는 손가락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손가락부(14)는 엄지손가락만 따로 가르고 나머지 네 손가락은 함께 끼게 되어 있는 형태(예: 벙어리 장갑) 또는 5개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형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글러브(10)의 재질은 패브릭, 인조가죽, 고무, 플렉시블 플라스틱 및 비닐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환자는 지속적인 주파수 자극을 위해서 본 발명의 글러브(10)를 일상의 생활 중에 장기간 착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충분한 통기성과 가벼움을 제공하는 메쉬 또는 냉감 소재의 패브릭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재 중에서, 냉감 소재의 패브릭은 냉감 소재에 포함된 온도 조절 물질(Phase Change Materials, PCM)이 피부에 닿으면 자동으로 피부의 표면 온도를 낮추어 주므로 여름용 재활 글러브의 제작에 유리하다.
상기 손등부(11)에는 고주파발생기(20)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고주파발생기(20)는 고주파를 발생시켜 손(손등)에 고주파를 전달함으로써, 고주파 자극 시 발생하는 전기장에 의해 C신경 섬유의 신경 전달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거나, intermediate early gene(IEG)의 발현을 유도하고, 상기 IEG의 발현 산물인 c-fos 단백질에 의한 통증 전달 경로 변화 등의 신경조정(neuromodulation) 효과를 통해 손목터널증후군과 관련된 신경조직을 재생하여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주파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가청주파수 이상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고주파 대역은 초음파(20 ~ 100㎑) 영역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20,000 ~ 500,000㎐(20 ~ 500㎑) 대역의 주파수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에 적용된 고주파발생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주파발생기(20)의 구성은 고주파전원모듈(21), 상기 고주파전원모듈(21)의 전압을 승압하는 부스터모듈(22); 상기 고주파전원모듈(21) 전원을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주파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주파수발진모듈(23); 상기 주파수발진모듈(23)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설정하는 고주파제어모듈(24); 상기 주파수발진모듈(23)에서 출력된 신호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모듈(25); 상기 증폭모듈(25)에서 생성된 신호로 동작하고 상기 부스터모듈(22)의 직류 전원을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스위칭모듈(26); 상기 스위칭모듈(26)에서 생성된 펄스의 전압을 출력하는 고주파출력모듈(27); 및 상기 고주파출력모듈(27)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외부로 고주파를 발진하는 고주파전극(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주파발생기(20)는 손등 피부에 고주파 크림이 도포되고 전극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에 의해 손목터널증후군 질환을 치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가 세포와 혈액에 마찰되어 발생된 40 ~ 44도의 심부 온열로 체내 온도를 상승시켜 혈류작용으로 통증 및 순환장애를 완화시키고, 이에 손목터널증후군 질환을 치료하게 된다. 또한, 고주파는 높은 온열을 이용하며 치료 범위가 높고 효과가 깊은 장점이 있다.
참고로 고주파를 이용하여 손의 자극을 통한 손목터널증후군 질환의 치료에 대한 효능과 임상 결과는 다양한 논문들을 통해 제시된 바 있다.
*논문 1
고주파 통증치료기를 이용한 재활 치료에 대한 연구(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jkiiect)’20-6, Vol13 No3)
*논문 2
양측성 손목굴증후군 환자에서 박동성 고주파술을 이용한 치료경험(Anesth Pain Med 2012; 7: 114~116)
*논문 3
고주파통증치료기 개발 및 통증완화에 대한 유효성 검증(대한전기학회 정보 및 제어 논문집 학술대회, 2020. pp.431~432 )
이에 더하여, 상기의 고주파발생기(20)는 상기 개선용 글러브(10)의 손등부(1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글러브(1)에서 손가락부(14)의 단부가 컷팅된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환자는 지속적인 주파수 자극을 위해서 본 발명의 글러브(10)를 일상의 생활 중에 장기간 착용할 필요가 있고, 글러브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적인 작업(예를 들면, 키보드/마우스/글쓰기 등)을 수행하는 경우, 수작업에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글러브(1)의 손가락 단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거된 오픈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에서는 5개의 손가락 단부가 컷팅된 5컷 글러브로 도시하였으나, 실시형태에 따라 5컷 글러브 이외에도 엄지와 검지 단부가 컷팅된 2컷 글러브; 엄지, 검지 및 중지 단부가 컷팅된 3컷 글러브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실시예 1의 글러브에 제1 저주파발생기와 제2 저주파발생기가 더 추가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는 손등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글러브이고, 도 5는 손바닥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글러브이다.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3에 따른 글러브(2)는 손등부에 설치되는 고주파발생기(20), 손바닥부에 설치되는 제1 저주파발생기(30) 및 손목부에 설치되는 제2 저주파발생기(40)를 포함한다.
