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127A - 근전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근전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127A
KR20180089127A KR1020170013818A KR20170013818A KR20180089127A KR 20180089127 A KR20180089127 A KR 20180089127A KR 1020170013818 A KR1020170013818 A KR 1020170013818A KR 20170013818 A KR20170013818 A KR 20170013818A KR 20180089127 A KR20180089127 A KR 20180089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joint
electric stimulation
muscle
subjec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복
장주웅
양상진
심대보
이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루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루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루메드
Priority to KR1020170013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127A/ko
Publication of KR2018008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61B5/04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0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eu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근전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100)는, 대상환자의 무릎을 포함하는 다리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하여 대상환자의 무릎관절 재활을 위한 무릎관절 재활장치(100)로서, 대상환자의 대퇴부(thigh, 1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조의 상부지지대(110); 대상환자의 하퇴부(lower leg, 1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조의 하부지지대(120); 상기 상부지지대(110) 또는 하부지지대(120)에 장착되어 대상환자의 대퇴부(11) 또는 하퇴부(12)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근전도 측정센서(130); 상기 상부지지대(110) 또는 하부지지대(120)에 장착되어 대상환자의 대퇴부(11) 또는 하퇴부(12)의 근육에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장치(140); 및 상기 상부지지대(110) 또는 하부지지대(120)에 장착되고, 근전도 측정센서(130)를 통해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기자극장치(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 단계 중 초기 급성기 시 최적의 전기자극을 실시함으로써 근육강화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전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Apparatus For Rehabilitating A Knee Joint Having Electromyogram 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전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가소성이란 뇌가 손상된 후 훼손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성질로서, 특정한 뇌세포가 손실될 경우 다른 신경세포가 축색돌기를 증가시켜 없어진 부분을 보충하여 회복 가능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뇌출혈이나 뇌경색으로 인해 뇌의 특정 영역이 손상될 경우 그에 해당하는 신체 부위를 쓸 수 없게 된다. 이때, 이러한 해당 신체 부위를 지속적으로 운동시키게 되면 뇌가소성이 향상됨으로써 손상된 뇌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교통사고, 산업 재해, 스포츠 손상 등과 같은 각종 사고로 인해 외상성 뇌손상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에도 외상을 입은 부분을 지속적으로 운동시킴으로써 뇌가소성을 향상시켜 손상된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뇌손상 환자뿐만 아니라 골절 환자나 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와 같은 정형외과 수술 환자 또는 근육 손상을 입은 외상 환자의 경우, 수술 후 재활 치료를 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환자가 수술이나 손상을 입은 부위의 회복을 위한 운동을 의식적으로 행하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뇌 기능이 활발해져 뇌가소성이 증가하게 되어 재활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환자들의 손상된 뇌 기능 회복이나 신체의 기능 회복을 위한 운동 장치로는 연속 수동 운동(CPM; Continuous Passive Motion) 장치가 있다. CPM 장치는 환자의 운동 의지와는 상관없이 수동적으로 운동을 행하는 장치로서, 기계의 힘으로 신체 부위를 운동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 환자는 힘을 주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능동적으로 힘을 주고 운동을 하는 경우보다 회복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예컨대, 무릎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수술 직후 무릎 관절 조직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능동적으로 힘을 주어 운동하게 되면 무릎 관절 조직이 정렬된다. 따라서, 기계적 힘으로만 운동하는 경우보다 관절 조직이 강화되고 회복 속도가 빠르게 된다.
또한, CPM 장치는 기계의 힘으로 수동적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환자의 신체 손상 정도나 신체 회복 정도에 따른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없다. 예컨대, 운동 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정도에 따라 운동강도를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CPM 장치는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재활 운동 효과를 얻기 힘들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링크 구조를 포함하는 무릎 재활기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무릎 재활기구는 환자가 능동적으로 힘을 주어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나, 재활 단계 중 초기인 급성기 시에 해당하는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연결부위에 구동기기(50)를 장착하여 무릎의 굽힘 정도를 제어하여, 환자 스스로의 재활운동에 도움을 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무릎 재활기구는, 하나 이상의 링크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휴대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무릎 재활기구는, 환자의 대퇴부와 하퇴부의 근 상태를 반영하여 환자에 최적화된 무릎관절 운동을 유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무릎관절 재활장치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22120 (2016년 02월 29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 단계 중 초기 급성기 시 근육강화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는, 대상환자의 무릎을 포함하는 다리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하여 대상환자의 무릎관절 재활을 위한 무릎관절 재활장치로서, 대상환자의 대퇴부(thigh)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조의 상부지지대; 대상환자의 하퇴부(lower leg)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조의 하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 또는 하부지지대에 장착되어 대상환자의 대퇴부 또는 하퇴부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근전도 측정센서; 상기 상부지지대 또는 하부지지대에 장착되어 대상환자의 대퇴부 또는 하퇴부의 근육에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장치; 및 상기 상부지지대 또는 하부지지대에 장착되고, 근전도 측정센서를 통해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기자극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의 외부면에는,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에는 유연한 구조의 발열부재가 수납되고, 상기 발열부재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대상환자의 피부와 입접하는 방향에 장착된 다공성 섬유소재로 구성된 내측지지면; 및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에 장착된 보온 섬유소재로 구성된 외측지지면;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지지면은, 전기 전도성 섬유소재 또는 전기 전도성 금속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지지면은, 전기자극장치의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전도 측정센서로부터 수신한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근피로도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근피로도 데이터와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기자극 세기 및 패턴을 결정한 후, 전기자극장치에 결정된 전기자극 세기 및 패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근피로도 데이터,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 전기자극 세기 및 패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부를 내장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는, 기 설정된 전기자극 패턴 및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상환자의 근 피로도, 근활성도, 근 상태,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에 관한 정보를 운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대상환자로부터 검출된 최대 근전도 값을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목표치를 상향하여 전기자극장치의 전기 자극 강도 내지 패턴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내장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운용자의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장치는, 대상환자의 대퇴직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및 내측광근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대상환자의 내측광근과 대응되는 위치에 탑재된 전기자극장치를 음극으로 설정하고, 대상환자의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중간광근과 대응되는 위치에 탑재된 전기자극장치를 각각 독립적으로 양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운용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은, a) 대상환자의 대퇴부와 하퇴부에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착용하는 착용단계; b) 근전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대상환자의 근전도를 측정하고,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와 제어부에 저장된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목표로 하는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을 결정하는 초기설정단계; c) 대상환자의 대퇴부와 하퇴부에 전기자극을 실시하는 전기자극 실시단계; 및 d) 근전도 측정결과 및 무릎관절 상태를 대상환자에게 출력하는 치료경과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은, e) 전기자극 실시 전 또는 실시 후, 대퇴부 및 하퇴부를 이완시키는 근이완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근이완단계는, 발열부재 또는 전기자극장치를 이용하여 대퇴부 및 하퇴부를 이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료경과출력단계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대상환자의 근 피로도, 근 상태,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에 관한 정보를 운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모듈로 부터 수신한 정보 중,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에 관한 정보를 임의의 수정하여 무릎관절 재활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근전도 측정센서, 전기자극장치, 상부지지대, 하부지지대 및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재활 단계 중 초기 급성기 시 최적의 전기자극을 실시함으로써 근육강화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에 따르면,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를 유연한 소재로 구성한 후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대상환자의 무릎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고,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이 현저히 향상된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발열부재를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의 외부면에 마련된 수납부에 수납시켜, 대상환자의 대퇴부 및 하퇴부를 가열하여 이완시킬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재활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내측지지면 및 외측지지면을 포함하는 수납부를 구비함으로써, 대상환자의 대퇴부 및 하퇴부를 가열하는 발열부재를 손쉽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 장착되는 근전도 측정센서 및 전기자극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대상환자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기자극 세기 및 전기자극 패턴을 산출하여 전기자극장치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에 따르면, 근전도 측정센서로부터 수신한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근피로도 데이터를 산출하고, 근피로도 데이터와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기자극 세기 및 패턴을 결정한 후, 전기자극장치에 결정된 전기자극 세기 및 패턴 명령을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대상환자의 근 상태에 따라 최적을 전기자극을 수행할 수 있어, 전기자극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에 따르면, 대상환자의 내측광근과 대응되는 위치에 탑재된 전기자극장치를 음극으로 설정하고, 대상환자의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중간광근과 대응되는 위치에 탑재된 전기자극장치를 각각 독립적으로 양극으로 설정하여 전기자극을 실시함으로써, 전기자극 치료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무릎관절 재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에 따르면, 특정 구성의 착용단계, 초기설정단계, 전기자극 