즉, 실시예 3에 따른 글러브(2)는 실시예 1의 글러브에서 손바닥부(12)에 부착 설치되고, 저주파를 발생시켜 손에 저주파를 전달하는 제1 저주파발생기(30) 및 글러브(2)의 손목부(13)에 부착 설치되고, 저주파를 발생시켜 손에 저주파를 전달하는 제2 저주파발생기(40)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3의 구성에서 고주파발생기(20)에 대한 설명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고주파발생기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저주파발생기(30)와 제2 저주파발생기(40)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에 적용된 저주파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 저주파발생기(30)와 제2 저주파발생기(40)를 포함하는 저주파발생기(30, 40)는 동작전원이 저장되는 전원모듈(31, 배터리), 상기 전원모듈(31)의 전원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저주파를 생성하는 저주파제어모듈(32), 상기 저주파제어모듈(32)에서 발생된 저주파를 출력하는 저주파출력모듈(33) 및 피부에 접촉하여 상기 저주파출력모듈(33)에서 출력되는 저주파를 피부에 인가하는 접착패드(34)를 포함한다.
상기 저주파발생기(30, 40)는에서 발생되어 출력되는 저주파 대역은 5 ~ 1,500Hz 범위의 주파수가 이용될 수 있고, 고령의 환자에 적용하는 경우에 상기 저주파 대역은 5 ~ 1,000Hz 범위의 주파수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200Hz 이하의 저주파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 시킴으로서 신경을 진정시키고 혈행을 촉진시켜 결림이나 근육통을 치료하는 것으로서, 그 효과에 대하여는 다양한 논문을 통해 임상적인 테스트가 완료된 바 있다.
*논문 4
저주파 전기자극이 복부 중심근육 활성도 및 두께에 미치는 영향(재활복지공학회 논문지 제7권 제2호, 2013.12)
*논문 5
고주파치료(INDIBA)와 저주파 치료(TENS/HOT PACK)가 상긍모근 통증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대한스포츠물리치료학회, 2009, vol.5, no.1, pp. 1-10)
상기의 구성에서, 글러브(10)의 손목(13)에 부착 설치되는 제2 저주파발생기(40)는 힘줄, 인대에 직접적으로 저주파가 전달되지 않도록 손등부와 이어지는 상측 손목부에 설치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주파발생기(20), 제1 저주파발생기(30) 및 제22 저주파발생기(40)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동된 외부기기로부터 각종 제어신호와 상태신호를 주고받는 트랜시버 및 외부기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생성회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랜시버는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외부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실시예 1의 글러브 또는 실시예 3의 글러브에 복수의 햅틱센서가 더 구비되고, 햅틱센서들은 환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VR/AR 기기와 연동되어 VR/AR 기기에서 실행되는 각종 뇌 질환 재활 콘텐츠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뇌 질환 재활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글러브(3)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실시예 4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시스템의 사용 장면을 예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 4의 글러브(3)는 고주파발생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제1 저주파발생기(30)와 제2 저주파발생기(도면이 미표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주파발생기(20), 제1 저주파발생기(30) 및 제2 저주파발생기(40, 도 5 참조)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햅틱센서(haptic sensor)(50)는 글러브 착용자의 손 또는 각 손가락의 움직임 변위를 감지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된 변위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미리 연동된 웨어러블 VR/AR 기기로 전송한다.
햅틱센서(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러브(3)의 손가락 마디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글러브(3)의 다양한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햅틱센서(5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FSR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속에서 정밀하고 빠르게 뇌 질환 환자의 손 운동 또는 손가락 운동 동작을 추적하고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손 또는 손가락의 변위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W)에 전송한다.