실시단계, 치료경과 출력단계 및 근이완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대상환자의 근 상태 및 운동이력을 반영하여 최적의 무릎관절 운동을 유도함으로써 무릎관절 재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에 따르면,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대상환자의 근 피로도,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에 관한 정보를 운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손쉬운 무릎관절 재활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릎 관절용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릎 재활 기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릎 관절 재활 운동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인체의 대퇴부를 구성하고 있는 근육의 종류 및 위치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대상환자의 모릎을 포함하는 대퇴부 및 하퇴부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는 인체의 대퇴부를 구성하고 있는 근육의 종류 및 위치를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100)는, 대상환자의 무릎을 포함하는 다리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하여 대상환자의 무릎관절 재활을 위한 무릎관절 재활장치로서, 특정 구조의 상부지지대(110), 하부지지대(120), 근전도 측정센서(130), 전기자극장치(14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재활 단계 중 초기 급성기 시 최적의 전기자극을 실시함으로써 근육강화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환자의 대퇴부(thigh, 11) 및 하퇴부(lower leg, 12)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지지대(110) 및 하부지지대(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100)에 따르면, 상부지지대(110) 및 하부지지대(120)를 유연한 소재로 구성한 후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대상환자의 무릎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고,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이 현저히 향상된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110) 및 하부지지대(120)의 외부면에는,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수납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납부(160)에는 유연한 구조의 발열부재(170)가 수납되고, 상기 발열부재(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100)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발열부재(170)를 상부지지대(110) 및 하부지지대(120)의 외부면에 마련된 수납부(160)에 수납시켜, 대상환자의 대퇴부(11) 및 하퇴부(12)를 가열하여 이완시킬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재활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60)는, 대상환자의 피부와 입접하는 방향에 장착된 다공성 섬유소재로 구성된 내측지지면(161) 및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에 장착된 보온 섬유소재로 구성된 외측지지면(162)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60)의 내측지지면(161)은 전기 전도성 섬유 소재 또는 전기 전도성 금속 소재로 구성되어 전기자극장치(140)를 구성하는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자극장치(140)와 수납부(160)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무릎관절 재활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컴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100)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내측지지면(161) 및 외측지지면(162)을 포함하는 수납부(160)를 구비함으로써, 대상환자의 대퇴부(11) 및 하퇴부(12)를 가열하는 발열부재(170)를 손쉽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다.
한편, 근전도 측정센서(130)는, 상부지지대(110) 또는 하부지지대(120)에 장착되어 대상환자의 대퇴부(11) 또는 하퇴부(12)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를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전기자극장치(140)는, 상부지지대(110) 또는 하부지지대(120)에 장착되어 대상환자의 대퇴부(11) 또는 하퇴부(12)의 근육에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자극장치(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대퇴부를 구성하고 있는 각 근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인체의 대퇴부는, 대퇴직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및 내측광근으로 구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장치(140)는, 각 근육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대상환자의 내측광근과 대응되는 위치에 탑재된 전기자극장치(140)를 음극으로 설정하고, 대상환자의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중간광근과 대응되는 위치에 탑재된 전기자극장치(140)를 각각 독립적으로 양극으로 설정하여 대상환자의 대퇴부를 전기 자극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제어부(150)에 중점적으로 강화해야 할 근육 부위를 지정하여 그 부위를 중점적으로 전기자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광근에 배치된 전기자극장치(140)를 양극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대퇴직극, 외측광근, 중간광근에 배치된 전기자극장치를 음극으로 설정한 후, 양극을 기준으로 대퇴직극, 외측광근, 중간광근에 배치된 전기자극장치를 램덤(random)하게 구동시킴으로써, 강화하고자 하는 부위를 더 집중하여 전기 자극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는, 중점적으로 강화해야 할 근육 부위를 지정하여 그 부위를 중점적으로 전기자극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더욱 효과적인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부지지대(110) 또는 하부지지대(120)에 장착되고, 근전도 측정센서(130)를 통해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기자극장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근전도 측정센서(130)로부터 수신한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근피로도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근피로도 데이터와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기자극 세기 및 패턴을 결정한 후, 전기자극장치(140)에 결정된 전기자극 세기 및 패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100)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 장착되는 근전도 측정센서(130) 및 전기자극장치(140)를 구비함으로써, 대상환자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기자극 세기 및 전기자극 패턴을 산출하여 전기자극장치(140)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100)에 따르면, 특정 구성의 제어부(150)를 구비함으로써, 대상환자의 근 상태에 따라 최적을 전기자극을 수행할 수 있어, 전기자극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근피로도 데이터,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 전기자극 세기 및 패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부(180)를 내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저장부(180)에는, 기 설정된 전기자극 패턴 및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환자의 근 피로도, 근 상태,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에 관한 정보를 운용자의 휴대단말기(200)에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190)을 내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내장된 무선통신모듈(190)을 이용하여, 운용자의 휴대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100)는, 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200)를 통해 대상환자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하며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고 손쉬운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대상환자의 모릎을 포함하는 대퇴부 및 하퇴부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7에 도시된 구성도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S100)은, 특정 구성의 착용단계(S110), 초기설정단계(S120), 전기자극 실시단계(S130) 및 치료경과 출력단계(S14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단계(S110)는, 대상환자의 대퇴부(11)와 하퇴부(12)에 무릎관절 재활장치(100)를 착용하는 단계이다. 이때, 도 4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부(11)와 하퇴부(12)에 위치하는 각 근육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기자극장치(140)가 정확히 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를 대상환자에 착용시킴이 바람직하다.
초기설정단계(S120)는, 사용자가 제어부(150)에 중점적으로 강화해야 할 근육 부위를 지정하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근전도 측정센서(130)를 이용하여 대상환자의 근전도를 측정하고,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와 제어부(130)에 저장된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목표로 하는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는, 운용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의 세기, 전지자극 패턴에 관한 데이터이다. 운용자 또는 사용자는 이러한 이력 데이터를 수정하여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150)의 제어로직에 따라 자동으로 운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대상환자의 대퇴부(11)와 하퇴부(12)에 전기자극을 실시하는 전기자극 실시단계(S130)가 수행된다.
이와 동시에 근전도 측정결과 및 무릎관절 상태를 대상환자에게 출력하는 치료경과 출력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측정센서(130)는, 치료하고자 하는 대퇴부(11)와 하퇴부(12)의 근전도 뿐만 아니라, 근피로도 및 근활성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무선통신모듈(190)을 이용하여 대상환자의 근 피로도, 근활성도, 근 상태,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에 관한 정보를 운용자의 휴대단말기(200)에 송신할 수 있다.
운용자 또는 사용자는 휴대단말기(200)에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무릎관절 재활장치(100)의 운용상태 및 치료 대상 대퇴부(11) 및 하퇴부(12)의 상태를 한눈에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전기자극의 세기는 대상환자에 따라 느끼는 강도가 다르므로, 대상환자의 의도 내지 운용자의 의도에 따라 휴대단말기(200)를 이용한 제어에 의해 무릎관절 재활장치(100)의 작동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의 세기, 전지자극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정하여 무릎관절 재활장치(100)의 작동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전기자극 실시 전 또는 실시 후, 대퇴부(11) 및 하퇴부(12)를 이완시키는 근이완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이완단계(S150)는 상기 언급한 발열부재(170)를 이용하여 대퇴부(11) 및 하퇴부(12)를 이완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근이완단계(S150)는 전기자극장치(140)의 전지자극 주파수를 낮추어 마사지 기능(EMS의 Tense 기능)을 이용하여 대퇴부(11) 및 하퇴부(12)를 이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전기자극장치(140)의 전기자극 적용 주파수 대역은 80 내지 90 헤르츠이며, 마사지 기능으로 활용될 경우의 주파수 대역은 5 내지 10 헤르츠일 수 있다. 전기자극장치(140)를 이용하여 대퇴부(11) 및 하퇴부(12)를 이완시킬 경우, 발열부재(170)를 생략하는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대상환자로부터 검출된 최대 근전도 값을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목표치를 상향하여 전기자극장치(140)의 전기 자극 강도 내지 패턴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운용자 내지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를 휴대단말기(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목표치 상향 정도를 운용자 내지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S100)에 따르면, 특정 구성의 착용단계(S110), 초기설정단계(S120), 전기자극 실시단계(S130), 치료경과 출력단계(S140) 및 근이완단계(S150)를 포함함으로써, 대상환자의 근 상태 및 운동이력을 반영하여 최적의 무릎관절 운동을 유도함으로써 무릎관절 재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S100)에 따르면, 무선통신모듈(190)을 이용하여 대상환자의 근 피로도,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에 관한 정보를 운용자의 휴대단말기(200)에 송신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손쉬운 무릎관절 재활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 대퇴부
12: 하퇴부
13: 무릎관절
100: 무릎관절 재활장치
110: 상부지지대
120: 하부지지대
130: 근전도 측정센서
140: 전기자극장치
150: 제어부
160: 수납부
161: 내측지지면
162: 외측지지면
170: 발열부재
180: 데이터 저장부
190: 무선통신모듈
200: 휴대단말기
S100: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
S110: 착용단계
S120: 초기설정단계
S130: 전기자극 실시단계
S140: 치료경과 출력단계
S150: 근이완단계

Claims (17)

  1. 대상환자의 무릎을 포함하는 다리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하여 대상환자의 무릎관절 재활을 위한 무릎관절 재활장치(100)로서,
    대상환자의 대퇴부(thigh, 1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조의 상부지지대(110);
    대상환자의 하퇴부(lower leg, 1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조의 하부지지대(120);
    상기 상부지지대(110) 또는 하부지지대(120)에 장착되어 대상환자의 대퇴부(11) 또는 하퇴부(12)의 근전도를 측정하여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근전도 측정센서(130);