웨어러블 기기(W)는 증강현실 안경(AR glass), 가상현실 헤드마운팅 장치(VR/MR/XR Head Mounting Device, HMD), 스마트 모바일 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다양한 모드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동작 모드는 실시예 3 또는 실시예 4로 구분하여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3에 따른 동작모드>
실시예 3은 실시예 1의 글러브에 제1 저주파발생기와 제2 저주파발생기가 더 추가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고주파발생기(20), 제1 저주파발생기(30) 및 제2 저주파발생기(40)를 포함하며,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모드는 상기 고주파발생기(20), 제1 저주파발생기(30) 및 제2 저주파발생기(40) 중에서 선택된 1개의 발생기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면, 제1 모드에서는 입력신호에 따라 고주파발생기(20)가 동작되고 제1 주파수발생기(30) 및 제2 주파수발생기(40)의 동작이 정지되며, 다음 입력신호에 따라 제1 저주파발생기(30)가 동작되고 고주파발생기(20) 및 제2 주파수발생기(40)의 동작이 정지되며, 다음 입력신호에 따라 제2 저주파발생기(40)가 동작되고 고주파발생기(20) 및 제1 주파수발생기(30)의 동작이 정지되는 방식으로 선택된 하나의 발생기만 동작되도록 구성되며, 다음 입력신호에 따라 위의 사이클을 반복하여 동작되게 구성된다.
제2 모드는 상기 고주파발생기(20), 제1 저주파발생기(30) 및 제2 저주파발생기(40) 중에서 선택된 2개의 발생기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면, 제2 모드에서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고주파발생기(20)와 제1 저주파발생기(30)가 동작되고 제2 자주파발생기(40)는 동작이 정지되며, 다음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고주파발생기(20)와 제2 저주파발생기(40)가 동작되고 제1 자주파발생기(30)는 동작이 정지되며, 다음 입력신호에 따라 제1 저주파발생기(30)와 제2 자주파발생기(40)는 동작되고 고주파발생기(20)의 동작이 정지되게 되고, 다음 입력신호에 따라 위의 사이클을 반복하여 동작되게 구성된다.
제3 모드는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및 제2 저주파발생기를 모두 동작시킨다.
예를 들면, 제3 모드에서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및 제2 저주파발생기를 모두 동작되고, 다음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및 제2 저주파발생기를 모두 정지되고, 다음 입력신호에 따라 위의 사이클을 반복하여 동작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는 각 모드에 따라 치료를 받고자 하는 손 부위를 선택하여 신속히 가변시킬 수 있다.
<실시예 4에 따른 동작모드>
실시예 4는 실시예 1의 글러브 또는 실시예 3의 글러브에 복수의 햅틱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4 모드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실시예 1의 글러브에 복수의 햅틱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를 생략된 형태로 제4 모드만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실시예 3의 글러브에 복수의 햅틱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에 제4 모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에 대한 설명은 <실시예 3에 따른 동작모드>의 설명으로 대체하여 생략한다.