    상기 상부지지대(110) 또는 하부지지대(120)에 장착되어 대상환자의 대퇴부(11) 또는 하퇴부(12)의 근육에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기자극장치(140); 및
    상기 상부지지대(110) 또는 하부지지대(120)에 장착되고, 근전도 측정센서(130)를 통해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기자극장치(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110) 및 하부지지대(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110) 및 하부지지대(120)의 외부면에는,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수납부(1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160)에는 유연한 구조의 발열부재(170)가 수납되고,
    상기 발열부재(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60)는,
    대상환자의 피부와 입접하는 방향에 장착된 다공성 섬유소재로 구성된 내측지지면(161); 및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에 장착된 보온 섬유소재로 구성된 외측지지면(16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면(161)은, 전기 전도성 섬유소재 또는 전기 전도성 금속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지지면(161)은, 전기자극장치(140)의 전극으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근전도 측정센서(130)로부터 수신한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근피로도 데이터 내지 근활성도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데이터와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기자극 세기 및 패턴을 결정한 후,
    전기자극장치(140)에 결정된 전기자극 세기 및 패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근피로도 데이터, 근활성도 데이터,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 전기자극 세기 및 패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부(180)를 내장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180)에는, 기 설정된 전기자극 패턴 및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대상환자의 근 피로도, 근활성도, 근 상태,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에 관한 정보를 운용자의 휴대단말기(200)에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190)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대상환자로부터 검출된 최대 근전도 값을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목표치를 상향하여 전기자극장치(140)의 전기 자극 강도 내지 패턴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내장된 무선통신모듈(190)을 이용하여, 운용자의 휴대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장치(140)는,
    대상환자의 대퇴직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및 내측광근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대상환자의 내측광근과 대응되는 위치에 탑재된 전기자극장치(140)를 음극으로 설정하고,
    대상환자의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중간광근과 대응되는 위치에 탑재된 전기자극장치(140)를 각각 독립적으로 양극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릎관절 재활장치를 운용하는 방법(S100)으로서,
    a) 대상환자의 대퇴부(11)와 하퇴부(12)에 무릎관절 재활장치(100)를 착용하는 착용단계(S110);
    b) 근전도 측정센서(130)를 이용하여 대상환자의 근전도를 측정하고, 검출된 근전도 데이터와 제어부(130)에 저장된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목표로 하는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을 결정하는 초기설정단계(S120);
    c) 대상환자의 대퇴부(11)와 하퇴부(12)에 전기자극을 실시하는 전기자극 실시단계(S130); 및
    d) 근전도 측정결과 및 무릎관절 상태를 대상환자에게 출력하는 치료경과 출력단계(S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S100)은,
    e) 전기자극 실시 전 또는 실시 후, 대퇴부(11) 및 하퇴부(12)를 이완시키는 근이완단계(S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근이완단계(S150)는, 발열부재(170) 또는 전기자극장치(140)를 이용하여 대퇴부(11) 및 하퇴부(12)를 이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경과출력단계(S140)는,
    무선통신모듈(190)을 이용하여 대상환자의 근 피로도, 근 상태, 재활운동 이력 데이터,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에 관한 정보를 운용자의 휴대단말기(20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운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모듈(190)로 부터 수신한 정보 중, 대퇴부 및 하퇴부 가열정도, 전기자극 세기, 전기자극 패턴에 관한 정보를 임의의 수정하여 무릎관절 재활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운용방법.