제4 모드는 상기 햅틱센서에서 검출된 센서값에 기초하여,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또는 제2 저주파발생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햅틱센서로부터 움직임 변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값이 설정값 이하이면 움직임이 적은 것으로 판단하여 출력되는 주파수(고주파 및 저주파)의 출력을 하향 조절하고, 감지된 감지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여 출력되는 주파수(고주파 및 저주파)의 출력을 상향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제4 모드인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출력 주파수가 자동적으로 가변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2, 3: 글러브 11: 손등부
12: 손바닥부 13: 손목부
20: 고주파발생기 30: 제1 저주파발생기
40: 제2 저주파발생기 50: 햅틱센서

Claims (6)

  1. 손등부, 손바닥부 및 손목부를 포함하는 글러브에 있어서,
    상기 손등부에 부착 설치되고, 고주파를 발생시켜 손에 고주파를 전달하는 고주파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부에 부착 설치되고, 저주파를 발생시켜 손에 저주파를 전달하는 제1 저주파발생기; 및
    상기 손목부에 부착 설치되고, 저주파를 발생시켜 손에 저주파를 전달하는 제2 저주파발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및 제2 저주파발생기 중에서 선택된 1개의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제1 모드;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및 제2 저주파발생기 중에서 선택된 2개의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제2 모드; 및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및 제2 저주파발생기를 모두 동작시키는 제3 모드;
    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글러브의 손가락 마디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햅틱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햅틱센서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의 개선을 실행하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글러브의 손가락 마디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햅틱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햅틱센서에서 검출된 센서값에 기초하여, 상기 고주파발생기, 제1 저주파발생기 또는 제2 저주파발생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동작시키는 제4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러브의 손가락 단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거된 오픈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KR1020220130566A 2022-10-12 2022-10-12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KR20240050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566A KR20240050772A (ko) 2022-10-12 2022-10-12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PCT/KR2023/008158 WO2024080480A1 (ko) 2022-10-12 2023-06-14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566A KR20240050772A (ko) 2022-10-12 2022-10-12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772A true KR20240050772A (ko) 2024-04-19

Family

ID=9066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566A KR20240050772A (ko) 2022-10-12 2022-10-12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0772A (ko)
WO (1) WO202408048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27A (ko) 2017-01-23 2018-08-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목 터널 증후군 치료용 손목보호대 타입의 저주파 자극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09743B1 (ko) 2019-10-23 2021-10-08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손목터널증후군 완화용 손목견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6669B2 (en) * 2006-10-02 2020-09-29 Emkine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ver the palmar and plantar surfaces
KR20090098541A (ko) * 2008-03-14 2009-09-17 (주)메디즌 장갑형 전극을 갖는 전기치료기
KR101749702B1 (ko) * 2016-11-24 2017-06-21 대양의료기(주) 고주파 치료 시스템 및 고주파 치료 시스템용 착용형 고주파 발생장치
CN213491558U (zh) * 2020-05-08 2021-06-22 苏州逸动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装置及鼠标垫
CN215381693U (zh) * 2021-06-08 2022-01-04 宁波毅诺智慧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高频理疗仪辅助手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27A (ko) 2017-01-23 2018-08-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목 터널 증후군 치료용 손목보호대 타입의 저주파 자극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09743B1 (ko) 2019-10-23 2021-10-08 학교법인 김천대학교 손목터널증후군 완화용 손목견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480A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 et al. Review on motor imagery based BCI systems for upper limb post-stroke neurorehabilitation: From designing to application
Rupp et al. Functional rehabilitation of the paralyzed upper extremity after spinal cord injury by noninvasive hybrid neuroprostheses
KR102144737B1 (ko) 적응형 외골격, 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337265B (zh) 用于改善外周神经功能的方法和装置
US8560077B2 (en) Universal musculoskeletal rehab device (brace, sleeve, or pad) for electrical treatment modalities and biofeedback response monitoring
McCrea et al. Saturated muscle activation contributes to compensatory reaching strategies after stroke
KR102390107B1 (ko) 국부 신경 자극
JP4216725B2 (ja) 筋肉刺激装置
US9271864B2 (en) Orthosis for range of motion, muscular and neurologic rehabilita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JP2021505336A (ja) 患者治療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9523031A5 (ko)
Micera et al. Wearable neural prostheses
CN106618544A (zh) 一种智能穿戴设备
KR20180089127A (ko) 근전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Demircan et al. Perception accuracy of vibrotactile feedback during locomotion
KR20240050772A (ko) 손목터널증후군 질환 개선용 글러브
CN213491558U (zh) 一种治疗装置及鼠标垫
KR102196663B1 (ko) 고주파와 기계적 자극을 이용한 지방분해 기기
KR102520514B1 (ko)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온열 무릎광조사장치, 온열 무릎광조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Bryden et al. An implanted neuroprosthesis for high tetraplegia
Keith et al. Ind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upper limb neuroprostheses in tetraplegic patients: a review
Nason-Tomaszewski et al. Restoring continuous finger function with temporarily paralyzed nonhuman primates using brain–machine interfaces
KR200423283Y1 (ko) 신체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의복
Rupp et al. Brain-computer interfaces for control of upper extremity neuroprostheses in individuals with high spinal cord injury
RU2739699C1 (ru) Способ персонализированной физической реабилитации больных с двигательными нарушениями лучезапястных суставов и пальцев ки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