KR1020170013818A 2017-01-31 2017-01-31 근전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20180089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18A KR20180089127A (ko) 2017-01-31 2017-01-31 근전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18A KR20180089127A (ko) 2017-01-31 2017-01-31 근전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127A true KR20180089127A (ko) 2018-08-08

Family

ID=6323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818A KR20180089127A (ko) 2017-01-31 2017-01-31 근전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12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9306A1 (ja) * 2018-03-30 2019-10-03 三井化学株式会社 外部刺激付与システム、外部刺激条件決定システム、外部刺激条件決定支援サーバ、およびデータ構造
KR20210013863A (ko) * 2019-07-29 2021-02-08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전기 근육 자극 방식의 착용형 건강 밴드 기기
CN112353405A (zh) * 2020-10-27 2021-02-12 中国人民解放军西部战区总医院 一种用于四肢的肌电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63278B1 (ko) * 2021-07-28 2022-02-14 김원경 피부 온도에 따른 찜질 온도 제어와 근피로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찜질 시스템
KR102380249B1 (ko) * 2020-11-18 2022-03-30 에버엑스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운동을 제공하는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운동 제공 시스템
CN116646070A (zh) * 2023-07-24 2023-08-25 深圳市联影高端医疗装备创新研究院 一种用于缓解不宁腿综合征的设备及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9306A1 (ja) * 2018-03-30 2019-10-03 三井化学株式会社 外部刺激付与システム、外部刺激条件決定システム、外部刺激条件決定支援サーバ、およびデータ構造
US11957906B2 (en) 2018-03-30 2024-04-16 Mitsui Chemicals, Inc. External stimulus application system,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upport server
KR20210013863A (ko) * 2019-07-29 2021-02-08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전기 근육 자극 방식의 착용형 건강 밴드 기기
CN112353405A (zh) * 2020-10-27 2021-02-12 中国人民解放军西部战区总医院 一种用于四肢的肌电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80249B1 (ko) * 2020-11-18 2022-03-30 에버엑스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운동을 제공하는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운동 제공 시스템
KR102363278B1 (ko) * 2021-07-28 2022-02-14 김원경 피부 온도에 따른 찜질 온도 제어와 근피로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찜질 시스템
CN116646070A (zh) * 2023-07-24 2023-08-25 深圳市联影高端医疗装备创新研究院 一种用于缓解不宁腿综合征的设备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865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supporting human joints or a portion of the human body
KR20180089126A (ko) 무릎각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20180089127A (ko) 근전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재활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2390107B1 (ko) 국부 신경 자극
Kobetic et al. Implant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for mobility in paraplegia: a follow-up case report
US202102206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supporting human joints or a portion of the human body
JP2021505336A (ja) 患者治療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1006276A (ja) 患者治療システム及び方法
van Kammen et al. The combined effects of guidance force, bodyweight support and gait speed on muscle activity during able-bodied walking in the Lokomat
US8560077B2 (en) Universal musculoskeletal rehab device (brace, sleeve, or pad) for electrical treatment modalities and biofeedback response monitoring
KR101221046B1 (ko) 지능형 외골격 로봇기반의 일상생활 보조 및 재활훈련 시스템
KR101114164B1 (ko) 의복형 근전도 및 기능적 전기자극 시스템
KR100946186B1 (ko) 하지의 로봇 보조기
MXPA04010883A (es) Un metodo y aparato para mejorar el desempeno neurofisiologico.
JP2013512709A (ja) 痙性筋肉の筋肉弛緩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装着具
JP2005536290A (ja) 可変電気筋肉刺激を与え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JPWO2006022307A1 (ja) バーチャル映像を利用した筋肉電気刺激方法及び筋肉電気刺激システム
US11957906B2 (en) External stimulus application system,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upport server
US20210016087A1 (en) Occlusion therapy and pelvic stimulation system
KR101991435B1 (ko) 관절운동치료와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재활치료기기
Haufe et al. Increasing exercise intensity during outside walking training with a wearable robot
Grishin et al. A device for the rehabilitation therapy of patients with motor pathology using mechanotherapy,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spinal cord, and biological feedback
Chambers et al. Repeated robot-assisted unilateral stiffness perturbations result in significant aftereffects relevant to post-stroke gait rehabilitation
Almutairi et al. Walking with and without a robotic exoskeleton in people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compared to a typical gait pattern
Fatahi et al. Investigating Tibialis Anterior Muscle Activity Levels in Patients With Genu Varum During Single-Leg Jump-Landing T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